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2019A -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2019A
KR20230022019A KR1020210104139A KR20210104139A KR20230022019A KR 20230022019 A KR20230022019 A KR 20230022019A KR 1020210104139 A KR1020210104139 A KR 1020210104139A KR 20210104139 A KR20210104139 A KR 20210104139A KR 20230022019 A KR20230022019 A KR 20230022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door frame
hinge
doo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192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1010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05F1/06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with complementary, substantially identical and slidingly cooperating cam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문짝의 일측 상부에 돌출되는 힌지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힌지 고정구; 상기 힌지 고정구를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상부 문틀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동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문짝의 위치를 조절하여 양측 문짝 사이의 틈새를 임의의 넓이로 조절할 수 있어 양쪽 문짝이 개폐될 때 서로 부딛히지 않도록 하면서도 틈새로 인한 양측 문짝의 차단효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Gap Adjustment Structure of the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짝의 힌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 문짝 간의 사이 틈새를 조절할 수 있는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미닫이도어, 여닫이도어 등 다양한 도어들이 이용되어 왔는데, 미닫이도어는 문짝이 슬라이딩되므로 도어가 닫혔을 때 양측 문짝 또는 문짝과 문틀이 서로 밀착하여 틈새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여닫이도어는 문짝을 개폐할 때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개폐됨으로써 양쪽 문짝이 서로 부딛힐 위험이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의 양측 문짝(110,120)을 개폐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문짝(110,120) 사이에 틈새(190)를 형성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문짝 사이의 틈새는 도어를 제작할 때의 오차와 유격 등에 의해 그 넓이를 임의의 수치로 정확하게 제조하는 것은 무리가 있었고, 이로 인해 양쪽 문짝 사이에 벌어지는 틈새가 과도하게 형성되면 틈새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등 도어의 차단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또 틈새가 너무 적게 형성되면 문짝을 여닫기가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여닫이도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문짝과 문짝 사이의 틈새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는, 문짝의 일측 상부에 돌출되는 힌지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힌지 고정구; 상기 힌지 고정구를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이동체가 상기 상부 문틀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동체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문틀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의 통공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이동체를 상기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고정구는 내부에 상기 힌지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체가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에 따르면, 상부 문틀에 결합된 조절수단으로 힌지가 고정결합된 이동체을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힌지를 이동시켜 문짝이 상부 문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문짝의 위치를 조절하여 양측 문짝 사이의 틈새를 임의의 넓이로 조절할 수 있어 양쪽 문짝이 개폐될 때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면서도 틈새로 인한 양측 문짝의 차단효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절수단을 캠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쉽게 문짝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가 적용된 여닫이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가 힌지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는 문짝의 힌지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문짝의 위치를 조절하여 양측 문짝 사이의 틈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여닫이도어(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에 설치되는 문틀(2a)과 양측 문짝(2b)으로 이루어져,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1)가 여닫이도어(2)의 상부 문틀(2a) 내에 장착되며, 이러한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1)는 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1과 같이, 힌지 고정구(10), 이동체(20), 조절수단(30) 및 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힌지 고정구(10)는 문짝(2b)의 힌지(H)를 조절구조(1)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로 형성되어 이동체(20)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며, 문짝(2b)의 일측 상부에 돌출되는 힌지(H)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10a)이 내부에 형성되어, 힌지(H)가 구멍(10a)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힌지(H)가 힌지 고정구(10)의 구멍(10a)에 끼워져 고정결합된 문짝(2b)은 이동체(20)가 이동할 때, 이동체(20)와 힌지 고정구(10)가 함께 이동되면서 힌지(H)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문짝(2b)이 이동체(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동체(20)는 힌지 고정구(10)를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문틀(2a)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형이 상부 문틀(2a)의 내부 공간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20)의 하단에는 힌지 고정구(10)가 고정결합되는데, 결합 방법의 일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의 내부에 판 형태의 너트(23)를 구비하면 힌지 고정구(10)가 이동체(20)의 하단으로부터 나사로 결합되어 너트(23)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체(20)와 힌지 고정구(10)는 각각을 개별부품으로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체(20)와 힌지 고정구(10)의 조립과정을 생략하여 더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조절수단(30)은 이동체(20)가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의 상단 일측에 체결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장착판(31) 및 캠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판(31)은 상부 문틀(2a)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문틀(2a)의 상측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상부 문틀(2a)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캠부재(32)의 일부분이 삽입될 통공(31a)이 형성된다.
캠부재(32)는 장착판(31)의 통공(31a)에 삽입되어 이동체(20)를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타원형의 홀(22)에 삽입되는 캠부(32a)가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캠부(32a)를 편심되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부(32b)가 돌출형성되어 상부가 편심된 하나의 축으로 형성된다.
또한, 캠부재(3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2b)가 장착판(31)의 통공(31a)에 삽입되어 통공(31a)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캠부(32a)는 이동체(20)의 상부 일측에 통공(31a)과 인접하여 관통형성된 캠구멍(21)에 삽입되어 편심회전하게 되며, 나사부(32b)를 회전시킴으로써 캠부(32a)를 회전하도록 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구멍(21)의 내주면을 밀어내므로 캠부(32a)가 이동체(20)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수단(30)을 캠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캠부재(32)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이동체(2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이동체(20)의 이동에 의해 문짝(2b)을 이동시켜 양측 문짝의 틈새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고정수단(40)은 이동체(20)가 상부 문틀(2a)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이동체(2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이동체(20)의 상부 일측에 타원형태의 홀(22)을 형성하고, 상부 문틀(2a)의 상부에 홀(22)과 연통되는 고정구멍(F)을 형성하여 볼트로 형성된 고정수단(4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고정수단(40), 홀(22) 및 고정구멍(F)은 이동체(20)의 위치를 조절할 때, 타원형태의 홀(22)을 관통하여 고정구멍(F)에 가결합하면 이동체(20)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아 이동체(20)의 홀(22)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이동체(20)가 캠부재(32)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체(20)가 이동되어 이동체(20)가 상부 문틀(2a)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고정수단(40)을 완전히 체결하면 고정수단(40)의 헤드(41)가 이동체(20)의 상부 저면을 상부 문틀(2a)의 상부에 가압하여 이동체(20)를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므로, 이동체(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조절수단(30)의 장착판(31)과 고정수단(40)은 상부 문틀(2a)의 상부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지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문틀(2a)의 상면에 판체(50)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부 문틀(2a)을 관통해 상부 문틀(2a)의 상부보다 두꺼운 판체(50)에 직접 체결되도록 하면, 판체(50)에 장착판(31)과 고정수단(40)이 체결됨으로써 상부 문틀(2a)이 판체(50)와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문틀(2a)에 결합된 조절수단(30)으로 힌지(H)가 고정결합된 이동체(20)를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힌지(H)를 이동시켜 문짝(2b)이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문짝(2b)의 위치를 조절하여 양측 문짝(2b) 사이의 틈새를 임의의 넓이로 조절할 수 있어 양쪽 문짝(2b)이 개폐될 때 서로 부딛히지 않도록 하면서도 틈새로 인한 양측 문짝(2b)의 차단효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2 : 여닫이도어
2a : 상부 문틀 2b : 문짝
10 : 힌지 고정구 10a : 구멍
20 : 이동체 21 : 캠구멍
22 : 홀 23 : 너트
30 : 조절수단 31 : 장착판
32 : 캠부재 40 : 고정수단
F : 고정구멍 H : 힌지

Claims (3)

  1. 문짝(2b)의 일측 상부에 돌출되는 힌지(H)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힌지 고정구(10);
    상기 힌지 고정구(10)를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체(20);
    상기 이동체(20)가 상기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30); 및
    상기 이동체(20)가 상기 상부 문틀(2a)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동체(2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30)은,
    상기 상부 문틀(2a)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는 통공(31a)이 형성된 장착판(31); 및
    상기 장착판(31)의 통공(31a)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이동체(20)를 상기 상부 문틀(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캠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구(10)는 내부에 상기 힌지(H)가 끼워지기 위한 구멍(10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이동체(20)가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20)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KR1020210104139A 2021-08-06 2021-08-06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KR10251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39A KR102517192B1 (ko) 2021-08-06 2021-08-06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39A KR102517192B1 (ko) 2021-08-06 2021-08-06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19A true KR20230022019A (ko) 2023-02-14
KR102517192B1 KR102517192B1 (ko) 2023-03-31

Family

ID=8522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39A KR102517192B1 (ko) 2021-08-06 2021-08-06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75A (ko) * 2019-03-06 2019-09-20 정영호 도어 개폐용 어퍼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575A (ko) * 2019-03-06 2019-09-20 정영호 도어 개폐용 어퍼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192B1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346B2 (en) Multi-axis door hinge and swing-out vertical-lift assembly
US3538539A (en) Automatic doorstop hinge
US5727289A (en) Hinge mounted adjustable door stop
RU2714630C2 (ru) Дверная или оконная петля
US20220298841A1 (en) Single-axis hinge
KR102517192B1 (ko)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JP4215128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WO2008024469A2 (en) Hinge with adjustable maximum opening angle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DE202017005348U1 (de) Drehbeschlag für die verdeckte Anordnung an Fenster oder Türen
US10550618B2 (en) Fitting assembly and window or door having such a fitting assembly
US11542738B2 (en) Door closers
US7059020B2 (en) Hinge for doors and similar construction components
US20230151659A1 (en) Door hinge
US20190383082A1 (en) Door closers
RU2001132083A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PL65336Y1 (pl) Zawias, zwłaszcza do drzwi
CN210563961U (zh) 铰链
CA3020835C (en) End load arm
RU57787U1 (ru) Фрикционная петля для открывающихся наружу окон
CN110984744B (zh) 一种隐藏式铰链
KR20110007986U (ko) 도어용 힌지
RU2775117C2 (ru)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для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боковая стенка корпуса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стенку
KR200300526Y1 (ko) 가구 유리문용 경첩
RU2256054C1 (ru) Петля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подобных устрой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