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092A -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092A
KR20230021092A KR1020237000371A KR20237000371A KR20230021092A KR 20230021092 A KR20230021092 A KR 20230021092A KR 1020237000371 A KR1020237000371 A KR 1020237000371A KR 20237000371 A KR20237000371 A KR 20237000371A KR 20230021092 A KR20230021092 A KR 2023002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ange
terminal
frequency
data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방법은 단말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관련 출원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6월 9일 중국에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No. 202010526455.2인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전체로서 본원에 인용되었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IDLE/INACTIVE UE(User Equipment)(유휴/비활성 사용자 단말)의 경우, 네트워크측에서는 하나의 셀에 대해 하나의 initial BWP(initial Bandwidth Part, 초기 대역폭 부분)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역폭이 비교적 큰 셀의 경우(예를 들어 200MHz), initial BWP의 대역폭 제한으로 인해(예를 들어 20MHz), 네트워크가 IDLE/INACTIVE UE의 스몰 데이터(데이터 전송량이 10Kbytes보다 작음) 전송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때, 스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을 initial BWP의 주파수 자원 상에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initial BWP 주파수 혼잡과 동시에 큰 대역폭 셀의 대역폭 낭비를 초래하기 쉽다.
본 출원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스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만 초기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자원 상에 구성할 수 있어 초기 대역폭 부분 주파수 혼잡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 있어서 단말에 적용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양상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타깃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상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타깃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모듈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양상에 있어서,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3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7 양상에 있어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제3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8 양상에 있어서, 칩을 제공한다.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며 제1 양상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3 양상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한 후, 타깃 정보에서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타깃 데이터가 스몰 데이터이면, 스몰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전송할 수 있으며, 초기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스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초기 대역폭 부분의 혼잡도 방지한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서 신규한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장치의 구조도 1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장치의 구조도 2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한 순서나 선후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된 수치는 적절한 상황에서 호환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원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에 의해 구분되는 대상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유형이며 대상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대상은 하나일 수 있으며 복수개일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먼저 본 출원에 언급된 관련 용어를 소개한다.
1. SDT(Small Data Transmission, 스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측에 의해 구성된 자원에 따라, UE가 IDLE/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하기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1) 초기 액세스된 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Msg)3.
2) 초기 액세스된 2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A.
3)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전용 상향링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 자원(예를 들어 pre-configured PUSCH(사전 구성된 PUSCH), 또는 PUR(Preallocated Uplink Resource, 사전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
이에 대응하도록,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하기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 UE에 전송할 수 있다.
1) 초기 액세스된 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4.
2) 초기 액세스된 2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B.
3)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전용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피드백 자원.
여기에서 신규한 2단계 램덤 액세스(2-Step RACH)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0: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에 신규한 2단계 랜덤 액세스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며, 여기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MsgA 및 MsgB에 대응하는 전송 자원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1: UE는 2-step RACH 과정을 트리거한다. 요청 정보(MsgA): 데이터+UE-ID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를 통해 전송한다. 동시에 UE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정보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확인 정보(MsgB)를 전송한다. ACK는 UE에게, UE를 향해 UE-ID+ACK 지시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UE가 MsgB 수신을 실패하면 UE는 다시 MsgA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종래의 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4-step RACH)의 방법 단계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UE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Msg1(랜덤 액세스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Msg1을 수신한 후, Msg 2(랜덤 액세스 응답 RAR(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UE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시지에는 상향링크 허용(uplink grant) 정보를 휴대한다.
단계 3: UE는 Msg2의 uplink grant에 따라, MAC(Medium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패킷 기능을 수행하여 MAC PDU(Protocol Data Unit,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생성하고, 해당 MAC PDU를 Msg3 캐시에 저장한 후, UE는 HARQ 프로세스를 통해 Msg3 캐시 중의 MAC PDU를 전송한다.
단계 4: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Msg3를 수신한 후 Msg4(예를 들어, 경합 해결 식별자)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5: UE는 Msg4를 수신하여 경쟁이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성공하면 랜덤 액세스 과정이 성공한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재개시한다.
여기에서 재개시된 랜덤 액세스 과정의 경우, UE가 다시 Msg2에서 uplink grant를 수신한 후, UE는 직접 Msg3 캐시에서 이전에 저장된 MAC PDU를 취하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과정을 수행하여 전송한다. UE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완료된 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3 전송의 HARQ 캐시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CONNECTED(연결 상태)에 있는 UE의 경우, Msg4 경합 해결 검증은,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전송이 새로운 전송인 것이다.
IDLE/INACTIVE UE의 경우, Msg4 경합 해결 검증은, 수신한 "UE 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경합 해결 식별자) MAC CE" 중의 "UE 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 정보는 그 전송된 "UL CCCH SDU"의 처음 48비트와 매칭되는 것이다.
2. BWP(Bandwidth Part, 대역폭 부분)
연결 상태 UE의 경우, 하나의 특정 셀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최대 4개 BWP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이한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응한다. 네트워크측은 DCI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된 BWP를 지시할 수 있다. 특정 셀에 대해 UE는 동시에 하나의 활성 BWP만 가질 수 있다.
IDLE 또는 INACTIVE 상태의 UE의 경우, 하나의 특정 셀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UE에 1개의 초기 BWP(즉, initial BWP)를 구성할 수 있고, UE는 해당 initial BWP를 통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여 연결 상태로 진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은 LTE(Long Term Evolution)/LTE-A(LTE-Advanced)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호환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된 기술은 상기에서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 전신 기술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시스템 및 무선 전신 기술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NR(New Radio) 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6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과 같은 NR 시스템 응용 이외의 응용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말(11)은 단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한다.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이거나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팜톱 컴퓨터, 넷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디바이스(VUE), PUE 등 단말측 디바이스로 불릴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팔찌, 헤드폰, 안경 등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1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지국은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노드 B, 진화된 B 노드(eNB), 가정용 B 노드, 가정용 진화된 B 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TRP(Transmitting Receiving Point) 또는 당해 기술 분야의 기타 특정 적합한 용어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 용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을 예로 들어 설명할 뿐이며 기지국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언급된 단말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상호작용하므로,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상호작용 과정을 소개한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타깃 정보(target information)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S104: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단말에 타깃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106: 단말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S108: 단말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술한 단계 S102 내지 단계 S108에서 알 수 있듯이, 단말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한 후, 타깃 정보에서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타깃 데이터가 스몰 데이터이면, 스몰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전송할 수 있으며, 초기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스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초기 대역폭 부분의 혼잡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타깃 데이터는 스몰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일반 서비스 데이터 또는 타깃 제어 시그널 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 단말측 및 네트워크측으로부터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단말측의 경우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2: 단말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S304: 단말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단계 S302 내지 단계 S304 및 타깃 데이터가 스몰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은 상기 타깃 정보를 수신한 후, UE가 전송할 스몰 데이터가 있는 경우 또는 UE가 전송할 잠재적인 스몰 데이터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DRB-1(Data Radio Bearer-1, 데이터 무선 베어러-1)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스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면, UE는 그 작동의 주파수 범위를 셀 1의 BWP-1(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로 선택한다. UE가 스몰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UE는 그 작동의 주파수 범위를 셀 1의 초기 BWP로 선택한다.
상술한 2-step RACH 과정을 결합하면, 상기 타깃 데이터는 2-step RACH 과정 중의 MsgA 상에 운반될 수 있으면, UE는 2-step RACH 과정에서 실행하여 MsgA를 셀 1의 BWP-1(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주파수 범위) 상에서 전송하고, MsgB는 셀 1의 초기 BWP(또는 BWP-2) 상에서 수신한다. 즉 스몰 데이터를 전달하는 MsgA를 사전 구성된 주파수 범위(BWP-1) 상에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단계 S304는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단말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방식의 경우, 본 출원 실시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하에서 하나씩 소개한다.
방식 1: 상기 방식의 경우 먼저 각각의 상기 주파수 범위에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numerical value range),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와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의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configured by a network side)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stipulated by a protocol)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 1은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1)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수치 범위인 경우, 상기 단말은 제1 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수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1에 4개의 BWP를 구성하고, BWP-1/2/3/4에 대응하는 가중치는 [0,0.1](0.1,0.3](0.3,0.6](0.6,0.1]이며, UE는 [0, 1] 사이의 난수를 취하고, 해당 난수가 [0, 0.1] 사이이면 UE는 BWP-1을 선택하고, 해당 난수가 (0.6, 1] 사이이면 UE는 BWP-4를 선택한다.
2)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데이터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 유형이 제1 데이터 유형이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의 BWP를 구성하고, BWP-1에 대응하는 데이터 유형은 논리 채널 우선순위가 1 이상(또는 4 미만)인 데이터 유형이다. 따라서 전송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가 1 이상인 경우 대응하는 BWP-1이 선택된다.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 베어러(bearer) 유형, 데이터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flow) 식별자, 데이터 세션(session)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 데이터 용량(capacity),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의 우선순위(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서비스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대해 4개의 BWP를 구성하고 BWP-1에서 전송하는 액세스 유형(Access Category, AC) 및/또는 액세스 식별자(Access Identity, AI)는 AC=1 및/또는 AI=1이다. 따라서 서비스 액세스 유형 Access Category 및/또는 Access Identity가 AC=1 및/또는 AI=1인 경우 BWP-1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 액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4)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액세스 제어 정보인 경우, 하기 몇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경우 1: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specified data type)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경우 2: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다.
경우 3: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경우 4: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다.
방식 2: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단계 S304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4-11: 상기 단말이 소정 계산 규칙(preset calculation rule)을 통해 제1 식별자(first identifier)에 대응하는 수치(numerical value)를 계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고, 상기 계산 규칙은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양(quanity)으로 나누는 것이다.
단계 S304-12: 상기 단말이 계산 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의 제2 식별자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계산 결과는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수로 나눈 나머지이다.
단계 S304-13: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제2 식별자와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상술한 단계 S304-11 내지 S304-13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의 BWP를 구성하고 UE의 식별자는 UE_ID_1(제1 식별자)이면, UE가 선택하는 BWP의 식별자는 UE_ID_1(제2 식별자)을 4로 나눈 나머지, 즉 BWP_ID=UE_ID mod Number_of_BWP이다.
방식 3: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단계 S304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4-21: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단계 304-22: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단계 S304-21에 대해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 신호 수신 강도)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가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RSRP 및 RSRQ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파라미터의 선택적 파라미터이며, 물론 다른 파라미터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상술한 단계 S304-21에 대해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 또는 CR(Channel Occupancy Rate, 채널 점유율)의 측정 결과가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즉, 타깃 주파수 범위가 혼잡하지 않음). 여기에서 RSSI 및 CR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파라미터의 선택적 파라미터이며, 물론 다른 파라미터도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의 방법 단계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6: 단말이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 후, 단말은 현재 주파수 범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UE는 작동 주파수 범위를 initial BWP로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의 방법 단계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8: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방식에 따라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단계 S310: 상기 단말이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에 따라 셀의 선택 또는 재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이한 셀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구비한다.
상술한 단계 S308 및 S310에 있어서,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은 셀 1이고, 셀 2에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구성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도 존재하며, 셀 2 중의 주파수 범위 내의 우선순위는 셀 1 중의 주파수 범위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단말은 주파수 범위의 우선순위에 따라 셀 2로 재선택할 수 있으며, 셀 2로 재선택한 후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필요가 없고, 타깃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주파수 범위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출원 단말측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전송한 타깃 정보 및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주파수 범위 선택 규칙에 따라, UE는 네트워크 구성의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주파수 범위 선택 규칙은 하기 범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1) UE가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할 때, UE는 해당 특정 데이터(상술한 타깃 데이터에 해당)를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UE가 전송할 스몰 데이터가 있는 경우(또는 UE가 전송할 잠재적인 스몰 데이터가 있는 경우 미래의 특정 시간에 스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UE는 작동 주파수 범위를 셀 1의 BWP-1로(스몰 데이터의 주파수 범위 지원) 선택한다. UE가 전송할 스몰 데이터가 없는 경우, UE는 그 작동의 주파수 범위를 셀 1의 초기 BWP로 선택한다.
2) UE가 특정 서비스 데이터 전송 과정의 특정 정보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UE는 해당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UE는 2-step RACH 과정을 실행하고, MsgA는 셀 1의 BWP-1 상에서 전송하며, MsgB는 셀 1의 초기 BWP(또는 BWP-2) 상에서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3) 네트워크의 구성 또는 프로토콜의 약정이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없는 UE가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경우, UE는 특정 데이터 유형이 없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이 없을 때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로 선택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1) 및 2)에 언급된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주파수 범위 선택 규칙의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 1개 주파수 범위를 랜덤 선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UE는 1개 BWP를 랜덤 선택한다.
2. 복수의 주파수 범위 중 UE의 식별자에 따라 1개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UE의 식별자가 UE_ID_1이면, UE가 선택한 BWP 식별자는 UE_ID_1을 4로 나눈 나머지, 즉, BWP_ID=UE_ID mod Number_of_BWP이다.
3. 구성된 수치 범위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2/3/4에 대응하는 가중치가 각각 [0,0.1](0.1,0.3](0.3,0.6](0.6,0.1])이면, UE는 [0,1] 사이의 난수를 취하고, 해당 난수가 [0,0.1] 사이이면 UE는 BWP-1을 선택하고, 해당 난수가 (0.6,1] 사이이면 UE는 BWP-4를 선택한다.
4.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셀 재선택의 주파수 우선순위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가 1이면, UE는 해당 BWP-1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셀 1을 선택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로 사용한다.
5. UE가 송수신하는 데이터 유형이 제1 데이터 유형이면, UE는 제1 데이터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우선 선택한다.
6. UE가 송수신하는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면, UE는 해당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우선 선택한다.
7. 네트워크에서의 구성 또는 프로토콜에서의 약정이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가진 UE가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하도록 허용"하면,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갖는" UE는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가질 때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로 선택할 수 없다.
8. 타깃 주파수 범위 내 파라미터의 측정값은 임계값 이상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준 신호 수신 강도)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임계값 이상이다.
9. 타깃 주파수 범위 내 파라미터의 측정값은 임계값 이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 또는 CR(Channel Occupancy Rate, 채널 점유율)의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임계값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UE가 특정 데이터의 송수신을 완료하거나, 특정 데이터 전송 과정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완료한 후, 또는 네트워크측 지시 정보(예를 들어, RRC 해제 메시지 수신)에 따라, UE는 작동 주파수 범위를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주파수 범위로 변경한다(예를 들어 initial BWP로 다시 변경).
선택적으로 UE가 그 작동 주파수 범위를 변경할 경우, UE는 네트워크측에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며, MAC CE 또는 RRC 메시지 또는 UCI 정보를 전송한다.
본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언급된 특정 데이터의 송수신을 완료하는 것은 하기 과정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함에 유의한다.
1) 특정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의 경우, 네트워크측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의 경우, 피드백 정보를 성공적으로 송수신한다.
2) 특정 데이터를 처음으로 송수신한다.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UE에 전송하는 특정 데이터의 송수신에 특정한 주파수 범위를 구성하고, 특정 규칙에 따라 UE가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그 작동 주파수 범위를 특정 주파수 범위로 변경하도록 하여 주파수 혼잡을 방지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말측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 대해 소개한 것이며, 이하에서는 네트워크측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소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의 전송 방법 흐름도 2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2: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타깃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S404: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단말에 타깃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의 식별자(예를 들어 BWP-1),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채널 번호 정보(예를 들어 ARFCN-1(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bandwidth) 정보(예를 들어 20MHz),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시작 위치(예를 들어 초기 ARFCN-start),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종료 위치(예를 들어 종료 ARFCN-end),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의 식별자(예를 들어 PRB-1(Physical Resource Block)),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수(quantity) 식별자(예를 들어 10개 PRB),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오프셋 정보(예를 들어 initial BWP에 대한 중심 주파수 정보(또는 최저 주파수 정보 또는 최고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404에 언급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단말에 타깃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경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CC 메시지 및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 타깃 정보를 지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및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 베어러 유형, 데이터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데이터 세션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 데이터 용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 액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에 특정 데이터(또는 특정 데이터 전송 관련 과정의 정보) 전송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셀 1, 스몰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전송량이 10Kbytes(특정 데이터) 미만인 전송 주파수 범위는 BWP-1이다.
셀 1의 경우, 스몰 데이터의 램덤 액세스 과정 정보(예를 들어, 2-step RACH의 MsgA 및/또는 MsgB 또는 4-step RACH의 Msg1 및/또는 Msg2 및/또는 Msg3 및/또는Msg4) 또는 전용 자원(UE 전용의 상향링크 전송 자원 및/또는 UE 전용의 하향량크 전송 자원)의 대응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의 송수신 주파수 자원은 BWP-1이다.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주파수 범위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주파수 범위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BWP-1이다.
2) 주파수 채널 번호 정보이다. 예를 들어 ARFCN-1(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이다.
3) 대역폭이다. 예를 들어 대역폭은 20MHz이다.
4) 주파수 시작 위치이다. 예를 들어 초기 ARFCN-start이다.
5) 주파수 종료 위치이다. 예를 들어 종료 ARFCN-end이다.
6) 물리 자원 블록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PRB-1(Physical Resource Block)이다.
7) 물리 자원 블록 수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10개 PRB이다.
8) 주파수 오프셋 정보이다. 예를 들어 initial BWP의 중심 주파수 정보(최저 주파수 정보, 또는 최고 주파수 정보)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 정보이다. 여기에서 해당 주파수 정보 및/또는 주파수 오프셋 정보는 주파수 채널 번호 또는 물리 자원 블록 식별자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특정 서비스 데이터 전송 관련 과정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 주파수 범위 구성 정보는 하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UE에 전송할 수 있다.
1)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SIBI에서 전송한다.
2) 전용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RRC 해제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며, IDLE 또는 INACTIVE UE가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기 위해 사용한다.
3) DCI를 통해 지시한다. 예를 들어 Msg3의 재전송 데이터는 T-C-RNTI의 DCI를 통해 그 전송된 BWP를 지시한다. 또는 UE에 남긴 RNTI의 DCI를 통해 전용 자원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UE 전용 상향링크 전송 자원" 및/또는 "UE 전용 하향링크 전송 자원"의 BWP를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데이터 전송 관련 과정"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2-step RACH 과정의 MsgA 및/또는 MsgB 및/또는 MsgB의 피드백 자원
2) 4-step RACH 과정의 Msg1 및/또는 Msg2 및/또는 Msg3 및/또는 Msg4 및/또는 Msg4의 피드백 자원
3) 전용 자원 데이터 송수신 과정의 "UE 전용 상향링크 전송 자원" 및/또는 "UE 전용 하향링크 전송 자원"
네트워크측에서의 구성 또는 프로토콜에서의 약정은 해당 타깃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와 해당 특정 데이터(또는 특정 서비스 데이터 전송 관련 과정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가 같거나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스몰 데이터 전송 구성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구성한다. 프로토콜은 이와 스몰 데이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가 데이터 전송 구성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와 같다고 약정한다. 또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스몰 데이터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구성하고, 스몰 데이터 전송 구성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도 구성하면, 두 주파수 범위는 다를 수도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방법 단계는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이 약정하는 것은, 해당 주파수 범위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수치 범위(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에 대응하는 난수 범위가 [0,0.1]이면, UE의 난수값이 [0,0.1]일 때 UE는 BWP-1을 선택함)
2)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는 1임)
3)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데이터 유형(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유형은 논리 채널 우선순위가 1 이상(또는 4 미만)인 데이터임)
4)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서비스 액세스 유형(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이 셀 1에 4개 BWP를 구성하고, BWP-1에서 전송하는 액세스 유형(Access Category 및/또는 Access Identity)은 AC=1 및/또는 AI=1임)
5)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예를 들어 스몰 데이터 전송의 UE가 사용하도록 남김)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 유형은 베어러 유형(예를 들어, DRB 또는 SRB), 베어러 식별자(예를 들어, DRB-1),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예를 들어, QoS flow-1), 세션 식별자(예를 들어, PDU session-1),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예를 들어, MCG(Master Cell Group) 또는 SCG(Secondary Cell Group)), 데이터 크기 제한(예를 들어, 0Kbytes보다 같거나 크거나 작은 데이터), 논리 채널 우선순위 제한(예를 들어, 논리 채널 우선순위 3보다 같거나 크거나 작은 논리 채널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예를 들어, Access category=1), 액세스 식별자(예를 들어, Access Identity=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액세스 제어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갖는 UE가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레지던트)로 선택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
2) 특정 "데이터 유형" 또는 특정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갖지 않는 UE가 해당 주파수 범위를 그 작동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레지던트)로 선택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의 타깃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구성하고, UE가 타깃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작동의 주파수 범위를 해당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로 변경하도록 만들어 주파수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서, 실행 주체는 데이터의 전송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장치 중의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로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의 전송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의 전송 장치를 소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측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52)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5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전송 모듈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상기 주파수 범위에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와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의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측에서의 구성 또는 프로토콜에서의 약정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선택 유닛은, 제1 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수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택 서브 유닛;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 유형이 제1 데이터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택 서브 유닛; 및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선택 유닛은 하기 방식 중 하나를 실행하는 데 더 사용된다.
1)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2)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다.
3)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4)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선택 유닛은, 소정 계산 규칙을 통해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수치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서브 유닛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고, 상기 계산 규칙은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양으로 나누는 것이고- ; 계산 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의 제2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서브 유닛 - 상기 계산 결과는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수로 나눈 나머지임 -; 및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제2 식별자와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4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선택 서브 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5 선택 서브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6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상기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 베어러 유형, 데이터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데이터 세션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 데이터 용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 액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모듈 이외에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 후, 현재의 주파수 범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모듈 이외에 네트워크측에서의 구성 또는 프로토콜에서의 약정 방식에 따라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및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에 따라 셀의 선택 또는 재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이한 셀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한 후, 타깃 정보에서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타깃 데이터가 스몰 데이터이면, 스몰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전송할 수 있으며, 초기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스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초기 대역폭 부분의 혼잡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의 전송 장치 구조도 2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적용된다. 상기 장치는,
타깃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모듈(62) -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단말에 타깃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64)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의 식별자,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채널 번호 정보,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 정보,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시작 위치,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종료 위치,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식별자,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수량 식별자 및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오프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모듈 이외에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RRC 메시지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타깃 정보를 단말에 지시하도록 더 구성된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 중의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및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통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UE의 타깃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구성하고, UE가 타깃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작동의 주파수 범위를 해당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로 변경하도록 만들어 주파수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 도 5의 데이터의 전송 장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단말 중의 부재,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비이동 단말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은 상기에서 나열한 단말(11)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동 단말은 서버, NAS(Network Attached Storage),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 ATM기 또는 셀프 서비스 기계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운영 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OS일 수 있으며, ios 운영 체제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가능한 운영 체제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를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 5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은 도 3의 방법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하여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및 메모리(70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7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700)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말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700)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가 실현될 수 있고, 동일한 기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상기 단말(8000)은 무선 주파수 유닛(8001), 네트워크 모듈(8002), 오디오 출력 유닛(8003), 입력 유닛(8004), 센서(8005), 디스플레이 유닛(8006), 사용자 입력 유닛(8007), 인터페이스 유닛(8008), 메모리(8009) 및 프로세서(8010) 등 부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단말(8000)이 각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8010)와 논리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출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단말 구조는 단말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은 도 8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재를 포함하거나, 특정 부재를 조합하거나, 상이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유닛(80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8041) 및 마이크로폰(8042)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래픽 프로세서(8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 유닛(8006)은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를 채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8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8007)은 터치 패널(8071) 및 기타 입력 디바이스(8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8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의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디바이스(8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음량 제어 키, 스위치 키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8001)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8010)를 통해 처리한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80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노이즈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80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800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또는 명령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프로그램 또는 명령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명령(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0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가 있다.
프로세서(80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010)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가 있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8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8001)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를 더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900)는 안테나(91), 무선 주파수 장치(92), 및 베이스밴드 장치(93)를 포함한다. 안테나(91)는 무선 주파수 장치(92)에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 상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2)는 안테나(9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베이스밴드 장치(93)에 전송하여 처리한다. 하향링크 방향 상에서, 베이스밴드 장치(93)는 전송할 정보를 처리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92)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9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91)를 거쳐 송신한다.
상술한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9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베이스밴드 장치(93)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93)는 프로세서(94) 및 메모리(95)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9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밴드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보드에는 복수의 칩이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하나의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94)이다. 이는 메모리(95)와 연결되며, 메모리(95) 중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도시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93)는 무선 주파수 장치(9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메모리(9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4) 상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94)는 도 6에 도시된 각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95) 내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프로세스가 구현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내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한다.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여 상술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는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설명된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모듈, 유닛, 서브 모듈, 서브 유닛 등은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DSPD(DSP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출원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포괄하는",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 고유의 요소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를 포함하는" 구절에 의해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언급된 기능을 기반으로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반대 순서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에 따라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도 사용할 수 있으나,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 방식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하나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시사점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목적 및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7)

  1.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target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주파수 범위에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numerical value range),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와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의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configured by a network side)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stipulated by a protocol)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수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 유형이 제1 데이터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specified data type)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또는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소정 계산 규칙(preset calculation rule)을 통해 제1 식별자(first identifier)에 대응하는 수치(numerical value)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고, 상기 계산 규칙은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양(quanity)으로 나누는 것이고 - ;
    상기 단말이 계산 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의 제2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계산 결과는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수로 나눈 나머지(remainer)임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제2 식별자와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인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 베어러(bearer) 유형, 데이터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flow) 식별자, 데이터 세션(session)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 데이터 용량(capacity),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의 우선순위(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category), 액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이 현재의 주파수 범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방식에 따라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에 따라 셀의 선택 또는 재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이한 셀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구비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타깃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상기 주파수 범위의 식별자,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채널 번호(channel number) 정보, 상기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bandwidth) 정보,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시작 위치,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종료 위치, 상기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의 식별자, 상기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수량(quanity) 식별자 및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오프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및 하향링크(downlink) 제어 정보 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및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데이터의 전송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타깃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전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주파수 범위에는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가 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주파수 범위와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의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제1 수치 범위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로부터 상기 제1 수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택 서브 유닛;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 유형이 제1 데이터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택 서브 유닛; 및
    상기 단말이 송신 또는 수신한 서비스 액세스 유형이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인 경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액세스 유형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방식;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는 방식;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함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지 않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방식;
    상기 제1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가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상기 단말의 작동 주파수로 선택하도록 허용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거나 서비스 액세스 유형을 지정한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없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더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은,
    소정 계산 규칙을 통해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수치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서브 유닛 -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고, 상기 계산 규칙은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양으로 나누는 것이고 - ;
    계산 결과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의 제2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서브 유닛 - 상기 계산 결과는 상기 수치를 상기 주파수 범위의 수로 나눈 나머지임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 제2 식별자와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4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브 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1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5 선택 서브 유닛;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의 측정값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6 선택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인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 베어러 유형, 데이터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데이터 세션 식별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셀 그룹 식별자, 데이터 용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액세스 유형은 액세스 유형, 액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깃 데이터를 전송한 후, 현재의 주파수 범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변경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된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된 방식에 따라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및
    각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에 따라 셀의 선택 또는 재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 - 상이한 셀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를 구비함 - 를 더 포함하는 장치.
  27. 데이터의 전송 장치에 있어서,
    타깃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모듈 - 상기 타깃 정보는 단말이 타깃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상기 주파수 범위의 식별자,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채널 번호 정보, 상기 주파수 범위의 대역폭 정보,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시작 위치,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종료 위치, 상기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식별자, 상기 주파수 범위의 물리 자원 블록의 수량 식별자 및 상기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오프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RRC 메시지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 상기 타깃 정보를 지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정보는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 선택 정보는 수치 범위, 데이터 유형, 서비스 액세스 유형 및 액세스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1.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단말.
  32.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33.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이 구현되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4.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칩.
  3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3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KR1020237000371A 2020-06-09 2021-06-04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KR20230021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26455.2 2020-06-09
CN202010526455.2A CN113784386B (zh) 2020-06-09 2020-06-09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PCT/CN2021/098295 WO2021249296A1 (zh) 2020-06-09 2021-06-04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092A true KR20230021092A (ko) 2023-02-13

Family

ID=7883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371A KR20230021092A (ko) 2020-06-09 2021-06-04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07391A1 (ko)
EP (1) EP4164286A4 (ko)
KR (1) KR20230021092A (ko)
CN (1) CN113784386B (ko)
WO (1) WO2021249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0956A1 (en) * 2022-02-10 2023-08-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onfigured grant small data transmission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826B1 (ko) * 2016-11-0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 반송파의 서브밴드 집성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820723B (zh) * 2017-04-01 2021-11-26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频率选择方法、随机接入方法和装置
CN111107643B (zh) * 2017-06-16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带宽资源配置方法、装置和系统
US11483851B2 (en) * 2017-07-24 2022-10-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ng a target BWP in 5G NR
US10887903B2 (en) * 2017-10-26 2021-01-05 Ofinno, Llc Wireless device processes with bandwidth part switching
EP4236178A3 (en) * 2018-10-26 2023-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size ma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84386B (zh) 2024-03-05
US20230107391A1 (en) 2023-04-06
CN113784386A (zh) 2021-12-10
EP4164286A1 (en) 2023-04-12
EP4164286A4 (en) 2023-11-08
WO2021249296A1 (zh)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9556B2 (en)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enhanced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US20210127308A1 (en) Subband swit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348988B1 (ko) 빔 실패 복구 방법, 장치 및 장치
US11973561B2 (en) Antenna panel appl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200982B1 (ko) Ue의 상태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2340706B1 (ko) 핸드오버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EP4181555A1 (en) Data transmission type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WO2022152275A1 (zh) Msg3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447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hidden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resources
US20230138775A1 (en) Method for mapping pusch signal,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US20230336308A1 (en) Uplink positioning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3010739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TWI643516B (zh)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US20230163814A1 (e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109276A1 (en) Access procedur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14007224A (zh) 旁链路资源选择方法及终端
WO2021249299A1 (zh) 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00107374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CN113973393A (zh) 随机接入方法、装置、设备及系统
WO2022068752A1 (zh) 通信资源激活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30156814A1 (en) Method for setting data transmission type and terminal
WO2023040892A1 (zh) 资源重选方法、装置、通信设备、存储介质及系统
WO2023083290A1 (zh) 随机接入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30125289A (ko) 검색 공간 그룹 스위칭 방법 및 기기
WO2022269474A1 (en) Ue based pdcch monitoring adaptation during sd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