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93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2937A KR20230022937A KR1020230016796A KR20230016796A KR20230022937A KR 20230022937 A KR20230022937 A KR 20230022937A KR 1020230016796 A KR1020230016796 A KR 1020230016796A KR 20230016796 A KR20230016796 A KR 20230016796A KR 20230022937 A KR20230022937 A KR 202300229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tub
- wire
- permanent magnets
- dru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2—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the metal pieces being rotated while induction heat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으로 드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거나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자기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 시킨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세탁 과정에서, 온도가 높은 세탁수를 이용해 세탁을 하면 더 많은 세제가 용해될 수 있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세탁물이 살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는 세탁물이 영구적으로 변형(예를들어, 수축, 뒤틀림, 방수기능상실 등)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척수의 온도를 높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세탁물에 접촉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받거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열선에 세척수를 접촉시켜 터브에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받는 방식은 별도로 외부 보일러를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열선를 이용하는 방식은 열선이 세탁수에 지속적으로 잠겨있어야 하기 때문에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를 구비해야만 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한편, 건조과정에서는 종래 터브와 외부 순환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 상에 열선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선을 가열할 수 있는 가스 히터나 전기 히터가 필요하나, 가스 히터는 안전성과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전기 히터는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으며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 외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 제습 건조방식이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에어컨에서 실내 공기를 낮추기 위해서 실내기에 응축기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히트 펌프 건조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히트펌프는 다른 열풍공급구조에 비해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생산 단가가 큰 문제가 있다.
나아가, 위의 열풍 건조방식과 저온 제습 건조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 건조방식이므로, 세탁물이 뭉쳐져 있거나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많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컨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 기술들은 세탁기에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의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수를 가열하거나, 세탁 대상물을 건조 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 대상물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의 중앙과 전후방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덕션 모듈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하여 터브의 진동에도 인덕션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 그리고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상기 드럼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동일한 크기의 막대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와, 상기 코일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전단부와 상기 코일 후단부 보다 더 넓게 형성된 코일 중앙부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상기 코일 중앙부보다 상기 코일 전단부 또는 상기 코일 후단부에 같거나 더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구비하도록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권선되어 형성되며, 상기 곡선부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곡률 반경은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 전방에 구비된 전방 직선부와 상기 터브의 외주면 후방에 구비된 후방 직선부를 포함하는 가로 직선부와, 상기 가로 직선부와 수직하게 형성된 세로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선부는 상기 가로 직선부와 상기 세로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영구자석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에 장착된 영구자석의 하면이 상기 코일과 마주할 수 있는 하부개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는 상기 양측벽의 일단에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내측벽, 그리고 상기 내측벽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영구자석이 커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하부개방부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하면을 가압하는 영구자석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의 하단은 상기 코일 슬롯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는 상기 코일이 감기어 구비될 수 있는 코일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코일 슬롯의 상단은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선경보다 폭이 좁은 코일 슬롯이 형성되는 베이스 하우징; 그리고 상기 코일 슬롯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슬롯의 상단은 상기 커버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 리브와 상기 코일 슬롯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슬롯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리브의 높이는 상기 와이어의 선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리브의 높이는 상기 와이어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슬롯은 고정 리브와 고정 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와이어가 상기 코일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단일 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가 상하 중첩되어 권선되지 않고 단일 레이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다 넓은 코일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의 높이는 와이어의 선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된 후 용융되어 상기 코일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이 가해지면 용융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슬롯에 와이어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은 와이어의 상단보다 더욱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에서 열판을 하방으로 누르면 고정 리브의 일부분이 용융되어 좌우로 퍼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용융된 일부는 고정리브의 좌우로 퍼져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리브의 상단 일부분이 용융되어 코일 슬롯의 상부 개구부(즉, 와이어가 삽입되는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게 된다. 따라서, 상부 개구부는 완전히 막히거나 일부분만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와이어의 선경보다는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와이어가 개방된 개구부로 빠져냐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열판의 이동 방향을 통해서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 일부분의 유동 방향성이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누르면 하나의 고정 리브에서 좌우로 용융된 부분이 퍼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누르면서 좌측으로 열판을 이동시키면, 용융된 부분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코일 슬롯의 상부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권선되어 형성되며, 상기 곡선부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곡률 반경은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수 가열 시간 및 세탁물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 중앙 및 전후방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세탁수 가열 효율 및 건조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덕션 모듈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터브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은 세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인덕션 모듈 및 드럼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코일과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곡선부 곡률 반경이 동일한 코일을 나타내고, 도 4(b)는 내측코일과외측코일의 곡선부 곡률반경이 상이한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7는 터브,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b)는 영구자석 장착부의 단면이다.
도 2는 인덕션 모듈 및 드럼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코일과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곡선부 곡률 반경이 동일한 코일을 나타내고, 도 4(b)는 내측코일과외측코일의 곡선부 곡률반경이 상이한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7는 터브,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b)는 영구자석 장착부의 단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과 동일 또는 균등 범위 내의 실시라고 볼 수 있는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표현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나,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의미와 상이한 경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들 중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거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된다고 표현된 경우, 직접 접촉하여 연결되거나 구비된 경우도 포함하지만,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되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1100)가 구비된 캐비닛(1000), 상기 캐비닛(10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100)와 연통하는 개구부(2200)가 구비된 터브(2000), 상기 터브(2000) 내부에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00),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1000)에 힌지 결합된 도어(6000) 및 자기장으로 상기 드럼(3000)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50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00)는 도 1과 같이 캐비닛(1000) 내부 상면에 구비된 스프링과 하면에 구비된 댐퍼(120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00) 후방에서 터브(2000)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 지지부(미도시)와,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되 스프링과 댐퍼를 구비한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0) 내부 하면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터브(2000)의 후방은 캐비닛(1000) 내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00)은 상기 터브(200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데, 이 때 드럼(30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00)는 터브(20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00)이 회전하면서 터브(2000) 내부에서 유동하면 터브(200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터브(2000)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터브(2000)는 내부에 세탁수를 공급받는 경우 급수관(80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급수관(8000)은 캐비닛(1000)에 구비된 세제박스(D)를 경유하여 터브(20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세탁수의 급수시 세탁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제도 함께 터브(20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터브(2000)는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배수가 시작되면,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서 배수되게 되고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해 배수관(7000)을 거쳐 의류처리장치(1)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세탁기능이 있는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세탁물에 따라 영구 손상(예를들어, 수축, 뒤틀림, 방수기능상실 등)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탁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가열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겸용한 의류처리장치(1)와 건조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의류처리장치(1) 모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가열구조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의 가열하기 위해 또는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덕션 모듈(50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5000)은 터브(200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와이어(5151)가 권선된 코일(515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00)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5151)는 심선과 심선을 감싸는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선은 단일 심선일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심선이 얽혀 하나의 심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151)의 두께 내지는 선경은 심선과 코팅 두께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일(5150)이 드럼(3000)을 가열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드럼(3000) 원주면 외측에 있는 코일(5150)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5150)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 교류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 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여기서 투자율이란,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자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때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000)에는 와전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와전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을 타고 흐르다가 드럼(3000)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3000) 내벽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
드럼(3000)의 내벽이 직접 가열되면 드럼(3000) 내부의 공기온도와 드럼(3000)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세탁물의 온도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직접가열이 가능하므로 간접 가열방식인 열풍 건조방식이나, 저온 제습 건조방식만을 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비해 더 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세탁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별도의 열선과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세탁수는 드럼(3000) 내외벽에 계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와 열선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더 빠른 세탁수 가열이 가능하다.
도 3은 와이어(5151)가 터브(2000) 외주면 외측에 권선된 코일(5150)의 상면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5150)은 터브(2000) 외주면 상에서 동심원, 타원, 트랙형상 등 와이어(5151)가 권선되어 코일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면 어떤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으나, 권선된 모양에 따라 상기 드럼(3000)의 가열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왜냐하면, 도 4(b)에 개시된 코일의 형태와 같이 곡선부의 곡률반경이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다르게 형성되면, 드럼(3000)의 중심방향에 전달되는 자기장과 전방 및 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드럼(3000) 전후방 근처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3000)의 원주면 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고, 중앙부(A)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은 넓기 때문에 드럼(3000)의 원주면 중심부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드럼(3000)을 균일하게 가열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5150)은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부(5155, 5156, 5157)와 곡선부(5153)를 구비하도록 와이어(5151)가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5153)를 형성하는 와이어(5151)의 곡률 반경은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의 코일과 도 4(b)에서의 코일에서 모서리 부분에서 코일의 면적은 확연히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와 곡선부(5153)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는 터브(2000)의 외주면 전방에 구비된 전방 직선부(5156)와 터브(2000)의 외주면 후방에 구비된 후방 직선부(5157)를 포함하는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상기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수직하게 형성된 세로 직선부(5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5153)는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세로 직선부(5155)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게 된다.
즉, 전방 직선부(5156), 후방 직선부(5157), 양측의 세로 직선부(5155) 및,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 사이에 형성되며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4개의 곡선부(5153)로 상기 코일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터브(2000)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B1, B2)와, 상기 코일 양단부(B1, B2) 사이에 위치한 코일 중앙부(A)의 가로 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코일의 양단부(B1, B2)에서 드럼(3000)의 원주면 전방 및 후방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과, 코일의 중앙부(A)에서 드럼(3000)의 원주면 중앙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비슷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3000)의 원주면 중앙과 전후방 모두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5를 보면, 각기 다른 세로길이를 가진 코일(5150)과, 상기 코일(5150)의 세로폭에 따른 드럼(3000) 원주면의 가열 분포가 나타나 있다.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드럼의 각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1'은 드럼의 외주면 후방이며 '5'는 드럼(3000)의 외주면 전방을 나타내고 '2 내지 5'는 그 사이 구간을 나타낸다. 또한, 가로축은 드럼(3000)의 온도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코일(5150)의 세로폭 및 드럼(3000)의 온도상승률은 도 5에 개시된 각각의 코일(5150)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도 5(a)는 세로폭이 가장 넓은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며, 도 5(b)는 중간 정도 넓이의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고, 도 5(c)는 가장 좁은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다.
도 5(a)의 코일은 다른 코일에 비해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균일한 온도상승율을 보이고 있으며, 도 5(c)의 코일은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의 온도상승율 차이가 현격하며, 도 5(b)의 코일 역시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상승률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각각의 코일(5150)의 가로폭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코일(5150)의 세로폭이 길어질수록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됨을 볼 수 있다. 즉, 타원 또는 트랙 형상의 코일의 장축은 터브의 전후 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터브(2000) 외주면에 코일(5150)이 구비되는 경우로 해석하면, 코일(5150)의 양단부(B1, B2)가 터브(2000)의 전방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터브(2000) 내부에 구비된 드럼(3000)의 원주면은 더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가로 직선부(5156, 5157)의 최외측 와이어가 터브(2000) 전후방까지 확장되도록 구비되면 드럼(3000)이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 자기장이 전후방으로 지나치게 확장되어 구동부(4000)나 도어(6000) 등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들을 가열하게 되므로, 의류처리장치(1)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터브(2000)의 후방이 캐비닛(1000) 내부에서 기울어져 구비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터브(2000)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인덕션 모듈(5000)의 전방 상부 모서리와 캐비닛(1)상면과의 간섭이 생겨 인덕션 모듈(5000)과 캐비닛(1000)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1000)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컴팩트한 의류처리장치 구조를 구현할 수 없게 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직선부(5156)의 최외측 와이어는 터브(2000)의 최전방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후방 직선부(5157)의 최외측 와이어는 상기 터브(2000)의 최후방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간격은 10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은 드럼(3000) 외에 다른 구성을 불필요하게 가열하거나, 인덕션 모듈(5000)과 캐비닛(1000) 내부 상면이 간섭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드럼(300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코일(5150)의 세로 직선부(5155)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가로 직선부(5156, 5157)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000)의 둘레 방향으로 자기장이 지나치게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3000) 외에 다른 구성을 가열하지 않도록 하며, 터브(2000)의 외주면상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다른 구성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5151)가 권선되어 코일(5150)이 형성하는 면이 드럼(3000)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럼(3000)으로 향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인덕션 모듈(5000)이 작동되면 드럼(3000)을 회전시켜 드럼(3000)의 원주면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코일(5150)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을 향해 방사되는 반면, 드럼(3000)의 반대 방향이나 전후방 및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도 일부 방사되게 된다.
그러므로, 코일(515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인덕션 모듈(5000)은 영구자석(5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구자석(5130)은 차단부재 역할을 하여 드럼(3000) 외에 주변의 다른 구성이 가열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코일(515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켜 가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5130)은 막대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515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51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구자석(5130)은 동일한 크기의 막대자석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5130)은 코일(5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만 영구자석(5130)이 배치되는 경우 드럼(3000)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드럼(3000) 원주면의 각 부분마다 달라져 균일 가열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일(515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5150)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코일(515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같은 개수의 영구자석(5130)이 있다면 코일(5150)에서 터브(2000)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 (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5150)은 터브(2000)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B1)와 터브(2000)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B2)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B1, B2)와, 상기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전단부(B1)와 상기 코일 후단부(B2) 보다 더 넓게 형성된 코일 중앙부(A)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5130)은 코일 중앙부(A)보다 코일 전단부(B1) 또는 코일 후단부(B2)에 같거나 더 많은 개수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중앙부(A)에서는 자기장이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 확장되도록 방사되게 되는데, 이 경우 드럼(3000)의 넓이 방향 폭이 코일 중앙부(A)의 폭보다 훨씬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많은 개수의 영구자석을 배치시키지 않아도 드럼(3000)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에서는 자기장이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 확장되도록 방사됨은 물론, 코일 전단부(B1)에서는 드럼(3000)의 전방으로, 코일 후단부(B2)에서는 드럼(3000)의 후방으로 방사되게 된다.
또한,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에서는 코일이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다. 즉,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서 코일의 밀도가 양단부에서 작아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모서리 부분에서 이론적으로 수직하게 코일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개수의 영구자석을 코일 전단부(B1), 코일 후단부(B2) 및 코일 중앙부(A)에 각각 배치할 경우, 드럼(3000)의 길이 방향으로 불균일 가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개수의 영구자석(5130)을 배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영구자석(5130)은 코일의 중앙부(A)보다는 양단부(B1, B2)에 집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드럼의 전후를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럼을 더욱 균일하게 가열하여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일 양단부(B1, B2)의 자속 밀도를 영구자석의 집중을 통해 높여, 결과적으로 드럼(30)이 길이방향으로 균일 가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영구자석 개수를 전제로 하면, 중심부(A)에 위치되는 영구자석(76)을 양단부(B1, B2)로 위치시키는 것이 효율면에서 좋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통한 총 자속밀도가 정해지는 경우, 양단부에서의 자속밀도가 중심부에서의 자속밀도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코일(5150)의 권선 형태에 관한 실시예와 영구자석(5130)의 배치에 관한 실시예는 상충되지 않고 하나의 의류처리장치(1)에 모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실시예만이 구현된 의류처리장치(1)보다 드럼(3000)을 더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탁이나 건조과정에서 드럼(3000)이 회전하게 되면 터브(200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터브(2000)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소음이 심해지거나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5000)은 코일(5150)을 터브(2000)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역할을 하며,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코일(515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터브(2000)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이스 하우징(5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에 장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a)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은 코일(5150)의 와이어(5151)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상기 와이어(5151)의 선경보다 폭이 좁은 코일 슬롯(51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코일 슬롯(5120)의 폭은 와이어(5151)의 선경의 93% 내지 97%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5151)가 상기 코일 슬롯(5120)에 억지 끼움되면,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와이어(5151)가 코일 슬롯(5120) 내부에 고정되어 코일(5150)이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코일 슬롯(5120)으로부터 코일(5150)이 이탈하지 않게 되며, 유동자체가 억제되기 때문에 유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코일 슬롯(512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510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51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리브(5121)의 높이는 상기 코일(5150)의 선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리브(5121)의 높이가 코일(5150)의 선경보다 크게 구비되어야 고정 리브(5121) 내벽과 의해 코일(5150)의 양면이 충분하게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후술할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의 녹임 처리와도 관련이 된다.
상술한 특징은 고정 리브(5121)가 인접한 와이어(5151)가 서로 분리 고정되도록 하므로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5151)에 별도의 절연막을 입힐 필요가 없거나 절연막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어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은 상기 와이어(5151)가 삽입된 후 용융되어 상기 코일(515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은 녹임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5121)의 높이는 코일(5150)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와이어(5151) 선경의 1 내지 1.5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6(a'')을 참조하면 와이어가 억지끼움된 후, 고정 리브(5121)는 상면이 가압되면서 용융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a'')에서와 같이, 용융된 고정 리브(5121)의 일부분은 양쪽으로 퍼져 양측 와이어(5151)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5151)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각각의 고정 리브(5121)는 코일 슬롯(5120)에서 와이어(5151)의 상부가 완전히 차폐되도록 용융되거나, 와이어(5151)의 상부에 와이어(5151) 선경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코일 슬롯(5120)은 양측의 와이어(5151)가 아닌 일측의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모든 고정 리브(5121)는 인접한 와이어(5151) 중 내측에 구비된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되거나, 외측에 구비된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되어야 할 것이다.
코일(5150)을 코일 슬롯(512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을 녹임 처리를 하는 이유는 와이어(5151)가 이탈할 수 있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고, 와이어(5151)의 유동을 방지하여 터브(2000)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며, 부품 간 유격이 없어져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코일 슬롯(5120)은 상기 고정 리브(5121) 사이의 하부에 코일(5150)이 안착되는 슬롯 베이스(5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롯 베이스(5122)는 도 6(a'')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차폐되어 있으며 녹임 처리된 고정 리브(5121)와 함께 코일(515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슬롯 베이스(5122)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슬롯 베이스(5122)에 구비된 개방 구조는 관통홀 내지는 관통부(5170)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코일(5150)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코일(5150)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 구비되도록 고정 리브(5151)가 베이스 하우징(5100) 하부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슬롯 베이스(5122)에 별도의 관통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녹임 처리된 고정 리브(5121)들이 형성하는 공간이 관통부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b)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그림과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는 상면과 관통하는 관통부(5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5170)는 코일(5150)이 터브(2000) 외주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와이어(5151)가 권선된 모양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5151)가 권선된 모양을 따라 형성되면, 와이어(5151)에서 드럼(3000) 방향으로 자기장이 원활하게 방사되어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개방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므로 과열된 코일(5150)이 빠르게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6(b)을 보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 상기 관통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된 베이스 지지바(5160)가 개시되어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5100)은 상기 베이스 지지바(5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바(5160)는 터브(2000) 외주면과 베이스 하우징(5100)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베이스 하우징(5100)의 중앙부(A) 양측의 고정점(5165)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5100) 양측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5190)가 터브 외주면에 구비된 터브 체결부(2100)에 고정되면, 베이스 지지바(5160)에 의해 터브(2000) 외주면이 가압되게 되므로, 베이스 하우징(5100) 하면 전체가 터브(2000) 외주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더 강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 외주면에서 쉽게 이동하거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베이스 하우징(5100)과 터브(2000) 외주면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와이어(5151)가 권선되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은 전술한 코일 곡선부(5153)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특징에 대응되도록 고정 리브(5121)의 곡선부가 모두 동일 곡률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덕션 모듈(5000)은 코일 슬롯(512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5100)과 결합하는 커버(5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코일(5150) 및 영구자석(5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300)의 하면은 베이스 하우징(5100)의 코일 슬롯(512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5300) 자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8(a)을 참조하면, 커버(530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53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5370)와 코일 슬롯(5120)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리브(5370)의 하면이 코일 슬롯(5120)과 밀착하는 경우, 커버(5300) 하면의 전면이 코일 슬롯(512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경우에 비해 좁은 면적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300)는 더 견고하게 터브(2000) 외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터브(2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유격에 의한 소음이나 부품 이탈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코일(515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515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전체를 가압하지 않고도 코일 전체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커버(5300)와 코일(515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방열을 위해 공기가 유동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이러한 이격 공간 중 일부를 메우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코일의 고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커버(53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코일(515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코일(5150)을 가압하는 수단이나 단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영구자석(5130)은 베이스 하우징(5100)과 커버(5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5300)는 영구자석(513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영구자석 장착부(535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5300)에 영구자석(5130)이 고정되면,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에 결합됨에 따라 영구자석은 코일(5150)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영구자석(5130)은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코일(5150) 상면의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영구자석(5130)이 터브(2000)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게 되면 소음 문제뿐만 아니라,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 장착부(5350)에 의해 영구자석(5130)은 베이스 하우징(5100)과 커버(5300) 사이에서 초기에 배치되었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영구자석 장착부(5350)는 커버(53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영구자석 장착부(5350)에 장착된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코일(515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는 하부개방부(53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측벽에 의해 영구자석(5130)의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며, 하부개방부(5352)는 영구자석(5130)이 코일(5150)의 상면과 더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구자석(5130)이 코일(5150)에 더 근접하여 구비될수록 자기장은 드럼(3000) 방향으로 더 집중적으로 안내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드럼(300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5130)는 상기 양측벽의 일단에 상기 커버(53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내측벽(5354)과, 상기 내측벽과 마주보는 면에 개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영구자석(5130)이 커버(5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부(53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구자석(5130)은 상기 내측벽(5354)과 걸림부(5355)에 의해 전후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300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영구자석(5130)이 과열된 코일(5150)에 의해 같이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개방면을 통해 발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베이스 하우징(5100)은 상기 하부개방부(5352)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5130)의 하면을 가압하는 영구자석 가압부(5357)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판스프링 또는 고무소재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00)의 진동에 따라 영구자석(513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5130)은 하부의 코일 슬롯(5120)과 영구자석 장착부(535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유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진동을 완충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5130)과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체결력 향상과 안정적인 드럼(3000)의 가열을 위해, 영구자석 장착부(5350)의 하단이 상기 코일 슬롯(512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코일(5150)과 더 근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므로 드럼(3000)이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보강 리브(5370)와 같은 역할을 하여 커버(5300)와 베이스 하우징(5100)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커버(5300) 역시 같은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영구자석 장착부(5350)는 베이스 하우징(510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5100)에서 고정 리브(5121) 상부에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하우징(51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커버(53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는 터브(2000), 베이스 하우징(5100) 및 커버(5300)의 체결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터브(2000)는 터브 체결부(2100)를, 베이스 하우징(5100)은 베이스 체결부(5190)를, 커버(5300)는 커버 체결부(5390)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터브 체결부(2100)는 터브 체결공을, 베이스 체결부(5190)는 베이스 체결공을 커버 체결부(5390)는 커버 체결공을 구비하며, 구비된 체결공은 모두 동일한 길이의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나사로 동시에 터브(2000)와 베이스 하우징(5100) 그리고 커버(5300)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과정에서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터브 체결부(2100), 베이스 체결부(5190) 및 커버 체결부(5390)는 코일의 양단부(B1, B2)가 터브(2000) 전후방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경우 체결 공간 확보를 위해 코일(5150)의 양측으로 체결점이 회피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5300)는 양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리브(538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에 쉽게 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커버(53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커버(72)에는 팬 장착부(5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장착부((5360)는 커버(53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장착부를 통해서 커버(5300) 내부 즉 인덕션 모듈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 내부에는 커버(5300)와 베이스 하우징(5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 공간에서 코일(5150)을 냉각시키고 베이스 하우징의 관통부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덕션 모듈(5000)은 터브(20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터브(200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터브(2000)의 외벽과 함께 동일 원주면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인덕션 모듈(5000)은 드럼(3000)의 외주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인덕션 모듈(500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코일과의 거리가 증가될 수록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기 구성들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000 터브 2000
드럼 3000 인덕션 모듈 5000
코일 5150 베이스 하우징 5100
영구자석 5130 커버 5300
드럼 3000 인덕션 모듈 5000
코일 5150 베이스 하우징 5100
영구자석 5130 커버 5300
Claims (20)
-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인덕션을 통해서 상기 드럼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전단부, 후단부 및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구비하는 코일; 및
상기 전단부 또는 상기 후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영구자석들 및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영구자석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구자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구자석들의 밀도는 상기 복수의 제2 영구자석들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영구자석들 중에서 인접하는 영구자석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2 영구자석들 중에서 인접하는 영구자석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을 동일 크기의 막대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기 전단부가 상기 터브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의 상기 후단부가 상기 터브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상기 와이어의 밀도는 상기 전단부 또는 상기 후단부의 상기 와이어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밀도는 상기 베이스 하주징의 넓이에 대한 상기 와이어의 넓이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 하주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와이어의 복수의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직선부; 및
상기 와이어의 복수의 곡선 구간을 포함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직선부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직선부를 포함하는 가로 직선부; 및
상기 코일의 상기 가로 직선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세로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상기 곡선부는 상기 코일의 상기 가로 직선부와 상기 세로 직선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영구자석들은 상기 코일의 직선부의 일부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구자석들은,
상기 코일의 상기 곡선부의 반경 방향 곡률을 따라 배치되는 곡선부 자석들; 및
상기 코일의 상기 직선부의 다른 일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직선부 자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기 곡선부는,
상기 코일의 내측 반경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상기 복수의 곡선부들 중에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내측코일; 및
상기 코일의 외측 반경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상기 복수의 곡선부들 중에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외측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코일의 곡률반경은 상기 외측코일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코일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영구자석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장착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 중의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장착부 각각은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하부개방부를 정의하는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코일을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커버가 있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의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코일 슬롯을 정의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은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 장착부 중 하나의 하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서 상기 커버가 있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의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코일 슬롯을 정의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있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과 접촉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코일의 중심 영역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라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중앙부의 길이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전단부 또는 상기 후단부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영구 자석들의 수는 상기 복수의 제2 영구 자석들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6796A KR102661665B1 (ko) | 2017-08-09 | 2023-02-08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334A KR102499327B1 (ko) | 2017-08-09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30016796A KR102661665B1 (ko) | 2017-08-09 | 2023-02-08 | 의류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334A Division KR102499327B1 (ko) | 2016-08-25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2937A true KR20230022937A (ko) | 2023-02-16 |
KR102661665B1 KR102661665B1 (ko) | 2024-04-29 |
Family
ID=632076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334A KR102499327B1 (ko) | 2016-08-25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30016796A KR102661665B1 (ko) | 2017-08-09 | 2023-02-08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334A KR102499327B1 (ko) | 2016-08-25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001957B2 (ko) |
EP (2) | EP3859074A1 (ko) |
KR (2) | KR102499327B1 (ko) |
WO (1) | WO20190318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079B1 (ko) * | 2017-08-09 | 2022-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77042B1 (ko) * | 2017-08-09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704189B2 (en) | 2017-08-25 | 2020-07-07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appliance having an ultrasonic drying mechanism |
US10626543B2 (en) * | 2018-05-18 | 2020-04-21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Induction heating system for a dryer appliance |
KR20200018242A (ko) * | 2018-08-09 | 2020-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1598042B2 (en) | 2019-03-28 | 2023-03-07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 |
KR20220007230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EP4317574A4 (en) * | 2021-04-02 | 2024-08-21 |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 ELECTROMAGNETIC HEAT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LAUNDRY TREATMENT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439A (ko) * | 2008-02-25 | 200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조리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도코일유닛 |
EP2400052A1 (en) * | 2010-06-25 | 2011-12-28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 An induction heating system |
KR101450238B1 (ko) * | 2013-08-27 | 2014-10-14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
DE102016110859B3 (de) *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5471A (en) | 1998-03-31 | 1999-08-10 | Camco Inc. | Heater coil support and mounting bracket |
JP3870620B2 (ja) | 1999-09-09 | 2007-0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洗濯機 |
JP3861731B2 (ja) * | 2002-03-28 | 2006-12-2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誘導加熱装置 |
EP1914339B1 (en) | 2006-10-19 | 2010-03-1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Household washing machine with induction heating |
KR100922986B1 (ko) | 2009-01-12 | 2009-10-22 | 윤태소 | 건조기 |
KR101844404B1 (ko) | 2011-03-28 | 2018-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도가열조리기 |
DE102014208514A1 (de) * | 2014-05-07 | 2015-11-12 | BSH Hausgeräte GmbH |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Induktionsheizung |
KR101596482B1 (ko) * | 2015-01-16 | 2016-03-07 | 안양섭 | 용접 예열 및 후열용 가열장치 |
KR20180023277A (ko) * | 2016-08-25 | 2018-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7
- 2017-08-09 KR KR1020170101334A patent/KR102499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8-09 EP EP20201504.6A patent/EP3859074A1/en active Pending
- 2018-08-09 EP EP18188257.2A patent/EP3441516B1/en active Active
- 2018-08-09 WO PCT/KR2018/009124 patent/WO20190318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8-09 US US16/059,286 patent/US11001957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5-10 US US17/316,265 patent/US11519124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2-08 KR KR1020230016796A patent/KR1026616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439A (ko) * | 2008-02-25 | 200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조리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도코일유닛 |
EP2400052A1 (en) * | 2010-06-25 | 2011-12-28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 An induction heating system |
KR101450238B1 (ko) * | 2013-08-27 | 2014-10-14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
DE102016110859B3 (de) *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048509A1 (en) | 2019-02-14 |
US11001957B2 (en) | 2021-05-11 |
EP3859074A1 (en) | 2021-08-04 |
WO2019031886A1 (en) | 2019-02-14 |
KR102661665B1 (ko) | 2024-04-29 |
KR20190016861A (ko) | 2019-02-19 |
EP3441516A1 (en) | 2019-02-13 |
US20210262144A1 (en) | 2021-08-26 |
US11519124B2 (en) | 2022-12-06 |
EP3441516B1 (en) | 2020-10-14 |
KR102499327B1 (ko) | 2023-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6156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9932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1563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649583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EP4180564A1 (en) | Clothing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