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610A -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610A
KR20230018610A KR1020210100371A KR20210100371A KR20230018610A KR 20230018610 A KR20230018610 A KR 20230018610A KR 1020210100371 A KR1020210100371 A KR 1020210100371A KR 20210100371 A KR20210100371 A KR 20210100371A KR 20230018610 A KR20230018610 A KR 2023001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unit
management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840B1 (ko
Inventor
위진아
최민혁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5/00Measuring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는, 몸체를 기준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부와, 기 설정된 조명 또는 음향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와,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음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단말로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PERSONAL NOISE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의 종류를 판별하여 사용자가 조치해야 하는 행위에 대해 안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대 산업화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층간 소음 갈등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한 건강 영향으로부터 보호와 소음 저감을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 소음의 종류는 인간의 거동에 의한 소음, 동력 기관에 의한 소음, 건물 설비 기기 소음, 건설 소음, 작업 소음, 총·포 등의 군부대 소음, 인간의 집합에 의한 소음이 있다.
우리나라 사업장은 과거에 비해 소음 환경이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나, 대부분의 제조업종에서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80 dB(A)를 초과하고 있고 노출기준에 근접하고 있어, 소음성 난청에 대한 효과적이고도 지속적인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 있어서 대부분의 도시 사람들은 공동주택에 주거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 간의 층간 소음으로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1-0001037호(2021년 5월 12일 공개)는 층간소음 측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공동주택 세대에서 소음을 측정하는 스마트폰, 각 세대의 스마트폰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공동주택의 소음을 관리하는 소음관리 서버, 소음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세대 간 합의점을 찾고 상호 배려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층간소음 측정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을 들고 이동하지 않으면 소음을 경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음발생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음에 대해 이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출력하여 층간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준치 이상의 소음발생지점을 감지하여 이동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소음의 원인을 파악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층간소음 등의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음이 발생하는 곳을 추종하면서 경보를 하면서 상쇄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알람 기능을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소음발생 시점 및 원인 발생 지점을 기록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갈등, 각종 사고 등의 해결에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은, 몸체를 기준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부와, 기 설정된 조명 또는 음향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와,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음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단말로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기 설정된 세기와 파장의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소음저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정보와 반대파장의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상기 소음의 세기를 누적하여 최대값을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상쇄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알람 기능을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소음발생 시점 및 원인 발생 지점을 기록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갈등, 각종 사고 등의 해결에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소음발생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음발생 지점으로 이동 및 소음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빛, 소리 등으로 경보함으로써 층간소음 뿐만 아니라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원인을 파악하여 유아돌봄, 가전제품 고장 확인 등이 가능하다.
또한, 소음에 대해 이를 상쇄하는 상쇄신호를 출력하여 층간소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준치 이상의 소음발생지점을 감지하여 이동하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소음의 원인을 파악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층간소음 등의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음이 발생하는 곳을 추종하면서 경보를 하면서 상쇄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에서 소음경보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사용자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도킹부와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복수의 도킹부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에서 소음경보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사용자단말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은 몸체(101)에 후술하는 소음감지부(110), 경보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가 형성된다. 몸체(101)의 일측에는 휴지박스(102)가 형성되어 식탁이나 테이블 위에서 휴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몸체(101)의 일측에는 공기청정기(103)이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101)는 화분 형상이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측에는 조화형태의 조명(12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은 소음감지부(110), 경보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소음감지부(110)는 몸체(101)를 기준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한다. 소음감지부(110)는 적어도 2방위 이상의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소음감지부(110)는 슬립모드로 대기하다가, 기 설정된 데시벨(dB) 이상의 소음이 감지되면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소음을 감지하기 시작한다. 소음감지부(110)는 동작모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소음이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소음감지부(110)는 소음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소음감지부(110)는 감지된 소음을 증폭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음감지부(110)는 연속되는 시간구간 중 제1 구간에서는 출력신호의 전압을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제1 구간에 연속되는 제2 구간에서는 출력신호의 전압을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는 포락선을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이는 소음이 사용자의 음성신호인 경우 이를 증폭하고 사용자 음성에 최적화된 포락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함이다.
경보부(120)는 기 설정된 조명 또는 음향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경보부(120)는 디스플레이(121), 조명(122) 및 스피커(1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보신호로는 "소음이 발생합니다"와 같이 사람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부(12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명(122)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거나, 스피커(123)를 통해 음향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통신이나, 4G/5G LTE와 같은 장거리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를 출력한다. 통신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소음발생을 알리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윗집과 아랫집의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소음의 발생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10)로 경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가 외부의 사용자단말(10)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0)에서는 경보신호가 푸쉬알림 형태로 뜨거나 진동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10)에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130)는 사용자단말(10)이 이동통신에 가입된 경우 문자메시지 형태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경보신호를 신속히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사용자단말(10)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과 사용자단말(10)은 블루투스 페어링 방식이나, 몸체(101)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사용자단말(10)이 획득하여 인증함으로써 서로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10)이 본체에 근접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가정에 아이들만 있는 경우 보호자가 집에 들어와 외출기간 동안 실내의 소음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제어부(140)는 소음을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감지한다(S101). 제어부(140)는 소음이 감지시 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판단한다(S102). 이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낮과 밤을 구분하거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낮과 밤에 따라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소음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다시 S101단계로 소음을 감지한다. 제어부(140)는 측정소음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경보부(120)를 통해 조명 또는 소리 형태의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3).
이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를 전송하여 실내에서 얼만큼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04).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신호를 종료하고, 다시 소음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소음정보 외에 소음 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에게 소음발생 여부를 즉각적으로 경보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음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의 울음소리, 걷는 소리, 뛰는 소리, 음악소리 등 소리의 구분은 물론, 소리의 크기를 분석하여 이동자의 체중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소리의 종류를 구분하여 어떤 종류의 소리가 소음정보로 생성되었는지 경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서 1명이 걷는 소리가 층간소음으로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이 구체적인 소음정보에 대한 경보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소음의 정도에 따라 공기청정기(10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층간소음의 경우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것을 반영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소음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이를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층간소음으로 판단하고, 공기청정기(103)를 구동시킬 수 잇다. 공기청정기(103)는 실내의 먼지농도 외에 소음의 정도에 따라 구동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움직임으로 인한 먼지 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에서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은 소음저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저감부(150)는 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세기와 파장의 상쇄신호(200)를 출력한다. 이 경우, 상쇄신호(200)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의미한다. 소음저감부(150)는 스피커를 통해 상쇄신호(200)를 출력할 수 있다. 소음저감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쇄신호(200)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소음저감부(150)는 상쇄신호(200)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최대한 전기적 신호로 상쇄시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소음정보와 반대파장의 상쇄신호(200)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소음정보에 따른 상쇄신호(200)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음정보의 지속 여부와 발생 패턴을 분석하여 규칙성 있게 발생하는 소음정보의 경우 그 스케줄에 맞춰 상쇄신호(200)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실내 활동에 따른 패턴에 따라 미리 상쇄신호(200)를 설정하여 신속하게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쇄신호(200)가 발생된 후에는 소음감지부(110)로부터 소음정보를 수신하여 상쇄신호(200)에 따른 소음의 저감 여부를 판단하여 상쇄신호(200)를 보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은 이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60)는 몸체(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와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몸체(101)를 이동시킨다. 이동부(160)는 제어부(140)에 의해 이동속도, 이동방향 등이 가변될 수 있다. 이동부(160)는 소음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몸체(101)를 이동시킨다. 이동부(160)는 제동수단을 이용하여 멈추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부(160)는 몸체(101)의 내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동부(160)는 진행경로 중 장애물이 감지되면 회피경로를 생성하여 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60)는 몸체(101)의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이동부(160)는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GPS를 이용하여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160)는 몸체(101)의 이동정보를 감지함으로써 실제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이 소음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이동인지 혹은 단순 이동중인지 감지할 수 있다. 이동부(16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몸체(101)의 이동정보가 감지되면 활성화되어 이동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을 이동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소음을 감지하여 이동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소음의 세기를 누적하여 최대값을 가지는 방향으로 몸체(101)의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이는 소음이 최대로 발생하는 곳을 추종하여 소음 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일정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소음의 세기를 누적하고 최대값을 비교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소음의 세기를 측정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D는 소음의 세기를 나타내고, x는 측정된 소음를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낸다. t1은 제1 시점의 시간을 나타내고, t2는 제2 시점의 시간을 나타낸다. 제어부(140)는 각 방향에 대한 소음세기의 값을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소음의 세기가 최대값을 가지는 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설정하며, 몸체(101)가 정지중인 경우 다시 소음의 세기를 누적하여 최대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동경로를 재생성한다. 제어부(140)는 몸체(101)의 이동방향으로 상쇄신호(200)를 출력시킨다. 이로 인해 소음 발생의 진원지를 찾아 이동하면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동부(160)로부터 이동정보를 입력받아 상쇄신호(200)의 생성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의 단순 위치 변경에 따라 상쇄신호(200)가 불필요하게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이동정보가 기 설정된 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쇄신호(2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의 전원을 켜둔 상태에서도 그 이동정보가 이동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쇄신호(200)가 생성되지 않아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도킹부와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이 복수의 도킹부와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은 영상획득부(170) 또는 도킹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는 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영상획득부(170)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카메라, 적외선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적외선카메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획득부(170)는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외부의 사용자단말(10)로 공유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에서 생성하는 영상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행동패턴 중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의 근접이 감지되면 영상획득부(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이 통신부(130)를 통해 근접한 경우 소음이 발생하는 순간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영상정보는 스냅샷이나 동영상 클립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단말(10)로 소음정보에 따른 영상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소음정보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 소음이 유발되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킹부(180)는 몸체(101)와 탈착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킹부(180)의 안착부에는 몸체(101)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부(180)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100)을 바닥이나 천장으로부터 거치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킹부(180)는 몸체(101)를 천장에 부착시 이를 거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윗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킹부(180)는 몸체(101)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킹부(180)는 몸체(101)와 물리적 결합 외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뤄질 수 있다. 이 경우, 도킹부(180)와 몸체(101)에는 각각 접속단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킹부(18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몸체(101)의 내부전원을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킹부(180)에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킹부(180)는 무선충전방식이나 접촉충전방식으로 몸체(101)의 내부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킹부(180)는 별도의 스피커, 시계의 기능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몸체(101)가 도킹부(180)에 안착되면 몸체(101)의 스피커는 비활성화되고, 도킹부(180)를 통해 상쇄신호(200)가 출력될 수 있다. 도킹부(180)는 제어부(140)로부터 상쇄신호(200)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층간소음으로 윗층으로부터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대한 상쇄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아랫층에서는 윗층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분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음관리시스템(100)은 복수의 도킹부(180)와 연결되어 원격에서 다양한 소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관리시스템(100)은 거실에 있고, 도킹부(180)는 안방, 부엌, 화장실, 현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개별 도킹부(180)는 소음을 감지하고, 이를 소음관리시스템(100)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소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소음관리시스템
101 : 몸체
102 : 휴지박스
103 : 공기청정기
110 : 소음감지부
120 : 경보부
121 : 디스플레이
122 : 조명
123 : 스피커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소음저감부
160 : 이동부
170 : 영상획득부
180 : 도킹부

Claims (3)

  1. 몸체를 기준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부;
    기 설정된 조명 또는 음향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소음이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단말로 소음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세기와 파장의 상쇄신호를 출력하는 소음저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정보와 반대파장의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상기 소음의 세기를 누적하여 최대값을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상쇄신호를 출력시키는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KR1020210100371A 2021-07-30 2021-07-30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KR10263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1A KR102636840B1 (ko) 2021-07-30 2021-07-30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1A KR102636840B1 (ko) 2021-07-30 2021-07-30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10A true KR20230018610A (ko) 2023-02-07
KR102636840B1 KR102636840B1 (ko) 2024-02-14

Family

ID=8522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71A KR102636840B1 (ko) 2021-07-30 2021-07-30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348A (ko) * 2015-12-09 2017-06-19 편석준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KR102010806B1 (ko) * 2018-10-04 2019-08-14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의 주파수 분석 기반 세대 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56922B1 (ko) * 2020-02-10 2020-09-16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348A (ko) * 2015-12-09 2017-06-19 편석준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KR102010806B1 (ko) * 2018-10-04 2019-08-14 한국토지주택공사 소음의 주파수 분석 기반 세대 간 소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56922B1 (ko) * 2020-02-10 2020-09-16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840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035B (zh) 一种住宅自动化系统及管理方法
JP6139901B2 (ja) 警報システム
JP6158517B2 (ja) 警報システム
US2017008413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18517966A (ja) 自律走行式掃除機の動作方法
US10610133B2 (en) Using active IR sensor to monitor sleep
US2021023983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JP200418508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
ES2666818T3 (es) Red de detección de presencia de personas con una pluralidad de dispositivos de la instalación doméstica/de la ingeniería de sistemas de construcción
JP2008529126A (ja) 難聴者のため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CN111491426A (zh) 一种智能灯光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15502598A (ja) 個人の監視
US2021007237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JP7373500B2 (ja) 無線信号中継器が組み込まれるセンサベースの照明システム
JP2007334868A (ja) ロボット、電波検知装置、電波検知方法及び電波検知処理プログラム
KR20230018610A (ko) 인공지능 소음관리시스템
CN106713452A (zh) 一种用于室内空气监测的监测仪控制系统
JP2016212739A (ja) 見守りシステム
JP2013200727A (ja) 警報連携システム
KR101473926B1 (ko)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15168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286559B1 (ko) 홈 edge 허브를 활용한 공동주택 환경에서 긴급 상황 대응 시스템
JP2014137767A (ja) イベント監視システム
JP200404734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30002101U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공동 주택 무선 화재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