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7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77A
KR20230018177A KR1020210100025A KR20210100025A KR20230018177A KR 20230018177 A KR20230018177 A KR 20230018177A KR 1020210100025 A KR1020210100025 A KR 1020210100025A KR 20210100025 A KR20210100025 A KR 20210100025A KR 20230018177 A KR20230018177 A KR 2023001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bar
display device
inner circumferential
guid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석훈
최광호
김철기
길형일
이민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177A/ko
Priority to PCT/KR2021/011923 priority patent/WO2023008641A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마운트; 그리고, 커브드되면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에 축 회전(axial rotation)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마운트; 그리고, 커브드되면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에 축 회전(axial rotation)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20)는 금속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또는 프레임(120) 또는 모듈커버(120)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가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좌우측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화상을 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목하게 커브드 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곡률에 대응되어 휘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리어 프레임(130)은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30)은 복수개일 수 있다. 리어 프레임(130)은 수직 프레임(131,132,133)과 수평 프레임(134,13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31,132,133)은 사이드 프레임(132,133), 그리고 센터 프레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34,135)은 어퍼 프레임(134)과 로어 프레임(135)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131)은 플레이트(120)의 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33)은 제1 단변(SS1)에 인접하여 제1 단변(SS1)과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플레이트(1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프레임(132)은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제2 단변(SS2)과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플레이트(1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33)은 센터 프레임(131)에 대하여 제2 사이드 프레임(132)과 대향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34)은 제1 장변(LS1)에 인접하여 제1 장변(LS1)과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로어 프레임(135)은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제2 장변(LS2)과 나란하게 길게 연장되어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34)과 로어 프레임(135)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131)은 어퍼 프레임(134) 및/또는 로어 프레임(135)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34) 및/또는 로어 프레임(135)은 센터 프레임(131)에 고정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34) 및/또는 로어 프레임(135)은 사이드 프레임(132,133)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134) 및/또는 로어 프레임(135)은 사이드 프레임(132,133)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아크바(140)는 길게 연장되고 커브드될 수 있다. 아크바(140)는 원호의 일부 또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아크바(140)의 중앙은 센터 프레임(131)에 결합되어 센터 프레임(131)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측은 사이드 프레임들(132,133)에 결합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중앙은 센터 프레임(1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은 사이드 프레임(132,13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크바(140)는 회전 마운트(150)에 의해 센터 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다. 아크바(140)는 센터 프레임(131) 상에 놓이고, 회전 마운트(150)는 아크바(140)를 덮을 수 있다.
센터 프레임(131)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4분할될 수 있다. 센터 프레임(131)의 길이는 센터 프레임(131)의 상하방향에서 제1 길이(L1), 제2 길이(L2), 제3 길이(L3), 그리고 제4 길이(L4)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중앙 및/또는 회전 마운트(150)는 제3 길이(L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은 제2 길이(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은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아크바(140)의 중앙 및/또는 회전 마운트(150)로부터 아크바(140)의 양단 까지의 제3 수직거리(P3)는 센터 프레임(131)의 하단으로부터 아크바(140)의 중앙 및/또는 회전 마운트(150)까지의 제1 거리(P1) 보다 클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으로부터 센터 프레임(131)의 상단까지의 제2 거리(P2)는 제1 거리(P1)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아크바(140)는 바디(141), 사이드 코어(143), 사이드 엔드(145), 슬라이딩 링(147), 그리고 사이드 커버(14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는 길게 연장되고, 커브드될 수 있다. 사이드 코어(143)는 바디(141)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코어(143)의 직경은 바디(141)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사이드 엔드(143E, 도 11 참조)는 사이드 코어(143)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엔드(143E)의 직경은 사이드 코어(14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사이드 엔드(143E)는 사이드 코어(143)에 대하여 바디(141)와 대향할 수 있다.
사이드 코어(143)는 슬라이딩 링(147)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링(147)은 사이드 코어(143)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링(147)은 사이드 프레임(132,133)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링(147)은 사이드 프레임(132,133)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32S)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5)는 사이드 코어(143) 및/또는 사이드 엔드(143E)를 덮을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5)는 슬라이딩 링(147)을 덮을 수 있고, 슬라이딩 링(147)은 사이드 커버(145)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링(147)은 슬라이더(147)라 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마운트(150)는 센터 프레임(131)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마운트(150)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을 지닌 브라켓일 수 있다. 아크바(140)는 회전 마운트(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크바(140)는 센터 코어(149)를 구비할 수 있다.
센터 코어(149)의 직경은 바디(141)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센터 코어(149)는 회전 마운트(150)에 삽입되고 회전 마운트(15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센터 코어(149)가 회전하면 아크바(140)는 회전할 수 있다. 기어(149a,149b)는 센터 코어(14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어(149a,149b)가 센터 코어(14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아크바(140)의 센터 코어(149)는 바디(141)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41)는 센터 코어(149)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고, 센터 코어(149)는 바디(14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141)는 라운드 면(141R)을 구비할 수 있다. 라운드 면(141R)은 바디(141)의 외주면의 일부일 수 있다.
바디(141)는 제1 평면(flat surface, 141F1)과 제2 평면(141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141F1)은 제2 평면(141F2)과 접할 수 있다. 제1 평면(141F1)과 제2 평면(141F2)이 접하면서 라운드 면(141R)으로부터 돌출되는 캠면(141F1,141F2)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면(141F1)은 제2 평면(141F2)과 아크바(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60 내지 11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평면(141F1)과 제2 평면(141F2)은 캠(141F1,141F2)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41)는 제3 평면(141C1)과 제4 평면(141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평면(141C1)은 제4 평면(141C2)과 접할 수 있다. 제3 평면(141C1)과 제4평면(141C2)이 접하면서 라운드 면(141R)으로부터 돌출되는 캠면(141C1,141C2)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평면(141C1)은 제4 평면(141C2)과 아크바(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90 내지 15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평면(141C1)과 제4 평면(141C2)은 캠(141C1,141C2)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면(141C1)과 제4 면(141C2)이 형성하는 접선은 제1 면(141F1)과 제2 면(141F2)이 형성하는 접선과 아크바(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110 도 내지 13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아크바(140)는 회전 마운트(15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이 아크바(140)의 중심과 상하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평면(141F1)은 플레이트(12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평면(141F1)과 제2 평면(141F2)이 형성하는 캠에 의해 아크바(140)의 회전은 일정한 각도에서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평면(141F1)과 제2 평면(141F2)이 형성하는 캠은 아크바(140)의 회전에 대한 스토퍼일 수 있다.
아크바(140)의 양단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아크바(140)가 회전하면 제3 평면(141C1)이 플레이트(12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3 평면(141C1)과 제4 평면(141C2)이 형성하는 캠에 의해 아크바(140)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3 평면(141C1)과 제4 평면(141C2)이 형성하는 캠은 아크바(140)의 회전에 대한 스토퍼일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47)는 링(1471), 넥(1473), 그리고 헤드(1475)를 포함할 수 있다. 링(1471)은 서클 형상일 수 있다. 사이드 코어(143)는 링(1471)에 삽입될 수 있다. 링(1471)은 사이드 코어(143)에서 미끌어지며 이동할 수 있다. 링(1471)은 사이드 코어(143)와 마찰될 수 있다. 넥(1473)은 링(147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넥(1473)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넥(1473)은 링(147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1475)는 넥(1473)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1475)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헤드(1475)의 직경은 넥(147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2S)은 단차(132S1,132S2)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32S)은 제1 가이드 슬롯(132S1)과 제2 가이드 슬롯(132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슬롯(132S1)은 아크바(140,143)와 마주하는 사이드 프레임(132)의 일면이 함몰되거나 제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롯(132S2)은 플레이트(120)와 마주하는 사이드 프레임(132)의 타면이 함몰되거나 제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슬롯(132S1) 및 제2 가이드 슬롯(132S2)은 사이드 프레임(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슬롯(132S1)의 폭은 제2 가이드 슬롯(132S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슬롯(132S)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슬롯(132S2)은 플레이트(120)와 제1 가이드 슬롯(132S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2)은 체결부재(SC)에 의해 플레이트(120)에 고정될 수 있다. 넥(1473)은 제1 가이드 슬롯(132S1)에서 이동할 수 있다. 헤드(1475)는 제2 가이드 슬롯(132S2)에서 이동할 수 있다. 넥(1473)의 직경은 제1 가이드 슬롯(132S1)의 폭 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헤드(1475)의 직경은 제1 가이드 슬롯(132S1)의 폭 보다 크고, 제2 가이드 슬롯(132S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슬라이더(147)는 사이드 프레임(132)에 결합되어 사이드 프레임(132)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넥(1473)은 헤드(147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넥(1473)이 헤드(1475)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링(1471)은 헤드(1475)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넥(1473)은 링(147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1471)은 외주면(1471a), 제1 내주면(1471b), 제2 내주면(1471c), 그리고 제3 내주면(1471d)을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1471a)은 링(1471)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주면(1471a)은 링(1471)의 중심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할 수 있다. 제1 내주면(1471b)은 링(1471)의 내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주면(1471b)은 외주면(1471a)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주면(1471c)은 링(1471)의 내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외주면(1471a)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내주면(1471d)은 제1 내주면(1471b)과 제2 내주면(1471c)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내주면(1471c)은 제3 내주면(1471d)에 대하여 제1 내주면(1471b)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내주면(1471c)의 경사는 제3 내주면(1471d)에 대하여 제1 내주면(1471b)의 경사와 대칭일 수 있다. 제1 내주면(1471b)과 제3 내주면(1471d) 사이 및/또는 제2 내주면(1471c)과 제3 내주면(1471d) 사이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1471)은 사이드 코어(143)에서 이동하면서 링(1471)이 사이드 코어(143)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아크바(140)는 회전 마운트(15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아크바(140)가 회전 마운트(150)에서 회전하여, 아크바(140)의 양단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사이드 프레임들(132,133)은 센터 프레임(13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사이드 프레임들(132,133)이 이동하면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20)는 전방으로 오목하고 후방으로 볼록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147)는 사이드 프레임(132,133)의 가이드 슬롯(132S)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바(140)의 양단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47)는 가이드 슬롯(132S)의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47)의 링(1471)은 사이드 코어(143)에서 사이드 엔드(143E)로부터 바디(141)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을 참조하면, 아크바(140)가 회전 마운트(150)에서 회전하여, 아크바(140)의 양단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플레이트(120)는 아크바(140)의 굽어진 형상으로 커브드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으로 오목하게 굽어질 수 있다.
커브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은 아크바(140)의 회전으로 변할 수 있다. 아크바(140)의 회전량이 적은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은 아크바(140)의 회전량이 큰 경우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플랫한 상태를 기준으로 아크바(140)의 회전량이 증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 내지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상기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고정되는 마운트(150); 그리고, 커브드되면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에 축 회전(axial rotation)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140)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133); 상기 바(140)의 타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132);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133)과 상기 바(140)를 연결하는 제1 슬라이더(147);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132)과 상기 바(140)를 연결하는 제2 슬라이더(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32,133)은: 상기 바(14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32S)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47)는: 상기 바(140)가 삽입되는 링(1471); 상기 가이드 슬롯(132S)에서 이동하는 헤드(1475); 그리고, 상기 링(1471)과 헤드(1475)를 연결하는 넥(14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1471)은 상기 넥(1473)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1475)는 상기 넥(14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1471)은: 외주면(1471a); 상기 외주면(1471a)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제1 내주면(1471b); 그리고, 상기 외주면(1471a)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링(1471)의 원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주면(1471b)과 대칭인 제2 내주면(147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1471)은: 상기 제1 내주면(1471b)과 상기 제2 내주면(1471c)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내주면(1471d)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주면(1471b)과 상기 제3 내주면(1471d)의 경계는 라운드 되고, 상기 제2 내주면(1471c)과 상기 제3 내주면(1471d)의 경계는 라운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32S)은: 상기 바(140)와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32,133)의 일면이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슬롯(132S1);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0)와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32,133)의 타면이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롯(132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롯(132S1)의 폭은, 상기 제2 가이드 슬롯(132S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헤드(1475)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롯(132S2)에 위치하고, 상기 넥(1473)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132S1)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1475)의 직경은, 상기 넥(1473)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변을 형성하는 제1 장변(LS1); 하변을 형성하는 제2 장변(LS2); 상기 제1 장변(LS1)과 상기 제2 장변(LS2)을 연결하는 제1 단변(SS1); 그리고, 상기 제1 단변(SS1)과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LS1)과 상기 제2 장변(LS2)을 연결하는 제2 단변(SS2)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150)는, 상기 제1 장변(LS1) 보다 상기 제2 장변(LS2)에 까깝고, 상기 바(140)의 양단은 상기 제2 장변(LS2) 보다 상기 제1 장변(LS1)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바(140)는: 외주면(141R)에 형성되는 제1 캠(141F1,141F2); 그리고, 외주면(141R)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캠(141F1,141F2)으로부터 원주방향에서 이격되는 제2 캠(141C1.141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141C1,141C2)은 상기 제1 캠(141F1,141F2)과 상기 바(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180도 이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기 바(140)가 회전하면서 전방에서 오목하게 커브드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마운트; 그리고,
    커브드되면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에 축 회전(axial rotation)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바의 타단에 인접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바를 연결하는 제1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바를 연결하는 제2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바가 삽입되는 링;
    상기 가이드 슬롯에서 이동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링과 헤드를 연결하는 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넥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넥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외주면;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제1 내주면; 그리고,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링의 원주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주면과 대칭인 제2 내주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제1 내주면과 상기 제2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내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주면과 상기 제3 내주면의 경계는 라운드 되고,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제3 내주면의 경계는 라운드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바와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면이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슬롯;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면이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제2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의 폭은,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폭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에 위치하고,
    상기 넥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의 직경은,
    상기 넥의 직경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변을 형성하는 제1 장변;
    하변을 형성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제1 단변; 그리고,
    상기 제1 단변과 마주하고,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제2 장변을 연결하는 제2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1 장변 보다 상기 제2 장변에 까깝고,
    상기 바의 양단은 상기 제2 장변 보다 상기 제1 장변에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캠; 그리고,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캠으로부터 원주방향에서 이격되는 제2 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은 상기 제1 캠과 상기 바의 중심축에 대하여 180도 이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바가 회전하면서 전방에서 오목하게 커브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00025A 2021-07-29 2021-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18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25A KR20230018177A (ko) 2021-07-29 2021-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21/011923 WO2023008641A1 (ko) 2021-07-29 2021-09-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25A KR20230018177A (ko) 2021-07-29 2021-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77A true KR20230018177A (ko) 2023-02-07

Family

ID=8508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25A KR20230018177A (ko) 2021-07-29 2021-07-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8177A (ko)
WO (1) WO20230086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01B1 (ko) * 2013-07-16 2015-02-04 황현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딩 시스템
KR102483559B1 (ko) * 2015-12-28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7226B1 (ko) *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7159A (ko) * 2019-11-29 2021-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641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4841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39388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80097043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9465225B2 (en) 3D display device
US20170192460A1 (en) Display device
US10275061B2 (en) Touch device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10564343B2 (en) Backlight module
US201603706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60316582A1 (en) Display device
US1113335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reflective portion covered bank sidewall
US2020033384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00044002A1 (en) Display device
US11391972B2 (en) Curved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3001817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764155A1 (en) Display device
CN110456580B (zh) 一种显示基板及其控制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12397552A (zh) 显示装置
US10606103B2 (en) Concave display
KR10239317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589958B (zh) 顯示裝置
KR20150113388A (ko) 표시장치
US90136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090066895A1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214919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47813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