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86A -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86A
KR20230025186A KR1020210107406A KR20210107406A KR20230025186A KR 20230025186 A KR20230025186 A KR 20230025186A KR 1020210107406 A KR1020210107406 A KR 1020210107406A KR 20210107406 A KR20210107406 A KR 20210107406A KR 20230025186 A KR20230025186 A KR 2023002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ttery
voltage
processor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0031B1 (en
Inventor
양승학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31B1/en
Publication of KR2023002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that separates a battery cell with high internal resistance from a battery module and connect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cel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The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mo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 test circuit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battery cell; a power pac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and a processor that separates the battery cell from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identified by the test circuit and connects the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Description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본 발명은 내부저항이 높은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에서 분리시키고 해당 배터리 셀의 셀 전압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배터리 모듈에 연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from a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a cell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은 계통(grid)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부하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a system that converts AC electricity supplied from a grid into DC electricity, stores it in a battery, and provides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to a load as needed.

ESS에 포함된 배터리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ESS는 배터리 랙(battery rack)을 포함하는데, 배터리 랙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로 구성되고, 배터리 모듈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로 구성된다.A battery included in the ESS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pecifically, the ESS includes a battery rack. The battery ra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the battery modu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한편, 최근 ESS 화재 사고의 주 원인으로는 배터리에 국부 과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시작되고, 전체 시스템으로 번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음극과 양극 간에 절연이 파괴되면서 단락(short)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의 손상, 양극 및 음극 소재와 극판의 불량 접합에 따른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증가 역시 충방전시 비정상적인 열을 발생시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ain cause of recent ESS fire accidents is that local overheating of the battery causes a fire to start and spread to the entire system. For example, when an overvoltage is applied to a battery cell, insulation is destroyed between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resulting in a short circuit, which may cause a fire. In addition, even if overvoltage is not applied, damage to the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cathode and anode, and the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due to poor bonding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materials and the electrode plate may also generate abnormal heat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which may cause a fire. .

특히,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상승은 충방전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을 발생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ESS의 상시 사용 중에 배터리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식별하고 내부저항이 높은 배터리 셀을 전체 배터리의 구성에서 배재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ell generates Joule's heat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current, which not only shortens the lifespan of the battery, but also can lead to a fire accid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exclude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entire battery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셀 각각의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battery cell.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에 따라 해당 베터리 셀과 다른 배터리 셀 간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rresponding battery cell and another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서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배터리 모듈에 연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a battery cell separated from a battery module to a battery modul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 각각의 배터리 셀 양단에 연결되는 시험회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독립전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연결되는 전원팩 및 상기 시험회로를 통해 식별된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 test circuit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battery cell, and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connected in series. The battery cell is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pack configure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test circuit, and an independent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battery cel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or for connecting power to the battery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회로는 시험저항, 상기 시험저항과 상기 배터리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시험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전류센서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과 병렬 연결되는 전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st circuit includes a test resistor,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test resistor and one end of the battery cell,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and a current sens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est resistor. and a voltage sens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험회로와 상기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전후로 발생하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 변화와 상기 시험회로에 흐르는 시험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selectively connects the test circuit and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ell based on a voltage change across the battery cell occurring before and after the test circuit is connected and a te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st circuit. Characterized in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전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과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후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의 차를 상기 시험전류로 나누어 상기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by dividing a difference between a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before the test circuit is connected and a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after the test circuit is connected, by the test curr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과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의 차를,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시험전류로 나누어 상기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is identified by dividing by the test current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 is turned on and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저항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separate the battery cell from the battery module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저항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turn on the second switch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개수에 대응하는 셀 전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셀 전압에 대응하는 개수의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identifies the number of separated battery cells, identifies cell voltag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number, and connects independent power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ell voltages to the battery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독립전원 각각은 스위치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hrough a switch.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switch to connect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셀 각각의 내부저항을 식별함으로써, 각 배터리 셀의 화재 위험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fire risk of each battery cell by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battery cell.

또한, 본 발명은 내부저항이 높은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상승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risk of fire due to an increas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by separating the battery cell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battery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서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배터리 모듈에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ESS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entir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by connect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a battery cell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to the battery module, thereby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ES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배터리 셀의 등가 회로도.
도 3은 배터리 모듈의 등가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배터리 모듈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회로가 배터리 셀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회로가 배터리 모듈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배터리 셀이 충전 또는 방전될 때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배터리 모듈로부터 특정 배터리 셀의 연결을 끊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로의 등가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팩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원팩이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배터리 모듈로부터 특정 배터리 셀이 분리되는 대신 독립전원이 배터리 모듈에 접속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cell.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module;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how the battery module is charged or discharged.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attery cell.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ell when the battery cell is charged or discharge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connection of a specific battery cell from a battery module;
Fig. 11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ircuit shown in Fig. 10;
1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how the power pack shown in FIG. 12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dependent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instead of a specific battery cell being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and / or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A, B or A and B, and when "C to D", it means a special opposit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more than C and less than D

본 발명은 내부저항이 높은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에서 분리시키고 해당 배터리 셀의 셀 전압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배터리 모듈에 연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from a battery module and connect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a cell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Hereinafter, a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배터리 셀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배터리 모듈의 등가 회로도이다.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cell, and FIG.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module.

도 4 및 도 5는 배터리 모듈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how the battery module is charged or discharg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회로가 배터리 셀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회로가 배터리 모듈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attery cell,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st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도 8 및 도 9는 배터리 셀이 충전 또는 방전될 때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ell when the battery cell is charged or discharged.

도 10은 배터리 모듈로부터 특정 배터리 셀의 연결을 끊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로의 등가 회로도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connection of a specific battery cell from a battery module, and FIG. 11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circuit shown in FIG. 10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원팩이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power pack shown in FIG. 12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도 14는 배터리 모듈로부터 특정 배터리 셀이 분리되는 대신 독립전원이 배터리 모듈에 접속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dependent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instead of a specific battery cell being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1)는 배터리 모듈(10), 시험회로(20), 전원팩(30), 프로세서(40), 그리고 프로세서(40)의 동작을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module 10, a test circuit 20, a power pack 30, a processor 40, and a processor 40. )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the operation of. However, th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1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are added or changed as needed. or can be deleted.

배터리 모듈(10)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1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11)은 이차전지에 이용되는 것으로 충방전되는 전압원(Vb)과 내부저항(Rs)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onnected in series. Here, the battery cell 11 is used for a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composed of a voltage source (Vb)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n internal resistance (Rs).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11)은 전압원(Vb)과 내부저항(Rs)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등가화될 수 있다. 이 때, 전압원(Vb)은 충방전이 가능한 회로 요소이므로 커패시터로 도시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셀(11)에 포함된 전압원을 셀 전압(Vb)으로 지칭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battery cell 11 may be equivalent to a circuit in which a voltage source Vb and an internal resistance Rs are connected in series. At this time, since the voltage source Vb is a circuit element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t may be illustrated as a capacito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oltage source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11 will be referred to as a cell voltage Vb.

이와 같은 배터리 셀(11)은 복수개가 직렬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uch battery cells 11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configure the battery module 10 .

도 3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배터리 셀(11)은 60개의 배터리 셀(11)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터리 셀(11)은 셀 전압(Vb)과 내부저항(Rs)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n example, the battery cell 11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60 battery cells 11 in series. As described in FIG. 2 , each battery cell 11 may include a cell voltage Vb and an internal resistance Rs.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10)은 충방전회로(100)와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은 충방전회로(100)와 연결될 수 있고, 충방전회로(100)의 전압 크기에 따라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다.Such a battery module 10 may be charged or dis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100 .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module 10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and may be charged o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터리 셀(11)은 3.7[V]의 셀 전압(Vb)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 모듈(10)은 충방전회로(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충방전회로(100)는 충방전전압(Vs)과 충방전저항(RL)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충방전저항(RL)은 충방전회로(100) 내부의 저항으로, 충방전손실을 나타내기 위한 회로 요소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each battery cell 11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may have a cell voltage Vb of 3.7 [V], and the battery module 10 includes a charge/discharge circuit. (100) can be connected. Meanwhile,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includes a charge/discharge voltage (Vs) and a charge/discharge resistance (R L ), where the charge/discharge resistance (R L ) is an internal resistance of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and a charge/discharge loss. It may be a circuit element for representing.

3.7[V]의 셀 전압(Vb)을 가진 배터리 셀(11)이 60개 연결되므로 배터리 모듈(10)의 전압은 222[V]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전압(Vs)이 배터리 모듈(10)의 전압보다 큰 228[V]인 경우 배터리 모듈(10) 쪽으로 전류가 흘러 배터리 모듈(10)이 충전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전압(Vs)이 배터리 모듈(10)의 전압보다 작은 216[V]인 경우 충방전회로(100) 쪽으로 전류가 흘러 배터리 모듈(10)이 방전될 수 있다.Since 60 battery cells 11 having a cell voltage Vb of 3.7 [V] are connected,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is 222 [V], and as shown in FIG.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is 228 [V], current flows toward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battery module 10 can be charg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charge/discharge voltage (Vs) is 216 [V] smaller than th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current flows toward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and the battery module 10 is discharged. can

전술한 방법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11)은 충방전될 수 있다. 이 때, 내부 및/또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특정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이 상승하는 경우, 충방전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하고, 발열량이 큰 경우 해당 배터리 셀(11)에서 화재가 시작되어 배터리 모듈(10), 나아가 이를 포함하는 ESS 전체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each battery cell 11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may be charged and discharged. At this time,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specific battery cell 11 increases due to internal and / or external factors, Joule's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urrent, and when the heating value is large,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 A fire may start in 11) and cause a fire in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entire ESS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10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험회로(20)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모니터링하고, 내부저항(Rs)이 높은 배터리 셀(11)의 연결을 끊음으로써 내부저항(Rs) 상승으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using the test circuit 20, and disconnects the battery cell 11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Rs) to internal resistance (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caused by an increase in resistance (Rs)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시험회로(20)는 각각의 배터리 셀(11) 양단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40)는 시험회로(20)와 배터리 셀(11)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회로(20)는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셀(11) 양단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40)는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시험회로(20)와 배터리 셀(11)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킬 수 있다.The test circuit 2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battery cell 11 , and the processor 40 may selectively connect the test circuit 20 and the battery cell 11 . More specifically, the test circuit 2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through a switch, and the processor 40 electrically connects or connects the test circuit 20 and the battery cell 11 by controlling the switch. can be released

도 6을 참조하면, 시험회로(20)는 배터리 셀(11)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시험회로(20)는 시험저항(Rt), 시험저항(Rt)과 배터리 셀(11)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S1), 배터리 셀(11)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는 제2 스위치(S2), 시험저항(Rt)과 직렬 연결되는 전류센서(A) 및 배터리 셀(11)의 양단과 병렬 연결되는 전압센서(V)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시험회로(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est circuit 2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 The test circuit 20 includes a test resistance Rt, a first switch S1 connecting the test resistance Rt and one end of the battery cell 11, 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 S2), a current sensor A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est resistance Rt, and a voltage sensor V connected in parallel with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However, the test circuit 20 shown in FIG. 6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can

한편, 도 6에서는 시험회로(20)가 어느 한 배터리 셀(11) 양단에 연결된 모습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시험회로(20)는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모든 배터리 셀(11)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주로 단일의 시험회로(20)만을 도시하여 설명하나, 후술되는 동작은 각각의 배터리 셀(11)에 연결된 모든 시험회로(2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Meanwhile, in FIG. 6, only a state in which the test circuit 2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any one battery cell 11 is shown,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st circuit 20 is all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11) can be connected to both ends respectively. Accordingly, although only a single test circuit 20 is mainly illustrated and described below, it is natural that the operation described later can be applied to all test circuits 20 connected to each battery cell 11 .

프로세서(40)는 제1 및 제2 스위치(S1, S2)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 신호(Sc)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스위치(S1, S2)는 해당 제어 신호(Sc)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S1)는 제1 제어 신호(Sc1)에 따라 개폐될 수 있고, 제2 스위치(S2)는 제2 제어 신호(Sc2)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Sc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Sc. can operate accordingly.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 S1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Sc1, and the second switch S2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Sc2.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스위치(S1, S2)는 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스위치(S1, S2)는 IGBT(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may be implemented as power switching device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may be implemented as an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IGBT),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or the like.

한편, 전류센서(A)는 후술될 시험전류(It)를 측정하여 프로세서(40)에 제공할 수 있고, 전압센서(V)는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을 측정하여 프로세서(4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각 센서(A, V)로부터 제공된 값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sensor (A) may measure the test current (It)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40, and the voltage sensor (V) may measure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and measure the voltage (Vt) of the battery cell 11 to the processor 40. ) can be provided.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through calculation using values provided from the sensors A and V.

이하, 프로세서(4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프로세서(40)는 시험회로(20)를 배터리 셀(11)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시험회로(20)의 접속 전후로 발생하는 배터리 셀(11) 양단의 전압 변화와, 시험회로(20)에 흐르는 시험전류(It)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selectively connects the test circuit 20 to the battery cell 11, and the voltage change across the battery cell 11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and the voltage flowing through the test circuit 20 Based on the test current It,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can be identified.

도 7을 참조하면, 시험회로(20)는 제1 배터리 셀(11)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40)는 제1 스위치(S1)를 온/오프 제어하여 시험회로(20)를 제1 배터리 셀(11)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est circu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11, and the processor 40 controls the first switch S1 to turn on/off the test circuit 20 for the first battery. It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ell 11.

시험회로(20)가 제1 배터리 셀(11)에 접속되는 경우 배터리 셀(11)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전류의 일부는 시험회로(20)로 유입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시험회로(20)의 접속 전후로 발생하는 배터리 셀(11) 양단 전압을 측정하고, 시험회로(20)의 접속 후 시험회로(20)로 유입된 시험전류(It)를 측정하여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test circuit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11, some of the curr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battery cell 11 may flow into the test circuit 20. The processor 40 measures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11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and measures the test current It flowing into the test circuit 20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may be identified.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시험회로(20)의 접속 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과 시험회로(20)의 접속 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의 차를 시험전류(It)로 나누어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서 이하 설명하도록 하며,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험회로(20)의 접속 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을 오프 전압(Voff), 시험회로(20)의 접속 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을 온 전압(Von)으로 표현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tes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before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and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can be identified by dividing by the current It. The principle of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Rs)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below, an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before the test circuit 20 is connected to the off voltage. (Voff), after connecting the test circuit 20, the voltage (Vt) of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is expressed as the on-voltage (Von).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0)이 충전 중일 때 도 7에 도시된 회로는 도 8과 같이 등가화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0)이 방전 중일 때 도 7에 도시된 회로는 도 9와 같이 등가화될 수 있다.When the battery module 10 shown in FIG. 7 is being charged, the circuit shown in FIG. 7 may be equivalent as shown in FIG. 8, and when the battery module 10 shown in FIG. 7 is being discharged, the circuit shown in FIG. The circuit can be equalized as shown in FIG. 9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합성전압(Vc)은 충방전전압(Vs)에서, 시험회로(20)가 연결된 배터리 셀(11)을 제외한 모든 배터리 셀(11)의 셀 전압(Vb)을 뺀 값(Vs-(Vb2+Vb3+…+Vb60))으로 정의될 수 있고, 합성저항(Rc)은 시험회로(20)가 연결된 배터리 셀(11)을 제외한 모든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과 충방전저항(RL)을 더한 값(RL+Rs2+Rs3+…+Rs60)으로 정의될 수 있다.8 and 9, the composite voltage (Vc) is the cell voltage (Vb) of all battery cells 11 except for the battery cell 11 to which the test circuit 20 is connected in the charge and discharge voltage (Vs). It can be defined as a subtracted value (Vs-(Vb2+Vb3+...+Vb60)), and the combined resistance (Rc) is the internal resistance ( Rs) and the charge/discharge resistance (R L ) (R L +Rs2+Rs3+…+Rs60).

제1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일 때, 오프 전압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등식을 만족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회로는 키르히호프 법칙(Kirchhoff's law)에 따라 하기 [수학식 2]와 같은 등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witch S1 is in an off state, the off voltage may satisfy an equation such as Equation 1 below, and the circuit shown in FIG. ] can satisfy the same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한편, 제1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때, 시험회로(20)에 흐르는 시험전류(It)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은 등식을 만족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회로는 키르히호프 법칙에 따라 하기 [수학식 4]와 같은 등식을 만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switch S1 is in an on state, the test current It flowing through the test circuit 20 may satisfy the equation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and the circuit shown in FIG. 8 is a Kirchhoff According to the law, an equation such as [Equation 4] below can be satisfie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3]에 [수학식 4]를 대입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5]와 같은 등식이 성립하며, 합성저항은 단일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1)보다 매우 크므로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가 성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학식 5]는 [수학식 6]과 같이 근사될 수 있다.When [Equation 4] is substituted into [Equation 3], an equation as in [Equation 5] below is established, and the combined resistance is much greater than the internal resistance (Rs1) of a single battery cell 1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can be established, and thus [Equation 5] can be approximated as in [Equation 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앞서 설명한 수학식들에 의해, 프로세서(40)는 시험회로(20)의 접속 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과 시험회로(20)의 접속 후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의 차를 시험전류(It)로 나누어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quation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40 calculates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before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and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20.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can be identifi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current (It).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제1 스위치(S1)를 오프 제어한 상태에서 전압센서(V)를 통해 오프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40)는 제2 스위치(S2)를 온 제어한 상태에서 전압센서(V)를 통해 온 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전류센서(A)를 통해 시험전류(It)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수학식 6]과 같이 오프 전압과 온 전압의 차를 시험전류(It)로 나눈 값을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으로 식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may measure the off voltage through the voltage sensor V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 S1 is off-controlled. Subsequently, the processor 40 may measure the on-voltage through the voltage sensor V and measure the test current It through the current sensor A while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n. there is.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ff voltage and the on voltage by the test current It as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as shown in [Equation 6].

프로세서(40)는 미리 설정된 시험 주기에 따라 시험회로(20)와 배터리 셀(11)을 접속시켜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험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by connecting the test circuit 20 and the battery cell 11 according to a preset test period. Here, the preset test cycle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시험 주기의 설정으로 인해 배터리 셀(11) 모니터링에 실시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험 주기를 1분으로 설정하는 경우, 프로세서(40)는 1분마다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는 1분마다 배터리 셀(11)의 이상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Real-time monitoring of the battery cell 11 may be provided due to the setting of the test period.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test cycle to 1 minute, the processor 40 can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every minute, and the user sets the battery cell 11 every minute. ) can be monitored for abnormalities.

한편, 전술한 내부저항(Rs) 식별 방법은 특정 시점의 양단전압(Vt)과 시험전류(It)를 이용하므로, 내부저항(Rs) 식별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시험회로(20)와 배터리 셀(11)을 접속시키고, 배터리 셀(11) 양단전압(Vt)의 실효값(Root Mean Square; RMS)과 시험전류(It)의 실효값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Rs) described above uses the voltage (Vt) and the test current (I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noise may occur in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Rs). To prevent this, the processor 40 connects the test circuit 20 and the battery cell 11 according to a preset frequency, and calculates the Root Mean Square (RMS) value of the voltage (Vt) across the battery cell 11.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effective value of the test current (It) and the test current (It).

예컨대, 프로세서(40)는 500[Hz]의 주기에 따라 제1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오프 전압, 온 전압 및 시험전류(It)는 모두 500[Hz]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파형을 갖게되고, 프로세서(40)는 각 전압(Voff, Von)의 실효값과, 시험전류(It)의 실효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하기 [수학식 7]에 따라 내부저항(Rs)을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40 may turn on/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a cycle of 500 [Hz].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off voltage, on voltage, and test current (It) all have an AC waveform having a frequency of 500 [Hz], and the processor 40 calculates the effective value of each voltage (V off , V on ) and ,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can be identified using the effective value of the test current It.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Rs according to Equation 7 below.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와 같이, 실효값을 이용하여 내부저항(Rs)을 식별하는 경우 내부저항(Rs) 식별에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Rs is identified using the effective value, accuracy in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Rs can be increas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셀(11) 각각의 내부저항(Rs)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배터리 셀(11)의 화재 위험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identify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each battery cell 11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fire risk of each battery cell 11 .

프로세서(40)는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식별된 내부저항(Rs)의 크기에 따라 배터리 셀(11)을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separate the battery cell 11 from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nternal resistance Rs identifi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각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이 기준값 이하이면 해당 배터리 셀(11)과 다른 배터리 셀(11) 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특정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배터리 셀(11)과 다른 배터리 셀(11) 간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may compare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each battery cell 11 with a reference valu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11 ) and other battery cells 11 may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a specific battery cell 11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11 and other battery cells 11 may be disconnected.

다시 말해, 프로세서(40)는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11) 중에서 내부저항(Rs)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배터리 셀(11)을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이 인내할 수 있는 한계저항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ocessor 40 may separate a battery cell 11 having an internal resistance Rs exceeding a reference value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from the battery module 10 . . 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may be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limit resistance that the battery cell 11 can endure.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0)는 제1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1)이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배터리 셀(11)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2, Rs3,…, Rs60)은 기준값 이하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40)는 제1 배터리 셀(11)과 연결된 시험회로(20)의 제2 스위치(S2)를 온 제어하여 제1 배터리 셀(11)을 다른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processor 40 may determine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Rs1 of the first battery cell 11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the remaining battery cells 11 excluding the first battery cell 1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Rs2, Rs3, ..., Rs60) of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the processor 40 turns on the second switch S2 of the test circuit 20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11 to separate the first battery cell 11 from the other battery module 10. can

제2 스위치(S2)가 온 제어되는 경우 제2 스위치(S2)는 바이패스(bypass)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배터리 셀(11)에 흐르던 충방전 전류는 바이패스 경로, 즉 제2 스위치(S2)로 흐를 수 있다.When the second switch S2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the second switch S2 may form a bypass path, and the charge/discharge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battery cell 11 is passed through the bypass path, that is, the second switch S2 It can flow to switch S2.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배터리 셀(11)에 연결된 시험회로(20)의 제2 스위치(S2)가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10)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높은 내부저항(Rs)을 갖는 제1 배터리 셀(11)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second switch S2 of the test circuit 20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11 forms a bypass path, the battery module 1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can That is, the first battery cell 11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Rs may be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저항(Rs)이 높은 배터리 셀(11)을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 상승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risk of fi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resistance (Rs) of the battery cell 11 by separating the battery cell 11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Rs) from the battery module 10. there is.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은 열화 가능성이 있는 배터리 셀(11)을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되는 배터리 셀(11)의 수가 증가할수록 배터리 모듈(10) 전체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고, 동일한 충방전회로(100)를 이용하여 해당 배터리 모듈(10)을 충전 또는 방전시킬 때, 충방전전류가 커져 과전류로 인한 ESS 시스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battery cell 11 with a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from the battery module 10 . However, as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overall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decreases, and the corresponding battery module 10 is charged using the sam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Or, when discharging, the charge/discharge current increases, and problems in the ESS system due to overcurrent may occur.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60개의 배터리 셀(11) 각각은 3.7[V]의 셀 전압(Vb)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40)의 동작으로 인해 60개의 배터리 셀(11) 중 20개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되었다고 가정하면, 배터리 모듈(10)의 전체 전압은 222[V]에서 148[V]로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228[V]의 충방전전압(Vs)을 갖는 충방전회로(100)로 배터리 모듈(10)을 충전시키는 경우, 배터리 모듈(10)과 충방전전압(Vs)의 전위차가 커지므로 과전류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과전류가 지속되는 경우 ESS 전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n example, each of the 60 battery cells 11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may have a cell voltage Vb of 3.7 [V]. Assuming that 20 of the 60 battery cells 11 are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40 described above, the total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is 222 [V] to 148 [V]. can be lowered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module 10 is charged with the charge/discharge circuit 100 having a charge/discharge voltage (Vs) of 228 [V],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charge/discharge voltage (Vs) increases. Charging by overcurrent may be performed, and if the overcurrent continues, problems may occur in the entire ESS system.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리된 배터리 셀(11)의 셀 전압(Vb)을 보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 보충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ement the cell voltage Vb of the separated battery cell 11 . Hereinafter,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원팩(30)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독립전원(Vi)으로 구성되고 배터리 모듈(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40)는 배터리 모듈(10)과 전원팩(30)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팩(30)은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 모듈(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40)는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전원팩(30)과 배터리 모듈(10)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킬 수 있다.The power pack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Vi connected in series and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processor 40 selectively connects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power pack 30. can make it More specifically, the power pack 3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10 through a switch, and the processor 40 electrically connects or connects the power pack 30 and the battery module 10 by controlling the switch. connection can be disconnected.

도 12를 참조하면, 전원팩(30)을 구성하는 n개의 독립전원(Vi1, Vi2,…, Vin)은 각 독립전원(Vi) 사이에 연결된 전원스위치(Si)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각 독립전원(Vi)은 접지스위치(Sg)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독립전원(Vi)의 전압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독립전원(Vi)의 전압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2, n independent power sources Vi1, Vi2, ..., Vin constituting the power pack 30 may be connected through a power switch Si connected between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In addition,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may be grounded through a grounding switch Sg. Here, the voltage of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of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is the sa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프로세서(40)는 전원스위치(Si) 및/또는 접지스위치(Sg)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된 배터리 셀(11)에 대응하는 독립전원(Vi)을 배터리 모듈(10)에 접속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40 controls the power switch Si and/or the ground switch Sg to provide an independent power source Vi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11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to the battery module 10. can be connected.

도 13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의 일단에는 전원팩(30)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배터리 모듈(10) 종단에 연결된 배터리 접지스위치(Sm)를 오프 제어하고 전원팩(30)에 포함된 전원스위치(Si) 및 접지스위치(Sg)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10)과 전원팩(30)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40)는 배터리 접지스위치(Sm)를 오프 제어하고, 제1 전원스위치(Si1) 및 제1 접지스위치(Sg1)를 온 제어하고, 제2 전원스위치(Si2)를 오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0)에 제1 독립전원(Vi1)을 접속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power pack 3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10 . The processor 40 turns off the battery ground switch Sm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ttery module 10 and controls the power switch Si and the ground switch Sg included in the power pack 30 to turn off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power pack 30 can be connected. For example, the processor 40 turns off the battery ground switch Sm, controls the first power switch Si1 and the first ground switch Sg1 to turn on, and controls the second power switch Si2 to turn off, A first independent power source Vi1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

프로세서(40)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된 배터리 셀(11)의 개수를 식별하고, 식별된 개수에 대응하는 셀 전압(Vb)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40)는 식별된 셀 전압(Vb)에 대응하는 개수의 독립전원(Vi)을 배터리 모듈(10)에 접속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and identify cell voltages Vb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number. Subsequently, the processor 40 may connect the number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Vi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ell voltages Vb to the battery module 10 .

도 14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0)을 구성하는 60개의 배터리 셀(11) 중에서, 두 배터리 셀(11)의 내부저항(Rs1, Rs3)은 기준값을 초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 배터리 셀(11)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40)는 분리된 배터리 셀(11)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40)는 제2 스위치(S2)를 온시키는 제2 제어신호(Sc2)를 카운팅하여 배터리 셀(11)의 개수 두 개로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mong the 60 battery cells 11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10, the internal resistances Rs1 and Rs3 of the two battery cells 11 may exceed the reference value, and thus the two battery cells 11 (11) can be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At this time,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number of separated battery cells 11 . For example, the processor 40 may count the second control signal Sc2 for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S2 and identif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11 as two.

이어서, 프로세서(40)는 식별된 개수에 대응하는 셀 전압(Vb)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각 배터리 셀(11)의 셀 전압(Vb)이 3.7[V]인 경우, 프로세서(40)는 분리된 배터리 셀(11) 개수(두 개)에 대응하는 셀 전압(Vb)을 7.4[V]로 식별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cell voltages Vb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number.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when the cell voltage Vb of each battery cell 11 is 3.7 [V], the processor 40 determines the cell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wo) of the separated battery cells 11 . (Vb) can be identified as 7.4[V].

한편, 전원팩(30)을 구성하는 각 독립전원(Vi)의 전압 역시 3.7[V]일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40)는 앞서 식별된 셀 전압(7.4[V])에 대응하는 독립전원(Vi)의 개수를 두 개로 식별할 수 있고, 해당 개수의 독립전원(Vi)을 배터리 모듈(10)에 접속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voltage of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constituting the power pack 30 may also be 3.7 [V]. At this time, the processor 40 may identify the number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Vi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dentified cell voltage (7.4 [V]) as two, and convert the corresponding number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Vi to the battery module 10 ) can be connected.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는 배터리 접지스위치(Sm)를 오프 제어하고, 제1 및 제2 전원스위치(Si1, Si2)를 온 제어하고, 제1 접지스위치(Sg1)를 오프 제어하고, 제2 접지스위치(Sg2)를 온 제어하고, 제3 전원스위치(Si3)를 를 오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독립전원(Vi1, Vi2)을 배터리 모듈(10)에 접속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40 controls the battery ground switch Sm off,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ower switches Si1 and Si2 on, controls the first ground switch Sg1 off, and The first and second independent power sources Vi1 and Vi2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by controlling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to be turned on and the third power switch Si3 to be turned off.

만약 앞선 가정과는 달리, 각 독립전원(Vi)의 전압이 7.4[V]인 경우, 프로세서(40)는 앞서 식별된 셀 전압(7.4[V])에 대응하는 독립전원(Vi)의 개수를 한 개로 식별하고, 제1 독립전원(Vi1)만을 배터리 모듈(10)에 접속시킬 수 있다.Unlike the previous assumption, if the voltage of each independent power source Vi is 7.4 [V], the processor 40 counts the number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Vi corresponding to the cell voltage identified above (7.4 [V]) as one. , and only the first independent power source Vi1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된 배터리 셀(11)에 대응하는 독립전원(Vi)을 배터리 모듈(10)에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10)의 전체 전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ESS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entire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10 by connecting the independent power source Vi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11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to the battery module 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ESS through thi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0)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
각각의 배터리 셀 양단에 연결되는 시험회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독립전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연결되는 전원팩; 및
상기 시험회로를 통해 식별된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 battery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 test circuit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battery cell;
A power pack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module; and
A processor for separating the battery cell from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identified through the test circuit and connect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회로는
시험저항,
상기 시험저항과 상기 배터리 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시험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전류센서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과 병렬 연결되는 전압센서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st circuit
test resistance,
A first switch connecting the test resistance and one end of the battery cell;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A current sens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est resistance and
Including a voltage sens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험회로와 상기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전후로 발생하는 상기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 변화와 상기 시험회로에 흐르는 시험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selectively connects the test circuit and the battery cell, and identifie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based on a voltage change across the battery cell occurring before and after the test circuit is connected and a test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st circuit. doing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전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과 상기 시험회로의 접속 후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의 차를 상기 시험전류로 나누어 상기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ocessor identifies the internal resistance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before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and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after connection of the test circuit by the test current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과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배터리 셀 양단전압의 차를, 상기 제1 스위치를 온 제어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시험전류로 나누어 상기 내부저항을 식별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s 2 and 3,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measured while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be off and the voltage across the battery cell measured while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to be turned on. Identifying the internal resistance by dividing by the test current measured in the stat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저항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을 분리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separates the battery cell from the battery module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저항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turns on the second switch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개수에 대응하는 셀 전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셀 전압에 대응하는 개수의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dentifies the number of separated battery cells, identifies a cell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number, and connects independent power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ell voltage to the battery modul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독립전원 각각은 스위치를 통해 접속되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independent power sources is connected through a switch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분리된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독립전원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접속시키는
배터리 셀 유지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processor controls the switch to connect an independent power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battery cell to the battery module.
Battery cell maintenance device.
KR1020210107406A 2021-08-13 2021-08-13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KR102590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06A KR102590031B1 (en) 2021-08-13 2021-08-13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06A KR102590031B1 (en) 2021-08-13 2021-08-13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86A true KR20230025186A (en) 2023-02-21
KR102590031B1 KR102590031B1 (en) 2023-10-17

Family

ID=8532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406A KR102590031B1 (en) 2021-08-13 2021-08-13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3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583A (en) * 2010-10-14 2012-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Energy storing module circu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50086A (en) * 2011-01-21 2012-08-09 Nec Corp Assembled battery system desig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30004336A (en) * 2010-04-23 2013-01-09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assembly
JP2013099159A (en) * 2011-11-02 2013-05-20 Toyota Industries Corp Battery equal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1572923B1 (en) * 2015-04-21 2015-11-30 주식회사 스타넷시스템 Battery system
KR20170118911A (en) * 2015-03-24 2017-10-25 이승규 Melting switch, battery control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KR20210011235A (en)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battery cel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336A (en) * 2010-04-23 2013-01-09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Battery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assembly
KR20120038583A (en) * 2010-10-14 2012-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Energy storing module circu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50086A (en) * 2011-01-21 2012-08-09 Nec Corp Assembled battery system desig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3099159A (en) * 2011-11-02 2013-05-20 Toyota Industries Corp Battery equalization device and method
KR20170118911A (en) * 2015-03-24 2017-10-25 이승규 Melting switch, battery control device including same, and control method
KR101572923B1 (en) * 2015-04-21 2015-11-30 주식회사 스타넷시스템 Battery system
KR20210011235A (en)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batte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031B1 (en)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543359U (en) Single-wafer battery protection circuit,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O2021208632A1 (en) Rapid turnoff method, photovoltaic assembly turnoff device, and photovoltaic system
Hassanpoor et al. Technical assessment of load commutation switch in hybrid HVDC breaker
US20140028103A1 (en) Control system,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 floating charge of a battery
US8570017B2 (en) Voltage limiter and protection of a photovoltaic module
CN102545639B (en) For regulating the circuit of direct voltage and method and electric power converter
CN102170117B (en) Battery protecting device and protecting method
CN107765160B (en) Test circuit and test method of IGBT device
CN103607009A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with automatic protecting function
KR20150088239A (en) Circuit for managing the charge of a battery
US20160276848A1 (en) Buck pre-charger for series-connected battery modules
KR102590031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battery cells
KR10265287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battery cells
US11258247B2 (en) Fault clearing circuitry
CN112383114A (en) Battery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ower supply system
JP2020114174A (en)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WO2022217721A1 (en) Smart battery
US10468728B2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KR202101293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cell
EP4297262A1 (en) Multi-functional solid state switching circuit
CN109378801A (en) A kind of battery protection system
US20190386494A1 (en) High power flash batt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19554623U (en) Charging circuit, video monitoring tester and testing system
KR102342290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Battery with High Efficiency
US20230375641A1 (en) Short Circuit De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ed Capacitor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