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111A -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111A
KR20230024111A KR1020210106235A KR20210106235A KR20230024111A KR 20230024111 A KR20230024111 A KR 20230024111A KR 1020210106235 A KR1020210106235 A KR 1020210106235A KR 20210106235 A KR20210106235 A KR 20210106235A KR 20230024111 A KR20230024111 A KR 2023002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s
display
relationship information
positional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2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501B1 (en
Inventor
반슈 칸투부크타
에스 크리스나쿠마르
헤마 벤카타 라마 크리스나 부다티
비시누 발단 레디 마두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01B1/en
Publication of KR2023002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multipl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relative posi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multiple display devices through multiple communication modules; a step of transmitting the relative posi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multiple display devices through the multiple communication modules; a step of calculating a combination relationship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multiple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a step of displaying only display device of a specific group by dividing arbitrary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combination relationship; and a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relative posi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is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nges an optimal display layout in real time.

Description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비디오 월(video wall),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is applicable to, for example, a video wall and digital signage.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예를 들어, 비디오 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등)은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각 타일에 해당 비디오를 표시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스크린에 상기 컨텐츠가 풀(full)로 디스플레이 된다.A multi-tile display system (eg, video wall or digital signage, etc.) divides arbitrary content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video on each tile, so that the content is displayed in full on one screen.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월 솔루션이 고유 ID(예: 1,2,3,4 등)를 설정하여 각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타일을 구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레이아웃(예를 들어, 2x2 매트릭스)을 고정 설정하기 위해 전문가, 사용자 등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while prior art video wall solutions provide a mechanism to organize tiles to display each content by setting a unique ID (e.g., 1,2,3,4, etc.), this approach is For example, in order to fix a 2x2 matrix),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intervention of an expert or a user is absolutely necessary.

나아가, 레이아웃이 전체적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새 타일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마다 전문가, 사용자는 셋팅을 다시 해야 하는 바, 불필요한 시간 소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멀티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 타일에는 상대적 위치를 이해하기 위한 기준점이 없기 때문이다.Furthermore, whenever the layout is entirely changed or a new tile is added or removed, an expert or user has to redo settings, which causes unnecessary time consuming. This is because each tile in the multi-tile display system does not have a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the relative position.

또한, 별도의 중앙 컨트롤러를 사용하거나 특수 하드웨어(HW)를 사용하여 다중 타일 디스플레이를 자동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automatically configuring a multi-tile display using a separate central controller or using special hardware (HW), but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s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각 타일(하나의 TV, 모니터 등)에 설치된 근접 통신 모듈(예: NFC, BLE, IR, RFID, 초음파 등)을 사용하여 감지한 인접 정보를 공유하여 런타임 시 레이아웃 및 치수를 자동으로 계산한 다음 전체 비디오 월의 구성을 자동으로 재조정 하고자 한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ximity information detected using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eg, NFC, BLE, IR, RFID, ultrasonic, etc.) installed in each tile (one TV, monitor, etc.) It wants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layout and dimensions at runtime and then automatically readjust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video wall.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일부 타일에 전원 오프 상태, 네트워크 오프 상태,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등과 같은 예외 시나리오에서 런타임 시 연결된 매트릭스 형성을 기반으로 가장 잘 보이는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복구하고자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ceptional scenarios such as power-off state, network-off state, display-off state, etc. in some tiles, the layout is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most visible display part based on the matrix formation connected at runtime. want to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ransmitt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calcul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Based on the coupling relationship, the method includes dividing arbitrary content and displaying it only on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and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과,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 controller that calculates a display device and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monitors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divides arbitrary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to create a specific group It includes a display module that displays only on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구성된 비디오 월/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매트릭스(예컨대, 전체 디바이스의 개수 및 레이아웃등)에 대한 정보를 전문가/사용자 등이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deo wall/digital sign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re is no need for experts/users to manually input information on a matrix (eg, the number and layout of all device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월/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중앙 컨트롤러(Central coordinator/controller)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not needing to use a separate central coordinator/controller for realizing the video wall/digital sign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일부에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power off, display off, network off 등)가 발생하여도, 최적의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실시간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specific event (eg, power off, display off, network off, etc.) occurs in some of th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entire video wall, an optimal display layout is displayed in real time. There are technical effects that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위에서 예시한 다양한 발명의 효과들 이외에도, 당해 명세서의 전체 취지를 통해 예측 가능한 기술적 효과도 존재하는 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various inventions exemplified above, there are also technical effects predictable through the entire purpose of the specif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비디오 월을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4개의 NFC 모듈들이 결합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블록 모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비디오 월이 전체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월에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은 제1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과 제2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다른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ure 1 shows a process of constructing one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llustrates a process of building a single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video wall in which 9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internal component block modules of a specific display device in which four NFC module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tot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pecific display device and a vide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alculating an optimal display area in a video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perate normally.
8 to 12 illustrate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perate abnormally.
13 illustrates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a group of display devices operating abnormally at a first time point is different from a group of display devices operating abnormally at a second time point.
14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vehicle.
And, Figure 15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a process of constructing one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build a single digital signage system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ust manually in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비디오 월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축하기 위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Set ID1, Set ID2, Set ID3, Set ID4)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연결한다.As shown in (a) of FIG. 1,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Set ID1, Set ID2, Set ID3, and Set ID4) are daisy-chained to build one video wall or digital signage. connect

여기서,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은, 비디오 월,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디스플레이에 장착되어 있는 입/출력 단자를 서로 번갈아 연결해 하나의 입력 영상을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전체 디스플레이에 뿌려 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2x2 비디오 월에도 하나의 입력 소스만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데이지 체인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격자 방식의 그리드 비디오 월(grid video wall)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도 1의 (d) 참조).Here, Daisy Chain is a technology used in fields such as video walls and digital signage. Input/output terminals mounted on displays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one input image to all displays connected in a daisy chain. It is a spraying technique. Thus, even a 2x2 video wall requires only one input source. When such a daisy chain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can be easily made into a grid video wall (see FIG. 1(d)).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이와 같은 비디오 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기 위해 전문가 등의 사용자가 부가 정보들을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However, a problem in the prior art is that a user such as an expert must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video wall and digital signage.

예를 들어, 첫째,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셋트(TV, 사이니지)별로 전문가가 고유의 ID(identification, 식별정보)를 부여해야 한다.For example, first, as shown in (b) of FIG. 1, an expert must assign a unique identification (ID) to each set (TV, signage).

나아가, 둘째,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매트릭스(예를 들어, 2x2, 3x3, 4x4, 5x5 등)를 전문가가 재입력해야만 한다.Furthermore, secondly, as shown in (c) of FIG. 1, the expert must re-enter the matrix of devices constituting the entire video wall (eg, 2x2, 3x3, 4x4, 5x5, etc.).

나아가,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 기술의 다른 문제로서 전체 비디오 월(사이니지)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만 문제가 있는 경우, 컨텐츠가 분할 표시되는 디바이스를 재조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디오 월, 사이니지 주변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체 컨텐츠 중 일부가 생략된 비정상적인 화면만을 시청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s another problem in the prior art,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only one device (eg, TV, monitor, etc.) constituting the entire video wall (signage), the device on which content is divided and displayed do not readjus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users around the video wall and signage have to view only abnormal screens in which some of the entire contents are omitted.

한편, 비디오 월(디스플레이 월)은 여러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대형 시각화 표면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도 비디오 월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개념이다.On the other hand, a video wall (display wall) means a large visualization surface composed of several displays, and the digital signage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concept to the video wal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process of building a single digital signag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월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의 결합관계에 대응할 수 있고, 전문가/사용자 등이 디바이스들의 개수, ID, 결합 관계 등에 대한 정보들을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에서 언급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deo wal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correspond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various devices, and there is no need for experts/users to manuall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devices, ID, coupling relationship,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all problems mentioned in FIG. 1 can be solved.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4개(상하좌우) 측면에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들을 각각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설계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Unlike the prior 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four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video wall. When designed in this wa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display devices located in the periphery can be independently determined based on one display device. A more specific solu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below.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a)에 도시된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주변에 결합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 없이 1x1의 비디오 월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2, it is assumed that there is only one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video wal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splay device of ID1 shown in (a) of FIG. 2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re is no other display device coupled to its surroundings through four NFC tag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Also, based on such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rbitrary content on a 1x1 video wall without division.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2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평 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1x2의 비디오 월에 나누어 표시한다.Meanwhile, as shown in (b) of FIG. 2 ,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o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a video wall.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 display device of ID1 and the display device of ID2 are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four NFC tag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hen, based on this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rbitrary content is divided and displayed on a 1x2 video wall.

나아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3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우측에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하측에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음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비디오 월로 ID1 및 ID2에만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한다. 종래 기술은 이와 같이 직사각형이 아닌 비디오월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as shown in (c) of FIG. 2 ,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a video wall. Each of the display devices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 display device of ID2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and the display device of ID3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based on the display device of ID1 through four NFC tag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is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rbitrary content is divided and displayed only on ID1 and ID2 on a video wall corresponding to a maximum rectangle. The prior art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cope with a non-rectangular video wall.

마지막으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4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4개의 NFC 태그들을 통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준으로, 우측에 ID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하측에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ID4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음(이 정보는, ID2 또는 ID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가능한 정보임)을 스스로 자동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 하여 2x2의 비디오 월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inally, as shown in (d) of FIG. 2,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four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video wall. Each of the display devices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of ID2 on the right side and the display device of ID3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based on the display device of ID1 through four NFC tag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the display device of ID4 is connec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it is connected (th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received from the ID2 or ID3 display device). Also,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and display arbitrary content on a 2x2 video wal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비디오 월을 예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video wall in which 9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비디오 월을 구성하기 위하여,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본 발명은 2x2, 4x4, 5x5 등의 형태가 아닌 비정형 비디오 월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FIG. 3, it is assumed that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to configure a video wall.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non-standard video walls such as 2x2, 4x4, and 5x5.

예를 들어, 도 3에서 가운에 위치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351, 352, 353, 354)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초근접 거리에서만 인식이 가능한 NFC 태그(모듈)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주변인 상하좌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5 display device 350 located in the middle in FIG. 3 h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351, 352, 353, and 354, and can be recognized only at an ultra-close distance, for example. It uses an NFC tag (modu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by itself whether or not the display device is coupl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ound the #5th display device 350 .

도 3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나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10, 320, 330, 340, 360, 370, 380, 390) 역시 각각의 디바이스별로 상하좌우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remaining display devices 310 , 320 , 330 , 340 , 360 , 370 , 380 , and 390 also attach NFC tags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좌측에 설치된 제1 NFC 태그(352)는, #4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40)의 우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왼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NFC tag 352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5th display device 350 communicates with an NFC tag (not shown)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4th display device 340, The #5th display device 350 can recognize that it is positioned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display device on the left.

나아가,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우측에 설치된 제2 NFC 태그(354)는, #6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60)의 좌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오른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NFC tag 354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5th display device 350 communicates with an NFC tag (not shown)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6th display device 360 to display the #5th display. The device 350 may recognize that it is located on the right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display device.

또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상측에 설치된 제3 NFC 태그(351)는, #2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20)의 하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위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third NFC tag 35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5 display device 350 communicates with the NFC tag (not shown)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2 display device 320 to display the #5 display. The device 350 may recognize that it is located above itself in a state of direct contact with another display device.

그리고,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하측에 설치된 제4 NFC 태그(353)는, #8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80)의 상측에 설치된 NFC 태그(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 스스로 아래쪽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직접 컨택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가 있다.And, the fourth NFC tag 353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5th display device 350 communicates with the NFC tag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8th display device 380 to display the #5th display. The device 350 may recognize that another display device is located below itself in a state of direct contact.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는 주변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4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20, 340, 360, 380)의 위치만 인식 가능한 것이 아니고, 전체적인 비디오 월의 구조를 자동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2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20)는, 자신과 직접 컨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310, 330)에 대한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에 NFC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상하좌우 각각에 NFC 태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NFC 태그 위치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Furtherm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5th display device 350 can recognize not only the locations of the four display devices 320, 340, 360, and 380 directly adjacent to the surroundings, but the entire video wall.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stimate the structure of The reason for this is, for example, that the #2 th display device 320 can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s 310 and 330 directly in contact with itself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m to #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fifth display device 350 through NFC communication.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NFC tags on each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all display devices. In particular, it is also important to properly design the location of the NFC tag, and an embodiment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4개의 NFC 모듈들이 결합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블록 모듈들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5번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50)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 도 4에 해당한다.Figure 4 shows internal component block modules of a specific display device in which four NFC module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IG. 4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5th display device 350 shown in FIG. 3 in more detail.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411, 412, 413, 414), 컨트롤러(420) 및 디스플레이 모듈(430) 등을 포함하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삭제, 변경,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400 shown in FIG. 4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411, 412, 413, 414, a controller 420, a display module 430, and the like, and some configurations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Deletion, change, and addition may also correspon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개의 통신 모듈들(411, 412, 413, 414)은, 예컨대 NFC 통신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 한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411, 412, 413, and 414 transmit and receiv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컨트롤러(420)는,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및 주변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The controller 420 calcul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device 400 and a plurality of nearby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monitor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

디스플레이 모듈(430)은,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임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13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display module 430 divides arbitrary content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and displays the content only on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Display devices of a specific group displaying arbitrary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3 below.

한편, 당해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 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이는 NFC 통신을 통해 이루어 지고,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통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전체 레이아웃(매트릭스)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 인식 가능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for example, not onl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display devices directly adjacent to the display device 40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the display devices around the adjacent display device. It includes all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for . This is done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each display device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entire layout (matrix) constituting the video wall through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ll display device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NFC 태그와 통신 간섭이 이루어 지면, 특정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측에서 결합되었는지, 하측에서 결합되었는지, 좌측에서 결합되었는지 또는 우측에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디텍트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re composed of fou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and it is important that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m is minimized. If communication interference is made with another NFC tag,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another display device around a certain arbitrary display device is coupled from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from the left side, or from the right side. Because.

이를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NFC 태그(41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2 NFC 태그(41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3 NFC 태그(4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고, 제4 NFC 태그(4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좌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각각의 NFC 태그들간 거리가 최대값을 유지할 수 있고,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사이즈를 고려할 때, 인접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어느 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오류 없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sidering this, as shown in FIG. 4 , for example, the first NFC tag 411 is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400, and the second NFC tag 41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400. Located in the center, the third NFC tag 414 is located in the righ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400, and the fourth NFC tag 412 is designed to be located in the lef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400. In the case of this design, the distance between each NFC tag can maintain a maximum value, and considering the size of a typical display device 400, which side of the display device 400 is contacted by another adjacent display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비디오 월이 전체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tot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pecific display device and a video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결합하여 비디오 월을 구현할 수가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o implement a video wall.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직/간접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음)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우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좌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상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하측에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결합 여부)를 수신한다(S510). 나아가, 정확한 매트릭스 계산을 위하여 스크린 사이즈(가로/세로) 정보도 함께 수신한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hether or not other display devices are coupled to the right/left side) with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directly/indirect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Whether other display devices are coupled/whether other display devices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whether other display devices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is received (S510). Furthermore, screen size (width/length) information is also received for accurate matrix calculation.

도 5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전송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the display device directly or indirectly transmits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o other connected display devices.

따라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결합 관계를 표시하는 매트릭스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S520).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each and every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video wall to calculate a matrix representing an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S520).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오프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등으로로 스윗칭)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530).However,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isplay device additionally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event (eg, any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video wall is switched to a communication off or display off state) has occurred. (S530).

상기 판단 결과(S530)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S520 단계로 리턴하여, 전체 결합 관계를 표시하는 매트릭스를 업데잇 한다. 이 때, 통신 오프/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외하고 비디오 월을 구성한다. 즉,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롭게 ID/매트릭스 등을 재입력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When a specific event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530), the display device returns to step S520 and updates the matrix displaying the entire coupling relationship. At this time, the video wall is configured except for the display device in the communication-off/display-off state. That is, by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the user to re-enter ID/matrix.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

마지막으로, 상기 판단 결과(S530)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S520 단계에서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540).Final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530), if a specific event is not detected, the display device divides the content based on the coupling relationship calculated in step S520 and controls the display device to be displayed only on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S540). ).

한편, S540 단계에서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한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표시하는데, 특정 그룹을 자동 셋팅하는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Meanwhile, in step S540, arbitrary content is divided and displayed only on display devices of a specific group, and a solu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pecific grou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월에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계산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calculating an optimal display area in a video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간의 결합 관계를 확정 후, 또는 특정 이벤트 감지로 인하여 비디오를 표시할 수 없는 일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optimal display area (specific display devices) after determ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video wall or excluding some display devices that cannot display video due to detection of a specific event. .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rectangular)을 구성하는 경우, 이를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5의 S540 단계)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가장 자연스럽게 하나의 컨텐츠를 비디오 월내 최대 면적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orm the widest rectangle, is referred to as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FIG. 5). Step S540). By designing in this wa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one content can be displayed most naturally in the maximum area within the video wall.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S541 단계에서 판단한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경우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542).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itionally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rectangles determined in step S541 and two or more rectangles are not consecutive at the same time (S542).

상기 판단 결과(S542)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특정 그룹에 동일한 컨텐츠를 각각 풀(full)로 디스플레이 한다(S544).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542), when a plurality of rectangles exist and two or more rectangles are not consecutive at the same time, the same content is displayed in full in two specific groups (S544).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below.

반면, 상기 판단 결과(S542)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동시에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연속하지 않는 2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1개의 특정 그룹에 임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S543).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542), when a plurality of rectangles exist and two or more non-contiguous two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at the same time, an arbitrary content is displayed in one specific group (S543).

도 7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7 illustrates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perate normally.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3 으로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의 NFC 통신을 통해 상대적 위치 정보 및 스크린 사이즈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전체 매트릭스(레이아웃) 구조 및 자신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a) of FIG. 7, it is assumed that 9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in a 3x3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ach display device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entire matrix (layout) structure and its own position by sharing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and screen size information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other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display device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예를 들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 측면에 설치된 NFC 통신을 통해 상측 및 좌측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고, 우측 및 하측에만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ID2, ID4)이 직접 컨택되어 있음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of ID1 automatically indicates that there are no other display devices on the upper and left sides and that other display devices (ID2 and ID4) are in direct contact only on the right and lower sides through NFC communication installed on each side. Recognizable.

나아가,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D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ID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고, ID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ID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각 측면에 NFC 태그 등 근접거리 센서를 부가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간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display device of ID1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D2 display device's surroundings from the ID2 display device, and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ID4 display device's surroundings from the ID4 display device. Since all display devices add a proximity sensor such as an NFC tag to each sid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all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video wall.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전체 시스템의 매트릭스(레이아웃) 및 각자의 상대적 위치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가 있다.Accordingly, all the display devices shown in (a) of FIG. 7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matrix (layout) of the entire system constituting the video wall and their respective relative positions.

그리고, 본 발명의 비디오 월 시스템에 의하면, 이를 통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컨텐츠를 9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위치에 맞는 비디오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video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of FIG. 7, through this, arbitrary content is divided into 9 pieces, and a video suitable for each position is divided and displayed.

다만, 도 7은 최초 연결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어떤 문제도 없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그러나, 비디오 월을 구현하다 보면, 일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만 네트워크 오프, 디스플레이 오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에 대한 대응이 전혀 없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부 화면(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은 꺼지고, 전체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었다. However, FIG. 7 assumes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all initially connected display devices. However, when implementing a video wall, problems such as network off and display off occur only in some display devices, bu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no response to this at all, so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some screens (specific display devices) are turned off, and the entire screen is turned off. There was a frequent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heck the content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A solu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below.

도 8 내지 도 12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8 to 12 illustrate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perate abnormally.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하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ID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통신을 통해 하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a) of FIG. 8, assume a situation in which a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wa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However, a problem occurred in the display device at the bottom of the ID6 display device due to network status and display status off or error. The ID6 display device can check in real tim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lower display de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6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만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전체에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다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생겨도 실제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비디오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ID7 및 ID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동일한 비디오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부 비디오 데이터가 누락된 화면만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비디오를 표시할 레이아웃을 자동 변경 업데잇할 수 있는 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lculated that the widest rectangular screen area is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1 to ID6.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ult, as shown in (b) of FIG. 8 , one content divided based on only display devices ID1 to ID6 is output.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if on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while displaying one content on all nine display devices, the video displayed on each display device is not changed, so the ID7 and ID8 display devices have the same Since video is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can only see a screen in which some video data is missing.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monitor the state of each display device and automatically change and update a layout for displaying a video, there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ID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통신을 통해 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a) of FIG. 9, assume a situation in which a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i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However, a problem occurred in the display device on the top of the ID5 display device due to network status and display status off or error. The ID5 display device can confirm in real tim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upper display de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4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4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만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문제가 없는 ID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ID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아무런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완성된 컨텐츠를 최대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lculated that the widest rectangular screen area is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4 to ID9.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ult, as shown in (b) of FIG. 9 , one content divided based on only display devices ID4 to ID9 is output. Unlike the prior art, by not outputting any video data to the ID1 display device and the ID3 display device, which have no problem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mpleted conten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in the maximum area.

도 10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직간접적으로 인접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NFC 통신을 통해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n (a) of FIG. 10, it is assumed that the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wa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However, a problem occurred in the central display device due to a network state, display state off or error, and the like. All display devic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can confirm in real tim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entral display de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1영역 및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2영역이 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1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full)로 표시하고, 동시에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2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제1영역과 동일)를 풀(full)로 표시한다. 따라서, 가급적 많은 영역에서 완벽한 컨텐츠를 복수개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lculated that the widest rectangular screen area becomes the first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1 to ID3 and the second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7 to ID9.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ult, as shown in (b) of FIG. 10, one complete content is displayed in full in the first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ID1 to ID3, and at the same time ID7 to ID9 One complete content (same as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n full on the second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perfect contents can be displayed in as many areas as possible.

도 11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3개에 동시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직간접적으로 인접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NFC 통신을 통해 정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 of FIG. 11 also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a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wa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However, due to network conditions, display status off or errors, etc., a problem occurred in the three central display devices at the same time. All display devic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can confirm in real tim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entral display de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스크린 영역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1영역 및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제2영역이 된다는 것을 계산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1 내지 ID3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1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full)로 표시하고, 동시에 ID7 내지 ID9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제2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제1영역과 동일)를 풀(full)로 표시한다. 따라서, 가급적 많은 영역에서 완벽한 컨텐츠를 복수개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lculated that the widest rectangular screen area becomes the first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1 to ID3 and the second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of ID7 to ID9.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ult, as shown in (b) of FIG. 11, one complete content is displayed in full in the first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ID1 to ID3, and at the same time ID7 to ID9 One complete content (same as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n full on the second area composed of display device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perfect contents can be displayed in as many areas as possible.

도 12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이외에 나머지 8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모두 문제가 발생하였다.12 (a) also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a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wa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However, problems occurred in all of the remaining 8 display devices other than the display device of ID1 due to network status, display status off or error, etc.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ID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만 완벽한 하나의 컨텐츠를 풀로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여도 풀 컨텐츠가 아닌 9분할된 비디오 일부만 ID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대로 된 사이니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perfect content is displayed in full only on the display device of ID1.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if any problem occurs in other display devices, since only a part of the 9-divided video, not ful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ID1 display device, a proper signage video service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3은 제1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과 제2시점에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다른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예시하고 있다.13 illustrates content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n a group of display devices operating abnormally at a first time point is different from a group of display devices operating abnormally at a second time point.

도 13의 (a) 역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비디오 월)이 최초 3x3, 즉 9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최초 구축되어 있던 상황을 가정한다. 13(a) also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a digital signage system (video wall) is initially constructed with 3x3, that is, 9 display devices.

그러나, 제1시점에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가장 오른쪽 최상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가장 오른쪽 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좌측의 3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가장 중앙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레이아웃을 셋팅할 수 있는 바(3x2), 가장 오른쪽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제외한 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디스플레이 한다.However, if it is detect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rightmost uppermost display device and the rightmost central display device due to network status and display status off or error at the first time point, as shown in (b) of FIG. Similarly, a bar (3x2) that can set the layout of the widest rectangle with the leftmost three display devices and the most central three display devices, one complete content in the area excluding the rightmost three display devices Display full.

그리고, 제1시점 이후 제2시점에, 다른 네트워크 상태 및 디스플레이 상태 오프나 오류 등으로 인하여, 최상단 중앙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최상단 오른쪽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열의 3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가장 하단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가장 넓은 직사각형의 레이아웃을 셋팅할 수 있는 바(2x3), 가장 상단의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제외한 영역에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디스플레이 한다.Further, if it is detect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top center display device and the top right display device due to other network conditions and display status off or errors at a second time point after the first time point, FIG. 13 (c) As shown in, the widest rectangular layout can be set with the three display devices in the middle row and the three display devices at the bottom (2x3), one in the area excluding the three display devices at the top. Full display of complete content.

마지막으로, NFC 통신 등을 통해, 다시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3x3, 즉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분할하여 하나의 완벽한 컨텐츠를 풀로 표시한다.Finally, when it is detected that all display devices are operating normally again through NFC communication, etc., as shown in (d) of FIG. 13, one content is divided into 3x3, that is, all display devices are divided into one Fully display the complete content of

종래 기술에 의하면, 비디오 월을 최초 셋팅 이후 임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오류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과 달리 레이아웃을 재설정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고 일부 데이터가 누락 표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n error or error occurs in any display device after initial setting of the video wall,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out is not reset and the method of dividing video data is not adaptively changed, so perfect content is not displaye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with some data being displayed missing.

도 1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야외의 대형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비디오 월이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여러 다른 기술 분야에도 확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4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limited to a video wall or digital signage system that functions as a large outdoor screen and can be extended to various other technical fields.

예를 들어, 도 14는 본 발명이 차량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뒷좌석에서 볼 수 있도록 차량 앞좌석의 뒷면에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410, 1420)이 분리되어 설치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410, 1420)은 하나의 동일한 컨텐츠를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FIG. 1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As shown in (a) of FIG. 14 , two display devices 1410 and 1420 are separated and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back seat of the vehicl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each of the display devices 1410 and 1420 displays one and the same content.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측면에서 결합시키면, 하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비디오의 일부 영역은 왼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되고, 나머지 비디오의 영역은 오른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표시된다.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b) of FIG. 14, when two display devices are combined from the side, one content is divided so that a part of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left display device and the remaining video is displayed. The area of is displayed on the right display device.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야외의 대형 화면으로서 기능하는 비디오 월이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여러 다른 기술 분야에도 확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Figure 15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limited to a video wall or digital signage system that functions as a large outdoor screen and can be extended to various other technical fields.

예를 들어, 도 15는 본 발명이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휴대폰들(1510, 1520, 1530)이 하나의 동일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For example, FIG. 1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As shown in (a) of FIG. 15, it can be assumed that each of the mobile phones 1510, 1520, and 1530 displays one and the same content.

그러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휴대폰들을 측면에서 결합시키면, 하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비디오의 제1영역은 왼쪽 휴대폰에서 표시되고, 비디오의 제2영역은 가운데 휴대폰에서 표시되며, 비디오의 제3영역은 오른쪽 휴대폰에서 표시된다.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b) of FIG. 15, when three mobile phones are combined from the side, one content is divided and the first region of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left mobile phone, and the first region of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left mobile phone. Region 2 is displayed on the cell phone in the middle, and region 3 of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cell phone on the right.

따라서,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집에서 누구나 소형 비디오 월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yone can implement a small video wall at home without using a large-screen display device.

4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11: 제1 NFC 태그
412: 제2 NFC 태그
413: 제3 NFC 태그
414: 제4 NFC 태그
420: 컨트롤러
430: 디스플레이 모듈
400: display device
411 First NFC tag
412: second NFC tag
413 third NFC tag
414: fourth NFC tag
420: controller
430: display module

Claims (10)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ceiving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ransmitt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calcul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dividing arbitrary content and displaying it only on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and
Monitor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제1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2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3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4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중앙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re composed of fou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and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m is minimized.
A first NFC tag is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NFC tag is locat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third NFC tag is located in the righ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fourth NFC tag is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ef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 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not only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display devices directly adjacent to the display devic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display devices around the adjacent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device of the specific group,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th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constitute the widest rectang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넓은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연속하지 않는 경우,
제1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제2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일한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f a plurality of the widest rectangles exist and are not continuous,
dividing and displaying arbitrary content on display devices of a first specific group; and
Dividing and displaying the same content on display devices of a second specific group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 관계를 계산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In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controller that calcul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relative loc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monitors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the relative loc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a display module that divides arbitrary content and displays it only on a specific group of display devic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은 4개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로 구성되며, 서로간의 통신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제1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2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3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며,
제4 NFC 태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중앙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re composed of fou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s, and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m is minimized.
A first NFC tag is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NFC tag is locat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third NFC tag is located in the righ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A fourth NFC tag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left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하좌우 방향에 직접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 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위치 관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7,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oth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display devices directly adjacent to the display devic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well as positional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display devices around the adjacent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된 결합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넓은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8,
The display device of the specific group,
Based on the calculated coupling relationship,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constitute the widest rectang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가장 넓은 직사각형이 복수개 존재하고 연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임의의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제2 특정 그룹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일한 컨텐츠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9,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plurality of the widest rectangles exist and are not continuous,
wherein the display module divides and displays arbitrary content on display devices of a first specific group, and divides and displays the same content on display devices of a second specific group.
KR1020210106235A 2021-08-11 2021-08-11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KR102614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en) 2021-08-11 2021-08-11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en) 2021-08-11 2021-08-11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11A true KR20230024111A (en) 2023-02-20
KR102614501B1 KR102614501B1 (en) 2023-12-19

Family

ID=8532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235A KR102614501B1 (en) 2021-08-11 2021-08-11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5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207A (en) * 2007-11-09 2009-05-13 광주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JP2020013016A (en) * 2018-07-19 2020-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207A (en) * 2007-11-09 2009-05-13 광주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US20120062475A1 (en) * 2010-09-15 2012-03-15 Lenovo (Singapore) Pte, Ltd. Combining multiple slate displays into a larger display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JP2020013016A (en) * 2018-07-19 2020-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501B1 (en)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5565A1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8138689B2 (en) Lighting control console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CN1993690B (en) Management system of monitor
CN103139517A (en) Proj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00180055A1 (en) Monitor sharing system
KR20140002522A (en) Multi-display system
KR20130073262A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JP6305242B2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KR102182760B1 (en) Curved modular display
US20170010016A1 (en) Display device and application program
CN103034183A (en) Setting method of field device and setting system of field device
CN105425486A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JP2001166757A (en) Display system
JP2009175294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201477830U (en) Cascading unit of distributed large screen controller
JPH02146588A (en) Avtc system
JP2019205093A (en) Sensor coordination facility system
KR20230024111A (en) Display device f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amd method thereof
JP6145765B2 (e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equipment management system
JP2012128002A (en) Device map display device
WO2017054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video wall display by a control station
CN100578438C (en) Processing equipment capable of providing reality display information real time as well as computer switching device thereof
JP2007304641A (en) Mol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US20140059465A1 (en) Mobile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2002305469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