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71A - 단말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71A
KR20230024871A KR1020227032021A KR20227032021A KR20230024871A KR 20230024871 A KR20230024871 A KR 20230024871A KR 1020227032021 A KR1020227032021 A KR 1020227032021A KR 20227032021 A KR20227032021 A KR 20227032021A KR 20230024871 A KR20230024871 A KR 2023002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bration
user
sensing device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솨이 유안
웬준 뎅
웬빙 조
유지아 후앙
펑윈 랴오
신 기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2Event detection, e.g. detecting unique waveforms indicative of a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시스템과 방법을 공개한다.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에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단말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감지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된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많은 스마트 단말기장치가 일상 생활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 단말기장치를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제어하여 유저의 체험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랙션은 음성대화수단 또는 단말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실체구조의 수동조작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 예를 들면 높은 노이즈, 약한 환경 밝기, 또는 유저의 조작이 불편한 경우 등에는 음성대화 또는 패널에서 수동조작을 통해 단말기장치를 제어하기가 어렵고 문제가 많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타겟주체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상기 타겟주체의 결정된 조작 정확도를 개선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이 유저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에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은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또는 신호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고체매체를 통해 진동수신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된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에서의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를 통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접착, 상감, 용접, 리벳 또는 나사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고체매체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의 진폭이 큰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 조건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1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신호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신호 역치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1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역치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체활동은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또는 넘어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이동단말기가 건강상태를 기록하거나 경고를 내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진동감지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2KHz 내지 4.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5)dBV/(m/s2) 내지(-15)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운동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몸자세가 정지되었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상기 몸자세의 정지 또는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역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심박수, 혈압, 또는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체활동은 치아 태핑(tooth tapp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상기 특정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및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지속기간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은 상기 상이한 위치에서의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의 위상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신호의 위상차는 진동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상기 신호지속기간, 및 상기 진동신호의 위상차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상기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2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주파수 역치보다 작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오디오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3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3 감지신호를 상기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4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오촉발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가 아니라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4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다른 하나의 역치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은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더 설명되며,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한정적이 아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응용장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상이한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실내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환경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차내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내단말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탁상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신체활동에 대응되는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신체활동의 진동감지신호 주파수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신호의 전송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치아 태핑에 대응되는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임이 명확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창조적 노력을 더하지 않고 이러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개시를 다른 유사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문맥상 달리 명시되거나 명백하지 않은 한 도면의 동일한 참고부호는 동일한 구조나 동작을 표시한다.
본 개시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 "일" 및 "상기"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은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포함", "포괄 "및/또는 "함유"는 단지 명시된 절차들과 소자들을 포함함을 제시하며, 이러한 절차들과 소자들은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방법들 또는 장치들은 기타 절차들 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기초상에서"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 기초상에서"의 의미이다. 용어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를 표시한다. 용어 "다른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를 표시한다. 다른 용어들에 대한 관련 정의는 아래의 설명에서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은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는 외부신호를 획득한 후 상기 감지장치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신호는 진동신호, 기타 유형의 신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신호는 음향신호, 광신호, 전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신호는 고체매체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소리 간섭 또는 높은 노이즈의 환경속에 있더라도 상기 진동신호는 여전히 상기 감지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에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더 정확하고 편리할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은 감지장치에 연결/연통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응용장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줄여서 시스템(100)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감지장치(110), 처리장치(120), 단말기장치(130)(또는 "타겟대상"이라도 한다), 및 저장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장치(110)에 의해 수집된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의 각 부재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유선연결은 동축 케이블, 통신 케이블, 플렉시블 케이블, 스파이럴 케이블, 비금속 피복 케이블, 금속 피복 케이블, 멀티 코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리본 케이블, 차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듀플렉스 케이블, 트윈 리드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등과 같은 금속 케이블, 광케이블,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유선연결매체는 또한 다른 유형 예를 들면 기타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의 전송 반송파일 수 있다.
무선연결은 무선 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음향통신, 전자기 유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선 연결은IEEE302.11 계열 표준, IEEE302.15 계열 표준(예를 들면, 블루투스 기술과 지그비 기술, 등), 제1세대 이동통신기술, 제2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주파수분할다중액세스(FDMA), 시분할다중액세스(TDMA), 공간분할다중접속(SDMA),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스펙트럼확산다중접속(SSMA), 등),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제3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CDMA2000,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시분할-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TD-SCDMA), 마이크로파 접근을 위한 세계 상호운용성(WIMAX), 등), 제4세대 이동통신기술(예를 들면, TD-SCDMA 장기 진화(TD-LTE), 주파수분할이중화장기진화(FDD-LTE), 등), 위성통신(예를 들면, 글라벌위치결정 시스템(GPS) 기술, 등), 근거리 통신(NFC), 및 산업, 과학, 의학(ISM) 대역(예를 들면, 2.4GHz, 등)에서 조작하는 기타 기술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유공간 광통신은 가시광선, 적외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통신은 음파, 초음파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기 유도는 근거리 통신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유선 연결의 매체는 또한 Z파 기술, 기타 충전 가능한 민간 무선대역 및 군용 무선대역 등 같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10)는 외부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외부신호(예를 들면,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신호는 기계적 진동신호("진동신호"라고도 할 수 있다), 음향신호, 광신호, 전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신호는 유저가 유발한 것이거나 또는 유저에 의해 특정된 방식을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유저 신호"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10)는 압력감지장치, 진동감지장치, 촉각감지장치, 오디오입력장치, 광감지장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장치(110)는 적어도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유저는 상기 감지장치(110)에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감지장치가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110)는 유저(예를 들면, 문판 노크, 치아 태핑, 등에 의해)가 입력한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가 전송과정에서 환경 노이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감지장치(110)에 의해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장치(110), 상기 저장장치(140) 또는 상기 시스템(100)의 다른 부재로부터 얻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장치(110)로부터 얻은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독립 서버 또는 서버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서버 그룹은 중앙 집중화 또는 분산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로컬 장치 또는 원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장치(110), 상기 단말기장치(130) 및/또는 상기 저장장치(140)에서 정보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장치(110), 상기 단말기장치(130) 및/또는 상기 저장장치(140)와 직접 연결되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로세서(예를 들면, 단일 코어 프로세서(들)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애플리케이션별 집적 회로(ASIC), 애플리케이션별 명령 집합 프로세서(ASIP), 그래픽 처리 장치(GPU), 물리 처리 장치(P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LD),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RISC(축소된 명령어 집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칩일 수 있다. 상기 칩은 상기 감지장치(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그 감지장치(110)의 프로세서(예컨대, 감지장치(110)의 칩)일 수 있으며, 이는 진동신호를 픽업하고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장치(110)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140)는 데이터, 명령어, 및/또는 임의의 기타 정보,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상기 감지장치(110) 및/또는 상기 처리장치(12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상기 처리장치(120)가 실행하거나 사용하여 본 개시에 기재된 예시적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대용량 저장 장치, 이동식 저장 장치, 휘발성 읽기-쓰기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의 적어도 하나의 기타 부재와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상기 저장장치(140)(예를 들면, 신호특징)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40)는 상기 처리장치(120)의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단말기장치(130)는 이동장치,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자동차에 내장된 장치, 스마트 홈 긱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동장치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이동장치, 가상현실장치, 증강현실장치, 스마트 토이, 스마트 스피커,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팔찌, 스마트 신발, 스마트 안경, 스마트 헬멧, 스마트 시계, 스마트 의류, 스마트 백팩, 스마트 액세서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마트 이동장치는 스마트폰,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게임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POS(Point of Sale) 장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가상현실장치 및/또는 증강현실장치는 가상현실 헬멧, 가상현실 안경, 가상현실 패치, 증강현실 헬멧, 증강현실 안경, 증강현실 패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내장 장치는 차량 탑재 전화, 차량 탑재 멀티미디어, 블루투스, 내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스마트 홈 기기는 스마트 조명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등), 지능형 전기기기의 제어 디바이스, 스마트 모니터링 디바이스,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 비디오카메라, 인터폰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200)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처리장치(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200)은 프로그램이나 명령어의 형식으로 저장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 또는 상기 저장장치(140)의 독립 저장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200)은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이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명령어를 실행할 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의 조작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200)는 기재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 조작으로 및/또는 논의된 하나 이상의 상기 조작이 없이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서의 상기 처리200의 조작의 순서와 아래의 설명은 한정적이 아니다.
21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의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210)은 감지신호획득모듈(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감지신호는 상기 감지장치(110)가 외부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외부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신호는 수신한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신호(110)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외부신호는 기계적 진동신호("진동신호"라고 할 수도 있다), 기타 유형의 신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신호는 광신호, 음향신호, 전기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10)는 진동감지장치, 압력감지장치, 촉각감지장치, 오디오 입력장치, 광감지장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장치(110)는 적어도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진동신호는 유저의 신체활동, 유저의 치아 태핑, 또는 특정된 구역(예를 들면, 진동수신구역)에서 특정된 조작(예를 들면, 노크, 토닥임, 긁기, 등)을 실행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10)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22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220은 신호특징식별모듈(3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은 신호 특성을 반영하는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해 시간 영역처리 및/또는 주파수 영역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진동신호의 경우, 상기 진동신호에 상응한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은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신호지속기간,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피크의 수량은 진폭이 기설정된 진폭보다 큰 진동피크의 수량일 수 있다. 진동피크의 수량은 외부신호의 수량특징(예를 들면, 유저가 노크한 횟수의 수량, 치아 태핑 횟수의 수량, 특정된 신체활동의 횟수의 수량, 등)일 수 있다. 상기 신호강도는 신호의 강도일 수 있다. 상기 신호강도는 외부신호의 강도특징을 반영할 수 있다(예를 들면, 유저가 노크하거나 토닥이는 강도). 상기 유저가 노크하고 토닥이는 것이 강할 수록, 생성된 상기 진동신호의 신호강도가 더 강할 수 있다.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진동피크에서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두 인접한 진동피크의 시간간격은 외부신호의 밀도특징을 반영할 수 있다(예를 들면, 유저의 노크, 토닥임, 및 치아 태핑의 시간간격, 두 인접한 신체활동 사이의 시간간격, 등).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상기 감지신호 중의 각 주파수의 비례 정보일 수 있다. 각 주파수의 비례 정보는 예를 들면, 고주파수 신호, 중고주파수 신호, 중주파수 신호, 중저주파수 신호, 저주파수 신호, 등의 비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고주파수, 중고주파수, 중주파수, 중저주파수 및/또는 저주파수는 인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주파수 신호는 4000Hz보다 큰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중고주파수 신호는 2500Hz 내지 5000Hz의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중주파수 신호는 1000Hz -4000Hz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중고주파수 신호는 600Hz 내지 2000Hz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저주파수 신호는 20Hz -1000Hz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신호지속기간은 전체 감지신호의 지속기간 또는 감지신호에서 하나의 진동피크의 지속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체 감지신호는 세개의 진동피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 상기 전체 감지신호의 지속기간은 3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하여 시간 영역처리 및/또는 주파수 영역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결정한다. 상기 감지신호를 식별하는 상기 신호특징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4의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23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에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220은 조작확정모듈(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은 특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장치(13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를 걸 수 있는 이동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등)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오디오장치(예를 들면 헤드폰, 차내장착 스피커, 블루투스 스피커, 등)는 음악을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조명장치(예를 들면 실내 전구, 자동차 전등 등)는 빛을 내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단말기장치(130)는 단지 예를 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단말기장치(130)는 유저에게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의 관계는 상기 감지장치(110)의 감지신호의 특정된 신호특징에 응하여 특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대상은 상기 처리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신연결의 방식은 유선연결 또는 무선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선연결은 케이블을 경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 장치를 경유할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상기 단말기장치(130)의 기능, 예를 들면, 음악 재생/일시 중지, 전화 걸기/끊기, 조명 켜기/끄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을 결정하는 조작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도 4-10의 실시예들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더 많은 설명에 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8의 실시예들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가 감지신호를 획득할 때, 오류방지촉발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실시간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의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감지신호("제1 감지신호"라고도 한다)를 획득할 때,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신호강도가 신호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신호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1 감지신호를 오촉발신호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신호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와 상기 제1 감지신호 역치 사이의 간격이 역치시간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의 감지신호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300)은 감지신호획득모듈(310), 신호특징식별모듈(320), 및 조작확정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300)은 도 1에 표시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획득모듈(310)은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획득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식별모듈(320)은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식별모듈(32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확정모듈(330)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에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확정모듈(330)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확정모듈(330)은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에 관련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300) 및 그 시스템의 장치/모듈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한 후, 상기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구성 요소를 임의로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서브시스템을 형성하여 기타 부재들과 연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하는 상기 신호특징식별모듈(320)과 상기 조작확정모듈(330)은 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에 내장된 상이한 모듈일 수 있거나, 또는 상술한 2가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의 모듈이거나 또는 2개의 모듈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각 모듈은 그 자체의 저장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각 모듈은 저장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여전히 본 개시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 400은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 400은 프로그램 또는 명령의 형식으로 저장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 또는 상기 저장장치(140)의 독립 저장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 400은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이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할 때 구현될 수 있다. 아래의 상기 처리의 조작은 단지 설명의 목적만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 400은 설명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조작에 의해 및/또는 논의된 하나 이상의 조작이 없이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상기 처리400의 조작의 순서와 아래의 설명은 한정적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 400은 스마트 홈, 스마트 카, 스마트 공장,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토이, 등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41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410 은 감지신호획득모듈(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주요 소리전도방식의 하나로서 골전도를 사용하는 마이크로폰( "골전도 마이크로폰"라고도 한다), 가속도계,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특정된 구역의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특정된 구역은 진동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설정한 구역, 또는 진동수신구역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의 진동신호를 획득하고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는 진동감지신호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는 예를 들면, 전기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정한 경도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신호의 전도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진동수신구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유저는 상기 하우징에 특정된 조작을 실행하여(예를 들면, 노크, 토닥임, 긁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특정된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특정된 진동신호는 특정된 조작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고체속에서 기계적 진동이 소량 손실되기 때문에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위치(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기계적 진동이 효과적으로 전도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고체매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체매체는 금속(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합금, 등), 비금속(예를 들면, 나무, 플라스틱, 등), 등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를 통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된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의해 수신된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고체매체를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고체매체에서 선택된 구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문(610) 및/또는 헤드보드(63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8에 표시하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자동차핸들(8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고정연결방식은 접착, 상감, 용접, 리벳, 나사 연결, 버클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체매체와 잘 단단히 접촉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고체매체로부터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문(610)에 접착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보드(630)에 접착할 수 있거나 또는 나사로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도 8에 표시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핸들(820)에 상감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고체매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편리하고 빨리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예를 들면, 상기 문(610)과 실내환경(600)의 측벽, 사용 환경(800)중의 핸들(810), 등)에 상감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고체매체에서 전도되는 기계적 진동의 손실이 작기 때문에, 상기 신호강도는 거리가 길 때도 여전히 충분히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입력구역(즉,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넓은 범위에 입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저는 조작패널 또는 버튼을 찾을 필요가 없으며, 상기 유저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어떤 경우,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유저는 조명(640)을 제어하기 위해 이리저리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예를 들면, 상기 실내환경(600)에서, 상기 조명(640)의 스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유저는 상기 측벽에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로 걸어가야 할 수 있다), 책상과 의자에 부딪치는 등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의 임의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상기 문(610)을 예로 들면, 예시적인 장착위치는 상기 문(610)의 문틀, 상기 문(610)의 손잡이, 상기 문(610)의 버튼, 상기 문(610)의 중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에서 큰 진동진폭을 구비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상기 문(610)을 노크할 때, 상기 문(610)의 중심 부근의 진폭은 일반적으로 크며,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진동신호는 더 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문(610)에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문(610)의 상부 절반구역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문(610)의 상부 절반구역(즉,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대해 특정된 조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진동신호는 상기 문(610)을 경유하여 상기 문(610)에 연결된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고체매체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유저가 쉽게 조작(예를 들면,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하는 상기 실내환경(600)에서, 상기 고체매체는 문(610)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실내환경(6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문(610)의 표면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실내환경(600)에서, 상기 문(610)의 상부 절반구역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임의의 위치,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체매체는 상기 헤드보드(630)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헤드보드(630) 또는 그의 특정된 구역(예를 들면, 상기 헤드보드(630)의 우측, 좌측 구역, 등)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체매체가 상기 헤드보드(630)인 경우, 상기 헤드보드(630)의 상기 유저를 향한 전체 표면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고체매체에 설치된 독립적인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문(610)의 표면에 설치된 진동수신표면일 수 있다. 상기 진동수신표면은 단단한 시트형 물체 또는 판형 물체, 예를 들면, 철판, 강판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표면은 분리가능하게 상기 고체매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표면은 상기 유저의 필요에 따라 상기 고체매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에 표시되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저는 일반적으로 상기 침대(620)의 우측 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수신표면은 상기 헤드보드(630)의 우측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특정된 조작을 하여 진동신호를 입력할 때 상처를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예를 들면, 상기 감지장치의 외부 하우징) 및/또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의 겉포장은 예리한 변 또는 모서리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겉포장은 원호면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장착 위치는 상기 유저가 일상적으로 특정된 조작을 실행하는 위치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대(620)의 우측에서 자는 유저는 일반적으로 상기 헤드보드(630)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노크하거나, 두드리거나, 긁기 때문에,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보드(630)의 내측에 상감하거나 또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보드(630)의 오른측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헤드보드(630)의 상부 구역, 오른쪽 구역 등), 따라서 상기 유저는 특정된 조작을 할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겉포장에 접촉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내장된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지의 예식적인 유형은 리튬 전지, 수소연료 전지, 알칼리성 아연 망간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전선 또는 무선충전모듈을 이용해 제공되는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은 예를 들면, 휴대용 충전기, 가정용 전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일정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1mm3 과10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0.5mm3 과 20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1.5mm3 과 5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2mm3과 1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가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진동신호를 완전하고 명확하게 수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에 대해 일정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민감도는 상기 감지장치의 상기 조작과정에서의 특정된 신호에 대한 응답의 크기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50)dBV/(m/s2) ~(-10)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5)dBV/(m/s2) ~(-15)dBV/(m/s2)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0)dBV/(m/s2) ~(-15)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25) dBV/(m/s2) ~(-20) dBV/(m/s2) 일 수 있다.
42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420은 신호특징식별모듈(3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신호(예를 들면, 시간 영역처리 및/또는 주파수 영역처리, 등)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부터 관련 정보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의 주파수 성분, 등을 읽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진동신호의 관련 데이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을 직접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두 진동피크를 얻은 시간에 근거하여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을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특징,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신호지속기간,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3개의 진동피크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는 동시에 진동피크의 수량과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은 3개의 진동피크가 2s내에 있다는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 2개의 앞의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짧을 수 있다(예를 들면, 0.1s, 0.2s, 0.3s, 0.4s, 0.5s, 등). 2개의 뒤의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길 수 있다(예를 들면, 1.1s, 1.2s, 1.3, 1.4s, 1.5s, 등).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신호처리유닛(420)은 동시에 상기 주파수 성분, 상기 신호강도, 및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지속기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처리유닛(42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많은 중주파수 및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있고(예를 들면, 중주파수 및 고주파수 신호가 70%를 초과함), 상기 진동 진폭(즉, 상기 신호강도)이 작고, 상기 신호지속기간이 짧고(예를 들면, 상기 신호가 1초동안만 지속), 상기 생성된 진동피크가 상대적으로 예리함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특징추출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특징추출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추출모델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신호지속기간,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특징추출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상기 특징추출모델은 훈련된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이 기계학습모델은 다양한 모델과 구조, 예를 들면 심층신경망모델, 반복신경망모델, 사용자모델구조,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특징추출모델을 훈련할 때, 라벨(또는 식별자)이 있는 복수의 진동감지신호는 훈련 데이터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델의 파라미터는 일반적인 방법 예를 들면 변화도 감소를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특징추출모델은 다른 장치 또는 모델에 의해 훈련될 수 있다.
43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에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430은 조작확정모듈(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타겟대상을 제어하여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조작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단말기장치(130))에서 조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명령은 조명(640)을 켜거나 또는 끄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유저는 특정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특정된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이러한 진동신호를 수집하여 처리장치(120)로 처리하기 위한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타겟대상에 대한 통제를 달성한다. 음성 인터랙션과 비교하여, 환경속의 노이즈는 상기 진동신호에 대해 영향이 별로 없다. 높은 노이즈 환경이라도, 상기 진동신호는 여전히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신호 처리장치(120)에 의해 결정된 상기 타겟대상의 상기 조작 또는 상기 조작명령은 더 정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식별된 신호특징이 복수의 기설정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하나의 기설정 특징, 복수의 기설정 특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타겟대상의 특정된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특징을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타겟대상을 제어하여 특정된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상기 타겟대상의 특정된 조작 및/또는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3개의 진동피크가 1초내에 나타나는 것, 및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이 동등하거나 또는 유사한 것(예를 들면, 차이는 0.3s, 0.5s, 0.8s, 등 역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일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유저가 1s내에 같거나 유사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수신구역을 3회 노크하거나 토닥이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3개의 진동피크는 2s내에 나타날 수 있다(상기 유저가 3s내에 3회 노크하거나 토닥이는 것을 가리킴). 앞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짧을 수 있고(예를 들면, 0.5s), 및 뒤의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길 수 있으며(예를 들면, 2s), 또는 앞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길고(예를 들면, 2s) 뒤의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짧을 수 있다(예를 들면, 0.5s). 각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타겟대상의 상이한 조작 또는 조작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1s내의 2개의 진동피크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명령이 조명을 켜거나 끄는 것일 수 있다(예를 들면, 도 6에서 상기 조명(640)).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3s내에 3개의 진동피크가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앞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짧을 수 있다. 뒤의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길 수 있으며, 상응한 조작명령은 상기 조명(640)이 온광모드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3개의 진동피크가 3s내에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앞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길 수 있다. 뒤의 두 진동 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짧을 수 있으며, 상응한 조작명령은 상기 조명(640)이 냉광모드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는 상기 유저의 필요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특징조건 및 조작 또는 조작명령을 상응한 타겟에 대응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조작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특징조건을 간단화된 기설정된 특징조건(예를 들면, 몇개의 신호특징을 포함하는)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더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을 상기 조명(640)을 1s내에 2개의 진동피크를 구비하도록 켜는 조작에 대응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명(640)은 상기 유저가 실내환경(600)에 들어갈 때마다 신속히 켜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 특징은 하나만의 신호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유저가 기억하고 조작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복수의 신호특징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이한 신호특징들을 통해 더 복잡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오류조작을 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신호강도 및 진동피크의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진동피크는 1s내에 나타날 수 있다. 앞의 진동피크의 피크치는 작을 수 있으며, 뒤의 진동피크의 피크치는 클 수 있으며, 또는 앞의 진동피크의 피크치가 클 수 있으며, 뒤의 진동피크의 피크치는 작을 수 있으며, 이는 각각 2개의 상이한 조작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저가 고체매체의 상이한 부분을 노크 및 토닥이는 경우, 상이한 진동신호(예를 들면, 상이한 주파수 성분, 지속기간, 및/또는 신호강도를 가지는 진동신호)는 상기 고체매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도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면, 상이한 주파수 성분, 지속기간, 및/또는 신호강도를 가지는 진동감지신호). 이 때, 주파수 성분, 지속기간, 및/또는 신호강도는 조합되어 더 많은 기설정된 특징조건을 형성하여 더 많은 복잡한 조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a-5d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상이한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5d는 차례로 네일 노크, 한 손가락 노크, 복수의 손가락 노크, 및 손바닥 토닥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a-5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네일 노크, 하나의 손가락 노크, 복수의 손가락 노크, 및 손바닥 토닥임에 대응되는 진동감지신호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손톱의 질감은 상대적으로 단단하며, 따라서 감지신호는 많은 중주파수 신호와 고주파수 신호성분을 가질 수 있다. 진동 진폭은 일반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하나의 진동피크의 지속기간은 짧을 수 있으며, 생성된 진동피크는 상대적으로 예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한 손가락 노크의 힘은 일반적으로 네일 노크보다 클 수 있으며, 피부조직의 완충에 의해, 저주파수 또는 중저주파수 신호성분이 상기 감지신호에서 증가될 수 있으며, 및 신호지속기간도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복수의 손가락 노크 과정에서, 복수의 손가락 관절은 상기 고체매체의 표면에 동시에 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복수의 진동피크가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손바닥의 근육조직은 손가락 관절보다 많기 때문에, 때 더 큰 완충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체매체의 표면에 더 큰 접촉면적이 있을 수 있으며, 손바닥 토닥임에 의해 상기 진동신호에 더 많은 중주파수와 저주파수 신호성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신호지속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는 상이한 공구로 토닥이거나, 노크하거나, 긁어서 상이한 신호특징을 구비하는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조작명령에 대응되어 더 복잡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체매체가 예를 들면 열쇠, 핸드폰, 물컵, 장갑, 등 물체에 의해 토닥여지는 경우, 상이한 신호특징을 가지는 진동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상기 유저는 상이한 공구를 이용하여 더 복잡한 장치제어를 달성하는 동시에 오류촉발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하는 상기 실내환경(600)에서, 상기 유저는 열쇠로 상기 문(610)을 1초내에 3회 노크하여 상기 조명(640)을 크거나 켤 수 있다. 상기 조명(640)은 손가락으로 1초 내에 상기 문(610)을 3회 노크함으로써 온광모드로 될 수 있으며, 이는 오류조작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처리유닛(42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과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2개의 진동피크가 1s내에 나타날 수 있고, 제2 진동피크의 강도는 제1 진동피크(즉, 1s내에 2회. 앞의 노크는 무겁고 뒤의 노크는 가벼울 수 있다)보다 낮을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유닛(420)은 수집된 감지신호에 1s내에 나타나는 진동피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진동피크의 수량이 2가 아니면,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지 않음으로 결정될 수 있다. 진동피크의 수량이 2이면, 상기 신호처리유닛(420)은 계속하여 상기 감지신호의 2개의 진동피크의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진동피크의 신호강도가 상기 제1 진동피크의 신호강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피크의 신호강도가 상기 제1 진동피크의 신호강도보다 낮지 않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피크의 강도가 상기 제1 진동피크의 신호강도보다 낮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 및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과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에서 신호곡선이 중첩되거나 또는 유사하면,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조작 또는 조작명령이 상기 신호특징에 대응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상기 기계학습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의 결과는 상기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은 훈련된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의 훈력처리는 상기 특징추출모델의 훈련처리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훈련된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 이미지를 처리하고,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의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은 신경망모델, 논리회귀모델, 서포트벡터머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경망모델을 예로 들면, 상기 신경망모델은 복수의 층, 예를 들면 입력층, 하나 이상의 나선형층, 하나 이상의 비선형 활성화층, 하나 이상의 풀링층(pooling layers), 하나 또는 하나의 완전히 연결된 층, 및/또는 출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경망모델은 상기 입력층의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획득하고, 중간층을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비주얼 특징 또는 패턴을 추출 및/또는 분별하고, 상기 특징점의 특징 또는 패턴과 함께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상기 출력층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별된 특징점은 특징식별자 또는 특징벡터로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식별된 특징점은 대표적인 신호특징점,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최고점 및 최저점, 진동피크의 최종점 및 시작점,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상기 유저는 종종 부주의로 또는 불가피하게 일정한 동작을 실행하여 진동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타겟대상이 오류 조작(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장치(130)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킨다)을 실행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된 상기 실내환경(600)을 예로 들면, 유저가 상기 침대(620)에서 잘 때, 그의 손 또는 머리는 실수로 상기 헤드보드(630)를 터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보드(630)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조작명령이 상기 조명(640)을 켜는 것인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실수로 상기 조명(640)을 제어하여 켤 수 있으며, 상기 유저의 잠에 영향을 주고 유저의 체험을 일정한 정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로부터 얻은 감지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감지신호("제1 감지신호"라고도 한다)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와 상기 제1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역치시간(예를 들면, 1s, 2s, 3s, 5s, 10s, 15s, 등)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감지신호로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신호 역치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역치는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유저의 오터치 또는 유저의 의식적인 동작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 여부를 측정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 역치는 상기 신호강도의 역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강도 역치는 2db ~ 10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강도 역치는 4db ~ 8db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신호강도 역치는 6db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신호강도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감지신호는 상기 유저의 의식적인 동작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1 감지신호 뒤의 시간범위(예를 들면, 역치 시간범위)내의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할 수 있다. 신호강도가 상기 신호강도 역치보다 작은 신호의 경우, 이는 상기 유저의 오터치에 의해 생성되는 제1 감지신호로 인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아무런 처리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응용장면에서, 상기 유저는 애완 고양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그 애완 고양이가 상기 문(610)을 긁어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고,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조명(640)을 켜거나 끄는 것인 경우, 상기 조명(640)은 실수로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한 주체가 유저 및 상기 유저에 의해 지정된 조작명령을 발부할 수 있는 특정된 주체인지 여부의 결정에 근거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한 주체가 유저 또는 조작명령을 발부할 수 있는 특정된 주체인지 여부를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주체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하는 주체의 윤곽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한 주체가 유저 또는 조작명령을 발부할 수 있는 특정된 주체인지 여부를 상기 윤곽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하는 주체가 유저 또는 조작명령을 발부할 수 있는 특정된 주체가 아니라고 결정한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임의의 조작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실내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상기 기술의 설명은 집, 거처 또는 호텔을 참고로 진행했지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러한 기술을 통해 구현하는 특징, 처리, 알고리즘 및 기계장치가 쉽게 다른 환경, 예를 들면 사무실, 창고, 차고 또는 기타 환경에 응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실내환경(600)은 거처, 집 환경, 또는 호텔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환경(600)은 유저의 거처의 침실 또는 객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환경(600)은 유저가 있는 호털의 하나의 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실내환경(60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조명(640))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기장치(130)는 처리장치(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상기 문(610)은 상기 실내환경(600)의 입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640)(예를 들면, 전구, 고정장치, 램프, 등)은 상기 실내환경(600)의 측벽 또는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조명(640)의 스위치는 상기 실내 조명(640) 부근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실내 조명(640)을 제어하여 끄거나 켤 수 있다. 침대(620)는 상기 실내환경(600)의 바닥과 측벽 사이의 연결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침대(620)는 헤드보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610)과 상기 헤드보드(630)는 감지장치(110)(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예를 들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된다고 결정하는 경우, 조작명령을 타겟대상(예를 들면, 상기 조명(640)의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타겟대상은 제어되어 조작(예를 들면, 상기 조명(640)의 켜기, 끄기, 색온도 조절, 밝기 조절,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밤에 상기 실내환경(600)에 들어갈 때(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밤에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객실 또는 침실에 들어가는 경우), 상기 유저는 상기 조명(640)을 켤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문(6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문(610)에 대해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조명(640)은 제어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조명을 켜기), 이는 상기 측벽으로 걸어가서 스위치를 켜는 것에 비교하여 더 편리하고 안전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문(610)의 특정된 구역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 손잡이는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상기 문(610)을 열 때, 상기 유저는 조작명령을 발부하여 상기 진동수신구역에서의 노크, 토닥임, 긁기를 통해 상기 조명을 켤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문(610)의 표면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문(610)의 표면을 통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된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문(610)의 중심, 상기 문(610)의 가장자리, 등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문(610)의 중심이 상기 유저가 노크하거나 토닥일 때 높은 진폭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문(610)의 중심에 설치(예를 들면, 상감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문(610)의 상기 실내환경(600)으로부터 멀어지는 표면의 특정된 구역은 진동수신구역의 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문(610)의 상기 실내환경(600)으로부터 멀어지는 표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는 손으로 특정된 조작을 실행하여 진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진동수신구역은 상기 문(610)의 상기 실내환경(600)으로부터 멀어지는 표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는 상기 문(610)을 발로 차서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환경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저가 연속하여 상기 헤드보드(630)를 3회 노크할 때, 상기 헤드보드(63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보드(63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하고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210 )(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의 칩)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해 특징식별을 실행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1s내에 두 진동피크 사이의 0.5s 이하의 간격을 두고 3개의 진동피크를 구비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이 "예"이면, 상기 조명(640)의 현재 조명상태는 연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640)이 켜진 상태에 있으면(즉, 제1 상태), 상기 조명(640)을 끄는 명령이 발부되어 상기 조명(640)을 꺼진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즉, 제2 상태). 상기 램프(640)가 꺼진 상태이면(즉, 상기 제2 상태), 상기 조명(640)을 켜는 명령이 발부되어 상기 조명(640)을 켠 상태로(즉, 상기 제1 상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210 )는 상기 감지신호가 1s내에 3개의 진동피크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이 0.5s를 초과함을 결정하면, 아무런 조작도 실행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가 침대 옆에 없는 경우, 상기 유저는 밤중에 일어났을 때 어둠속에서 스위치를 찾아야 하며, 넘어지거나 부딛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보드(630)에 장착되고, 상기 조명(640)은 상기 헤드보드(630)에서 특정된 조작을 실행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할 뿐만 아니라 편리하기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침대(620) 주위에 여러개의 스위치와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환경(600)이 호텔의 하나의 방인 경우,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상기 조명(640))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침대(620)의 상기 헤드보드(63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특정된 타겟대상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유저는 특정된 스위치를 찾아야 할 수 있다. 진동감지장치가 상기 헤드보드(630)에 장착된 경우, 상기 타겟대상은 간단한 노크, 토닥임, 긁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예를 들면, 특정된 조작으로 상기 조명(640)을 끈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실내환경(600)의 설치는 도 6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환경(600)은 다른 타겟대상, 예를 들면 스마트 티비, 커튼, 에어컨,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저는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기타타겟대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튼은 상기 실내환경(60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는 상기 시스템(100)에 의해 상기 커튼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보드(630)는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또는 1s내의 유사한 시간간격으로 노크되어 상기 커튼을 제어하여 끌어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차내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차내환경(80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장치(예를 들면 차내장착 에어컨, 차내장착 스피커, 차창,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장치는 시스템(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감지유닛(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은 조수석 보관함(8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조수석 측의 차내장착 에어컨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조수석 측의 차내장착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연속적으로 상기 조수석 보관함(810)의 표면을 노크하거나 토닥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노크 또는 토닥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의 켜기/끄기 조작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조수석 측의 차내장착 에어컨을 제어하여 켜거나 끌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유닛(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은 핸들(8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단말기장치 예를 들면 차내장착 에어컨, 차내장착 스피커, 차창, 등에 관련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유저는 상기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 상기 차창,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내단말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사가 핸들(820)을 연속적으로 3회 노크할 때, 상기 핸들(820)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는 진동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신호는 2s내의 동일한 시간간격 또는 유사한 시간간격에 3개의 진동피크를 구비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즉, 진동피크의 수량은 3일 수 있고,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식별결과가 "아니오"이면(즉,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지 않음), 아무런 조작도 실행되지 않는다. 식별결과가 "예"이면(즉, 상기 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됨),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의 현재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이 켜진 상태에 있으면(즉, 제1 상태),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을 끄는 명령이 발부되어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을 꺼진 상태(즉, 제2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이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을 켜는 명령이 발부되어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을 꺼진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신호가 2s내에 불균일한 시간간격으로 3개의 진동피크를 가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예를 들면, 제1 진동피크와 제2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1s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진동피크와 제3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2s일 수 있다). 식별결과가 "아니오"이면(즉,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지 않는다), 아무런 조작도 실행되지 않는다. 식별결과가 "예"이면(즉, 상기 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됨),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의 현재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가 켜진 경우,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를 끄는 명령이 발부될 수 있다.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가 꺼진 경우, 상기 차내장착 스피커를 켜는 명령이 발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차내환경(800)의 설치는 도 8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내환경(800)은 기타 타겟대상, 예를 들면 선루프, 카시트 히터, 등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차내환경(800)의 지붕에는 선루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는 상기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선루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핸들(820)은 1s내의 동일한 시간간격 또는 유사한 시간간격에 4번 노크되어 상기 선루프를 닫거나 또는 열 수 있다.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저(예를 들면, 기사)는 상기 차내장착 에어컨과 차내장착 스피커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 등의 조작은 기사의 주의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음성 인터랙션은 상술한 문제를 일정한 정도로 피할 수 있지만, 타이어 노이즈, 음악, 및 대화는 음성 인터랙션에 큰 간섭을 형성할 수 있다. 음성 인터랙션의 제어 방법과 비교하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를 상기 차량의 특정위치에 설치함으로써(예를 들면, 상기 핸들(820)), 상기 기사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에서의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를 통해 눈이 상기 차량의 앞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타겟대상, 예를 들면 차내장착 에어컨, 차내장착 스피커, 선루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차량 운전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기장치를 구비하는 탁상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탁상 환경(100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장치는 하나 이상 유형의 사무실과 오락장치들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상기 탁상 환경(1000)은 테이블(1010) 및 의자(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1010) 및/또는 상기 의자(1020)에는 감지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제1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테이블(1010)에 설치되고 제2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의자(102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테이블(1010)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의자(1020)의 팔걸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예를 들면, 상기 테이블(1010)의 표면의 임의의 위치 및/또는 상기 의자(1020)의 팔걸이)에서 특정된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특정된 진동신호를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입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무실 및 오락장치의 조작 또는 조작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상기 테이블(1010)의 탁상을 노크하는 것과 대응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가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상응한 오락장치(예를 들면, 악기)는 상기 유저의 손가락 노크의 리듬에 대응되는 노래를 편집하고 이를 외부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유저가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저가 상기 의자(1020)의 팔걸이를 토닥이는 것에 대응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될 수 있으며, 관련 마사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등을 마사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탁상 환경(1000)의 설치는 도10에 표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탁상 환경(1000)는 기타 단말기장치, 예를 들면 상기 유저에 의해 눌리는 장난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난감은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상기 장난감을 누를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진동신호를 수집하고 촉각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난감을 1s내에 3회 눌러서 상기 장난감을 연속적으로 흔들리도록 제어하여 손을 마사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시스템(100)은 다른 용도에 응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공장, 스마트 오디오장치.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스마트 공장은 조립라인 운반장치, 로봇팔, 및 일반적인 구역에 장착된 감지유닛(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상기 공장환경은 상대적으로 시끄럽거나 또는 심지어 높은 노이즈로 충만된다. 음성 인터랙션과 비교하면, 상기 유저는 특정된 조작, 예를 들면 노크, 토닥임, 긁기, 등을 실행하여 진동신호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역에 입력하여 장치 예를 들면 조립라인 운반장치,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소음의 방해를 받지 않고 동료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유저가 장치를 제어하거나 통신하는데 편리하고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3s이내의 동일한 시간간격 또는 유사한 시간간격으로 노크할 수 있다. 생성된 진동신호에 대응되는 조작명령은 상기 조립라인 운반장치를 작업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로봇팔 및 상기 조립라인 운반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팔 및 상기 조립라인 운반장치를 조작하여 생성된 진동신호가 상기 유저가 입력한 상기 진동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0)은 스마트 오디오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스피커)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스피커는 그에 설치(예를 들면, 접착)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스피커 자체는 상기 단말기장치로써 상기 진동감지장치(예를 들면, 블루투스 연결 수단)와 연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는 특정된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스피커에 대해 노크, 토닥임, 긁기,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손바닥으로 상기 스마트 스피커를 토닥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손바닥의 토닥임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을 기설정된 특징조건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또는 조작명령이 결정되어 다음 노래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스피커의 인터랙션모드는 주로 음성 인터랙션일 수 있으며, 촉각 정보의 부족은 상기 유저의 인터랙션 체험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진동감지장치를 상기 스마트 스피커의 하우징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유저와 상기 스마트 스피커 사이에 촉각 인터랙션이 구축되어 상기 인터랙션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예를 들면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넘어지기,등)을 감시하고 분석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스템(100)은 감지장치(110)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의 신호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가 결정되고 , 상기 유저의 건강상태는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의해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10)는 진동감지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장치(110)는 심박수 측정부, 혈당 측정부, 혈압 측정부, 혈중 지질 측정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시스템(100)은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단말기장치(130))의 조작 또는 조작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타겟대상을 제어하여 상응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에게 보다 종합적인 건강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식적인 기능은 건강상태기록, 경고 내보내기, 지원요청 내보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1100)은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처리장치(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1100)은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의 형식으로 저장장치(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의 독립 저장유닛 또는 저장장치(140))에 저장될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1100)은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이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할 때 구현될 수 있다. 아래의 처리의 조작은 단지 설명의 목적만을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1000)는 설명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조작에 의해 및/또는 논의된 하나 이상의 조작이 없이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와 아래의 기재에서 상기 처리(1000)의 조작의 순서는 한정적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1000)는 인간건강감시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111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1110 은 감지신호획득모듈(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하나의 중요한 소리전도방식으로서 골전도를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가속도계,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헬멧, 스마트 시계, 스마트 의류, 스마트 백팩, 스마트 액세서리, 및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면, 머리, 목, 귀, 등).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직접 상기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구역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 예를 들면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떨림, 부딪침, 넘어짐, 등은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유저의 골격 또는 근육을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신호를 획득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처리장치(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112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1120은 신호특징식별모듈(3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1120은 상기 처리 400에서의 상기 조작420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신호 를 처리하고 (예를 들면, 시간 영역처리 및/또는 주파수 영역처리, 등),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부터 관련 정보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의 주파수 성분, 등을 읽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진동신호의 상기 관련 데이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을 직접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두 진동피크를 획득한 시간에 근거하여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을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특징, 예를 들면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신호지속기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상이한 신체활동, 예를 들면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떨림, 부딪침, 넘어짐은 상이한 진동신호(예를 들면, 상이한 주파수 성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지속시간 및/또는 신호강도를 가지는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는 상이할(예를 들면, 상이한 주파수 성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지속시간 및/또는 신호강도를 가지는 진동신호)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재채기를 할 때,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는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진동피크의 지속시간은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상기 유저가 하품을 할 때,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는 많은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명한 진동피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신체활동에 대응되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예를 들면, 도 12a 내지 도12e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113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1130은 조작확정모듈(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생리학적 상태는 상기 유저의 신체가 처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각 신체활동은 상응한 생리학적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는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 또는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는 기침 상태, 재채기 상태, 코골이 상태, 하품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는 떨리는 상태, 부딪친 상태, 넘어진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함으로써 상기 신호특징을 결정한 후,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식별된 신호특징이 복수의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하나의 기설정 특징, 복수의 기설정 특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특징을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작은 시간간격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진동피크가 역치시간(예를 들면, 5s, 8s, 10s, 15s, 등) 이내에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많은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하고, 선명한 진동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많은 저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각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이한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10s내의 작은 시간간격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진동피크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기침 상태인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서 상기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60%를 차지하고, 선명한 진동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는 하품 상태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서 상기 저주파수 신호성분이 70%를 차지하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는 넘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복수의 유저의 실제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품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복수의 유저가 하품할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을 이용하여 모델을 결정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각 생리학적 상태의 상기 기설정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결정모델은 예를 들면,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결정모델은 훈련된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결정모델의 훈련처리는 상기 특징추출모델의 훈련처리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과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5s내에 3개 이상의 진동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수집된 감지신호에서 5s내에 나타나는 진동피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두개만의 진동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부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과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과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에서 신호곡선이 중첩되거나 유사하면,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를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1140에서, 상기 처리장치(120)는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110)를 구비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작1140은 조작확정모듈(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더 나아가 상기 타겟대상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조작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명령은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단말기장치(130), 등)에게 지시하여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위험한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이동단말기)의 조작, 예를 들면, 오디오 문의 발송(예를 들면, "당신은 위험해요?", "당신은 도움이 필요하세요?"), 경고 발송(예를 들면, 이동단말기를 통해 사전에 저장한 연락처에 경고를 발송(예를 들면 핸드폰), 외부협조청구(예를 들면, 공공안전기관 및 병원에 도움청구를 전송),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하품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관련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관련정보는 상기 감지신호의 주파수(상기 신체활동의 주파수를 반영하도록 구성됨),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상기 신체활동의 유형을 반영하도록 구성됨), 상기 감지신호가 나타나는 시간(상기 신체활동의 특정된 시각 또는 시간기간을 반영하도록 구성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록된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골이 주파수가 주파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목구멍에 질환이 있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코를 훌쩍거리거나 또는 재채기 하는 주파수가 주파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감기에 걸렸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의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를 상기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핸드폰)에 전송하고/하거나 전송하여 상기 유저가 보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의 관련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관련정보는 상기 유저의 병력, 나이, 및 다양한 생리학적 파라미터(예를 들면, 혈압, 혈당, 심박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의 관련정보는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와 통신되는 이동단말기를 통해)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심박수 측정부, 혈압 측정부, 혈당 측정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상기 다양한 생리학적 파라미터는(예를 들면, 혈압, 혈당, 심박수, 등)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가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가 넘어진 상태라고 결정한 경우, 상기 유저의 나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유저의 나이가 80세인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직접 상기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이동단말기)를 제어하여 경고를 발행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저의 나이가 20세인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여 오디오 문의를 발행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청년들과 비교하여, 중년 및 노년들은 넘어진 후 더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가정맴버들 및 친구들에게 즉시 경보를 발송하여 상기 유저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12e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신체활동에 대응되는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각각 상기 유저가 기침, 하품, 재채기, 코골이 및 넘어진 경우에 생성하는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e에서 상기 진동감지신호가 상이한 신호특징을 구비하는 상이한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2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기침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여러번 기침하며, 따라서 작은 간격을 구비하는 복수의 진동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도12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하품하는 경우,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는 많은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명한 진동피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재치기를 하는 경우,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많은 고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피크의 지속기간은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도 12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전화를 할 때,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내의 상기 고주파수 신호성분은 증가되고 집중될 수 있다. 도12e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가 넘어진 경우,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는 더 많은 저주파수 신호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신체활동의 진동감지신호 주파수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예를 들면,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의 주파수는 기본상 5kHz(f1에서의 주파수는 5kHz일 수 있다)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공진 주파수(즉, 고유 주파수)는 5kHz보다 작아야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0.5kHz ~ 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0.8kHz ~ 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1kHz ~ 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1.25kHz ~ 4.7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1.5kHz ~ 4.5kHz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고유 주파수는 2kHz ~ 4.5kHz일 수 있다.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될수록 높아서 상기 획득한 진동신호가 더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50)dBV/(m/s2) ~(-10)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5)dBV/(m/s2) ~(-15)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0)dBV/(m/s2) ~(-15)dBV/(m/s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25)dBV/(m/s2) ~(-20)dBV/(m/s2) 일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헤드셋(1400)일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 또는 유닛은 상기 헤드셋(1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은 오디오 출력기능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400)은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은 오디오 출력 및 입력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헤드셋은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은 보청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은 골전도 또는 기전도가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 하나인 헤드셋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은 헤드셋(예를 들면, 모노럴 헤드셋, 바이노럴 헤드셋), 초경음 헤드셋, 인이어 헤드셋,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400)는 상기 인이어 헤드셋일 수 있다. 감지장치(1410)는 상기 헤드셋(14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410)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진동감지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셋에 구축된 골전도는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마이크로 전기기계시스템(MEMS) 가속도계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410)는 상기 헤드셋(1400)을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헤드셋(1400)을 착용했을 때, 상기 헤드셋(1400)은 상기 유저의 신체부분(예를 들면, 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400)에 의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와 상기 헤드셋(1400)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므로써, 전송기간의 상기 진동신호 손실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더 정확하고 완전히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가 상기 헤드셋(1400)에 접촉하는 하우징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일반적으로 일정한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송기간의 상기 진동신호의 손실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수단은 상감, 나사연결, 리벳팅, 용접, 잡착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셋(14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상기 신체부분(예를 들면, 귀)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상기 헤드셋(1400)을 착용할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셋(1400)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유저의 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헤드셋(14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에 전송되지 않고 직접 수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송기간의 상기 진동신호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헤드셋, 한쌍의 스마트 안경, 스마트 헬멧, 등)의 적당한 전체 크기를 가지도록 확보하기 위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에 대해 일정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1mm3 와 10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0.5mm3 와 20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1.5mm3와 5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체적은 2mm3와 1 cm3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셋(1400)을 착용하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400)에 고정연결된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한 후 상응한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감지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이 복수의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기침 상태, 하품 상태, 재채기 상태, 코훌쩍 상태, 코골이 상태, 넘어진 상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되는 신호특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 임의의 하나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조작을 실행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 하나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 예를 들면 넘이진 상태 또는 부딪친 상태인지 여부를 더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상기 넘이진 상태인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대상은 상기 헤드셋(1400)과 상기 헤드셋(1400)와 통신되는 기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400)과 통신하는 기타 장치는 이동 단말기, 예를 들면 핸드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헤드셋(1400)에 조작명령을 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셋(1400)은 오디오 문의 "당신은 위험해요?", "당신은 도움이 필요하세요?"를 상기 유저에게 발행할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상기 오디오 문의에 대답하여 상기 처리장치(120)가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는 오디오(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은 음성 입력기능이 있을 수 있다) "구해주세요"를 회답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이동단말기를 제어하여 사전에 저장한 연락처에 경고를 발행하거나, 또는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유저가 일정한 시간기간(예를 들면, 10s, 20s, 30s, 등)내에 회답하는 것을 탐측하지 못한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사전에 저장된 연락처에 경고를 발행하거나, 또는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가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예를 들면, 기침 상태, 하품 상태, 등)인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관련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유저의 건강상태의 후속 평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헤드셋(1600)(예를 들면, 초경음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 또는 유닛들은 상기 헤드셋(16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셋(160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610)는 상기 헤드셋(16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610)는 상기 헤드셋(1600)(예를 들면, 넘어졌을 때 쇼크)의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진동감지장치(1610)는 MEMS가속도계, 골전도가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폰,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골전도가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의 하나인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헤드셋(1600)의 부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600)은 골전도가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의 하나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600)의 신호처리유닛)는 상기 감지장치(16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은 상기 시스템(100) 중의 단말기장치(13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대상은 상기 헤드셋(1600) 및 상기 헤드셋(1600)과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마트 단말기는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팔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예시적인 응용장면에서, 상기 감지장치(1610)는 진동감지장치 및 운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몸자세와 관련된 운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운동감지장치는 3축 자이로스코프, 3축 가속도계, 3축 전자 나침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를 예로 들면,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는 상기 헤드셋(1600)의 자세 각도와 관련된 정보/데이터(예를 들면, 3개의 직교축의 각속도)를 수집하고 상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세 각도는 피치각(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600)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 요각과 롤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그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몸자세는 예를 들면 엎드리기, 반드시 눕기, 비스듬히 눕기, 등 정지상태, 또는 예를 들면 천천히 일어나기, 등 운동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칩)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정지상태(예를 들면, 엎드리기, 반드시 눕기, 비스듬히 눕기) 및 운동상태(예를 들면, 천천히 일어나기) 일 때의 복수의 유저 신체자세의 상응한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특징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몸자세가 정지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엎드리기)에 대응되는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유저의 몸자세가 정지라고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엎드리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운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 및 상기 운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와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인지 여부 및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는 위험한 상태와 위험하지 않은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일정한 역치시간(예를 들면, 10초, 20초, 30초, 1분, 등)내에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에 있고 유저의 몸자세가 정지(예를 들면, 반드시 눕기)인 경우, 상기 유저가 위험한 상태이고 도움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에 있으나 상기 몸자세가 움직이는 상태인(예를 들면, 천천히 일어나기) 경우, 상기 유저는 위험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가 역치시간 이내에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이고 유저의 몸자세가 정지(예를 들면, 옆으로 누운)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유저가 위험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셋(160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이동단말기(예를 들면, 핸드폰)가 경고를 내보내거나 또는 사전에 저장된 연락처에 외부 도움 청구를 내보내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이나, 유저의 몸자세가 운동상태(예를 들면 천천히 일어나기, 천천히 앉는, 등)라고 결정한 경우, 상기 유저는 위험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셋(160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감지신호의 관련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건강상태의 후속 평가를 쉽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600)은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는 심박수 측정부, 혈압 측정부, 혈당 측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혈관확장, 흉부활동, 혈액구성, 등을 감지하고 분석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유저의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부분(예를 들면, 손목, 상박, 머리, 등)의 펄스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장치(120)를 통해 상기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혈압을 결정하는 광전자 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칩)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 상기 운동감지장치 및/또는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와 결합하여,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또는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는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 및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일정한 역치시간(예를 들면, 10초, 20초, 30초, 1분, 등)내에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이고 유저의 몸자세가 정지이고(예를 들면, 반드시 눕기),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상기 역치(예를 들면, 상기 심박수가 기설정된 심박수 역치보다 낮고, 상기 혈당이 기설정된 혈압 역치보다 낮고, 상기 혈압이 기설정된 혈압 역치보다 높은, 등)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저가 위험한 생리학적 상태에 있고 도움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심박수가 기설정된 심박수 역치보다 낮고, 상기 혈당이 기설정된 혈당 역치보다 낮고, 및/또는 상기 혈압이 기설정된 혈압 역치보다 높으면 정상적인 인체의 심박수, 혈당 및/또는 혈압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설정된 심박수 역치는 100 박자/분, 120 박자/분, 140 박자/분, 160 박자/분, 등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이나 유저의 몸자세는 운동상태(예를 들면, 천천히 일어나기) 또는 각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역치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유저는 위험하지 않은 생리학적 상태이고 도움이 필요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지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의 하나의 조건에만 근거하여 결정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유저의 상기 몸자세 및/또는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와 결합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더 정확하고 효과적일 수 있으며,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나중에 실제 상황에 더 부합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은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헤드셋(1600))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 및 운동감지장치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MEMS가속도계("가속도계"라고 부른다)일 수 있다. 상기 운동감지장치는 3축 자이로스코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셋(1600)(예를 들면, 부딪치기, 넘어지기, 등)을 착용한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이 생성한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600)에 고정연결된 상기 MEMS가속도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MEMS가속도계가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한 후, 상응한 감지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는 상기 유저의 신체의 자세각도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600)의 신호처리유닛)는 상기 MEMS가속도계가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한 후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며, 따라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가속도 분석을 실행하고, 따라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가 상기 신호를 수집한 후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여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몸자세 분석을 실행하여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과 결합하여 경고를 발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이고 유저의 몸자세가 역치 시간내에 정지라고 결정한 경우, 상기 유저가 위험한 상태라고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예를 들면, 핸드폰)가 사전에 저장된 연락처에 경고를 내보내거나 또는 외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헤드셋(1600))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 운동감지장치 및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에 근거하여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가속도계일 수 있다. 상기 운동감지장치는 3축 자이로스코프일 수 있다.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는 심박수 측정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셋(1600)(예를 들면, 부딪치기, 넘어지기, 등)을 착용한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600)에 고정연결된 상기 MEMS가속도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MEMS가속도계가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한 후, 상응한 감지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는 상기 유저 신체의 자세 각도에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심박수 측정부는 상기 유저의 심박수에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600)의 신호처리유닛)는 상기 MEMS가속도계가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한 후 생성한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가속도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3축 자이로스코프가 상기 신호를 수집한 후 생성한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여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몸자세 분석을 실행하여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심박수 측정부가 상기 신호를 수집한 후 생성한 상기 감지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여 상기 유저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유닛(120)(예를 들면, 상기 심박수 측정부의 처리유닛(예를 들면, 칩))은 상기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심박수치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유저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유저의 심박수의 결정에 근거하여 경고를 내보내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가 상기 유저가 넘어진 상태에 있고, 유저의 몸자세가 역치 시간내에 정지이고 및/또는 상기 유저의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역치(예를 들면, 최소혈압이 기설정된 최소혈압 역치(예를 들면 140mmHg, 160mmHg, 160mmHg, 180mmHg, 등)를 초과하는 영우)를 초과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유저가 위험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가 사전에 저장된 연락처에 경고를 내보내거나 또는 외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 단지 상기 신체활동만을 통해 상기 유저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상기 유저의 생리학적 파라미터, 등의 결정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유저의 상태를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나중에 상기 실제 상황에 더 적합하게 결정되며, 따라서 상기 유저의 신체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감지장치(110)는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설치(예를 들면, 접착, 버클 연결, 등)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특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특정된 위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유저의 골격 또는 근육을 통해 전도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상대적으로 완전하게 및 똑똑하게 수신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특정된 위치는 상기 유저의 콧대, 귀, 입, 목구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위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유형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안경인 경우,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안경의 콧대틀 또는 태양혈과 귀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헤드셋인 경우,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는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하나의 진동감지장치 또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헤드셋(1900)(예를 들면, 인이어 헤드셋)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 또는 유닛들은 상기 헤드셋(19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셋(190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헤드셋(19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헤드셋(19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설치(예를 들면 접착, 버클 연결 등)되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의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에서 상기 헤드셋에 내장된 골전도는 주요 소리전도방식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MEMS가속도계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처리장치(120)(예를 들면, 핸드폰 또는 컴퓨터)는 상기 헤드셋(1900) 및 상기 감지장치(11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910)는 진동감지장치일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헤드셋(1900)을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저가 1900을 착용한 경우, 상기 헤드셋(1900)은 상기 유저의 신체부분(예를 들면, 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900)을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정확하게 전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부분(예를 들면, 귀)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는 상기 헤드셋(190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은 상기 유저의 치아 태핑과 마찰일 수 있다. 상기 유저는 차아를 태핑(tapping)하거나 마찰하여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유저의 골격 또는 얼굴 근육을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900)은 상기 유저의 일측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900)은 상기 유저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에 착용한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유저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에 전송되는 상기 진도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헤드셋(1900)은 상기 유저의 양쪽 귀에 착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900)은 2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헤드셋, 초경음 헤드셋, 인이어 헤드셋, 등일 수 있다. 상기 2개의 스피커는 각각 상기 유저의 왼쪽 및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은 상기 유저의 왼쪽 및 오른쪽 귀에 전송되는 진동신호를 수집하는 2개의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21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에 의해 생성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210)는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 예를 들면, 상기 타겟대상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타겟대상은 상기 헤드셋(1900) 또는 단말기장치(130)(예를 들면, 이동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자동차에 내장된 장치(예를 들면 차량 엔진시스템, 에어컨, 차전등, 앞유리 와이퍼, 등), 스마트 홈장치(예를 들면 조명, 털레비젼, 커튼, 등),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210)가 상기 진동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을 결정하는 조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1 및 상기 본 개시의 관련 기재에서 찾을 수 있다.
버튼, 조작패널, 등을 통해 상기 단말기장치(예를 들면,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치아 태핑으로 조작명령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단말기장치에 내보내면 상기 유저의 손을 해방시키고, 어떤 상황에서는 더 안전할 수 있다(예를 들면, 운전, 사이클링, 및 어두운 환경). 이와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단말기장치를 제어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치아 태핑으로 조작명령을 상기 단말기장치에 내보내는 것은 더 비밀적일 수 있으며, 주위 사람들을 간섭하지 않고, 상기 유저의 개인정보의 비밀유지에 이로울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신호(예를 들면, 치아 태핑)는 상기 유저의 면부 골격 또는 근육을 통해 진동감지장치(1910)에 전송될 수 있다. 진동신호전송 처리는 도 21을 참고할 수 있다.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저의 상기 치아 태핑은 P점을 태핑할 때 진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유저의 면부 골격을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점으로부터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로 전송되는 상기 진동신호의 경로는 상기 도면에서 A 전송경로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가 상기 진동신호를 수집할 때, 상응한 진동감지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진동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은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신호강도, 주파수 성분, 또는 신호지속기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진동피크의 수량은 치아 태핑의 수량을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태핑하는 속도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강도는 상기 치아 태핑의 강도를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상기 치아 사이에 다른 물체(예를 들면, 음식)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반영할 수 있다. 다른 물체가 존재한다면, 상기 저주파수 성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신호지속기간은 전체 진동감지신호의 지속기간 또는 하나의 진동피크의 지속기간을 반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복수의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의 하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각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타겟대상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 또는 상기 타겟대상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을 실행하는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특정된 태핑 동작의 결합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특징을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연속적인 태핑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특징(진동피크 시간간격 Δt가 제1 태핑간격역치 t0보다 작다)을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헤드셋(1900)을 켜기/끄기 전환하는 조작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느린 태핑에 대응되는 신호특징(진동피크 시간간격 Δt가 제1 태핑간격역치 t0보다 작고 제2 태핑간격역치 t1보다 작다)을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은 상기 헤드셋(1900)을 켜기/끄기 전환하는 조작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 중의 하나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특징이 2개의 연속적인 태핑의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헤드셋(1900)을 제어하여 상기 켜기/끄기 조작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헤드셋(1900)의 상태를 탐측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1900)이 켜진 상태인 경우(즉, 제1 상태), 상기 헤드셋(1900)이 꺼진 상태(즉,제2 상태)로 조절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1900)이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헤드셋(1900)을 켜진 상태로 조절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장치가 특정된 위치에 설치된 상기 진동감지장치(예를 들면, 도 22에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헤드셋(1900)의 오른쪽 부분에만 설치된다)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호특징은 상기 진동감지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감지신호의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및/또는 신호지속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유닛이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예를 들면, 도 24에서, 진동감지장치(1920와 1910)는 각각 상기 헤드셋(1900)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에 설치된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은 상기 상이한 위치의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의 위상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는 진동원의 위치(즉, 상기 치아 태핑의 태핑점P)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태핑점P이 상기 우측에 있는 경우, 상기 태핑점P과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상기 진동감지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진동전도경로의 길이(예를 들면, 상기 태핑점P로부터 상기 왼쪽의 진동감지장치(1920) 까지의 상기 진동전도경로B와 상기 태핑점P로부터 오른쪽의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까지의 상기 진동전도경로A)는 다를 수 있다. 오른쪽의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먼저 상기 진동신호를 포획하고, 왼쪽의 상기 진동감지장치(1920)는 후에 상기 진동신호를 포획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진동감지장치(1910) 및 1920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진동신호는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상차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전도경로B와 상기 진동전도경로A 사이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와 1920의 위치는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태핑점P(예를 들면, 왼쪽, 오른쪽, 중간, 등)의 위치는 결정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상기 진동원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즉, 상기 치아 태핑점P), 상기 유저는 상기 태핑점P의 위치, 태핑 수량 및/또는 태핑간격, 등을 변경함으로써 더 많은 유형 및 더 복잡한 치아 태핑조작을 결합하여 더 복잡한 타겟대상 조작 또는 조작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상기 유저는 부주의로 또는 의식적으로 치아 태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음식을 먹을 때 치아 태핑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저가 말할 때 치아 태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저가 신체활동을 체험할 때, 예를 들면 떨림, 재채기 등 및 외부 충격(예를 들면, 부딪치기) 시, 치아 태핑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은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촉발할 수 있다(즉, 오촉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를 차폐하거나 식별하여 상기 오촉발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감지장치의 상기 진동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신호("제2 감지신호"라고도 부른다)가 획득된 후,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2 감지신호의 관련정보, 예를 들면 주파수, 신호강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2 감지신호의 관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가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가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 역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감지신호는 오촉발신호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역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유저가 음식을 먹고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는 오촉발신호로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타겟대상은 임의의 조작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감지장치(110)는 오디오 입력장치(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폰은 웨어러블 기기의 부품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상기 헤드셋(1900)). 상기 진동감지신호("제3 감지신호"라고도 부른다)를 획득한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동시에 유저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상기 유저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3 감지신호는는 오촉발신호로 지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저가 다른 사람과 말하거나 또는 통신설비로 전화하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이때 생성하는 상기 감지신호는 오촉발신호로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타겟대상은 아무런 조작도 실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신호("제4 감지신호"라고도 부른다)를 획득한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오촉발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제4 감지신호를 상기 기계학습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오촉발신호인지 여부의 결과는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오촉발신호이면, 상기 타겟대상은 아무런 조작도 실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오촉발신호가 아니면, 상기 신호와 상기 제4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다른 하나의 역치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시간(예를 들면, 2s, 3s, 5s, 10s, 등)은 상기 처리장치(120)에 의해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은 훈련된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의 훈련처리는 상기 특징추출모델의 훈련처리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부재들 또는 유닛들은 상기 헤드셋(19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헤드셋(190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헤드셋(1900)의 오른쪽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헤드셋(1900)의 왼쪽 부분에는 진동감지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유저의 치아 태핑 기간에, 태핑점P에서 진동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진동전도경로A를 통해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수집된 진동신호에 근거하여 상응한 진동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진동감지신호 중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감지신호는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신호특징 스펙트럼으로부터 진동피크의 수량, 상기 신호의 주파수 성분, 등을 읽을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저의 치아 태핑에 대응되는 감지신호의 신호특징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신호는 3개의 진동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집/생성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3개의 진동피크 중 상기 2개의 앞의 진동피크의 시간간격은 Δt1일 수 있으며, 상기 3개의 진동피크 중 상기 2개의 뒤의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은 Δt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특정된 치아 태핑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특징은 기설정 특징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치아 태핑은(1) 2회 연속적인 태핑: Δt; (2) 2회 느린 태핑: t1>Δt>t0; (3)3회 연속적인 태핑: Δt; (4) 3회 느린 태핑: t1>Δt1>t0, t1>Δt2>t0; (5) 2회 연속적인 태핑 + 1회 태핑: Δt1>Δt2>t0; (6) 1회 느린 태핑 + 2회 연속적인 태핑을 포함할 수 있으며, t1>Δt1> t0, Δt2Δt은 2개의 인접된 태핑 사이의 시간간격(2개의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을 반영할 수 있다)을 표시한다. t0 은 제1 태핑간격역치를 표시하고, t1은 제2 태핑간격역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태핑간격역치 t0은 0.1s ~ 1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태핑간격역치 t0은 0.15s ~ 0.9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태핑간격역치 t0은 0.2s ~ 0.8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태핑간격역치 t1은 0.8s ~ 5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태핑간격역치 t1은 0.9s ~ 4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태핑간격역치 t1은 1s ~ 2s일 수 있다.
상술한 치아 태핑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은 각각 상기 타겟대상의 상이한 조작에 대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조작은 전원 켜기/끄기, 재생/임시정지, 전화 걸기/끊기, 음량 높이기/낯추기, 블루투스 켜기/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치아 태핑, 관련 파라미터의 값, 및 상기 상응한 타겟대상의 조작은 단지 예로써, 본 개시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의 상기 치아 태핑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특정된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이 상기 특정된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고 결정하고,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단말기장치, 예를 들면 헤드셋(1900), 핸드폰, 등)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되는 타겟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에 기재된 상기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본 실시예에서, 헤드셋(1900)의 왼쪽 및 오른쪽 부분은 각각진동감지장치(1920와 191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는 상기 진동감지장치(1920)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치아 태핑점P에서 생성된 상기 진동신호는 진동전도경로(B)를 통해 왼쪽의 상기 진동감지장치(1920)에 전도될 수 있으며, 진동전도경로A를 통해 오른쪽의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에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장치(1910와 1920)는 각각 감지신호a 및 감지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감지신호a 및 상기 감지신호b의 신호특징을 식별하고(예를 들면, 상기 감지신호a/b의 진동피크, 상기 감지신호a/b의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상기 감지신호의 a/b신호지속기간, 및/또는 상기 감지신호a와 상기 감지신호b의 위상차)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특정된 치아 태핑에 대응되는 상기 신호특징은 기설정된 특징조건으로 지정될 수 있다. 왼쪽 치아, 오른쪽 치아, 또는 중간 치아(예를 들면, 앞니)를 통해, 예시적인 치아 태핑은 (1) 2회 연속적인 태핑: Δt; (2) 2회 느린 태핑: t1>Δt>t0; (3)3회 연속적인 태핑: Δt1; (4)3회 느린 태핑: t1>Δt1>t0, t1>Δt2>t0; (5) 2회 연속적인 태핑 + 1회 느린 태핑: Δt1>Δt2>t0; (6) 1회 느린 태핑 +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1>t0, Δt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상기 치아 태핑은 상기 왼쪽 치아, 상기 오른쪽 치아, 및 상기 중간 치아의 협력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1) 상기 왼쪽(즉, 상기 왼쪽 치아) 2회 연속적인 태핑+상기 오른쪽(즉, 상기 오른쪽 치아) 1회 태핑: Δt1>Δt2>t0; (2) 상기 왼쪽 2회 연속적인 태핑 + 상기 중간(즉, 상기 중간 치아) 1회 태핑: Δt1>Δt2>t0; (3) 상기 오른쪽 2회 연속적인 태핑+상기 왼쪽 1회 태핑: Δt1>Δt2>t0; (4) 상기 오른쪽 2회 연속적인 태핑+ 상기 중간 1회 태핑: Δt1>Δt2>t0; (5) 상기 중간 2회 연속적인 태핑+상기 오른쪽 1회 태핑: Δt1>Δt2>t0; (6) 상기 중간 2회 연속적인 태핑+상기 왼쪽 1회 태핑: Δt1>Δt2>t0; (7) 상기 왼쪽 1회 태핑 +상기 오른쪽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8) 상기 왼쪽 1회 태핑+상기 중간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9) 상기 오른쪽 1회 태핑+상기 왼쪽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10) 상기 오른쪽 1회 태핑 +상기 중간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11) 상기 오른쪽 1회 태핑 +상기 오른쪽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12) 상기 중간 1회 태핑+상기 왼쪽 2회 연속적인 태핑: t1>Δt2>t0, Δt2.
상술한 치아 태핑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은 각각 상기 타겟대상의 상이한 조작에 대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조작은 전원 켜기/끄기, 재생/임시정지, 전화 걸기/끊기, 긴급 연락처로 전화 걸기/끊기, 응급센터로 전화 걸기/끊기, 음량 높이기/낯추기, 블루투스 켜기/끄기, 조명 밝기 높이기/낮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치아 태핑 및 상기 상응한 타겟대상의 조작은 단지 예로써, 본 개시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유저의 치아 태핑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이 상기 특정된 기설정된 특징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처리장치(120)는 상기 특정된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대상(예를 들면, 단말기장치, 예를 들면 헤드셋(1900), 핸드폰, 등)을 제어하여 상기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본 원칙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의 상세설명은 하나의 실시예 뿐이고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여기에서 명기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하여 다양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 개진, 또는 수정은 본 개시의 제시를 받았으며, 이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특정된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어의 상이한 부분에서 기술한 2개 이상의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변형 실시예"는 전부 동일한 실시예로 여길 필요가 없음을 강조하고 인정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본 개시에서 일부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분야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공개의 각 방면은 임의의 새롭고 유용한 처리, 기계, 제품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물질의 조합 또는 그들의 새롭고 유용한 개진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특허 가능한 종류 또는 상황을 통해 기술하고 설명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각 방면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블록", "모듈", "엔진", "유닛", "부재", 또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방면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내에 있는 컴퓨터 제품,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내장한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요소 또는 순서, 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명칭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주장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상기 공개는 상기 공개의 여러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를 통해 현재 본 공개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지만, 이러한 상세내용은 오로지 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수정과 공개된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방안과 동등한 방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의 구현이 하드웨어 장치에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예를 들면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의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는 개시를 능률화하기 위해 어떤 경우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그에 대한 기재에 함께 집중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는 각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특징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상기 공개된 하나의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의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고 주장하는데 사용된 량 및 속성의 개수를 표시하는 숫자는 일부 예에서 용어 "약", "유사", 또는 "기본상" 등으로 수정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유사" 또는 "기본상"은 그 묘사하는 값이±1%, ±5%, ±10%, ±20%의 변화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한 수치 계수는 유사치이며, 그 유사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얻으려는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 계수는 보고된 유효 숫자를 고려하고 일반적인 숫자 보유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범위를 확인하는데 사용된 수치 범위와 계수는 유사치이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이러한 수치는 가능한 범위에서 될수록 정확하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공개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원칙들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비한정적인 대안 형태는 여기에서 주는 암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보여주고 묘사된대로 정확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75)

  1. 시스템으로서,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에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은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또는 신호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고체매체를 통해 진동수신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된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에서의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를 통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접착, 상감, 용접, 리벳 또는 나사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고체매체에 고정연결되는, 시스템.
  7. 제4 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의 진폭이 큰 위치에 설치되는, 시스템.
  8. 제4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인, 시스템.
  10. 제4 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1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신호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신호 역치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1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역치시간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은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또는 넘어지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이동단말기가 건강상태를 기록하거나 경고를 내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진동감지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2KHz 내지 4.5KHz인,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5)dBV/(m/s2) 내지 (-15)dBV/(m/s2)인, 시스템.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운동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몸자세가 정지되었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상기 몸자세의 정지 또는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역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심박수, 혈압, 또는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은 치아 태핑(tapping)을 포함하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상기 특정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및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지속기간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은 상기 상이한 위치에서의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의 위상차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신호의 위상차는 진동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상기 신호지속기간, 및 상기 진동신호의 위상차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상기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2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주파수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주파수 역치보다 작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5.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오디오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3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3 감지신호를 상기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6.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4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오촉발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가 아니라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2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다른 하나의 역치시간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인, 시스템.
  38.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은 진동피크의 수량, 신호강도,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주파수 성분, 또는 신호지속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고체매체를 통해 진동수신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된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상기 진동수신구역에서의 노크, 토닥임, 또는 긁기를 통해 상기 진동수신구역에 입력되는,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접착, 상감, 용접, 리벳 또는 나사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고체매체에 고정연결되는, 방법.
  44. 제41 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고체매체의 진폭이 큰 위치에 설치되는, 방법.
  45. 제41 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특징조건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인, 방법.
  47. 제41 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1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신호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신호 역치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1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역치시간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9. 제39 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된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50. 제39 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유저의 신체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진동감지장치는 상기 유저의 신체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진동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51. 제49 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은 기침, 재채기, 코골기, 하품 또는 넘어지기를 포함하는, 방법.
  52. 제49 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 및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생리학적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유저의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이 기설정 특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신호특징이 상기 기설정 특징에 부합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기설정 특징에 대응되는 상기 생리학적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4. 제49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이동단말기가 건강상태를 기록하거나 경고를 내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5. 제49항에 있어서,
    진동감지장치의 공진 주파수는 2KHz 내지 4.5KHz인, 방법.
  56.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장치의 민감도는 (-35)dBV/(m/s2) 내지 (-15)dBV/(m/s2)인, 방법.
  57. 제49항 내지 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운동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및 상기 유저의 몸자세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몸자세가 정지되었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생리학적 파라미터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되는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넘어졌는지 여부, 유저의 몸자세, 및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유저가 넘어지고, 상기 몸자세의 정지 또는 생리학적 파라미터가 기설정된 역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유저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도움을 청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적 파라미터는 심박수, 혈압, 또는 혈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4.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활동은 치아 태핑을 포함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상기 특정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및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신호지속기간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 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특징은 상기 상이한 위치에서의 진동감지장치의 감지신호의 위상차를 더 포함하고, 감지신호의 위상차는 진동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은
    진동피크의 수량, 두 인접한 진동피크 사이의 시간간격, 상기 신호지속기간, 및 상기 진동신호의 위상차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64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대상의 조작은 상기 단말기장치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1. 제64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2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주파수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2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주파수 역치보다 작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2. 제64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는 오디오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3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가 유저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다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제3 감지신호를 상기 오촉발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3. 제64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제4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오촉발식별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4 감지신호가 상기 오촉발신호가 아니라는 결정에 응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제2 감지신호 사이의 간격이 다른 하나의 역치시간의 범위내에 있는 신호를 상기 감지신호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오촉발식별모델은 기계학습모델인, 방법.
  75.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의 집합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 집합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의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것,
    상기 감지신호의 신호특징을 식별하는 것,
    상기 신호특징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장치와 관련된 타겟대상의 조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들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32021A 2021-08-11 2021-08-11 단말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4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2094 WO2023015490A1 (zh) 2021-08-11 2021-08-11 终端控制系统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71A true KR20230024871A (ko) 2023-02-21

Family

ID=8517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021A KR20230024871A (ko) 2021-08-11 2021-08-11 단말기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49441A1 (ko)
EP (1) EP4155875A4 (ko)
JP (1) JP2023539969A (ko)
KR (1) KR20230024871A (ko)
CN (1) CN115968461A (ko)
BR (1) BR112022016306A2 (ko)
TW (1) TW202307621A (ko)
WO (1) WO2023015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5736A (zh) * 2021-04-18 2023-09-12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医学设备控制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6901B2 (en) * 1998-06-23 2004-02-03 Immersion Corporation Enhancing inertial tactile feedback in computer interface devices having increased mass
US6424356B2 (en) * 1999-05-05 2002-07-23 Immersion Corporation Command of force sensations in a forceback system using force effect suites
US6704671B1 (en) * 1999-07-22 2004-03-09 Avid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the onset of a sonic event
US6615770B2 (en) * 2001-06-19 2003-09-09 Sharper Imag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nimal behavior
WO2004034937A1 (en) * 2002-10-17 2004-04-29 Arthur Prochazk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or process with vibrations generated by tooth clicks
US20060259205A1 (en) * 2005-05-13 2006-11-16 Robert Bosch Gmbh Controlling systems through user tapping
CN101355746B (zh) * 2007-07-27 2012-05-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US8737024B2 (en) * 2010-02-26 2014-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adjustable overcurrent protection threshold circuit, a method for generating a compensated threshold signal and a power supply employing the circuit or method
CA2902912C (en) * 2013-02-26 2022-02-01 Quake Glob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wristband
US9575508B2 (en) * 2014-04-21 2017-02-21 Apple Inc. Impact and contactless gesture inputs for docking stations
CN104814741A (zh) * 2015-04-01 2015-08-05 北京科技大学 一种基于无线网络传输的智能姿态监测设备
US20160334901A1 (en) * 2015-05-15 2016-11-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haptic effects to users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s
WO2016207680A1 (en) * 2015-06-25 2016-12-29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hands-free user interaction with a wearable computing device
US10198074B2 (en) * 2016-02-18 2019-02-05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enabled modular peripheral device assembly
CN107770360A (zh) * 2016-08-18 2018-03-06 联想(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的控制方法、终端设备和可穿戴设备
CN107049280B (zh) * 2017-05-23 2020-03-31 宁波大学 一种移动互联网智能可穿戴设备
US10366584B2 (en) * 2017-06-05 2019-07-30 Immersion Corporation Rendering haptics with an illusion of flexible joint movement
GB201718006D0 (en) * 2017-10-31 2017-12-13 Mogees Ltd A user interface for vehicles
WO2019204751A1 (en) * 2018-04-20 2019-10-2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enabled wearable device
US20210219923A1 (en) * 2018-05-08 2021-07-22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providing alerts of a fall risk by predicting risk of experiencing symptoms related to abnormal blood pressure(s) and/or heart rate
TWI662514B (zh) * 2018-09-13 2019-06-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跌倒偵測方法以及使用此方法的電子系統
CN109996382A (zh) * 2019-04-03 2019-07-09 苏州科技大学 一种节能型室内照明控制方法和系统
US20210052221A1 (en) * 2019-08-23 2021-02-25 Vitaltech Properties, Llc System, method, and smartwatch for protecting a user
US12014109B2 (en) * 2019-09-26 2024-06-18 Apple Inc. Adaptive audio output
CN113131915A (zh) * 2019-12-31 2021-07-16 梅特勒-托利多(常州)测量技术有限公司 金属按键的判键方法
CN113147969A (zh) * 2020-01-22 2021-07-23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电动车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CN111768757A (zh) * 2020-07-10 2020-10-1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US11685307B2 (en) * 2021-02-26 2023-06-27 Dsrj Inc. Turn signal control system and methods
WO2022193327A1 (zh) * 2021-03-19 2022-09-2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信号处理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045099A1 (en) * 2021-07-06 2023-02-09 Optum Technology, Inc.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simultaneous likelihood prediction and conditional cause prediction
US20230026400A1 (en) * 2021-07-21 2023-01-26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Directional vehicle steering c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7621A (zh) 2023-02-16
EP4155875A1 (en) 2023-03-29
JP2023539969A (ja) 2023-09-21
WO2023015490A1 (zh) 2023-02-16
CN115968461A (zh) 2023-04-14
EP4155875A4 (en) 2023-07-26
US20230049441A1 (en) 2023-02-16
BR112022016306A2 (pt)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5552B (zh) 驾驶员状态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JP6170313B2 (ja) 脈波センサ
CN208227260U (zh) 一种智能蓝牙耳机和蓝牙交互系统
CN107205659A (zh) 用于改善与监视睡眠的方法和装置
CN103919536A (zh) 便携式生物计量监测装置及其操作方法
CN104793526A (zh) 具有主人身份辨别功能的智能交互系统
CN109259724B (zh) 一种用眼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穿戴式设备
CN109040462A (zh) 行程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穿戴式设备
CN109407858A (zh) 一种智能眼镜
WO2017205558A1 (en) In-ear utility device having dual microphones
US202300494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rminal control
CN109067627A (zh) 家电设备控制方法、装置、穿戴式设备及存储介质
CN106540444A (zh) 一种游乐场体感操作游戏头盔
CN204971260U (zh) 头戴式电子设备
CN109117819B (zh) 目标物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穿戴式设备
CN205788741U (zh) 一种用手势控制电器的智能穿戴
JP709569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5794526B2 (ja) 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CN109116445A (zh) 天气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206836422U (zh) 一种可调节式智能手环
JP729662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361727B (zh) 信息共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穿戴式设备
GB2415486A (en) Control device wearable on an ear or cap
RU2806269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оконе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208537830U (zh) 一种穿戴式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