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715A -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 Google Patents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715A
KR20230018715A KR1020210100579A KR20210100579A KR20230018715A KR 20230018715 A KR20230018715 A KR 20230018715A KR 1020210100579 A KR1020210100579 A KR 1020210100579A KR 20210100579 A KR20210100579 A KR 20210100579A KR 20230018715 A KR20230018715 A KR 2023001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eader
junction box
insert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김찬옥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영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화테크(주) filed Critical 영화테크(주)
Priority to KR102021010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715A/ko
Publication of KR202300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자 삽입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한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PCB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버려지는 단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구비되어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헤더(10)와, 상기 헤더(10)의 선단에서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비되어 단자(30)를 잡아주는 클램프(20)와, 상기 헤더(10)와 클램프(20) 사이로 단자 릴(30a)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피딩 감지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헤더(10)의 양쪽에 클램프(20)가 각각 구비되는 더블 클램프 방식으로 구성되어, 한 번에 2개의 단자(30)를 PCB(100)에 동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TERMINAL INSERTING APPARATUS HAVING DOBULE CLAMP OF JUNCTION BOX}
본 발명은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 룸 등에 구비되는 정션박스 제조시, 삽입단자를 구비한 퓨즈나 릴레이 등을 장착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단자를 삽입할 때, 더블 클램프로 한 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고, 단자를 헤더에 근접한 위치까지 공급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단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Junction Box)는, 자동차의 엔진 룸과 차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다수의 전기장치 모듈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동차에는 차량의 크기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수십개의 퓨즈와 릴레이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릴레이 및 퓨즈를 분산시켜 배치하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이들 부품을 집적시킨 정션박스에 의해 차량의 각 전기장치 모듈로 전원을 분배하고 있다.
상기 정션박스는, 자동차의 각 전기장치에 분배되는 전기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과전류로 인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1은 차량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정션박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이하 'PCB'라 한다)에 복수의 단자(30)를 먼저 삽입한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30)에 퓨즈 및 릴레이를 장착하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100)를 하부 케이스(110)에 조립한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100)의 상부에 상부 케이스(120)를 조립하고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을 조립하면,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PCB(100)에 단자(30)를 삽입할 때에는, 통상 단자 삽입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단자를 삽입하고 있다.
도 2는 이러한 단자 삽입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단자 삽입기는 헤더(10)와 클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 삽입기는, 상기 헤더(10)와 클램프(20)가 단자 릴(30a)로 부터 공급되는 단자를 1개씩 집어 PCB(100)에 삽입한다.
그러면 PCB(100)에 삽입된 단자(30)는, 하부가 상기 PCB(100)를 관통하여 도 4(c)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퓨즈는 통상 2개의 삽입단자를 구비한 터미널 타입으로 되어 있어(도 7d 참조), 각 퓨즈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자(30)가 PCB(100)에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퓨즈를 PCB(1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자(30)가 필요하다.
또한 릴레이는 통상 4개 이상의 삽입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하나의 릴레이를 PCB(1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4개 이상의 단자가 PCB(100)에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단자 삽입방식은, 한 번에 한 개의 단자(30)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단자의 삽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의 전장화 추세에 따라 퓨즈 및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어, 단자(30)의 삽입시간이 더욱 길어지고 있다.
또한 정션박스가 경량화 및 소형화됨에 따라, PCB(100)에 장착되는 부품도 소형화되고 집적화되고 있다.
이로써 한 번에 한 개의 단자만 삽입할 수 있는 종래의 방식은, 마이크로 퓨즈와 같이 소형부품 장착을 위한 단자의 삽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단자 삽입기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0)에 단자 릴(30a)을 공급하기 위한 피드 바(Feed Bar)(40)와, 상기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피딩 감지센서(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피딩 감지센서(50)는, 단자(30)를 삽입하는 헤더(10)로부터 약 60mm 정도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는 상기 헤더(10)의 상부에 헤더 및 클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하 종래의 단자 삽입기에서, 헤더(10)에 단자 릴(30a)을 공급하여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과정을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드 바(40)가 단자 삽입기의 헤더(10)를 향해 단자 릴(30a)을 수평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헤더(10)와 클램프(20)가 단자를 하나씩 잡아 PCB(100)에 삽입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단자 릴(30a)의 마지막 단자가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하고 나면, 피딩 감지센서(50)는 감지할 단자가 없어지게 되어 단자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단자 삽입기는 작동을 멈추게 되고, 작업자는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의 거리(ℓ)에 남아있는 단자 릴(30a)을 제거하고 새로운 단자 릴(30a)을 장착한다.
그런데 종래의 단자 삽입기는,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단자 릴(30a)이 아직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단자를 PCB(100)에 삽입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헤더(10)가 마지막으로 삽입하는 단자는, 단자 릴(30a)의 마지막 단자가 아니라 피딩 감지센서(5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단자가 된다.
이로써,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의 거리(ℓ)에 남아 있는 단자들은, PCB(100)에 삽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2559호(2018. 5. 30.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686395호(2016. 12. 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자 삽입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한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PCB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 삽입시간을 단축하여 정션박스 조립공수를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션박스의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추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 삽입기의 클램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단자 삽입기로 피치가 다른 단자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 삽입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PCB에 삽입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단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기는, 수직으로 구비되어 단자를 PCB에 삽입하는 헤더와, 상기 헤더의 선단에서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비되어 단자를 잡아주는 클램프와, 상기 헤더와 클램프 사이로 단자 릴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단자 릴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피딩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헤더의 양쪽에 클램프가 각각 구비되는 더블 클램프 방식으로 구성되어, 한 번에 2개의 단자를 PCB에 동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더는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헤더에 2개의 클램프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2개의 헤더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및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2개의 헤더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단자의 피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헤더와 클램프 중, 하나의 헤더와 클램프를 사용하여 단자를 1개씩 PCB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기는, 상기 피딩 감지센서를 통과한 단자를 헤더까지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장 피드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 피드바는, 평판 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 하부에 구비되어 처짐을 방지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단자 릴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어 헤더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단자 릴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롤러 또는 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삽입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한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삽입할 수가 있다.
이로써 단자 삽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정션박스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삽입시간을 단축하여 정션박스의 제조원가를 낮춤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집적도가 높은 소형 PCB의 조립시, 소형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단자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삽입기의 클램프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단자 삽입기로 각 부품의 리드 간격(피치)가 다른 단자도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삽입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버려지는 단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 삽입기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 삽입기에서 단자 릴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 삽입기의 헤더 부분 및 단자 삽입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피드바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기의 요부 및 단자 삽입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기에서 클램프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장 피드바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장 피드바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기는, 수직으로 구비되어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헤더(10)와, 상기 헤더(10)의 선단에서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비되어 단자(30)를 잡아주는 클램프(20)와, 상기 헤더(10)와 클램프(20) 사이로 단자 릴(30a)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피딩 감지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헤더(10)의 양쪽에 클램프(20)가 각각 구비되는 더블 클램프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한 번에 2개의 단자(30)를 PCB(100)에 동시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단자를 1개씩 삽입하는 종래의 싱글 클램프 타입에 비해, 단자 삽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한꺼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마이크로 퓨즈와 같이 삽입단자의 피치가 약 5mm인 소형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단자(30)를 PCB(100)에 쉽게 삽입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헤더(10)는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헤더(10)에 2개의 클램프(2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단자(30)에 장착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2개의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헤더(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60) 및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구동장치를 작동시켜 2개의 클램프(20)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헤더(10)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70)은, 2개의 단자(30)에 장착될 부품에 구비된 삽입단자의 리드 간격(피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단자(30)에 삽입될 플러그 타입의 퓨즈, 릴레이 등의 삽입단자 피치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졍션박스에 실장되는 퓨즈와 릴레이 등의 부품은, 부품 제조처가 다르더라도 단자(30)에 끼워지는 삽입단자(도 7의 d 참조)의 리드 간격(피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정션박스에 삽입될 플러그 타입 부품의 크기에 맞는 고정블록(70)을 준비한 후, 상기 고정블록(70)을 교체하면서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면 된다.
이로써 정션박스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퓨즈(Micro fuse), 미니 퓨즈(Mini fuse), 슬로우블로우 퓨즈(Slowblow fuse), 울트라 릴레이( Ultra relay),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등의 다양한 부품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2개의 헤더(10)와 클램프(20) 중, 하나의 헤더(10)와 클램프(20)만 사용하여, 종래와 같이 단자(30)를 1개씩 PCB(100)에 삽입할 수도 있다.
정션박스의 PCB에 장착되는 퓨즈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삽입단자(PCB에 삽입된 단자에 끼워지는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하나의 퓨즈를 PCB(1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자(30)가 PCB(100)에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릴레이는 통상 4개 이상의 삽입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하나의 릴레이를 PC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4개 이상의 단자가 PCB에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단자 삽입기는, 한 번에 1개의 단자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공정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최근의 정션박스는 소형화 추세에 따라 퓨즈나 릴레이 등도 소형화되고 있어, 마이크로 퓨즈와 같은 소형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2개의 단자를 삽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한 번에 2개의 단자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특히 단자 간의 피치가 작은 경우에도 클램프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쉽게 삽입할 수가 있다.
이로써 정션박스의 조립공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한 단자를 헤더(10)까지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장 피드바(8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 피드바(80)는, 평판 형상의 수평부(81)와, 상기 수평부(81)의 일단 하부에 구비되어 처짐을 방지하는 수직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81)는, 단자 릴(30a)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어 헤더(1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지지부(83)와, 상기 수평부(81)의 일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8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83)와 제2 지지부(84)는, 단자 릴(30a)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단부(83a)(84a)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 지지부(83)와 제2 지지부(84)에 의해,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한 단자 릴(30a)을 헤더(10)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이로써 단자 릴(30a)이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한 후 PCB(100)에 삽입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단자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81)의 일단은, 단자 릴(30a)을 헤더(10)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재(85)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82)의 하단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82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82a)에 의해 연장 피드바(80)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단자 릴(30a)을 향한 전진 후퇴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82)의 하단에 볼(82b)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장 피드바(80)는, 더블 클램프 방식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은 싱글 클램프 방식의 단자 삽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장 피드바(80)를 사용하여 단자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자 삽입기에 단자 릴(30a)을 공급하고, 연장 피드바(80)의 제1 삽입단부(83a) 및 제2 삽입단부(84a)가 단자 릴(30a)의 단자와 단자 사이의 홈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이송부재(85)를 헤더(10)를 향해 이송시키면, 연장 피드바(40)가 단자 릴(30a)을 헤더(10) 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연장 피드바(80)는, 단자 릴(30a)을 향해 전후진 동작을 반복하면서, 단자 릴(30a)을 한 피치씩 헤더(10)를 향해 이송시킨다.
그러면 클램프(20)가 단자(30)를 잡은 후, 헤더(10)가 하강하여 클램프(20)가 잡은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한다.
상기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PCB(100)의 필요한 위치에 단자(30)를 삽입할 수가 있다.
단자 릴(30a)이 계속 이동하여 마지막 단자가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종래와 같이 단자 삽입을 중단시키기 않고 남아있는 단자를 계속 삽입하도록 명령한다.
즉 피딩 감지센서(50)에서 단자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로,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의 사이에 남아있는 단자를 연장 피드바(80)가 지지하여 단자의 삽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자가 2개 정도 남으면 단자 삽입기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고, 새로운 단자 릴(30a)로 교체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상기 연장 피드바(40)가 한쪽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더블 클램프 방식의 경우 상기 연장 피드바(40)는 헤더(10)를 중심으로 양쪽에 구비된다.
일반적인 단자 삽입기는, 헤더(10)의 상부에 삽입장치, 클램프 구동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어,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확인하는 피딩 감지센서(50)를 헤더(10)에 근접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를 삽입하는 헤더(10)와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확인하는 피딩 감지센서(50)의 거리(ℓ)가 60m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마지막 단자가 상기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단자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단자가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자 삽입기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제어부에서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에 남아 있는 단자를 계속 삽입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자 삽입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바(30)가 짧기 때문에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남아있는 단자를 지지할 수가 없다.
이로써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남아있던 단자는 PCB(100)에 삽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바의 길이를 헤더(10)측을 향해 연장시킨 연장 피드바(80)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마지막 단자가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한 후,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남아있던 단자 릴(30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연장 피드바(80)의 제1 지지부(83) 및 제2 지지부(84)에 의해,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에 남아있는 단자 릴(30a)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단자를 PCB(100)에 더 삽입할 수 있다.
예컨대 헤더(10)와 피딩 감지센서(50) 사이의 길이(ℓ)가 약 60mm인 경우,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통상적인 퓨즈 단자가 9개 정도 버려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장 피드바(80)를 설치하게 되면 버려지는 단자를 1개나 2개로 줄일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조건에서 하나의 단자 릴(30a)당 7 ~ 8개의 단자를 더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피드바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연장 피드바를 추가로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헤더(Header) 20: 클램프(Clamp)
30: 단자 30a: 단자 릴(Reel)
40: 피드바(Feed Bar) 50: 피딩(Feeding) 감지센서
60: 스프링(Spring) 70: 고정블록(Block)
80: 연장 피드바 81: 수평부
82: 수직부 82a: 롤러(Roller)
82b: 볼(Ball) 83: 제1 지지부
83a: 제1 삽입단부 84: 제2 지지부
84a: 제2 삽입단부 85: 이송부재
86: 스프링
100: PCB(PCB: Printed Circuit Board)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Claims (11)

  1. 수직으로 구비되어 단자(30)를 PCB(100)에 삽입하는 헤더(10)와, 상기 헤더(10)의 선단에서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구비되어 단자(30)를 잡아주는 클램프(20)와, 상기 헤더(10)와 클램프(20) 사이로 단자 릴(30a)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단자 릴(30a)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피딩 감지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헤더(10)의 양쪽에 클램프(20)가 각각 구비되는 더블 클램프 방식으로 구성되어, 한 번에 2개의 단자(30)를 PCB(100)에 동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10)는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헤더(10)에 2개의 클램프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2개의 헤더(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60) 및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2개의 헤더(10)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은 단자의 피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헤더(10)와 클램프(20) 중, 하나의 헤더(10)와 클램프(20)를 사용하여 단자(30)를 1개씩 PCB(100)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감지센서(50)를 통과한 단자를 헤더(10)까지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장 피드바(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피드바(80)는,
    평판 형상의 수평부(81)와, 상기 수평부(81)의 일단 하부에 구비되어 처짐을 방지하는 수직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81)는,
    단자 릴(30a)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어 헤더(1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지지부(83)와, 상기 수평부(81)의 일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8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83)와 제2 지지부(84)는, 단자 릴(30a)의 각 단자와 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82)의 하단에 롤러(8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82)의 하단에 볼(8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KR1020210100579A 2021-07-30 2021-07-30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KR20230018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79A KR20230018715A (ko) 2021-07-30 2021-07-30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79A KR20230018715A (ko) 2021-07-30 2021-07-30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15A true KR20230018715A (ko) 2023-02-07

Family

ID=8525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79A KR20230018715A (ko) 2021-07-30 2021-07-30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7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395B1 (ko) 2015-06-22 2016-12-15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측정장치
KR101862559B1 (ko) 2016-12-16 2018-05-30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395B1 (ko) 2015-06-22 2016-12-15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측정장치
KR101862559B1 (ko) 2016-12-16 2018-05-30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6128C (zh) 用于端接机的接线端进给装置和包括该装置的端接系统
CN106507658A (zh) 部件安装装置
WO2017042902A1 (ja) 別置形リール保持装置
CN101207260A (zh) 端子插入装置
WO2012105309A1 (ja) 基盤作業装置
US20060063430A1 (en) Terminal inserting apparatus
CN107950083B (zh) 追加型带盘保持装置
KR101818604B1 (ko) 커넥터의 터미널 핀 커팅 및 벤딩 장치
US20020144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ipping plug housings with fitted-out cable ends of a cable
KR20230018715A (ko) 더블 클램프를 구비한 정션박스 단자 삽입기
CN115173176A (zh) 一种接线盒自动安装机
EP1328820A1 (en) Testing system in a circuit boardmanufacturing line for automatic testing of circuit boards
US5575058A (en) Connector housing supplying device
CN102005684A (zh) 带电线更换功能的电线尺寸调整装置
KR100947054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CN113511507A (zh) 电容供料器
JP2013258192A (ja) クリンチ装置、部品取付装置
KR101771544B1 (ko) 전자부품용 핀 자동 삽입장치
CN116140970A (zh) 插管装置
CN110814581A (zh) 焊接系统
CN214086608U (zh) Pcb板转载装置
CN214023996U (zh) 一种送丝机构
CN213445049U (zh) 一种电芯模组上下线夹具和机器人电芯模组上下线夹具
KR100782569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를 위한 램프 픽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램프 픽싱 공정 제어방법
JP2016115420A (ja) 端子圧着治具セット補助装置および端子圧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