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16A -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116A
KR20230024116A KR1020210106249A KR20210106249A KR20230024116A KR 20230024116 A KR20230024116 A KR 20230024116A KR 1020210106249 A KR1020210106249 A KR 1020210106249A KR 20210106249 A KR20210106249 A KR 20210106249A KR 20230024116 A KR20230024116 A KR 2023002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ctim
information
data
life jacket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한
최종운
Original Assignee
(주)봄커뮤니케이션
최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봄커뮤니케이션, 최종운 filed Critical (주)봄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1010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116A/ko
Publication of KR2023002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관련 구성요소들의 활성화되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수중, 파도 등)에서도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난자의 구조와 수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이후 다시 비활성화되어서 전력 및 통신 자원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수난자의 수난 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아이오티 기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난자의 구조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지기는 상기 수난자의 조작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급버튼 또는 상기 수난자가 물에 빠진 것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난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A victim location tracking system equipped with IoT devices installed in life jackets}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관련 구성요소들의 활성화되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수중, 파도 등)에서도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난자의 구조와 수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이후 다시 비활성화되어서 전력 및 통신 자원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바다 낚시, 스킨스쿠버, 수상스키 등 다양한 수상 활동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어업 활동으로 어선 전복, 어선 충돌 등의 사고로 인해 선원들의 수난 사고뿐만 아니라 내륙의 행정선 등의 수난사고(의암호 사건 등)고 발생하고 있다.
수난사고 발생시 수난자의 위치 확인이 어려워 수색활동과 구조 등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 수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이나 시스템이 나와 있지만 수상에서의 다양한 변수(파도, 침수, 위치 확인 등)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수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게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877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내수면에서 선박의 이상발생시 신고자가 전자지도를 바탕으로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신고 및 빠른 대응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조난발생시 선박위치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선박의 정보를 수상구조대 및 관제시스템에 통지를 하여 신속한 대응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를 제공할 뿐, 수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수난자가 선박에서 벗어나 있거나 표류한 경우에는 수난자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서 수난자의 구조가 어렵다는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877호(등록일자 : 2014년 11월 14일, 발명의 명칭 :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관련 구성요소들의 활성화되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수중, 파도 등)에서도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난자의 구조와 수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이후 다시 비활성화되어서 전력 및 통신 자원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수난자의 수난 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아이오티 기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난자의 구조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지기는 상기 수난자의 조작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급버튼 또는 상기 수난자가 물에 빠진 것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난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오티 기기는, 감지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GPS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와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구명조끼의 버클이 채워졌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버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로부터 버클 상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와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버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관련 구성요소들의 활성화되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수중, 파도 등)에서도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난자의 구조와 수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이후 다시 비활성화되어서 전력 및 통신 자원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이오티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이오티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500)은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수난자의 수난 상황 발생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기(200),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감지기(200)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400)를 통해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아이오티 기기(100) 및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난자의 위치 추적 및 구조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감지기(200), 이들에 연결되는 아이오티 기기(100), 이들과 아이오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중계기(400) 및 중계기를 통해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수난자의 위치 추적 및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감지기(200)는 상기 수난자의 조작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급버튼 또는 상기 수난자가 물에 빠진 것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난 감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명조끼를 착용한 수난자가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스스로 수난 상황에 대한 긴급 상황을 관제 서버(300)에 알리고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200)는 수난자의 조작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응급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난자는 수난 상황 발생을 인식하면 상기 응급버튼을 누르게 되고, 상기 응급버튼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수난 상황 발생 메시지가 생성되어 아이오티 기기(100)로 입력되며,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메시지는 수난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수난 정보 데이터로 구성되어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수난자의 의지에 따른 상기 응급버튼의 조작과 달리, 상황이 긴급하여 수난자가 상기 응급버튼을 조작할 수 없을 수도 있고, 상기 수난자의 응급버튼 조작 여부와 별개로 수난자의 수난 발생을 센싱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기(200)는 다양한 수난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난 감지 센서는 상기 수난자가 물에 빠진 것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로 채택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센서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난 감지 센서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 감지 센서 또는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난 감지 센서는 수난자가 물에 빠졌을 때 동작하여 수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이면 다양한게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응급버튼 또는 수난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감지기(200)는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직접 탑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구명조끼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기(200)는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직접 탑재되어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고 있는 구명조끼에 부착 배치되어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100)와 통신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응급버튼 또는 수난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감지기(200)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와 별도로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 배치되는 경우, 수난 상황 발생 메시지의 생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구명조끼의 여러 부분에 부착 배치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감지기(200)가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는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는 상기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대응하는 감지기(200)의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생성하는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는 사물 인터넷 기반 기기로서 센서 등에 해당하는 상기 감지기(200)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사물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각각의 아이오티 기기(100)가 생성 및 구성하여 전송되는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 중계기(400)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들과 LoRa 등 아이오티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난자의 위치 추적과 신속한 구조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 수난자의 위치 추적 및 구조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고 분석 결과에 따라, 지리정보시스템(GIS) 상에 수난자의 위치를 표출하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난자의 위치로 구조를 위한 긴급 투입 등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400)는 복수의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아이오티 기기(100)에서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중계기(400)에 포함되어 있는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수난 상황이 발생하여 상기 감지기(200)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바로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함께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구명조끼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ID 등)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는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 및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로 구성하여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가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 및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로 구성하여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 포함되는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통해 구명조끼를 특정할 수 있고, 후술하는 구명조끼의 버클 상태 데이터를 통해 해당 고유 정보를 가지는 구명조끼가 수난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난자 위치를 지리정보시스템에 표출하고, 알람을 발생하고 긴급 출동 명령을 내리는 등 신속한 상황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고정형일 수도 있지만,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이동형 관제 서버(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통해 수난자의 위치를 GIS에 표출하고 위치 추적을 통해 구조 등의 동작을 취할 수 있는데, 이때,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GPS 정보를 분석 및 표출하는 과정에서, 전송되는 GPS 정보가 아이오티 기기(100)에 포함되는 GPS부의 오동작에 의해 생성된 GPS 정보에 해당한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포함되는 GPS부의 안테나는 물에 의해 전파 산란 또는 반사 등으로 인해 오동작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잘못된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잘못된 GPS 정보가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잘못된 GPS 정보를 반영하게 되면 잘못된 위치 추적이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급격한 항로 변경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제 서버(300)는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GPS 정보를 분석하면서, 현재 진행 방향에서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 방향으로 항로를 변경하게 만드는 GPS 정보는 잘못된 GPS 정보로 판단하여 무시하도록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제 서버(300)는 잘못된 GPS 정보로 인하여 수난자의 위치 추적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고, 급격한 항로 변경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이오티 기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이오티 기기(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 기기(100)는 전체적인 동작 및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0), 감지기(2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5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지기(20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GPS부(50)에서 생성한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8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400)로 전송하는 통신부(60), 아이오티 기기(1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통신을 제어하는데, 특히, 상기 감지기(200)로부터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GPS부(50)를 활성화시켜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와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감지기(200)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만을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바로 상기 GPS부(50)를 활성화시켜 수난자의 위치 정보, 즉 GPS 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 그리고 아이오티 기기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은 관제 서버(300)는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통해 수난 발생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수난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추적할 수 있으며,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통해 수난자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상기 감지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8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감지기(200)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탑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명조끼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감지기(200)는 모듈 형태로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를 구성하는 기판에 함께 탑재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상기 감지기(200)와 상기 제어부(10)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 또는 연결 단자 또는 연결 소켓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20)는 TTL232 등을 통해 상기 제어부(10)가 상기 대응하는 감지기(200)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기(200)에서 생성된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1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상기 감지기(200)에서 생성된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바로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중계기(400)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GPS부(50)를 통해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W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GPS부(5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고, 현재의 GPS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상기 GPS부(5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8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함께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GPS부(50)는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는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PS부(50)는 안테나를 포함하는데, 상기 GPS부(50)는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안정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이중으로 배치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안테나는 물에 부양할 수 있는 케이블 형태의 부양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GPS부(50)는 안테나를 포함하되, 듀얼 안테나를 채택 적용하고, 하나의 안테나는 아이오티 기기(100)에 탑재된 형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안테나는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에 연결되되, 케이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케이블 형태의 안테나는 구명조끼를 착용한 수난자가 수중에 있더라도 부양되어 GPS 정보가 정상적으로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 형태의 안테나는 구명조끼에 부착되되, 구명조끼가 수중으로 들어갈 때 부양되어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PS부(5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GPS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한 후, 다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비활성화되어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GPS부(50)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GPS부(50)에 의해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 좀 더 구체적으로 아이오티 기기(100)의 고유 정보 및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까지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중계기(400)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되는데, 이 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감지기(200)의 상태 정보(고장 여부 등) 데이터, 아이오티 기기(100)의 상태 정보(고장 여부, 배터리 상태 등)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기(200)에서 생성되어 전달되는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GPS부(50)에 의해 생성되어 전달되는 GPS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8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스토리지(8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GPS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리지(80)는 저장 용량을 최소화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리지(80)는 외부 메모리서 16KB의 F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RAM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토리지(80)는 아이오티 기기의 고유 정보,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GPS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상태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통신부(6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60)는 LoRa, NB-IoT, LTE-Cat.M1, 기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통신부(60)는 LoRa(917MHz ~ 923.5MHz) 및 NB-IoT(Uplink : 824MHz~849MHz/downlink : 869MHz~894MHz) 대역이 호환되어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정에 따라 다양한 대역에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LoRa 통신 방식 또는 NB-IoT 통신 방식 또는 LoRa 통신과 NB-IoT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아이오티 기기의 고유 정보,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GPS 정보, 배터리 정보 및 상태 등 다양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는 항상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가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에만 활성화되고,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대기 모드 상태에서 대기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신부(60)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를 포함한 상기 인터페이스(20), GPS부(50), 스토리지(80), 통신부(60) 및 아이오티 기기(10)와 동일한 기판에 함께 탑재되는 상기 감지기(200)의 작동을 위해서는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전원부(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원부(70)는 상기 제어부(10), 인터페이스(20), GPS부(50), 스토리지(80), 통신부(60) 및 아이오티 기기(10)와 동일한 기판에 함께 탑재되는 상기 감지기(200)의 개별 동작, 연계 동작 및 통신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부(70)는 배터리를 채택 적용할 수 있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의 상태, 구체적으로 배터리의 고장 여부 또는 배터리의 잔량 정도는 상기 제어부(10)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검지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전원부(70)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 구체적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기능을 통해 검지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중계기(400)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검지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상기 중계기(400)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때 함께 전송하는 것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에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30)는 제어부(10)의 내부 메모리로서, 기기(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로 하는 펌웨어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30)는 32KB의 RAM으로 구성되어,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의 동작에 필요로 하는 펌웨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되는 펌웨어는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되는 펌웨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되는 펌웨어는 아이오티 기기(100)에 구비되는 TTL232 포트를 통해 유선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상기 통신부(60)에 BLE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FOTA(Firmware Over-The-Air) 기능을 통해 무선으로도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오티 기기(10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 다양한 환경 센서들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환경 센서들의 검지 데이터를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에 포함시켜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때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10)는 배터리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수난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때, 별도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정보 데이터(환경 센서들의 검지 데이터, 배터리 상태 정보 데이터, 아이오티 기기 상태 정보 데이터 등)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GPS부(50) 및 통신부(60) 등을 제어하여 동작이 필요할 때에만 활성화시키고 동작이 끝나면 비활성화시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부(7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500)가 상기 구명조끼가 수난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인지 또는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사전에 확인된 수난자가 구명조끼를 벗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수난자의 위치 추적 및 구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감지기(200)는 상기 구명조끼의 버클이 채워졌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버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로부터 버클 상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와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감지기(200)는 수난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구명조끼의 버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동작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감지기(200)가 상기 버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기 구명조끼의 버클이 채워졌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기 구명조끼의 버클 내 또는 주변에 설치되어 버클이 채워졌는지 또는 풀어졌는지를 감지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 즉 버클 로킹 데이터 또는 버클 언로킹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술한 감지기(200)와 상기 아이오티 기기(100)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술한 인터페이스(20)의 연결 방법에 의해 상기 제어부(10)에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버클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와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는 상기 중계기(400)를 거쳐 상기 관제 서버(300)에 전송된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저장 분석하여, 해당 구명조끼가 착용되고 있는지 아니면 착용되지 않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전에 전송된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로부터 구명조끼가 착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후, 다시 동일한 구명조끼에 대한 구명조기 정보 데이터로부터 구명조끼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면 해당 구명조끼가 착용되었다가 다시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명조끼의 착용 또는 미착용 확인을 통해,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로부터 수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해당 구명조끼가 수난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 수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에만 해당 수난자가 수난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 수난자의 위치 추적과 구조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구명조끼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에 떠다니다가 표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까지 위치 추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만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상기 통신부(60)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전원부(70)의 전력 소모롤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클 감지 센서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은 역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버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는 사전에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상기 관제 서버(300)의 지령에 따라 상기 버클 감지 센서를 제어하여 바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를 제어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와 함께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자체적으로 버클 상태가 전환된 경우, 즉 버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를 제어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와 함께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상기 중계기(400)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구명조끼의 착용 또는 미착용 또는 착용에서 미착용으로 또는 미착용에서 착용으로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관련 구성요소들의 활성화되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수중, 파도 등)에서도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난자의 구조와 수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구성요소들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이후 다시 비활성화되어서 전력 및 통신 자원 사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어부 20 : 인터페이스
30 : 메모리 50 : GPS부
60 : 통신부 70 : 전원부
80 : 스토리지 100 : 아이오티 기기
200 : 감지기 300 : 관제 서버
400 : 중계기
500 :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Claims (4)

  1.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수난자의 수난 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수난자가 착용하는 구명조끼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감지기로부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난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중계기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아이오티 기기;
    상기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수난 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하여 상기 수난자의 구조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지기는 상기 수난자의 조작에 의해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응급버튼 또는 상기 수난자가 물에 빠진 것을 감지하여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난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티 기기는,
    감지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와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GPS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수난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GPS 정보와 상기 수난 상황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수난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구명조끼의 버클이 채워졌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버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클 감지 센서로부터 버클 상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와 상기 구명조끼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구명조끼 정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클 감지 센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버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버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210106249A 2021-08-11 2021-08-11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3002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49A KR20230024116A (ko) 2021-08-11 2021-08-11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49A KR20230024116A (ko) 2021-08-11 2021-08-11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16A true KR20230024116A (ko) 2023-02-20

Family

ID=8532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249A KR20230024116A (ko) 2021-08-11 2021-08-11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1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77B1 (ko) 2012-05-04 2014-11-25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77B1 (ko) 2012-05-04 2014-11-25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148B1 (ko) 고부력 구명복에 구비되는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를 이용한 조난구조 시스템
KR101523704B1 (ko) 해상 조난신호 송출기 및 이를 구비한 구명조끼
US7053822B2 (en) Wearable satellite tracker
US7119694B2 (en) Proximity dead man interrupter, alarm and reporting system
RU2566830C2 (ru) Система пассив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пассивную безопасность снаряжение на судах для ситуаций "человек за бортом"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US11294074B2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1356022B1 (ko) 위성 통신을 이용한 조난 위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222142A1 (en) Emergency devices
US20230375652A1 (en) Emergency radio beacon remote activation system
KR101389452B1 (ko) 부유식 구명동의 위치추적장치
KR20190081426A (ko)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101942020B1 (ko)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KR102617796B1 (ko) 수상조난 구조요청 장치 및 시스템
KR101995259B1 (ko) 무선기기를 이용한 선외추락 경보장치
KR20230024116A (ko) 구명조끼에 설치되는 아이오티 기기를 구비한 수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70351B1 (ko)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885A (ko) 해양 사고 통보 시스템
KR20170000637A (ko)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재난상황 관제시스템
KR20200046564A (ko) 구명동의
CN210555437U (zh) 一种基于北斗卫星导航系统的无缆报警浮标
KR20200125530A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CN103280073A (zh) 水下人员作业安全监控系统
KR200394768Y1 (ko) 조난신호 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