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742A -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 Google Patents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742A
KR20230021742A KR1020237000927A KR20237000927A KR20230021742A KR 20230021742 A KR20230021742 A KR 20230021742A KR 1020237000927 A KR1020237000927 A KR 1020237000927A KR 20237000927 A KR20237000927 A KR 20237000927A KR 20230021742 A KR20230021742 A KR 20230021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ro
wire
current transformer
phase current
characteristic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 요네다
도시히코 미야우치
유지 오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7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Indicating direction of current; Indicating polarity of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50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하여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1)과, 전선(1)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2)과,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3)를 구비하고 있다. A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for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apable of performing a balance characteristic test using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 output. An electric wire (1)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 current source (2) for flowing direct current through the electric wire (1), and an ammeter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3) is provided.

Description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본원은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esting balance characteristics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지락이 발생했을 때의 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는, 지락 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관통 도체의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여 이차 전류를 출력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영상 변류기 자신이 특성으로서 가지고 있는 불평형한 성분이 큰 경우는,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평형인 전류를 입력했을 경우에도 이차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오검출의 원인이 된다. 이에,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정격 전류의 수배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켜, 이차 전류의 크기가 규정치 이하인 것을 확인하는 평형 특성 시험이 행해진다.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은, 예를 들면, 전류원에 접속된 전선을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일 왕복분을 관통시키고, 전선에 미리 정해진 평형 전류를 통전시켜, 이차 전류의 출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제4 도를 참조).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at detects a zero-phase current when a ground fault occurs detects an imbalance of current in a through conductor caused by a ground fault current and outputs a secondary current. However, i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self has a large unbalanced component as a characteristic, a secondary current is generated even when a balanced current is input to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which causes erroneous detection. Accordingly, a balanced characteristic test i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is less than a specified value by passing a balanced current several times the rated current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s performed by, for example, passing a wire connected to a current source through a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for one round trip, passing a predetermined balanced current through the wire, and meas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ary current. is performed (see, for example, FIG. 4 of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 실개평 04-02198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ublication No. Hei 04-021980

대전류에 대응하는 정격 전류가 큰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에는, 큰 평형 전류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큰 평형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출력이 큰 전류원이 필요하여, 전류원이 대형이 되어 고가로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large rated current corresponding to a large current,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large balanced current. In order to generate a large balanced current, a current source with a large output is requir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urrent source becomes large and expensive.

본원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하여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for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apable of performing a balance characteristic test using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 output.

본원에 개시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과, 전선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과, 영상 변류기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구비하고 있다.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s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disclosed herein includes a wir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a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 current source for flowing direct current through the wire, and an ammeter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re doing

본원에 개시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과, 전선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과, 영상 변류기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하여 시험을 행할 수 있어, 소형이고 염가인 장치로 시험을 행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s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disclosed herein includes a wir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a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 current source for flowing direct current through the wire, and an ammeter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erefore, the test can be performed using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 output, and the test can be performed with a compact and inexpensive device.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ing device for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a comparative example.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ire in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본원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혹은 상당히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testing balance characteristics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영상 변류기(100)는 시험 대상이며,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전선(1), 전류원(2) 및 전류계(3)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1)은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의 도선으로서, 2 왕복 이상의 복수 왕복분이 1세트로 되어 관통 구멍에 1회만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전선(1)은 관통 구멍에 2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류원(2)은 전선(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1)에 직류 전류를 흘린다. 전류계(3)는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 도 1에 있어서는, 전류계(3)에 의해서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고 했지만,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 출력 단자에 저항 등의 부하를 접속시키고, 그 부하의 양단의 전압을 전압계 등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해도 된다. 평형 특성 시험에 있어서는,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에 정격 전류의 예를 들면 6배의 평형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원(2)으로부터 전선(1)에 대해서 전류를 흘린다. 이 때의 전류계(3)에 의해서 측정된 이차 전류가 규정치 이하인지를 확인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ing device for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In Fig. 1,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s a test object, and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includes a wire (1), a current source (2), and an ammeter (3). The electric wire 1 is a conducting wire on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eciprocations of two or more reciprocations are formed as one set and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nly once. In Fig. 1, the electric wire 1 is installed so that two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Current source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lectric wire 1, and direct current flows through electric wire 1. The ammeter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n FIG. 1, it is said that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s measured by the ammeter 3, but a load such as a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current output terminal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both ends of the load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voltage with a voltmeter or the like.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 current is passed from the current source 2 to the wire 1 so that, for example, a balanced current six times the rated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t this time, it is confirmed whether the secondary current measured by the ammeter 3 is below a specified value.

도 2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선행 기술 문헌에 나타낸 특허 문헌 1의 제4 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를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비교하면, 전선(1)이 전선(1a)으로, 전류원(2)이 전류원(2a)으로 되어 있다.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전선(1)의 2 왕복분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비교예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전선(1a)의 1 왕복분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device of a comparative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device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nd corresponds to FIG. 4 of Patent Document 1 shown in prior art documents. Comparing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2 with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shown in FIG. there is. Other configurations of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s tes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s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shown in FIG. 1, two round trips of the electric wire 1 are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whereas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2, the electric wire 1a 1 reciprocating motion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다음으로,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동작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에 있어서는,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예를 들면 정격 전류의 6배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킬 필요가 있다.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하는 영상 변류기의 정격 전류가 100A였을 경우,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600A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류원(2a)으로부터 전선(1a)을 따라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I[A]의 전류를 흘렸을 경우, 전선(1a)의 1 왕복분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에는, 도 2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의 방향으로 1회분의 I[A]의 전류가 흐르고, 도 2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의 방향으로 1회분의 I[A]의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에 I[A]의 평형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600A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키고 싶은 경우는, 전류원(2a)으로서 600A를 흘리면 되게 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will be described while comparing the operation of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 is necessary to pass a balanced current six times the rated current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When the rated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for which the balanced characteristic test is performed is 100 A, it is necessary to pass a balanced current of 600 A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2 , for example, when a current of I [A]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along the wire 1a from the current source 2a, one round trip of the wire 1a Since the powder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a current of I [A] for one time flows in the through hole from the front side in Fig. 2 to the back side, and I [A ] of current flows. This causes a balanced current of I [A] to pass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refore,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pass a balanced current of 600 A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600 A can be passed through the current source 2a.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류원(2)으로부터 전선(1)을 따라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I[A]의 전류를 흘렸을 경우, 전선(1)의 2 왕복분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에는, 도 1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의 방향으로 2회분의 I[A]의 전류가 흐르고, 도 1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의 방향으로 2회분의 I[A]의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에 I*2[A]의 평형 전류가 통전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600A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키고 싶은 경우는, 전류원(2)으로서 300A를 흘리면 되게 된다. 영상 변류기의 일차측에 600A의 평형 전류를 통전시키는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하는 경우,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600A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원(2a)이 필요했지만,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비교예의 절반의 300A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출력이 작은 전류원(2)이 있으면 되게 된다. 전류원의 크기는 출력할 수 있는 전류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류원(2)은 비교예에 의한 전류원(2a)에 비해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것에 따라, 실시 형태 1에 의한 전류원(2)은, 비교예에 의한 전류원(2a)에 비해 염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shown in FIG. 1, for example, when a current of I [A]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along the electric wire 1 from the current source 2 , Since two round trips of the electric wire 1 are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two currents of I [A]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in FIG. Two currents of I [A] flow in the direction. This allows a balanced current of I*2 [A] to pass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refore, if, for example, it is desired to pass a balanced current of 600 A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300 A can be passed as the current source 2. In the case of carrying out a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in which a balanced current of 600 A is passed through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required a current source 2a generating a current of 600 A, but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In , it is only necessary to have a current source 2 with a small output that generates a current of 300 A, which is half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size of the current source depends on the size of current that can be output, the current source 2 according to Embodiment 1 can be smaller than the current source 2a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the current source 2 according to Embodiment 1 can be used that is cheaper than the current source 2a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또,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1세트로 되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에 1회만 관통하도록 설치되므로, 평형 특성 시험의 시험 전에 전선(1)을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는 작업, 및 시험 후에 전선(1)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은, 비교예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한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since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wires 1 are provided as one set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only once, the wires ( 1) through the through-hole, and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electric wire 1 from the through-hole after the test is very simple, similar to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또한, 도 1에 의한 설명에 있어서는, 전선(1)은 관통 구멍에 2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전선(1)은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의 도선으로서 관통 구멍에 2 왕복 이상의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전선(1)의 3 왕복분이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면, 전류원(2)으로부터 I[A]의 전류를 흘렸을 경우,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에 I*3[A]의 평형 전류가 통전되게 되어, 보다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해도 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1, it is said that the wire 1 is installed so that two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but the wire 1 is a conducting wire on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has two or more rounds in the through ho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nstall so that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parts may penetrate. For example, if three round trips of the electric wire 1 are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a current of I [A] flows from the current source 2, I * 3 [A] on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Since the balanced current of is passed, it is possible to use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er output.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1)과, 전선(1)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2)과,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하여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어, 전류원으로서 소형이고 염가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includes an electric wire 1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a current source for passing a direct current through the electric wire 1 ( 2) and the ammeter 3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can be performed using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 output, and a small and inexpensive current source can be used. there is.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3은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비교하면,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1세트로 되어 피복물(4)로 덮여 일체로 되고, 1개의 일차측의 도선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 왕복분의 전선(1)과 수지 등의 절연물을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피복물(4)로 덮인 전선(1)을 형성한다.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과 같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Comparing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shown in FIG. 3 with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shown in FIG. It is covered with the coating 4 and becomes integral, and becomes one primary-side conducting wire. For example, the wire 1 covered with the coating 4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wires 1 and an insulator such as resin. Other configuration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전류원(2)으로부터 전선(1)을 따라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으로 I[A]의 전류를 흘렸을 때에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에 I*2[A]의 평형 전류가 통전되는 것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같다. 따라서,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1세트로 되어 피복물(4)로 덮여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전선(1)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평형 특성 시험 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는 작업, 및 평형 특성 시험 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ing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2 shown in FIG. 3, when a current of I [A] is passed from the current source 2 along the electric wire 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the work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 fact that the balance current of I*2 [A] is passed through the secondary side is the same as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Therefore, in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zero-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2 shown in FIG. 3, since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wires 1 are formed as one set and covered with a coating 4, they are integrated, so handling of the wires 1 This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passing multiple reciprocating wires 1 through the through-hole before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and the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multiple reciprocating wires 1 from the through-holes after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1세트로 되어 피복물(4)로 덮여 일체로 되어 있다고 했지만,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일체로 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클립 혹은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일체로 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2 shown in Fig. 3, it is said that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wires 1 are made into one set and covered with a coating 4 to form a single body, but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wires 1 (1) should just be integral, and it is good also considering it integrally fixing the electric wire 1 of multiple round trips with a clip or adhesive etc., for example.

또, 일체로 된 전선(1)을 딱딱하고 곧은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여 관통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평형 특성 시험 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는 작업, 및 평형 특성 시험 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더 용이해진다. Alternatively, the integrated wire 1 may be formed into a hard, straight bar shape and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passing the wire 1 for multiple reciprocations through the through-hole before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and the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wire 1 for multiple reciprocations from the through-hole after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become easier.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1)과, 전선(1)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2)과,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3)를 구비하고,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출력이 작은 전류원을 이용하여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어, 전류원으로서 소형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평형 특성 시험 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에 관통시키는 작업, 및 평형 특성 시험 후에 복수 왕복분의 전선(1)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2 includes an electric wire 1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a current source for passing a direct current through the electric wire 1 ( 2) and an ammeter 3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since the wire 1 for multiple round trips is integrated,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is performed using a current source with a small output. This can be done, and a small one can be used as a current sourc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passing multiple reciprocating wires 1 through the through-holes before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and the operation of withdrawing the multiple reciprocating wires 1 from the through-holes after the balance characteristics test are facilitat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4는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와 비교하면, 전류원(2)에 가까운 전선의 접힌 부분에 제1 배선 전환기(5)를 구비하고, 전류원(2)으로부터 먼 전선의 접힌 부분에 제2 배선 전환기(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에 대해서 전환 신호선(8)을 통해 내부 배선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기(7)를 구비하고 있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Comparing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3 shown in FIG. 4 with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1 shown in FIG. 1, the first A wire switcher (5) is provided, and a second wire switcher (6) is provided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far from the current source (2). In addition, the first wire switching device 5 and the second wiring switching device 6 are provided with a switching indicator 7 for instructing switching of the internal wiring through the switching signal line 8.

전류원(2)에 접속된 전류원 전선(9a)이 제1 배선 전환기(5)의 내부 배선을 통해 관통 전선(10a)에 접속되고, 관통 전선(10a)이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후에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을 통해 관통 전선(10b)에 접속되고, 관통 전선(10b)이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후에 제1 배선 전환기(5)의 내부 배선을 통해 관통 전선(10c)에 접속되고, 관통 전선(10c)이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후에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을 통해 관통 전선(10d)에 접속되고, 관통 전선(10d)이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후에 제1 배선 전환기(5)의 내부 배선을 통해 전류원 전선(9b)에 접속되고, 전류원 전선(9b)이 전류원(2)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류원 전선(9a, 9b), 제1 배선 전환기(5), 관통 전선(10a 10b, 10c, 10d), 및 제2 배선 전환기(6)가,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2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의한 평형 특성 시험 장치의 구성과 같다. The current source wire 9a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 is connected to the through wire 10a through the internal wiring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after the through wire 10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the through wire 10b through the inner wiring of the two-wire switcher 6, and after the through wire 10b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rough the inner wire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the through wire ( 10c), and after the through wire 10c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 is connected to the through wire 10d through the internal wiring of the second wire switcher 6, and the through wire 10d is connected to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fter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it is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wire 9b through the internal wire, and the current source wire 9b is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 As a result, the current source wires 9a and 9b, the first wire switch 5, the through wires 10a 10b, 10c and 10d, and the second wire switch 6 pass two round trips to the through-hole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 constitutes a wire installed to pass through. Other configuration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5는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상이한 4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도면은, 도 4에 있어서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전류원(2)의 옆에서 본 단면도로서,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정사각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의 좌상의 도면은,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 각각의 내부 배선이 도 4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 같은 상태일 때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관통 전선(10a) 및 관통 전선(10c)은, 도 5에 있어서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의 방향, 즉 도 4에 있어서 전류원(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고, 관통 전선(10b) 및 관통 전선(10d)은, 도 5에 있어서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의 방향, 즉 도 4에 있어서 전류원(2)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through wires 10a, 10b, 10c, and 10d in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showing four states in which current flow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gure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ough-wires 10a 10b, 10c, and 10d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n FIG. 4, as seen from the side of the current source 2, through the through-wires ( 10a, 10b, 10c, and 10d are arranged so as to be square in th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 upper left view of FIG. 5 shows that the through wires 10a, 10b, 10c, and 10d when the internal wiring of each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are in a stat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4 .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lowing current. The through wire 10a and the through wire 10c have a current flowing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in FIG. 5 , that i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urrent source 2 in FIG. 4 , and the through wire 10b and the through wire 10b In (10d), current flows in a direction from the inside to the front in FIG. 5, that i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urrent source 2 in FIG.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는, 전환 지시기(7)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도 5에 나타내진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상이한 4개의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도록,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의 접속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는, 전환 지시기(7)로부터 전환 신호선(8)을 통해 배선의 전환 지시가 전해지면, 도 5에 나타내진 4개의 상태를 시계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의 접속이 변경된다. 도 5의 좌상의 상태가 도 5의 우상의 상태로 바뀌면,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에 흐르는 평형 전류는 관통 구멍 안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것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의 「좌상」 「우상」 「우하」 「좌하」의 순서로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면,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에 흐르는 평형 전류는 관통 구멍 안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한다. The first wire switching device 5 and the second wiring switching device 6 are configured to switch to any one of four states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current flows shown in FIG. 5 is different,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switching indicator 7,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l wiring of the wire switching device 5 and the second wiring switching device 6 is changed. For example, the first wire switching device 5 and the second wiring switching device 6 enter the four state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l wires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is changed so as to switch clockwise. When the state on the left in Fig. 5 is changed to the state on the upper right in Fig. 5, the balanced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rough wires 10a, 10b, 10c, and 10d is in a state as if it ha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in the through hole.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rough wires 10a, 10b, 10c, and 10d is switched in the order of "upper left," "upper right," "lower right," and "lower left" in FIG. The current rotates clockwise by 90 degrees in the through hole.

평형 특성 시험에 있어서는,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흐르는 평형 전류의 크기가 동일하더라도,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평형 전류의 위치에 의해서 영상 변류기(100)의 이차 전류의 크기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평형 특성 시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전선을 회전시키면서 이차 전류를 측정하거나, 혹은, 영상 변류기 그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이차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한 이차 전류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이차 전류의 최종적인 측정치로 하고 있었다.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even if the magnitude of the balanc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s the same, the position of the balanc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Size may change. Therefore, in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for example, the secondary current is measured while rotating an electric wi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or the secondary current is measured while rotating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self, and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The largest value among the secondary currents was used as the final measurement of the secondary current.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에서는, 전환 지시기(7)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도 5의 「좌상」 「우상」 「우하」 「좌하」에 나타낸 4개의 상태 각각에서 이차 전류를 측정하여, 얻어진 4개의 이차 전류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이차 전류의 최종적인 측정치로 한다. 또한, 이차 전류를 측정할 때는, 전환 신호선(8)에 전류를 흘리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환 지시기(7)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평형 특성 시험 장치 혹은 영상 변류기(100)를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평형 전류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차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전선을 회전시키는 경우, 혹은, 영상 변류기 그 자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보다 단시간에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다. In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the secondary current is measured in each of the four states shown in “upper left,” “upper right,” “lower right,” and “lower left” in FIG. 5 according to instructions from the switching indicator 7. Thu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four secondary currents obtained is the final measured value of the secondary current.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secondary current, it is assumed that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switching signal line 8. In this way, sinc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switching indicator 7,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r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s not physically moved. The secondary current can be measured by changing the location of the curren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case of rotating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or the case of rotating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tself,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can be performed in a shorter time.

또한, 도 4에 의한 설명에 있어서, 전선이 관통 구멍에 2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전선은 영상 변류기(100)의 일차측의 도선으로서 관통 구멍에 2 왕복 이상의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은 것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도 5에 의한 설명에 있어서,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정사각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2 왕복 이상의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는 관통 전선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진 4개의 상태를 시계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의 접속이 변경된다고 했지만, 전류원 전선(9a, 9b), 제1 배선 전환기(5), 4개 이상의 짝수개의 관통 전선, 및 제2 배선 전환기(6)가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2 왕복 이상의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을 구성하도록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관통 전선의 전류의 방향이 바뀌도록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의 접속이 변경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4 , it is said that the wire is installed so that two reciprocation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but the wire is a lead wire on the primary sid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is installed so that two or more reciprocation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What should be done is the same as in Embodiment 1.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Fig. 5,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through-wires 10a, 10b, 10c, and 10d are arranged so as to be square in th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 plurality of reciprocations of two or more reciprocations A penetrating through wire should just be arrang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5, it is said that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l wiring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is changed so as to switch the four states shown in FIG. 5 clockwise, but the current source The electric wires 9a, 9b, the first wire converter 5, four or more even-numbered through wires, and the second wire converter 6 form wires installed so that two or more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If the connection of the internal wiring of the first wiring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ing switcher 6 is chang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of the through wi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is changed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so as to , can be anything.

또한, 도 4에 의한 설명에 있어서, 전환 지시기(7)는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에 대해서 전환 신호선(8)을 통해 내부 배선의 전환을 지시한다고 했지만,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 각각에 대해 내부 배선의 전환을 지시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된다. Also,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changeover indicator 7 instructs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to switch internal wiring through the switch signal line 8, but the Any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the switching of the internal wiring can be instructed for each of the one-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3에 의한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는,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전선(10a 10b, 10c, 10d)과, 전류원(2) 및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된 제1 배선 전환기(5)와, 관통 전선(10a 10b, 10c, 10d)의 타방의 단부에 접속된 제2 배선 전환기(6)와, 제1 배선 전환기(5) 및 제2 배선 전환기(6)에 내부 배선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기(7)를 구비하고, 적어도 제1 배선 전환기(5)의 내부 배선과, 관통 전선(10a 10b, 10c, 10d)과, 제2 배선 전환기(6)의 내부 배선이, 영상 변류기(100)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을 구성하고 있고, 전환 지시기(7)의 지시에 의해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전선(10a 10b, 10c, 10d) 중 어느 것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므로, 평형 특성 시험 장치 혹은 영상 변류기(100)를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평형 전류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차 전류를 측정할 수 있어, 단시간에 평형 특성 시험을 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for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ccording to Embodiment 3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wires 10a, 10b, 10c, and 10d penetrating the through-holes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 current source 2, and a through-wire a first wire switcher (5) connected to one end of (10a, 10b, 10c, 10d) and a second wire switcher (6)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rough wire (10a, 10b, 10c, 10d);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6) are provided with a switch indicator (7) for instructing switching of internal wiring, and at least the internal wiring of the first wire switcher (5) and through wires (10a, 10b) , 10c, 10d) and the internal wiring of the second wiring switcher 6 constitute an electric wir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reciprocations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and are passed through by the instruction of the switching indicator 7. Sinc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wires 10a 10b, 10c, 10d passing through the hole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balanced current is changed without physically moving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device or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100 The secondary current can be measured, and the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본원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기재되어 있지만, 1개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 양태, 및 기능은 특정의 실시 형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Although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are described herein, the various features, aspects, and functions described in one or mor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a particular embodiment, but may be used singly or in various combinations in the embodiments. is applicable to

따라서,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정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구성요소를 변형하는 경우, 추가하는 경우 또는 생략하는 경우, 나아가서는, 적어도 1개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요소와 조합하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Therefore, innumerable modified examples not illustrated are assum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For example, the case where at least one component is modified, added or omitted, and furthermore, the case where at least one component is extracted and combined with a component of another embodiment shall be included.

1, 1a: 전선 2, 2a: 전류원
3: 전류계 4: 피복물
5: 제1 배선 전환기 6: 제2 배선 전환기
7: 전환 지시기 8: 전환 신호선
9a, 9b: 전류원 전선 10a, 10b, 10c, 10d: 관통 전선
100: 영상 변류기
1, 1a: wire 2, 2a: current source
3: ammeter 4: coating
5: first wire switcher 6: second wire switcher
7: switching indicator 8: switching signal line
9a, 9b: current source wire 10a, 10b, 10c, 10d: through wire
100: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laims (4)

영상 변류기의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선과,
상기 전선에 직류 전류를 흘리는 전류원과,
상기 영상 변류기의 이차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
An electric wir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 current source for flowing a direct current through the electric wire;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mmeter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secondary current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왕복분의 상기 전선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for a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s of a plurality of reciprocating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체로 된 상기 전선은 곧은 막대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 wire has a straight b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류기의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전선과,
상기 전류원 및 상기 관통 전선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된 제1 배선 전환기와,
상기 관통 전선의 타방의 단부에 접속된 제2 배선 전환기와,
상기 제1 배선 전환기 및 상기 제2 배선 전환기에 내부 배선의 전환을 지시하는 전환 지시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배선 전환기의 내부 배선과, 상기 관통 전선과, 상기 제2 배선 전환기의 내부 배선이, 상기 영상 변류기의 상기 관통 구멍에 복수 왕복분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기 전선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전환 지시기의 지시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복수의 상기 관통 전선 중 어느 것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류기의 평형 특성 시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 wires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a first wiring conver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urrent source and the through wire;
a second wiring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wire;
a switching indicator for instructing switching of an internal wire in the first wire switcher and the second wire switcher;
at least the internal wiring of the first wire switcher, the through wire, and the internal wire of the second wire switch constitute the electric wir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round trip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The balance characteristic test apparatus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wires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hole is changed by the instruction of the switching indicator.
KR1020237000927A 2020-12-15 2020-12-15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KR202300217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6657 WO2022130481A1 (en) 2020-12-15 2020-12-15 Device for testing balance characteristics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742A true KR20230021742A (en) 2023-02-14

Family

ID=8205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927A KR20230021742A (en) 2020-12-15 2020-12-15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78644B2 (en)
KR (1) KR20230021742A (en)
CN (1) CN116529842A (en)
WO (1) WO202213048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980A (en) 1990-05-15 1992-01-24 Fujitsu Ltd Supporting mechanism for magnetic he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120U (en) * 1972-07-31 1974-04-25
JPS5581934U (en) * 1978-11-30 1980-06-05
JPH0421980U (en) * 1990-06-14 1992-02-24
JP2005158810A (en) 2003-11-20 2005-06-16 Taiwa Denki Kogyo Kk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JP6120684B2 (en) 2013-06-07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Leakage current det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980A (en) 1990-05-15 1992-01-24 Fujitsu Ltd Supporting mechanism for magnetic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8644B2 (en) 2023-11-13
WO2022130481A1 (en) 2022-06-23
JPWO2022130481A1 (en) 2022-06-23
CN116529842A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654B2 (en) Multiple-pole circuit breaker with shared current sensor for arcing fault detection
JP4767048B2 (en) Ratio ratio and polarity judgment method of current transformer, and apparatus therefor
JP7315372B2 (en)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and impedance measurement method
CN102308348A (en) Current transformer and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detection method
KR20230021742A (en) Equilibrium characteristic test device of zero-phase current transformer
JP2001201519A (en) Testing device and test method of current measuring circuit
US7221548B2 (en) Residual-current circuit breaker and a method for testing the reliability performance of a residual-current circuit breaker
JP4880327B2 (en) Current switch
US20190162758A1 (en) Current-measuring apparatus, series of current-measuring apparatuses, and method for measuring current
JP4688663B2 (en) Jig for connection
KR20160099121A (en) Test device for wiring electric generator
CN108603901B (en) Current measuring device protected against surge voltage when circuit is open
JP2015216787A (en) Power converter, and power convers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4178743B2 (en) DC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grid-connected inverter
RU2756380C1 (en) Method for determining insulation resistance of network and insulation resistances of ac connections with isolated neutral of more than 1000 v
Hannig et al. Measurement of current and magnetic field in a power electronic building block using coupled inductors
WO2024085158A1 (en)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and impedance measurement method
RU2772982C2 (en) Integrated unit for determination of arc and earth fault current
JP2007232554A (en) Phase switch
SU1653060A1 (en) Device for monitoring insulation resistance and disconnection of elements in ungrounded networks
SU1242861A1 (en) Device for determining distance to fault location in isolated-neutral electrical systems
JP6729483B2 (en) Ratio differential relay
US5719489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load currents
Sato et al. A current sensor using a hall generator for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with a solid-state, static tripping device
JPH06140263A (en) Current transformer and test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