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296A -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296A
KR20230022296A KR1020230011481A KR20230011481A KR20230022296A KR 20230022296 A KR20230022296 A KR 20230022296A KR 1020230011481 A KR1020230011481 A KR 1020230011481A KR 20230011481 A KR20230011481 A KR 20230011481A KR 20230022296 A KR20230022296 A KR 20230022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jection
drug
liquid medicine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진
전호민
전용호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2300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2296A/ko
Publication of KR2023002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순차적 복수 회에 걸쳐 주입 대상의 혈당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혈당 측정부,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약액과 상이한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1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Medical liquid control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신체내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외부에서 약물의 주입이 필요하고, 예를들면 당뇨병 등과 같이 혈당 수치가 조절이 안되는 경우 외부에서의 약물 주입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 하는 약액 주입 장치는 복수 회 또는 장기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입 대상은 사용의 불편 및 통증을 겪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주입 대상은 다양한 약물의 주입이 필요할 수 있고, 예를들면 혈당의 저하 또는 증가에 따라 서로 상호 보완적인 약물이 주입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환자의 약액 주입을 통한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환자의 몸에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소형의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하여 소량의 약액을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 예를들면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정밀하게 약액을 주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환자의 신체에 대한 약액의 예시로서 인슐린의 주입에 대한 장치 및 방법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177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순차적 복수 회에 걸쳐 주입 대상의 혈당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혈당 측정부,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약액과 상이한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1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주입 대상에게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혈당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제2 약액 주입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상기 제2 약액 주입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혈당 측정부는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상기 제2 약액 주입부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당 측정부,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제2 약액 주입부 중 적어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와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와 통신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 외부에 부착되어 웨어러블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약액 주입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약액 주입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약액 주입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신체부(HB)의 외부에 약액 주입 디바이스(500)가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신체부(HB)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바늘 또는 혈당 측정용 센서등이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당뇨병이 있거나 기타 이유의 이유로 인하여 자신의 신체적 능력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 외부에서 약물을 주입하여 비정상적인 혈당의 증가 또는 혈당의 감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500)를 통하여 사용자는 혈당의 비정상적 증가 또는 비정상적 감소를 억제하도록 서로 상이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500)는 혈당 측정부(100), 제1 약액 주입부(200) 및 제2 약액 주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부의 구동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1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후술할 실시예들의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경우에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약액 주입부(200)는 혈당 측정부(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100)와 제1 약액 주입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300)는 혈당 측정부(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100)와 제2 약액 주입부(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면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값을 보고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 제1 약액 주입부를 통하여 인슐린과 같은 제1 약액을 주입하여 혈당 수치를 감소하여 정상 혈당 범위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값을 보고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인 경우 제2 약액 주입부를 통하여 글루카곤과 같은 제2 약액을 주입하여 혈당 수치를 감소하여 정상 혈당 범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 또는 보호자 등이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값을 인식하고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혈당 설정 범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혈당 수치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제1 약액 주입부를 통하여 제1 약액이 주입되도록 하고 설정 범위의 미만일 경우에 제2 약액 주입부를 통하여 제2 약액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사용자의 조작 미숙에 따른 약액 조절의 부정확성을 제거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1500)는 혈당 측정부(1100), 제1 약액 주입부(1200) 및 제2 약액 주입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측정부(1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1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측정부(1100)는 제1 약액 주입부(1200)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혈당 측정부(1100)는 제1 약액 주입부(1200)의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1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1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1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혈당 측정부(1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1200)는 혈당 측정부(1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1200)의 일 영역, 예를들면 하우징 내에 혈당 측정부(1100)의 적어도 일 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1200)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기판 형태의 본체부에 혈당 측정부(11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1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1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1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1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1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1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1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1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1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1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혈당 측정부(1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1100)와 제2 약액 주입부(1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1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부가 제1 약액 주입부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의 하우징 내에 혈당 측정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의 기판 형태의 본체부에 혈당 측정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부는 제1 약액 주입부와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혈당 측정부 및 제1 약액 주입부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혈당 측정부는 제2 약액 주입부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2500)는 혈당 측정부(2100), 제1 약액 주입부(2200), 제2 약액 주입부(2300) 및 하우징(2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510)은 일체화된 형태, 예를들면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2510)은 분리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2100), 제1 약액 주입부(2200), 제2 약액 주입부(2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하우징(2510)에 덮일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2510)의 커버(미도시)가 혈당 측정부(2100), 제1 약액 주입부(2200), 제2 약액 주입부(2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덮고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2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2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2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2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1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혈당 측정부(2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2100)와 제1 약액 주입부(2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2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2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2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2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2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2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2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2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2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2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혈당 측정부(2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2100)와 제2 약액 주입부(2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2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 영역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에 포함되는 커버는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하우징을 통하여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가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3500)는 혈당 측정부(3100), 제1 약액 주입부(3200), 제2 약액 주입부(3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3500)는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은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 측정부(3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3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3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3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3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210)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3211)를 포함하고, 외측부(32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제1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3210)는 약액을 저장하도록 탱크 형태의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210)는 약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방수 재질, 예를들면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유리, 금속 또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3210)는 외측부(3211)의 내측에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 부재는 제1 약액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저장부(3210)에 수용된 약액이 후술할 니들 모듈(3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3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모듈(32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저장부(3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니들 모듈(3230)과 저장부(3210)의 사이에 연결부(TN)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TN)는 적어도 저장부(3210)의 제1 약액이 니들 모듈(3230)로 전달되도록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이 빈 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TN)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모듈(3230)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3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220)는 저장부(3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니들 모듈(3230)에 전달되도록 하고, 니들 모듈(3230)로부터 약액 주입 대상, 예를들면 사람의 피부 내측으로 제1 약액이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3220)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저장부(3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일정한 양만큼 니들 모듈(3230)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부(3220)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은 외부의 전원,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3220)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구동부(3220)가 제1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2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3220)는 저장부(3210)에 연결되어 저장부(3210)에 수용된 제1 약액이 연결부(TN)을 통하여 니들 모듈(3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혈당 측정부(3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3100)와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3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3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32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32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3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3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3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3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3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3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약액 주입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약액 주입부(3200')는 저장부(3210'), 구동부(3220') 및 니들 모듈(3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210')와 구동부(3220')의 사이에 제1 연결부(TN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연결부(TN1)는 적어도 저장부(3210')의 제1 약액이 구동부(3220')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이 빈 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TN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220')와 니들 모듈(3230')의 사이에 제2 연결부(TN2)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부(TN2)는 적어도 제1 약액이 구동부(3220')로부터 니들 모듈(3230')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이 빈 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TN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3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3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혈당 측정부(3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3100)와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3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3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제1 약액 주입부(3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약액 주입부(3300)는 도 6의 변형예와 동일한 구성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원활한 주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약액 주입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4500)는 혈당 측정부(4100), 제1 약액 주입부(4200), 제2 약액 주입부(4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4500)는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은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 측정부(4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4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커버(4201)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4201)는 저장부(4210), 구동부(4220) 및 니들 모듈(423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는 도 8의 커버(4201)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베이스(420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베이스(4202)는 커버(4201)와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4201)와 베이스(4202)는 서로 연결되어 제1 약액 주입부(4200)의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4201)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구에 대응되도록 버튼(4235)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4235)은 니들 모듈(423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버튼(4235)은 니들 모듈(4230)상에 배치될 수 있고, 버튼(4235)은 사용자가 가압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4235)을 통하여 니들 모듈(4230)에 대한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4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4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4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210)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4211)를 포함하고, 외측부(42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제1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4210)는 약액을 저장하도록 탱크 형태의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210)는 약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방수 재질, 예를들면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유리, 금속 또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4210)는 외측부(4211)의 내측에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 부재는 제1 약액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저장부(4210)에 수용된 약액이 후술할 니들 모듈(4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4210)는 충전 통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충전 통로를 통하여 약액을 보충 받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4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모듈(42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저장부(4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니들 모듈(4230)과 저장부(4210)의 사이에 연결부(TN)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TN)는 적어도 저장부(4210)의 제1 약액이 니들 모듈(4230)로 전달되도록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이 빈 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TN)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모듈(4230)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4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220)는 저장부(4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니들 모듈(4230)에 전달되도록 하고, 니들 모듈(4230)로부터 약액 주입 대상, 예를들면 사람의 피부 내측으로 제1 약액이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4220)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저장부(4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일정한 양만큼 니들 모듈(4230)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4220)는 전원부(425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부(425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4220)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구동부(4220)가 제1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22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4220)는 저장부(4210)에 연결되어 저장부(4210)에 수용된 제1 약액이 연결부(TN)을 통하여 니들 모듈(4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혈당 측정부(4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4100)와 제1 약액 주입부(4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연결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4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4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42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42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4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4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4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4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4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4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4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4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혈당 측정부(4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4100)와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4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4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4300)는 제1 약액 주입부(4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원활한 주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통하여 구동부에 구동부를 구동할 에너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 약액 주입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제1 약액 주입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5500)는 혈당 측정부(5100), 제1 약액 주입부(5200), 제2 약액 주입부(5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5500)는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은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 측정부(5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5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측정부(5100)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약액 주입부(5200)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혈당 측정부(5100)는 제1 약액 주입부(5200)의 하우징의 내측에 커버(5201)로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커버(5201)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5201)는 저장부(5210), 구동부(5220) 및 니들 모듈(523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은 도 11의 커버(5201)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베이스(520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베이스(5202)는 커버(5201)와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5201)와 베이스(5202)는 서로 연결되어 제1 약액 주입부(5200)의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5201)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구에 대응되도록 버튼(5235)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5235)은 니들 모듈(523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버튼(5235)은 니들 모듈(5230)상에 배치될 수 있고, 버튼(5235)은 사용자가 가압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5235)을 통하여 니들 모듈(5230)에 대한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5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5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5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210)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5211)를 포함하고, 외측부(52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제1 약액이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5210)는 약액을 저장하도록 탱크 형태의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210)는 약액을 수용할 수 있는 방수 재질, 예를들면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유리, 금속 또는 실리콘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5210)는 외측부(5211)의 내측에 약액이 수용되는 공간에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 부재는 제1 약액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저장부(5210)에 수용된 약액이 후술할 니들 모듈(5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5210)는 충전 통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충전 통로를 통하여 약액을 보충 받을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5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모듈(52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저장부(5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니들 모듈(5230)과 저장부(5210)의 사이에 연결부(TN)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TN)는 적어도 저장부(5210)의 제1 약액이 니들 모듈(5230)로 전달되도록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속이 빈 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TN)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니들 모듈(5230)을 통하여 제1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5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220)는 저장부(5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니들 모듈(5230)에 전달되도록 하고, 니들 모듈(5230)로부터 약액 주입 대상, 예를들면 사람의 피부 내측으로 제1 약액이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220)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저장부(5210)에 저장된 제1 약액이 일정한 양만큼 니들 모듈(5230)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5220)는 전원부(525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부(525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220)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구동부(5220)가 제1 약액의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220)는 전기에 의해 약액 흡입력과 약액 토출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와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 등의 모든 종류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변위형 마이크로펌프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압력차를 일으키도록 기어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고체 혹은 유체의 운동을 이용하는 펌프로서, 다이어프람 변위 펌프(Diaphragm displacement pump), 유체 변위 펌프(Fluid displacement pump), 회전 펌프(Rotary pump) 등이 있다. 전자기운동형 마이크로펌프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형태의 에너지를 바로 유체의 이동에 이용하는 펌프로서, 전기유체역학 펌프(Electro hydrodynamic pump, EHD), 전기삼투식 펌프(Electro osmotic pump), 자기유체역학 펌프(Magneto hydrodynamic pump), 전기습식 펌프(Electro wetting pump)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5220)는 저장부(5210)에 연결되어 저장부(5210)에 수용된 제1 약액이 연결부(TN)을 통하여 니들 모듈(5230)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5220)와 저장부(5210)의 사이에 구동 연결부(52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5240)는 구동부(52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이러한 구동력을 저장부(5210)의 내측에 배치된 운동 부재(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연결부(5240)를 통하여 저장부(5210) 내측의 운동 부재(미도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부(5210)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5230)로 미세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 연결부(5240)는 하나 이상의 기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5200)는 혈당 측정부(5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5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5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부(52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52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5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5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5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5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5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5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상기 혈당 측정부(5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5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니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저장부의 제2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구동부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펌핑을 통하여 정해진 양의 제2 약액이 사용자에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혈당 측정부(5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5100)와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NW)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5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5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5300)는 제1 약액 주입부(5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원활한 주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통하여 구동부에 구동부를 구동할 에너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부가 제1 약액 주입부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 및 제1 약액 주입부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혈당 측정부는 제2 약액 주입부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일 영역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와 연결된 구동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연결부를 통하여 저장부 내측의 운동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미세한 공급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6500)는 혈당 측정부(6100), 제1 약액 주입부(6200), 제2 약액 주입부(6300) 및 하우징(6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510)은 일체화된 형태, 예를들면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6510)은 분리되는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6100), 제1 약액 주입부(6200) 및 제2 약액 주입부(6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하우징(6510)에 덮일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6510)의 커버(미도시)가 혈당 측정부(6100), 제1 약액 주입부(6200), 제2 약액 주입부(6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덮고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6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6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제1 저장부(6210), 제1 구동부(6220) 및 제1 니들 모듈(6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6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6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6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62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저장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제1 니들 모듈(6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니들 모듈(62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제1 저장부(6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제1 니들 모듈(623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니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6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6220)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62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약액 주입부(6200)는 혈당 측정부(6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6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6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제1 구동부(6220)를 제어하여 제1 니들 모듈(62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6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6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6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6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6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6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제2 저장부(6310), 제2 구동부(6320) 및 제2 니들 모듈(6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당 측정부(6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6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6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제2 니들 모듈(63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제2 저장부(6310)의 제2 약액을 제2 니들 모듈(633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 구동부(6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혈당 측정부(6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6100)와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6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6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구동부(63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6300)는 제1 약액 주입부(6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원활한 주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통하여 구동부에 구동부를 구동할 에너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가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커버에 덮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하우징(7510)은 일체화된 형태, 예를들면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7510)은 분리되는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7100), 제1 약액 주입부(7200) 및 제2 약액 주입부(7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하우징(7510)에 덮일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7510)의 커버(미도시)가 혈당 측정부(7100), 제1 약액 주입부(7200), 제2 약액 주입부(7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덮고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7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7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제1 저장부(7210), 제1 구동부(7220) 및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7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7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7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72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저장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니들 모듈(75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제1 저장부(7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7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7220)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72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약액 주입부(7200)는 혈당 측정부(7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7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7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제1 구동부(7220)를 제어하여 공통 니들 모듈(75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7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7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7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7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7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7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제2 저장부(7310), 제2 구동부(7320) 및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당 측정부(7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7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7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제2 저장부(7310)의 제2 약액을 공통 니들 모듈(7523)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2 구동부(7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혈당 측정부(7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7100)와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7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7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구동부(73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7300)는 제1 약액 주입부(7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약액의 주입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위한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포함한다.
공통 니들 모듈(7530)은 제1 약액이 저장된 제1 저장부(7210) 및 제2 약액이 저장된 제2 저장부(7310)에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들면 밸브(VL)를 통하여 제1 저장부(7210)를 통하여 제1 약액을 공급받거나 제2 저장부(7310)를 통하여 제2 약액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통 니들 모듈(7530)을 통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 중 원하는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공통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공통 니들 모듈은 제1 약액을 저장한 제1 저장부 및 제2 약액을 저장한 제2 저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등을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통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 중 하나의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할 수 있다.
예를들면 혈당을 낮추어야 하는 경우에 밸브를 제어하여 제2 저장부와의 연결을 폐쇄하고 제1 약액을 공급받아 공통 니들 모듈이 제1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고, 혈당을 높여야 하는 경우에 밸브를 제어하여 제1 저장부와의 연결을 폐쇄하고 제2 약액을 공급받아 공통 니들 모듈이 제2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통 니들 모듈을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에 공통으로 적용하여 니들 모듈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줄여 전체 하우징 내의 공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니들 모듈의 제어를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약액 주입 디바이스(8500)는 혈당 측정부(8100), 제1 약액 주입부(8200), 제2 약액 주입부(8300) 및 하우징(8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510)은 일체화된 형태, 예를들면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8510)은 분리되는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8100), 제1 약액 주입부(8200) 및 제2 약액 주입부(8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하우징(8510)에 덮일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8510)의 커버(미도시)가 혈당 측정부(8100), 제1 약액 주입부(8200), 제2 약액 주입부(8300)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덮고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혈당 측정부(8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적어도 순차적인 복수 회에 걸쳐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8100)는 적어도 설정 시간 동안 주기적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속 혈당 측정기(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제1 저장부(8210), 공통 구동부(8520) 및 제1 니들 모듈(8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상기 혈당 측정부(8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약액 주입부(82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1 약액은 인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제1 약액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8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82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저장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제1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제1 니들 모듈(8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니들 모듈(8230)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부(ND)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ND)는 내부가 빈 형태로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제1 저장부(8210)의 제1 약액이 주입 대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제1 니들 모듈(823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니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저장부의 제1 약액을 니들 모듈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통 구동부(8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구동부(8520)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구동부(85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액 주입부(8200)는 혈당 측정부(8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8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약액 주입부(8200)에 의하여 제1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공통 구동부(8520)를 제어하여 제1 니들 모듈(8230)에 의한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혈당 측정부(810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약액 주입부(8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8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혈당 측정부(8100)가 측정한 값을 사용자 등에게 고지하고,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제1 약액 주입부(8200) 또는 제2 약액 주입부(8300)의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제2 저장부(8310), 공통 구동부(8520) 및 제2 니들 모듈(8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당 측정부(8100)가 측정한 혈당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약액 주입부(8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는 제2 약액은 글루카곤을 함유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제2 약액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8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제2 약액을 사용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모듈, 예를들면 제2 니들 모듈(83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니들 모듈을 통하여 제2 약액을 사용자의 피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제2 저장부(8310)의 제2 약액을 제2 니들 모듈(83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통 구동부(8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혈당 측정부(8100)로부터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 복수 회 또는 연속적으로 필요에 따라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혈당 측정부(8100)와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8100)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설정 범위 미만이 될 경우 제2 약액 주입부(8300)에 의하여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고, 예를들면 공통 구동부(8520)를 제어하여 니들 모듈로의 약액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약액 주입부(8300)는 제1 약액 주입부(8200)에 포함된 구동부, 저장부 및 니들 모듈과 동일한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저장부(8210)의 제1 약액을 제1 니들 모듈(8230)로 공급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고 제2 저장부(8310)의 제2 약액을 제2 니들 모듈(8330)로 공급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공통 구동부(8520)를 포함한다.
공통 구동부(8520)는 제1 약액이 저장된 제1 저장부(8210) 및 제2 약액이 저장된 제2 저장부(8310)에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1 약액이 제1 니들 모듈(8230)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2 약액이 제2 니들 모듈(83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통 구동부(8520)의 제어를 통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 중 원하는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는 혈당 측정부를 통하여 적어도 복수 회에 걸쳐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계속적인 혈당 측정을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실시간 혈당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부가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이용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는 선택적으로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예를들면 혈당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정밀한 혈당 조절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액 주입부 또는 제2 약액 주입부는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약액을 주입 대상에 주입하도록 형성된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약액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원활한 주입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통하여 구동부에 구동부를 구동할 에너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부 및 제2 저장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통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구동부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저장부의 제1 약액이 제1 니들 모듈에 전달되도록 하거나 제2 저장부의 제2 약액이 제2 니들 모듈에 전달되도록 하여 제1 약액 및 제2 약액 중 하나의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할 수 있다.
예를들면 혈당을 낮추어야 하는 경우에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제2 저장부에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제1 저장부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 저장부의 제1 약액이 제1 니들 모듈로 공급되어 제1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고, 혈당을 높여야 하는 경우에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제1 저장부에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제2 저장부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2 저장부의 제2 약액이 제2 니들 모듈로 공급되어 제2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고, 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통 구동부를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에 공통으로 적용하여 구동부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줄여 전체 하우징 내의 공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가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어도 일 영역이 하우징의 커버에 덮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하고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들면 도 17은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1 약액 주입부의 제1 구동부, 제2 약액 주입부의 제2 구동부 또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통 구동부의 하나에 적용될 수 있는 펌프부(12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펌프부(120) 및 후술할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펌프부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제1 구동부, 제2 구동부 및 공통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그대로 적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일부분이 적용되거나 일부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펌프부(120)의 하우징(110)은 일측에 구비된 샤프트 홀(112H)을 포함하며, 샤프트 홀(112H)을 통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130)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샤프트 홀(112H)은 하우징(110)의 본체(111)에 대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돌출부(11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12)의 직경은 본체(11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30)의 제1부분(13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부분(132)은 샤프트 홀(112H)을 지나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30)는 도 17에서의 상하 방향(z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샤프트(130)의 왕복 운동시, 제1부분(131)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예컨대 돌출부(112)에 해당하는 내부 공간에서 선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샤프트(130)의 제1부분(131)의 직경(R1)은 샤프트 홀(112H)의 직경(R3) 보다 크기 때문에, 제1부분(131)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샤프트(130)의 제2부분(132)은 샤프트 홀(112H)의 직경(R3) 보다 작은 직경(R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2부분(132)이 샤프트 홀(112H)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부분(132)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 이동 제어부(1130)와 결합할 수 있다.
샤프트(130)의 제1부분(131)의 측면에는 실링재(125)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예컨대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샤프트(130)의 내측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밀폐된 공간으로, 내부 공간에는 유체가 존재하며, 실링재(125)는 하우징(110)과 샤프트(130)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누설(누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체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재(125)는 O-링의 형태로 제1부분(13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으며, 실링재(125)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가 샤프트 홀(112H)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누출(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의 누출은, 샤프트(130)의 제1부분(131)으로부터 이동 제어부(113)까지의 제1거리(D1)를 돌출부(112)의 내측 길이(D2)와 같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멤브레인(114)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예컨대 본체(111)와 대응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멤브레인(11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멤브레인(114)을 기준으로 샤프트(130)에서 먼 공간이 제1공간(S1)이고, 멤브레인(114)을 기준으로 샤프트(130)에 인접한 공간을 제2공간(S2)으로 나타낸다.
멤브레인(114)은 유체와 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114)은 예컨대, 구형 실리카를 열로 소성하여 제조한 프릿형 멤브레인일 수 있다. 예컨대, 멤브레인의 형성에 사용하는 구형 실리카는 약 20 nm 내지 약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0 nm 내지 약 3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40 nm 내지 약 2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형 실리카의 직경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멤브레인(114)을 통과하는 제1유체에 의한 압력, 즉 샤프트(130)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114)이 구형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멤브레인(114)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멤브레인(114)은 다공성 실리카 또는 다공성 알루미나와 같이 제타포텐셜(zeta potential)에 의한 일렉트로키네틱(eletrokinetic) 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종류를 한정할 것은 아니다.
멤브레인(114)은 약 20 ㎛ 내지 약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00 ㎛ 내지 약 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00 ㎛ 내지 약 4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114)의 양측에는 제1전극체(150)와 제2전극체(160)가 각각 배치된다. 제1전극체(150)는 멤브레인(114)의 제1측에 배치된 제1다공성 플레이트(151) 및 제1전극 스트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체(160)는 멤브레인(114)의 제2측에 배치된 제2다공성 플레이트(161) 및 제2전극 스트립(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다공성 플레이트(151, 161)는 각각 멤브레인(114)의 양측 주면(main surface)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다공성 플레이트(151, 161)는 다공 구조를 통해 유체와 이온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다공성 플레이트(151, 161)는 다공성 베이스층에 전기화학 반응 물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예컨대, 무전해 도금, 진공증착, 코팅, 졸-겔 프로세스 등의 방법을 통해 다공성 베이스층에 전착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베이스층은 절연체일 수 있다. 예컨대, 다공성 베이스층은, 비도전성의 세라믹, 비도전성의 고분자 수지, 비도전성의 유리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도전성의 세라믹은, 예컨대 암면, 석고, 도자기, 시멘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암면, 석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도전성의 고분자 수지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합성 섬유; 양모, 목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천연 섬유; 해면; 생물체, 예컨대 생물체의 뼈에서 유래한 다공성 소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도전성의 유리는 유리솜, 글라스 프릿(glass frit), 다공질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공성 베이스층은 약 0.1 ㎛ 내지 약 500 ㎛의 기공크기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5 ㎛ 내지 약300 ㎛의 기공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 ㎛ 내지 약 200 ㎛의 기공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체와 이온을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펌프부(120)의 안정성과 수명 특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제1 및 제2전극체(150, 160)의 전극 반응 시에 산화 전극과 환원 전극이 양이온, 예컨대 수소이온을 주고 받는 한 쌍의 반응을 이룰 수 있으며 동시에 가역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구성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예컨대, 은/산화은, 은/염화은, MnO(OH),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타이오닌(polythionine), 퀴논계 폴리머(quinone-based polym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트립(152, 162)은 제1 및 제2다공성 플레이트(151, 16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외부의 제1 및 제2단자(153, 16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트립(152, 162)은 은,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유체는 서로 다른 상(phase)를 갖는 제1유체와 제2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체는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고 제2유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제1유체는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채우지 않는다. 즉, 내부 공간의 체적은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제1유체의 체적 보다 크다. 내부 공간 중에서 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는 제2유체가 존재한다.
멤브레인(114), 제1전극체(150), 및 제2전극체(160)의 구조물의 양 측에는 실링재(1170)가 배치된다. 실링재(1170)는 전술한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유체, 예컨대 제1유체는 멤브레인(114)을 통과하도록 멤브레인(1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실링재(117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전술한 구조물 사이의 틈을 막아 액체가 이 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는 주입구(118)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양측의 주입구(118)를 통해 제1유체를 내부 공간에 전체적으로 채운 후에 어느 하나의 주입구(118)를 통해 제1유체의 일부를 외부로 빼낸 후에 주입구(118)들을 폐쇄함으로써,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전극체(150) 및 제2 전극체(160)는 각각 단자를 통해 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전원의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변경하여 물과 같은 액체의 이동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를 통하여 펌프부(120)의 샤프트(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30)의 이동을 통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의 제1 약액 또는 제2 약액의 이동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들면 도 18은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1 약액 주입부의 제1 구동부, 제2 약액 주입부의 제2 구동부 또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통 구동부의 하나에 적용될 수 있는 펌프부(229)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의 펌프부(229)는 전기 삼투압을 이용한 형태의 펌프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펌프부(229)의 하우징(210)은 일측에 구비된 샤프트 홀(212H)을 포함하며, 샤프트 홀(212H)을 통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220)가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샤프트 홀(212H)은 하우징(210)의 본체(211)에 대하여 일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1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12)의 직경은 본체(21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20)의 제1부분(221)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부분(2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홀(212H)을 지나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샤프트(220)는 상하 방향(Z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샤프트(220)의 제2부분(222)은 샤프트 홀(212H)의 직경(R3) 보다 작은 직경(R2)을 구비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부분(222)은 하우징(210)의 외부에 배치된 이동 제어부(213)와 결합할 수 있다.
샤프트(220)의 제1부분(221)의 측면에는 실링재(225)가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214)은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 예컨대 본체(211)와 대응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멤브레인(214)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포함한다.
도 18에서는, 멤브레인(214)을 기준으로 샤프트(220)에서 먼 공간이 제1공간(S1)이고, 멤브레인(214)을 기준으로 샤프트(220)에 인접한 공간을 제2공간(S2)으로 나타낸다.
멤브레인(214)은 유체와 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214)은 예컨대, 구형 실리카를 열로 소성하여 제조한 프릿형 멤브레인일 수 있다. 예컨대, 멤브레인의 형성에 사용하는 구형 실리카는 약 20 nm 내지 약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0 nm 내지 약 3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40 nm 내지 약 2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형 실리카의 직경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멤브레인(214)을 통과하는 제1유체에 의한 압력, 즉 샤프트(220)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214)이 구형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멤브레인(214)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멤브레인(214)은 다공성 실리카 또는 다공성 알루미나와 같이 제타포텐셜(zeta potential)에 의한 일렉트로키네틱(eletrokinetic) 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종류를 한정할 것은 아니다.
멤브레인(214)은 약 20 ㎛ 내지 약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300 ㎛ 내지 약 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000 ㎛ 내지 약 4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214)의 양측에는 제1전극체(250)와 제2전극체(260)가 각각 배치된다. 제1전극체(250)는 멤브레인(214)의 제1측에 배치된 제1다공성 플레이트(251) 및 제1전극 스트립(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체(260)는 멤브레인(214)의 제2측에 배치된 제2다공성 플레이트(261) 및 제2전극 스트립(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다공성 플레이트(251, 261)는 각각 멤브레인(214)의 양측 주면(main surface)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다공성 플레이트(251, 261)는 다공 구조를 통해 유체와 이온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다공성 플레이트(251, 261)는 다공성 베이스층에 전기화학 반응 물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예컨대, 무전해 도금, 진공증착, 코팅, 졸-겔 프로세스 등의 방법을 통해 다공성 베이스층에 전착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베이스층은 절연체일 수 있다. 예컨대, 다공성 베이스층은,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체와 이온을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펌프부(229)의 안정성과 수명 특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제1 및 제2전극체(250, 260)의 전극 반응 시에 산화 전극과 환원 전극이 양이온, 예컨대 수소이온을 주고 받는 한 쌍의 반응을 이룰 수 있으며 동시에 가역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구성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 물질은 예컨대, 은/산화은, 은/염화은, MnO(OH),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타이오닌(polythionine), 퀴논계 폴리머(quinone-based polymer)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트립(252, 262)은 제1 및 제2다공성 플레이트(251, 26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외부의 제1 및 제2단자(253, 26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트립(252, 262)은 은,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유체는 서로 다른 상(phase)를 갖는 제1유체와 제2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체는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하고 제2유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제1유체는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채우지 않는다. 즉, 내부 공간의 체적은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제1유체의 체적 보다 크다. 내부 공간 중에서 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는 제2유체가 존재한다.
멤브레인(214), 제1전극체(250), 및 제2전극체(260)의 구조물의 양 측에는 실링재(217)가 배치된다. 실링재(217)는 전술한 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유체, 예컨대 제1유체는 멤브레인(214)을 통과하도록 멤브레인(2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실링재(217)는 하우징(210)의 내측면과 전술한 구조물 사이의 틈을 막아 액체가 이 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의 거동 및 그에 따른 샤프트의 이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1전극체(250)와 제2전극체(260)는 각각, 제1 및 제2단자(253, 263)을 통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부가 공급하는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변경하여 공급함으로써, 물과 같은 액체의 이동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은/산화은을 전기화학적 반응물질로 사용하고, 제1유체가 물을 포함하는 용액인 경우를 설명하면 제1전극체(250)가 산화전극이고 제2전극체(260)가 환원전극인 경우, 제1전극체(250)에서의 산화반응에 따라 생성된 양이온(예, 수소이온)은 전압차에 의해 멤브레인(214)을 지나 제2전극체(260)를 향해 이동하는데, 이 때 양이온과 함께 물(H2O)이 함께 이동하면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하여 펌프부(229)의 샤프트(2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예를들면 도 19 및 도 20은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1 약액 주입부의 제1 구동부, 제2 약액 주입부의 제2 구동부 또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통 구동부의 하나에 적용될 수 있는 펌프부(320)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펌프부(320)는, 커넥터(321), 체크밸브 어셈블리(323)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구동 부재(3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321)에 일측에 체크밸브 어셈블리(323)가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 부재(325)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21)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23)와 구동 부재(325)를 구획하는 격벽(321a)이 제공될 수 있다. 격벽(321a)에는 유입구(321b)와 유출구(321c)가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321b)와 유출구(321c)는 서로 간격을 이루며 격벽(321a)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체크밸브 어셈블리(323)는 밸브 하우징(357), 유입용 체크밸브(359), 배출용 체크밸브(361), 제1 고정구(363) 그리고 제2 고정구(365)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357)에는 유입 연장관로(357a)와 배출 연장관로(357b)가 제공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357)은 커넥터(32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연장관로(357a)는 유입구(321b)에 연결되며, 배출 연장관로(357b)는 유출구(321c)에 연결된다.
유입용 체크밸브(359)는 유입 연장관로(357a)에 배치되어 유체의 통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배출용 체크밸브(361)는 배출 연장관로(357b)에 배치되어 유체의 통과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유입용 체크밸브(359)와 배출용 체크밸브(361)는 유연하고 개방압력이 낮은 더크빌 밸브(Duckbill valv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용 체크밸브(359)와 배출용 체크밸브(361)는 전력 소모량 대비 유체의 전달 효율이 증대되어 장시간 작동이 가능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고정구(363)는 유입 연장관로(357a)에 끼워져 유입용 체크밸브(359)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고정구(365)는 배출 연장관로(357b)에 끼워져 배출용 체크밸브(36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고정구(363)와 제2 고정구(365)는 관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하우징(357)에 유입용 체크밸브(359)와 배출용 체크밸브(361)가 결합된 예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321)에 제공된 유입구(321b)와 유출구(321c)에 유입용 체크밸브(359)와 배출용 체크밸브(361)가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예시는 밸브 하우징(357)을 커넥터(321)와 일체로 구성하여 더욱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으며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구동 부재(325)는 커넥터(321)의 일측에 결합된다. 구동 부재(325)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23)가 결합되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부재(325)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23)를 통과하는 유체와 격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부재(325)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23)를 통과하는 유체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부재(325)는 제1 다이어프램(367), 제1 펌프 하우징(329), 제1 전원공급선(371), 제1 전극(373), 멤브레인(327), 제2 전극(377), 제2 전원공급선(379), 제2펌프 하우징(381), 그리고 제2 다이어프램(3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어프램(367)은 커넥터(321)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 다이어프램(367)과 커넥터(321)는 그의 사이에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다이어프램(367)은 커넥터(321)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여 커넥터(3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체크밸브 어셈블리(323) 측의 유체는 제1 다이어프램(367)에 의해 구동 부재(325)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다이어프램(367)은 그를 이루는 면이 구동 부재(325)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을 반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다이어프램(367)에는 경우에 따라 면이 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주름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펌프 하우징(329)에는 일측에 상술한 제1 다이어프램(367)이 결합된다. 제1 펌프 하우징(329)은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공간(329a)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펌프 하우징(329)은 제1 다이어프램(367)에 의해 공간(329a)의 일측이 폐쇄될수 있다.
제1 펌프 하우징(329)의 타측에는 제1 전극(373)이 결합되어 제1 펌프하우징(329)이 이루는 공간(329a)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펌프 하우징(329)은 내부에 제공된 공간(329a)에 물과 같은 작동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펌프 하우징(329)는 외주에 유체주입용 구멍부(329b)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부(329b)는 제1 펌프 하우징(329)에 작동 유체가 주입된 후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325)의 작동 유체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23) 측의 약액과 격리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선(371)은 제1 전극(37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전원공급선(371)은 제1 펌프 하우징(329)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제1 전극(373)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선(371)은 제1 펌프 하우징(329)과 제1 전극(373)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 1 전원공급선(371)은 단지 제1 전극(37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면, 제1 전극(373)과 멤브레인(327)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전극(373)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제1 펌프 하우징(329)의 공간(329a)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제1 펌프 하우징(329)은 제1 다이어프램(367)과 제1 전극(373)에 의해 공간(329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펌프 하우징(329)의 공간(329a)에 물과 같은 작동 유체가 수용된다.
멤브레인(327)은 작동유체와 이온이 이동되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멤브레인(327)은 세라믹과 같은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327)이 부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기 삼투 펌프를 장시간 운전하여 제1 전극(373)과 제2 전극(377)에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물질이 소모 내지 탈착되어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327)이 노출되어도, 부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반응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안전적인 운전특성을 가지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멤브레인(327)은 도전성을 나타내지 않는 고분자 수지, 고무, 우레탄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유연한 소재를 얇은 막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극(377)은 멤브레인(327)의 타측에 배치된다. 즉, 멤브레인(327)은 제1 전극(373)과 제2 전극(377)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원공급선(379)은 제2 전극(377)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선(379)은 제2 펌프 하우징(381)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전원공급선(379)은 단지 제2 전극(37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떠한 배치 구조도 가능하다.
제2 펌프 하우징(381)은 제1 펌프 하우징(329)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과 모양을 가진다. 제2 펌프 하우징(381)은 내부에 또 다른 공간(381a)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펌프 하우징(381)에는 제1 펌프 하우징(329)과 마찬가지로 내부의 공간(381a)을 관통하는 구멍부(381b)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펌프 하우징(381)의 구멍부(381b)는 작동유체를 주입한 후에 밀봉제에 의해 밀봉되거나 또는 융착 등에 의해 메워질 수 있다.
제2 다이어프램(383)은 제2 펌프 하우징(381)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펌프 하우징(381)에 제공된 공간(381a)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제2 펌프 하우징(381)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377)과 제2 다이어프램(383)에 의해 공간(381a)을 폐쇄할 수 있다.
제2 다이어프램(383)에는 그의 면에 주름부(38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다이어프램(383)에 형성된 주름부(383a)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다이어프램(383)의 주름부(383a)는 제2 다이어프램(383)의 면을 축 방향으로 충분하게 이동시켜 펌핑의 성능을 증대시 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다이어프램(383)에 주름부(383a)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다이어프램(367)에도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다이어프램(367) 또는 제2 다이어프램(383)에 형성될 수 있는 주름부는 적은 에너지로도 제1 다이어프램(367)과 제2 다이어프램(383)의 변형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즉, 외부의 작은 전원으로도 구동 부재(325)를 장시간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펌프 하우징(329), 제1 전원공급선(371), 제1 전극(373), 멤브레인(327), 제2 전극(377), 제2 전원공급선(379), 그리고 제2 펌프 하우징(381)은 봉지제(32S)에 의해 외부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전원공급선(371), 제1 전극(373), 멤브레인(327), 제2 전극(377), 그리고 제2 전원 공급선(379)은 제1 펌프 하우징(329)과 제2 펌프 하우징(381)의 크기에 비해 작게 구성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제1 펌프 하우징(329)과 제2 펌프 하우징(381) 사이에 둘레부분(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며 단면을 기준으로 홈 또는 공간을 이루는 부분)에 봉지제(S)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제(S)는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는 커버부(9250) 및 베이스 플레이트(9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혈당 측정부,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일 영역은 베이스 플레이트(9260)에 배치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986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커버부(9250)에 덮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200)를 일체화된 모듈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제1 약액 주입부 및 제2 약액 주입부를 별도의 하우징에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는 외부의 단말기(MDV)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MDV)를 통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로부터의 정보를 받을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단말기(MDV)를 통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의 동작을 개시 또는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의 동작 상태, 성능 상황을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MDV)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와 연결될 수 있고,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9000)는 이러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주입 대상에 대한 약액 주입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구체적으로 혈당의 저하 및 증가 시의 상이한 약액인 제1 약액 및 제2 약액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 관련한 주입 대상, 또는 약액 주입 대상의 보호자, 의료인 등 사용자가 약액 주입 대상에 대한 약액 주입의 정보 및 약액 주입 후 혈당 변화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입 대상의 혈당 관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00, 1500, 2500, 3500, 4500, 5500, 6500, 7500, 8500, 9000: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100, 1100, 2100, 3100, 4100, 5100, 6100, 7100, 8100: 혈당 측정부
200, 1200, 2200, 3200, 4200, 5200, 6200, 7120, 8200: 제1 약액 주입부
300, 1300, 2300, 3300, 4300, 5300, 6300, 7300, 8300: 제2 약액 주입부

Claims (1)

  1. 주입 대상의 혈당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혈당 측정부;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감소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제1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1 약액 주입부;
    상기 주입 대상의 혈당의 증가를 제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1 약액과 상이한 성분을 함유하는 제2 약액을 주입 대상에게 주입하도록 형성된 제2 약액 주입부
    상기 제1 약액과 상기 제2 약액이 구별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약액 주입부 및 상기 제2 약액 주입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주입 대상을 향하도록 형성된 니들부를 구비하는 공통 니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니들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약액 및 제2 약액 중 하나의 약액이 선택적으로 상기 주입 대상에 주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1020230011481A 2020-03-04 2023-01-30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20230022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481A KR20230022296A (ko) 2020-03-04 2023-01-30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20A KR102495891B1 (ko) 2020-03-04 2020-03-04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1020230011481A KR20230022296A (ko) 2020-03-04 2023-01-30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20A Division KR102495891B1 (ko) 2020-03-04 2020-03-04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296A true KR20230022296A (ko) 2023-02-14

Family

ID=776136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20A KR102495891B1 (ko) 2020-03-04 2020-03-04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1020230011481A KR20230022296A (ko) 2020-03-04 2023-01-30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20A KR102495891B1 (ko) 2020-03-04 2020-03-04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8571A1 (ko)
EP (1) EP4115927A4 (ko)
JP (1) JP2023516717A (ko)
KR (2) KR102495891B1 (ko)
CN (1) CN115243747A (ko)
WO (1) WO2021177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343A (ko) * 2021-12-17 2023-06-26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 장치
WO2024048938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케어메디 약물 주입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716A2 (en) * 2005-05-13 2006-11-2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Fully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type 1 diabetes
US20070088271A1 (en) * 2005-10-18 2007-04-19 Richards Cynthia C Medication device
EP2173407B1 (en) * 2007-07-02 2020-02-19 Roche Diabetes Care GmbH A device for drug delivery
KR20170088177A (ko) * 2016-01-22 2017-08-01 김소훈 인슐린 펌프를 이용한 당뇨환자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1928297B1 (ko) * 2016-09-08 2018-12-12 이오플로우(주) 약액 주입장치
KR101857629B1 (ko) * 2016-09-09 2018-05-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1933912B1 (ko) * 2017-02-02 2018-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혈당량관리 네트워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891B1 (ko) 2023-02-06
WO2021177747A1 (ko) 2021-09-10
EP4115927A4 (en) 2023-08-30
JP2023516717A (ja) 2023-04-20
EP4115927A1 (en) 2023-01-11
CN115243747A (zh) 2022-10-25
US20230118571A1 (en) 2023-04-20
KR20210112093A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2296A (ko)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101910932B1 (ko) 전기 삼투 펌프
EP1912690B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volume changing means
JP7157241B2 (ja) 電気浸透圧ポンプ
CN112654383B (zh) 电渗泵
KR102379943B1 (ko) 펌프
EP4082588A1 (en) Peritoneal dialysis device
KR102477258B1 (ko) 전기 삼투압 펌프
KR102619175B1 (ko) 펌프
KR102572870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534944B1 (ko) 전기 삼투압 펌프
KR102173812B1 (ko) 전기 삼투압 펌프
CN219185600U (zh) 电渗流泵系统
KR20240040447A (ko) 전기 삼투 펌프
EP3998094A1 (en)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KR20230097707A (ko) 전기 삼투압 펌프
KR20230092343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5615A (ko)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30097709A (ko) 전기 삼투압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