KR20230025300A - Functional seat chair - Google Patents

Functional sea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300A
KR20230025300A KR1020210117152A KR20210117152A KR20230025300A KR 20230025300 A KR20230025300 A KR 20230025300A KR 1020210117152 A KR1020210117152 A KR 1020210117152A KR 20210117152 A KR20210117152 A KR 20210117152A KR 20230025300 A KR20230025300 A KR 2023002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backrest
seating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833B1 (en
Inventor
전병익
서병준
김대희
석창훈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ublication of KR2023002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A functional legless chair is disclos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movement toward left and right sides on a floor surface when a user sits on a sitting unit and prevents support force with respect to a waist from being excessively generated to be conveniently used for all ages and improve s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itting unit (100) where hips and thighs of a user are seated; a backrest unit (200) storing a waist and a back of the user; a connection unit (300) connecting the sitting unit (100) and the backrest unit (200); a stress support unit (350) for supporting and distributing load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200) due to the user; a pad unit (400) attached to the sitting unit (100) and the backrest unit (200); and a horizontality maintaining unit (60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itting unit (10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a floor surface when the user sits on the sitting unit (100).

Description

기능성 좌식 의자{Functional seat chair}Functional seat chair {Functional seat chair}

본 발명은 좌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해 사용할 때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고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지지력이 보다 안정화된 기능성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ting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sitting chair that is level with the floor and minimizes movement when a user uses it to correct postur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waist and having a more stable supporting force. will be.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공부 또는 업무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 있다. 이때, 학생 또는 직장인과 같은 테이블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테이블 쪽으로 상체를 구부린 자세가 장시간 유지된다.In general, students or office workers spend most of the day studying or working at a table while sitting on a chair. At this time, table users, such as students or office workers, sit leaning on a chair or maintain a posture in which the upper body is bent toward the table for a long time.

이경우 사용자는 상체의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In this case, the load of the upper body is concentrated on the waist of the user, so not only does the user easily feel fatigued, but also causes scoliosis and the like due to incorrect posture.

특히, 수험생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석 시간이 점차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In particular, for users who study while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such as an examinee, the load applied to the spine increases as the sitting time gradually elapses, and the back is stiff or the spine is disabled, which inevitably forces the arm. It's a reality.

이 경우 팔의 힘이 손으로 전달되어 글쓰기 등 불안한 자세가 발생함으로써 집중 불안 및 신체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의자에서 오랜 시간을 버티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In this case, the power of the arm is transmitted to the hand, and an unstable posture such as writing occurs, resulting in concentration anxiety and body fatigu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endure a long time in a chair.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세교정을 위한 의자들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좌식 의자에 기능을 추가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chairs for posture correction are being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recently, many products with functions added to sitting chairs have been released.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281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2813

본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자세를 바로 잡는 동작에서 좌우 움직임이 최소화 되도록 수평 유지부가 형성되고, 사용 도중에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움직임에 따라 허리와 등에 가해지는 반력이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는 기능성 좌식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functional sitting chair in which a horizontal holding part is formed to minimize left and right movement during a user's posture correcting operation, and the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waist and back does not excessively compress according to movemen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waist during use. want to provide

본 실시 에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하기 위한 응력 지지부(35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패드부(400); 및 상기 착좌부(100)에 상기 사용자가 앉을 경우에 바닥면과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 유지부(600)를 포함한다.The functional sit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ating portion 10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nd thighs are seated; a backrest portion 200 accommodating the user's waist and back;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backrest part 200; a stress support unit 350 for supporting and distributing a load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200 by the user; a pad part 400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backrest part 200; and a horizontal holding part 60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to maintain a level state with the floor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

상기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선단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제1 수평 유지부(610);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우측에 형성된 제2 수평 유지부(620)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holding part 60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holding part 610 form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A second horizontal holding part 62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is included.

상기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holding part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front of the seating part 100 .

상기 착좌부(10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선단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를 갖고 연장된 중앙부(110);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1 라운드 부(122)가 형성된 제1 측부(120);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2 라운드 부(132)가 형성된 제2 측부(130)를 포함한다.The seating portion 1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0 extending in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a first side portion 120 having a first round portion 12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0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t includes a second side part 130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art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second round part 132 formed with a front end exten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연결부(300)의 횡 방향에서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 상측으로 상기 등받이부(200)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세로 방향 하측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선단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extends to a certain thickn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extends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ackrest par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nection part 300 It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end of the.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단면을 잘라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진 웨이브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a round wave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by cutting the cross section.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일체로 연장된 싱글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한다.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support the waist and back of the user in the form of a single unitary extension.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가 형성된다.A support part 500 extending from the backrest part 200 toward the connection part 300 to support the user's waist with different elastic forces when the user rotates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art 100 is formed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라운드 부(5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510);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라운드 부(52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520);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홈 형태의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50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5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including a first round part 51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 second support portion 5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200 fac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510 and including a second round portion 52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510 and 520 include a groove-shaped third support part 53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left and right lower ends and having a third round part 53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좌우측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에서 연장된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omes short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500 .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제1 구간(S1)에 연장된 제1 응력 지지부(352);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2 구간(S2)에 연장 되며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상이한 간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지지부(354)를 포함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includes a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extending in the first section S1 based on the support part 500; It includes a second stress support part 35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extending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extending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상기 제2 응력 지지부(354)는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간격으로 연장된다.The second stress supporting part 354 extends at a relatively shorter interval than the first stress supporting part 352 .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착좌부(100)에 부착되는 제1 패드부(410);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제2 패드부(420)를 포함한다.The pad part 400 includes a first pad part 410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00; A second pad part 420 attached to the backrest part 200 is included.

상기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선단부에 부분 삽입되고, 제1 밸크로(411)가 형성된 커버부(412); 상기 제1 패드부(410)의 후단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500)를 경유한 타단에 상기 제1 밸크로(4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제2 밸크로(413)가 형성된 밴드부(414)를 포함한다.The first pad part 41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art 100 and includes a cover part 412 having a first Velcro 411 formed there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pad part 410, and a second Velcro 413 is formed to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411 at the other end via the support part 500. A band portion 414 is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아 안정적인 지지 성능이 유지되고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waist is not excessively applied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ing portion, so that stable support performance is maintained and the user can use the device more comfortably.

본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허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even when the user rotates the wais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eft or right side is selectively supported, so that the user's satisfaction is improved.

본 실시 예들은 수평 유지부에 의해 자세를 바로잡고 허리를 세우는 동작에서 움직임이 최소화 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며 허리에 가해지는 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movement is minimized, stability is improved, and convenience is improved in an operation of correcting posture and erecting the waist by a horizontal holding unit, and reducing a feeling of being applied to the waist.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수평 유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배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의 제1,2 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응력 지지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에 커버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1 and 2 are views showing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rizontal hol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side parts of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stress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rear view of a functional sitting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cover part coupled to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6 ar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unit is installed in 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좌식 의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rights of a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착좌부에 앉았을 때 바닥면과 수평 상태가 유지되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임이 최소화 됨으로써 보다 안정화된 상태로 좌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과도하게 가해지는 반력을 감소시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1 to 4, the functional sit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stable by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loor surfac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ortion for use and minimizing movemen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Since the chair can be used in this state, it can be used comfortably by reducing excessive reaction force on the user's waist.

또한 사용자가 허리를 좌우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때 발생되는 강성도(stiffness)가 지나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허리에 대한 압박을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user's waist and reducing the pressure on the waist by preventing excessive increase in stiffness generated when the user elastically supports the waist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 is.

또한 본 실시 예는 좌식 의자를 사용할 때 후술할 지지부와 함께 응력을 지지 분산하도록 응력 지지부(350)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앉은 상태에서 다양한 동작에서 발생되는 응력 집중을 해소하고 분산시켜 편안함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할 패드부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 도중 밀림이 방지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stress support unit 350 to support and distribute stress together with a support unit to be described later when using a chair,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feeling of use by relieving and dispersing stress concentration generated from various operations while the user is sitting. It is easy to install on the pad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ecause it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during use.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와,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하기 위한 응력 지지부(350)와,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패드부(400) 및 상기 착좌부(100)에 상기 사용자가 앉을 경우에 바닥면과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 유지부(6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unctional sitting chai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ating portion 100 in which the user's hips and thighs are seated, a backrest portion 200 in which the user's waist and back are accommodated, the seating portion 100 and the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200, a stress support part 350 for supporting and dispersing the load applied to the backrest part 200 by the user, and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backrest part The pad part 400 attached to the seat part 200 and the leveling part 60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so that the seat part 100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loor surface when the user sits down are provided. include

본 실시 예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가 일체로 연장된 싱글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넓은 면적으로 감싸며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back in a single form integrally extended, so that the user's waist and back can be used while covering a wide area. convenience is improved.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등을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기댈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user leans his or her back against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it can contact and support the user at the same time over a large area as shown in the drawing. can be used more comfortably.

상기 착좌부(100)와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나 다른 재질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일체 사출 방식으로 성형된다.The seat portion 100, the backrest portion 2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may be changed to other materials and are integrally mold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착좌부(10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허벅지의 일부가 안착되는 곳으로 선단부에 다수개의 통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04)은 공기의 순환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로 개구 된다.The seating portion 100 is a place where the user's buttocks and part of the thigh are seat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4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through holes 104 have a size as shown in the drawing for air circulation. is opened with

본 실시 예의 주요 구성중 하나에 해당되는 수평 유지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leveling uni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main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 예에 의한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선단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제1 수평 유지부(610)와,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우측에 형성된 제2 수평 유지부(620)를 포함한다.The leveling par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veling part 610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end, and a second leveling part 61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2 includes a leveling unit 620.

상기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전방에 형성되는데, 상기 위치에 형성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해 허리를 펴는 동작을 취할 때 좌측 또는 우측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바닥면이 상기 수평 유지부(600)와 수평 상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The horizontal holding part 600 is formed in front of the seating part 100. The reason why it is formed at this position is when the user takes a motion of stretching the waist to correct posture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art 100. This is to keep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veling unit 600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being eccentric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이와 같이 착좌부(100)가 특정 상태에서 수평이 유지될 경우 사용자가 좌식 의자를 사용하다가 몸을 등받이부(200)의 전방(착좌부 위치)으로 이동할 경우 무게 중심이 상기 착좌부(100)의 전방 위치로 가해지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seating portion 100 is maintained horizontally in a specific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body to the front of the backrest portion 200 (position of the seating portion) while using the sitting chai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ating portion 100 It is applied in an anterior position.

본 실시 예는 무게 중심이 착좌부(100)의 전방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수평 유지부(600)에 의해 수평 상태가 좌우측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even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seating part 100, the horizontal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leveling part 600, so that safety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an be improved. .

상기 제1,2 수평 유지부(610, 6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중이 착좌부(100)에 가해진 상태로 허벅지가 상기 착좌부(100)의 상면에서 바닥면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될 경우에 바닥면과 접한 상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흔들림 발생이 최소화 되고,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holding parts 610 and 620 extend horizontally in a predetermined section so that the user's body weight is applied to the seating portion 100, and the user's thighs rest on the seating portion 100.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maintained, vibration occurrence is minimize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즉 본 실시 예는 제1,2 수평 유지부(610, 620)가 착좌부(100)의 하면 중 허벅지가 위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거나 앞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착좌부(100)가 수평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몸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게 중심이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 방향으로 편심되는 현상이 예방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holding parts 610 and 620 ar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thigh is located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ating part 100, so that when the user moves or moves forward, the seating part 100 Since the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even when moving the body to the left or right, the phenomenon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in either direction to the left or right is prevented.

또한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자세를 바로잡고 허리를 세우는 동작을 취할 경우 좌우 위치에서 움직임이 최소화 되고 안정성이 향상되며 허리에 가해지는 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corrects his/her posture on the seating unit 100 and takes an action to straighten the waist, movements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re minimized, stability is improved, and an overhead feeling applied to the waist can be reduced.

특히 연세가 많은 노인의 경우 착좌부(100)에 앉거나 일어설 때 수평이 유지되어야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착좌부(100)의 좌측과 우측에서 수평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with a high age, stable use is possible only when the seating portion 100 is kept level when sitting or standing up, s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0 maintain a constant horizontal state to improve use stability. .

상기 제1,2 수평 유지부(610, 60)는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허벅지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허벅지 위치는 착좌부(1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착좌부(100)의 전방 좌측과 우측 위치에 해당된다.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holding parts 610 and 60 correspond to the thigh position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 The thigh position corresponds to the front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eating part 100 when viewing the seating part 100 from above.

상기 위치는 사용자가 좌식 의자에 앉은 상태를 기준으로 허벅지에 의한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위치에 해당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데 보다 유리해진다.The posi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thigh is concentrat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sitting on a legless chair, and thus becomes more advantageous in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에는 외측 가장 자리를 따라 보강 리브(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2)는 구적적인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Reinforcing ribs 2 are formed along outer edges of the backrest portion 2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and the reinforcing ribs 2 serve to reinforce quadrature stiffness.

참고로 착좌부(100)에는 보강 리브(2)가 미 형성된 상태로 연장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편안함을 유지하고 딱딱한 사용감을 줄이기 위해 미 형성된다.For reference, a reinforcing rib 2 extends to the seat portion 100 in an unformed state, which is unformed to maintain comfort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reduce a hard feeling of use.

제1 실시 예에 의한 구획 리브(50)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보강부(52)가 형성된다.A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on the partition rib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reinforce strength according to various movements of the user.

상기 제1 보강부(52)는 일 예로 다각의 허니컴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을 지지 분산시켜 내구성 향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parts 5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honeycomb and are arranged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and distribute stress generat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eating part 100 to improve durability and improve durability. Safety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특히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상기 착좌부(100)의 전, 후, 좌, 우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이 각 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된 후에 분산되어 최초 가해진 응력 대비 감소된 상태로 확산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the stress genera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at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user's use is transferr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ide and then dispersed to reduce the stress compared to the initially applied stress. It can be diffused into a state, so it can prevent deformation and breakag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통해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응력 및 하중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load is applied intensively through the user's hip, the aforementioned stress and load bearing capac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1 보강부(52)는 전술한 다각 형태 이외에도 원형 또는 타원 형태 또는 다각과 원형이 결합된 형태로도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may be changed to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or a combination of a polygon and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polygonal shape.

제1 보강부(52)는 상기 착좌부(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구획 리브(50)와 동일 높이로 돌출되어 있어 응력 및 집중 하중에 따른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10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at the same height as the partition rib 50, thereby reducing stress and The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ed load is stably maintained.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엉덩이 의 좌측과 우측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 보강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100)의 하면에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supports and reinforces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p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as shown in the draw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It is divided into each and arranged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user's movement occurs.

본 실시 예의 주요 구성중 하나에 해당되는 응력 지지부에 대해 설명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2 또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연결부(300)의 횡 방향에서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 상측으로 상기 등받이부(200)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세로 방향 하측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선단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2 or 5 to 6, the stress support par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to a certain thickn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and extend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ackrest part 200. It extends toward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s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00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부(200)의 후방으로 기대거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몸을 이동시킬 때 발생되는 응력을 후술할 지지부(500)와 함께 전달받아 이를 지지 분산하는 역활을 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relieves the stress generated when the user leans backward on the back part 200 or moves the body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art 100. It receives and distributes support for it.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일 예로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연결부(300)에서 세로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복수개가 횡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연장되고,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출 성형시에도 보다 쉽게 사출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the stress support parts 350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500, and the thickness is maintained constant, so even during injection molding Easier ejection possible.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단면을 잘라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진 웨이브 형태로 연장되므로 응력이 가해질 때 라운드진 곡률 부위에서 압축과 인장이 발생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횡 방향과 길이 방향에서 지지 분산 하게 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cuts the cross section and extends in a rounded wave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above, so when stress is applied, compression and tension are generated in the rounded curvature portion, and the user's load is applied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will distribute support in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종 방향 단면을 잘라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연결부(300)의 후면을 향해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00 when viewed from the side by cutting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일 예로 응력 지지부(350)는 세로 방향 중앙이 가장 깊게 홈이 형성되고,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얇아 진다.For example, in the stress support part 350, the deepes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pth of the groove becomes thinner towards the upper and lower ends.

본 실시 예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rotates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ortion 100, the backrest portion 200 extends from the back portion 200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300 to support the user's waist with different elastic forces.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support part 500 is formed.

이 경우 지지부(50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다양한 사용 조건에서 지지되고, 수평 유지부(600)에 의해 착좌부(100)의 하면이 평탄화 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waist and back are support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use by the support part 5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can be flattened by the leveling part 600,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together. .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지부(500)는 연장된 하측 단부가 상기 응력 지지부(350)의 세로 방향 측면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부(500)는 응력 지지부(350)와 함께 사용자가 좌식 의자를 사용하면서 가해진 응력 또는 비틀림을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서 탄성력으로 지지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된 응력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해 지지부(500)의 하측 단부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이격되어 응력 분산부(350)의 측면 중앙에 위치된다.The extended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stress support part 3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part 500, together with the stress support part 350, supports the stress or twist applied by the user while using the sitting chair with elastic force in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Supports and distributes the transmitted stress more efficiently In order to do thi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500 to the left and right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stress distribution part 350.

응력 분산부(350)는 지지부(500)에 전달된 하중의 일부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부(500)와 최단 거리로 이격된 좌측과 우측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 전달된 응력을 지지 분산시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지지력을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전달되는 반력이 지나치게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stress distribution unit 350 receives a portion of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upport unit 500 and transmits i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unit 500 by the shortest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and distributes the stress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by adjusting the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reducing the excessively strong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user's waist.

본 실시 예에 의한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좌우측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에서 연장된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된다.The stress support uni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tal length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omes shor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500 .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부(200)를 후방으로 기대거나, 좌우측 방향으로 허리를 움직이는 동작을 취할 경우 하중은 연결부(300)와 등받이부(200)에 주로 가해진다.When a user leans back on the backrest 200 while sitting on the seat 100 or moves his waist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ad is mainly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backrest 200.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하중이 주로 발생되는 위치에서 응력 지지부(350)의 세로 방향 길이를 길게 하고, 지지부(500)와 멀어질수록 세로 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전달된 하중에 의한 지지 분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tress support part 350 is lengthened at a position where the loa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s mainly generated, and the longitudinal length is shortened a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part 500 increases, thereby distributing support by the transmitted load.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실시 예에 의한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제1 구간(S1)에 연장된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2 구간(S2)에 연장 되며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상이한 간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지지부(354)를 포함한다.The stress support part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extending in the first section S1 based on the support part 500 and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 and includes a second stress support portion 354 extending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extending at a different interval from the first stress support portion 352.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제1,2 응력 지지부(352, 354)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연장됨으로써 하중이 가해질 경우 가기 서로 다른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tress supports 352 and 354 extend at different intervals, so that when a load is applied, they can be supported with different supporting forces.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곡률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응력 지지부(354)는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간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는 주로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에 하중을 가하거나, 착좌부(100)에서 선택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일정한 각도 이내에서 몸을 선택적으로 이동하거나 움직일 때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first stress supporting portion 352 extends with the same curvature as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nd the second stress supporting portion 354 extends at a relatively shorter interval than the first stress supporting portion 352 .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is mainly generated when the user applies a load to the backrest part 200 or selectively moves or moves the body within a certain angle toward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ating part 100. formed to support the load.

그리고 상기 제2 응력 지지부(354)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몸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향해 일정 각도 이상 이동하거나 움직일 때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제2 응력 지지부(354)의 배치 간격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불필요하게 반력이 크게 작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압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다양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tress support part 354 is formed to support a load generated when the user moves or moves his or her body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on the seating part 100 by more than a certain angle, and the second stress support part 354 ) stably supports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arrangement interval, and the unnecessarily large reaction force does not press the user's back and waist, so that even when the user moves in various ways on the seating portion 100, the user's satisfaction is high. It improves.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좌식 의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functional legless ch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9 , in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rotates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ortion 100, the backrest portion 200 supports the user's waist with different elastic forces.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500 extending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formed.

이 경우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가 후술할 지지부(500)를 매개로 듀얼 형태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configured in a divided form in a dual form via a support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이 경우 지지부(50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다양한 사용 조건에서 지지되고, 수평 유지부(600)에 의해 착좌부(100)의 하면이 평탄화 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waist and back are support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use by the support part 5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can be flattened by the leveling part 600,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together. .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각각 동일 크기를 갖고 분할되어 있어 상기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have the same size and are divided by the support part 500, they can be supported with different strength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back and hip.

즉 기능성 좌식 의자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지지부(500)에 의해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동일 크기로 분할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 전체와 엉덩이에 대해 좌우측 위치에서의 선택적인 지지력이 향상된다.That is, when the functional sitting chair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divided into the same siz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support part 500, so that the user's entire waist and hip are 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Selective support is improved.

예를 들어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분할되지 않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일측에 가해진 하중이 이웃한 타측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허리 또는 엉덩이에 불필요한 반력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되어 압력 상승으로 인한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있어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된다.For example, i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not divided, the load appli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is transferred to the other adjacent side, and unnecessary reaction force is excessively applied to the user's waist or hip. Pain may be caused due to pressure increase, but in this embodiment,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divided independently, so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00)와 등받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에서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된다.The support par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backrest part 200 from the front center position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 300) extend to different lengths, respectively.

상기 지지부(500)가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등과 엉덩이를 기댄 상태로 후방으로 기댈 경우 상기 등과 엉덩이의 위치에 따른 압박이 최소한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통증 또는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why the support part 500 extends to different lengths like this is that when the user leans backward with his back and buttocks against the back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ck and hip is minimized. This is to reduce pain or discomfort applied to the lower back by maintaining it.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등과 엉덩이에 느끼는 반발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아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된다.Through this, the repulsive force that the user feels on the back and buttocks does not act strongly, allowing users to use it more comfortably,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본 실시 예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가 후술할 지지부(500)를 매개로 듀얼 형태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configured in a dual form divided by the medium of the support part 500 to be described later.

특히 본 실시 예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일부 구간에 걸쳐 지지부(500)가 길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등받이부(200)에 기댄 상태로 움직이거나, 상기 등받이부(200)를 후방으로 미는 움직임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등에 가해지는 반력이 짧게 연장된 경우 보다 강하게 가해지지 않게 되어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500 extends long over a part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ng part 300, so that the user moves while leaning on the backrest part 200, or the backrest part 200 Even when a backward pushing movement occurs, the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user's back is not applied more strongly than when it is extended short, so that more comfort can be felt.

또한 지지부(500)가 등받이부(200)의 일부 구간에만 연장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될 경우 사용자의 허리 및 엉덩이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art 500 is extended as shown in the drawing instead of extending only in a part of the backrest part 200, the support for the user's waist and hip is improved.

본 실시 예는 일 예로 등받이부(200)에 형성된 지지부(500)의 길이가 상기 연결부(300)에 형성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지지부(500)의 길이는 등받이부(200) 대비 상기 연결부(300)의 길이가 10% 짧게 연장된다.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since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500 formed on the backrest part 200 is extend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formed on the connection part 300, the support force for the user's waist is further improved.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500 is 10%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300 compared to the backrest part 200.

지지부(500)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아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접촉한 후에 후방을 향해 기댈 경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 및 지지부(500)가 기댄 방향의 반대 방향(전방)으로 소정의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상기 지지력은 지지부(500)에 의해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서 동시에 발생된다. When a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and leans backwards after contacting the back part 200 with his/her waist, the back part 200,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support part 500 ar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eaning direction. A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forward) is generated. The supporting forc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by the support part 500 .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에서부터 상기 지지부(500)의 세로 방향에서 개구된 개구부(5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02)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500 is formed with an opening 502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500 from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502 is changed to another form in addition to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s. It can be.

지지부(500)가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에서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므로 개구부(502) 또한 세로 방향에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Since the support part 50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502 is also formed in a form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지부(500)는 연장된 전체 길이를 L이라 할 때 상기 개구부(502)의 폭 방향 길이는 L/2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된다.When the total length of the support part 500 is L, the length of the opening 502 in the width direction is L/2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00. Increased.

상기 지지부(500)는 등받이부(20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지지력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위와 같이 폭 방향 길이가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과 하측 단부로 갈수록 증가된다.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500 in the width direction increases towar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ckrest part 200 in order to support the user's back with different supporting forc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part 200 .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폭 방향 길이는 지지부(500)의 지지력과 상관 관계를 갖고 있으며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착자부(100)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기대거나 숙일 때 또는 좌우 방향으로 몸을 이동할 때 허리와 엉덩이 일부 위치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조절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in the width direction has a correlation with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upport part 500. When moving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ad applied to the waist can be optimally adjusted by adjusting the support force applied to some positions of the waist and hips.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개구부(502)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낮아진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part 500 decreases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the opening part 502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00 .

여기서 지지력은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의미하고, 강성도(stiffness)와 연관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계수는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비례 상수로 작을수록 상기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가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감소하여 강한 반발력으로 허리에 부담을 가하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만족도가 향상된다.Here, the bearing capacity means the elastic modulus and has a relationship with stiffness.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a proportional constant that resists elastic deformation, and as it is smaller, the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user's waist by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is reduced, so that the user is more comfortable because the burden is not applied to the waist with a strong repulsive force. Satisfaction is improved by using it.

본 실시 예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의 전체에서 탄성계수가 낮아지지 않고 지지부(500)의 전체 길이(L) 중 L/2위치에서 전술한 지지부(500)의 상측 단부와 연결부(300)의 하측 단부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과도하게 가해지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과 만족도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not lowered in the entirety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500 and the connection part described above at the L/2 position of the total length (L) of the support part 500. It is configured to decreas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300, so that the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user's waist is stably maintained and not excessively applied, so that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are improved.

상기 지지부(500)는 지지력이 L/2위치에서 가장 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허리가 등받이부(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한 지지력의 세기가 강하게 작용하고, 연결부(300)를 경유하여 착좌부(100)로 갈수록 지지력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감소되도록 작용한다. Since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part 500 is maintained at the strongest at the L/2 position, the strength of the support force toward the front acts strongly when the user's waist is in contact with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seat is seated via the connection part 300. As the part 100 goes, the supporting force decreases, so that the force pushing the user's waist forward decreases.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허리를 후방으로 기대지 않거나 기댈 경우 기대는 정도에 따라 지지력이 변화되어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or leans his or her back backwards, the supporting for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ning,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back can be stably adjusted.

특히 사용자의 요추 부분은 지지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고 허리에서 엉덩이의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감소되므로 장시간 앉아 있는 자세가 유지될 때 불필요한 통증을 유발하지 않아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s lumbar region does not have a strong supporting force and decreases from the waist to the lower part of the hip, so when a sitting pos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t does not cause unnecessary pain and can be used more comfortably.

본 실시 예에 의한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동일 두께로 연장되므로 두께 변화로 인한 강도 및 지지력의 변화가 최소화 되고 무게도 감소된다.Since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extended to the same thickness, changes in strength and bearing capacity due to a change in thickness are minimized and weight is reduced.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라운드 부(5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510)와,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라운드 부(52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520)와,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홈 형태의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50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510 formed in the left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including a first round part 51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 second support part 520 formed in the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rest part 200 facing the support part 510 and including a second round part 52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t includes a groove-shaped third support part 53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two support parts 510 and 520 and having a third round part 53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1 지지부(510)는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520)는 등받이부(200)의 정면 중앙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접촉한 후에 후방으로 기댈 경우 소정의 지지력으로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51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center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2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center of the backrest part 200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ing part 100. When leaning backward after contacting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in a sitting state, the waist and hips of the user can be supported with a predetermined support force.

상기 제1 지지부(510)의 제1 라운드 부(512)는 등받이부(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연장된 연결부(30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라운드 부(512)는 단면을 잘라서 바라볼 때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기대는 자세를 취할 경우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지지 분산하여 내구성 항상과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round part 512 of the first support part 510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backrest part 200 to the connecting part 300 extending to the left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round portion 512 is formed in either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cross-section is cut and viewed, and supports and distributes the stress applied when the user takes a leaning posture, thereby providing durability and durability.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상기 제2 라운드 부(522)는 전술한 제1 라운드 부(512)와 함께 등받이부(2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우측으로 연장된 연결부(300)까지 연장된다.The second round part 522 along with the first round part 512 described above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backrest part 200 to the connecting part 300 extending to the right.

또한 제2 라운드 부(522)는 원형 또는 타원형태 중에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응력(stress)을 지지 분산하여 내구성 항상과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und portion 522 is formed in either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thereby supporting and distributing stress to minimize durability and stress concentration,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연결부(300)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와 연장된 부분이 라운드 진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를 통해 제3 지지부(530)로 전달되는 응력을 지지 분산시킬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53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510 and 520 and the extended portion are connected in a round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5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und shape. Stress transmitted to the third support portion 530 through the support portions 510 and 520 may be supported and dispersed.

상기 제3 지지부(530)는 홈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53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but may be changed into other shapes.

제3 지지부(530)는 제1,2 지지부(510, 52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된 반력 및 비틀림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기 위해 제3 라운드 부(532)가 가로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다양하게 사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530 has a third round part 532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stably receive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510 and 520 and the stress generated by torsion. It can stably support the stres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various uses.

상기 제3 지지부(530)는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아서 상기 등받이부(200)에 허리를 기댈 경우 엉치뼈(H)의 상측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상기 연결부(30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The third support part 530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0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acrum H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and leans his back against the backrest part 200 do.

상기 위치까지 제3 지지부(530)가 연장되는 이유는 장시간 앉아 있는 사용자의 엉치뼈(H)에서 발생 가능한 통증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third support part 530 extends to the above position is to minimize pain that may occur in the sacrum H of a user who sits for a long time, and through this,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엉덩이는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엉덩이와 허리 및 등의 일부는 등받이부(200)와 연결부(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ortion 100, the hip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the hip, waist, and parts of the back are supported by the backrest portion 2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maintain.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엉치뼈(H)는 연결부(300)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3 지지부(530)가 엉치뼈(H) 근처와 근접된 위치에 위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되거나 허리를 후방으로 기댈 경우에 허리의 좌우측이 들뜨지 않고 지지하여 엉치뼈(H)에 가해지는 통증 또는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s sacrum (H) is located on the connection part 300, and the third support part 530 is loc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acrum (H), so that movement occurs while the user is sitting or when the waist is leaned back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ist are supported without being lifted, so that the pain applied to the sacrum (H) or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waist can be reduced.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3 라운드 부(532)와 연결되어 후면 영역을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획 리브(50)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 리브(50)는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연결부(300)의 후면 영역에서 중앙 위치에 위치된다.The seating portion 1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are connected to the third round portion 532 and are provided with partitioning ribs 50 protruding outwardly to independently partition left and right rear areas. 50 is located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rear area of the seating portion 1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착좌부(10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선단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를 갖고 연장된 중앙부(110)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1 라운드 부(122)가 형성된 제1 측부(120)와,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2 라운드 부(132)가 형성된 제2 측부(130)를 포함한다.10 and 11, the seating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0 extending in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above,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 first side part 120 having a first round part 122 extending to a width of and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art. and a second side part 130 having a second round part 132 ext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상기 중앙부(110)는 일 예로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11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 측부(120)와 제2 측부(130)는 사용자의 허벅지가 위치되는 곳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수평 상태로 연장되다가 각각 가장 자리위치에서 라운드진 형태로 연장되므로 사용자의 하벅지 하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The first side 120 and the second side 130 are where the user's thigh is locat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ends extend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n extend in a rounded shape at the edge posi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s lower body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of the buck is increased, so the user can feel more comfortable.

또한 제1,2 측부(120, 130)와 사용자의 허벅지가 서로 간에 접촉 면적이 증가될 경우에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120 and 130 and the user's thigh increases, the bearing capacity can be improved.

상기 제1, 2 라운드 부(122, 132)는 상기 착좌부(100)의 선단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반경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된다.The first and second round parts 122 and 132 have radii shown in the drawing and extend downward to preven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art 100 from pressing the thigh of the user.

상기 착좌부(100)가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장시간 앉아 있거나 좌우측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도 허벅지의 하측에서 누르는 압박감이 감소될 수 있어 착좌감이 향상되고 보다 편안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When the seating portion 100 is formed in this way, even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ortion 100 for a long time or applies a lo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eeling of pressure press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thigh can be reduced, resulting in improved seating comfort and more comfortable seating. you can feel the feeling

상기 착좌부(100)는 선단부에 다수개의 통공(104)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통공(104) 중 상기 제1,2 측부(120, 130) 위치에서는 상기 제1,2 측부(120, 130)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다.The seat portion 10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4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120 and 130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4,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120 and 130 ) is placed along the outer side of

상기 통공(104)은 공기 순환을 위한 목적과 함께 후술할 패드부(400)의 부착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The through hole 104 is disposed at a pos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for the purpose of air circulation and for attaching a pad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통공(104)은 일 예로 제1,2 측부(120, 130) 위치에서 착좌부(100)의 후방이 아닌 전방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패드부(400)가 안정적으로 착좌부(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rough hole 104 is dispos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seating portion 100 rather than the rear at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120 and 130 so that the pad portion 400 can stably maintain the seating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의한 구획 리브(50)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해 제1 보강부(5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2, a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in the partition rib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reinforce strength according to various movements of the user.

상기 제1 보강부(52)는 일 예로 다각의 허니컴 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착좌부(100)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을 지지 분산시켜 내구성 향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parts 5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honeycomb and are arranged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user can support and distribute stress generat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seating part 100 to improve durability and improve durability. Safety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특히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상기 착좌부(100)의 전, 후, 좌, 우 방향에서 발생된 응력이 각 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된 후에 분산되어 최초 가해진 응력 대비 감소된 상태로 확산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the stress genera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at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user's use is transferr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ide and then dispersed to reduce the stress compared to the initially applied stress. Since it can spread in a state, it can prevent deformation and breakag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통해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응력 및 하중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load is applied intensively through the user's hip, the aforementioned stress and load bearing capac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1 보강부(52)는 전술한 다각 형태 이외에도 원형 또는 타원 형태 또는 다각과 원형이 결합된 형태로도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may be changed to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or a combination of a polygon and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polygonal shape.

제1 보강부(52)는 상기 착좌부(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구획 리브(50)와 동일 높이로 돌출되어 있어 응력 및 집중 하중에 따른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10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at the same height as the partition rib 50, thereby reducing stress and The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ed load is stably maintained.

상기 제1 보강부(52)는 사용자가 착좌부(100)에 앉을 경우 엉덩이 의 좌측과 우측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 보강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100)의 하면에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art 52 supports and reinforces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p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ing part 100, as shown in the draw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It is divided into each and arranged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user's movement occurs.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의한 패드부(400)는 상기 착좌부(100)에 부착되는 제1 패드부(41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제2 패드부(420)를 포함한다.13 to 16, the pad part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d part 410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00 and a pad part 410 attached to the backrest part 200. A second pad part 420 is included.

상기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선단부에 부분 삽입되고, 제1 밸크로(411)가 형성된 커버부(412)와, 상기 제1 패드부(410)의 후단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500)를 경유한 타단에 상기 제1 밸크로(4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제2 밸크로(413)가 형성된 띠 형태의 밴드부(414)를 포함한다.The first pad part 41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art 100, the cover part 412 on which the first Velcro 411 is formed, and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pad part 410. It includes a band part 414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hereto and a second Velcro 413 formed so as to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411 at the other end via the support part 500.

제1 패드부(410)는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이 커버부(412)에 의해 부분 삽입되고 상면은 쿠션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의 하면과 접촉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d part 410 is partially inserted by the cover part 412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 cushion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s hip.

밴드부(414)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밴드가 사용되므로 착좌부(100)에 제1 패드부(410)를 설치할 때 제1 밸크로(411)에 제2 밸크로(413)가 부착될 경우 커버부(412)의 선단부를 연결부(300)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상기 커버부(412)기 착좌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Since the band part 414 uses an elastic band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first pad part 410 is installed on the seating part 100, when the second Velcro 413 is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411, the cover The distal end of the part 412 is pulled toward the connection part 300 so that the cover part 412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coupled state is stably maintained.

전술한 구획 리브(50)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착좌부(100)와 등받이부(200) 및 연결부(300)에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밴드부(414)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above-described partition rib 5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100, the backrest portion 2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and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band portion 414 is inserted.

상기 밴드부(414)는 주로 천 재질이 사용되고, 사용자가 장기간 좌식 의자를 사용할 경우 마찰에 의해 마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예방되도록 구획 리브(50)에 삽입되므로 마모로 인한 문제점이 방지된다.The band portion 414 is mainly made of a cloth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partition rib 50 to prevent abrasion caused by friction when a user uses the chai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preventing abrasion problems.

상기 제2 패드부(420)는 등받이부(200)의 전면에 탈부착 되며 일 예로 상기 제2 패드부(420)의 후면과 상기 등받이부(200)의 전면에 형성된 밸크로를 통해 서로 간에 부착된다. 제2 패드부(420)는 제1 패드부(410)와 함께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와 접촉되어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second pad part 42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for example, is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a Velcro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ad part 4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200. . The second pad part 4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and back together with the first pad part 410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구획 리브
100 : 착좌부
200 : 등받이부
300 : 연결부
400 : 패드부
410, 420 : 제1,2 패드부
500 : 지지부
502 : 개구부
510 : 제1 지지부
520 : 제2 지지부
530 : 제3 지지부
600 : 수평 유지부
610, 620 : 제1,2 수평 유지부
50: compartment rib
100: Seating unit
200: backrest
300: connection part
400: pad part
410, 420: first and second pad parts
500: support
502: opening
510: first support
520: second support
530: third support
600: leveling unit
610, 620: first and second leveling units

Claims (13)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안착되는 착좌부(100);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이 수용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하기 위한 응력 지지부(350);
상기 착좌부(10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패드부(400); 및
상기 착좌부(100)에 상기 사용자가 앉을 경우에 바닥면과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 유지부(600)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 seating portion 100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nd thighs are seated;
a backrest portion 200 accommodating the user's waist and back;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backrest part 200;
a stress support unit 350 for supporting and distributing a load applied to the backrest unit 200 by the user;
a pad part 400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00 and the backrest part 200; and
A functional sitting chair including a leveling part 60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so that the seat part 100 remains level with the floor surface when the user sits on 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선단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제1 수평 유지부(610);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 우측에 형성된 제2 수평 유지부(620)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holding part 60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holding part 610 form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Functional sitting chair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holding part 620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600)는 상기 착좌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holding part (600) is a functional sit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ating part (10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10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선단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를 갖고 연장된 중앙부(110);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상기 착좌부(100)의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1 라운드 부(122)가 형성된 제1 측부(120);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하면을 향해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 제2 라운드 부(132)가 형성된 제2 측부(130)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1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0 extending in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a first side portion 120 having a first round portion 12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0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unctional chair comprising a second side portion 130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second round portion 132 formed with a front end ext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the lower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연결부(300)의 횡 방향에서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세로 방향 상측으로 상기 등받이부(200)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세로 방향 하측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선단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ss support part 350 extends to a certain thickn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extends up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ackrest par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nection part 300 A functional legless chai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end of th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단면을 잘라서 상부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진 웨이브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ss support portion 350 is a functional sit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cut and extended in a round wave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연결부(300)는 일체로 연장된 싱글 형태로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rest par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300 are functional sitting chairs that support the waist and back of the user in the form of a single body extending integr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100)에 앉은 상태로 회전을 실시할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서로 다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200)에서 상기 연결부(300)를 향해 연장된 지지부(500)가 형성된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art 500 extending from the backrest part 200 toward the connection part 300 to support the user's waist with different elastic forces when the user rotates while sitting on the seating part 100 A functional legless chair with 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라운드 부(5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510);
상기 제1 지지부(51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우측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2 라운드 부(522)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520);
상기 제1,2 지지부(510, 520)의 좌우 하측 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로 제3 라운드 부(532)가 형성된 홈 형태의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part 50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5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200 and including a first round part 51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 second support portion 5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200 fac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510 and including a second round portion 52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unctional sitting chair including a groove-shaped third support portion 53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510 and 520 and having a third round portion 532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좌우측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에서 연장된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8,
The stress support part 350 is a functional sitt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omes short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50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지지부(350)는 상기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제1 구간(S1)에 연장된 제1 응력 지지부(352);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2 구간(S2)에 연장 되며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와 상이한 간격으로 연장된 제2 응력 지지부(354)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8,
The stress support part 350 includes a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extending in the first section S1 based on the support part 500;
Functional sitting chair including a second stress support part 35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extending to the second section S2, and extending at a different interval from the first stress support part 352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력 지지부(354)는 상기 제1 응력 지지부(35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간격으로 연장된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1,
The second stress support portion 354 is a functional chair that extends at a relatively shorter interval than the first stress support portion 35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400)는 상기 착좌부(100)에 부착되는 제1 패드부(410);
상기 등받이부(200)에 부착되는 제2 패드부(420)를 포함하는 기능성 좌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part 400 includes a first pad part 410 attached to the seating part 100;
A functional sitting chair including a second pad part 420 attached to the backrest part 200.

KR1020210117152A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5888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59 2021-08-13
KR20210107459 202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300A true KR20230025300A (en) 2023-02-21
KR102588833B1 KR102588833B1 (en) 2023-10-16

Family

ID=851999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52A KR102588833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0210117151A KR102661446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0210117150A KR102588832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0210117163A KR102588834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51A KR102661446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0210117150A KR102588832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KR1020210117163A KR102588834B1 (en) 2021-08-13 2021-09-02 Functional seat ch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2588833B1 (en)
WO (1) WO2023017996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en)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Handle for doors or hinged flaps of vehicles
US20120181840A1 (en) * 2011-01-14 2012-07-19 Massimo Angelo Leone Integral coccyx and lumbar support system
JP3196468U (en) * 2014-12-26 2015-03-12 信豪健康器材股▲ふん▼有限公司 Sitting posture assist device
KR200493915Y1 (en) *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Sitting chai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356A (en) * 1988-07-27 1990-01-09 Chromcraft Furniture Corp. Chair shell
JP3196468B2 (en) * 1993-12-27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383823Y1 (en) * 2005-02-04 2005-05-10 김해영 Ischium safe arrival type mat for chair and ischium safe arrival type chair
KR102433495B1 (en) * 2013-11-29 2022-08-18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osture holder
KR101815183B1 (en) * 2016-12-28 2018-01-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Cushion for disc prevention
KR102163201B1 (en)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Functional chair
KR102286614B1 (en) * 2021-01-21 2021-08-11 주식회사 이랜시스 Chair for Posture Correcting Having Posture Correcting Bu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en)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Handle for doors or hinged flaps of vehicles
US20120181840A1 (en) * 2011-01-14 2012-07-19 Massimo Angelo Leone Integral coccyx and lumbar support system
JP3196468U (en) * 2014-12-26 2015-03-12 信豪健康器材股▲ふん▼有限公司 Sitting posture assist device
KR200493915Y1 (en) *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Sitting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833B1 (en) 2023-10-16
KR20230025299A (en) 2023-02-21
WO2023017996A1 (en) 2023-02-16
KR20230025301A (en) 2023-02-21
KR102588834B1 (en) 2023-10-16
KR102661446B1 (en) 2024-04-29
KR102588832B1 (en) 2023-10-16
KR20230025298A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en) posture holder
KR102163201B1 (en) Functional chair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KR200493915Y1 (en) Sitting chair
KR102353586B1 (en) A Functional Legless Chair
KR100772167B1 (en) A chair having backrest
JP2000093250A (en) Body support device such as chair
KR200422122Y1 (en) Backplate for chair
US11832734B2 (en) Chair
KR20230025300A (en) Functional seat chair
KR102310862B1 (en) Legless chair
JP2013123453A (en) Curvature changing mechanism of body support structure for chair
KR102597324B1 (en) A chair consisting of a seat with a backrest capable of correcting the spine.
JP3123499U (en) Chair posture correction auxiliary mat
KR200351308Y1 (en) A vertebra correction cushion
KR200314743Y1 (en) Seat board of chair and a student chair using thereof
KR200327969Y1 (en) Chair having an elastic parts for the back thereof
KR102482778B1 (en) Back cushion for seat
KR102506195B1 (en)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74254B1 (en) Backrest frame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with elastic three-dimensional support structure
KR20220143534A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20230164402A (en) Thigh Supporter for Seat Appliance
KR200277733Y1 (en) Finger-pressure type chair
JP2024027861A (en) chair
KR200385449Y1 (en) Backplate fo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