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363A -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 Google Patents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363A
KR20230019363A KR1020210101005A KR20210101005A KR20230019363A KR 20230019363 A KR20230019363 A KR 20230019363A KR 1020210101005 A KR1020210101005 A KR 1020210101005A KR 20210101005 A KR20210101005 A KR 20210101005A KR 20230019363 A KR20230019363 A KR 2023001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air dye
thickener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626B1 (ko
Inventor
신홍철
전용철
김승재
Original Assignee
신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홍철 filed Critical 신홍철
Priority to KR102021010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염모제로서, 과산금속염; 카카오분말; 발현염료; 점증제를 포함하여 모발에 윤기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우수한 염색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분말 염모제가 제공된다. 또한, 점증제로서 쑥 분말을 포함하여 두피 염증 억제 및 두피 자극 완화 기능을 갖는 분말 염모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Powder for Hair Dye Containing Cacao}
본 발명은 카카오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분말 염모제는 통상적인 액상 염모제와는 달리 분말 타입으로 포장되어 운송 및 보관하기 편리하며, 사용 직전 사용자가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물에 용해시 과산화수소를 발생할 수 있는 과산염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과산화수소는 모발 내로 침투하고, 과산화수소에서 생성된 산소는 모발내의 멜라닌 색소를 산화시켜 모발을 탈색시키고, 과산화수소 또는 공기 중의 산소 성분이 침투된 염료의 중간체와 커플러 성분을 축중합시켜 발현된 색소에 의해 발색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를 통상 염색이라 일컫는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 염모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말 자체의 색상이 변질되며, 염색력이 2제의 액상 염모제보다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염색과정 중에는 p-Phenylenediamine(PPD)과 같은 산화염료에 의한 알레르기와 염료 및 과산화수소 등에 의한 두피자극이나 모발손상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고, 모발에 염모제가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는 경우에 의해서 원하는 염색 색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공보 1020160064132 (2016.06.07)
본 발명은 염색시 모발에 코팅력이 높아 염색 후에 모발에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하고, 모발 전체에 균일한 색상 발현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분말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말 염모제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산염의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장시간 보관후에도 분말이 변색되지 않고, 염색력이 높은 분말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염색시 모발에 코팅력이 높아 염색 후에 색상발현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는 분말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사용시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분말 염모제로서,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 카카오(Cacao)분말; 중간체와 커플러를 포함하는 발현염료; 및 천연성분 유래의 제1점증제 및 상기 제1점증제와 다른 제2점증제를 포함하는 점증제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카카오 분말은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점증제는 쑥 분말, 다시마 분말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증제는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3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점증제는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구아계 점증제, 덱스트린계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점증제는 상기 제1점증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 염모제는 상기 과산 금속염을 감싸면서 수분을 차단하거나 건조시키는 방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 금속염과 상기 방습제는 코어와 쉘로 구성되는 마이크로비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어는 과탄산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습제는 상기 쉘 중 최외각 쉘에 포함되며, 황산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는 0.5 내지 3 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현염료는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구조체로 발현되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20 범위 내이다.)
이때, 상기 발현염료는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말 염모제는 분산제와 상기 쉘과 동일한 성분의 방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말 염모제를 물에 1:5~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는 10,000 cPs 내지 70,000 cPs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는 염색시 발생할 수 있는 모발에 영양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천연 유효성분을 사용하여 윤기 있고 촉촉한 동시에 우수한 염색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분말 염모제는 과산 금속염을 사용전까지 봉입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도 차단할 수 있어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분말의 색상이 변색되지 않고, 사용시 물에 용해시 과산화수소의 용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균일한 색소 발현을 제공할 수 있어 분말 염모제용 필수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비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염모색상을 도시한 사진을 정리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반드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할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과산금속염, 방습제, 카카오분말, 점증제, 발현염료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과산 금속염은 화학 가수분해형 과산 금속염, 효소분해형 과산 금속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학 가수분해형 과산 금속염일 수 있다. 이 때, 과산금속염은 적어도 2종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과산 금속염의 구체적인 예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등과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크고 물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물 내에서 쉽게 분해되어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과탄산나트륨일 수 있다.
방습제는 분말 염모제를 비롯한 염모제 분야에서 수분차단제 또는/및 건조제로서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를 방해하지 않고 물과 접촉전까지는 과산 금속염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게 하며, 사용을 위해 물과 접촉시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를 방해하지 않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황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과산 금속염과 방습제는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제습작용을 위하여 과산 금속염이 방습제가 이루는 막의 내부에 봉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습제는 과산 금속염이 이루는 코어상의 쉘 또는 최외곽 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이크로비드는 방습제를 외부 쉘에 포함시켜,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면서도 미사용시 습기를 차단하며, 사용시 물에 대한 용해력이 뛰어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는 0.5 내지 3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제습 효과와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과산 금속염과 방습제가 상기 범위 내에서는 용출거동이 안정화되지만, 100:0.5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방습제 농도가 낮아지면 수분차단 효과가 감소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과산화수소의 용출거동이 불안정하고 불일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비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에 따르면 마이크로비드는 코어-쉘의 구조를 가지며, 코어에는 과산 금속염이 포함되고, 쉘에는 방습제가 포함된다.
또한 마이크로비드의 평균직경은 0.2mm 내지 1.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균일한 코팅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증제가 엉기는 문제점이 생긴다.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의 제조방법은 비제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산 금속염을 제조하고, 55 내지 60℃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방습제 코팅 물질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한다.
카카오분말은 볶은 카카오를 분쇄해 가루로 만든 후, 압착해 카카오 버터를 분리하고 그 나머지를 건조, 분쇄한 분말이다.
카카오(Cacao)는 원산지가 중남미인 열대 식물인 카카오 나무의 열매이며, 이 열매를 세로로 자르면 옥수수처럼 하얀 과육 안에 30여 개의 카카오 콩이 박혀 있다. 이 카카오 콩을 발효 및 건조해 덖은 뒤 껍질을 벗겨 잘게 부순 것을 카카오닙스라고 하며, 카카오닙스를 더 곱게 빻아 카카오분말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카테킨, 폴리페놀, 지방산 및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다.
카테킨은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서, 화학구조상 하이드록시기(-OH)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물질과 쉽게 결합하는 성질이 있고, 염증 조절에 도움을 주며, 폴리페놀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항염증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카카오는 철분, 칼슘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동, 아연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모발에 영양감을 공급해 주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분말 염모제에 포함된 카카오는 각종 미네랄과 영양소가 두피 및 모발에 침투하여 불순물을 걸러내면서 영양분을 공급해 윤기 있고 촉촉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염색 시 염모제가 모발에 잘 부착하여 모발 표면을 윤기있고 매끈하게 코팅시킴으로써 염모 후에 모발 전체에 균일한 색상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 때, 카카오분말은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모발에 충분한 영양감과 윤기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혼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점증제는 천연성분 유래의 제1점증제 및 상기 제1점증제와는 다른 제2점증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제1점증제는 분말 염모제에 포함되어 점증에 효과가 있는 천연성분으로서 쑥 분말 또는 다시마 분말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쑥 분말 및 다시마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제1점증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3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점도가 저하되고, 천연성분에 의한 유효한 두피자극 완화 및 염증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혼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쑥 분말 또는 다시마 분말은 쑥 또는 다시마를 그라인더밀과 같은 분쇄기로 분쇄한 후 가는체에 걸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쑥을 잎과 대로 나누었을 때, 쑥 분말의 구성 성분은 분말 전체 중 잎이 9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며, 국내에는 38종이 분포되어 있고, 식품이나 화장료 등에 포함되어 항균, 항염, 진정, 영양공급, 자극완화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히 쑥의 성분 중에는 방부성 및 향균성이 우수한 1,8-시네올(1,8-Cineol)과 항산화 및 소염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염모제 사용으로 인한 피부자극과 자극적인 냄새를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쑥은 대표적으로 비쑥, 물쑥, 사철쑥, 황해쑥, 인진쑥, 덤블쑥 등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분말염모제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으로서 인진쑥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진쑥은 쑥의 일종으로, 특히 생명력이 가장 강한 것을 인진쑥이라 하며,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용식물 중 하나이다.
인진쑥은 비타민A, B, 그리고 C등과 철분, 칼슘, 칼륨, 인과 같은 미네랄 등 유익한 성분들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건조 방지 기능과 항 알레르기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곰팡이와 독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어 분말염모제의 장기 안정성을 높여주고, 두피에 적용시 비듬, 세균, 노폐물 등을 소독함에 따라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피부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인진쑥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섬유질, 단백질, 지방, 당질, 나아신 등을 함유하고 있어 두피와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여 염색 이후의 모발상태에 건강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시마는 다양한 미네랄, 단백질, 비타민, 알긴산(alginic acid), 푸코이딘(fucoidin), 옥소 등을 포함하여 두피 및 모발에 영양을 부여하고, 모발을 부드럽고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알긴산과 푸코이딘은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 많이 존재하는 점액질 성분으로서, 분말염모제에 적용하여 제품의 점착성과 점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알레르기, 항염증 등의 효과가 있어서 가려움 및 따가움 등이 유발되는 민감성 두피에 자극을 최소화하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옥소는 모발 발육 촉진제로서, 탈모를 억제하고 모발에 윤기를 줄 수 있다.
제2점증제는 염모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구아계 점증제, 덱스트린계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점증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제2점증제는 제1점증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9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점도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혼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셀룰로오스계 점증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스타치를 비롯하여 이 분야에서 점증제 또는 농축제로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1% 수용액 점도가 1000 내지 3000 이고 에테르화도가 0.7 내지 0.9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후술하는 점도범위를 비롯한 점증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과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스타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스타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장기 보관시에도 사용감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구아계 점증제로는 구아계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덱스트린계 점증제로는 덱스트린계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점증제로 포함되는 쑥 분말 또는 다시마 분말은 종래 염모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인 제2점증제의 일부를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염모제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쑥 또는 다시마의 유효성분으로 인해 두피와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영양감을 부여해 줄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일 구현예에서, 분말 염모제의 점증제는 제1점증제 30 내지 40 중량%, 제2점증제인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10 내지 20 중량%, 덱스트린계 점증제 40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점증제는 제1점증제 7 내지 15 중량%,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10 내지 20 중량%, 덱스트린계 점증제 65 내지 75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현염료는 통상적으로 중간체와 커플러를 포함하며, 발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서 중간체와 커플러는 다른 종류 및 다른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간체와 커플러의 각 성분은 PPD(p-Phenylenediamine), PPDS(p-Phenylenediamine sulfate), TDS(Toluene-2,5-diamine sulfate), MAPS(m-Aminophenol sulfate), PAPS(p-Aminophenol sulfate), MAP(m-Aminophenol), PAP(p-Aminophenol), RS(Resorcinol), 24DAPE(2,4-Diaminophenoxyethanol Dihydrochloride)로 이루어지는 성분에서 선택된다.
이 때, 중간체 및 커플러의 평균직경은 0.1mm 내지 0.7mm이고,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입자가 가벼워 날리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증제와 엉켜 발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중간체와 커플러는 모발 속으로 침투하여 중합하여 발현염료로 작용하게 되는데, 발현염료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색소를 형성하여 모발을 염색하게 된다.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20 범위 내이다.)
발현염료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염료조성비의 부족으로 충분한 염모력을 얻을 수 없어 발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기대하는 최적 색상의 염색효과를 기대할수 없고 피부착색의 문제점이 생긴다. 화학식 1에 따른 조성의 발현염료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 성분에서 얻어지는 과산 금속염 유래의 산소(O2)에 의해 발현될 수 있다.
특히, [MAPS] 및 [PAPS] 를 포함시킬 경우 발현 색소의 선명한 발색성과 함께 세척견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분산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파우더가 뭉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흰색 가루가 석출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때 분산제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등을 포함하여 염모제 분야에서 분산제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물에 1:5 내지 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25℃, 1분간, 회전속도 6rpm의 조건에서 측정한 점도가 10,000 내지 70,000 cPs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15,000 내지 50,000 cPs이다. 이때 점도값은 크림 타입으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통상 70,000 cPs 부근을 나타내는 점을 고려할 때 물에 용해시킨 다음 모발에 액상 타입으로 적용하기에 흘러내리지 않은 정도의 적절한 점도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pH는 6 내지 9 인 것이 색조 안정성 및 세척견뢰성 등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염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붉은 색상이 발현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때, 분말 염모제의 pH 조절과 효과적인 수분차단을 위해서 전술한 마이크로비드의 쉘과 동일한 성분의 방습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점증제 및 분산제는 실리카, 오일, 오산화인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코팅제로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산제 및 점증제로 침투하는 수분차단기능을 제공하여 염색효과가 높아지며, 보관시에도 수분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시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과산 금속염에 방습제와 분산제 및 점증제에 코팅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제조공정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수분량이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높다.
이 때, 코팅제는 각 점증제 또는 분산제 100중량부에 대해서 0.5 내지 3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분말 염모제는 제조후 60일 경과 후 과산 금속염을 방습제로 코팅한 경우 4% 이하, 과산 금속염에 방습제와 분산제 및 점증제에 코팅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3% 이하의 수분함유량을 가진다. 이 때, 염모제의 수분함유량은 수분을 증발시켜 남은 시료의 중량인 제습량의 측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즉, 제조 후 6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상기 수분함유량을 가진 분말 염모제는 제조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상기 수분함유량 이하의 수분량을 가진다. 이러한 수분량을 함유한 분말 염모제는 염색효과를 증대시키며, 특히 Lab색좌표계에서 L의 값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실시예
<실시예 1: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탄산나트륨 100g을 제조하고, 55 내지 60℃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2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마이크로비드의 평균크기는 0.7mm이다.
<실시예 2: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탄산나트륨 100g을 제조하고, 55 내지 60℃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1.5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마이크로비드의 평균크기는 0.6mm이다.
<실시예 3: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탄산나트륨 100g을 제조하고, 55 내지 60℃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2.5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마이크로비드의 평균크기는 0.8mm이다.
<실시예 4: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3.5g (코팅층 0.265g), 카카오분말 5g, 발현염료 13.79g, 제1점증제 20g, 제2점증제 28.8g, 분산제 1g, 방습제 11.41g을 혼합하여 자연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5.45g, m-아미노페놀 설페이트 1.47g, p-아미노페놀 설페이트 4.25g, 레조시놀 2.62g을 사용하였고, 제1점증제로 쑥 분말 20g,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8.8g, 덱스트린 20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11.4g, 산화방지제로서 소듐아스코베이트 5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3.5g (코팅층 0.265g), 카카오분말 5g, 발현염료 13.79g, 제1점증제 5g, 제2점증제 43.8g, 방습제 11.41g을 혼합하여 자연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5.45g, m-아미노페놀 설페이트 1.47g, p-아미노페놀 설페이트 4.25g, 레조시놀 2.62g을 사용하였고, 제1점증제로 다시마 분말 5g,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8.8g, 덱스트린 40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11.4g, 산화방지제로서 소듐아스코베이트 5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3.5g (코팅층 0.265g), 카카오분말 5g, 발현염료 13.79g, 제1점증제 40g, 제2점증제 8.8g, 분산제 1g, 방습제 11.41g을 혼합하여 자연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5.45g, m-아미노페놀 설페이트 1.47g, p-아미노페놀 설페이트 4.25g, 레조시놀 2.62g을 사용하였고, 제1점증제로 쑥 분말 35g, 다시마 분말 5g,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8.8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11.4g, 산화방지제로서 소듐아스코베이트 5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분말 염모제>
실시예 2의 마이크로비드 13.5g (코팅층 0.20g), 카카오분말 5g, 발현염료 13.26g, 제1점증제 40g, 제2점증제 8.8g, 분산제 1g, 방습제 11.94g을 혼합하여 어두운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7.64g, m-아미노페놀 설페이트 1.52g, 톨루엔 2,5-디아민 설페이트 1.78g, p-아미노페놀 설페이트 1.1g, 레조시놀 1.22g을 사용하였고, 제1점증제로 쑥 분말 35g, 다시마 분말 5g,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8.8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11.94g, 산화방지제로서 소듐아스코베이트 5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분말 염모제>
실시예 3의 마이크로비드 13.5g (코팅층 0.329g), 카카오분말 5g, 발현염료 16.97g, 제1점증제 40g, 제2점증제 8.8g, 분산제 1g, 방습제 8.23g을 혼합하여 흑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12.6g, m-아미노페놀 설페이트 0.77g, 톨루엔 2,5-디아민 설페이트 3.6g을 사용하였고, 제1점증제로 쑥 분말 35g, 다시마 분말 5g,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8.8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8.23g, 산화방지제로서 소듐아스코베이트 5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 분말 염모제>
마이크로비드 대신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분말화에 의해 제조한 과탄산나트륨 13.17g를 사용하고,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8.56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같이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분말 염모제>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분말화에 의해 제조한 과탄산나트륨 24.88g, 발현염료 23.99g, 제2점증제 21.54g, 분산제 1.99g, 방습제 24.88g을 혼합하여 밝은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8.56g, m-아미노페놀 3.98g, p-아미노페놀 8.95g, 레조시놀 2.49g을 사용하였고, 제2점증제로 셀룰로오스검 11.59g,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트 4.97g, 덱스트린 4.97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99g을 사용하였다. 또한 방습제로서 소듐설페이트 24.88g을 사용하였고,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석포석시네이트 2.73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분말 염모제>
점증제로 제2점증제인 셀룰로오스검 8.8g, 덱스트린 45g을 사용하였고, 카카오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의 분말 염모제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자연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분말 염모제>
점증제로 제1점증제인 쑥 분말 40g, 다시마 분말 5g, 제2점증제인 셀룰로오스검 8.8g을 사용하였고, 카카오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의 분말 염모제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자연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비드 카카오분말 발현염료 제1점증제 제2점증제 분산제 방습제 색상
실시예 4 13.5g 5g 13.79g 20g 28.8g 1g 11.41g 자연갈색
실시예 5 13.5g 5g 13.79g 5g 43.8g 1g 11.41g 자연갈색
실시예 6 13.5g 5g 13.79g 40g 8.8g 1g 11.41g 자연갈색
실시예 7 13.5g 5g 13.26g 40g 8.8g 1g 11.94g 어두운갈색
실시예 8 13.5g 5g 16.97g 40g 8.8g 1g 8.23g 흑색
실시예 9 과탄산나트륨13.5g 5g 16.97g 40g 8.8g 1g 8.56g 흑색
비교예 1 과탄산나트륨
24.75g
23.99g 0g 21.54g 1.99g 24.88g 밝은갈색
비교예 2 13.5g 13.79g 0g 53.8g 1g 11.41g 자연갈색
비교예 3 13.5g 13.79g 45g 8.8g 1g 11.41g 자연갈색
<실험예 1 : 코팅력 평가>
실시예 6과 비교예 3의 분말 염모제를 물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솔로 사람의 두발에 도포한 후 30℃ 이하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염모제 도포액을 씻어내고, 샴푸에 의한 세정 및 린스에 의한 트리트먼트 처리를 각 1회 한 후, 드라이어로 두발을 건조시키고서 염모제의 모발 코팅력을 현미경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3의 분말 염모제는 자연 갈색을 나타내었고, 도 2는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카카오분말을 포함하는 실시예 6의 분말 염모제로 염색된 모발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염색이 되었고, 염색 전 모발 상태와 비교하여 염색 후 모발의 윤기가 더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3의 분말 염모제로 염색된 모발은 실시예의 분말 염모제로 염색된 모발의 상태와 비교하여 색상이 균일하지 못하고, 표면이 거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초기조작성 및 경시안정성 평가>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분말 염모제에 대하여 초기 조작성 및 경시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초기조작성은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분말 염모제를 물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솔로 사람의 두발에 도포할 때의 조작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조작용이성은 물과 균일하게 잘 혼합되는지 여부와 흐르지 않고 잘 손에 잘 보관되는지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들을 25℃에서 5분 경과 후 조작용이성을 측정하여 경시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평가점수
물과 매우 균일하게 혼합되고, 흐르지 않고 손에 잘 보관됨. 5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고, 흐르지 않고 손에 잘 보관됨. 4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나, 약간의 흐름성이 있음. 3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약간의 흐름성이 있음. 2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흐름성이 강하여 손에 잘 보관됨. 1
실시예 초기 점도 cPs 초기 조작성 평가점수 30분후 점도 cPs 경시안정성 평가점수
실시예 4 21,000 5 20,000 5
실시예 5 17,000 5 16,000 5
실시예 6 45,000 5 43,000 5
비교예 1 32,000 4 27,000 2
비교예 2 8,000 4 8,000 4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Brookfield 점도계로 25℃, 1분간, 회전속도 6rpm의 조건에서 측정한 점도가 20,000 cPs 내지 43,000 cPs 이었으며, 모발에 액상 타입으로 적용하기에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의 적절한 점도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은 비교예 2의 분말염모제와 비교하여 제1점증제로 쑥 또는 다시마 또는 쑥 및 다시마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 제2점증제의 일부함량을 제1점증제로 대체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점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들에서는 초기 점도와 비교한 30분 후 점도 변화가 1000 내지 2000cPs 범위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황산나트륨으로 코팅되지 않은 과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비교예1의 분말 염모제는 초기 점도와 30분 후 점도를 비교하여, 시간 경과 후 점도 변화 5,000cPs 정도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습제로 코팅되지 않은 과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는 사용시 시간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가 크고, 조작성이 나빠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사용감 평가>
20~35세의 긴 생머리인 성인 여성 40명을 10명씩 A, B, C, D 그룹으로 나누고, A그룹에는 실시예 4, B그룹에는 실시예 6, C그룹에는 비교예 2, D그룹에는 비교예 3의 분말 염모제를 물에 1:10(분말 염모제:물의 비)으로 용해시킨 다음, 모발에 도포 후 20 분 뒤 물로 헹궈내어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사용감은 사용시 촉감 및 사용 후 윤기, 매끄러움, 냄새, 두피 가려움증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아래 표 4의 평가기준에 따라 5단계로 평가하고, 그 평균 결과를 아래 표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평가점수
많이 좋음 5
조금 좋음 4
보통 3
조금 좋지 않음 2
많이 좋지 않음 1
구분 A그룹(실시예4) B그룹(실시예6) C그룹(비교예2) D그룹(비교예3)
사용시 촉감 4.0 4.1 3.2 4.0
윤기 4.7 4.9 3.2 4.1
매끄러움 4.5 4.6 3.3 4.1
냄새 4.2 4.2 2.8 3.9
두피 가려움증 4.2 4.4 3.4 4.2
사용감 평가 결과에 따라, 카카오분말을 포함한 분말염모제(실시예 4, 6)로 염색 하는 경우에는 특히 사용 후 모발의 윤기와 매끄러움이 개선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제습량 평가 >
실시예 6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 후 60일후 분말 염모제를 가열식 수분측정기(Moisture analyzer, 한국 AND사, MX-50)를 사용하여, 105도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남은 시료의 중량을 특정한 제습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의 분말염모제는 수분함유량이 4% 이하였다. 표 6는 이를 정리한 표이다.
제습량
실시예 6 3.6%
비교예 1 6%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시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분말 염모제로서,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
    카카오(Cacao)분말;
    중간체와 커플러를 포함하는 발현염료; 및
    천연성분 유래의 제1점증제 및 상기 제1점증제와 다른 제2점증제를 포함하는 점증제를 포함하고,
    상기 카카오 분말은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분말 염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점증제는 쑥 분말, 다시마 분말 중의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증제는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330 중량부로 포함되는 분말 염모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증제는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구아계 점증제, 덱스트린계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분말 염모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점증제는 상기 제1점증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0 중량부 로 포함되는 분말 염모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염모제는 상기 과산 금속염을 감싸면서 수분을 차단하거나 건조시키는 방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 금속염과 상기 방습제는 코어와 쉘로 구성되는 마이크로비드인 분말 염모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과탄산나트륨인 분말 염모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제는 상기 쉘 중 최외각 쉘에 포함되며, 황산나트륨인 분말 염모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가 0.5 내지 3 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분말 염모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염료는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구조체로 발현되는 분말 염모제.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20 범위 내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염료는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분말염모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염모제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염모제는 상기 쉘과 동일한 성분의 방습제를 더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염모제는 물에 1:5~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10,000 cPs 내지 70,000 cPs를 나타내는 분말 염모제.
KR1020210101005A 2021-07-30 2021-07-30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KR10258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05A KR102584626B1 (ko) 2021-07-30 2021-07-30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05A KR102584626B1 (ko) 2021-07-30 2021-07-30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363A true KR20230019363A (ko) 2023-02-08
KR102584626B1 KR102584626B1 (ko) 2023-10-05

Family

ID=8522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005A KR102584626B1 (ko) 2021-07-30 2021-07-30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6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604A (ko) * 2008-12-11 2010-06-21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KR20160064132A (ko) 2013-10-07 2016-06-07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염모제 조성물
KR101828022B1 (ko) * 2017-01-04 2018-02-09 유씨엘 주식회사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20200011674A (ko) * 2018-07-25 2020-02-04 이경희 두피자극완화용 염모제 첨가조성물 및 두피자극완화용 염모제
KR20210059226A (ko) * 2019-11-15 2021-05-25 (주)아모레퍼시픽 분말형 염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604A (ko) * 2008-12-11 2010-06-21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KR20160064132A (ko) 2013-10-07 2016-06-07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염모제 조성물
KR101828022B1 (ko) * 2017-01-04 2018-02-09 유씨엘 주식회사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산화성 염모제 조성물
KR20200011674A (ko) * 2018-07-25 2020-02-04 이경희 두피자극완화용 염모제 첨가조성물 및 두피자극완화용 염모제
KR20210059226A (ko) * 2019-11-15 2021-05-25 (주)아모레퍼시픽 분말형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626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JP3470182B2 (ja) 新規な染毛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KR101047785B1 (ko)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800121B (zh) 一种含有软玉的日用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744498A (zh) 一种保湿口红配方
JP2000336024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EP0469232A1 (en) Materials for hair cosmetics and hair cosmetics
EP1173149A1 (fr) Composition a destination cosmetique et/ou dietetique comprenant un melange de lycopene et d&#39;extrait de feuille d&#39;olivier
JP3631759B2 (ja) 植物種ホウセンカの粉砕した植物又はその構成部分の粉砕物を含有する染髪料組成物及びその応用
KR20050015177A (ko) 누에고치로부터 추출된 세리신 단백질을 함유하는 미용팩조성물
KR20230019363A (ko)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KR20100094005A (ko) 허브추출물 및 영양캡슐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의 보호 및 세정 조성물
JPS61158912A (ja) 皮膚改善用組成物
KR101562615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JP2002284663A (ja) 化粧料組成物
KR102584625B1 (ko) 쑥 포함 분말 염모제
CN105106050A (zh) 白芨营养粉底霜
KR20230014935A (ko) 다시마 포함 분말 염모제
CN108210415A (zh) 一种辣椒红色素丝滑口红的加工方法
CN109419648A (zh) 一种含天然色素的保湿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30131740A (ko) 솔잎 성분과 다시마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
CN105796408A (zh)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41783A (ko)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25669A (zh) 一种沐浴露及制备方法
JPS63303916A (ja) 頭髪用薬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