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063A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Google Patents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0063A KR20230020063A KR1020210101499A KR20210101499A KR20230020063A KR 20230020063 A KR20230020063 A KR 20230020063A KR 1020210101499 A KR1020210101499 A KR 1020210101499A KR 20210101499 A KR20210101499 A KR 20210101499A KR 20230020063 A KR20230020063 A KR 202300200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shape
- size
- patient
- rea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10000002455 dental arc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예비 인상 과정 없이 환자의 1번의 내원으로 정밀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도록 악궁의 형태 및 크기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고 총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의치(Full denture) 제작을 위해서는 환자가 최소 5번 이상의 치과 내원을 하게 된다. 그 중 인상채득 및 총의치 제작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3회 이상의 내원이 필요하다. 환자의 1차 내원 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예비 인상체를 채득하고, 채득한 예비 인상체로 환자 맞춤형 개인 트레이를 제작한다. 환자의 2차 내원 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 구강의 정밀 인상체를 채득한다. 치과에서 정밀 인상체를 기공소로 보내면, 기공소는 정밀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모형을 만들고, 레코드 베이스와 왁스림을 제작한다. 이후, 환자의 3차 내원 시 왁스림을 환자의 구강 내에 시적하고, 총의치 제작을 위한 기준선을 파악한다.
이러한 내원 횟수 증가로 총의치 제작 일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상체에 석고를 주입하는 기공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석고 모형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레코드 베이스와 왁스림의 오차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단 1번의 내원을 통해 최종 인상체 채득이 가능한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할 수 있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 선택된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와,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는, 환자의 스캔 데이터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한 후,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어부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복합체는,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와,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교합 마커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하악 교합제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교합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악 교합제를 포함한다.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는, 상악 및 하악의 스캔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한 거리 값을 통해 그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에 따르면, 형태 및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여 인상을 채득 하므로 환자의 내원 횟수를 1회로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두번째 내원 했을 때 최종 인상채득을 하게 되는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음 내원 했을 때 환자의 구강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트레이 선택으로 최종인상 채득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내원 횟수를 줄여 주고 총의치 제작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제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제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트레이'는 예를 들어 "개인 트레이"처럼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기성 트레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과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스캔 데이터는 인상체 스캔 데이터, 교합 스캔 데이터,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 등이 있다. 그리고 데이터 획득부(10)는 크기 및 형태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한다.
저장부(12)에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스캔 데이터가 저장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이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 또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수행한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총의치를 제작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위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한다. 이때, 트레이와 교합제를 분리하여,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고,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 및 악궁 형태에 대응되는 교합제를 선택한 후, 선택된 기성 트레이에 교합제를 결합할 수 있다. 트레이 선택 방법은,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트레이를 선택하는 방법,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트레이를 디자인한 후 이를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가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를 소정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측하면, 입력부(16)가 계측 값을 입력 받고 제어부(14)가 입력된 계측 값을 이용하여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치과 영상에서 마우스 클릭 등의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출력부(18)는 치과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14)를 통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화면에 표시한다. 나아가, 제어부(14)를 통해 디자인된 총의치 또는 트레이를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종래의 최소 2회 이상의 내원에 걸쳐 진행되던 인상채득 단계를 1회 내원에서 모두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가 1차 내원 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한 인상으로 환자 맞춤형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며, 그 이후 2차 내원 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의 정밀인상을 채득한다. 이에 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가 처음 내원하였을 때 형태 및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최종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내원횟수가 1회로 줄어들어 총의치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전용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범용 하드웨어 장치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해 치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무치악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무치악 인상채득을 위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체 데이터 및 정합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인상체 데이터와 정합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를 선택한다(S210). 예를 들어, 환자의 악궁 크기에 따라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 크기를 각각 Small(S), Medium(M), Large(L) 크기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악궁 형태에 따라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의 형태를 각각 테이퍼형(Tapering Type), 타원형(Ovoid Type), 광장형(Square Type)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성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 선택 단계(S210)의 세부 흐름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체를 채득한다(S220). 예를 들어, 폐구 인상법으로 상악 인상체를 먼저 채득한 후 하악 인상체를 채득할 수 있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한다(S230). 이때, 하악 교합제의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하악 교합제의 베이스 상의 교합 마커를 이용하여 하악 교합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교합 마커는 콘, 원기둥, 다각형 블록 등이 있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를 결합하고,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결합한다(S240). 상악 또는 하악 트레이에 상악 또는 하악의 교합제를 결합하기 위해 해당하는 트레이 상부의 결착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250). 하악 운동 시 하악 교합제의 교합 마커의 동적 경로를 스캔 하여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260). 이를 위하여, 환자의 안정위 수직고경(무치악 환자가 편안한 상태) 길이를 측정하고, 환자의 인상을 채득한 후 하악 교합제의 교합 마커(예를 들어, 콘)를 연화시켜, 안정위 수직고경 길이에서 약 2~4mm 정도 낮은 높이가 되도록 교합 수직고경의 높이를 결정한다. 교합 수직고경의 높이가 정해지면, 하악운동을 통해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중심위 바이트(Centric Relation: CR Bite) 상태에서 교합정보를 채득하여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위 바이트는 상악과 하악의 맞물림이 가장 편안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다(S270). 이때, 환자의 상/하악 스캔 데이터를 함께 정합하여 하악운동을 재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고(S310),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한다(S320).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한다(S330). 예를 들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S340) 하고,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한다(S350).
상악 트레이 크기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한다. 이어서,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를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하악 트레이 크기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한다. 이어서,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된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상악 트레이 형태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한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하악 트레이 형태 선택 예를 들면,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 판단 단계(S340)에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한다.
이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기성 트레이 선택 단계(S350)에서,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스캔 데이터에 2개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2개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상악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를 측정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가 거리(B1)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측정한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에 따라, B1 ≤ 45mm이면, Small로, 45mm < B1 < 51mm이면 Medium으로, 51mm ≤ B1이면 Large 등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크기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크기 분류도 3가지가 아니라 4~5가지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 스캔 데이터에 2개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를 측정하여 기성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한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가 거리(B2)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측정한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에 따라 B2 ≤ 53mm이면 Small로, 53mm < B2 < 59mm이면 Medium으로, 59mm ≤ B2이면 Large 등으로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크기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크기 분류도 3가지가 아니라 4~5가지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1)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를 이용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1)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B1)로 나눈 비율 값(A1/B1)에 따라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 값(A1/B1)에 따라, A1/B1≤0.46mm이면 테이퍼형으로, 0.46mm<A1/B1<0.68mm이면 타원형으로, 0.68mm≤A1/B1이면 광장형 등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형태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형태 분류도 기준 값을 설정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2)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를 이용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한다. 이때,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A2)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B2)로 나눈 비율 값(A2/B2)에 따라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 값(A2/B2)에 따라, A2/B2≤0.48mm이면 테이퍼형으로, 0.48mm<A2/B2<0.63mm이면 타원형으로, 0.63mm≤A2/B2이면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형태 값은 예시로 적용했을 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형태 분류도 기준 값을 설정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상악 및 하악의 트레이가 상악 및 하악의 악궁 형태에 따라 테이퍼형, 타원형, 광장형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악 및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제 선택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1)는 환자의 악궁 형태 및 수직고경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악 교합제(90-1) 및 하악 교합제(90-2)를 선택한다.
상악 교합제(90-1)는 베이스(910-2) 및 베이스(910-2)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920-2)로 구성되어 교합부(920-2)의 높이가 조절되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된다. 교합부(920-2)의 소재는 무른 성질을 가진 소재, 연화성 소재, 열가소성 소재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왁스(Wax)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악 교합제(90-2)는 베이스(910-1) 및 베이스(910-1)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합 마커(920-1)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920-1)의 높이가 조절되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된다.
하악 교합제(90-2)의 경우, 베이스(910-1)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교합 마커(920-1)를 이용하여 하악 교합제(90-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복수의 교합 마커(920-1)는 콘, 원기둥, 다각형 블록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교합 마커는 연화성 소재, 열가소성 소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악의 베이스(910-1)는 레진 등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상악의 베이스(910-2)도 레진 등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상기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 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크기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을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상악의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크기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된 하악의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Maxillary Tuberosity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하악 트레이의 형태 선택을 위해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와 양측 Retromolar Pad Mesial를 랜드마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Maxillary Tuberosity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상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1 값보다 크고 제2 값보다 작으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2 값보다 크면 상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상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하악의 양측 Canine Prominence 간 거리를 양측 Retromolar Pad Mesial 간 거리로 나눈 비율 값을 계산하여 하악의 악궁 형태를 판단하고,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과 미리 설정된 크기 값을 비교하여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는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테이퍼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3 값보다 크고 제4 값보다 작으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계산한 비율 값이 제4 값보다 크면 하악 트레이의 형태를 광장형으로 미리 분류하여, 하악 트레이의 크기를 미리 분류된 크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은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
환자의 수직고경 높이에 대응되는 상악 교합제 및 하악 교합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악 트레이와 상악 교합제, 선택된 하악 트레이와 하악 교합제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합된 트레이 및 교합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을 스캔함에 따라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구강 내에서 측정되는 교합정보를 기초로 교합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교합 스캔 데이터와 하악운동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 환자의 스캔 데이터와, 형태 및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기성 트레이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환자의 스캔 데이터에 복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악궁 형태 및 크기를 판단한 후, 복수의 기성 트레이 중에서, 상기 판단된 악궁 형태 및 크기에 대응되는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선택된 기성 트레이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 장치. - 환자의 악궁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결착부를 포함하는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교합 마커로 구성되어 교합 마커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하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하악 교합제; 및
베이스 및 베이스의 상부 전체에 형성되는 교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교합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결착부를 통해 상악 트레이와 결합되는 상악 교합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복합체. - 제 14 항에 있어서, 상악 트레이 및 하악 트레이는
상악 및 하악의 스캔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한 거리 값을 통해 그 크기 및 형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복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ko) | 2021-08-02 | 2021-08-02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ko) | 2021-08-02 | 2021-08-02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0063A true KR20230020063A (ko) | 2023-02-10 |
KR102597703B1 KR102597703B1 (ko) | 2023-11-06 |
Family
ID=8522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1499A KR102597703B1 (ko) | 2021-08-02 | 2021-08-02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770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881A (ko) * | 2002-07-22 | 2002-08-14 | 남영희 |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
KR20070061979A (ko) * | 2005-12-12 | 2007-06-15 | 최대균 | 한국인 상악 및 하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및 이의 제작방법 |
US20110244415A1 (en) * | 2010-04-01 | 2011-10-06 | Mark Batesole |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
KR20200017565A (ko) * | 2018-07-23 | 2020-02-19 | 이기봉 | 3d프린팅기술을 이용한 틀니제작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KR102226949B1 (ko) | 2019-01-21 | 2021-03-17 | 남관우 |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
KR20210092925A (ko) * | 2020-01-17 | 2021-07-27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치아 교정 모델 분석 방법 및 장치 |
-
2021
- 2021-08-02 KR KR1020210101499A patent/KR1025977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5881A (ko) * | 2002-07-22 | 2002-08-14 | 남영희 |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
KR20070061979A (ko) * | 2005-12-12 | 2007-06-15 | 최대균 | 한국인 상악 및 하악 무치악궁에 적합한 예비인상용 트레이및 이의 제작방법 |
US20110244415A1 (en) * | 2010-04-01 | 2011-10-06 | Mark Batesole |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
KR20200017565A (ko) * | 2018-07-23 | 2020-02-19 | 이기봉 | 3d프린팅기술을 이용한 틀니제작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틀니 제작방법 |
KR102226949B1 (ko) | 2019-01-21 | 2021-03-17 | 남관우 |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
KR20210092925A (ko) * | 2020-01-17 | 2021-07-27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치아 교정 모델 분석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7703B1 (ko) | 202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yama et al. | Trueness and precision of digital impressions obtained using an intraoral scanner with different head size in the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 |
Albdour et al. | A novel in vivo method to evaluate trueness of digital impressions | |
US88999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 |
WO2018112724A1 (zh) | 基于数据挖掘的全口义齿制作方法和装置 | |
CN105078598B (zh) | 无牙颌个性化印模托盘的数字化制备方法 | |
CN113412098B (zh) |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 |
JP2008136865A (ja) | 3次元リバース・エンジニアリング技術を用いた歯移動自動測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US899861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 |
JP2017525408A (ja) | 歯肉モデルの仮想二次加工方法 | |
Heintze et al. | Wear of two denture teeth materials in vivo—2-year results | |
Guzmán et al. | Evaluation of three-dimensional printed virtual setups | |
CN105596106B (zh) | 一种分段取模由计算机配准组合采集完整牙列模型的方法 | |
KR102538636B1 (ko)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
KR102597703B1 (ko) |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 |
Meneghello et al. |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the functional design of dental prosthesis | |
CN105411716A (zh) | 一种无牙颌牙槽嵴牙尖交错位直接测定方法 | |
JPH09238959A (ja) | 総義歯作製方法 | |
JPH09206319A (ja) | 有床義歯設計支援装置 | |
WO2014002513A1 (ja) | 咬合採得法及び歯科用3d図作成方法と歯科用3d図作成プログラム | |
JPH09238960A (ja) | 総義歯の作製法 | |
Park et al. | Optical impression in restorative dentistry | |
KR102388411B1 (ko) | 트레이 제조방법, 데이터 이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 |
US1198052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tic device | |
KR102474299B1 (ko) |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 |
Reyes | Clinical application of digitalization of occlusal contacts with dental scan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