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199A -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199A
KR20230023199A KR1020210105082A KR20210105082A KR20230023199A KR 20230023199 A KR20230023199 A KR 20230023199A KR 1020210105082 A KR1020210105082 A KR 1020210105082A KR 20210105082 A KR20210105082 A KR 20210105082A KR 20230023199 A KR20230023199 A KR 2023002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head
ignition
smoke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518B1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허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영 filed Critical 허재영
Priority to KR102021010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22Supports for holding cigars or cigarettes while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시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보건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 연기 및 냄새로 인한 주변 또는 이웃주민들과의 불화를 방지하고, 흡연과 동시에 사무 업무 또는 컴퓨터 게임이나 취미생활 등을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출입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의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창;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지지되어 구비되는 재떨이 받침대; 상기 재떨이 받침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떨이;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담배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담배 거치 수단;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타단부 또는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담배의 점화를 위한 점화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점화 수단; 상기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 수단;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점화 수단과 연기 배출 수단에 작동 전류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PERSONAL SMOKING CAP DEVICE OF HEAD WEARABLE TYPE}
본 발명은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시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보건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 연기 및 냄새로 인한 주변 또는 이웃주민들과의 불화를 방지하고, 흡연과 동시에 사무 업무 또는 컴퓨터 게임이나 취미생활 등을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 흡연시 발생되는 연기에는 아크로레인, 페놀, 벤조피렌,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나이트로자민, 니코틴 등 많은 발암물질과 몸에 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불쾌한 냄새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해로운 성분 및 냄새는 직접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전달되기 때문에, 공공장소 및 실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람이 많이 보행하는 도로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또한, 흡연자들이 흡연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고 있어 많은 불만이 제기되어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타인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흡연자들이 흡연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인 흡연 부스를 특정한 공간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연 부스는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부피가 크고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 설치가 불가능하며, 다수의 흡연자가 동시에 흡연을 할 경우 공기정화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공기정화 능력이 떨어져 흡연 부스 내부에 잔류하는 연기에 의해 흡연자도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흡연자는 흡연 부스를 이용하지 않고 흡연 부스 주변에서 흡연이 이루어져 흡연 부스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가 이용하는 부피가 큰 흡연 부스는 당구장, PC방 또는 상가 건물 내부에 설치할 경우 넓은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흡연에 관한 제한이 많은 상황에서 건물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고 있고, 흡연에 대한 규제가 심해지고 있기는 하지만 금연은 여전히 힘든 문제이기도 하고, 개인의 행복추구권은 존중되어야 하므로 흡연할 수 있는 부스가 좀 더 현실적으로 개선되어 보급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펜더믹 상황에서 다수의 흡연자가 공통의 흡연 부스에서 흡연하는 경우, 쉽게 전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4665(2017.10.1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4664(2017.10.13.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7-0002355(2017.07.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57995(2019.05.29.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연시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보건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 연기 및 냄새로 인한 주변 또는 이웃주민들과의 불화를 방지하고, 흡연과 동시에 사무 업무 또는 컴퓨터 게임이나 취미생활 등을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창문을 열지 않고 담배 연기를 배출할 수 있어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 하고, 실내에서 담배를 피울 경우에도 담배연기로 인한 간접흡연에 따른 타인의 피해까지 방지할 수 있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두부 출입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의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창;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지지되어 구비되는 재떨이 받침대; 상기 재떨이 받침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떨이;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담배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담배 거치 수단;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타단부 또는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담배의 점화를 위한 점화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점화 수단; 상기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 수단;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점화 수단과 연기 배출 수단에 작동 전류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두부 출입구의 주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흡연자의 어깨 부분에 지지되는 지지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받침대에는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스펀지 또는 레자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접촉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은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창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식 개폐창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떨이 받침대는 내측에 재떨이가 수용되어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배 거치 수단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담배를 개재시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단면 역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내측에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 중 하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양측벽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가이드되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확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으로 온/오프하는 점화 스위치; 및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점화 스위치; 및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형성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석션팬; 및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팬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외기 유입 수단; 외부의 소리를 청음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형성되는 청음구; 및 상기 청음구에 구비되는 교체형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흡연시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보건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담배 연기 및 냄새로 인한 주변 또는 이웃주민들과의 불화를 방지하며, 간접흡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흡연과 동시에 사무 업무 또는 컴퓨터 게임이나 취미생활 등을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를 상대적으로 최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실내의 창문을 열지 않고 담배 연기를 배출할 수 있어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재떨이 받침대와 점화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재떨이 받침대와 점화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담배 거치 수단과 재떨이 받침대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재떨이 받침대와 점화 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재떨이 받침대와 점화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포함되는 담배 거치 수단과 재떨이 받침대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본체(100); 재떨이 받침대(200); 재떨이; 담배 거치 수단(또는 담배 꽂이 수단)(300); 점화 수단(400); 연기 배출 수단(500);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또는 흡연자(이하, "흡연자"로 통칭 함)의 두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두부 출입구(101)가 형성되는 통 형태의 장치 본체(100); 상기 장치 본체(100)에 구비되어 장치 본체(100)의 내부가 개방 및 폐쇄되게 개폐하는 개폐창(110); 상기 장치 본체(100)의 전방부에서 출입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떨이 받침대(200);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떨이(미도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담배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담배 거치 수단(또는 담배 꽂이 수단)(300);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담배의 점화를 위한 점화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점화 수단(400);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 수단(500); 및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점화 수단(400)과 연기 배출 수단(500)에 작동 전류를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100)는 흡연자의 두부를 수용하고, 하부가 개구되어 흡연자의 두부가 출입될 수 있는 두부 출입구(101)가 형성되는 통 형태으로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장치 본체(100)는 상기 두부 출입구(101)의 주변에서 하방으로 확장되게 연장되어 흡연자의 어깨 부분에 지지되는 지지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두부 출입구(101)의 가장자리 및 상기 지지 받침대에서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은 스펀지 및/또는 레자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 보호층이 형성되어 장치 본체(100)로부터 등, 어깨, 흉부 등의 신체에 대한 충격과 압통을 방지하고, 신체에 밀착하게 하여 담배 연기 및 냄새가 장치 본체(100)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개폐창(110)은 개방 시 상기 장치 본체(10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개폐창(110)은 일 실시 예로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세로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전 개폐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창(110)은 다른 실시 예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창(110)에 있어서, 개폐창(110)이 구비되는 장치 본체(100)에는 개폐창(1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00)의 내외부 간의 폐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댐핑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창(110)은 바람직하게 장치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 및 좌우측을 확인하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유리 또는 프라스틱 소재의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창(110)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PC재질(폴리카보네이트 재질)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는 상기 장치 본체(100)의 전방부에서 출입하고,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또는 거치되게 구비되며, 재떨이를 수용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는 일 실시 형태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재떨이가 수용되어 거치되는 거치부(201)를 갖는 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는 다른 실시 형태로 장치 본체(100)의 외연 형상에 대응하는 외연 형상을 갖는 부채꼴 형태의 받침대로 형성되며, 장치 본체(10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부 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변위(shift) 가능하게(예를 들면, 센터라인이 좌우측으로 45도)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실시 형태의 재떨이 받침대(200)는 부채꼴 형태의 받침대의 일단부 배면에 라운드진 슬라이딩 가이드홈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재떨이 받침대가 안착되게 장치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거치대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돌기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가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위치이동(변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부채꼴 형태의 중심부 양단에는 흡연자의 입부분 또는 턱부분에 접촉하여 재떨이 받침대(20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접촉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담배 거치 수단(300)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담배를 점화시키는 점화 수단(400)이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재떨이는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재떨이는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내측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거치 돌기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내측 수용부와 상응하게 형성되며, 그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담배 거치 수단(300)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담배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배 거치 수단(300)은 도 5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지지대(320), 및 상기 지지대(32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담배를 개재시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스트립(elastic supporting strip)(3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10)은 단면이 역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내측에는 가이드부로서 가이드 돌기(31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양측벽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311)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서 가이드 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11)와 가이드 홈(312)의 형태는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되, 외측으로는 탈락 방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311)와 가이드 홈(312)의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310)는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연장되고 수축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흡연자에 따라 지지대(3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거치되는 담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점화 수단(400)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담배의 점화를 위한 점화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흡연자가 장치 본체(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체적으로는 개폐창(110)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담배를 입에 문 상태에서 담배를 점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화 수단(4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재떨이 받침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점화 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410), 및 상기 점화구(410)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는 점화용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점화용 배터리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스위치는 앞서 설명한 담배 거치 수단(300)의 베이스 프레임(310)이 이동하여 베이스 프레임(310)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온되고, 접촉이 해제되면 오프되는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점화 스위치는 푸쉬풀(push-pull)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 실시 예는 상기 담배 거치 수단(300)의 베이스 프레임(3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온/오프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점화구(410)는 상단부에서 와선형 코일이 담배 거치 수단(300)이 대향하게 형성되며, 점화 스위치의 온(On) 시 열저항으로 가열되어 점화원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점화 수단(4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장치 본체(100)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점화 스위치(미도시)와,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410), 및 상기 점화구(410)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는 점화용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점화구(410)는 재떨이 받침대(200)의 타단부에 구성되지 않고, 장치 본체(100)의 전방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의 점화 수단(400)은 흡연자가 담배를 문 상태에서 담배 거치 수단(300)의 베이스 프레임(310)을 전방으로 소정 정도 이동시켜서 담배의 단부가 점화구(4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점화 스위치를 손으로 조작하여 점화하게 된다.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도, 상기 점화용 배터리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기 배출 수단(500)은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흡연 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기 배출 수단(5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 도면에서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배기구(510)와, 상기 배기구(510)에 구비되는 석션팬(520), 및 상기 석션팬(520)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팬 스위치(5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 예의 연기 배출 수단(500)은 실내에 구비되고 흡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과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자바라형 배기관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연기 배출 수단(500)은 배기구(510)의 토출 측에 연기를 필터링하는 카트리지식(교체식)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는, 외기를 장치 본체(100)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 수단은 일 실시 예로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유입 수단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의 도입은 허용하고 내부 공기의 배출은 방지하는 댐퍼 부재와, 상기 유입구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석션팬(520)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팬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의 외기 유입 수단은 상기 유입구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는 외부의 소리를 청음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착용 시 흡연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청음구, 및 상기 청음구에 구비되는 교체형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재는 담배 연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에 의하면, 흡연시 주위의 다른 사람들에게 주는 피해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보건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담배 연기 및 냄새로 인한 주변 또는 이웃주민들과의 불화를 방지하며, 간접흡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연과 동시에 사무 업무 또는 컴퓨터 게임이나 취미생활 등을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를 상대적으로 최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실내의 창문을 열지 않고 담배 연기를 배출할 수 있어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본체
101: 두부 출입구
110: 개폐창
200: 재떨이 받침대
201: 거치부
300: 담배 거치 수단
310: 베이스 프레임
311: 가이드 돌기
312: 가이드 홈
320: 지지대
330: 탄성 지지 스트립
400: 점화 수단
410: 점화구
500: 연기 배출 수단
510: 배기구
520: 석션팬
530: 팬 스위치

Claims (9)

  1. 두부 출입구가 형성되는 통 형태의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개폐창;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지지되어 구비되는 재떨이 받침대;
    상기 재떨이 받침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떨이;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담배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담배 거치 수단;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타단부 또는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담배의 점화를 위한 점화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점화 수단;
    상기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 수단; 및
    상기 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점화 수단과 연기 배출 수단에 작동 전류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두부 출입구의 주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흡연자의 어깨 부분에 지지되는 지지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받침대에는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에 스펀지 또는 레자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접촉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창은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창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식 개폐창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떨이 받침대는 내측에 재떨이가 수용되어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거치 수단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일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담배를 개재시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단면 역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내측에는 가이드 돌기 또는 가이드 홈 중 하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양측벽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가이드되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확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은,
    상기 재떨이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으로 온/오프하는 점화 스위치; 및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점화 스위치; 및
    상기 점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점화 온/오프되는 점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 수단은,
    상기 장치 본체에 형성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석션팬; 및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외기 유입 수단;
    외부의 소리를 청음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형성되는 청음구; 및
    상기 청음구에 구비되는 교체형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KR1020210105082A 2021-08-10 2021-08-10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KR10257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2A KR102578518B1 (ko) 2021-08-10 2021-08-10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082A KR102578518B1 (ko) 2021-08-10 2021-08-10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99A true KR20230023199A (ko) 2023-02-17
KR102578518B1 KR102578518B1 (ko) 2023-09-14

Family

ID=8532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082A KR102578518B1 (ko) 2021-08-10 2021-08-10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1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92A (ko) * 1990-08-31 1992-03-27 한대웅 골프화용 스파이크 소재
JP2002000253A (ja) * 2000-06-20 2002-01-08 Nobuyuki Yamaguchi 喫煙用の封煙マスク
KR101617637B1 (ko) * 2015-03-31 2016-05-03 한은주 흡연 전용 헬멧
KR20170002355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폴딩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0484665Y1 (ko) 2015-12-22 2017-10-13 박재범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0484664Y1 (ko) 2015-12-22 2017-10-1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80136300A (ko) * 2017-06-14 2018-12-24 김호 헬멧 마스크
KR20190057995A (ko) 2017-11-21 2019-05-29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개인용 흡연부스의 조립구조
KR20200038580A (ko) * 2018-10-04 2020-04-14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연도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92A (ko) * 1990-08-31 1992-03-27 한대웅 골프화용 스파이크 소재
JP2002000253A (ja) * 2000-06-20 2002-01-08 Nobuyuki Yamaguchi 喫煙用の封煙マスク
KR101617637B1 (ko) * 2015-03-31 2016-05-03 한은주 흡연 전용 헬멧
KR20170002355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폴딩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0484665Y1 (ko) 2015-12-22 2017-10-13 박재범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0484664Y1 (ko) 2015-12-22 2017-10-1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80136300A (ko) * 2017-06-14 2018-12-24 김호 헬멧 마스크
KR20190057995A (ko) 2017-11-21 2019-05-29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개인용 흡연부스의 조립구조
KR20200038580A (ko) * 2018-10-04 2020-04-14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흡연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518B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646B2 (ja) 電池扉
US4899766A (en) Secondary smoke catcher
US20210353974A1 (en) Wearable air purifier
EP1472944A3 (en) Ear protector for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id ear protector
KR20120121645A (ko) 무연 전자 담배
JP2018166945A (ja) 消臭システム
KR20230023199A (ko) 두부 착용식 개인용 흡연 캡 장치
US4858627A (en) Smoker's hat
KR101562326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KR200484664Y1 (ko)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090035888A (ko) 담배 냄새 막는 이어폰
KR20140010258A (ko) 방진 마스크가 구비된 헤드셋
KR200484665Y1 (ko)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40004675U (ko) 실내 설치용 흡연부스
JP3378558B2 (ja) 喫煙用の封煙マスク
JP6944695B2 (ja) 消臭装置
DE69910043D1 (de) Aschenbecher mit ventilator
CN215443290U (zh) 一种可净化香烟的静音间
KR20220150686A (ko) 휴대용 스마트 재떨이 장치
AU2018101258A4 (en) A cigarette extinguisher
JPH0675197U (ja) クリーンボックスパイプ
US104704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extinguishing smoke device
KR200203760Y1 (ko) 방음 헬멧
KR20130072332A (ko) 담배연기 정화구
US20240016206A1 (en) Reduced odor smok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