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021B1 -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021B1
KR101843021B1 KR1020160067374A KR20160067374A KR101843021B1 KR 101843021 B1 KR101843021 B1 KR 101843021B1 KR 1020160067374 A KR1020160067374 A KR 1020160067374A KR 20160067374 A KR20160067374 A KR 20160067374A KR 101843021 B1 KR101843021 B1 KR 10184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moving picture
content
us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441A (ko
Inventor
신민규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KR102016006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021B1/ko
Priority to PCT/KR2017/005617 priority patent/WO2017209482A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06F17/30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과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영상 관람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동영상 커뮤니티의 확산과 동영상 컨텐츠 제공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들은 용이하게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들을 감상하고,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개인화된 컨텐츠(UGC, User Generated Contents) 제작 욕구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들이 생산 및 제공되고 있으며, YouTube 등과 같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는 동영상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동영상들을 쉽게 업로드하고 일반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키워드 검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은 사용자가 정확히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찾는 것에는 도움이 되지만 특별히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는 없고 관심가는 동영상 컨텐츠를 훑어 보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키워드 검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 추천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동영상 컨텐츠를 인기 컨텐츠로 추천하는 방법, 사용자의 기존 구매 또는 감상한 동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다른 동영상 컨텐츠들을 추천하는 방법, 사용자가 관심정보를 입력한 경우 해당 관심정보와 관련 있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자신의 기호조차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종류의 동영상 컨텐츠가 공급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에 부합하는 최적화된 동영상 컨텐츠의 자동추천이 필요한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인기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구매 또는 감상 패턴에 따른 추천은 사용자가 접하지 못한 분야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시할 수 없다. 관심정보 입력에 따른 동영상 추천은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경우 또는 시시각각 변하는 기호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동종의 컨텐츠를 추천한다고 하더라도 여러 개의 컨텐츠들을 종류별로 분류함에 있어 동영상 컨텐츠 제공자의 분류기준이 적용될 뿐 사용자의 개인적인 분류기준이 반영되지 못하여 개인에 따라 추천된 동영상 컨텐츠가 해당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추천여부 또는 별점평가 등의 사후평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후평가는 해당 컨텐츠의 퀄리티를 결정하는 지표로 사용되어 고품질의 동영상을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동영상 컨텐츠 감상 후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것인지 또는 높은 별점을 부여할 것이지는 사용자의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기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후평가는 강제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갖는 사람들만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결과 사후평가에 기반한 컨텐츠 평가는 사용자의 폭넓은 참여를 확보하지 못해 평가결과의 보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추천여부 또는 별점평가 등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호불호만을 가릴 뿐이고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속성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사후평가에 관한 사용자 피드백은 동영상 컨텐츠를 속성별로 분류하는 큐레이션의 기반정보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Google사의 미국 등록특허 제8,775,415호 "Media-Based Recommendations"는 시리즈물의 에피소드 시청 중 관심정보를 전송하면, 제삼자의 인기도에 따라 관련성 레벨이 높은 다른 시리즈물의 에피소드를 추천 동영상 컨텐츠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감상하는 시리즈물 외에 다른 시리즈물의 에피소드를 추천받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감상 중인 시리즈물의 에피소드와 추천받는 다른 시리즈물의 에피소드의 관련성 레벨은 인용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프로그램의 유사도로만 설명되었을 뿐 이 관련성 레벨의 결정에 사용자들의 평가나 기호가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Yahoo사의 미국 등록특허 제8,595,226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는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요청하고, 해당 카테고리 또는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가 사용자가 기설정한 선호도 태그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해당 카테고리의 동영상 컨텐츠의 접속빈도, 선호도 레벨 등에 기반한 선호도 점수에 따라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추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선호도 태그를 미리 입력받아야할 뿐 아니라, 추천되는 동영상 컨텐츠가 시시각각 변하는 사용자의 기분 또는 기호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인터넷 기술, 블로그 및 소셜 네트워크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통신의 확산에 의해 개인적 기호와 감성이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으로 동영상 컨텐츠 선택 시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별점을 확인하여 소비성향이나 선호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가 확대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별점 부여 방식과 같이 개인의 감정을 일반화하고 포괄적인 틀에서 다루고자 하는 동영상 컨텐츠 평가방법은 개인 간의 기호와 감성 차이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의 성격이나 능력, 적성 등 개인의 심리를 분석할 수 있도록 설문지 유형의 심리검사, 성향검사 등과 같은 구조화된 검사들이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전체 질문과 선택문항들을 읽어보고 의미를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처리를 요하는 장시간의 평가를 견뎌야 하는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MoviTV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832,721호 "Video Efficacy Measurement"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추정하여 동영상 컨텐츠 추천에 반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신체적 변화에 기반한 사용자의 몰입도 추정을 동영상 컨텐츠 추천에 반영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부가적인 추천행위 또는 평가행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높고, 신체적 변화에 기반하기 때문에 왜곡 평가에 의한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영상 감상중인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예컨대 카메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등의 고가의 부가적 장비가 요구되고, 해당 장비를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모니터, 텔레비전에는 그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컨텐츠 평가는 양질의 컨텐츠를 가입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의 이익을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동영상 감상 중에 지속적으로 민감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개인정보 수집을 제한하는 국가에서는 관련 법률의 위반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8,775,415호 미국 등록특허 제8,595,226호 미국 등록특허 제8,832,721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 받은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통해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받아 이를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취합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의 감성적 반응에 기반한 비디오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입체적이고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간단한 도형 등의 비쥬얼 아이템을 선택하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제공 시스템은 비쥬얼 아이템에 매칭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비쥬얼 아이템의 의미 등을 추론하거나 문장 등을 읽고 의미를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 편리성을 제고하고, 호불호에 기반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 참여율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는 비문자적 표시인 비쥬얼 아이템과 그에 매칭되는 심리에 대한 관념적 표현인 매칭 감정코드의 상관관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의도적인 평가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의 빈도수에 따라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에 추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의 감성에 기반한 다양한 감성적 반응을 통합적이고 일목요연하게 표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동일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동일 장르의 동영상 컨텐츠 추천 또는 연관 동영상 컨텐츠 추천과는 다르게 유사한 감성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장르이지만 유사한 감성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감성과 기호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라 특정 감정의 고양상태인 사용자가 이러한 감정을 반전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동일한 종류이지만 보다 심화된 감성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라 특정 감정의 고양상태인 사용자가 이러한 감정을 심화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과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또는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n은 2 이상의 정수)들의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받는 제 1 부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부단계를 통해 반환된 상기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상기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내지 제 m 순위(m은 1 이상의 정수)까지 결정하는 제 2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부단계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통해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 제 3 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부단계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통해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m 이하 정수)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로 추가하는 제 4 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대표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현하고, 상기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k는 2 이상의 m 이하의 정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2 순위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 내지 제 l 순위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현한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하되 각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의 넓이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제 5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와,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감정상태 유지옵션, 감정상태 반전옵션 또는 감정상태 심화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유지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반전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심화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는, 상기 동영상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유지옵션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반전옵션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심화옵션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다른 상기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 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되, 상기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상기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상기 제 1 감정군 또는 상기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상기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인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복수의 상기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들을 반환받아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와 통합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인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 식별모듈; 상기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각각 매칭되는 감정코드인 매칭 감정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하는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 및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상기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상기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m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m은 1 이상의 정수)를 결정하는 빈도 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가 결정한 상기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가 결정한 상기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대표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시하고,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2 순위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 내지 제 l 순위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으로 표시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의 넓이를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심화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유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반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심화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심화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유지요청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반전요청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심화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 이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은,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되, 상기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상기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상기 제 1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거나 상기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상기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 받은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통해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받아 이를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의 감성적 반응에 기반한 비디오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입체적이고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간단한 도형 등의 비쥬얼 아이템을 선택하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제공 시스템은 비쥬얼 아이템에 매칭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비쥬얼 아이템의 의미 등을 추론하거나 문장 등을 읽고 의미를 해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 편리성을 제고하고, 호불호에 기반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 참여율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는 비문자적 표시인 비쥬얼 아이템과 그에 매칭되는 심리에 대한 관념적 표현인 매칭 감정코드의 상관관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의도적인 평가왜곡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의 빈도수에 따라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에 추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의 감성에 기반한 다양한 감성적 반응을 통합적이고 일목요연하게 표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동일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동일 장르의 동영상 컨텐츠 추천 또는 연관 동영상 컨텐츠 추천과는 다르게 유사한 감성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장르이지만 유사한 감성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감성과 기호에 적응적으로 대응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라 특정 감정의 고양상태인 사용자가 이러한 감정을 반전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동일한 종류이지만 보다 심화된 감성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라 특정 감정의 고양상태인 사용자가 이러한 감정을 심화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웹페이지 화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쥬얼 응답 아이템별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도시하는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의 생성 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120),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 식별모듈(130),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50),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160),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동작을 명료히 설명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구분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모듈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프로그램의 일부를 구성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의 집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연산처리 장치에 의해 해당 모듈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키워드 검색을 통해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동영상 컨텐츠 목록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웹페이지 또는 동영상 검색 앱에 구현된 동영상 컨테츠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2의 웹페이지 화면(200) 구성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선택 동영상 컨텐츠(210)를 시청하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선택 동영상 컨텐츠(210)의 재생 중 또는 선택 동영상 컨텐츠(210) 재생 완료 후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른 심리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를 제공한다.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는 사용자가 선택가능 한 복수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222)을 포함하는 설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문은 사용자가 깊은 고민 없이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는 질문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문항이 바람직하다.비쥬얼 응답 아이템(222)은 예컨대, 색채, 이미지, 도형, 물리적 객체 등 일 수 있다.
심리분석 분야에서 도형 선호도 검사는 구별되는 간단한 도형을 이용하여 개인별 감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색채 선호도 검사 또한 색의 세 가지 이상의 요소를 이용하여 개인별 감정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각 검사는 표준화된 임상 결과를 토대로 도형별, 색채별 선호도에 따라 개인의 심리를 구별하여 분석한다.
이에, 사용자 감정상태에 따라 선호하는 색채, 이미지, 도형 등이 다르다는 점에 기인하여 다양한 선호 아이템별 심리분석 기법이 심리분석 분야에서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222)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심리분석 분야에서 개인별 감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임상결과를 통해 고안된 다양한 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222)은 직관적인 선택이 어려운 문장 형식의 텍스트 집합은 배제한다. 통상의 설문은 문장 형식의 질문과 문장 형식의 선택문항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문장 형식의 질문지와 선택문항들은 사용자가 전체 질문과 선택문항들을 읽어보고 의미를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직관적인 선택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한 사용자에게 문장 형식의 질문이 주어지면 사용자는 각 문장들을 읽고 해석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하기 위해 설문에 응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간단한 질문과 단순한 도형으로 이루어진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을 제시받게 되면, 부가적인 분석행위 없이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설문에 응할 수 있기 때문에 설문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희극 장르의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경우라면 밝은 기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상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이거나 설문의 질문 자체가 밝은 기분에 대응되는 질문으로 제공되고, 반대로 비극 장르의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경우라면 우울한 기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상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이거나 설문의 질문 자체가 우울한 기분에 대응되는 질문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장르에 부합하는 설문을 설정하는 설문 응답 설정모듈(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동영상 컨텐츠의 장르별로 그에 부합하는 설문을 설문 응답 설정모듈(125)에 설정할 수 있다.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 식별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인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식별한다.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은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각각 매칭되는 감정코드인 매칭 감정코드를 저장하고,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쥬얼 응답아이템들별로 매칭 감정코드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별 형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제 1 감정, 원 형상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은 제 2 감정, 하트 형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제 3 감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감정은 "공감" 매칭 감정코드로, 제 2 감정은 "행복" 매칭 감정코드, 제 3 감정은 "사랑" 매칭 감정코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감정코드의 정의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가 선택 동영상 컨텐츠 재생에 따라 선택한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통해 이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받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시청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일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반드시 단일의 매칭 감정코드와 일대일로 연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이 단일의 매칭 감정코드와 연관될 수도 있고, 단일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이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와 연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에는 단일의 질문만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감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의 질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질문에 제시되는 복수의 응답 비쥬얼 응답 아이템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 편의성과 취득하고자 하는 감정상태의 정확성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될 수 있다.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50)은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는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식별자,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및 해당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가정보 예컨대 사용자가 복수의 질문에 응답한 경우 복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 사용자가 단일의 질문에 복수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이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 시청시간 정보, 시청횟수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16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한다. 즉,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한다.
예컨대 10명의 사용자가 있고, 제 1 감정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인 사용자가 6명이고, 제 2 감정에 해당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인 사용자가 4명이라고 한다면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는 6개의 제 1 감정 및 4개의 제 2 감정이 될 수 있다.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160)로부터 생성된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위의 설명한 예에 있어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가장 많은 6번의 빈도수를 갖는 제 1 감정을 기반으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는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식별자 및 해당 통합 매칭 감정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가정보 예컨대 2순위 빈도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 또는 3 순위 빈도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평가에 합산된 사용자 수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추정 감정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로 활용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감정코드들을 종합하여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번거로운 인식 또는 절차 없이 직관적으로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하기 때문에 컨텐츠 평가에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컨텐츠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의 생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16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m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m은 1 이상의 정수)를 결정하는 빈도 순위 결정부(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빈도 순위 결정부(172)가 결정한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가 여러 가지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희극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가 혼재할 수 있다. 이럴 때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빈도 순위 결정부(172)가 결정한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를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추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통합 컨텐츠 평가 맵(240)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복수의 감정코드들이 도시된다. 이러한 통합 컨텐츠 평가 맵(2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선택한 비쥬얼 응답아이템의 빈도수에 따라 해당 감정코드의 크기, 색상 또는 위치 등이 구별되도록 시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빈도 순위 결정부(172)에 의해 결정된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대표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시하고,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제 2 순위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 내지 제 l 순위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으로 표시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맵(240)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174)는 각각의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의 넓이를 추정 매칭 감정코드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의 시청 후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추정 감정코드를 통해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천의 방법으로는 첫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종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고, 둘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보다 심화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고, 셋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반전시킬 수 있는 상반된 이종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다.
예컨대 희극적인 동영상 컨텐츠를 본 사용자가 즐거운 감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즐거움"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즐거운 감정을 심화하고자 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매우 즐거움"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즐거운 감정을 반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슬픔"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부합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첫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동일한 감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상태 유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도록,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b의 경우 사용자가 제 1 감정군의 제 1 감정에 해당하는 "삼각형"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하였다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삼각형"에 매칭하는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둘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감정을 심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상태 심화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도록,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 및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심화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b의 경우 사용자가 제 1 감정군의 제 1 감정의 "중"에 해당하는 "삼각형"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하였다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심화에 해당하는 제 1 감정군의 제 1 감정의 "상"에 해당하는 "별형상"에 대응하는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셋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감정을 반전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상태 반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도록,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 및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b의 경우 사용자가 제 1 감정군의 제 1 감정에 매칭되는 "삼각형"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하였다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반전에 해당하는 제 2 감정군의 제 3 감정에 매칭되는 "마름모 형상"에 대응하는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의 시청 후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시청 후 사용자의 제스처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6의 실시예에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방향(62)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유지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1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2 방향(63)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반전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2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그리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3 방향(61)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심화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3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심화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선택한 선택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도 2의 웹페이지 화면(200) 구성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컨텐츠 리스트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들과, 상반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들을 리스트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함께 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 이후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17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222)을 포함하는 설문(220) 및 설문(220)과 다른 복수의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제 1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거나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은 예컨대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키워드 검색을 통해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동영상 컨텐츠 목록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웹페이지 또는 동영상 검색 앱에 구현된 동영상 컨테츠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제 2 단계(s21 내지 s23)를 수행한다.
예컨대, 도 2의 웹페이지 화면 구성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선택 동영상 컨텐츠(210)를 시청하면(s2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 또는 선택 동영상 컨텐츠 재생 완료 후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에 따른 심리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를 제공(s22)한다.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는 사용자가 선택가능 한 복수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222)을 포함하는 설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문은 사용자가 깊은 고민 없이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질문이 바람직하다. 비쥬얼 응답 아이템은 예컨대, 색채, 이미지, 도형, 물리적 객체 등 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은 직관적인 선택이 어려운 문장 형식의 텍스트 집합은 배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간단한 질문과 단순한 도형으로 이루어진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가적인 분석행위 없이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설문에 응할 수 있어 설문참여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희극 장르의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경우라면 밝은 기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이거나 설문의 질문 자체가 밝은 기분에 대응되는 질문으로 제공되고, 반대로 비극 장르의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한 경우라면 우울한 기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색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이거나 설문의 질문 자체가 우울한 기분에 대응되는 질문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호스팅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동영상 컨텐츠의 장르별로 그에 부합하는 설문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s31), 이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s32) 제 3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는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별로 매칭 감정코드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컨대 별 형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제 1 감정, 원 형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제 2 감정, 하트 형상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제 3 감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감정은 "기쁨" 매칭 감정코드로, 제 2 감정은 "슬픔" 매칭 감정코드, 제 3 감정은 "무서움" 매칭 감정코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감정코드의 정의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가 선택 동영상 컨텐츠 재생에 따라 선택한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통해 이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 받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시청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일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은 반드시 단일의 매칭 감정코드와 일대일로 연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이 단일의 매칭 감정코드와 연관될 수도 있고, 단일의 비쥬얼 응답아이템이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와 연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에는 단일의 질문만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감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의 질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질문에 제시되는 복수의 응답 비쥬얼 응답 아이템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 편의성과 취득하고자 하는 감정상태의 정확성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식별자,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및 해당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가정보 예컨대 사용자가 복수의 질문에 응답한 경우 복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 사용자가 단일의 질문에 복수의 비쥬얼 응답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이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 시청시간 정보, 시청횟수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과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통합하여(s41)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s42) 제 4 단계(s40)를 수행한다.
단일의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을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한다. 즉,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5 단계(50)를 수행한다.
이러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는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식별자 및 해당 통합 매칭 감정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가정보 예컨대 2 순위 빈도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 또는 3 순위 빈도수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평가에 합산된 사용자 수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된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추정 감정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로 활용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을 종합하여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번거로운 인식 또는 절차 없이 직관적으로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선택하기 때문에 컨텐츠 평가에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컨텐츠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의 생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로부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반환하고, 이를 통합하여(s41),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s42) 제 1 부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m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m은 1 이상의 정수)를 결정하는(s43) 제 2 부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 부단계에서 결정한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추출하여(s44)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s45) 제 3 부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 부단계에서 결정한 제 1 순위에 후행하는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l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을 추출하여(s46)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에 추가하는(s47) 제 4 부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 맵을 생성하는(s48) 제 5 부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합 컨텐츠 평가 맵(240)의 동영상 컨텐츠가 여러 가지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희극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가 혼재할 수 있다. 이럴 때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에 기반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후순하는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를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추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컨텐츠 평가 맵(240)들이 선택한 복수의 감정코드들이 도시된다. 이러한 통합 컨텐츠 평가 맵(240) 방식으로 시각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선택한 비쥬얼 응답아이템의 빈도수에 따라 해당 감정코드의 크기, 색상 또는 위치 등이 구별되도록 시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의 감상 후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추정 감정코드를 통해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천의 방법으로는 첫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종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둘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보다 심화할 수 있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셋째 사용자의 현재 심리상태를 반전시킬 수 있는 상반된 이종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태 유지옵션(231), 상태 반전옵션(232) 또는 상태 심화옵션(233)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 옵션 처리 인터페이스(234)를 통해 부합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상태 유지옵션(231)은 경우,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컨텐츠 옵션 처리 인터페이스(234)에 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상태 반전옵션(232)은 경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컨텐츠 옵션 처리 인터페이스(234)에 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상태 심화옵션(233)은 경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컨텐츠 옵션 처리 인터페이스(234)에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의 시청 후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시청 후 사용자의 제스처에 부합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6의 실시예에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1 방향(62)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유지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1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2 방향(63)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반전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2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그리고,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60)에 대한 사용자의 제 3 방향(61)으로의 스와이프를 위의 설명한 예의 상태 심화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제 3 선택신호로 입력 받아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171)와 통합 컨텐츠 추천부(173)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심화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선택한 선택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도 2의 웹페이지 화면(200) 구성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컨텐츠 리스트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들과, 상반하는 다른 동영상 컨텐츠들을 리스트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함께 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170)은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 이후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222)을 포함하는 설문(220) 및 설문(220)과 다른 복수의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제 1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거나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인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s90) 제 1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s91 내지 s93)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s94), 이를 기반으로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s95) 제 3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복수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들을 반환받아(s96)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와 통합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여(s97) 생성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제공하는(s98) 제 4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s99) 제 5 단계를 수행한다.
100 :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0 :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
125 : 설문 응답 설정모듈
130 :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 식별모듈
140 :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
150 :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
160 :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
170 :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
171 :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저장부
172 : 빈도 순위 결정부
173 : 통합 컨텐츠 추천부
174 :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
175 : 통합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Claims (25)

  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과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은 감정이 표현되지 않으면서 감정상태가 심리분석으로 추정되는 객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또는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n은 2 이상의 정수)들의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반환받는 제 1 부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부단계를 통해 반환된 상기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상기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내지 제 m 순위(m은 1 이상의 정수)까지 결정하는 제 2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부단계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통해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 제 3 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2 부단계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통해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 m 이하 정수)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로 추가하는 제 4 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대표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현하고, 상기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k는 2 이상의 m 이하의 정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2 순위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 내지 제 l 순위(l은 2 이상의 k 이사의 정수) 컨텐츠 평가 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현한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하되 각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의 넓이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제 5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와,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6 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감정상태 유지옵션, 감정상태 반전옵션 또는 감정상태 심화옵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유지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반전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정상태 심화옵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레벨이 증가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정보를 갖는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유지옵션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반전옵션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감정상태 심화옵션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다른 상기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 1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되,
    상기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상기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상기 제 1 감정군 또는 상기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상기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3.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영상 공유 환경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인 선택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을 상기 제 1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매칭되는 매칭 감정코드들이 저장된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제외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복수의 상기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들을 반환받아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와 통합하여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은 감정이 표현되지 않으면서 감정상태가 심리분석으로 추정되는 객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4.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이후 또는 재생 중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비쥬얼 응답아이템인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 식별모듈;
    상기 복수의 비쥬얼 응답아이템들 별로 각각 매칭되는 감정코드인 매칭 감정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 비쥬얼 응답아이템에 해당하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로 반환하는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들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는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 및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쥬얼 응답 아이템들은 감정이 표현되지 않으면서 감정상태가 심리분석으로 추정되는 객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1 사용자 내지 제 n 사용자들(n은 2 이상의 정수)의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합하여 상기 통합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상기 제 n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통해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들의 빈도 순위를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m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m은 1 이상의 정수)를 결정하는 빈도 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가 결정한 상기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가 결정한 상기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를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빈도 순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제 1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대표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으로 표시하고, 제 2 순위 추정 매칭 감정코드 내지 제 k 순위(k는 2 이상, m 이하의 정수) 추정 매칭 감정코드를 상기 제 2 순위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 내지 제 l 순위(l은 2 이상의 k 이하의 정수)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영역으로 표시한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 맵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평가정보 표시 영역의 넓이를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 순위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심화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 심화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을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선택 동영상 컨텐츠별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된 추정 매칭 감정코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유지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반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태 심화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비해 상기 레벨이 심화된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인 심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 컨텐츠 추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유지요청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반전요청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다른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를 상기 상태 심화요청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매칭 감정코드 별로 상반되는 매칭 감정코드를 정의하는 매칭 감정코드 관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별 컨텐츠 평가정보 생성 이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일치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동종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와, 상기 추정 매칭 감정코드와 상반되는 상기 통합 컨텐츠 평가정보를 갖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의 리스트인 상반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 제공모듈은, 상기 설문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선택 가능한 비쥬얼 응답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설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설문 시퀀스를 제공하되,
    상기 설문 시퀀스는, 제 1 감정군 혹은 상기 제 1 감정군과 구별되는 제 2 감정군을 판단하는 제 1 설문그룹 및 상기 제 1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거나 상기 제 2 감정군의 레벨을 판단하는 제 2 설문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매칭 감정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매칭 감정코드들을 제 1 감정군 및 제 2 감정군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 및 상기 제 2 감정군에 속하는 매칭 감정코드들 각각의 레벨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60067374A 2016-05-31 2016-05-3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84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74A KR101843021B1 (ko) 2016-05-31 2016-05-3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PCT/KR2017/005617 WO2017209482A1 (ko) 2016-05-31 2017-05-30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74A KR101843021B1 (ko) 2016-05-31 2016-05-3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540A Division KR20170135745A (ko) 2016-05-31 2017-05-30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41A KR20170135441A (ko) 2017-12-08
KR101843021B1 true KR101843021B1 (ko) 2018-05-14

Family

ID=6092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74A KR101843021B1 (ko) 2016-05-31 2016-05-31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03A (ko) 2021-08-10 2023-02-1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533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Nttぷらら コンテンツ評価装置、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評価方法、コンテンツ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
JP2015228142A (ja) * 2014-05-31 2015-12-17 Kddi株式会社 ユーザの感情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をレコメンド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533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Nttぷらら コンテンツ評価装置、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評価方法、コンテンツ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
JP2015228142A (ja) * 2014-05-31 2015-12-17 Kddi株式会社 ユーザの感情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をレコメンド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03A (ko) 2021-08-10 2023-02-1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평가 및 치료 장치
KR102526889B1 (ko) * 2021-08-10 2023-05-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평가 및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41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vir-Gvirsman I like what I see: Studying the influence of popularity cues on attention allocation and news selection
Recker et al. What do you recommend? Implementation and analys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filtering of web resources for education
Subramonyam et al. Affinity lens: data-assisted affinity diagramming with augmented reality
US201400748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aloging consumer preferences in creative content
US20220019635A1 (en) Method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conten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ystem thereof
Chen et al. Users’ decision behavior in recommender interfaces: Impact of layout design
Cooper et al. Personality assessment through the situational and behavioral features of Instagram photos
Gena et al. The evaluation of a social adaptive website for cultural events
Lin et al. The impact of accompanying text on visual processing and hedonic evaluation of art
Kontiza et al. A museum app to trigger users' reflection
Schleußinger Information retrieval interfaces in virtual reality—A scoping review focused on current generation technology
Su et al. A principle of designing infographic for visualization representation of tourism social big data
KR101843021B1 (ko)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90051417A (ko) 브랜드 성향 기반 매치 메이킹 장치 및 방법
KR20170135745A (ko)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4266197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ntlinking icon and system for the same
EP4270216A1 (en) Adaptive discussion-topic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ghili Journalists' information seeking and behaviour on social media
US202301370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location-based topic
Nurrosyidah et al. Development of a visual search service effectiveness scale for assessing image search effectiveness: A behavioral and technological perspective
Geisler Agile views: A framework for creating more effective information seeking interfaces
Greenberg EBSCO Discovery Service (EDS) Usage in Israeli Academic Libraries
Oliveira et al. Accessing movies' emotional information
Pang et al. Innovation in designing health information websites: Results from a quantitative study
Subramonyam et al. Affinity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