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59A -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59A
KR20230024859A KR1020220101362A KR20220101362A KR20230024859A KR 20230024859 A KR20230024859 A KR 20230024859A KR 1020220101362 A KR1020220101362 A KR 1020220101362A KR 20220101362 A KR20220101362 A KR 20220101362A KR 20230024859 A KR20230024859 A KR 2023002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in body
baby
fasten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908B1 (ko
Inventor
홍영호
Original Assignee
홍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호 filed Critical 홍영호
Publication of KR2023002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는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 및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하단이 중앙으로 만입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좌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좌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우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우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와 연결된 제4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SHAMPOO ASSIST DEVICE FOR INFANT AND TODDLER}
본 발명은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쉽게 감길 수 있게 보조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활 능력이 없는 영유아 단계의 아기는 목욕이나 샴푸가 보호자에 의해 행해진다. 이때 아기의 얼굴은 몸에 비하여 매우 예민한 부분이기 때문에, 보호자는 아기의 몸을 씻기는 목욕보다 머리를 감기는 샴푸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
기존에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감기는 경우, 보호자는 한 손을 사용하여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게 되는데, 이때 보호자의 손목과 팔, 허리 등에 지속적으로 무게가 가해지기 때문에 보호자가 금방 지치게 됨은 물론이고, 아기 역시 균형이 맞지 않는 불안한 상태에 있어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이처럼 불안정한 상태에서 머리를 감기다가 물이나 비누 거품이 얼굴에 튀는 경우에, 아기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울거나 발버둥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기가 머리 감기에 대해 두려움과 거부감이 생기게 될 수 있기에, 지금까지도 아기의 머리를 감기는 일은 보호자에게 많은 힘과 기술적인 면을 요하는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편하게 감길 수 있는 자세로 아기를 눕힐 수 있으면서,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롭도록 하여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보조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는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 및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하단이 중앙으로 만입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좌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좌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우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우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와 연결된 제4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좌측 벨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우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벨트의 타단과 상기 우측 벨트의 타단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벨트 및 상기 우측 벨트는 각각 암수로 구비된 벨크로를 구비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는 상기 제4 벨트의 일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좌측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4 벨트의 타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우측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벨트의 전면 좌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벨트의 전면 우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를 연결하는 제5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5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5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벨트의 후면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벨트의 후면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후면 좌측에 상기 제2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 및 후면 우측에 상기 제3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상기 제3 벨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면과 대향하는 제4 측면; 그리고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는 제5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제1 측면은 상기 상단 돌출부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의 제1 측면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암수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방수 재질의 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상기 제5 측면에 개폐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로운 채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하여, 보호자와 아기 모두에게 편의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기 위한 별도의 탈결합 과정을 요하지 않고, 보호자의 양 어깨를 벨트에 거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이때 벨트는 보호자의 어깨와 등 전반에 아기의 무게를 고루 분산시키며, 어깨에 걸린 벨트가 신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된 벨트는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하여 아기와 보호자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놓으면,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아기의 체형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돌출부와 지지부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벨트가 분리/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을 기준으로, 평면에서 위로 나오는 방향을 전면, 평면에서 아래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면이라고 지칭한다. 도 1의 y축 방향으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중심을 나눌 때, 중심의 도면 왼쪽을 전면 좌측, 중심의 도면 오른쪽을 전면 우측이라고 지칭한다. 도 1 에서 지칭한 좌측/우측 방향을 후면에서도 통일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는 y축 방향으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중심을 나눌 때, 중심의 도면 왼쪽을 후면 우측, 중심의 도면 오른쪽을 후면 좌측이라고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의 y축의 위쪽을 상단, y축의 아래쪽을 하단으로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는 본체부(110),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제3 벨트(140), 제4 벨트(150) 및 제5 벨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상단 돌출부(111) 및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돌출부(111)는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2)는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하단이 중앙으로 만입된 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돌출부(111)와 지지부(112)는 일체의 형태로 제작되거나,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돌출부(111)와 지지부(112)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2)의 측면은 제1 측면(1); 제1 측면(1)과 대향하는 제2 측면(2); 제1 측면(1)과 제2 측면(2)을 연결하는 제3 측면(3); 제1 측면(1)과 연결되고 제3 측면(3)과 대향하는 제4 측면(4); 그리고 제2 측면(2)과 제4 측면(4)을 연결하고 본체부(110)의 중앙의 어느 일 지점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는 제5 측면(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5 측면(5)은 본체부(110)의 우하단에서 지지부(112)의 중앙의 어느 일 지점을 향해 만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측면(5)은 본체부(110)의 좌하단에서 지지부(112)의 중앙의 어느 일 지점을 향해 만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측면(5)은 본체부(110)의 중앙 하단에서 지지부(112)의 중앙의 어느 일 지점을 향해 만입될 수 있다.
지지부(112)는 제1 측면(1)에 상단 돌출부(111)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돌출부(111)와 지지부(112)의 제1 측면(1)은 체결부(113)를 통해 암수 결합할 수 있다. 상단 돌출부(111)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아기 두상의 모양 또는 크기에 따라 맞는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상단 돌출부(111) 및 지지부(112)를 포함한 형태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프레임을 둘러싸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는 제2 측면 또는 제5 측면에 개폐(ex. 지퍼)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납부를 통해 프레임 커버 속에 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커버는 방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벨트(120) 내지 제5 벨트(160)는 프레임 커버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호자는 프레임 커버 또는 프레임을 교체할 수 있다.
제1 벨트(120)는 본체부(110)의 일측과 본체부(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일측은 제3 측면(3) 방향 중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110)의 타측은 제4 측면(4) 방향 중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과 타측은 본체부(110)의 측면 영역뿐만 아니라, 전면 또는 후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벨트(120)는 일체형의 고무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벨트(120)는 분리/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벨트(120)가 분리/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벨트(12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좌측 벨트(121)와, 본체부(110)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우측 벨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좌측 벨트(121)의 타단과 우측 벨트(122)의 타단은 각각 암수로 구비된 벨크로를 구비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벨트(120)는 아기를 본체부(110)에 눕힌 채 아기의 복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12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길이 조절용 버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벨트(130)는 본체부(110)의 후면 좌측으로부터 본체부(110) 전면 좌측의 상단을 둘러 본체부(110)의 좌측 하단(ex. 제2 측면(2) 또는 제3 측면(3)) 또는 중앙 하단(ex. 제2 측면(2) 또는 제5 측면(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길이 조절용 버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본체부(110)의 하단 쪽에서 버클(131)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본체부(110)의 후면 우측으로부터 본체부(110) 전면 우측의 상단을 둘러 본체부(110)의 우측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길이 조절용 버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본체부(110)의 우측 하단에 버클(1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4 벨트(150)는 본체부(110)의 전면 방향에서 일단이 제2 벨트(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벨트(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벨트(15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 조절용 버클(1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자는 제2 벨트(130)에 왼쪽 어깨를 걸고, 제3 벨트(140)를 오른쪽 어깨에 걸어 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제4 벨트(150)는 보호자가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를 어깨에 건 상태에서, 제2 벨트(130) 또는 제3 벨트(140)가 어깨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호자의 가슴쪽에서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를 연결할 수 있다. 동시에, 제4 벨트(150)는 아기의 무게를 보호자의 신체 전반에 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벨트(150)는 보호자가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를 어깨에 건 상태에서, 제2 벨트(130) 또는 제3 벨트(140)가 어깨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호자의 등쪽에서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를 연결한다. 동시에, 제4 벨트(150)는 아기의 무게를 보호자의 신체 전반에 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는 보호자의 가슴쪽에 위치하는 제4 벨트(도 6의 150)와 보호자의 등쪽에 위치하는 제4 벨트(도 7의 15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벨트(130)는 제4 벨트(150)의 일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좌측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제4 벨트(150)의 타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우측 체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벨트(150)는 일단이 제2 벨트(130)의 전면 좌측 체결부(132)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제3 벨트(140)의 전면 우측 체결부(142)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보호자는 체형에 따라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에 제4 벨트(150)를 체결하는 위치를 달리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5 벨트(160)는 본체부(110)의 후면 방향에서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5 벨트(16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제2 벨트(130)와 제3 벨트(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제5 벨트(160)의 일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제5 벨트(160)의 타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벨트(160)는 일단이 제2 벨트(130)의 후면 좌측 체결부(133)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제3 벨트(140)의 후면 우측 체결부(143)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후면에서 본체부(110)의 전면 상단으로 넘어오는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 각각이 아기의 어깨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5 벨트(160)는 후면의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아기가 본체부(110)의 상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는 제5 벨트(160)를 포함하지 않고 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후면 좌측에 제2 벨트(130)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134)와, 후면 우측에 상기 제3 벨트(140)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130)의 일단은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134) 중 하나와 체결되고, 제3 벨트(140)는 일단이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144)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134)와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144)는 x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자는 아기의 어깨 간격에 따라,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134) 중 하나와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144) 중 하나의 간격을 선택하여, 제2 벨트(130)의 일단과 제3 벨트(140)의 일단을 본체부(1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의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아기가 본체부(110)의 상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된 '좌측', '우측'은 서로 대칭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로운 채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하여, 보호자와 아기 모두에게 편의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기 위한 별도의 탈결합 과정을 요하지 않고, 보호자의 양 어깨를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에 거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벨트(120)는 아기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제4 벨트(150)는 보호자의 어깨와 등 전반에 아기의 무게를 고루 분산시켜, 어깨에 걸린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가 어깨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5 벨트(160)는 아기가 본체부(110)의 상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 사이의 간격을 아기의 어깨 간격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구비된 제1 벨트(120) 내지 제5 벨트(160)는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하여 아기와 보호자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놓으면,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아기의 체형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10: 본체부 111: 상단 돌출부 112: 지지부
120: 제1 벨트 121: 좌측 벨트 122: 우측 벨트
130: 제2 벨트 140: 제3 벨트 150: 제4 벨트
160: 제5 벨트 131, 141, 151, 161: 버클
113: 체결부 132: 전면 좌측 체결부 142: 전면 우측 체결부
133, 134: 후면 좌측 체결부 143, 144: 후면 우측 체결부

Claims (15)

  1.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 및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고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하단이 중앙으로 만입된 형태를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좌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좌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본체부의 후면 우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전면 우측의 상단을 둘러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와 연결된 제4 벨트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좌측 벨트;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우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벨트의 타단과 상기 우측 벨트의 타단은 서로 체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벨트 및 상기 우측 벨트는,
    각각 암수로 구비된 벨크로를 구비하여 서로 체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을 각각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는,
    상기 제4 벨트의 일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좌측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4 벨트의 타단과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전면 우측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벨트의 전면 좌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벨트의 전면 우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를 연결하는 제5 벨트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5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5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벨트의 후면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 벨트의 후면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후면 좌측에 상기 제2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 및
    후면 우측에 상기 제3 벨트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후면 좌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고,
    상기 제3 벨트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후면 우측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측면과 대향하는 제4 측면; 그리고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는 제5 측면을 포함하고,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제1 측면은,
    상기 상단 돌출부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의 제1 측면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암수 결합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둘러싸는 방수 재질의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상기 제5 측면에 개폐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KR1020220101362A 2021-08-12 2022-08-12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KR102510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384 2021-08-12
KR20210106384 2021-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59A true KR20230024859A (ko) 2023-02-21
KR102510908B1 KR102510908B1 (ko) 2023-03-16

Family

ID=8532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362A KR102510908B1 (ko) 2021-08-12 2022-08-12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9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804U (ja) * 2004-09-17 2005-02-17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ブリッジベルト付ベビーキャリア
WO2006065332A1 (en) * 2004-10-13 2006-06-2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rier
JP2012115625A (ja) * 2010-11-29 2012-06-21 Fusae Aso 入浴時乳幼児の頭や体を安全にシャンプーするためのホルダー
KR20130049624A (ko) * 2011-11-04 2013-05-14 김건형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033425B1 (ko) * 2018-04-27 2019-10-17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휴대용 세발대
WO2020058280A1 (en) * 2018-09-19 2020-03-26 Handy Baby Products Limited An apparatus for bathing an infant
KR102222110B1 (ko) 2020-06-25 2021-03-03 김형섭 샴푸 보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5643C (fi) * 1989-01-31 1996-03-11 Procter & Gamble Menetelmä tuottaa kiinnitys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804U (ja) * 2004-09-17 2005-02-17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ブリッジベルト付ベビーキャリア
WO2006065332A1 (en) * 2004-10-13 2006-06-2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rier
JP2012115625A (ja) * 2010-11-29 2012-06-21 Fusae Aso 入浴時乳幼児の頭や体を安全にシャンプーするためのホルダー
KR20130049624A (ko) * 2011-11-04 2013-05-14 김건형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033425B1 (ko) * 2018-04-27 2019-10-17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휴대용 세발대
WO2020058280A1 (en) * 2018-09-19 2020-03-26 Handy Baby Products Limited An apparatus for bathing an infant
KR102222110B1 (ko) 2020-06-25 2021-03-03 김형섭 샴푸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908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7569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US9877595B2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9357852B2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US9545159B2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20040244097A1 (en) Adult garment, child garment, and parent and child garment
KR20150053581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N204292705U (zh) 多功能婴儿载具
KR102510908B1 (ko)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US9113722B1 (en) Waist-mounted baby harness
KR102564064B1 (ko)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JPH0994136A (ja) 乳幼児キャリア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101403024B1 (ko)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KR20120082651A (ko) 목걸이형 아기띠
KR200476692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CN209846199U (zh) 一种婴幼儿服装
KR200239677Y1 (ko) 수유용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