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040A -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040A
KR20230020040A KR1020210101283A KR20210101283A KR20230020040A KR 20230020040 A KR20230020040 A KR 20230020040A KR 1020210101283 A KR1020210101283 A KR 1020210101283A KR 20210101283 A KR20210101283 A KR 20210101283A KR 20230020040 A KR20230020040 A KR 2023002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monitoring target
information
serve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윤석
전은진
안성열
차병래
Original Assignee
제노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노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040A/ko
Publication of KR2023002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의 중요도 및 환경 등에 의해 설정된 수집주기에 따라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함으로 인해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대상서버(1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와, 미리 감시대상서버에 대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로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관리자기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MONITEORING SYSTEM FOR IoT SERVICE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의 중요도 및 환경 등에 의해 설정된 수집주기에 따라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함으로 인해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물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시간, 장소, 사물이 제약 없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새로운 차원의 환경 하에서 모든 사물에 인터넷 주소를 부여하고 모바일로 각각의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공유, 통신하는 시점과 그 환경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IoT 기술을 통해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한 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다. IoT 기술은 주로 가정에 적용되며, 도어락, 가스 감지센서, 화재 감지센서, 보일러 등의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IoT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술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21-0064839호(공개일자: 2021년 06월 03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전력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장비동작정보 및 상기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즉, 모니터링 시스템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서버와, 모니터링서버가 존재하며, 모니터링대상서버에 구성된 에이전트를 통해 성능정보와 구성정보 등의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메트릭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로 푸쉬(PUSH)하는 방식으로 전송한다. 그 후 모니터링서버에서 해당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관리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리포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푸쉬(PUSH) 방식은 짧은 배치작업에 유리하고 감시대상 서버의 클라이언트가 직접 모니터링 서버로 데이터를 푸쉬(PUSH)하기 때문에 메트릭 데이터의 손실이 적고 소규모 인프라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ICT 융합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IoT, AI 등 여러가지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어 모니터링 대상이 증가하고 인프라 구조가 점점 커짐으로 인해 푸쉬(PUSH)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시대상 서버가 다운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서버에 메트릭 데이터를 푸쉬(PUSH)함에 따라 트래픽이 초과되어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모니터링 서버 뿐만 아니라 다른 감시대상 서버에도 영향을 끼치는 병목현상(Bottle neck)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푸쉬(PUSH)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시대상을 유연하게 변경하기 어려우며, 감시대상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감시대상을 유연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연성과 자동화 편의성, 유지보수 등 복잡하고 거대한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감시대상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의 중요도 및 환경 등에 따라 수집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수집주기에 따라 풀(PULL) 방식으로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함으로 인해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의 정보를 기반으로, HTTP(TC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대상서버(1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와, 미리 감시대상서버에 대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로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관리자기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 내지 상기 관리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니터링통신부(210)와,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을 설정한 후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감시대상설정부(22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감시대상 에이전트정보를 포함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된 감시대상DB부(23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정보가 저장된 관리자DB부(240)와,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정보설정부(250)와, 상기 검색정보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데이터인출부(26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부(270)와,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에서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이상판단부(28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후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모니터링제공부(2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리자기기(30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관리자통신부(310)와, 상기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관리자입력부(32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감시대상리스트를 수신받아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기 위한 중요도설정부(33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모니터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40)와,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니터링서버(200)에서 IoT 서비스를 제공하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가 설치된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에 대한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감시대상정보를 저장하는 감시대상리스트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감시대상리스트를 수신받은 관리자기기(300)에서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각각 중요도를 설정하여 중요도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하는 중요도설정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중요도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라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하는 검색정보설정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감시대상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접근하여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는 데이터인출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인출된 메트릭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비교판단하는 데이터이상판단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이상알림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동일하거나 상기 이상알람정보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고 시각화하여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제공단계와, 상기 관리자기기(300)에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의 중요도 및 환경 등에 따라 수집주기를 설정할 수 있어 감시대상에 따라 유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면서 중요한 감시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자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집주기에 따라 풀(PULL) 방식으로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함으로 인해 다수의 감시대상에 대한 데이터가 모니터링서버로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복잡하고 거대한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감시대상을 동적으로 지정한 환경에서 감시대상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감시대상서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의 정보를 기반으로, HTTP(TC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음으로써 데이터의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통신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시대상으로부터 수집할 데이터의 전송오류나 이상 등을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경고알람을 제공함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기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푸쉬(PUSH)방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기기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푸쉬(PUSH)방식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대상서버(1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와, 미리 감시대상서버에 대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로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관리자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IoT 장치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성능정보는 IoT 장치의 센싱 데이터 타입, 단위와 동작범위를 포함한 스펙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정보는 IoT 장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는 IoT 장치의 ID, 이름을 식별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각각 설치되어 동작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수집한다. 즉, 상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는 각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 구성정보, 장애정보 등을 수집하게 되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 내지 상기 관리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니터링통신부(210)와,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을 설정한 후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감시대상설정부(22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감시대상 에이전트정보를 포함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된 감시대상DB부(23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정보가 저장된 관리자DB부(240)와,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정보설정부(250)와, 상기 검색정보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데이터인출부(26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부(270)와,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에서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이상판단부(28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후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모니터링제공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통신부(21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 내지 상기 관리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는,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을 설정한다.즉,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는 DNS(Domain Name System) 또는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다수의 감시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는 인프라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모니터링해야 할 감시대상이 주기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감시대상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음으로 인해 감시대상을 동적으로 지정한 환경에서 감시대상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경우 다른 감시대상서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에서는 상기 설정된 다수의 감시대상을 리스트화하여 감시대상리스트로 생성한다.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에서 생성된 감시대상리스트는 상기 관리자기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감시대상DB부(230)는, 상기 감시대상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감시대상 에이전트정보를 포함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감시대상DB부(230)에 모니터링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할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으로 인해 추후 감시대상정보를 통해 스토리지부(270)에 대한 예측된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자DB부(240)는,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관리자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DB부(240)에는 상기 감시대상별로 관리자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검색정보설정부(250)는,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라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검색정보는 감시대상에 대한 감시대상정보와, 상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주기인 수집주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집주기는 감시대상에 따라 메트릭 데이터의 중요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대상의 중요도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감시대상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짧은 주기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감시대상서버#1의 수집주기를 5초로 설정하고, 중요도가 보통인 감시대상서버#2의 수집주기를 10초로 설정하고, 중요도가 낮은 감시대상서버#n의 수집주기를 6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주기는 감시대상의 중요도 뿐만 아니라 감시대상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감시대상별로 수집주기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감시대상서버 상태에 대해 자세하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감시대상에 따라 유연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검색정보설정부(250)가 구성됨으로써 감시대상별로 검색정보가 설정되어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감시대상의 성능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감시대상에 대한 성능정보 등이 중첩되어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인출부(260)는, 상기 검색정보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다.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인출부(260)에서는 상기 검색정보의 감시대상정보를 기반으로 HTTP(TCP)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EndPoint를 통해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직접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다.
상기 메트릭 데이터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하면서 타임스탬프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인출부(26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가 One-way-Communication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와의 통신과정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종래의 모니터링시스템은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DP 통신을 통해 푸쉬(PUSH) 방식으로 감시대상 에이전트에서 모니터링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모니터링서버가 감시대상서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데이터에 대한 명확성과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감시대상 에이전트에서푸쉬(PUSH) 방식으로 모니터링서버로 메트릭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인해 어느 하나의 감시대상서버가 다운되어 더 이상 모니터링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서버에 메트릭 데이터를 푸쉬(PUSH)함으로 인해 트래픽이 초과하여 다른 감시대상서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인출부(260)는 종래의 모니터링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HTTP 통신을 통해 풀(PULL) 방식으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기 때문에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할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를 알고 있어 상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서 인출한 메트릭 데이터에 대한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데이터인출부(260)는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서버(100)로 직접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어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른 감시대상서버에 악영향을 끼치는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부(270)는,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상기 스토리지부(270)는 상기 검색정보의 감시대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감시대상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부(270)는 상기 감시대상DB부(230)의 감시대상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감시대상에 따라 예측된 설계를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는, 미리 감시대상별로 정상데이터값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는 상기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에서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를 비교판단한다.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정상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시대상이 온도일 경우,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에는 상기 감시대상에 대한 정상데이터값을 2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로부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15℃이면, 상기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와 상기 정상데이터값이 비동일하기 때문에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는 상기 감시대상별로 저장된 정상데이터값을 활용하여 상기 메트릭 데이터의 손상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감시대상의 검색정보와 상기 메트릭 데이터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메트릭 데이터의 수집주기 및 모니터링 시간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는 상기 스토리지부(270)에 누적저장된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의 장애, 성능유지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이상여부를 판단함으로 인해 해당 감시대상의 장애, 성능저하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에서 생성된 이상알람정보는 상기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기기(3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감시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로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가 구성됨으로 인해 감시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의 효율적으로 운영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감시대상의 현재상태를 판단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제공부(290)는,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니터링제공부(290)는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분석하고 리포팅하여 Grafana 또는 API Client 등을 통해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그래프 또는 게이지 등과 같이 시각화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제공부(290)를 통해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모니터링정보를 상기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함으로써 모니터링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관리자가 감시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니터링서버(200)는 풀(PULL)방식을 통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접근하고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여 수집함으로 인해 모니터링 대상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자동화의 편의성, 유지보수 등 복잡하고 거대한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자기기(3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관리자통신부(310)와, 상기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관리자입력부(32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감시대상리스트를 수신받아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기 위한 중요도설정부(33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모니터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40)와,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통신부(31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입력부(320)는, 상기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자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정보는 관리자의 이름, 비상연락처, 이메일 등이 포함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입력부(320)에서 생성된 관리자정보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중요도설정부(33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따라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설정부(330)에서는 감시대상의 중요도를 높음, 보통, 낮음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요도설정부(330)는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지대상을 자신이 원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대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경우에 따라서 감지대상을 모니터링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중요도설정부(330)는 상기 감지대상리스트의 감지대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여 중요도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중요도설정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요도설정부(330)는 관리자에 의해 감지대상의 수집주기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감지대상에 대한 중요도와 입력된 수집주기가 더 포함되어 중요도설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요도설정정보를 수신받은 모니터링서버(200)에서는 상기 검색정보설정부(250)를 통해 상기 감시대상별 수집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요도설정부(330)를 통해 감시대상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어 상기 감시대상에 따라 유연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환경 등에 민감한 감시대상을 자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어 미연에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모니터링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모니터링저장부(35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감시대상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대상별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모니터링저장부(350)는 감시대상별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저장부(350)를 통해 감시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시간순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용이하게 감시대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방법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의 감시대상설정부(220)에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을 설정하며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감시대상DB부(230)에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정보를 저장한다(S10).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감시대상리스트를 상기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기기(300)는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각각 중요도를 설정하여 중요도설정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한다(S20).
상기 감시대상의 중요도는 높음, 보통, 낮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의 검색정보설정부(250)는 상기 중요도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라 수집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감시대상별로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다(S30).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감시대상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접근하여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다(S40).
즉,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감시대상의 최근 메트릭데이터를 인출한 시각과 현재시각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 시각인지 판단하고, 상기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 시각이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접근하여 현재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다. 또한, 상기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는 시각이 아니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접근하지 않는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의 스토리지부(270)는 상기 인출된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한다(S50). 이때, 상기 스토리지부(270)는 감시대상별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의 데이터이상판단부(280)는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비교판단한다(S60).
이때,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에서는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의 값과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을 비교판단해야 한다.
상기 데이터이상판단부(280)에서는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한다(S70). 반면,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메트릭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는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동일하거나 상기 이상알람정보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고 시각화하여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한다(S80).
상기 관리자기기(300)에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이 디스플레이한다(S90).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 구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감시대상의 중요도에 의해 수집주기를 설정한 검색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직접 액세스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게 된다. 이에, 상기 감시대상의 중요도에 따라 수집주기를 설정할 수 있어 감시대상별로 유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면서 중요한 감시대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자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서버(200)가 풀(PULL) 방식으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로부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함으로 인해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복잡하고 거대한 인프라를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관리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감시대상을 동적으로 지정한 환경에서 감시대상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감시대상서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됨으로 인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정보를 기반으로, HTTP(TC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로 접근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어 데이터의 명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통신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대상의 메트릭 데이터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감시대상의 장애 등을 관리자에게 경고알람을 제공함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감시대상서버 110: 감시대상 에이전트
200: 모니터링서버 210: 모니터링통신부
220: 감시대상설정부 230: 감시대상DB부
240: 관리자DB부 250: 검색정보설정부
260: 데이터인출부 270: 스토리지부
280: 데이터이상판단부 290: 모니터링제공부
300: 관리자기기 310: 관리자통신부
320: 관리자입력부 330: 중요도설정부
340: 디스플레이부 350: 모니터링저장부

Claims (4)

  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대상서버(1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와,
    미리 감시대상서버에 대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로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검색정보에 따라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이용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관리자기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감시대상서버(100) 내지 상기 관리자기기(300)와 통신하기 위한 모니터링통신부(210)와, 상기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을 설정한 후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감시대상설정부(22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감시대상 에이전트정보를 포함한 감시대상정보가 저장된 감시대상DB부(230)와,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정보가 저장된 관리자DB부(240)와, 상기 저장된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른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정보설정부(250)와, 상기 검색정보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로부터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데이터인출부(26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부(270)와,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에서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이상판단부(280)와,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후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기 위한 모니터링제공부(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기기(30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관리자통신부(310)와, 상기 감시대상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관리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관리자입력부(32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감시대상리스트를 수신받아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대한 중요도를 설정하기 위한 중요도설정부(33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모니터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40)와,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저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4. 모니터링서버(200)에서 IoT 서비스를 제공하며 감시대상 에이전트(110)가 설치된 감시대상서버(100)를 탐색하여 감시대상에 대한 감시대상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감시대상의 감시대상서버(100)에 대한 감시대상정보를 저장하는 감시대상리스트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감시대상리스트를 수신받은 관리자기기(300)에서 상기 감시대상리스트의 감시대상에 각각 중요도를 설정하여 중요도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하는 중요도설정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수신받은 중요도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대상별 중요도에 따라 수집주기를 포함한 검색정보를 설정하는 검색정보설정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감시대상의 수집주기에 따라 HTTP 통신을 통해 해당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 에이전트(110)에 접근하여 상기 감시대상서버(100)의 성능정보와 구성정보를 포함한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하는 데이터인출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인출된 메트릭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미리 설정된 감시대상별 정상데이터값 중 상기 메트릭 데이터를 인출한 감시대상서버(100)의 감시대상정보에 대응되는 정상데이터값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비교판단하는 데이터이상판단단계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에서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비동일할 경우에 해당 정상데이터값과 비동일한 성능정보를 포함한 이상알람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는 이상알림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상데이터값과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의 성능정보가 동일하거나 상기 이상알람정보를 전송한 경우에 상기 인출된 메트릭 데이터를 가공하고 시각화하여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해당 관리자기기(300)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제공단계와,
    상기 관리자기기(300)에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수신받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101283A 2021-08-02 2021-08-02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23002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83A KR20230020040A (ko) 2021-08-02 2021-08-02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283A KR20230020040A (ko) 2021-08-02 2021-08-02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40A true KR20230020040A (ko) 2023-02-10

Family

ID=8522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283A KR20230020040A (ko) 2021-08-02 2021-08-02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4894B (zh) 一种智能变电站过程层网络监测管理系统
US10601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ult conditions in a network
US11706079B2 (en) Fault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3027970A1 (ko) 네트워크의 이상증후를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335271A (zh) 一种状态监控装置、综合监控系统和方法
US11283638B1 (en) Determining the status of a node based on a distributed system
CN111488258A (zh) 一种用于软硬件运行状态分析与预警的系统
EP1269318A1 (en) Method of monitoring the availability of a messaging and voip network
CN117520096B (zh) 一种智能服务器安全监控系统
EP1622310B1 (en) Admin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management systems
US20060053021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an information system
KR20230020040A (ko) IoT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učera et al. Fault Detection in Building management system networks
CN116506278A (zh) 一种基于zabbix的异常监控平台
EP3607767B1 (en) Network fault discovery
KR101556781B1 (ko) 네트웍 장비 예측 장애 및 수명 정보 서비스 시스템
CN111988172B (zh) 一种网络信息管理平台、装置及安全管理方法
CN114143160A (zh) 一种云平台自动化运维系统
JP5544541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監視モニタ装置
CN114710389B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装置
CN114338110B (zh) 态势感知中威胁信息的预测防御方法、装置及系统
KR102293044B1 (ko) 융합관리 플랫폼인 아이씨밤의 트래픽 성능 오탐방지 및 장애예측 장치
CN113033829A (zh) 一种物业设备巡查运行数据导出方法
CN117749826A (zh) 一种水泥预制构件地下状态监测系统软件平台构建方法
KR100608917B1 (ko) 분산 포워딩 구조 라우터의 장애 정보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