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203A -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203A
KR20230023203A KR1020210105089A KR20210105089A KR20230023203A KR 20230023203 A KR20230023203 A KR 20230023203A KR 1020210105089 A KR1020210105089 A KR 1020210105089A KR 20210105089 A KR20210105089 A KR 20210105089A KR 20230023203 A KR20230023203 A KR 2023002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module
treatment
data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889B1 (ko
Inventor
강형원
정문주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마인드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치료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치료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치료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인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DEVICE FOR ANALYZING AND TREATING EMOTION}
본 발명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리 평가는 해당 대상자 개인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다양한 심리 장애나 정신 질환 치료 및 사업상의 목적에도 유용하다. 심리 상태들은 행복과 슬픔, 만족과 걱정, 흥분과 진정 간의 광범위한 심리 상태 뿐만 아니라 무수한 다른 심리 상태들을 포함한다. 혼란, 집중, 걱정과 같은 많은 심리 상태들이 개인 또는 사람들의 집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되고 분석대상이 될 수 있다.
사람의 심리나 감정을 식별하기 위하여, 소정의 얼굴 표정들 및 머리 동작들을 이용하여 대상자가 경험 중인 심리 상태를 식별하는 기술 등이 소개되어 왔고, 얼굴 표정이나 신체 변화에 기반하는 심리 상태들의 평가 시에 제한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소정의 생리적 조건들이 사람의 심리 상태에 대한 효과적인 지표를 제공하기도 하며, 거짓말 탐지기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장치에서와 같이 불완전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심리 및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양하고, 외부로 표출되는 방식이 개인마다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나 감정을 식별하는 것은 어렵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감정 평가가 가능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가 필요한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치료 컨텐츠 제공을 통해 감정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심리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을 구현한 치료 컨텐츠 제공을 통해 심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치료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치료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치료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결과 표시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정 치료 모듈은,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및 수집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또는 우울이고, 슬픔 및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이며,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또는 놀람이고, 두려움 및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이며,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이 분노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슬픔 및 우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즐거움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두려움 및 놀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생각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컨텐츠는,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2차원 영상,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상기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치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감정 평가가 가능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료가 필요한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치료 컨텐츠 제공을 통해 감정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심리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현실을 구현한 치료 컨텐츠 제공을 통해 심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정을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변 수집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설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 표시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극 감정을 이용한 감정 치료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정을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정 평가 및 치료 시스템(1)은 통신망(10),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 및 단말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10)은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30)가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다만 통신망(10)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감정과 관련하여, 즐거움(喜), 분노(怒), 슬픔(悲), 우울함(憂), 두려움(恐)을 (또는 슬픔 대신 생각(思)을 포함하여) "오지(五志)"라고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7개의 감정(즐거움(喜), 분노(怒), 우울함(憂), 생각(思), 슬픔(悲), 놀람(驚), 두려움(恐))으로 발전시킨 칠정 학설이 발전하였다. 즉, 한의학적 정지(情志)가 현대 심리학의 정서의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칠정과 오지는 한의학에서 중시하는 정지(情志) 활동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내용으로, 기본적인 정서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는 사용자가 느끼는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의 7가지 감정(칠정) 각각에 대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치료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는 통신망(10)을 통해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연결되며,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과 이미지나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 장치(30)에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browser) 관련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30)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인 가상현실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 기기는 예를 들어 HMD(Head Mounted Display), VR 글라스, 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향 기기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30)를 구비한 사용자는 감정 평가 및 치료 대상자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대상자를 치료하는 치료자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는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이 전부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물리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와 연동하는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통신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은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단말 장치(3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단말 장치(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감정 평가 모듈(210)는 답변 수집 모듈(211), 점수 산출 모듈(212) 및 결과 표시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답변 수집 모듈(211)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30)로 제공하고, 단말 장치(30)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변 수집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설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문 화면은 설문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310)과 각 설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답변 입력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7개의 감정 중, 즐거움(희, 喜)은 크게 유쾌함,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상태와 병리적인 경조증 상태의 고양감 두 가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즐거움을 평가하는 설문은 대표적으로 "나는 기쁘다.", "나는 행복하다.", "나는 활기차다.", "내게 좋은 일이 생길 것 같다.", "내가 하는 일은 성공할 것 같다.", " 내 삶은 만족스럽다.", "내가 자랑스럽다."와 같은 행복, 즐거움, 희망, 감사, 자랑 등의 긍정적 정서의 핵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 정서가 과도하여 병리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고유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현대 심리학의 경조증 상태의 '고조된, 고양감'과 유사하다.
분노(노, 怒)는 비난, 좌절 등 특정 종류의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분함 혹은 억울함, 뚜렷한 자극이나 사건 없이 발생하는 성마름, 짜증과 같은 상태, 그리고 공격성, 충동성, 논쟁적(언어적) 공격성 등을 포함한다. 분노에 해당하는 "화를 낸다"는 표현이 분노 감정의 핵심적인 표현으로 확인되었고, 분노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설문은, "나는 주먹을 휘두르고 싶을 때가 있다.", "나는 무엇인가를 부셔버리고 싶을 때가 있다."와 같은 공격성에 해당하는 설문과 "나는 나를 방해하면 참지 못한다.", "나는 나쁜 짓을 한 사람에게 보복하고 싶다.", "나는 반대하는 사람을 이기려고 노력한다."와 같이 외부에서의 침범이나 공격에 대한 보복이나 응징의 주관적 평가에서 발동되는 분노의 의미를 반영한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생각(사, 思)은 과도한 생각과 고민, 그리고 집착과 강박적 사고를 의미하며, 이로 인한 주의 집중곤란, 우유부단, 예기 불안 등의 행동적 양상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생각(思) 감정을 평가하는 문항은 "나는 고민거리에 집착한다.", "나는 걱정을 많이 한다.", "나는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지우기가 어렵다.", "나는 생각이 많다.", "나는 중요하지도 않은 생각에 며칠이고 괴로워한다.", "사소한 생각이 나를 괴롭힌다." 등의 과도한 생각과 걱정, 고민의 표현이 포함된다. 이러한 걱정은 미래의 위험과 관련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심리적 현상인 불안의 인지적 기제로서, 걱정이 지속되어 나타나는 불안을 수반하는 정서적 불편감이 생각(思)의 조작적 정의에 포함된다.
우울함(우, 憂)는 우울과 상통하는 개념으로, 우울은 자신과 환경 그리고 미래를 왜곡되게 지각하는 부정적인 인지체계에 의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우울한 정서로 보고 우울삽화와 우울관련 척도에서 활용되는 요인을 포함시켜 구성개념을 설정한다. 우울의 행동적 측정치로서의 비활동성과 연관된 무기력(피로감), 식욕저하, 흥미저하, 자기비하(자의식), 무가치감, 과도한 죄책감, 무망감, 자살사고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울함 감정을 평가하는 설문 문항은 미래에 대한 부정적 인지에 해당하는 "나는 원하는 것을 갖기 힘들 것 같다.", "나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나의 일은 원하는 대로 잘 풀리지 않을 것 같다.", "내 미래는 어두울 것 같다.", "내 미래는 희망이 없을 것 같다.", "내 앞날에는 좋은 일 보다는 안 좋은 일이 좀 더 생길 것 같다."와 같은 문항을 포함한다. 또한, 우울감에 해당하는 의욕저하의 "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나는 아무 일도 하고 싶은 의욕이 없다.", 우울증의 공통적인 요인인 부적합감과 죄의식,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낮은 자존감의 "나는 떳떳한 삶을 살지 못한 것 같다."의 문항이 포함된다.
슬픔(비, 悲)은 우울함(憂)과 유사하나, 슬픈 감정을 쏟아내게 하고 발산하게 하는 속성에 주목하고, 상실감에 대한 정서적 반응인 슬픔과 상통하고 행동적 신호인 울음이 슬픔(悲)의 가장 큰 특징이다. 따라서 슬픔(悲)은 애도, 외로움(고독), 회복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절망감과 행동 측정치로서의 울음을 포함한다. 울음은 눈물과 울음소리를 동반하지만 항상 슬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슬픔에서의 울음은 외로움, 그리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슬프다.", "울음", "눈물", "고독", "외로움"에 해당하는 문항이 포함된다. 또한, 주로 외부에서 기인하며 통제 불가능하고 불쾌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슬픔이고, 우(憂)는 충분하고 분명한 이유 없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불행한 기분인 우울감과 상통하는 개념으로 차이가 있으나, 정서적 표현에서 유사한 점이 많고 슬픔과 우울감에 대한 개념이 혼재되어 있어, 우울함(憂)에도 해당하는 불행감, 절망감, 침울함과 같은 부정적 정서 표현에 해당하는 문항이 포함된다.
두려움(공, 恐)은 위험에 대해서 피하게 하는 행동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공포와 관련된 행동의 하나인 회피의 요소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려움(恐)은 두려움, 통제 상실감, 회피, 사회불안으로 보았다. 심리학적 두려움으로 두려움의 대표적인 정서인 특정한 대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공포(fear)뿐만 아니라, 불특정한 위험을 알 수 없지만 "뭔가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불안감을 포함한다. 또한, 긴장이란 근육의 긴장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과 감정의 흐름을 방해하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에너지로, 불안, 공포와 심리적, 생리적 반응이 비슷하며,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불안이 정신병리적인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좁은 의미라면, 긴장은 불안을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두려움(恐)에 포함된다.
놀람(경, 驚)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어지럽고, 기절할 것 같은 느낌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표현되어, 현대 심리학의 놀람 반응(startle response)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갑작스러운 큰 소음에 대부분의 동물들이 타고난 공포를 보이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며, 이 놀람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공포를 측정하기도 한다. 따라서 놀람 반응은 깜짝 놀람, 가슴 두근거림, 안절부절못함(신경과민상태)으로 몸 떨림, 놀람 등 다양한 감정 상태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답변 수집 모듈(211)은 단말 장치(30)에 설문 문항이 표시된 화면,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며, 단말 장치(30)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수 산출 모듈(212)은 답변 수집 모듈(211)로부터 전송 받은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과 표시 모듈(213)는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에는 점수 산출 모듈(212)에서 산출한 7개의 감정 각각에 대한 점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 표시 모듈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에 표시된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7개의 감정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410) 및 7개의 감정 전체에 대한 점수와 7개의 감정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정 치료 모듈(220)은, 감정 평가 모듈(210)에서 분석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감정 치료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 모듈(221), 데이터 분류 모듈(222) 및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221)은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데이터는 영상, 음원, 그림, 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22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 사이트,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예를 들어, 유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모듈(22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7개 감정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 개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 중 특히 주목받는 분야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며, 기계 학습이라고도 불리는 머신 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사람처럼 어떤 대상 혹은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일 수 있는데, 컴퓨터를 학습시켜 패턴을 찾아내 분류하는 기술적 방식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알고리즘이 핵심일 수 있다. 데이터를 활용하는 알고리즘을 정교하게 만들면 컴퓨터가 학습해가며 사용자들에게 의미 있는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을 구현하는 기술 중 하나인 딥러닝은, 인간이 사물을 구분하듯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분류를 통해 예측하며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다.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데이터 수집 모듈(22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거나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221)과 데이터 분류 모듈(222)은 지속적으로(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치료 컨텐츠가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감정 치료를 위한 컨텐츠(또는 ‘치료 컨텐츠’라고도 함)를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감정 치료를 위한 컨텐츠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2차원 영상, 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7개의 감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감정 중 분노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분노의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이 제공하는 치료 컨텐츠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감정과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7개의 감정 각각에 대한 상극 감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극 감정을 이용하여 감정을 치료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지상승위치료란 감정 상호간의 관계 즉 오행(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克)의 이치를 통해 심리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치료법으로, 오행이론에서는 상생과 상극으로 조화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연결된 칠정(상술한 7개의 감정)이 과하게 되어 감정의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억누르는 감정으로서 치료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는 두려움 및/또는 놀람, ‘목’은 분노, ‘화’는 즐거움, ‘토’는 생각, ‘금’은 슬픔 및/또는 우울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및/또는 우울, 슬픔 및/또는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및/또는 놀람, 두려움 및/또는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분노를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 분노의 상극 감정인 슬픔 및/또는 우울을 유발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데이터 분류 모듈(222)에서 분류한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치료 컨텐츠로서 단말 장치(30)에 제공하거나, 선택된 데이터를 기초로 치료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분노에 대한 점수가 높은 사용자는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슬픔 및/또는 우울을 유발하는 컨텐츠를 통해 자비를 느낌으로써 분노에 대한 감정을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생각, 즉 과도한 생각과 고민, 집착, 강박적 사고 등을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 생각의 상극 감정인 분노를 유발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데이터 분류 모듈(222)에서 분류한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치료 컨텐츠로서 단말 장치(30)에 제공하거나, 선택된 데이터를 기초로 치료 컨텐츠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생각에 대한 점수가 높은 사용자는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분노를 유발하는 컨텐츠를 통해 적절한 긴장, 갈등을 느낌으로써 매몰되어 있는 생각에서 빠져나와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치료 컨텐츠는 가상 현실 제공을 위한 컨텐츠로 구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이 단말 장치(30)로 제공하는 치료 컨텐츠는, i) 영화나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된 동영상과 같은 영상, ii)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iii)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치료 대상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치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은 A 이상 B 미만, 제2 구간은 B 이상 C 미만, 제3 구간은 C 이상(여기서, A<B<C)이라고 할 때,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치료 대상 감정의 점수가 제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음원으로만 구현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점수가 제2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소리를 포함하는 2차원 영상으로 구현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점수가 제3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치료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치료 대상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치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단말 장치(30)에 제공된 치료 컨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답변 수집 모듈(211)로 재설문 화면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재설문 화면은 치료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재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재설문이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때, 재설문의 수는 설문 화면에 표시되는 설문의 수보다 적일 수 있으며, 치료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핵심 질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답변 수집 모듈(211)은 재설문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30)로 제공하며, 단말 장치(30)로부터 재설문에 대한 답변을 획득하여 점수 산출 모듈(212)로 전송할 수 있다.
점수 산출 모듈(212)은 재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치료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치료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지지 않은 경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치료 컨텐츠를 다시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시 제공되는 치료 컨텐츠(이하, ‘2차 치료 컨텐츠’라고 함)는 최초 제공된 치료 컨텐츠(이하, ‘1차 치료 컨텐츠’라고 함)와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2차 치료 컨텐츠는 1차 치료 컨텐츠 대비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치료 컨텐츠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치료 대상이 되는 감정의 점수가 낮아진 경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223)은 치료 컨텐츠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250)는 감정 평가 모듈(210) 및 감정 치료 모듈(220)에서 수집, 분석, 생성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데이터베이스(250)가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복수 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모듈(260)은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제어 모듈(270) 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단말 장치(30) 및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 모듈(270)은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 모듈(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70)은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장치(2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감정 평가 모듈(210), 감정 치료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 모듈(26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단말 장치(30),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20) 등) 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통신망
20: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30: 단말 장치
210: 감정 평가 모듈
211: 답변 수집 모듈
212: 점수 산출 모듈
213: 결과 표시 모듈
220: 감정 치료 모듈
221: 데이터 수집 모듈
222: 데이터 분류 모듈
223: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
250: 데이터베이스
260: 통신 모듈
270: 제어 모듈

Claims (7)

  1.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감정 평가 모듈; 및
    분석된 감정 상태가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감정 치료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복수의 설문이 표시되는 설문 화면을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는 답변 수집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에 대한 감정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는 점수 산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감정 치료 모듈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감정에 대한 점수를 낮추기 위한 상기 치료 컨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치료 컨텐츠는 상기 특정 감정의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컨텐츠인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평가 모듈은,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을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결과 표시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정 평가 결과 화면은,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각각의 점수가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즐거움, 분노, 생각, 우울함, 슬픔, 두려움 및 놀람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핵심 감정이 표시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치료 모듈은,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및
    수집된 데이터를,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분노의 상극 감정은 슬픔 또는 우울이고, 슬픔 및 우울의 상극 감정은 즐거움이며, 즐거움의 상극 감정은 두려움 또는 놀람이고, 두려움 및 놀람의 상극 감정은 생각이며, 생각의 상극 감정은 분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이 분노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슬픔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우울함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슬픔 및 우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즐거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즐거움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두려움을 유발하는 데이터 및 상기 놀람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고,
    상기 특정 감정이 두려움 및 놀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생각을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며,
    상기 특정 감정이 생각인 경우, 상기 데이터 분류 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분노를 유발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치료 컨텐츠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컨텐츠는,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가상 현실 구현 컨텐츠,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2차원 영상, 상기 상극 감정을 유발하는 음원 및 상기 상극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명상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컨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특정 감정의 점수가 클수록 상극 감정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KR1020210105089A 2021-08-10 2021-08-1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KR10252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ko) 2021-08-10 2021-08-1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ko) 2021-08-10 2021-08-1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03A true KR20230023203A (ko) 2023-02-17
KR102526889B1 KR102526889B1 (ko) 2023-05-03

Family

ID=8532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89A KR102526889B1 (ko) 2021-08-10 2021-08-10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71B1 (ko)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10266B1 (ko)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감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22A (ko) 2016-06-07 2017-1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평가방법 및 장치
KR101843021B1 (ko) 2016-05-31 2018-05-14 (주)잼투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214402B1 (ko) * 2019-09-27 2021-02-09 (주)트라이스 모바일 기반 맞춤형 정신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방법
KR102247058B1 (ko)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다중데이터 처리방식으로 사용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021B1 (ko) 2016-05-31 2018-05-14 (주)잼투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138222A (ko) 2016-06-07 2017-1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평가방법 및 장치
KR102214402B1 (ko) * 2019-09-27 2021-02-09 (주)트라이스 모바일 기반 맞춤형 정신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방법
KR102247058B1 (ko) 2020-11-27 2021-04-30 주식회사 모비젠 다중데이터 처리방식으로 사용자의 정신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71B1 (ko)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10266B1 (ko) * 2023-08-28 2023-12-07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사용자의 감정 데이터에 대응되는 생각 데이터를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889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zdavar et al. Multimodal mental health analysis in social media
Li et al. Machinelike or humanlike? A literature review of anthropomorphism in AI-enabled technology
Carneiro et al. Multimodal behavioral analysis for non-invasive stress detection
Liapis et al. Recognizing emotion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studying stress using skin conductance
KR102526889B1 (ko)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Huynh et al. Engagemon: Multi-modal engagement sensing for mobile games
Yong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for mobile devices
Augstein et al. A human-centered taxonomy of interaction modalities and devices
Castillejo et al. Ontology-based model for supporting dynamic and adaptive user interfaces
Vlachostergiou et al. Investigating context awareness of affective computing systems: a critical approach
Alfimtsev et al. A new methodology of usability testing on the base of the analysis of user’s electroencephalogram
Lee Towards Informatic Personhood: understanding contemporary subjects in a data-driven society
Huang et al. Research on Older Adults’ Interaction with E-Health Interface Based on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Huang et al. An evaluation of uncertainty and anticipatory anxiety impacts on technology use
Di Natale et al. Uncanny valley effect: A qualitative synthesis of empirical research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using virtual faces in psychological research
Javaid et al. Real-time EEG-based human emotion recognition
KR102128435B1 (ko) 환자투병 관련기록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분석하는 정신심리 분석 시스템
Rincon et al. Using emo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agent societies
KR101717290B1 (ko)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Zhang et al. A survey on mobile affective computing
Bačić Biometrics and business information visualization: research review, agenda and opportunities
Zhao et al. Interpretable emotion classification using multidomain feature of EEG signals
Sinha Affective computing and emotion-sensing technology for emotion recognition in mood disorders
Tikadar et al. A minimalist approach for identifying affective states for mobile interaction design
Saini et al. Inferring user emotions from keyboard and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