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29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292A
KR20230019292A KR1020210099811A KR20210099811A KR20230019292A KR 20230019292 A KR20230019292 A KR 20230019292A KR 1020210099811 A KR1020210099811 A KR 1020210099811A KR 20210099811 A KR20210099811 A KR 20210099811A KR 20230019292 A KR20230019292 A KR 2023001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modulus
protective layer
lay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은
서동우
안흥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292A/ko
Priority to US17/837,481 priority patent/US20230046978A1/en
Priority to CN202221824230.6U priority patent/CN218497723U/zh
Priority to CN202210833032.4A priority patent/CN115691320A/zh
Publication of KR2023001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는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접착층, 접착층 상측에 제1 보호층 및 제1 보호층과 접착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은 제1 두께 및 제1 모듈러스를 갖고, 제2 보호층은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 및 제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2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두께의 최솟값은 20um 이며, 제2 두께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을 만족하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내충격성이 개선되고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8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리지드 표시 장치와 달리,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최상부에는 보호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보호 부재는 내충격성 및 신뢰성 유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측에 배치되고 제1 두께 및 상온에서 제1-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보호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제1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 및 상온에서 상기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2-1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보호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의 최솟값은 20um 이며, 상기 제2 두께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T2max는 제2 두께의 최댓값이고, T1은 제1 두께이며, M2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제2-2 모듈러스이다.
상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1 모듈러스는 10MPa 이상 500MPa 이하이고, 상기 제2-2 모듈러스는 36MPa 이상 40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1 모듈러스는 4GPa 이상 5GPa 이하이고, 상기 제1 보호층은 60℃에서 제1-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2 모듈러스는 4.2GPa 이상 4.4G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는 10KPa 이상 40KPa 이하이고, 상온에서의 모듈러스는 20KPa 이상 50K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5um 이상 8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modified-polyphenylene oxide,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arylsulfones, PSU),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imine, PEI),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가황체(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TPO),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및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보호층 상측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지문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가 2GPa 이상 4G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5um 이상 1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접착층의 모듈러스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제1 두께는 65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 두께는 20um 이상 95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의 두께는 200um 이상 250um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되고 제1 두께 및 상온에서 제1-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 및 상온에서 상기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2-1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보호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온에서 상기 제2-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3-1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의 최솟값은 20um 이며, 상기 제2 두께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 1에서, T2max는 제2 두께의 최댓값이고, T1은 제1 두께이며, M2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제2-2 모듈러스이다.
상기 보호 부재의 두께는 200um 이상 250um 이하이고,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제1 두께는 65um 이상 100um 이하이고,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 두께는 95um 이하이며,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5um 이상 80u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모듈러스가 상이한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여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버클링 발생을 방지하는 제2 보호층의 두께 범위를 만족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여 반복되는 폴딩 및 언폴딩에도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2 보호층의 두께에 따른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제2 보호층의 두께에 따른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개인 디지털 단말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DD)가 휴대용 전자 기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 있다. "플렉서블"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리지드(rigid)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인 제3 방향축(DR3)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내지 제3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은 서로 직교하고, 제3 방향축(DR3)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제1 표시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표시면(F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각각에 평행한 제1 표시면(FS)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을 향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표시면(FS) 및 제2 표시면(R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면(FS)은 제1 액티브 영역(F-AA) 및 제1 주변 영역(F-NA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티브 영역(F-AA)에는 모듈 영역(EMA)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모듈 영역(EMA)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티브 영역(F-AA)에서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제1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제1 주변 영역(F-NA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주변 영역(F-NAA)은 제1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제1 주변 영역(F-NAA)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표시면(RS)은 제1 표시면(FS)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표시면(RS)은 표시 장치(DD)의 배면(rear surface)의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 영역(FA1) 및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하나의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폴딩 영역의 개수 및 비폴딩 영역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b는 도 1a의 표시 장치(DD)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DD)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하나의 폴딩축(FX1)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폴딩축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DD)의 인-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마주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인-폴딩 시, 사용자에게 제1 표시면(FS)은 노출되지 않고, 제2 표시면(RS)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장치(DD)는 제1 표시면(FS)이 노출되고, 제2 표시면(RS)이 노출되지 않도록 아웃-폴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a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PM)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PM)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과 보호 부재(PM) 사이에 배치된 윈도우 접착층(PSA-WM) 및 윈도우(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하측에는 보조 기능층(SFL) 및 지지 부재(SP)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제1 지지 부재(MM1) 및 제2 지지 부재(M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MM1)와 제2 지지 부재(MM2)는 제1 방향축(DR1)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비폴딩 영역들(NFA1, NFA2)과 중첩하고 폴딩 영역(FA1)과 비중첩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MM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고, 폴딩 영역(FA1)과 비중첩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MM2)는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고 폴딩 영역(FA1)과 비중첩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 부재(MM1) 및 제2 지지 부재(MM2)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폴딩 영역(FA1)과 중첩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방열 부재, 차폐 부재, 및 절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MM1) 및 제2 지지 부재(MM2) 각각은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MM1) 및 제2 지지 부재(MM2) 각각은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지지 부재(MM1) 및 제2 지지 부재(MM2)가 포함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SP) 상측에 보조 기능층(SFL)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능층(SFL)은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기능층(SFL)은 쿠션층, 배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능층(SFL)은 발포폼 또는 스펀지로 형성된 쿠션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능층(SFL)은 표시 패널(DP)의 변형을 막아주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능층(SFL)은 유색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보조 기능층(SFL)이 포함하는 물질 및 보조 기능층(SFL)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 기능층(SFL) 상측에 표시 패널(DP)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폴딩축(FX1, 도 1)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층은 유기 발광 소자, 양자점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윈도우(WM)가 포함하는 물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우(WM)와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윈도우 접착층(PSA-WM)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PSA-WM)에 의해 윈도우(WM)와 표시 패널(DP)이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PSA-WM)은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윈도우 접착층(PSA-WM)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PM)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호 부재(PM)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의 보호 부재(PM)는 표시 패널(DP) 상측에 배치된 접착층(PSA-PM), 접착층(PSA-PM) 상측에 배치된 제1 보호층(PL1) 및 접착층(PSA-PM)과 제1 보호층(PL1) 사이에 배치된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 부재(PM)는 윈도우(WM)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윈도우(WM) 상측에 보호 부재(PM)의 접착층(PSA-PM)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PSA-PM)에 의해 보호 부재(PM)와 윈도우(WM)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호층(PL2)은 제1 보호층(PL1)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제1 보호층(PL1)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층(PL2)은 접착층(PSA-PM)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고, 접착층(PSA-PM)보다 큰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모듈러스보다 작고 접착층(PSA-PM)의 모듈러스보다 큰 모듈러스를 갖고, 제1 보호층(PL1)의 두께보다 얇고 접착층(PSA-PM)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러스는 탄성 계수(Elastic Modulus)이다.
보호 부재(PM)의 두께(T0)는 200um 이상 250um 이하일 수 있다. 보호 부재의 두께가 200um 미만인 경우, 보호 부재 및/또는 보호 부재 하측에 배치된 구성(예를 들어, 윈도우 등)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된다. 외부 충격 발생 시 보호 부재가 하측에 배치된 구성을 보호하지 못하고, 보호 부재 및/또는 보호 부재 하측에 배치된 구성이 손상된다. 또한, 보호 부재의 두께가 250um를 초과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시 보호 부재가 손상된다. 두께가 250um를 초과하는 보호 부재는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못하며, 보호 부재가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한다. 또한, 보호 부재의 두께가 250um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 따라서, 두께(T0)가 200um 이상 250um 이하인 보호 부재(PM)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는 내충격성이 개선되고,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은 제1 두께(T1)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는 65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다. 보호 부재(PM)가 포함하는 구성들 중,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가장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는 후술하는 제2 보호층(PL2) 및 접착층(PSA-PM)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는 보호 부재(PM)의 두께(T0)를 기준으로 50% 이하일 수 있다. 보호 부재(PM)의 두께(T0)가 200um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100um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보호 부재(PM)의 두께(T0)에 대한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 비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 미만인 경우, 제1 보호층 및/또는 제1 보호층 하측에 배치된 구성(예를 들어, 제2 보호층, 윈도우 등)이 손상된다. 65um 미만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은 충격에 취약하여, 제1 보호층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1 보호층 및/또는 제1 보호층 하측에 배치된 구성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100u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은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손상이 발생한다. 100u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은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으며, 폴딩 및 언폴딩 시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 등이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65um 이상 100um 이하의 두께(T1)를 갖는 제1 보호층(PL1)은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된 구성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표시 장치(DD)의 반복되는 폴딩 및 언폴딩에도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은 상온에서 제1-1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는 4GPa 이상 5GPa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는 4.5GPa 이상 5GPa 이하일 수 있다.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4GPa 미만이거나, 또는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5GPa을 초과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제1 보호층은 크랙이 발생하거나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PM)에서, 상온에서의 모듈러스가 4GPa 이상 5GPa 이하인 제1 보호층(PL1)은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층(PL1)은 60℃에서 4.2GPa 이상 4.4GPa 이하의 제1-2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60℃에서 4.2GPa 이상 4.4GPa 이하의 제1-2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보호층(PL1)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호층(PL2)은 제1 보호층(PL1)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의 최솟값은 20um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3
식 1에서, 'T2max'는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의 최댓값이고, 'T1'은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이다. 'M2'는 60℃에서 제2 보호층(PL2)의 제2-2 모듈러스이다. 제2 보호층(PL2)은 상온에서 제2-1 모듈러스를 갖고, 60℃에서 제2-2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와 비례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두꺼워질수록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와 비례하는 것일 수 있다. 60℃에서 제2 보호층(PL2)의 제2-2 모듈러스가 큰 값일수록,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은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36MPa 이상 400MPa 이하일 수 있다. 60℃에서의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36MPa 미만이거나, 또는 60℃에서의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400MPa을 초과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시 제2 보호층은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한다.
상온과 비교하여 60℃에서는 보호 부재의 박리(즉, 버클링)가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6MPa 이상 400MPa 이하인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95um 이하일 수 있다. 즉,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의 최댓값(T2max)은 95u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36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65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약 40um일 수 있다. 65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36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40um 이하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36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100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약 80um일 수 있다. 100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36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80um 이하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124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65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약 40um일 수 있다. 65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124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40um 이하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124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100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T2max)은 약 86um일 수 있다. 100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124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86um 이하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383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65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 (T2max)은 약 41um일 수 있다. 65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383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41um 이하일 수 있다.
식 1에서,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M2)는 383MPa이고,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가 100um인 경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 (T2max)은 약 92um일 수 있다. 100um의 두께를 갖는 제1 보호층(PL1) 하측에 배치되고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가 383MPa인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20um 이상 92u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 및 제2 보호층(PL2)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온에서 제2 보호층(PL2)의 제2-1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2-1 모듈러스는 10MPa 이상 500MPa 이하일 수 있다. 상온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10MPa 미만이거나, 또는 상온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500MPa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은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으며,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 제2 보호층은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된다. 일 실시예의 보호 부재(PM)에서,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10MPa 이상 500MPa이하의 제2-1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보호층(PL2)은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 개선 및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두께의 최댓값(T2max)이 식 1을 만족하는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버클링 지수(Buckling index)가 0.5 이하일 수 있다. 버클링 지수는 임계 하중(Critical Force)에 대한 상대적인 하중의 비율로 정의된다. 임계 하중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기둥이 압축되도록 힘을 가했을 때, 버클링이 발생하는 최소의 힘이다.
임계 하중은 하기 식 2를 만족하고, 버클링 지수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며, 이는 오일러의 버클링 이론(Euler Buckling Theory)에 해당하는 식이다.
[식 2]
Figure pat00004
식 2에서, Fc는 임계 하중이고, E는 기둥의 모듈러스이며, I는 기둥의 관성 모멘트이다. L은 기둥의 전체 길이이고, kL은 기둥에서 버클링이 발생한 부분에 대응되는 일 방향의 길이이다.
[식 3]
Figure pat00005
식 3에서, BRI는 버클링 지수이고, F는 기둥의 단면 면적과 압축력을 곱한 값이다. 버클링 지수가 클수록, 버클링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보호 부재의 버클링 지수가 큰 값일수록,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 보호 부재의 버클링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보호 부재의 버클링 지수가 큰 값일수록,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일 실시예에서, 두께의 최댓값이 식 1을 만족하는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일 수 있다. 버클링 지수가 0.5를 초과하는 보호 부재는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보호 부재와 비교하여,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 보호 부재에서 버클링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보호 부재(PM)는 반복되는 폴딩 및 언폴딩 시 표시 장치(DD)로부터 박리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DD)의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보호 부재(PM)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는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접착층(PSA-PM)의 두께(T3)는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 및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접착층(PSA-PM)의 두께(T3)는 버클링 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접착층(PSA-PM)의 두께(T3)가 5um씩 증가할 때, 버클링 지수는 0.01씩 증가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접착층(PSA-PM)의 두께에 따른 보호 부재(PM)의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실험예 A 및 실험예 B의 보호 부재는 접착층, 접착층 상측에 배치된 제2 보호층 및 제2 보호층 상측에 배치된 제1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A 및 실험예 B에서, 제1 보호층의 두께 및 제2 보호층의 두께는 동일하며, 접착층의 두께만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A 및 실험예 B의 보호 부재에서, 제1 보호층의 두께는 100um이고, 제2 보호층의 두께는 60um이며,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는 124MPa이다. 실험예 A 및 B의 보호 부재에서, 제1 보호층의 두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층의 두께 범위인 65um 이상 100um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A 및 B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86um이다. 즉, 실험예 A 및 B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의 두께는 식 1에 따른 제2의 보호층의 두께 범위인 20um 이상 80um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험예 A 및 실험예 B에서,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고,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하며, 접착층은 감압접착필름(PSA)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A에서 접착층의 두께는 35um이고, 실험예 B에서 접착층의 두께는 50um이다.
구 분 접착층 두께 버클링 지수
실험예 A 35um 0.39
실험예 B 50um 0.42
표 1을 참조하면, 접착층의 두께가 15um 증가함에 따라, 버클링 지수가 0.03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 변화량이 5um일 때, 버클링 지수의 변화량은 0.01인 것이다. 즉,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버클링 지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층의 두께로부터 식 1을 이용하여 제2 보호층의 두께를 결정하고, 버클링 지수를 고려하여 접착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층(PSA-PM)의 두께(T3)는 35um 이상 80um 이하일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가 35um 미만인 경우, 접착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접착층 상측에 배치된 구성과 접착층 하측에 배치된 구성의 결합력이 저하된다. 접착층의 두께가 80um를 초과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으며,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35um 이상 80um 이하의 접착층(PSA-PM)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표시 장치(DD)의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35um 이상 80um 이하의 접착층(PSA-PM)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표시 장치(DD)의 적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접착층(PSA-PM)은 상온에서 제3-1 모듈러스를 갖고, 60℃에서 제3-2 모듈러스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온에서 접착층(PSA-PM)의 제3-1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 및 제2 보호층(PL2)의 제2-1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온에서 접착층(PSA-PM)의 제3-1 모듈러스는 20KPa 이상 50KPa 이하일 수 있다. 상온에서 20KPa 미만의 모듈러스를 갖거나 또는 50KPa 초과의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으며, 폴딩 및 언폴딩 시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온에서의 제3-1 모듈러스가 20KPa 이상 50KPa 이하인 접착층(PSA-PM)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표시 장치(DD)의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60℃에서 접착층(PSA-PM)의 제3-2 모듈러스는 10KPa 이상 40KPa 이하일 수 있다. 60℃에서 10KPa 이상 40KPa 이하의 제3-2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층(PSA-PM)은 내충격성 및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호층(PL1) 및 제2 보호층(PL2) 각각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modified-polyphenylene oxide,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arylsulfones, PSU),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imine, PEI),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가황체(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TPO),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및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L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 보호층(PL2)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보호층(PL1) 및 제2 보호층(PL2)이 포함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보호층(PL2)은 제1 보호층(PL1)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갖는 탄성 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보호층(PL2)은 제1 보호층(PL1) 하측에 직접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의 일면에 제2 보호층(PL2)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직접 코팅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2 보호층(PL2)의 형성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PM)는 기능층(F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제1 보호층(PL1)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FL)은 하드 코팅층 및 지문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단층 또는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단층으로 구성된 기능층(FL)은 하드 코팅 기능과 지문 방지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층으로 구성된 기능층(FL)은 하드 코팅층과 지문 방지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L)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온에서 기능층(FL)의 모듈러스는 2GPa 이상 4GPa 이하일 수 있다. 2GPa 미만의 모듈러스를 갖거나 또는 4GPa 초과의 모듈러스를 갖는 기능층은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다. 2GPa 미만의 모듈러스를 갖거나 또는 4GPa 초과의 모듈러스를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폴딩 및 언폴딩이 반복될 경우,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2GPa 이상 4G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갖는 기능층(FL)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표시 장치(DD)의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기능층(FL)의 두께(T4)는 5um 이상 10um 이하일 수 있다. 5u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기능층 및/또는 기능층 하측에 배치된 구성(예를 들어, 제1 보호층)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10um 초과의 두께를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폴딩 및 언폴딩이 반복될 경우, 표시 장치로부터 박리된다. 5um 이상 10um 이하의 두께(T4)를 갖는 기능층(FL)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PM)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는 내충격성이 개선되고,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PM-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달리, 도 4의 보호 부재(PM-1)는 보조 접착층(PSA-PL)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보조 접착층(PSA-PL)은 제1 보호층(PL1)과 제2 보호층(P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L1)과 제2 보호층(PL2)은 보조 접착층(PSA-PL)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접착층(PSA-PL)은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온 및 60℃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모듈러스 및 제2 보호층(PL2)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온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제1-1 모듈러스 및 제2 보호층(PL2)의 제2-1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60℃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제1-2 모듈러스 및 제2 보호층(PL2)의 제2-2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온 및 60℃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접착층(PSA-PM)의 모듈러스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일 수 있다. 상온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접착층(PSA-PM)의 제3-1 모듈러스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일 수 있다. 60℃에서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접착층(PSA-PM)의 제3-2 모듈러스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온 및 60℃에서의 보조 접착층(PSA-PL)의 모듈러스는 접착층(PSA-PM)의 모듈러스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준일 수 있다.
보조 접착층(PSA-PL)의 두께(T5)는 접착층(PSA-PM)의 두께(T3)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접착층(PSA-PL)의 두께는 10um 이상 35um 이하일 수 있다. 10um 이상 35u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보조 접착층(PSA-PL)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는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 및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두께가 10um 미만인 보조 접착층은 보조 접착층의 하측 및 상측에 배치된 구성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된다. 두께가 35um를 초과하는 보조 접착층은 폴딩 및 언폴딩이 용이하지 않으며, 표시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종래의 보호 부재는 접착층 및 접착층 상측에 배치된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였고, 하나의 보호층은 단일의 재료로 형성되었다. 단일의 재료로 형성된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충격(또는 압력)에 취약하며, 외부 충격이 완화되거나 흡수되지 못하고 보호 부재 하측에 배치된 구성(예를 들어, 윈도우)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보호 부재 및/또는 보호 부재 하측에 배치된 구성에 손상이 발생하고,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일 실시예의 보호 부재(PM, PM-1)는 접착층(PSA-PM), 접착층(PSA-PM) 상측에 배치된 제2 보호층(PL2) 및 제2 보호층(PL2) 상측에 배치된 제1 보호층(PL1)을 포함하며, 제2 보호층(PL2)의 두께의 최댓값은 전술한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L2)의 제2 두께(T2)는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보다 얇고 접착층(PSA-PM)의 두께(T3)보다 두껍고, 제2 보호층(PL2)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PL1)의 모듈러스보다 작고 접착층(PSA-PM)의 모듈러스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모듈러스가 상이한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접착층(PSA-PM)을 포함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모듈러스가 감소하는 보호 부재(PM, PM-1)는 내충격성이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접착층(PSA-PM)의 모듈러스가 상이하여, 제1 보호층(PL1), 제2 보호층(PL2) 및 접착층(PSA-PM)에서 충격이 확산되는 속력이 상이할 수 있다. 충격이 확산되는 속력이 상이함에 따라, 보호 부재(PM, PM-1)를 통과한 충격은 충격의 정도가 완화되거나 또는 보호 부재(PM, PM-1)에 의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보호 부재(PM, PM-1)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는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층(PL1)의 제1 두께(T1)보다 얇고 접착층(PSA-PM)의 두께(T3)보다 두꺼운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보호층(PL2)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PM, PM-1)는 표시 장치(DD)의 두께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폴딩 및 언폴딩 시 표시 장치(DD)의 신뢰성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2 보호층 두께에 따른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실험예 1 내지 3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40um, 60um, 80um, 100um, 120um일 때의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실험예 4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40um, 60um, 80um, 100um, 120um일 때의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하고, 제1 보호층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가 약 4GPa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예 1 내지 6은 두께가 35um인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1 보호층의 상온에서의 모듈러스는 일 실시예에서 제1 보호층의 상온에서의 제1-1 모듈러스 범위인 4GPa 이상 5GPa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접착층의 두께는 일 실시예에서 접착층의 두께 범위인 35um 이상 80um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1 보호층의 두께 및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제1 보호층 두께 제2 보호층 모듈러스, 60℃
실험예 1 65um 36MPa
실험예 2 100um 36MPa
실험예 3 65um 124MPa
실험예 4 100um 124MPa
실험예 5 65um 383MPa
실험예 6 100um 383MPa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 1, 3 및 5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이고, 실험예 2, 4 및 6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100um인 것이다. 실험예 1 및 2의 보호 부재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36MPa인 것이다. 실험예 3 및 4의 보호 부재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124MPa인 것이다. 실험예 5 및 6의 보호 부재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가 383MPa인 것이다.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1 보호층의 두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층의 두께 범위인 65um 이상 100um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제2-2 모듈러스 범위인 36MPa 이상 400MPa 이하에 해당하는 것이다.
하기 표 3은 실험예 1 내지 6의 보호 부재에서, 제2 보호층의 두께에 따른 버클링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즉, 표 3은 도 5a 및 도 5b의 그래프에서 버클링 지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표 3에서, 'NG'는 버클링 지수가 0.5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OK'는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제2 보호층 두께
20um 40um 60um 80um 100um 120um
실험예 1 0.40 (OK) 0.49 (OK) 0.71 (NG) 0.96 (NG) 1.24 (NG) 1.52 (NG)
실험예 2 0.17 (OK) 0.27 (OK) 0.38 (OK) 0.50 (OK) 0.64 (NG) 0.77 (NG)
실험예 3 0.39 (OK) 0.48 (OK) 0.69 (NG) 0.91 (NG) 1.16 (NG) 1.42 (NG)
실험예 4 0.17 (OK) 0.26 (OK) 0.37 (OK) 0.48 (OK) 0.61 (NG) 0.75 (NG)
실험예 5 0.38 (OK) 0.46 (OK) 0.64 (NG) 0.81 (NG) 0.99 (NG) 1.19 (NG)
실험예 6 0.16 (OK) 0.25 (OK) 0.34 (OK) 0.44 (OK) 0.54 (NG) 0.65 (NG)
표 3에서, 실험예 1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또는 4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40um, 60um 또는 8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및 2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6MPa로 동일하고, 제1 보호층의 두께는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1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이고, 실험예 2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100um인 것이다. 실험예 1의 보호 부재와 비교하여 실험예 2의 보호 부재에서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및 4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124MPa로 동일하고, 제1 보호층의 두께가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3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이고, 실험예 4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100um인 것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실험예 3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또는 4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40um, 60um 또는 8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의 보호 부재와 비교하여 실험예 4의 보호 부재에서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및 6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83MPa로 동일하고, 제1 보호층의 두께가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5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이고, 실험예 6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100um인 것이다. 실험예 5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또는 4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두께가 20um, 40um, 60um 또는 80um일 때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의 보호 부재와 비교하여 실험예 6의 보호 부재에서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식 1은 도 5a 및 도 5b의 그래프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산출하는 식 1은 도 5a 및 도 5b에서 버클링 지수가 0.5 이하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1 보호층의 두께, 60℃에서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 값, 제2 보호층의 두께로부터 도출된 식이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1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40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40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5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41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3 및 5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65um로 동일하고,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1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6MPa이고, 실험예 3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124MPa이며, 실험예 5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83MPa인 것이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2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80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4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86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식 1을 이용하여 실험예 6의 보호 부재가 버클링 지수 0.5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을 계산하면 약 92um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4 및 6의 보호 부재는 제1 보호층의 두께가 100um로 동일하고,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상이한 것이다. 실험예 2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6MPa이고, 실험예 4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124MPa이며, 실험예 6의 보호 부재는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383MPa인 것이다. 제2 보호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가 증가함에 따라, 제2 보호층의 두께의 최댓값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는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접착층, 접착층 상측에 배치된 제2 보호층, 제2 보호층 상측에 배치된 제1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의 두께는 제1 보호층의 두께보다 얇고,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는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모듈러스가 상이한 보호층들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하여, 보호 부재 하측에 배치된 표시 패널 등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내충격성이 개선되고, 신뢰성이 유지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폴딩 및 언폴딩의 반복 시에도 신뢰성이 유지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PM, PM-1: 보호 부재 PL1: 제1 보호층
PL2: 제2 보호층 PSA-PM: 접착층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측에 배치되고 제1 두께 및 상온에서 제1-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보호층;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제1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 및 상온에서 상기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2-1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보호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의 최솟값은 20um 이며, 상기 제2 두께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식 1]
    Figure pat00006

    상기 식 1에서,
    T2max는 제2 두께의 최댓값이고, T1은 제1 두께이며, M2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제2-2 모듈러스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1 모듈러스는 10MPa 이상 500MPa 이하이고, 상기 제2-2 모듈러스는 36MPa 이상 400MPa 이하인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1 모듈러스는 4GPa 이상 5GPa 이하이고,
    상기 제1 보호층은 60℃에서 제1-2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제1-2 모듈러스는 4.2GPa 이상 4.4GPa 이하인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60℃에서의 모듈러스는 10KPa 이상 40KPa 이하이고,
    상온에서의 모듈러스는 20KPa 이상 50KPa 이하인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5um 이상 80um 이하인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modified-polyphenylene oxide,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arylsulfones, PSU),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imine, PEI),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가황체(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TPO),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및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보호층 상측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지문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가 2GPa 이상 4GPa 이하인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5um 이상 10um 이하인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모듈러스보다 작은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착층의 모듈러스는 상온 및 60℃에서 상기 접착층의 모듈러스 이상인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제1 두께는 65um 이상 100um 이하인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 두께는 20um 이상 95um 이하인 표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의 두께는 200um 이상 250um 이하인 표시 장치.
  18.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된 보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상측에 배치되고 제1 두께 및 상온에서 제1-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 및 상온에서 상기 제1-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2-1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보호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온에서 상기 제2-1 모듈러스보다 작은 제3-1 모듈러스를 갖는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두께의 최솟값은 20um 이며, 상기 제2 두께의 최댓값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식 1에서,
    T2max는 제2 두께의 최댓값이고, T1은 제1 두께이며, M2는 60℃에서 제2 보호층의 제2-2 모듈러스이다.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1 모듈러스는 10MPa 이상 500MPa 이하이고, 60℃에서의 상기 제2-2 모듈러스는 36MPa 이상 400MPa 이하인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의 두께는 200um 이상 250um 이하이고,
    상기 제1 보호층의 상기 제1 두께는 65um 이상 100um 이하이고,
    상기 제2 보호층의 상기 제2 두께는 95um 이하이며,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5um 이상 80um 이하인 표시 장치.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modified-polyphenylene oxide,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arylsulfones, PSU),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imine, PEI),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가황체(thermoplastic vulcanizate, TPV),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TPO),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및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99811A 2021-07-29 2021-07-29 표시 장치 KR20230019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11A KR20230019292A (ko) 2021-07-29 2021-07-29 표시 장치
US17/837,481 US20230046978A1 (en) 2021-07-29 2022-06-10 Display device
CN202221824230.6U CN218497723U (zh) 2021-07-29 2022-07-14 显示装置
CN202210833032.4A CN115691320A (zh) 2021-07-29 2022-07-1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11A KR20230019292A (ko) 2021-07-29 2021-07-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292A true KR20230019292A (ko) 2023-02-08

Family

ID=8506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11A KR20230019292A (ko) 2021-07-29 2021-07-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46978A1 (ko)
KR (1) KR20230019292A (ko)
CN (2) CN218497723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473B1 (ko) * 2014-12-26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 커버,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447792A (zh) * 2019-09-02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JP7427691B2 (ja) * 2020-03-27 2024-02-05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91320A (zh) 2023-02-03
US20230046978A1 (en) 2023-02-16
CN218497723U (zh)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292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39369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7881B1 (ko) 표시 장치
CN110853506A (zh) 显示装置
CN115053281A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11551586B2 (en) Electronic device
CN113270025A (zh) 柔性屏幕盖板、柔性显示面板、柔性屏和可折叠电子设备
KR20220007751A (ko) 표시 장치
KR20220061305A (ko) 전자장치
KR20220031808A (ko)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22001914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48260B2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98063A (ko) 표시 장치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0626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19292A (ko) 표시 장치
KR20220068304A (ko) 전자 장치
CN112397667A (zh) 显示装置
KR102612059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288956A1 (en) Display device
US20240022657A1 (en)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20550134U (zh) 保护膜、柔性显示屏和电子设备
US20240147642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detection sensor
US20240107696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52164A (ko) 윈도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