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82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825A
KR20230022825A KR1020227015635A KR20227015635A KR20230022825A KR 20230022825 A KR20230022825 A KR 20230022825A KR 1020227015635 A KR1020227015635 A KR 1020227015635A KR 20227015635 A KR20227015635 A KR 20227015635A KR 20230022825 A KR20230022825 A KR 2023002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dm symbol
data
signal
unit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김수남
홍성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2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부반송파 집합에 미리 정의된 값의 더미(dummy)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반송파 집합과 다른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데이터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더미 신호들 및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OFDM 심볼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거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제로(zero)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에 상기 UW를 합산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UW-OFDM 심볼을 제2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접속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접속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많은 통신 기기들이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통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뿐만 아니라 신뢰성 (reliability) 및 지연(latency) 민감한 서비스/UE(user equipment)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기술 구성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 및 해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부반송파 집합에 미리 정의된 값의 더미(dummy)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반송파 집합과 다른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데이터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더미 신호들 및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OFDM 심볼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거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제로(zero)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에 상기 UW를 합산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UW-OFDM 심볼을 제2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2 장치로부터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UW-OFDM 심볼에서 UW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더미(dummy) 신호와 맵핑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데이터 신호와 맵핑되는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성에 기반하여 상기 UW를 제거한 OFDM 심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부반송파 집합에 미리 정의된 값의 더미(dummy) 신호들을 맵핑하고, 상기 제1 부반송파 집합과 다른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데이터 신호들을 맵핑하고, 상기 더미 신호들 및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OFDM 심볼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거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제로(zero)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에 상기 UW를 합산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생성하고, 및 상기 UW-OFDM 심볼을 제2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장치로부터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수신하고, 상기 UW-OFDM 심볼에서 UW를 제거하고,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더미(dummy) 신호와 맵핑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데이터 신호와 맵핑되는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및 상기 관련성에 기반하여 상기 UW를 제거한 OFDM 심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양태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초한 실시 예들에 의해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이 보다 낮은 복잡도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구성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개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이동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XR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로봇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전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6G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전자기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변조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심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심볼에 UW(unique word)를 삽입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하는 송신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송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제로(zero) UW를 가지는 UW-OFDM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절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수신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절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수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절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기지국 및 단말 간 UW-OFDM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개시를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Node B), gNB(gNode B), ng-eNB, 발전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이동 가입자 단말(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발전된 이동 단말(advanced mobile station, AMS)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의 경우,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으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38.211, 3GPP TS 38.212, 3GPP TS 38.213, 3GPP TS 38.321 및 3GPP TS 38.331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른 무선 접속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3GPP 5G NR 시스템 이후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특정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 구성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 NR 등)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될 수 있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3GPP 6G는 TS Release 17 및/또는 Release 1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6G는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36.xxx 및 38.xxx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 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 LTE)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home appliance)(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기/서버(100g)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b-1, 100b-2)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100c)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100d)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100e)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100f)는 센서, 스마트 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20), 네트워크(130)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12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120)을 통해 네트워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AI 서버(100g)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120)/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120)/네트워크(13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100f)(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120), 기지국(120)/기지국(12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예,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기기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200a)와 제2 무선 기기(200b)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200a), 제2 무선 기기(200b)}은 도 1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12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200a)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a)는 메모리(204a) 및/또는 송수신기(206a)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a)는 메모리(204a)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a)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a)는 송수신기(206a)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a)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a)는 프로세서(202a)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a)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a)는 프로세서(202a)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a)와 메모리(204a)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a)는 프로세서(202a)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a)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a)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a)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b),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b)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b)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b)는 메모리(204b) 및/또는 송수신기(206b)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b)는 메모리(204b)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b)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b)는 송수신기(206b)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b)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b)는 프로세서(202b)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b)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b)는 프로세서(202b)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b)와 메모리(204b)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b)는 프로세서(202b)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b)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b)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b)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200a, 200b)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physical), MAC(media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radio resource control),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a, 208b)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a, 208b)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기기 구조
도 3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기기(300)는 도 2의 무선 기기(200a, 200b)에 대응하며, 다양한 요소(element), 성분(component), 유닛/부(unit), 및/또는 모듈(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메모리부(330) 및 추가 요소(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 회로(312) 및 송수신기(들)(3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312)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a, 202b)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a, 204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들)(314)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a, 206b)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a, 20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10), 메모리부(330) 및 추가 요소(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기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기기의 전기적/기계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부(310)을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부(310)를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요소(340)는 무선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요소(340)는 파워 유닛/배터리, 입출력부(input/output unit), 구동부 및 컴퓨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300)는 로봇(도 1, 100a), 차량(도 1, 100b-1, 100b-2), XR 기기(도 1, 100c), 휴대 기기(도 1, 100d), 가전(도 1, 100e), IoT 기기(도 1, 100f), 디지털 방송용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기기(도 1, 140), 기지국(도 1, 120), 네트워크 노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사용-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가능하거나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무선 기기(300) 내의 다양한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전체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부(3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300) 내에서 제어부(320)와 통신부(310)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320)와 제1 유닛(예, 130, 140)은 통신부(3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300) 내의 각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ECU(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 등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부(330)는 RAM, DRAM(dynamic RAM),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휴대 기기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휴대용 컴퓨터(예,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WT(wireless terminal)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400)는 안테나부(408), 통신부(410), 제어부(420), 메모리부(430), 전원공급부(440a), 인터페이스부(440b) 및 입출력부(440c)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408)는 통신부(4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410~430/440a~440c는 각각 도 3의 블록 310~330/340에 대응한다.
통신부(410)는 다른 무선 기기, 기지국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휴대 기기(4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430)는 휴대 기기(40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3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40a)는 휴대 기기(4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40b)는 휴대 기기(400)와 다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40b)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포트(예, 오디오 입/출력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440c)는 영상 정보/신호, 오디오 정보/신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받거나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440c)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440d),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통신의 경우, 입출력부(440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신호(예, 터치,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4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다른 무선 기기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다른 무선 기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래의 정보/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뒤, 입출력부(440c)를 통해 다양한 형태(예,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 햅틱)로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무선 기기 종류
도 5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은 이동형 로봇, 차량, 기차, 유/무인 비행체(aerial vehicle, AV), 선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500)은 안테나부(508), 통신부(510), 제어부(520), 구동부(540a), 전원공급부(540b), 센서부(540c) 및 자율 주행부(540d)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550)는 통신부(5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510/530/540a~540d는 각각 도 4의 블록 410/430/440에 대응한다.
통신부(510)는 다른 차량, 기지국(예, 기지국,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등),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500)의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40a)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500)을 지상에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540a)는 엔진, 모터, 파워 트레인, 바퀴,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40b)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5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540c)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540d)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5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540d)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500)이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540a)를 제어할 수 있다(예, 속도/방향 조절). 자율 주행 도중에 통신부(5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교통 정보 데이터를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며,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교통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도중에 센서부(5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540d)는 새로 획득된 데이터/정보에 기반하여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차량 위치, 자율 주행 경로, 드라이빙 플랜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이동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이동체는 운송수단, 기차, 비행체 및 선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적용되는 이동체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체(600)은 통신부(610), 제어부(620), 메모리부(630), 입출력부(640a) 및 위치 측정부(6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610~630/640a~640b는 각각 도 3의 블록 310~330/340에 대응한다.
통신부(610)는 다른 이동체, 또는 기지국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이동체(6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630)는 이동체(6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640a)는 메모리부(630)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AR/V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640a)는 HUD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640b)는 이동체(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이동체(600)의 절대 위치 정보, 주행선 내에서의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주변 차량과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6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체(600)의 통신부(6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수신하여 메모리부(6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6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이동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6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및 이동체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출력부(640a)는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이동체 내 유리창에 표시할 수 있다(651, 652). 또한, 제어부(620)는 이동체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체(600)가 주행선 내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동체(600)가 주행선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620)는 입출력부(640a)를 통해 이동체 내 유리창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주변 이동체들에게 주행 이상에 관한 경고 메세지를 방송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제어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관계 기관에게 이동체의 위치 정보와, 주행/이동체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XR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XR 기기는 HMD,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XR 기기(700a)는 통신부(710), 제어부(720), 메모리부(730), 입출력부(740a), 센서부(740b) 및 전원 공급부(7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710~730/740a~740c은 각각 도 3의 블록 310~330/340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다른 무선 기기, 휴대 기기, 또는 미디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미디어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XR 기기(700a)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20)는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및 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730)는 XR 기기(700a)의 구동/X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740a)는 외부로부터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획득하며, 생성된 X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7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40b)는 XR 기기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7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40c)는 XR 기기(700a)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XR 기기(700a)의 메모리부(730)는 XR 오브젝트(예, AR/VR/M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예, 데이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740a)는 사용자로부터 XR 기기(700a)를 조작하는 명령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720)는 사용자의 구동 명령에 따라 XR 기기(700a)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R 기기(700a)를 통해 영화, 뉴스 등을 시청하려고 하는 경우, 제어부(720)는 통신부(730)를 통해 컨텐츠 요청 정보를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700b)) 또는 미디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730)는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700b)) 또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영화, 뉴스 등의 컨텐츠를 메모리부(730)로 다운로드/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제어부(720)는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며, 입출력부(740a)/센서부(740b)를 통해 획득한 주변 공간 또는 현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XR 오브젝트를 생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XR 기기(700a)는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기기(700b)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XR 기기(700a)의 동작은 휴대 기기(700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700b)는 XR 기기(700a)에 대한 콘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XR 기기(700a)는 휴대 기기(700b)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한 뒤, 휴대 기기(700b)에 대응하는 XR 개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로봇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로봇(800)은 통신부(810), 제어부(820), 메모리부(830), 입출력부(840a), 센서부(840b) 및 구동부(8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810~830/840a~840c은 각각 도 3의 블록 310~330/340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다른 무선 기기, 다른 로봇, 또는 제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구동 정보,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로봇(8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830)는 로봇(8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840a)는 로봇(800)의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며, 로봇(800)의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8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840b)는 로봇(800)의 내부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8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840c)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840c)는 로봇(800)을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840c)는 액츄에이터, 모터, 바퀴,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AI 기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AI 기기는 TV, 프로젝터, 스마트폰,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AI 기기(900)는 통신부(910), 제어부(920), 메모리부(930), 입/출력부(940a/940b), 러닝 프로세서부(940c) 및 센서부(940d)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910~930/940a~940d는 각각 도 3의 블록 310~330/340에 대응할 수 있다.
통신부(9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AI 기기(예, 도 1, 100x, 120, 140)나 AI 서버(도 1, 140) 등의 외부 기기들과 유무선 신호(예,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910)는 메모리부(930) 내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모리부(9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AI 기기(9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20)는 AI 기기(9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20)는 러닝 프로세서부(940c) 또는 메모리부(93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AI 기기(9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AI 장치(9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부(930) 또는 러닝 프로세서부(940c)에 저장하거나, AI 서버(도 1, 140)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930)는 AI 기기(9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930)는 입력부(940a)로부터 얻은 데이터, 통신부(910)로부터 얻은 데이터, 러닝 프로세서부(940c)의 출력 데이터, 및 센싱부(94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930)는 제어부(920)의 동작/실행에 필요한 제어 정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940a)는 AI 기기(900)의 외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9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이 적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9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또는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940b)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940b)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9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AI 기기(900)의 내부 정보, AI 기기(9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센싱부(94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940c)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940c)는 AI 서버(도 1, 140)의 러닝 프로세서부와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940c)는 통신부(9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메모리부(93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러닝 프로세서부(940c)의 출력 값은 통신부(91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되거나/되고, 메모리부(93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리 채널들 및 일반적인 신호 전송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은 하향링크(downlink, DL)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향링크(uplink, UL)를 통해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이 송수신하는 정보는 일반 데이터 정보 및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이 송수신 하는 정보의 종류/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단말은 S1011 단계에서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신호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 (DL RS: 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S1012 단계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하여 조금 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이후 단계 S1013 내지 단계 S1016과 같은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프리앰블 (preamble)을 전송하고(S1013),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수신할 수 있다(S1014). 단말은 RAR 내의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하고(S1015),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신호의 수신과 같은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S1016).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신호 및/또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신호의 수신(S101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신호 및/또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신호의 전송(S101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정보를 통칭하여 상향링크 제어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라고 지칭한다. UCI는 HARQ-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owledgement/negative-ACK), SR(scheduling request),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PMI(precoding matrix indication), RI(rank indication), BI(beam indication)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UCI는 일반적으로 PUCCH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지만, 실시 예에 따라(예, 제어정보와 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할 경우)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요청/지시에 의해 단말은 PUSCH를 통해 UCI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엔티티 1(Entity 1)은 단말(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이라 함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에서 본 개시가 적용되는 무선 기기, 휴대 기기, 차량, 이동체, XR 기기, 로봇 및 A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 장치나 기기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엔티티 2(Entity 2)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eNB, gNB 및 ng-eN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이나 장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나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엔티티 3(Entity 3)은 네트워크 장치 또는 네트워크 펑션을 수행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성을 관리하는 코어망 노드(core network node)(예,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펑션은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되는 펑션(function)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엔티티 3은 펑션이 적용된 기기일 수 있다. 즉, 엔티티 3은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펑션이나 기기를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의 기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제2 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 나 IPv6 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다양한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및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전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전송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 회로(1200)는 스크램블러(1210), 변조기(1220), 레이어 매퍼(1230), 프리코더(1240), 자원 매퍼(1250), 신호 생성기(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12의 동작/기능은 도 2의 프로세서(202a, 202b) 및/또는 송수신기(206a, 206b)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12의 하드웨어 요소는 도 2의 프로세서(202a, 202b) 및/또는 송수신기(206a, 206b)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 1010~1060은 도 2의 프로세서(202a, 202b)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1210~1250은 도 2의 프로세서(202a, 202b)에서 구현되고, 블록 1260은 도 2의 송수신기(206a, 206b)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코드워드는 도 12의 신호 처리 회로(1200)를 거쳐 무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워드는 정보블록의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이다. 정보블록은 전송블록(예, UL-SCH 전송블록, DL-SCH 전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도 10의 다양한 물리 채널(예, PUSCH, PD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러(1210)에 의해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로 변환될 수 있다. 스크램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시퀀스는 초기화 값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초기화 값은 무선 기기의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는 변조기(1220)에 의해 변조 심볼 시퀀스로 변조될 수 있다. 변조 방식은 pi/2-BPSK(pi/2-binary phase shift keying), m-PSK(m-phase 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소 변조 심볼 시퀀스는 레이어 매퍼(12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송 레이어로 매핑될 수 있다. 각 전송 레이어의 변조 심볼들은 프리코더(1240)에 의해 해당 안테나 포트(들)로 매핑될 수 있다(프리코딩). 프리코더(1240)의 출력 z는 레이어 매퍼(1230)의 출력 y를 N*M의 프리코딩 행렬 W와 곱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N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 M은 전송 레이어의 개수이다. 여기서, 프리코더(1240)는 복소 변조 심볼들에 대한 트랜스폼(transform) 프리코딩(예,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변환)을 수행한 이후에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더(1240)는 트랜스폼 프리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매퍼(1250)는 각 안테나 포트의 변조 심볼들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예, CP-OFDMA 심볼, DFT-s-O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260)는 매핑된 변조 심볼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무선 신호는 각 안테나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생성기(1260)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및 CP(cyclic prefix) 삽입기,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주파수 상향 변환기(frequency uplink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에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은 도 12의 신호 처리 과정(1210~1260)의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기기(예, 도 2의 200a, 200b)는 안테나 포트/송수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신호 복원기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복원기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frequency downlink converter),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CP 제거기,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밴드 신호는 자원 디-매퍼 과정, 포스트코딩(postcoding) 과정, 복조 과정 및 디-스크램블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복원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복호(decoding)를 거쳐 원래의 정보블록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미도시)는 신호 복원기, 자원 디-매퍼, 포스트코더, 복조기, 디-스크램블러 및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NR 시스템에 기초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도 13과 같은 프레임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할 수 있다. 이때,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CP(normal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CP(extended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또는, CP-OFDM 심볼), SC-FDMA 심볼(또는,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SCS에 따른 슬롯 별 심볼의 개수, 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및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를 나타내고, 표 2는 확장된 CSP가 사용되는 경우, SCS에 따른 슬롯 별 심볼의 개수, 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 및 서브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0 14 10 1
1 14 20 2
2 14 40 4
3 14 80 8
4 14 160 16
5 14 320 32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2 12 40 4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Nslot symb 는 슬롯 내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고, Nframe,μ slot는 프레임 내 슬롯의 개수를 나타내고, Nsubframe,μ slot는 서브프레임 내 슬롯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간에 OFDM(A) 뉴모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예, SF, 슬롯 또는 TTI)(편의상, TU(time unit)로 통칭)의 (절대 시간) 구간이 병합된 셀들 간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numerology(또는 SCS(subcarrier spacing))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된다. FR1, FR2는 아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FR2는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를 의미할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또한, 일 예로,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서 상술한 뉴모놀로지(numerology)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FR2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테라헤르츠 웨이브(Terahertz wave, THz)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THz 대역에서 SCS는 NR 시스템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슬롯 수도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THz 대역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한다.
도 14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통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파(carrier)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예, 12)의 연속한 부반송파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BWP(Bandwidth Part)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연속한 (P)RB로 정의되며, 하나의 뉴모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반송파는 최대 N개(예, 5개)의 BWP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활성화된 BWP를 통해서 수행되며, 하나의 단말한테는 하나의 BWP만 활성화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에서 각각의 요소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되며,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6G 통신 시스템
6G (무선통신) 시스템은 (i) 디바이스 당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 (ii) 매우 많은 수의 연결된 디바이스들, (iii) 글로벌 연결성(global connectivity), (iv) 매우 낮은 지연, (v) 배터리-프리(battery-free) IoT 디바이스들의 에너지 소비를 낮추고, (vi) 초고신뢰성 연결, (vii) 머신 러닝 능력을 가지는 연결된 지능 등에 목적이 있다. 6G 시스템의 비젼은 "intelligent connectivity", "deep connectivity", "holographic connectivity", "ubiquitous connectivity"와 같은 4가지 측면일 수 있으며, 6G 시스템은 하기 표 4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표 4는 6G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나타낸 표이다.
Per device peak data rate 1 Tbps
E2E latency 1 ms
Maximum spectral efficiency 100 bps/Hz
Mobility support up to 1000 km/hr
Satellite integration Fully
AI Fully
Autonomous vehicle Fully
XR Fully
Haptic Communication Fully
이때, 6G 시스템은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AI 통합 통신(AI integrated communication), 촉각 인터넷(tactile internet), 높은 스루풋(high throughput), 높은 네트워크 능력(high network capacity), 높은 에너지 효율(high energy efficiency), 낮은 백홀 및 접근 네트워크 혼잡(low backhaul and access network congestion) 및 향상된 데이터 보안(enhanced data security)과 같은 핵심 요소(key factor)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6G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6G 시스템은 5G 무선통신 시스템보다 50배 더 높은 동시 무선통신 연결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5G의 핵심 요소(key feature)인 URLLC는 6G 통신에서 1ms보다 적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주요한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6G 시스템은 자주 사용되는 영역 스펙트럼 효율과 달리 체적 스펙트럼 효율이 훨씬 우수할 것이다. 6G 시스템은 매우 긴 배터리 수명과 에너지 수확을 위한 고급 배터리 기술을 제공할 수 있어, 6G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별도로 충전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6G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특성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위성 통합 네트워크(Satellites integrated network): 글로벌 모바일 집단을 제공하기 위해 6G는 위성과 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상파, 위성 및 공중 네트워크를 하나의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통합은 6G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 연결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 이전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6G는 혁신적이며, “연결된 사물”에서 "연결된 지능"으로 무선 진화가 업데이트될 것이다. AI는 통신 절차의 각 단계(또는 후술할 신호 처리의 각 절차)에서 적용될 수 있다.
- 무선 정보 및 에너지 전달의 완벽한 통합(seamless integration wireless information and energy transfer): 6G 무선 네트워크는 스마트폰들과 센서들과 같이 디바이스들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전달할 것이다. 그러므로, 무선 정보 및 에너지 전송 (WIET)은 통합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 슈퍼 3D 연결(ubiquitous super 3-dimemtion connectivity): 드론 및 매우 낮은 지구 궤도 위성의 네트워크 및 핵심 네트워크 기능에 접속은 6G 유비쿼터스에서 슈퍼 3D 연결을 만들 것이다.
위와 같은 6G의 새로운 네트워크 특성들에서 몇 가지 일반적인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스몰 셀 네트워크(small cell networks): 스몰 셀 네트워크의 아이디어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처리량, 에너지 효율 및 스펙트럼 효율 향상의 결과로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결과적으로, 스몰 셀 네트워크는 5G 및 비욘드 5G (5GB)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필수적인 특성이다. 따라서, 6G 통신 시스템 역시 스몰 셀 네트워크의 특성을 채택한다.
- 초 고밀도 이기종 네트워크(ultra-dense heterogeneous network): 초 고밀도 이기종 네트워크들은 6G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이 될 것이다. 이기종 네트워크로 구성된 멀티-티어 네트워크는 전체 QoS를 개선하고 비용을 줄인다.
- 대용량 백홀(high-capacity backhaul): 백홀 연결은 대용량 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대용량 백홀 네트워크로 특징 지어진다. 고속 광섬유 및 자유 공간 광학 (FSO) 시스템이 이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일 수 있다.
- 모바일 기술과 통합된 레이더 기술: 통신을 통한 고정밀 지역화(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6G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레이더 시스템은 6G 네트워크와 통합될 것이다.
- 소프트화 및 가상화(softwarization and virtualization): 소프트화 및 가상화는 유연성, 재구성성 및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5GB 네트워크에서 설계 프로세스의 기초가 되는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이다. 또한, 공유 물리적 인프라에서 수십억 개의 장치가 공유될 수 있다.
6G 시스템의 핵심 구현 기술
-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6G 시스템에 가장 중요하며, 새로 도입될 기술은 AI이다. 4G 시스템에는 AI가 관여하지 않았다. 5G 시스템은 부분 또는 매우 제한된 AI를 지원할 것이다. 그러나, 6G 시스템은 완전히 자동화를 위해 AI가 지원될 것이다. 머신 러닝의 발전은 6G에서 실시간 통신을 위해 보다 지능적인 네트워크를 만들 것이다. 통신에 AI를 도입하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간소화되고 향상될 수 있다. AI는 수많은 분석을 사용하여 복잡한 대상 작업이 수행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AI는 효율성을 높이고 처리 지연을 줄일 수 있다.
핸드 오버, 네트워크 선택, 자원 스케줄링과 같은 시간 소모적인 작업은 AI를 사용함으로써 즉시 수행될 수 있다. AI는 M2M, 기계-대-인간 및 인간-대-기계 통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AI는 BCI(brain computer interface)에서 신속한 통신이 될 수 있다. AI 기반 통신 시스템은 메타 물질, 지능형 구조, 지능형 네트워크, 지능형 장치, 지능형 인지 라디오(radio), 자체 유지 무선 네트워크 및 머신 러닝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최근 AI를 무선 통신 시스템과 통합하려고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특히, 딥러닝은 무선 자원 관리 및 할당(wireless 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분야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점점 MAC 계층 및 물리 계층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물리계층에서 딥러닝을 무선 전송(wireless transmission)과 결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AI 기반의 물리계층 전송은, 근본적인 신호 처리 및 통신 메커니즘에 있어서, 전통적인 통신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AI 드라이버에 기초한 신호 처리 및 통신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딥러닝 기반의 채널 코딩 및 디코딩(channel coding and decoding), 딥러닝 기반의 신호 추정(estimation) 및 검출(detection), 딥러닝 기반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매커니즘(mechanism), AI 기반의 자원 스케줄링(scheduling) 및 할당(allo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은 채널 추정 및 채널 트래킹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DL(downlink)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전력 할당(power allocation), 간섭 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은 MIMO 시스템에서 안테나 선택, 전력 제어(power control), 심볼 검출(symbol detection)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물리계층에서의 전송을 위한 DNN의 적용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딥러닝 기반의 AI 알고리즘은 훈련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기 위해 수많은 훈련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특정 채널 환경에서의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획득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로 인해, 오프라인 상에서 많은 훈련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는 특정 채널 환경에서 훈련 데이터에 대한 정적 훈련(static training)은, 무선 채널의 동적 특성 및 다이버시티(diversity) 사이에 모순(contradiction)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현재 딥러닝은 주로 실제 신호(real signal)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의 물리 계층의 신호들은 복소 신호(complex signal)이다. 무선 통신 신호의 특성을 매칭시키기 위해 복소(complex) 도메인 신호의 검출하는 신경망(neural network)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하, 머신 러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머신 러닝은 사람이 할 수 있거나 혹은 하기 어려운 작업을 대신해낼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 내기 위해 기계를 학습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의미한다. 머신 러닝을 위해서는 데이터와 러닝 모델이 필요하다. 머신 러닝에서 데이터의 학습 방법은 크게 3가지 즉,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그리고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신경망 학습은 출력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신경망 학습은 반복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신경망에 입력시키고 학습 데이터에 대한 신경망의 출력과 타겟의 에러를 계산하고,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신경망의 에러를 신경망의 출력 레이어에서부터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backpropagation) 하여 신경망의 각 노드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이다.
지도 학습은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며 비지도 학습은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분류에 관한 지도 학습의 경우의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 각각에 카테고리가 라벨링된 데이터 일 수 있다.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가 신경망에 입력되고 신경망의 출력(카테고리)과 학습 데이터의 라벨을 비교하여 오차(error)가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오차는 신경망에서 역방향(즉, 출력 레이어에서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 되며, 역전파에 따라 신경망의 각 레이어의 각 노드들의 연결 가중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업데이트 되는 각 노드의 연결 가중치는 학습률(learning rate)에 따라 변화량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신경망의 계산과 에러의 역전파는 학습 사이클(epoch)을 구성할 수 있다. 학습률은 신경망의 학습 사이클의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의 학습 초기에는 높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신경망이 빠르게 일정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 후기에는 낮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학습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상에서 송신단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단에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비지도 학습 또는 강화 학습 보다는 지도 학습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닝 모델은 인간의 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선형 모델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와 같은 복잡성이 높은 신경망 구조를 러닝 모델로 사용하는 머신 러닝의 패러다임을 딥러닝(deep learning)이라 한다.
학습(learning) 방식으로 사용하는 신경망 코어(neural network cord)는 크게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순환 신경망(recurrent boltzmann machine, RNN)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THz(Terahertz) 통신
6G 시스템에서 THz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전송률은 대역폭을 늘려 높일 수 있다. 이것은 넓은 대역폭으로 sub-THz 통신을 사용하고, 진보된 대규모 MIMO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전자기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16을 참조하면, 밀리미터 이하의 방사선으로도 알려진 THz파는 일반적으로 0.03mm-3mm 범위의 해당 파장을 가진 0.1THz와 10T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100GHz-300GHz 대역 범위(Sub THz 대역)는 셀룰러 통신을 위한 THz 대역의 주요 부분으로 간주된다. Sub-THz 대역 mmWave 대역에 추가하면 6G 셀룰러 통신 용량은 늘어난다. 정의된 THz 대역 중 300GHz-3THz는 원적외선 (IR) 주파수 대역에 있다. 300GHz-3THz 대역은 광 대역의 일부이지만 광 대역의 경계에 있으며, RF 대역 바로 뒤에 있다. 따라서, 이 300 GHz-3 THz 대역은 RF와 유사성을 나타낸다.
THz 통신의 주요 특성은 (i)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한 대역폭, (ii) 고주파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 손실 (고 지향성 안테나는 필수 불가결)을 포함한다. 높은 지향성 안테나에서 생성된 좁은 빔 폭은 간섭을 줄인다. THz 신호의 작은 파장은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가 이 대역에서 동작하는 장치 및 BS에 통합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범위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고급 적응형 배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광 무선 기술(optical wireless technology)
OWC(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기술은 가능한 모든 장치-대-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RF 기반 통신 외에도 6G 통신을 위해 계획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대-백홀/프론트홀 네트워크 연결에 접속한다. OWC 기술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이미 사용되고 있으나 6G 통신 시스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널리 사용될 것이다. 광 충실도(light fidelity), 가시광 통신, 광 카메라 통신 및 광 대역에 기초한 FSO(free space optical) 통신과 같은 OWC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다. 광 무선 기술 기반의 통신은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 낮은 지연 시간 및 안전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또한 광 대역을 기반으로 6G 통신에서 초 고해상도 3D 매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FSO 백홀 네트워크
FSO 시스템의 송신기 및 수신기 특성은 광섬유 네트워크의 특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FSO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은 광섬유 시스템과 비슷하다. 따라서, FSO는 광섬유 네트워크와 함께 6G 시스템에서 백홀 연결을 제공하는 좋은 기술이 될 수 있다. FSO를 사용하면, 10,000km 이상의 거리에서도 매우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FSO는 바다, 우주, 수중, 고립된 섬과 같은 원격 및 비원격 지역을 위한 대용량 백홀 연결을 지원한다. FSO는 셀룰러 기지국 연결도 지원한다.
대규모 MIMO 기술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 중 하나는 MIMO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MIMO 기술이 향상되면 스펙트럼 효율도 향상된다. 따라서, 6G 시스템에서 대규모 MIMO 기술이 중요할 것이다. MIMO 기술은 다중 경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가 하나 이상의 경로로 전송될 수 있도록 다중화 기술 및 THz 대역에 적합한 빔 생성 및 운영 기술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블록 체인
블록 체인은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블록 체인은 분산 원장 기술의 한 형태로서, 분산 원장은 수많은 노드 또는 컴퓨팅 장치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각 노드는 동일한 원장 사본을 복제하고 저장한다. 블록 체인은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관리된다. 중앙 집중식 기관이나 서버에서 관리하지 않고 존재할 수 있다. 블록 체인의 데이터는 함께 수집되어 블록으로 구성된다. 블록은 서로 연결되고 암호화를 사용하여 보호된다. 블록 체인은 본질적으로 향상된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보안, 개인 정보 보호, 안정성 및 확장성을 통해 대규모 IoT를 완벽하게 보완한다. 따라서, 블록 체인 기술은 장치 간 상호 운용성, 대용량 데이터 추적성, 다른 IoT 시스템의 자율적 상호 작용 및 6G 통신 시스템의 대규모 연결 안정성과 같은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3D 네트워킹
6G 시스템은 지상 및 공중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수직 확장의 사용자 통신을 지원한다. 3D BS는 저궤도 위성 및 UAV를 통해 제공될 것이다. 고도 및 관련 자유도 측면에서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면 3D 연결이 기존 2D 네트워크와 상당히 다르다.
양자 커뮤니케이션
6G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네트워크의 감독되지 않은 강화 학습이 유망하다. 지도 학습 방식은 6G에서 생성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레이블을 지정할 수 없다. 비지도 학습에는 라벨링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기술은 복잡한 네트워크의 표현을 자율적으로 구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강화 학습과 비지도 학습을 결합하면 진정한 자율적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
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드론은 6G 무선 통신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UAV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 데이터 무선 연결이 제공된다. 기지국 엔티티는 셀룰러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UAV에 설치된다. UAV는 쉬운 배치, 강력한 가시선 링크 및 이동성이 제어되는 자유도와 같은 고정 기지국 인프라에서 볼 수 없는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천재 지변 등의 긴급 상황 동안, 지상 통신 인프라의 배치는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으며, 때로는 휘발성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UAV는 이러한 상황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UAV는 무선 통신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이 기술은 eMBB, URLLC 및 mMTC 인 무선 네트워크의 세 가지 기본 요구 사항을 용이하게 한다. UAV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성 향상, 화재 감지, 재난 응급 서비스, 보안 및 감시, 오염 모니터링, 주차 모니터링, 사고 모니터링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목적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UAV 기술은 6G 통신에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셀-프리 통신(cell-free Communication)
여러 주파수와 이기종 통신 기술의 긴밀한 통합은 6G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어떤 수동 구성을 만들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통신 기술에서 최상의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이것은 무선 통신에서 셀 개념의 한계를 깨뜨릴 것이다. 현재,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의 사용자 이동은 고밀도 네트워크에서 너무 많은 핸드 오버를 야기하고, 핸드 오버 실패, 핸드 오버 지연, 데이터 손실 및 핑퐁 효과를 야기한다. 6G 셀-프리 통신은 이 모든 것을 극복하고 더 나은 QoS를 제공할 것이다. 셀-프리 통신은 멀티 커넥티비티 및 멀티-티어 하이브리드 기술과 장치의 서로 다른 이기종 라디오를 통해 달성될 것이다.
무선 정보 및 에너지 전송 통합(wireless information and energy transfer, WIET)
WIET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이 동일한 필드와 웨이브(wave)를 사용한다. 특히, 센서와 스마트폰은 통신 중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하여 충전될 것이다. WIET은 배터리 충전 무선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유망한 기술이다. 따라서, 배터리가 없는 장치는 6G 통신에서 지원될 것이다.
센싱과 커뮤니케이션의 통합
자율 무선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서로 다른 노드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이다. 6G에서, 감지는 자율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과 긴밀하게 통합될 것이다.
액세스 백홀 네트워크의 통합
6G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밀도는 엄청날 것이다. 각 액세스 네트워크는 광섬유와 FSO 네트워크와 같은 백홀 연결로 연결된다. 매우 많은 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처하기 위해, 액세스 및 백홀 네트워크 사이에 긴밀한 통합이 있을 것이다.
홀로그램 빔포밍
빔포밍은 특정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안테나 배열을 조정하는 신호 처리 절차이다. 스마트 안테나 또는 진보된 안테나 시스템의 하위 집합이다. 빔포밍 기술은 높은 신호 대 잡음비, 간섭 방지 및 거부, 높은 네트워크 효율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이 있다. 홀로그램 빔포밍(hologram beamforming, HBF)은 소프트웨어-정의된 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MIMO 시스템과 상당히 다른 새로운 빔포밍 방법이다. HBF는 6G에서 다중 안테나 통신 장치에서 신호의 효율적이고 유연한 전송 및 수신을 위해 매우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 될 것이다.
빅 데이터 분석
빅 데이터 분석은 다양한 대규모 데이터 세트 또는 빅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복잡한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는 숨겨진 데이터, 알 수 없는 상관 관계 및 고객 성향과 같은 정보를 찾아 완벽한 데이터 관리를 보장한다. 빅 데이터는 비디오, 소셜 네트워크, 이미지 및 센서와 같은 다양한 소스에서 수집된다. 이 기술은 6G 시스템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LIS(large intelligent surface)
THz 대역 신호의 경우 직진성이 강하여 방해물로 인한 음영 지역이 많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음영 지역 근처에 LIS 설치함으로써 통신 권역을 확대하고 통신 안정성 강화 및 추가적인 부가 서비스가 가능한 LIS 기술이 중요하게 된다. LIS는 전자기 물질(electromagnetic materials)로 만들어진 인공 표면(artificial surface)이고, 들어오는 무선파와 나가는 무선파의 전파(propagation)을 변경시킬 수 있다. LIS는 매시브 MIMO의 확장으로 보여질 수 있으나, 매시브 MIMO와 서로 다른 어레이(array) 구조 및 동작 메커니즘이 다르다. 또한, LIS는 수동 엘리먼트(passive elements)를 가진 재구성 가능한 리플렉터(reflector)로서 동작하는 점 즉, 활성(active) RF 체인(chain)을 사용하지 않고 신호를 수동적으로만 반사(reflect)하는 점에서 낮은 전력 소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LIS의 수동적인 리플렉터 각각은 입사되는 신호의 위상 편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채널에 유리할 수 있다. LIS 컨트롤러를 통해 위상 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반사된 신호는 수신된 신호 전력을 부스트(boost)하기 위해 타겟 수신기에서 모여질 수 있다.
테라헤르츠(THz) 무선통신
도 1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THz 무선통신은 대략 0.1~10THz(1THz=1012Hz)의 진동수를 가지는 THz파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100GHz 이상의 매우 높은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테라헤르츠(THz) 대역 무선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THz파는 RF(Radio Frequency)/밀리미터(mm)와 적외선 대역 사이에 위치하며, (i) 가시광/적외선에 비해 비금속/비분극성 물질을 잘 투과하며 RF/밀리미터파에 비해 파장이 짧아 높은 직진성을 가지며 빔 집속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THz파의 광자 에너지는 수 meV에 불과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특성이 있다. THz 무선통신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주파수 대역은 공기 중 분자 흡수에 의한 전파 손실이 작은 D-밴드(110GHz~170GHz) 혹은 H-밴드(220GHz~325GHz) 대역일 수 있다. THz 무선통신에 대한 표준화 논의는 3GPP 이외에도 IEEE 802.15 THz WG(working group)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IEEE 802.15의 TG(task group)(예, TG3d, TG3e)에서 발행되는 표준문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내용을 구체화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THz 무선통신은 무선 인식(wireless cognition), 센싱(sensing), 이미징(imaging), 무선 통신(wireless), THz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THz 무선통신 시나리오는 매크로 네트워크(macro network), 마이크로 네트워크(micro network), 나노스케일 네트워크(nanoscale network)로 분류될 수 있다. 매크로 네트워크에서 THz 무선통신은 V2V(vehicle-to-vehicle) 연결 및 백홀/프런트홀(backhaul/fronthaul) 연결에 응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네트워크에서 THz 무선통신은 인도어 스몰 셀(small cell), 데이터 센터에서 무선 연결과 같은 고정된 point-to-point 또는 multi-point 연결, 키오스크 다운로딩과 같은 근거리 통신(near-field communication)에 응용될 수 있다. 하기 표 5는 THz 파에서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Transceivers Device Available immature: UTC-PD, RTD and SBD
Modulation and coding Low order modulation techniques (OOK, QPSK), LDPC, Reed Soloman, Hamming, Polar, Turbo
Antenna Omni and Directional, phased array with low number of antenna elements
Bandwidth 69 GHz (or 23 GHz) at 300 GHz
Channel models Partially
Data rate 100 Gbps
Outdoor deployment No
Fee space loss High
Coverage Low
Radio Measurements 300 GHz inddor
Device size Few micrometers
도 1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THz 무선통신은 THz 발생 및 수신을 위한 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z 발생 방법은 광 소자 또는 전자소자 기반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소자를 이용하여 THz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공명 터널링 다이오드(resonant tunneling diode, RTD)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방법, 국부 발진기와 체배기를 이용하는 방법, 화합물 반도체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기반의 집적회로를 이용한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방법, Si-CMOS 기반의 집적회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18의 경우,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체배기(doubler, tripler, multiplier)가 적용되었고, 서브하모닉 믹서를 지나 안테나에 의해 방사된다. THz 대역은 높은 주파수를 형성하므로, 체배기가 필수적이다. 여기서, 체배기는 입력 대비 N배의 출력 주파수를 갖게 하는 회로이며, 원하는 하모닉 주파수에 정합시키고, 나머지 모든 주파수는 걸러낸다. 그리고, 도 18의 안테나에 배열 안테나 등이 적용되어 빔포밍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8에서, IF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나타내며, 트리플러(tripler), 멀리플러(multipler)는 체배기를 나타내며, PA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를 나타내며, LNA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PLL은 위상동기회로(phase-locked loop)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THz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송수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광 소자 기반 THz 무선통신 기술은 광소자를 이용하여 THz 신호를 발생 및 변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광 소자 기반 THz 신호 생성 기술은 레이저와 광변조기 등을 이용하여 초고속 광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초고속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THz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자 소자만을 이용하는 기술에 비해 주파수를 증가시키기가 용이하고, 높은 전력의 신호 생성이 가능하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평탄한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광소자 기반 THz 신호 생성을 위해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광대역 광변조기, 초고속 광검출기가 필요하다. 도 19의 경우, 파장이 다른 두 레이저의 빛 신호를 합파하여 레이저 간의 파장 차이에 해당하는 THz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19에서, 광 커플러(optical coupler)는 회로 또는 시스템 간의 전기적 절연과의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광파를 사용하여 전기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UTC-PD(uni-travelling carrier photo-detector)은 광 검출기의 하나로서, 능동 캐리어(active carrier)로 전자를 사용하며 밴드갭 그레이딩(bandgap grading)으로 전자의 이동 시간을 감소시킨 소자이다. UTC-PD는 150GHz 이상에서 광검출이 가능하다. 도 20에서, 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는 어븀이 첨가된 광섬유 증폭기를 나타내며, PD(photo detector)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OSA는 각종 광통신 기능(예, 광전 변환, 전광 변환 등)을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시킨 광모듈(optical sub assembly)를 나타내며, DSO는 디지털 스토리지 오실로스코프(digital storage oscilloscope)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변조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레이저(laser)의 광학 소스(optical source)를 광파 가이드(optical wave guide)를 통과시켜 신호의 위상(phase)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파 컨택트(microwave contact) 등을 통해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싣게 된다. 따라서, 광학 변조기 출력(optical modulator output)은 변조된(modulated) 형태의 파형으로 형성된다. 광전 변조기(O/E converter)는 비선형 크리스탈(nonlinear crystal)에 의한 광학 정류(optical rectification) 동작, 광전도 안테나(photoconductive antenna)에 의한 광전 변환(O/E conversion), 광속의 전자 다발(bunch of relativistic electrons)로부터의 방출(emission) 등에 따라 THz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발생한 테라헤르츠 펄스(THz pulse)는 펨토 세컨드(femto second)부터 피코 세컨드(pico second)의 단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광전 변환기(O/E converter)는 소자의 비선형성(non-linearity)을 이용하여, 하향 변환(Down conversion)을 수행한다.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의 용도(THz spectrum usage)를 고려할 때,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위해서 고정된(fixed) 또는 모바일 서비스(mobile service) 용도로써 여러 개의 연속적인 기가헤르츠(contiguous GHz)의 대역들(bands)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아웃도어(outdoor) 시나리오 기준에 의하면, 1THz까지의 스펙트럼에서 산소 감쇠(Oxygen attenuation) 10^2 dB/km를 기준으로 가용 대역폭(Bandwidth)이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용 대역폭이 여러 개의 밴드 청크(band chunk)들로 구성되는 프레임워크(framework)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워크의 일 예시로 하나의 캐리어(carrier)에 대해 테라헤르츠 펄스(THz pulse)의 길이를 50ps로 설정한다면, 대역폭(BW)은 약 20GHz가 된다.
적외선 대역(infrared band)에서 테라헤르츠 대역(THz band)으로의 효과적인 하향 변환(Down conversion)은 광전 컨버터(O/E converter)의 비선형성(nonlinearity)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즉, 원하는 테라헤르츠 대역(THz band)으로 하향 변환(down conversion)하기 위해서는 해당 테라헤르츠 대역(THz band)에 옮기기에 가장 이상적인 비선형성(non-linearity)을 갖는 광전 변환기(O/E converter)의 설계가 요구된다. 만일 타겟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지 않는 광전 변환기(O/E converter)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펄스(pulse)의 크기(amplitude), 위상(phase)에 대하여 오류(error)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 시스템에서 광전 변환기 1개를 이용하여 테라헤르츠 송수신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채널 환경에 따라 달라지지만 멀리 캐리어(Multi carrier) 시스템에서 캐리어 수만큼 광전 변환기가 요구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스펙트럼 용도와 관련된 계획에 따라 여러 개의 광대역들을 이용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인 경우,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광전 변환기를 기반으로 하향 주파수 변환된 신호는 특정 자원 영역(예: 특정 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자원 영역의 주파수 영역은 복수의 청크(chunk)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청크(chunk)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
이하 설명에서,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법에 따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기술이 설명된다. 본 개시는 UW-OFDM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UW-OFDM은 CP(cyclic prefix)-OFDM에서 CP를 결정적 시퀀스(deterministic sequence)인 UW로 대체한 웨이브폼(waweform)이다. UW는 동기 획득, 채널 추정, 위상 잡음 추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UW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윈도우 내에 포함되므로, 순환성(cyclicity)이 보장된다. 또한, UW-OFDM을 사용하는 경우, CP-OFDM과 달리, CP 전송에 소모되는 전력(power) 및 시간 자원(time resource)이 절약된다. UW-OFDM 심볼의 구조는 도 23과 같다.
도 2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심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복수의 UW-OFDM 심볼들을 예시한다. 도 23을 참고하면, UW-OFDM 심볼들은 UW(2310a), 데이터(2320a), UW(2310b), 데이터(2320b), UW(2310c)가 시간 도메인에서 연접한(concatenated) 형태로 구성된다. 하나의 데이터(2320a 또는 2320b) 및 하나의 UW(2320b 또는 2320c)의 쌍이 하나의 UW-OFDM 심볼을 구성하며, 하나의 UW-OFDM 심볼이 TDFT 구간에 포함된다. 즉, 현재 LTE 및 5G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CP-OFDM 심볼의 CP와 달리, UW-OFDM 심볼의 UW는 데이터와 함께 DFT 또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된다.
도 23의 경우, 첫번째 UW-OFDM 심볼 앞에 하나의 UW(2320a)가 배치되어 있다. UW를 이용한 채널 추정, 위상 잡음 추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 UW-OFDM 심볼 내의 데이터의 전단 및 후단 모두에 UW가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도 23의 예에서, 첫번째 UW(2320a)는 데이터 없이 배치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첫번째 UW(2320a)를 제외하고 UW-OFDM 심볼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과 같은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일 예는 이하 도 24와 같다. 도 24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심볼에 UW를 삽입하는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UW-OFDM의 UW는 두(2) 단계들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 제로(zero) UW를 포함하는 심볼(2412)이 생성된다. 전체 부반송파들(subcarriers) 중 일부를 잉여 부반송파(redundant subcarrier)로 지정함으로써 심볼 구간 내에 특정 영역이 0인 OFDM 심볼이 생성된다. 두번째 단계에서, 앞서 생성된 OFDM 심볼(2412)의 제로 UW 영역에, 전송하고자 하는 UW 신호(2414)를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더함으로써, UW-OFDM 심볼(2410)이 생성된다.
도 24와 같이 UW-OFDM 심볼에서 특정 구간을 0으로 만들기 위해,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을 전송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곱하는 연산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행렬 곱셈의 연산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하, 테일 제거(tail cancellation) 기법을 통해서 곱하기 연산을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간단한 덧셈 뺄셈 연산으로 대체할 수 있는 송신기 구조가 설명된다. 또한, 제안되는 송신기 구조를 적용 시,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성능 열화를 없앨 수 있는 수신기 구조도 설명된다.
도 25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송신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행렬 곱셈을 이용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5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블록들로서,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송신기는 잉여 부분 생성부(redundant generating unit)(2502), 퍼뮤테이션부(permutation unit)(2504), 제로 삽입부(zero insertion unit)(2506), IDFT(inverse DFT)부(IDFT unit)(2508), UW 삽입부(UW adding unit)(2510)를 포함한다.
잉여 부분 생성부(2502)는 입력되는 데이터 d에 잉여 값들을 추가한다. 이를 위해, 잉여 부분 생성부(2502) 잉여 생성 행렬(redundant generation matrix) T를 사용한다. 퍼뮤테이션부(2504)는 잉여 값들 및 데이터 값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퍼뮤테이션한다. 여기서,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값들을 포함하며, 퍼뮤테이션부(2504)에 의해 잉여 값들이 잉여 부반송파(redundant subcarrier)의 위치로 이동된다. 퍼뮤테이션을 위해 사용되는 퍼뮤테이션 행렬 P 및 잉여 생성 행렬 T의 조합은 코드 생성 행렬(code generation matrix) G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로 삽입부(2506)는 DC(direct current) 부반송파 및 가드 밴드(guard band)에 대응하는 위치에 0 값을 삽입한다. 다시 말해, 제로 삽입부(2506)는 DC 부반송파 및 가드 밴드 내의 부반송파들에 0 값을 맵핑한다. 경우에 따라, 제로 삽입부(2506)는 생략될 수 있다.
IDFT부(2508)는 제로 삽입부(2506) 또는 퍼뮤테이션부(25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IDFT 연산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주파수 도메인 신호가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시간 도메인 신호는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DFT 연산은 IFFT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UW 삽입부(2510)는 시간 도메인 신호에 UW를 삽입한다. 다시 말해, UW 삽입부(2510)는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의 제로 UW 위치에 UW를 더한다. 여기서, UW의 시퀀스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수신단과의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5와 같은 구조에 따라, 송신기는 OFDM 심볼의 특정 영역을 0으로 만든 후, 해당 영역에 UW를 삽입 및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도메인에서 특정 영역을 0으로 만드는 제로 UW를 생성하기 위해서 잉여 부반송파가 사용된다. 잉여 부반송파를 생성하기 위해서, 퍼뮤테이션 행렬 P 및 잉여 생성 행렬 T로 구성된 코드 생성 행렬 G를 데이터 심볼에 곱해주는 연산이 수행된다. 전술한 UW-OFDM 심볼 생성 동작들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ct00009
[수학식 1]에서,
Figure pct00010
는 UW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시간 도메인의 OFDM 심볼로서, N×1의 크기를 가지는 행렬,
Figure pct00011
는 N-포인트 IDFT 행렬,
Figure pct00012
는 제로 패딩 행렬로서, 각 원소가 0 또는 1인 N×(Nd+Nr)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13
는 퍼뮤테이션 행렬로서, 각 원소가 0 또는 1인 (Nd+Nr)×(Nd+Nr)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14
는 단위 행렬,
Figure pct00015
는 잉여 생성 행렬로서, Nr×Nd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16
는 OFDM 심볼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로서, Nd×1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17
은 주파수 도메인의 잉여 부반송파들로서, Nr×1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18
는 코드 생성 행렬,
Figure pct00019
는 페이로드 데이터로서 (N-Nu)×1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20
은 Nu×1 크기의 0 행렬,
Figure pct00021
는 UW를 포함하는 UW-OFDM 심볼로서, N×1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22
는 UW로서, Nu×1 크기의 행렬을 의미한다.
도 25와 같은 구조로 송신기가 구현되면, 잉여 생성 행렬 T를 데이버 심볼에 곱하는 연산이 수행된다. 잉여 생성 행렬의 크기는 Nr×Nd이고, 데이터 심볼의 크기는 Nd×1이다. 즉, 잉여 값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매 OFDM 심볼마다 (Nr×Nd) by (Nd×1) 복잡도의 복소 행렬 곱셈(complex matrix multiplication) 연산이 요구된다.
도 26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송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테일 제거(tail cancellation)을 이용하는 송신기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6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블록들로서,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송신기는 퍼뮤테이션부(2602), IDFT부(2604), 테일 제거부(tail cancellation unit)(2606), UW 삽입부(2608)를 포함한다.
퍼뮤테이션부(2602)는 더미(dummy) 값들(예: 0)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퍼뮤테이션한다. 여기서,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값들을 포함하며, 퍼뮤테이션부(2602)에 의해 더미 값들이 이후의 테일 제거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반송파들의 위치로 이동된다. 퍼뮤테이션을 위해 퍼뮤테이션 행렬 P가 사용될 수 있다.
IDFT부(2604)는 퍼뮤테이션부(26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IDFT 연산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주파수 도메인 신호가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시간 도메인 신호는 제로 UW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OFDM 심볼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DFT 연산은 IFFT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테일 제거부(2606)는 시간 도메인 신호에 제로 UW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테일 제거부(2606)는 제로 UW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OFDM 심볼을 제로 UW를 포함는 OFDM 심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테일 제거부(2606)는 OFDM 심볼 구간에서 UW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신호 값을 0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테일 제거부(2606)는 UW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다른 영역의 신호 값들을 수정한다.
UW 삽입부(2510)는 테일 제거부(2606)에서 출력되는 시간 도메인 신호에 UW를 삽입한다. 다시 말해, UW 삽입부(2510)는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의 제로 UW 위치에 UW를 더한다. 여기서, UW의 시퀀스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수신단과의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송신기는 제로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로 삽입부는, 퍼뮤테이션부(2602)에서 출력된 신호가 IDFT(2604)에 입력되기 전, DC 부반송파 및 가드 밴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0 값을 삽입한다. 다시 말해, 제로 삽입부는 DC 부반송파 및 가드 밴드 내의 부반송파들에 0 값을 맵핑한다.
도 26과 같은 구조를 통해 시간 도메인에서 테일 제거 기법을 이용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잉여 생성 행렬 및 데이터 심볼 간 곱셈 연산이 제외될 수 있다. 데이터 심볼에 대한 IDFT 연산을 수행하기 전, 퍼뮤테이션 행렬 P를 이용하여 특정 부반송파 위치에 더미 값이 배치된다. 더미 값을 배치하는 것은 테일 제거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의 영향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테일 제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제로(zero) UW를 가지는 UW-OFDM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테일 제거에 의한 제로 UW 생성의 과정을 예시한다.
도 27을 참고하면, IDFT를 통과한 신호(2710)는 값 A를 가진 제1 영역(2712), 값 B를 가진 제2 영역(2714), 값 C를 가진 제3 영역(2716), 값 D를 가진 제4 영역(2718)을 포함하며, 길이는 N이다. 제4 영역(2718)의 길이는 Nu이며, UW 영역(2738)의 길이와 같다. 여기서, 제4 영역(2718)은 제로 UW가 삽입되는 위치이다. 송신기는 IDFT를 통과한 신호(2710) 중에서 제로 UW가 삽입될 위치인 제4 영역(2718)에 포함된 데이터 D의 부호를 변경한 제거 인자(2722)를 생성하고, 제거 인자(2722)를 반복(repetition)함으로써 길이 N의 제거 신호(cancellation signal)(2720)을 생성한다. 제거 신호(2720)을 신호(2710)에 합산하면, UW 영역(2738)의 값이 0이 된다. 즉, 결과적으로, 값 A-D를 가진 제1 영역(2732), 값 B-D를 가진 제2 영역(2734), 값 C-D를 가진 제3 영역(2736), 값 0를 가진 UW 영역(2738)을 포함하는 제로 UW-OFDM 심볼이 얻어진다.
DFT의 특성 상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되는 값을 가진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특정 간격으로 배치된 부반송파들에 값들이 존재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27과 같은 과정을 통해 테일 제거가 수행되면,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되는 신호(272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기 [수학식 2]의 인덱스들과 같이 (N/Nu) 주기의 부반송파들에서 값을 가진다.
Figure pct00023
[수학식 2]에서,
Figure pct00024
은 UW-OFDM 심볼의 길이,
Figure pct00025
는 UW의 길이를 의미한다.
위와 같이, 테일 제거를 사용하면 일정 주기의 부반송파들에서 신호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부반송파들에 데이터 값을 맵핑하면,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퍼뮤테이션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부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 값이 송신되지 아니하도록, 해당 부반송파들에 더미 값들을 맵핑한다. 이를 위해, 테일 제거를 수행함에 있어서, (N/Nu)은 정수 값을 가지도록 심볼 길이 N 및 UW 길이 Nu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절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UW-OFDM 심볼을 송신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28의 동작 주체인 장치는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 또는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S2801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부반송파 집합에 더미 신호들을 맵핑한다. 더미 신호의 값은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0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반송파 집합은 테일을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관찰 시 값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부반송파 집합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며, 간격은 OFDM 심볼의 길이 및 UW의 길이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S2803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데이터 신호들을 맵핑한다. 제2 부반송파 집합에 포함되는 부반송파들은 제1 부반송파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로서, 복소(complex)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들은 제2 부반송파 집합 내에서 자원 할당 결과에 따라 맵핑될 수 있다.
S2805 단계에서, 장치는 더미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시간 변환을 수행한다. 장치는 IDFT 연산 또는 IF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더미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DC 부반송파 또는 가드밴드를 위한 0-패딩 값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2807 단계에서, 장치는 시간 도메인 신호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로 UW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시간 도메인의 OFDM 심볼의 테일을 반복적으로 연접함으로써 제로 UW를 형성하기 위한 반복 신호를 생성하고, OFDM 심볼에서 반복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OFDM 심볼의 일부 영역에 제로 UW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장치는 반복 신호에 -1을 곱한 제거 신호를 OFDM 심볼과 합산함으로써 제로 UW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 28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장치는 제로 UW의 영역에 UW를 삽입하고, UW를 포함하는 UW-OFDM 심볼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 및 UW를 합산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생성하고, UW-OFDM 심볼을 동작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UW-OFDM 심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일 제거 동작을 이용하여 UW-OFDM 심볼을 생성한 경우, UW-OFDM 심볼을 수신하는 장치는 후술하는 구조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UW-OFDM 심볼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수신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패딩을 통해 테일 제거에 의해 발생한 왜곡 성분이 제거하는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29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블록들로서,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수신기는 DFT부(DFT unit)(2912), UW 삭제부(subtracting unit)(2914), 데이터 추정부(data estimator)(2916)를 포함한다. DFT부(2912)는 UW-OFDM 심볼에 대한 D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DFT 연산은 FFT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UW 삭제부(2914)는 DFT부(291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UW를 삭제한다. 이를 위해, UW 삭제부(2914)는 입력되는 신호에서 주파수 도메인의 UW 값을 감산한다. 이때, 감산되는 UW 값은 채널 정보(예: 채널 행렬
Figure pct00026
)를 고려하여 수정된 값을 포함한다. 이때, UW 삭제부(2914)는 테일 제거로 발생한 왜곡의 영향을 받는 부반송파들의 신호 값을 미리 정의된 값(예: 0)으로 패딩(padding)한다. 데이터 추정부(2916)는 UW 제거 및 패딩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한다. UW 삭제부(2914)의 패딩 동작으로 인해, 테일 제거에 의해 발생한 왜곡 성분이 제거되고, 데이터 추정부(2916)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서만 데이터 추정(data estimation)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수신기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channel estimation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는 채널을 추정한 후, 추정된 채널 정보(예: 채널 행렬
Figure pct00027
)를 UW 삭제부(2914 또는 2922) 및 데이터 추정부(2916 또는 2926)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추정부(2916 또는 2926)는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신호를 등화하고,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0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절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UW-OFDM 심볼을 수신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30의 동작 주체인 장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또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도 30을 참고하면, S3001 단계에서, 장치는 UW를 제거한다. UW는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거될 수 있다. 장치는 UW-OFDM 심볼을 수신하고,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의 UW 신호를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한 후, UW-OFDM 심볼에서 변형된 UW 신호를 감산한다.
S3003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상의 신호들을 제거한다. 제1 부반송파 집합은 테일 제거에 의해 왜곡이 발생하는 위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즉, 제1 부반송파 집합은 테일을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관찰 시 값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신호들을 제거하기 위해, 장치는 제1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값을 0으로 변경할 수 있다.
S3005 단계에서, 장치는 제2 부반송파 집합 상의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출한다. 제2 부반송파 집합에 포함되는 부반송파들은 제1 부반송파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로서, 복소(complex)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들은 제2 부반송파 집합 내에서 자원 할당 결과에 따라 맵핑될 수 있다.
도 25와 같은 송신기 구조를 이용하더라도,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도 26과 같은 송신기 구조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은 송신기 구조에서, 제로 패딩 행렬(zero padding matrix)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퍼뮤테이션 행렬(permutation matrix)을 통해서 잉여 부반송파(redundant subcarrier)들을 테일 제거를 위해 합산되는 신호(예: 제거 신호(2720))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도 26과 같은 송신기 구조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UW-OFDM 심볼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뮤테이션 행렬에서 잉여 부반송파 인덱스(irI r) 및 데이터 부반송파 인덱스(idI d)는 이하 [수학식 3]과 같이 결정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28
[수학식 3]에서,
Figure pct00029
은 잉여 부반송파들의 인덱스 집합,
Figure pct00030
은 UW-OFDM 심볼의 길이,
Figure pct00031
는 UW의 길이,
Figure pct00032
는 데이터 부반송파들의 인덱스 집합,
Figure pct00033
는 데이터 부반송파 인덱스,
Figure pct00034
은 부반송파들의 인덱스 집합을 의미한다.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 퍼뮤테이션 행렬을 적용한 시간 도메인 OFDM 심볼은 이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35
[수학식 4]에서,
Figure pct00036
는 UW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시간 도메인의 OFDM 심볼,
Figure pct00037
는 N-포인트 IDFT 행렬,
Figure pct00038
은 퍼뮤테이션 행렬로서, 각 원소가 0 또는 1인 N×N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39
는 단위 행렬,
Figure pct00040
는 잉여 생성 행렬,
Figure pct00041
는 OFDM 심볼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
Figure pct00042
는 페이로드 데이터,
Figure pct00043
은 Nu×1 크기의 0 행렬을 의미한다.
시간 도메인 OFDM 심볼을 데이터 부반송파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과 잉여 부반송파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으로 나누어 표현하면 이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pct00044
[수학식 5]에서,
Figure pct00045
는 UW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시간 도메인의 OFDM 심볼,
Figure pct00046
는 N-포인트 IDFT 행렬,
Figure pct00047
은 퍼뮤테이션 행렬,
Figure pct00048
는 OFDM 심볼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
Figure pct00049
은 주파수 도메인의 잉여 부반송파들을 의미한다.
[수학식 5]에서 잉여 부반송파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의 시간 도메인 신호는 이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pct00050
[수학식 6]에서,
Figure pct00051
는 잉여 부반송파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
Figure pct00052
는 N-포인트 IDFT 행렬,
Figure pct00053
은 퍼뮤테이션 행렬,
Figure pct00054
은 주파수 도메인의 잉여 부반송파들,
Figure pct00055
는 퍼뮤테이션된 잉여 부반송파들,
Figure pct00056
은 OFDM 심볼의 길이,
Figure pct00057
는 OFDM 심볼 길이 대 UW 길이의 비율,
Figure pct00058
은 잉여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6]은 이하 [수학식 7]과 같은 관계에 기반한다.
Figure pct00059
[수학식 7]에서,
Figure pct00060
는 퍼뮤테이션된 잉여 부반송파들,
Figure pct00061
은 주파수 도메인의 잉여 부반송파들,
Figure pct00062
는 OFDM 심볼 길이 대 UW 길이의 비율,
Figure pct00063
은 OFDM 심볼의 길,
Figure pct00064
는 UW의 길이,
Figure pct00065
은 잉여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6]과 같이, 잉여 반송파의 시간 도메인 신호는 Nr의 주기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진다.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간 도메인 신호 및 잉여 부반송파의 시간 도메인 신호 간 감산 연산 시, OFDM 심볼의 끝 Nr 부분이 0이 되기 때문에, 잉여 부반송파에 의해 도출되는 부분은 데이터 부반송파의 테일(tail) 부분의 반복임이 확인된다.
따라서, 송신 장치에서 도 26과 같은 송신기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수신 장치에서 도 25와 같은 송신기 구조로 가정하고 UW-OFDM 심벌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5와 같은 송신기 구조에 따라 UW-OFDM 심볼이 생성됨을 가정하면, 잉여 부반송파에 맵핑된 값들 및 데이터 부반송파에 맵핑된 값들 간 관련성(interrelation)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여 부반송파에 맵핑된 값들 및 데이터 부반송파에 맵핑된 값들은 선형 맵핑(linear mapping)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계산된 관련성에 기반하여 코드 생성 행렬 G가 생성될 수 있고, 코드 생성 행렬을 이용하면, 수신기는 잉여 부반송파에서 테일 반복을 통해 생성된 값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전력(power)을 데이터 추정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 구조는 이하 도 31과와 같다.
도 31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수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더미 값들이 맵핑된 부반송파들의 신호를 이용하는 수신기를 예시한다. 도 31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블록들로서,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1을 참고하면, 수신기는 DFT부(3112), UW 삭제부(3114), 데이터 추정부(3116)를 포함한다. DFT부(3112)는 UW-OFDM 심볼에 대한 DF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DFT 연산은 FFT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UW 삭제부(3114)는 DFT부(311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UW를 삭제한다. 이를 위해, UW 삭제부(3114)는 입력되는 신호에서 주파수 도메인의 UW 값을 감산한다. 이때, 감산되는 UW 값은 채널 정보(예: 채널 행렬
Figure pct00066
)를 고려하여 수정된 값을 포함한다. 데이터 추정부(3116)는 UW 제거 및 패딩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때, 데이터 추정부(3116)는 더미 값들이 맵핑되는 제1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값들 및 데이터 값들이 맵핑되는 제2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값들 간 관련성 정보(예: 코드 생성 행렬 G) 및 채널 정보(예: 채널 행렬
Figure pct00067
)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추정부(3116)는 관련성 정보 및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왜곡을 보상하고,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수신기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는 채널을 추정한 후, 추정된 채널 정보를 UW 삭제부(3114 또는 3212) 및 데이터 추정부(3116 또는 3126)로 제공한다.
도 32는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장치에서 UW-OFDM 심볼을 처리하는 절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UW-OFDM 심볼을 수신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30의 동작 주체인 장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또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도 32를 참고하면, S3201 단계에서, 장치는 UW를 제거한다. UW는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거될 수 있다. 장치는 UW-OFDM 심볼을 수신하고,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의 UW 신호를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변형한 후, UW-OFDM 심볼에서 변형된 UW 신호를 감산한다.
S3203 단계에서, 장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 정보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장치는, UW-OFDM 심볼을 송신한 장치에서 더미 신호와 맵핑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데이터 신호와 맵핑되는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 정보를 확인한다. 관련성 정보는 제1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신호 값들이 제2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신호 값들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관련성 정보는 제1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신호 값들이 제2 부반송파 집합을 통해 송신된 신호 값들로부터 어떤 선형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관련성 정보는 UW-OFDM 심볼을 송신한 장치에서 수행된 테일 제거 동작에 상응하는 퍼뮤테이션 및 잉여 부반송파 생성을 위해 데이터 값들과 곱해지는 코드 생성 행렬을 포함할 수 있다.
S3205 단계에서, 장치는 관련성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출한다. 장치는 채널 정보 및 관련성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맵핑된 데이터 값들의 채널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치는 채널 정보 및 관련성 정보를 이용하여 등화기를 생성할 수 있다. 장치는 생성된 등화기를 수신 신호에 곱함으로써, 채널 왜곡을 보상하고, 다른 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 값들을 추정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고하여 설명한 UW-OFDM 심볼의 처리에 대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수신기는 관련성 정보, 예를 들어, 코드 생성 행렬 G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출한다. 코드 생성 행렬 G를 이용한 데이터를 추정하는 동작들을 수식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채널을 통과한 수신 신호는 이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pct00068
[수학식 8]에서,
Figure pct00069
은 수신 신호,
Figure pct00070
는 채널 행렬로서, 채널 임펄스 응답 계수(channel impulse response coefficient)의 제로-패딩된(zero-padded) 벡터를 포함하는 N×N 크기의 순환 컨볼루션 행렬(convolution),
Figure pct00071
는 송신 신호,
Figure pct00072
은 가우시안 잡음 벡터,
Figure pct00073
은 N-포인트 IDFT 행렬,
Figure pct00074
는 코드 생성 행렬,
Figure pct00075
는 UW-OFDM 심볼의 데이터 부분,
Figure pct00076
는 UW-OFDM 심볼의 UW 부분을 의미한다.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수신 신호는 이하 [수학식 9]와 같다.
Figure pct00077
[수학식 9]에서,
Figure pct00078
는 주파수 도메인의 수신 신호,
Figure pct00079
은 DFT 행렬,
Figure pct00080
은 시간 도메인의 수신 신호,
Figure pct00081
는 채널 행렬,
Figure pct00082
은 IDFT 행렬,
Figure pct00083
는 코드 생성 행렬,
Figure pct00084
는 OFDM 심볼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
Figure pct00085
는 주파수 도메인의 UW,
Figure pct00086
은 카우시안 잡음 벡터,
Figure pct00087
는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행렬로서, (Nd+Nr)×(Nd+Nr)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88
는 주파수 도메인의 잡음 벡터를 의미한다.
UW는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거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UW를 제거하면, 수신 신호는 이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ct00089
[수학식 10]에서,
Figure pct00090
는 UW를 제거한 주파수 도메인의 수신 신호,
Figure pct00091
는 주파수 도메인의 수신 신호,
Figure pct00092
는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행렬,
Figure pct00093
는 주파수 도메인의 UW, G는 코드 생성 행렬,
Figure pct00094
는 OFDM 심볼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데이터 값들,
Figure pct00095
는 주파수 도메인의 잡음 벡터를 의미한다.
UW가 제거된 주파수 도메인의 수신 신호로부터, 이하 [수학식 11]과 같이 등화기(equalizer)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추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96
[수학식 11]에서,
Figure pct00097
는 추정된 데이터,
Figure pct00098
는 등화기로서, Nd×(Nd+Nr) 크기의 행렬,
Figure pct00099
는 주파수 도메인의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데이터 추정을 위한 등화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수학식 12]와 같이, 등화기는 ZF(zero forcing) 기법 또는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기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100
[수학식 12]에서,
Figure pct00101
는 ZF 기법에 기반한 등화기,
Figure pct00102
는 코드 생성 행렬,
Figure pct00103
는 주파수 도메인의 채널 행렬,
Figure pct00104
는 MMSE 기법에 기반한 등화기,
Figure pct00105
은 OFDM 심볼 길이,
Figure pct00106
는 잡음 전력,
Figure pct00107
는 신호 전력,
Figure pct00108
는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테일 제거 기반의 UW-OFDM 방식에 있어서, 코드 생성 행렬은 DFT 크기 N 및 UW 구간의 길이 Nu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DFT 크기 N 및 UW 구간의 길이 Nu의 결정에 관련된 설정(configuration)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설정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들 간 공유되어야 한다. 기지국 및 단말이 UW-OFDM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설정에 대한 정보의 공유를 위해 이하 도 33과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3은 본 개시에 적용 가능한 기지국 및 단말 간 UW-OFDM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에서 기지국(3310) 및 단말(3320)은 전술한 UW-OFDM 심볼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도 33을 참고하면, S3301 단계에서, 기지국(3310)은 단말(3320)에게 UW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송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UW 설정 정보는 DFT 크기, UW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UW 설정 정보는 DFT 크기, UW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UW 설정 정보는 DFT 크기, UW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되는 정보(예: 코드 생성 행렬 또는 코드 생성 행렬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UW 설정 정보는 기지국(3310)의 시스템 정보로서 송신되거나, 또는 단말(3320)로의 전용적(dedicated) 메시지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UW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의 송신 기회들 마다 반복적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UW에 관련된 설정의 변경되는 때에 송신될 수 있다. 이때, UW 설정 정보는 서로 다른 링크들(예: 상향링크, 하향링크, 사이드링크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각 링크별로 적용될 수 있다.
S3303 단계에서, 단말(3320)은 UW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관련성 정보는 코드 생성 행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3320)은 UW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DFT 크기, UW 구간의 길이에 기반하여 코드 생성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S3305 단계에서, 기지국(3310)은 단말(3320)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S3307 단계에서, 단말(3320)은 기지국(3310)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는 UW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UW-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33을 참고하여 설명한 절차에서, 기지국(3310)은 단말(3320)에게 UW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3301 단계에 앞서, 단말(3320)이 기지국(3310)에게 지원 가능한 UW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3310)은 단말(3320)의 지원 가능한 UW 설정을 고려하여 UW 설정을 결정하고, UW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개시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또는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안 방법들의 적용 여부 정보 (또는 상기 제안 방법들의 규칙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가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에서 서술하는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또는 3GPP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안한 방법은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mmWave, THzWave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자유 주행 차량, 드론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부반송파 집합에 미리 정의된 값의 더미(dummy)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반송파 집합과 다른 제2 부반송파 집합에 데이터 신호들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더미 신호들 및 상기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도메인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시간 도메인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OFDM 심볼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거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제로(zero)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로 UW를 포함하는 OFDM 심볼에 상기 UW를 합산함으로써 UW-OFDM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UW-OFDM 심볼을 제2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반송파 집합은,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의 길이는, 상기 UW의 길이의 정수배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미 신호는, 0 값을 가지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 신호는, 상기 OFDM 심볼 중 상기 UW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추출된 부분을 시간 도메인에서 반복적으로 연접함으로써 생성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에 관련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에 관련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2 장치로부터 UW(unique word)-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UW-OFDM 심볼에서 UW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더미(dummy) 신호와 맵핑되는 제1 부반송파 집합 및 데이터 신호와 맵핑되는 제2 부반송파 집합 간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성에 기반하여 상기 UW를 제거한 OFDM 심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련성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장치에서 수행된 테일 제거(tail cancellation) 동작에 상응하는 퍼뮤테이션 및 잉여 부반송파(redundant subcarrier) 생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성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위한 등화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화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에 관련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에 관련된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UW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5635A 2020-06-10 2020-06-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22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7513 WO2021251518A1 (ko) 2020-06-10 2020-06-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825A true KR20230022825A (ko) 2023-02-16

Family

ID=7884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635A KR20230022825A (ko) 2020-06-10 2020-06-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2825A (ko)
WO (1) WO20212515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851B1 (ko) * 2012-03-27 2013-06-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8370360B (zh) * 2015-12-03 2021-02-02 Idac控股公司 基于零尾及唯一字的dft-s ofdm和ofdm波形
TWI707570B (zh) * 2016-03-30 2020-10-11 美商Idac控股公司 使用唯一字(UW)離散傅立葉轉換展開正交分頻多工(DFT-s-OFDM)增進實體層效率方法及程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518A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3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320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of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66020A (ko) 통신 시스템에서 연합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66018A (ko)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v2x 통신 장치의 강화 학습 수행 방법
US202302619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w for channel estimation in frequency dom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87986A1 (e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62553A (ko) 압축 연합 학습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300732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228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53628A (ko)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v2x 통신 장치의 강화 학습 수행 방법
KR202300422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45011A (ko) 통신 장치의 신호 랜덤화 방법 및 장치
US202302541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28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532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and base station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886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528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959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959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피드백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300360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채널 코딩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300583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566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3184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228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30397018A1 (en) Digital aircomp sign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