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318A -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 Google Patents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318A
KR20230022318A KR1020210103115A KR20210103115A KR20230022318A KR 20230022318 A KR20230022318 A KR 20230022318A KR 1020210103115 A KR1020210103115 A KR 1020210103115A KR 20210103115 A KR20210103115 A KR 20210103115A KR 20230022318 A KR20230022318 A KR 2023002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oller
locking roller
lock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붕수
진시용
박형렬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0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318A/ko
Publication of KR2023002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로프가 통과하는 본체와, 로프에 가압접촉되며 로프를 고정시키는 락킹롤러와, 락킹롤러의 이동을 로프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유닛과, 락킹롤러를 로프측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ELASTICITY REGULATOR, SAFETY ROPE AND SAFETY BELT DEVICE FOR HIGH PLACE WORK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송전철탑, 일반 산업현장 등의 고소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장구로써, 보조벨트가 부착된 안전 허리띠, 즉 안전대가 사용되고 있다. 안전대는 안전로프, 보조로프, 고정지지대, 그 외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구조물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를 착용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거나, 추락이 발생하더라도 상해를 보다 저감시키는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고소작업자의 추락 재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향후 유지보수를 위해 고소작업이 불가피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대와, 이에 구비되는 안전장구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개발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9868호(2012.12.03 등록, 발명의 명칭: 추락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안전로프의 유효 길이를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는, 로프가 통과하는 본체; 상기 로프에 가압접촉되며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락킹롤러;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상기 로프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유닛; 및 상기 락킹롤러를 상기 로프측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연결하는 본체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고정핀은, 상기 제1본체, 상기 롤러가이드유닛, 상기 제2본체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핀본체부; 상기 핀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에 결속되는 제1고정단부; 및 상기 핀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 결속되는 제2고정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롤러는, 단부가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부; 상기 롤러축부의 둘레에 상기 롤러축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축방향의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로프가압부; 및 상기 로프가압부의 둘레에 요철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프와 접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롤러축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로프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병렬되게 배치되며, 상기 로프에 복수개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압돌출부; 및 상기 가압돌출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향 이동 시 상기 락킹롤러가 상기 로프에 밀려 하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로프로부터 이격되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로프가 상향 이동 시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킹롤러가 상측으로 밀려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로프에 접하는 제2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에 대해 설정각도로 기울어진 경로로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은,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설정각도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락킹롤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롤러가이드판부; 및 상기 롤러가이드판부 상에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가이드판부는, 상기 로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일단부를 가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판; 및 상기 로프의 타측에 상기 제1가이드판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홀부는, 상기 롤러가이드판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유닛홀부; 및 상기 롤러가이드판부의 타측부에 상기 제1유닛홀부와 병렬되게 배치되고, 다른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유닛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닛홀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로프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락킹롤러 중 제1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측홀부; 및 상기 로프의 우측에 상기 좌측홀부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 중 제2락킹롤러가 상기 제1락킹롤러와 함께 상기 로프를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상기 제2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우측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은, 상기 슬라이드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부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락킹롤러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롤러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락킹롤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로프와 상기 락킹롤러간의 접촉압력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상기 락킹롤러와 접하게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텐션조절판부; 상기 텐션조절판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가 끼워져 결속되는 롤러결속홀부; 및 상기 텐션조절판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절손잡이부를 한 번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락킹롤러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상기 롤러결속홀부는 복수개의 상기 락킹롤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결속홀부는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연결하는 본체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본체와 접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일단부와 접하는 제1가이드판; 및 상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드판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타단부와 접하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판부는, 상기 제2본체와 상기 제2가이드판의 사이에 압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고정핀은, 상기 제1본체, 상기 제1가이드판, 상기 제2가이드판, 상기 제2본체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핀본체부; 상기 핀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에 결속되는 제1고정단부; 상기 핀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 결속되는 제2고정단부; 및 상기 제2본체, 상기 제2가이드판, 상기 텐션조절판부간의 접촉압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제2고정단부에 결합되는 밀착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벨트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체결수단은, 상기 안전벨트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벨트체결구; 및 작업용 공구나 자재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공구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락킹롤러, 상기 롤러가이드유닛, 상기 가압스프링유닛과 결합되는 로프고정본체부; 및 상기 로프고정본체부에서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벨트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벨트체결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로프는, 상기 신축조절기; 및 상기 신축조절기가 장착되고, 일단부와 상기 신축조절기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유효 길이가 조절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대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및 상기 안전벨트에 체결되고, 상기 신축조절기가 장착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벨트는,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허리밴드; 및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편향되게 유도하는 편심유도수단이 구비되는 허벅지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유도수단은, 상기 허벅지받침밴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편심결합구; 상기 편심결합구 중 상기 허벅지받침밴드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편심홀부; 및 일측부가 상기 편심홀부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허리밴드에 체결되는 회전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허리밴드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등에서 어깨를 거쳐 복부까지 연장되며, 어깨와 접하는 부분에 쿠션이 형성되는 어깨밴드; 상기 어깨밴드와 연결되고, 기도 폐쇄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가슴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가슴밴드; 및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허리밴드와 연결되는 허벅지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는, 신축조절기에 대한 로프의 고정이 가압스프링유닛의 탄성력에 상당하는 가압력으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가이드유닛이 가이드하는 설정 경로 상에서의 락킹롤러의 변위(방향, 이동량, 위치 등)에 따라 로프에 대한 고정력을 명확하게 증감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로프의 유효길이를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킹롤러가 가압스프링유닛에 의해 상시 로프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로프에 신축조절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추락사고의 개연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소의 현장 작업 시 보다 안전한 작업조건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품질 및 작업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와 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와의 접촉력에 의해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에 가압접촉되며 로프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유도수단에 의한 허벅지받침밴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대(8)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7)와, 안전벨트(7)의 허리밴드(71)에 체결되는 안전로프(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로프(3)는 로프(2)에 신축조절기(1)가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허리밴드(71)의 좌측부에는 로프(2)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허리밴드(71)의 우측부에는 로프(2)에 장착된 신축조절기(1)가 체결된다. 안전로프(3)는 로프(2)의 일단부로부터 신축조절기(1)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유효 길이(l)를 가진다.
여기서, 유효 길이는 실질적으로 안전로프(3) 중 안전벨트(7)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작업자는 작업 여건, 신체 조건, 편의 등에 따라 로프(2) 상에서의 신축조절기(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유효 길이(l)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조절기(1)는 본체(10),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텐션조절수단(50), 벨트체결수단(6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을 지지하는 기본 골조를 이루는 요소이다. 로프(2)는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로프(2)에는 작업자, 작업공구 등의 중량에 해당되는 하중과, 바람이나 인근구조물 등 작업 환경, 여건 등에 따른 추가 및 변형 하중이 걸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로프(2)에 걸리는 하중은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벨트체결수단(60), 벨트체결수단(60) 등을 거쳐 본체(10)에 전달된다.
본체(10)는 이러한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진다. 본체(10)의 재질로는 작업자와 공기구의 무게를 고려하여 200㎏의 내하중을 지지가능하게 기계적 성질, 내식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KS D 3724의 기계구조용 Mn-Cr 합금강 및 KS D 3535의 스프링용 스텐인리스강선을 적용할 수 있다.
락킹롤러(20)는 로프(2)의 양측에서 로프(2)에 가압접촉되며 로프(2)를 본체(10)에 결속, 고정시키는 요소이다. 이하에서, 신축조절기(1)와 로프(2)간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신축조절기(1)를 기준으로 하여, 즉 로프(2)에 신축조절기(1)를 장착하는 관점이 아니라, 신축조절기(1)에 로프(2)가 끼워진다는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락킹롤러(20)는 롤러의 형상을 가지며,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는 로프(2)에 양방향에서 접할 수 있게 로프(2)의 연장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에 쌍을 이루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락킹롤러(20)는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텐션조절수단(50)에 의해 로프(2)에 가압접촉되거나 로프(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그 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변된다.
롤러가이드유닛(30)은 락킹롤러(20)의 이동을 로프(2)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요소이다. 롤러가이드유닛(30)의 락킹롤러(20)의 축방향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락킹롤러(20)는 그 양단부가 롤러가이드유닛(30)에 결속되어, 롤러가이드유닛(30)이 안내하는 경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압스프링유닛(40)은 락킹롤러(20)를 로프(2)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요소이다. 락킹롤러(20)는 가압스프링유닛(40)에 의해 상시 로프(2)측으로의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유지되며, 로프(2)와 접한 상태에서 가압스프링유닛(40)의 탄성력에 해당되는 압력으로 로프(2)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가이드유닛(30)은 로프(2)의 연장방향에 대해 설정각도(α)로 기울어진 경로로 락킹롤러(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도 7 참조). 가압스프링유닛(40)은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롤러가이드유닛(30)의 가이드 경로에 대응되는 설정각도(α)로 연장되게 배치된 상태로 락킹롤러(20)를 탄성 가압한다.
텐션조절수단(50)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락킹롤러(20)의 위치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텐션조절수단(50)을 이동시키는 조작 시, 이에 연동하여 락킹롤러(20)가 이동되고, 이러한 락킹롤러(20)의 이동에 의해 로프(2)와 락킹롤러(20)간의 접촉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텐션조절수단(50)의 일측부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락킹롤러(20)와 접하게 설치되고, 텐션조절수단(50)의 타측부는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가능하게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작업자는 텐션조절수단(50)을 이용해 본체(10)의 외부에서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락킹롤러(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벨트체결수단(60)은 본체(10)에 결합되고,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7)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진다. 로프(2)가 통과하여 위치하게 되는 본체(10)의 일측부에는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텐션조절수단(50)이 설치되고, 본체(10)의 타측부에는 벨트체결수단(60)이 설치된다. 벨트체결수단(60)은 체결구(도면부호 미표기, 예를 들어 카라비너 등)에 의해 안전벨트(7)(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상에서 허리밴드(71)의 우측부)에 체결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제1본체(11), 제2본체(14), 본체고정핀(15)을 포함한다.
제1본체(11)와 제2본체(14)는 각각 평판의 구조를 가지고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는 로프(2)가 통과하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제1본체(11)와 제2본체(14)는 공간부(S)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공간부(S) 상에는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텐션조절수단(50)이 배치된다. 제1본체(11)와 제2본체(14)는 함께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 텐션조절수단(50)을 수용, 커버하는 하우징, 덮개의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본체(11)는 로프고정본체부(12)와 벨트체결본체부(13)를 포함한다.
로프고정본체부(12)는 제1본체(11) 중 로프(2)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과 결합되는 장치부이다. 로프고정본체부(12)는 락킹롤러(20), 롤러가이드유닛(30), 가압스프링유닛(40)이 배치되는 공간부(S)를 형성한다.
벨트체결본체부(13)는 벨트체결수단(60)이 결합되는 장치부로, 로프고정본체부(12)에서 공간부(S)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로프고정본체부(12)와 벨트체결본체부(13)는 하나의 판재를 절단, 굽힘가공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2본체(14)는 제1본체(1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본체고정핀(15)은 공간부(S)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1본체(11)와 제2본체(14)를 상호 결속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핀(15)은 핀본체부(16), 제1고정단부(17), 제2고정단부(18), 밀착력조절구(19)를 포함한다.
핀본체부(16)는 제1본체(11), 롤러가이드유닛(30)의 제1가이드판(32), 제2가이드판(33)(이하 설명), 제2본체(14)를 연속하여 관통한다.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도면부호 미표기)을 제1가이드판(32), 제2가이드판(33)에 끼워지는 부분(도면부호 미표기)보다 확장된 직경(너비)을 가지게 형성하면, 그 경계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간의 거리가, 다른 표현으로는 공간부(S)의 너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핀본체부(16)의 양단부는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에 형성된 결합홀부(도면부호 미표기)를 관통한다. 제1고정단부(17)는 제1본체(11)를 관통하는 핀본체부(16)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제1본체(11)에 결속된다. 제1고정단부(17)를 핀본체부(16)의 일단부 및 제1본체(11)에 형성된 결합홀부 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벳이나 볼트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고정단부(17)를 제1본체(11)에 결속할 수 있다.
제2고정단부(18)는 제2본체(14)를 관통하는 핀본체부(16)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제2본체(14)에 결속된다. 밀착력조절구(19)는 제2본체(14), 제2가이드판(33), 텐션조절수단(50)의 텐션조절판부(51)(이하 설명)간의 접촉압을 조절하기 위한 요소로, 텐션조절판부(51)가 위치되는 제2고정단부(18)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수단(50)은 제2본체(14)와 제2가이드판(33)의 사이에 밀착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작업자는 제2본체(14), 제2가이드판(33), 텐션조절수단(50)간의 밀착력(압착력)보다 강한 조작력을 텐션조절수단(50)에 인가함으로써, 텐션조절수단(50)을 수동으로 이동, 조작하게 된다.
밀착력조절구(19)는 제2고정단부(18)에 그 체결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단부(18)는 수나사부의 구조를 가지고, 밀착력조절구(19)는 암나사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밀착력조절구(19)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2고정단부(18) 상에서의 밀착력조절구(19)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제2본체(14), 제2가이드판(33), 텐션조절판부(51)간의 접촉압을 작업자의 악력, 편의 등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밀착력조절구(19)는 제2고정단부(18)와 제2본체(14)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단부(18)가 핀본체부(16)의 타단부 및 제2본체(14)에 형성된 결합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경우, 제2본체(14)와 제2고정단부(18)의 사이에 설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또는 쐐기 형상의 밀착력조절구(19)를 끼움으로써, 제2본체(14), 제2가이드판(33), 텐션조절판부(51)간의 접촉압을 강하거나 약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밀착력조절구(19)를 생략하는 경우, 제1고정단부(17)와 마찬가지로, 제2고정단부(18)를 핀본체부(16)의 타단부 및 제2본체(14)에 형성된 결합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벳이나 볼트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고정단부(18)를 제1본체(11)에 결속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20)는 롤러축부(21), 로프가압부(22), 미끄럼방지부(23)를 포함한다.
롤러축부(21)는 락킹롤러(20)의 중심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로프(2)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축방향 양단부가 롤러가이드유닛(3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프(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시, 락킹롤러(20)는 로프(2)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며, 롤러축부(21)는 이와 직각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롤러축부(21)의 양단부는 각각 롤러가이드유닛(30)의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에 결속된다. 롤러축부(21) 중 롤러가이드유닛(30)의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에 결속되는 부분은 원형 또는 원형이 아닌 다른 단면 형상을, 예를 들어 마름모나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축부(21)의 양단부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롤러가이드유닛(30)의 슬라이드홀부(34)(이하 설명) 상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축부(21)의 양단부가 원형이 아닌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롤러축부(21)의 모서리부가 슬라이드홀부(34)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거나, 롤러축부(21)의 평탄부가 슬라이드홀부(34)의 가장자리부에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어, 락킹롤러(2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로프가압부(22)는 로프(2)와의 접하여 로프(2)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장치부로, 로프(2)가 통과하는 공간부(S) 상에 위치돤다. 로프가압부(22)는 롤러축부(21)의 둘레에 롤러축부(21)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축방향의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예를 들어 반원형의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로프(2)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3)는 로프(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프가압부(22)의 둘레에 요철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23)는 가압돌출부(24)와 함몰부(25)를 포함한다. 가압돌출부(24)는 롤러축부(2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로프가압부(22)의 둘레를 따라 병렬되게 배치되되, 로프(2)에 복수개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함몰부(25)는 가압돌출부(24)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로프(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시, 미끄럼방지부(23)는 로프(2)의 좌측와 우측에서 접하게 된다. 이때, 가압돌출부(24)는 로프(2)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동시에 로프(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락킹롤러(20)가 로프(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복수개의 가압돌출부(24)에 의해 로프(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와 접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와의 접촉력에 의해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롤러가 로프에 가압접촉되며 로프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가이드유닛(30)은 롤러가이드판부(31)와 슬라이드홀부(34)를 포함한다.
롤러가이드판부(31)는 본체(10)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S)상에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가이드판부(31)는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판(32)과 제2가이드판(33)은 각각 평판의 구조를 가지고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 배치되며, 로프(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판(32)은 로프(2)의 전방에서 제1본체(11)와 접하게 배치된다.
제2가이드판(33)은 로프(2)의 후방에서 텐션조절수단(50)의 텐션조절판부(51), 제2본체(14)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텐션조절판부(51)와 밀착된다. 제1가이드판(32) 상에는 락킹롤러(20)의 롤러축부(21)의 전단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홀부(34)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판(33) 상에는 락킹롤러(20)의 롤러축부(21)의 후단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홀부(34)가 형성된다.
슬라이드홀부(34)는 락킹롤러(2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이드판부(31) 상에 로프(2)의 연장방향에 대해 설정각도(α)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홀부(34)는 로프(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로프(2)에서 멀어질수록 하향되고, 로프(2)에 근접할수록 상향되는 예각에 해당되는 설정각도(α)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향 이동 시, 로프(2)의 우측에 위치되는 락킹롤러(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2)에 밀려 하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로프(2)로부터 이격되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로프(2)를 신축조절기(1)에 끼워 통과시키는 조작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로프(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락킹롤러(20)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로프(2)가 상향 이동 시 로프(2)의 우측에 위치되는 락킹롤러(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스프링유닛(40)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이동됨과 동시에 로프(2)에 접하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로프(2)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 락킹롤러(20)는 가압스프링유닛(40)에 의해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받는 상태이므로, 로프(2)의 상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으로 더 밀려 이동하게 되고, 단순히 측방향에서 로프(2)의 측면부에 접하는 실시예와 비교해 로프(2)의 측면부에 보다 깊게 파고들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락킹롤러(20)는 로프(2)를 보다 명확하게 가압, 고정시킬 수 있고, 로프(2)에 걸리는 하중을 락킹롤러(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홀부(34)는 제1유닛홀부(35)와 제2유닛홀부(38)를 포함한다.
로프(2)가 공간부(S)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시, 제1유닛홀부(35)와 제2유닛홀부(38)는 각각 롤러가이드판부(31)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다. 제1유닛홀부(35)는 공간부(S)의 상부에서 락킹롤러(20)들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유닛홀부(38)는 공간부(S)의 하부에서 다른 락킹롤러(20)들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락킹롤러(20)는 제1유닛홀부(35)와 제2유닛홀부(38)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2중으로 로프(2)를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프(2)에 대한 고정성능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고,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유닛홀부(35)는 좌측홀부(36)와 우측홀부(37)를 포함한다.
좌측홀부(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프(2)의 좌측에 배치되고, 로프(2)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락킹롤러(20) 중 제1락킹롤러(20A)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우측홀부(37)는 로프(2)의 우측에 좌측홀부(36)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락킹롤러(20) 중 제2락킹롤러(20B)가 제1락킹롤러(20A)와 함께 로프(2)를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제2락킹롤러(20B)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스프링유닛(40)은 스프링(41)과 롤러결합구(42)를 포함한다.
가압스프링유닛(40)은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설정각도(α)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본체(10) 또는 본체(10)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락킹롤러(20)와 접한다.
스프링(41)은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슬라이드홀부(34)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슬라이드홀부(34)와 동일한 방향으로, 즉 설정각도(α)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즉, 스프링(41)은 슬라이드홀부(34)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스프링(41)의 상단부는 락킹롤러(20)와 결합되고, 스프링(41)의 하단부는 본체(10) 또는 본체(10)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도면부호 미표기)에 고정된다.
스프링(41)이 설정각도(α)로 연장되게 배치됨에 따라, 락킹롤러(20)가 설정각도(α)에 해당되는 경로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스프링(41)은 그 연장 방향이 가변되지 않고, 길이가 신축되는 변형만을 하게 된다. 즉, 스프링(41)의 하단부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41)의 상단부는 락킹롤러(20)와 동일한 거리와 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되는 변형을 하게 된다.
스프링(41)의 상단부를 이동성을 가지는 락킹롤러(20)와 결합함에 있어서는, 특히 락킹롤러(20)의 롤러축부(21)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적용 시, 롤러축부(21)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롤러결합구(42)를 매개로 하여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롤러결합구(42)는 부시(bush) 형상을 가지고, 롤러축부(21)의 전단부, 후단부 중 적어도 일측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스프링(41)은 그 상단부를 락킹롤러(20)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롤러결합구(42)에 결합함으로써, 락킹롤러(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휘어지거나 임의로 당겨지는 일 없이, 락킹롤러(20)의 이동 거리에만 연동하여 그 길이가 신축가변되는 변형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1)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텐션조절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수단(50)은 텐션조절판부(51), 롤러결속홀부(52), 조절손잡이부(53)를 포함한다.
텐션조절판부(51)는 텐션조절수단(50) 중 락킹롤러(20)가 위치하는 공간부(S) 상에 배치되는 부분, 즉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장치부이다. 텐션조절판부(51)는 평판의 구조를 가지고, 복수개의 락킹롤러(20)의 동선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제1본체(11)와 제2본체(14)는 전후방으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는 로프(2)가 통과하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롤러가이드유닛(30)의 제1가이드판(32)은 제1본체(11)와 접하고, 락킹롤러(20)의 전단부와 접한다. 제2가이드판(33)은 로프(2)를 사이에 두고 제1가이드판(32)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텐션조절판부(51)는 제2본체(14)와 제2가이드판(33)의 사이에 압접되게 배치되고, 제2가이드판(33)을 통과한 락킹롤러(20)의 후단부와 접한다.
롤러결속홀부(52)는 텐션조절판부(51)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락킹롤러(20)가 끼워져 결속된다. 롤러결속홀부(52)는 복수개의 락킹롤러(20)가 끼워질 수 있게 복수개의 락킹롤러(2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텐션조절판부(51)나 조절손잡이부(53)를 한 번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락킹롤러(20)를 동일한 변위로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판부(51)는 로프(2)의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결속홀부(52)는 로프(2)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로프(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 시, 텐션조절판부(5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결속홀부(5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락킹롤러(20)는 슬라이드홀부(34)를 따라 경사진 경로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됨에 있어서, 롤러결속홀부(5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만 접할 뿐, 좌우방향으로는 텐션조절판부(51), 롤러결속홀부(52)에 의한 구속력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롤러결속홀부(52)가 로프(2)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이러한 작용을 구현가능하게 직각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진다는 것을, 예를 들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조절손잡이부(53)는 작업자가 본체(10)의 외부에서 파지한 상태로 조작력을 인가가능하도록 텐션조절판부(51)에서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치부이다. 작업자가 조절손잡이부(53)를 파지한 상태로 상향력을 인가하거나 하향력을 인가함으로써,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조절판부(51)를 상향 또는 하향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텐션조절판부(51) 중 복수개의 락킹롤러(2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롤러결속홀부(52)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조절손잡이부(53)를 파지한 상태로 로프(2)의 연장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측이나 그 반대방향인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락킹롤러(20)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작동을, 즉 수동식 원터치 조작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작업자가 로프(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부(53)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측 락킹롤러(20)(예를 들어, 제1락킹롤러(20A), 제2락킹롤러(20B))간의 이격거리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로프(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유효 길이(l)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 도 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2)의 측면부에 락킹롤러(20)가 접한 상태이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부(53)를 보다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측 락킹롤러(20)간의 이격거리를 보다 로프(2)의 굵기(예를 들어, 11.5~13㎜ 범위에서 호환하여 적용 가능), 즉 좌우방향 너비보다 더 축소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조절손잡이부(53)를 파지한 상태로 상향 이동력을 가하여 텐션조절수단(50)을 보다 상향이동시킴으로써 로프(2)를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수단(50)을 이용해 로프(2)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조절손잡이부(53)를 파지한 상태로 하향 이동력을 가하여 텐션조절수단(50)을 보다 하향이동시킴으로써 로프(2)에 대한 압박력을 보다 약화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텐션조절수단(50)을 로프(2)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면서, 텐션조절수단(50)의 위치, 변위에 비례, 대응되는 세기로 로프(2)에 대한 락킹롤러(20)의 가압력을 정밀하고 신뢰성있게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텐션조절수단(50)을 이용해 작업상황, 편의 등에 따라 로프(2)에 대한 락킹롤러(20)의 가압력을 정밀하고 신뢰성있게 증감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동 조작이 하나의 텐션조절수단(50)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절손잡이부(53)를 밀거나 당기는 원터치 조절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 또한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체결수단(60)은 벨트체결구(61)와 공구체결구(62)를 포함한다.
벨트체결구(61)는 안전벨트(7)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고, 공간부(S)에 외부에, 다른 표현으로는 본체(10) 중 벨트체결본체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벨트체결구(61)는 본체(10)의 외부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고, 로프(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벨트체결구(61)의 일단부는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수단(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에 결합, 고정된다. 벨트체결구(61)의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로프(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체결구(도면부호 미표기, 예를 들어 카라비너 등)를 체결할 수 있는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진다.
벨트체결구(61)의 일단부를 본체(10)에 결합,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부쉬 구조, 베어링 구조 등을 가짐으로써, 벨트체결구(61)를 회전가능하게, 다른 표현으로는 그 연장방향을 가변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체결구(61)의 연장방향과 벨트체결구(61)의 타단부의 위치가 로프(2)나 체결구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 세기 등에 연동하여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프(2)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벨트체결구(61)의 연장방향이 공간부(S) 외부에서의 로프(2)의 연장방향에 맞추어 이와 나란하게 자연히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프(2)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로프(2)와 벨트체결구(61)를 지지하는 부품에 로프(2)의 연장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응력, 전단력을 보다 감소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로프(2)에 하중이 실린 상태에서 로프(2)와 벨트체결구(61)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다른 부품들에 비틀림, 전단력 등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벨트체결구(61)를, 로프(2)와 간섭되지 않는 한, 로프(2)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벨트체결구(61)는 로프(2)가 통과하는 공간부(S)와 공구체결구(62)의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벨트체결구(61)는 공구체결구(62)보다 로프(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벨트체결구(61)는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는 고리 형상의 타단부가 체결구에 의해 안전벨트(7)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리밴드(71)의 우측부에 체결된다. 로프(2)의 좌측단부와, 벨트체결구(61)를 허리밴드(7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체결한 상태에서, 로프(2)에 하중이, 예를 들어 작업자의 체중에 상당하는 중량이 걸리면, 도 9 상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로프(2)가 당겨지게 되고, 락킹롤러(20)는 보다 명확하고 강하게 로프(2)의 측면부에 접하거나 파고들어 로프(2)를 고정시키게 된다.
공구체결구(62)는 작업용 공구나 자재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고, 공간부(S)에 외부에서 본체(10)에 고정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구체결구(62)는 본체(10)의 벨트체결본체부(13)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구체결구(62)는 복수개의 고리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제1본체(11)와 제2본체(14)의 사이에 삽입된다.
벨트체결본체부(13) 상에는 공구체결구(62)의 고리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벨트체결본체부(13)에 공구체결구(62)를 결합한 상태에서, 신축조절기(1) 상에는 본체(10)와 공구체결구(62)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고, 작업자는 편의에 따라 이러한 홀부에 공구, 자재를 체결하여 매단 상태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7)는 허리밴드(71), 어깨밴드(72), 가슴밴드(73), 허벅지밴드(74), 허벅지받침밴드(75)를 포함한다.
허리밴드(71)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길이조절용 버클(도면부호 미표기) 등을 적용함으로써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어깨밴드(72)는 허리밴드(71)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등에서 어깨를 거쳐 복부까지 연장된다. 어깨밴드(72)는 배면에서 볼 때 Y자 형상을 가지며, 어깨, 등의 충격흡수를 위해 어깨, 등과 접하는 부분에 쿠션(C)이 형성된다.
허리밴드(71)에는 안전로프(3), 추락방지대 걸이(미도시), 자재나 공구 등의 체결을 위해 D링, 후면 사각링 등의 체결구(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 추락방지대 걸이를 허리밴드(71)의 후방부에 구비 시 작업자의 갈비뼈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슴밴드(73)는 작업자의 몸통 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좌, 우측 단부가 좌, 우측 어깨밴드(72)와 각각 연결된다. 가슴밴드(73)는 기도 폐쇄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가슴부위보다 하측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슴부위에서 10cm 정도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추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가슴밴드(73)가 작업자의 목, 턱이 위치되는 상측으로 끌어올려지면서 작업자의 기도를 막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허벅지밴드(74)는 작업자의 허벅지에 끼워져 착용되며, 허리밴드(71)와 연결된다. 허벅지밴드(74)는 길이조절용 버클 등을 적용함으로써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허리밴드(71), 어깨밴드(72), 가슴밴드(73), 허벅지밴드(74)는 재봉 등의 접합 방법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각각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허리밴드(71), 어깨밴드(72), 가슴밴드(73), 허벅지밴드(74)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오조작으로 인한 추락사고의 개연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 몸집 등 작업자의 신체 차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허벅지받침밴드(75)는 작업자가 착좌할 수 있는 받침대의 기능을 하는 장치부로, 작업자의 허벅지를 하측에서 받쳐 지지하게 된다. 허벅지받침밴드(75)는 허리밴드(7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허벅지받침밴드(75)는 허벅지밴드(74)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좌, 우측 단부가 허리밴드(71)의 좌, 우측부와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유도수단에 의한 허벅지받침밴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허벅지받침밴드(75)에는 작업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편향되게 유도하는 편심유도수단(76)이 구비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유도수단(76)은 편심결합구(77), 편심홀부(78), 회전체결구(79)를 포함한다.
편심결합구(77)는 고리 구조를 가지고 허벅지받침밴드(75)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편심결합구(77)는 허벅지받침밴드(75)의 좌, 우측 단부의 전후방향 너비 전체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작업자의 체중 등에 상당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다.
편심결합구(77) 중 허벅지받침밴드(75)의 외부로(도 1, 도 12 상에서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납작한 평판의 형상을 가지되,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반원형이 아니라, 전방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호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편심결합구(78)의 전방부의 상하방향 너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편심홀부(78)는 편심결합구(77) 중 허벅지받침밴드(75)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편심결합구(78)가 전방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호형상을 가짐에 따라, 편심홀부(78)를 편심결합구(77)의 전방부에 목적한 강성을 확보,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관통형성할 수 있다.
회전체결구(79)는 허리밴드(71)와 편심결합구(77)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장치부로, 하부가 편심홀부(78)에 체결되고, 상부가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허리밴드(71)에 체결된다. 회전체결구(79)에 의해 작업자는 허벅지받침밴드(75)에 착좌한 상태에서 작업조건에 맞추어 좌, 우측으로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조작할 수 있다. 회전체결구(79)로는 회전형 카라비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편심유도수단(76)에 의하면, 작업자가 허벅지받침밴드(75)에 착좌한 자세에서 허벅지받침밴드(75)가 자연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유도된다. 이에 따라 허벅지받침밴드(75)에 착좌한 작업자의 허벅지가 자연히 무릎측이 엉덩이측보다 들어올려지게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허벅지받침밴드(75)의 편심 유도 작용에 의해 작업자의 엉덩이가 허벅지받침밴드(75)의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좌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편심유도수단(76)에 의해, 작업자는 고소 작업 시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그 착좌 자세가 보정될 수 있다.
허리밴드(71), 어깨밴드(72), 가슴밴드(73), 허벅지밴드(74), 허벅지받침밴드(75) 등의 소재로는 경질의 가죽제나 나일론 직조밴드를 적용할 수 있고, 나일론 소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속심과 외피의 이중구조 형성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을 적용함으로써, 목적한(예를 들어, 약 200㎏)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소작업 시 안정적인 작업조건을 확보하여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결구로는 스냅 훅(snap hook), 카라비너 결속용 연결구(hole), 재봉형 로프 슬링(rope sling), D링, 사각링, 버클, 비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질로는, 녹 등의 경년변화에 강하고, 내구성이 보강된 스테인리스 스틸(SUS 316)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을 적용함으로써, 목적한(예를 들어, 약 200㎏)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소작업 시 안정적인 작업조건을 확보하여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신축조절기 2 : 로프
3 : 안전로프 7 : 안전벨트
8 : 안전대 10 : 본체
11 : 제1본체 12 : 로프고정본체부
13 : 벨트체결본체부 14 : 제2본체
15 : 본체고정핀 16 : 핀본체부
17 : 제1고정단부 18 : 제2고정단부
19 : 밀착력조절구 20 : 락킹롤러
21 : 롤러축부 22 : 로프가압부
23 : 미끄럼방지부 24 : 가압돌출부
25 : 함몰부 30 : 롤러가이드유닛
31 : 롤러가이드판부 32 : 제1가이드판
33 : 제2가이드판 34 : 슬라이드홀부
35 : 제1유닛홀부 36 : 좌측홀부
37 : 우측홀부 38 : 제2유닛홀부
40 : 가압스프링유닛 41 : 스프링
42 : 롤러결합구 50 : 텐션조절수단
51 : 텐션조절판부 52 : 롤러결속홀부
53 : 조절손잡이부 60 : 벨트체결수단
61 : 벨트체결구 62 : 공구체결구
71 : 허리밴드 72 : 어깨밴드
73 : 가슴밴드 74 : 허벅지밴드
75 : 허벅지받침밴드 76 : 편심유도수단
77 : 편심결합구 78 : 편심홀부
79 : 회전체결구 C : 쿠션
l : 유효 길이 S : 공간부
α : 설정각도

Claims (26)

  1. 로프가 통과하는 본체;
    상기 로프에 가압접촉되며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락킹롤러;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상기 로프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유닛; 및
    상기 락킹롤러를 상기 로프측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연결하는 본체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핀은,
    상기 제1본체, 상기 롤러가이드유닛, 상기 제2본체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핀본체부;
    상기 핀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에 결속되는 제1고정단부; 및
    상기 핀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 결속되는 제2고정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롤러는,
    단부가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부;
    상기 롤러축부의 둘레에 상기 롤러축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축방향의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로프가압부; 및
    상기 로프가압부의 둘레에 요철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프와 접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롤러축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로프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병렬되게 배치되며, 상기 로프에 복수개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압돌출부; 및
    상기 가압돌출부의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로프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하향 이동 시 상기 락킹롤러가 상기 로프에 밀려 하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로프로부터 이격되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로프가 상향 이동 시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락킹롤러가 상측으로 밀려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로프에 접하는 제2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에 대해 설정각도로 기울어진 경로로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은,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상기 설정각도로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락킹롤러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롤러가이드판부; 및
    상기 롤러가이드판부 상에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판부는,
    상기 로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일단부를 가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판; 및
    상기 로프의 타측에 상기 제1가이드판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타단부를 가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부는,
    상기 롤러가이드판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유닛홀부; 및
    상기 롤러가이드판부의 타측부에 상기 제1유닛홀부와 병렬되게 배치되고, 다른 상기 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유닛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홀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로프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락킹롤러 중 제1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측홀부; 및
    상기 로프의 우측에 상기 좌측홀부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 중 제2락킹롤러가 상기 제1락킹롤러와 함께 상기 로프를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상기 제2락킹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우측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프링유닛은,
    상기 슬라이드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부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락킹롤러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롤러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롤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로프와 상기 락킹롤러간의 접촉압력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상기 락킹롤러와 접하게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텐션조절판부;
    상기 텐션조절판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롤러가 끼워져 결속되는 롤러결속홀부; 및
    상기 텐션조절판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부를 한 번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락킹롤러를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상기 롤러결속홀부는 복수개의 상기 락킹롤러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결속홀부는 상기 로프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본체; 및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연결하는 본체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본체와 접하고, 상기 락킹롤러의 일단부와 접하는 제1가이드판; 및
    상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드판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락킹롤러의 타단부와 접하는 제2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판부는,
    상기 제2본체와 상기 제2가이드판의 사이에 압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핀은,
    상기 제1본체, 상기 제1가이드판, 상기 제2가이드판, 상기 제2본체를 연속하여 관통하는 핀본체부;
    상기 핀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에 결속되는 제1고정단부;
    상기 핀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에 결속되는 제2고정단부; 및
    상기 제2본체, 상기 제2가이드판, 상기 텐션조절판부간의 접촉압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제2고정단부에 결합되는 밀착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벨트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결수단은,
    상기 안전벨트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벨트체결구; 및
    작업용 공구나 자재와의 체결을 위한 고리 또는 홀부의 구조를 가지는 공구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락킹롤러, 상기 롤러가이드유닛, 상기 가압스프링유닛과 결합되는 로프고정본체부; 및
    상기 로프고정본체부에서 상기 로프가 통과하는 공간부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벨트체결수단이 결합되는 벨트체결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조절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신축조절기; 및
    상기 신축조절기가 장착되고, 일단부와 상기 신축조절기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유효 길이가 조절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23.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 및
    상기 안전벨트에 체결되고,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신축조절기가 장착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허리밴드; 및
    상기 허리밴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편향되게 유도하는 편심유도수단이 구비되는 허벅지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유도수단은,
    상기 허벅지받침밴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편심결합구;
    상기 편심결합구 중 상기 허벅지받침밴드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편심홀부; 및
    일측부가 상기 편심홀부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허리밴드에 체결되는 회전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대.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등에서 어깨를 거쳐 복부까지 연장되며, 어깨와 접하는 부분에 쿠션이 형성되는 어깨밴드;
    상기 어깨밴드와 연결되고, 기도 폐쇄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가슴부위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가슴밴드; 및
    길이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허리밴드와 연결되는 허벅지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대.
KR1020210103115A 2021-08-05 2021-08-05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KR20230022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15A KR20230022318A (ko) 2021-08-05 2021-08-05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15A KR20230022318A (ko) 2021-08-05 2021-08-05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18A true KR20230022318A (ko) 2023-02-15

Family

ID=8522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115A KR20230022318A (ko) 2021-08-05 2021-08-05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23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453B2 (en) Safety harness
EP0819018B1 (en) Safety harness
US6450131B1 (en) Forward bending motion control harness
US20200114181A1 (en) Harness With Adjustable Belt Strap
EP0411011B1 (en) Harness for a safety line
US10821310B2 (en) Harness with pivoting hip connection
CN102046243A (zh) 用于呼吸设备的携带系统
EP3375414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CA3162174A1 (en) Safety harness with self-locking dorsal brace
US4928789A (en) Iron worker's seat protector and gripping device
KR20230022318A (ko) 신축조절기와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및 안전대
CN111714804A (zh) 安全带
AU2018256552A1 (en) A Personal Lift Assist Apparatus
EP3533324B1 (en) Animal harness comprising an elastic shoulder strap system
EP1803487B1 (en) Safety harness
EP3679782B1 (en) Support belt for work tool
JP5009741B2 (ja) 転落防止装置
CN110861070B (zh) 支承组件及外骨骼机器人
JP2022182258A (ja) 作業支援スーツ
JP6864355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0973163B1 (ko) 산업용 안전대
JP7199130B1 (ja) 墜落制止用器具
JP6749443B2 (ja) アシストスーツ
CN219614779U (zh) 一种安全带
CN110861069B (zh) 支承组件及外骨骼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