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265A -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265A
KR20230021265A KR1020210102907A KR20210102907A KR20230021265A KR 20230021265 A KR20230021265 A KR 20230021265A KR 1020210102907 A KR1020210102907 A KR 1020210102907A KR 20210102907 A KR20210102907 A KR 20210102907A KR 20230021265 A KR20230021265 A KR 2023002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ule
water supply
motor
m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류정완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1265A/ko
Publication of KR2023002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00Devices using naturally cold air or cold water
    • F25D1/02Devices using naturally cold air or cold water using naturally cold water, e.g. household tap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레에 물을 토출시켜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 또는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게 배치되는 열 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부에 물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냉각 효율이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WET DUSTER MODULE OF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걸레에 물을 토출시켜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 또는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는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청소기 헤드 또는 모듈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 헤도 또는 모듈은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헤드 또는 모듈의 종류에 따라서, 걸레가 부착되어 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걸레로 물을 토출하고 물이 흡수된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125917호(2019.11.07.)에는 청소기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청소기 노즐에는 걸레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걸레는 물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공개특허의 구동모터는 별도로 설치된 냉각 구조가 없고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해 냉각되는 구조이므로 냉각 효율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발생하는 열이 더 클 수밖에 없는 높은 출력의 구동모터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추가되는 부품에 의해 물걸레 모듈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듈의 전체 크기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물걸레 모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59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물걸레 모듈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구동모터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물걸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은,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 유로가 형성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걸레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판;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상기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걸레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걸레로 토출하는 물 공급 노즐; 및 상기 물 탱크와 상기 물 공급 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로 안내하는 물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공급 유로를 지나가는 물과 상기 구동모터가 서로 열교환을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게 배치되는 열 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교환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반경 방향 외둘레면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교환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하측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가상의 평면(S)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교환부는,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자켓; 상기 자켓에 결합되고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주입되는 냉각수 유입부; 및 상기 자켓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부로 주입되어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제1 모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모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모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 하우징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측 일부를 덮어 커버하는 모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자켓은, 상기 모터 커버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냉각수 배출부가 통과하는 커버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냉각수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배치된 방향으로 상기 자켓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걸레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제1 물 공급 유로; 및 상기 열 교환부를 포함하는 제2 물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과 상기 구동장치는 두 개 마련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워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에 공급되도록 분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워터 펌프로 안내하는 제1 물 공급관; 및 상기 워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커넥터로 안내하는 제2 물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열 교환부에 물을 안내하는 제1 분지관과 제2 분지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열 교환을 마치고 배출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로 안내하는 제1 물 배출관과 제2 물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의하면, 물 탱크에서 걸레로 분사되는 물의 유동 경로에 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자켓이 구동모터를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의 냉각 효율을 높이면서도 실질적으로 물걸레 모듈의 전체 크기는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 모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높은 출력의 구동모터의 채용이 가능한 바 물걸레 모듈의 고성능화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베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구동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열 교환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물 탱크의 물을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회전판과 물 공급 노즐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물 탱크로부터 회전 청소부까지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물 공급 유로에서의 물의 유동 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구동 모터의 내부 구조와 관련하여 열 교환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1)(이하 "물걸레 모듈"이라 함)은, 모듈 본체(10)와, 상기 모듈 본체(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물걸레 모듈(1)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되거나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물걸레 모듈(1)은 청소기 또는 청소기의 연장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 또는 청소기의 연장관에서 연결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걸레 모듈(1)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걸레 모듈(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멀티 싸이클론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물걸레 모듈(1)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내부의 전력 소비부로 공급하거나,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물걸레 모듈(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흡입 모터(도면 미기재)를 포함하므로,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상기 물걸레 모듈(1)로 작용하여 상기 물걸레 모듈(1)에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걸레 모듈(1)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청소기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모듈 본체(10)의 후측 중앙부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로 안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방향을 정의하면, 상기 물걸레 모듈(1)에서 상기 연결관(50)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물걸레 모듈(1)의 뒷쪽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50)의 반대편 부분이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앞쪽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물걸레 모듈(1)은, 상기 모듈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청소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청소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회전 청소부(200)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청소부(200)는 제1 회전 청소부(210)와, 제2 회전 청소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200)는, 걸레(4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레(400)는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레(400)는, 제1 걸레(410)와 제2 걸레(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10)는, 외형을 형성하는 모듈 하우징(module housing: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100)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유로(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130, 140)는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유로(130)와, 상기 제1 유로(130)와 연통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130)는 일 예로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140)는 상기 제1 유로(130)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유로(140)는 상기 제1 유로(130)의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관(50)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가 상기 모듈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레(410, 420)의 일부는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걸레 모듈(1)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면 뿐만 아니라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외측에 위치되는 바닥면도 청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걸레(410, 420)는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양 측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는 일 예로 상기 모듈 본체(10)의 하측에서 상기 제1 유로(1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걸레 모듈(1)을 전진시키며 청소할 때, 상기 제1 유로(130)에 의해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된 후에 상기 걸레(410, 420)에 의해서 바닥면이 닦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 청소부(210)의 제1 회전 중심(C1)(일 예로 회전판(211)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2 회전 청소부(41)의 제2 회전 중심(C2)(일 예로 회전판(221)의 회전 중심)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2 회전 중심(C2) 사이 영역에 상기 제2 유로(140)의 중심선(A2)이 위치될 수 있다(도 12 참조).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의 회전 중심(C1, C2)은 상기 모듈 본체(10)의 전후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축 보다 상기 모듈 본체(10)의 전단부에서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가 상기 제1 유로(130)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의 회전 중심(C1, C2) 간의 거리는 상기 걸레(410, 4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레(410, 420) 들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됨에 따른 상호 마찰을 줄이고, 간섭되는 부분만큼 청소 가능한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듈 하우징(100)은, 모듈 베이스(module base: 110)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module cover: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는 상기 제1 유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100)은, 상기 모듈 베이스(110)와 함께 상기 제2 유로(140)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고, 단부는 상기 연결관(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제2 유로(140)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유로(14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상기 물걸레 모듈(1)에서의 유로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앞쪽 부분은 상기 제1 유로(13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전단부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는 앞쪽 부분의 높이가 뒷쪽 부분에 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앞쪽 부분의 높이가 낮으므로, 상기 물걸레 모듈(1) 전체 높이 중에서 앞쪽 부분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걸레 모듈(1)의 높이가 낮을수록 가구나 의자 등의 하측의 좁은 공간에 인입되어 청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연결관(50)은,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510)과, 상기 제1 연결관(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관(520)과, 상기 제 1 연결관(510)과 상기 제 2 연결관(520)을 연통시키는 안내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측에는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상기 제1 유로(130)의 후방에 제1 롤러(160) 및 제2 롤러(17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160) 및 상기 제2 롤러(170)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유로(130)의 후방에 상기 제1 롤러(160) 및 제2 롤러(17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유로(130)를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전단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상기 물걸레 모듈(1)을 이용하여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 유로(130) 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청소 과정에서 상기 제1 유로(130)의 전방으로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증가된다.
반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 유로(130) 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청소 가능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130)의 후방에 상기 제1 롤러(160) 및 제2 롤러(17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유로(130)의 좌우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로(130)의 양단부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양 측단부 간의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160)는 상기 제1 유로(130)와 상기 제1 걸레(410) 사이에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170)는 상기 제1 유로(130)와 상기 제2 걸레(420) 사이에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160) 및 상기 제2 롤러(170)는 각각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전단부 간의 거리는 상기 걸레(410, 420)(또는 후술할 회전판)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전단부 간의 최소 거리 보다 길다.
일 예로 상기 제1 롤러(160)의 샤프트와 상기 제2 롤러(170)의 샤프트 사이에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걸레 및/또는 회전판)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를 상기 제1 유로(13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상기 물걸레 모듈(1)이 위치하는 바닥면 중에서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에 의해서 청소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바닥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롤러(160, 17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물걸레 모듈(1)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 구비되는 제3 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롤러(180)는 상기 걸레(410, 42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걸레(410, 4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레(410, 42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상기 걸레(410, 420)가 눌려 바닥면과 밀착되므로, 걸레(410, 420)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복수의 롤러에 의해서 상기 물걸레 모듈(1)이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레(410, 4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 본체(10)는, 물 탱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10)는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10)가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310)의 물이 상기 걸레(410, 4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10)는,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물 탱크(310)의 상측벽 전체가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물 탱크(310)가 장착된 것 또는 모듈 하우징(100)에서 상기 물 탱크(310)가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10)는, 상기 물 탱크(310)가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310)를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600)는 일 예로 상기 제2 유로(1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제2 유로(140)의 중심선(A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물걸레 모듈(1)에서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조작부(600)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부(600)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모듈 본체(10)는,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0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70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310)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부(700)에 의해서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700)를 조작함에 따라서, 상기 물 탱크(310)에서 단위 시간 당 제1 양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단위 시간 당 제1 양 보다 많은 제2 양만큼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모듈 하우징(10)에 좌우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구비되거나,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피봇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700)가 도 3과 같이 중립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물 배출량은 0이고, 상기 조절부(700)의 왼쪽을 푸시하여 상기 조절부(700)가 좌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상기 물 탱크(310)에서 단위 시간 당 제1 양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700)의 오른쪽을 푸시하여 상기 조절부(700)가 우측으로 피봇되도록 하면 상기 물 탱크(310)에서 단위 시간 당 제2 양만큼 물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모듈 베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 본체(10)는,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장치(250, 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제1 회전 청소부(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회전 청소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50, 270)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므로, 상기 구동장치(250, 270) 중 일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일부의 구동장치에 의해서 일부 회전 청소부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구동장치(270)는 상기 모듈 본체(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제1 유로(1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구동장치(270)의 사이에 상기 제2 유로(14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로(140)의 중심선(A2)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구동장치(270)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2 유로(140)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상기 제2 유로(140)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유로(140)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구동장치(270)가 배치되므로, 상기 물걸레 모듈(1)에서 좌우로 무게가 균일하게 분배되는 바, 무게 중심이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모듈 본체(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모듈 커버(1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와 상기 모듈 커버(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판(211, 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판(211, 221)은, 상기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걸레(410)가 부착되는 제1 회전판(211)과, 상기 제2 구동장치(27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걸레(420)가 부착되는 제2 회전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11, 2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에 상기 걸레(410, 42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211, 221)은, 원형 링 형태의 외측 바디(211a)와, 상기 외측 바디(211a)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외측 바디(211a)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내측 바디(211b)와, 상기 내측 바디(211b)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바디(211a)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211c)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상기 회전판(211, 221)은, 상기 내측 바디(211b)에 형성되고, 물 탱크(310)를 통하여 토출되는 물을 상기 걸레(410, 420)로 공급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물 통과홀(211d)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211, 221)은, 상기 외측 바디(211a)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걸레(410, 420)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211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착수단(211e)은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
상기 회전판(211, 221)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판(211, 221)은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120)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을 덮고, 본 발명의 물걸레 모듈(1)의 외형을 이루는 커버 본체(12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듈 커버(120)에는, 상기 물 탱크(310) 내의 밸브(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고,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탱크 연결부(31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연결부(311)는 상기 모듈 커버(1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일부가 상기 모듈 커버(12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탱크 연결부(311)는 상기 물 탱크(310)가 상기 모듈 커버(120)에 안착되면, 상기 물 탱크(310)의 배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물 탱크(3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120)에는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탱크 연결부(311)의 주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러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커버(120)의 상측에서 상기 모듈 커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120)에는 상기 물 탱크(310)에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워터 펌프(3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351)는 펌프 모터(3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351)는,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하면서 팽창 또는 축소되어 입구와 출구를 연통시키도록 작동하는 펌프로서,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워터 펌프(351) 내의 밸브체는 상기 펌프 모터(352)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펌프 모터(352)가 작동하는 중에는 지속적으로 및 안정적으로 상기 물 탱크(310)의 물이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조절부(70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352)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부(700)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352)의 온/ 오프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부(700)에 의해서 상기 펌프 모터(352)의 출력(또는 회전 속도)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120)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 보스(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120)에는,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공급 노즐(33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은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모듈 커버(120)에 설치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 모듈 커버(120)에는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이 설치되기 위한 노즐 설치 보스(122, 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즐 설치 보스(122, 123)는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노즐 설치 보스(122) 및 제2 노즐 설치 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노즐 설치 보스(122)는 상기 커버 본체(121)의 내측 면에서 상기 모듈 베이스(1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노즐 설치 보스(122)는 중공형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물 공급 노즐(330)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는 상기 제1 노즐 설치 보스(122)와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는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노즐 설치 보스(122)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지지 리브(미도시)가 복수 개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는 중공형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이 상기 제1 노즐 설치 보스(122) 및 상기 제2 노즐 설치 보스(12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거나 물 토출에 따른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이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서 이탈되거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회전 청소부(200)가 장착되고, 본 발명의 물걸레 모듈(1)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 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에서 상기 각 회전판(211, 221)에 연결되는 전달축(255)이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축 관통홀(112,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에 구비되는 슬리브(256)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12a, 113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2a, 113a)에 상기 축 관통홀(112, 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2a, 113a)은 일 예로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12a, 113a)의 바닥에 상기 축 관통홀(112, 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전달축(255)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슬리브(25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256)는 상기 안착홈(112a, 113a)에 안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이동 과정 또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수평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면에서 상기 안착홈(112a, 113a)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슬리브(111a)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 슬리브(111a)는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홈(112a, 113a)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서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면이 하방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 상기 유로 형성부(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양측에 각 축 관통홀(112, 1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800)(또는 제1 기판)이 설치되기 위한 기판 설치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 설치부(114)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설치부(114)의 후크는 상기 제어 기판(800)의 상면에 걸려, 상기 제어 기판(80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판(800)은 수평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기판(800)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물이 상기 제어 기판(800)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는 상기 제어 기판(80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돌기(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기판 설치부(114)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상기 유로 형성부(150)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기판(800)은 상기 조절부(7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기판(800)은 모듈 베이스(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기판(800)에 설치되는 스위치가 상기 조절부(700)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동장치 지지 리브(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 지지 리브(116)는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돌출되며 1회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250, 270)를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또는 이격된 복수의 상기 구동장치 지지 리브(116)가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장치(250, 270)를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상기 구동장치 지지 리브(116)에 의해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물이 상기 구동장치(250, 27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250, 270)에 구비되는 슬리브(256)가 상기 안착홈(112a)에 안착되므로,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으로 물이 낙하되더라도 물이 상기 슬리브(256)에 의해서 상기 구동장치(250, 27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이 관통하기 위한 노즐 홀(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120)에 결합된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의 일부는 상기 모듈 커버(120)가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노즐 홀(117)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유로 형성부(150)와의 체결을 위한 유로 체결 보스(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 형성부(15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일부를 관통한 후에 상기 유로 체결 보스(118)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측에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로(130)가 상기 물걸레 모듈(1)이 놓이는 바닥면과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판 수용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 수용부(119)에 의해서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걸레 모듈(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수용부(119)에 상기 회전판(211, 221)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11, 221)이 상기 구동장치(250, 2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110)는 상기 축 관통홀(116, 118)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바닥 리브(1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1b)는 일 예로 상기 판 수용부(119)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리브(111b)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축 관통홀(116, 118) 및 노즐 홀(117)이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구동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열 교환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물 탱크의 물을 회전 청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회전판과 물 공급 노즐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여 물 공급 노즐(330)에 대해 설명한다.
물 공급 노즐(330)은 상기 물 탱크(310)의 물을 상기 걸레(410, 420)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은 상기 모듈 커버(120)에 장착되고, 상기 모듈 커버(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은 상기 모듈 하우징(100)에 한 쌍으로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은 서로 대칭된 형태(거울상)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장착되는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물 공급 노즐(330)은 물 탱크(310)에서 유입된 물이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유동부와 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걸레(410, 420)로 물을 토출하는 상기 물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노즐 홀(117)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물 배출구가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면, 상기 물 배출구를 통해 분사된 물이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물 배출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바닥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 배출구가 상기 노즐 홀(117)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홈에 상기 노즐 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배출구가 상기 홈에서 상기 회전판(211, 221)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높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배출구의 하면은 상기 모듈 베이스(1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거나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배출구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회전판(211, 221)의 물 통과홀(211d)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11, 221)의 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211d)의 최소 반경은 R2이고, 상기 회전판(211, 221)의 중심에서 상기 물 통과홀(211d)의 최대 반경은 R3이다.
상기 회전판(211, 221)의 중심에서 상기 물 배출구의 중심까지의 반경은 R4이다. 이때, R4는 R2 보다 크고 R3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R3과 R2의 차이인 D1은 상기 물 배출구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R3과 R2의 차이인 D1은 상기 물 통과홀(211d)의 최소 폭(W1)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11, 221)의 외경(외 반경)은 R1이라고 할 때, 상기 R3는 R1의 절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중심(C1)과 상기 제1 유로(130)의 중심선(A1)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선을 제1 연결선(A6)이라고 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C2)과 상기 제1 유로(130)의 축선(A1)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선을 제2 연결선(A7)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상기 물 배출구 사이 영역에 상기 제1 연결선(A6)과 상기 제2 연결선(A7)이 위치된다.
즉, 상기 물 배출구와 상기 제2 유로(114)의 중심선(A2) 까지의 수평 거리(D3)는 상기 각 회전판(211, 221)의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제2 유로(114)의 중심선(A2) 까지의 수평 거리(D2) 보다 길다.
이는, 상기 제2 유로(140)가 상기 물걸레 모듈(1)의 중앙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회전판(211, 221)의 회전 과정에서 물이 상기 제2 유로(140)를 통해 상기 물걸레 모듈(1)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물 배출구와 상기 제1 유로(130)의 중심선(A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각 회전 중심(C1, C2)과 상기 제1 유로(130)의 중심선(A1)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짧다.
상기 물 배출구는, 상기 연결선(A6, A7)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축선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동장치(250, 27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250, 270)는 상기 제1 회전 청소부(2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제1 구동장치(250)와, 상기 제2 회전 청소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250)와 제2 구동장치(270)는 모듈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각각은 구동모터(251, 27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1 구동장치(250)는 제1 구동모터(251)를 포함하고, 제2 구동장치(270)는 제2 구동모터(27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51, 271)는 상기 회전 청소부(210, 220)에 포함된 회전판(211, 22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211, 22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모터(251)와 제2 구동모터(271)는 축 관통홀(112, 113)을 통과하는 전달축(255)을 통해 제1 회전판(211)과 제2 회전판(2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도 4, 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각 구동모터(251, 271)에는 각 구동모터(251, 27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피씨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피씨비는 상기 제어 기판(800)과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피씨비는 일 예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251, 27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장치(250, 270)는 모터 하우징(252, 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252, 253)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251, 271) 및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252, 253)은, 일 예로 제1 모터 하우징(252)과,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모터 하우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252, 253)에 상기 각 구동모터(251, 27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구동모터(251, 271)의 축선(이하에서는 '회전축(A3)'이라 지칭함)은 모듈 하우징(1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모터(251, 271)의 축선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252, 253)에 설치되면, 상기 구동장치(250, 270)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250, 270)의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는 상기 각 회전판(211, 221)과 체결되기 위한 전달축(255)이 관통하는 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달축(255)의 일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252, 253)의 하측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터 하우징(253)에서 상기 축 홀의 둘레에는 슬리브(2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56)는 상기 제1 및 제2 모터 하우징(253)의 하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56)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형태의 상기 안착홈(112a, 112b)에 상기 슬리브(256)가 안착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구동모터(251, 271)는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 안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모터 고정부(254)에 의해서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51, 271)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이 모듈 하우징(10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구동 모터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51, 271)가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고정부(254)는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 안착된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상측부를 감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고정부(254)는 후술할 자켓(372a)과 상기 구동모터(251, 271)를 함께 감쌀 수 있다.
상기 모터 고정부(254)의 단면은 그 외면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태이되, 내면은 상기 자켓(372a)이 구동모터(251, 271)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자켓(372a)이 구동모터(251, 271)를 감싸지 않는 부분이 서로 단차를 구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고정부(254)의 내면은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반원의 중심 방향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되는 일부 영역은 자켓(372a)이 구동모터(251, 271)를 감싸지 않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모터 고정부(254)는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 모터 하우징(25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 하우징(253)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일부를 커버하는 모터 커버(25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253a)는, 일 예로 상기 모터 고정부(254)의 외측에서 상기 모터 고정부(254)를 둘러쌀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터 커버(253a)는 상기 제2 모터 하우징(253)의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상측 일부를 덮어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커버(253a)의 길이 방향 전방의 단부 인근에는 상기 모터 커버(253a)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 관통홀(253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커버(253a)의 길이 방향 전방이란, 상기 구동장치(250, 270)가 모듈 베이스(11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관통홀(253b)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예와 같이 사다리꼴의 형태일 수도 있고,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형태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각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 중에서 동력 전달부의 출력단인 전달 기어는 상술한 전달축(255)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열 교환부(37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열 교환부(372)는 상기 각각의 구동모터(251, 271)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교환부(372)는 후술할 물 공급 유로(350, 370)에 포함되는 일 구성으로서 자켓(372a), 냉각수 유입부(372b) 및 냉각수 배출부(37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켓(372a)은, 그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켓(372a)의 상기 유동 공간에서는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면서 구동모터(251, 271)와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자켓(372a)은, 제2 모터 하우징(253)과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켓(372a)은 모터 커버(253a)와 상기 구동모터(251, 2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51, 271)가 구동하면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자켓(372a)에서 일어나는 열 교환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가 상기 자켓(372a)을 지나가는 물에 의해 냉각되는 현상과,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를 지나가면서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열에 의해 승온되는 현상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온도 상승이 저지되어 더 높은 출력의 구동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냉각 과정에 자켓(372a) 외에 별도의 장착 공간을 요구하는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물걸레 모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51, 271)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이 승온되는 바, 별도의 가열 모듈(예를 들어, 스팀 모듈)이 없이도 상기 걸레(400)에 고온의 물이 공급되므로 물걸레 청소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별도의 가열 모듈이 필요치 않다는 점은 물걸레 모듈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자켓(372a)은 각 구동모터(251, 271)의 반경 방향 외둘레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켓(372a)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외둘레면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외둘레면 중 일부 영역만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냉각용도로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닌, 상기 걸레(400)에 공급되어야 하는 용도라는 점에서, 상기 자켓(372a)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외둘레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은 상기 걸레(400)에 물이 공급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켓(372a)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반경방향 외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반경방향 단면의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는, 물걸레 모듈(1)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켓(372a)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외둘레면 중 일부 영역만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켓(372a)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가상의 평면(S)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 면은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평행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의미로서 모듈 베이스(110)의 상측 면과 상기 가상의 평면(S)이 이루는 각도가 5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터 펌프(351)는 별도의 설치 리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 커버(120)의 하측에 설치되는데(도 5 참조), 상기 자켓(372a)이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상측 일부 외둘레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물 공급 유로(350, 370)의 경로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물 공급 유로(350, 370)의 전체 길이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자켓(372a)은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반경방향 외둘레면 중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측부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걸레 모듈(1)의 전체 높이가 더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냉각수 유입부(372b)는, 상기 자켓(37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의 일단으로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된 물이 주입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의 타단은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단으로 주입된 물이 상기 자켓(372a)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는 각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 방향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는 상기 구동모터(251, 271)가 상기 모듈 베이스(1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기 자켓(37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의 일단은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을 유동해 통과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의 타단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각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 방향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와는 반대편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기 구동모터(251, 271)가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이 배치된 방향으로 상기 자켓(372a)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술한 커버 관통홀(253b)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고정부(254)에는 상기 구동모터(251, 271)의 회전축(A3)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용 슬롯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슬롯은 상기 커버 관통홀(253b)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는 상기 수용 슬롯과 상기 커버 관통홀(253b)을 통과하여 제2 모터 하우징(25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냉각수 배출부(372c)는 모터 커버(253a)의 외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372c)의 배치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해 도 15를 참고한다.
도 15는 구동 모터의 내부 구조와 관련하여 열 교환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 모터(251)는 회전자(251a), 고정자(251b), 정류자(251c) 및 브러쉬(25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251b)는 영구 자석, 회전자(251a)는 코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모터(251)는 정류자(251c)가 브러쉬(251d)와 접촉하면서 코일과 함께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즉,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구동 모터(251)는 직류 모터일 수 있다. 직류 모터의 자세한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여기서는 제1 구동 모터(25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2 구동 모터(27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251)에서 열이 발생하는 부분은 코일,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의 접촉부이다. 특히,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가 접촉하는 접촉부는 마찰력에 의해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부분들(이하 '열 발생부'라고 지칭함)이 상기 구동 모터(251)에서 냉각이 집중적으로 요구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열 발생부로 먼저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는 상기 구동 모터(251)의 회전축(A3) 방향 양측 단부 중에서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가 구비되는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일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물이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온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는 바, 물이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를 지나갈 때에는 이미 높아진 온도로 인해 냉각의 효율이 없거나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저온인 물이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 유입부(372b)는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자켓(372a)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열 교환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온이 된 물은 브러쉬(251d)와 정류자(251c)가 배치된 반대편 측에 배치하는 것이 상기 구동 모터(251)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물 공급 유로(350, 3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서 물 탱크로부터 회전 청소부까지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4는 물 공급 유로에서의 물의 유동 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물걸레 모듈(1)은 상기 물 탱크(310)와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을 연결시키고, 상기 물 탱크(310)에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330)로 안내하는 물 공급 유로(350, 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유로(350, 370)는 물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물 탱크(310)와 상기 물 공급 노즐(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 공급 유로(350, 370)는 제1 물 공급 유로(350) 및 제2 물 공급 유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는, 상기 물 탱크(310)로부터 상기 걸레(400)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상기 워터 펌프(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는, 상기 구동모터(251, 271)를 냉각하는 상기 열 교환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에서부터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를 향하여 흐를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유로(350, 370)는 커넥터(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55)는, 상기 워터 펌프(351)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250, 270)에 공급되도록 분배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355)는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와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와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355)는 제1 연결부(355a), 제2 연결부(355b) 및 제3 연결부(355c)가 T자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355a)에는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355b)와 상기 제3 연결부(355c)에는 제2 물 공급 유로(370)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넥터(355)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55)는 물이 유입되는 입구(제1 연결부(355a))가 하나이고 물이 배출되는 출구(제2 연결부(355b)와 제3 연결부(355c))가 두 개인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물을 동일한 양으로 두 갈래 분기시켜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듈 하우징(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상기 구동모터(251, 271)를 동시에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써 모듈 하우징(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된 상기 회전판(211, 221)에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는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351)가 상기 제어 기판(800)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는 모듈 하우징(100) 내부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는 이보다 전방에 배치되어야 물 공급 유로(350, 370)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1과 도 13을 참고하여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와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350)는, 제1 물 공급관(353) 및 제2 물 공급관(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물 공급관(353)은 상기 물 탱크(310)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워터 펌프(35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 공급관(354)은 상기 워터 펌프(351)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커넥터(355)로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물 공급관(353)은 상기 물 탱크(310)의 상기 탱크 연결부(311)와 상기 워터 펌프(351)의 제1 연결 포트(351a)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물 공급관(354)은 상기 워터 펌프(351)의 제2 연결 포트(351b)와 상기 커넥터(355)의 상기 제1 연결부(355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 펌프(35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 포트(351a)는 입구이고, 상기 제2 연결 포트(351b)는 출구이다.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370)는, 제1 분지관(371a), 제2 분지관(371b), 제1 물 배출관(375a) 및 제2 물 배출관(37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지관(371a)과 상기 제2 분지관(371b)은 상기 커넥터(355)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355)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100)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상기 열 교환부(372)에 각각 물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지관(371a)은 상기 커넥터(355)의 제2 연결부(355b)와 상기 제1 구동모터(251)에 배치된 열 교환부(372)의 냉각수 유입부(372b)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지관(371b)은 상기 커넥터(355)의 제3 연결부(355c)와 상기 제2 구동모터(271)에 배치된 열 교환부(372)의 냉각수 유입부(372b)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물 배출관(375a)과 상기 제2 물 배출관(375b)은 상기 각각의 열 교환부(372)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모터(251, 271)와 열 교환을 마치고 배출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330)로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물 배출관(375a)은 상기 제1 구동모터(251)에 배치된 열 교환부(372)의 냉각수 배출부(372c)와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물 배출관(375b)은 상기 제2 구동모터(271)에 배치된 열 교환부(372)의 냉각수 배출부(372c)와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물 배출관(375a)을 유동한 물은 제1 회전 청소부(21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 물 배출관(375b)을 유동한 물은 제2 회전 청소부(22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물 공급 유로(350, 370)에서 물이 유동하는 경로에 대해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물 공급관(353)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워터 펌프(351) 내부로 인입된 후에, 상기 제2 물 공급관(354)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 물 공급관(354)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커넥터(355)에 의해서 상기 제1 분지관(371a) 및 제2 분지관(371b)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지관(371a) 및 상기 제2 분지관(371b)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자켓(372a)으로 유동된다. 상기 자켓(372a)을 유동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51, 271)와 열 교환을 마친 물은 상기 제1 물 배출관(375a) 및 상기 제2 물 배출관(375b)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물 배출관(375a) 및 상기 제2 물 배출관(375b)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물 공급 노즐(330)로 유동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 공급 노즐(330)을 유동한 물은 상기 회전 청소부(200)를 향해 토출된다.
상기 물 공급 노즐(33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회전판(211, 221)의 물 통과홀(211d)을 통과한 후에 상기 걸레(400)로 공급된다. 상기 걸레(400)로 공급된 물을 흡수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바닥을 닦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에 의하면, 물 탱크에서 걸레로 분사되는 물의 유동 경로에 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자켓이 구동모터를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의 냉각 효율을 높이면서도 실질적으로 물걸레 모듈의 전체 크기는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 모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높은 출력의 구동모터의 채용이 가능한 바 물걸레 모듈의 고성능화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물걸레 모듈 10 : 모듈 본체
50 : 연결관 100 : 모듈 하우징
110 : 모듈 베이스 120 : 모듈 커버
250 : 제1 구동장치 251 : 제1 구동모터
252 : 제1 모터 하우징 253 : 제2 모터 하우징
253a : 모터 커버 253b : 커버 관통홀
254 : 모터 고정부 255 : 전달축
256 : 슬리브 270 : 제2 구동장치
310 : 물 탱크 330 : 물 공급 노즐
350 : 제1 물 공급 유로 351 : 워터 펌프
352 : 펌프 모터 353 : 제1 물 공급관
354 : 제2 물 공급관 355 : 커넥터
370 : 제2 물 공급 유로 371a : 제1 분지관
371b : 제2 분지관 372 : 열 교환부
372a : 자켓 372b : 냉각수 유입부
372c : 냉각수 배출부 375a : 제1 물 배출관
375b : 제2 물 배출관

Claims (11)

  1.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 유로가 형성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걸레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판;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상기 모듈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걸레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걸레로 토출하는 물 공급 노즐; 및
    상기 물 탱크와 상기 물 공급 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물 탱크에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로 안내하는 물 공급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공급 유로를 지나가는 물과 상기 구동모터가 서로 열교환을 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게 배치되는 열 교환부를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반경 방향 외둘레면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물걸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하측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가상의 평면(S)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물걸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부는,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제공하는 자켓;
    상기 자켓에 결합되고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된 물이 주입되는 냉각수 유입부; 및
    상기 자켓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부로 주입되어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제1 모터 하우징; 및
    상기 제1 모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모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 하우징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측 일부를 덮어 커버하는 모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자켓은, 상기 모터 커버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는 물걸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냉각수 배출부가 통과하는 커버 관통홀이 마련되는 물걸레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입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배치된 방향으로 상기 자켓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물걸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걸레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제1 물 공급 유로; 및
    상기 열 교환부를 포함하는 제2 물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구동장치는 두 개 마련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워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각각의 구동장치에 공급되도록 분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공급 유로는,
    상기 물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워터 펌프로 안내하는 제1 물 공급관; 및
    상기 워터 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커넥터로 안내하는 제2 물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열 교환부에 물을 안내하는 제1 분지관과 제2 분지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열 교환을 마치고 배출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노즐로 안내하는 제1 물 배출관과 제2 물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물걸레 모듈.
KR1020210102907A 2021-08-05 2021-08-05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KR20230021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07A KR20230021265A (ko) 2021-08-05 2021-08-05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07A KR20230021265A (ko) 2021-08-05 2021-08-05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65A true KR20230021265A (ko) 2023-02-14

Family

ID=8522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07A KR20230021265A (ko) 2021-08-05 2021-08-05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12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917A (ko)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917A (ko)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4806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US11944257B2 (en) Nozzle for cleaner
TWI818859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US20230116509A1 (en) Nozzle for cleaner
KR102617475B1 (ko) 청소기의 노즐
TWI791239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KR20230021265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KR2003008853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20230021264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N212816099U (zh) 一种吸尘器地刷及吸尘器
CN116981386A (zh) 清洁器
KR102180679B1 (ko) 걸레
TWI841469B (zh) 拖把、吸嘴及清掃機
CN218074805U (zh) 一种用于地刷模块的刷头及地刷模块
TW202304369A (zh) 清掃機的濕式除塵器模組
CN216776857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地刷模块及清洁机
KR20010081426A (ko)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용 흡입구체
KR20210121470A (ko)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KR102679309B1 (ko) 청소기의 노즐
CN117715571A (zh) 吸尘器的湿抹布模块
CN117597056A (zh) 吸尘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