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56A -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56A
KR20230018156A KR1020210099984A KR20210099984A KR20230018156A KR 20230018156 A KR20230018156 A KR 20230018156A KR 1020210099984 A KR1020210099984 A KR 1020210099984A KR 20210099984 A KR20210099984 A KR 20210099984A KR 20230018156 A KR20230018156 A KR 2023001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wale
coupled
fixing
facilit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717B1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9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가시설 구조물은 엄지말뚝(100); 엄지말뚝(100)에 결합되는 띠장(200); 띠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PF보강부재(300);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버팀부재(400);를 포함하되, PF보강부재(300)는 "H" 구조의 형강으로서,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PF보강부재(300)의 내측면(302)이 띠장(200)의 외면(201)에 접촉하도록 선행하중(P)이 도입된 후 볼트(B)에 의해 띠장(200)에 결합됨과 아울러, PF보강부재(300)는 선행하중(P) 도입 후 띠장(200)과 결합된 이후,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된다. PF보강부재(300)는 도 3과 같은 구조로 제작되고, 선행하중(P)이 도입된 이후 도 4와 같이 띠장(200)에 결합된다. PF보강부재(300)는 선행하중(P)에 의해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되어 띠장에 휨모멘트를 유발한다. 띠장에 발생되는 휨모멘트는 띠장이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구조가 되도록 유도한다. 이로인해 토압에 저항하는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저항력은 버팀부재(400)의 개소를 줄이고, 버팀부재(400)의 사이간격을 늘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Description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IVCLUDING PREFLEX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은 기초공사를 실시하기 위해 반듯이 수반되는 공법이다. 도심지의 건축구조물, 지중구조물 등에는 지하 구조물의 설치를 위해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된 지반을 지지하기 위해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한다.
기존의 흙막이 공법은 기립구조로 엄지말뚝을 설치하고, 엄지말뚝의 외면에 띠장을 설치한 후 버팀부재로 띠장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러나 촘촘히 설치되는 버팀부재와 띠장으로 인해 작업공간이 협소해 지고, 이로 인해 터파기 공사와 기초공사의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대형장비의 투입이 곤란하여 소형장비로만 시공을 실시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한 공사지연이 불가피하게 된다. 특히 도심지의 지하철공사의 경우, 기존 흙막이 공법을 사용할 경우, 터파공 공사와 기초공사 및 지하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버팀부재의 간격을 늘려,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중대형 장비의 투입이 용이한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은 엄지말뚝(100); 상기 엄지말뚝(100)에 결합되는 띠장(200); 상기 띠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PF보강부재(300);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버팀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PF보강부재(300)는 강 재질로서,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PF보강부재(300)의 내측면(302)이 상기 띠장(200)의 외면(201)에 접촉하도록 선행하중(P)이 도입된 후 볼트(B)에 의해 상기 띠장(200)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PF보강부재(300)는 상기 선행하중(P) 도입 후 상기 띠장(200)과 결합된 이후,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상기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된다.
상기 PF보강부재(300)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띠장(2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엄지말뚝(100)에는 상기 PF보강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재(500)가 상기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500)는 상면이 상기 띠장(200)과 상기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10); 상기 돌출부(510)의 외측 가장자리에 외측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F보강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띠장(200)과 상기 상기 PF보강부재(300)를 둘러 설치되는 고정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상기 띠장(200)의 복부 상면에 설치되는 띠장 고정부(610); 상기 띠장 고정부(61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띠장 기립부(620); 상기 띠장 기립부(6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PF보강부재 고정부(630); 상기 PF보강부재 고정부(6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PF 보강부재 기립부(640);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하단부(650);를 포함하되, 상기 PF보강부재 고정부(630),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40), 상기 하단부(650)는 상기 PF보강부재(300)를 감싸는 구조이고, 상기 띠장 고정부(610)와 상기 띠장 기립부(620)는 상기 띠장(200)의 플랜지 사이 구간에 설치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장 고정부(610)에는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가 설치되고, 상기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장 기립부(620)를 내외측방향으로 관통하는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가 설치되고, 상기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는 내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외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띠장(200)의 외측 플랜지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40)를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PF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가 설치되고,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는 외측에서 회전 구동하여 내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부(65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부 고정장치(651)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651)는 하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상단의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고, 상단이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하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시공방법은 상기 엄지말뚝(100) 및 상기 띠장(200)을 설치하는 엄지말뚝-띠장 설치단계; 상기 받침부재(500)를 설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상기 띠장(200)의 외측면에 상기 PF보강부재(300)를 설치하는 PF보강부재설치단계; 상기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 상기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651)를 구동하여 상기 고정부재(600)를 설치하는 고정부재설치단계; 상기 선행하중(P)을 도입하여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상기 외측면(301)에 압축력을 도입하고, 상기 내측면(302)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상기 볼트(B)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단계; 버팀부재(400)를 설치하는 버팀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띠장의 외측면에 PF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버팀부재의 간격을 늘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인해 공기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보강부재가 띠장에 거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보강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된 PF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행하중이 도입되고 볼트에 의해 PF보강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시설 구조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부재에 PF보강부재가 올려져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의해 PF보강부재가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PF보강부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 길이조절장치를 조절하여 PF보강부재가 띠장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길이조절장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고정부재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보강부재에 선행하중이 도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보강부재에 선행하중이 도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하중도입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은 엄지말뚝(100); 엄지말뚝(100)에 결합되는 띠장(200); 띠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PF보강부재(300);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버팀부재(400);를 포함하되, PF보강부재(300)는 강 재질로서,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PF보강부재(300)의 내측면(302)이 띠장(200)의 외면(201)에 접촉하도록 선행하중(P)이 도입된 후 볼트(B)에 의해 띠장(200)에 결합됨과 아울러, PF보강부재(300)는 선행하중(P) 도입 후 띠장(200)과 결합된 이후,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된다.
PF보강부재(300)는 도 3과 같은 구조로 제작되고, 선행하중(P)이 도입된 이후 도 4와 같이 띠장(200)에 결합된다.
PF보강부재(300)는 선행하중(P)에 의해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되어 띠장에 휨모멘트를 유발한다. 띠장에 발생되는 휨모멘트는 띠장이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구조가 되도록 유도한다. 이로인해 토압에 저항하는 저항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저항력은 버팀부재(400)의 개소를 줄이고, 버팀부재(400)의 사이간격을 늘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이때 PF보강부재(300)는 엄지말뚝(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로 제작되어 띠장(2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PF보강부재(300)는 도 4와 같은 구조로 결합된다.
엄지말뚝(100)에는 PF보강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재(500)가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500)는 상면이 띠장(200)과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10); 돌출부(510)의 외측 가장자리에 외측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는 엄지말뚝(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F보강부재(300)는 도 6와 같이 받침부재(500)의 상면에 올려지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때 받침부재(500)의 상면이 띠장(200)과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공통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인해 받침부재(500) 설치이후 받침부재의 상면에 PF보강부재를 올려놓을 수 있다.
PF보강부재(300)에 선행하중(P)을 도입하는 경우, PF보강부재(300)는 큰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 선행하중은 내측-외측 방향으로 도입되는데, PF보강부재(300)가 뒤틀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부재(500)와 함께 고정부재(6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F보강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띠장(200)과 PF보강부재(300)를 둘러 설치되는 고정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재(600)는 도8과 도9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PF보강부재와 띠장을 고정시킨다.
고정부재(600)는 띠장(200)의 복부 상면에 설치되는 띠장 고정부(610); 띠장 고정부(61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띠장 기립부(620); 띠장 기립부(6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PF보강부재 고정부(630); PF보강부재 고정부(6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PF 보강부재 기립부(640); PF 보강부재 기립부(6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하단부(650);를 포함하되, PF보강부재 고정부(630), PF보강부재 기립부(640), 하단부(650)는 PF보강부재(300)를 감싸는 구조이고, 띠장 고정부(610)와 띠장 기립부(620)는 띠장(200)의 플랜지 사이 구간에 설치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띠장 고정부(610)에는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가 설치되고,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장 기립부(620)를 내외측방향으로 관통하는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가 설치되고,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는 내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외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외측단부가 띠장(200)의 외측 플랜지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F 보강부재 기립부(640)를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PF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가 설치되고,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는 외측에서 회전 구동하여 내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내측단부가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부(65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부 고정장치(651)가 설치되고, 하단부 고정장치(651)는 하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상단의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고, 상단이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하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 하단부 고정장치(651)는 도 9와 같이 그 돌출 정도가 조절되어 띠장과 PF보강부재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선행하중 도입시에도 PF보강부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중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시공방법은 엄지말뚝(100) 및 띠장(200)을 설치하는 엄지말뚝-띠장 설치단계; 받침부재(500)를 설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띠장(200)의 외측면에 PF보강부재(300)를 설치하는 PF보강부재설치단계;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 하단부 고정장치(651)를 구동하여 고정부재(600)를 설치하는 고정부재설치단계; 선행하중(P)을 도입하여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301)에 압축력을 도입하고, 내측면(302)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볼트(B)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단계; 버팀부재(400)를 설치하는 버팀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한다.
P : 선행하중 B : 볼트
100 : 엄지말뚝 200 : 띠장
201 : 외면 300 : PF보강부재
301 : 외측면 302 : 내측면
400 : 버팀부재 500 : 받침부재
510 : 돌출부 520 : 경사부
600 : 고정부재 610 : 띠장 고정부
611 :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 620 : 띠장 기립부
621 :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 630 : PF보강부재 고정부
640 : PF보강부재 기립부 641 : PF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
650 : 하단부 651 : 하단부 고정장치

Claims (11)

  1. 엄지말뚝(100);
    상기 엄지말뚝(100)에 결합되는 띠장(200);
    상기 띠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PF보강부재(300);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버팀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PF보강부재(300)는 강 재질로서, 외측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PF보강부재(300)의 내측면(302)이 상기 띠장(200)의 외면(201)에 접촉하도록 선행하중(P)이 도입된 후 볼트(B)에 의해 상기 띠장(200)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PF보강부재(300)는
    상기 선행하중(P) 도입 후 상기 띠장(200)과 결합된 이후,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면(301)에 압축력이 도입되고, 상기 내측면(302)에 인장력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F보강부재(300)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띠장(2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말뚝(100)에는 상기 PF보강부재(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재(500)가 상기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500)는
    상면이 상기 띠장(200)과 상기 PF보강부재(30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10);
    상기 돌출부(510)의 외측 가장자리에 외측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엄지말뚝(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내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F보강부재(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띠장(200)과 상기 PF보강부재(300)를 둘러 설치되는 고정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600)는
    상기 띠장(200)의 복부 상면에 설치되는 띠장 고정부(610);
    상기 띠장 고정부(61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띠장 기립부(620);
    상기 띠장 기립부(6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PF보강부재 고정부(630);
    상기 PF보강부재 고정부(63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PF 보강부재 기립부(640);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하단부(650);를 포함하되,
    상기 PF보강부재 고정부(630),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40), 상기 하단부(650)는 상기 PF보강부재(300)를 감싸는 구조이고,
    상기 띠장 고정부(610)와 상기 띠장 기립부(620)는 상기 띠장(200)의 플랜지 사이 구간에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고정부(610)에는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가 설치되고, 상기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기립부(620)를 내외측방향으로 관통하는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가 설치되고, 상기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는 내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외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띠장(200)의 외측 플랜지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640)를 내외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PF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가 설치되고,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는 외측에서 회전 구동하여 내측단부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고, 내측단부가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65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단부 고정장치(651)가 설치되고,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651)는 하측에서 회전구동하여 상단의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고, 상단이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외측 플랜지 하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11. 제10항의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엄지말뚝(100) 및 상기 띠장(200)을 설치하는 엄지말뚝-띠장 설치단계;
    상기 받침부재(500)를 설치하는 받침부재 설치단계;
    상기 띠장(200)의 외측면에 상기 PF보강부재(300)를 설치하는 PF보강부재설치단계;
    상기 띠장 고정부 길이조절장치(611), 상기 띠장 기립부 고정장치(621), 상기 PF 보강부재 기립부 고정장치(641), 상기 하단부 고정장치(651)를 구동하여 상기 고정부재(600)를 설치하는 고정부재설치단계;
    상기 선행하중(P)을 도입하여 상기 PF보강부재(300)의 상기 외측면(301)에 압축력을 도입하고, 상기 내측면(302)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선행하중 도입단계;
    상기 볼트(B)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단계;
    버팀부재(400)를 설치하는 버팀부재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10099984A 2021-07-29 2021-07-29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2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84A KR102626717B1 (ko) 2021-07-29 2021-07-29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84A KR102626717B1 (ko) 2021-07-29 2021-07-29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56A true KR20230018156A (ko) 2023-02-07
KR102626717B1 KR102626717B1 (ko) 2024-01-18

Family

ID=8522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84A KR102626717B1 (ko) 2021-07-29 2021-07-29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74B1 (ko) * 2013-08-26 2014-01-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f 겹띠장,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방법
KR20170005991A (ko) * 2015-07-07 2017-01-17 김형민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88737B1 (ko) * 2016-03-15 2018-08-14 박광호 조립식 철판 흙막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74B1 (ko) * 2013-08-26 2014-01-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f 겹띠장,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방법
KR20170005991A (ko) * 2015-07-07 2017-01-17 김형민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88737B1 (ko) * 2016-03-15 2018-08-14 박광호 조립식 철판 흙막이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17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2759B2 (ja) 腹起こし固定具
JP4094043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構造物
CN101310078A (zh) 横撑固定装置
KR20090092973A (ko) 기존 교량의 보수, 보강시 지반에 설치되는 강재말뚝의압입방법 및 장치
KR100812722B1 (ko)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0642341B1 (ko)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KR102396786B1 (ko) 기존 지하 외벽의 보강을 통한 신설 건물의 지하 증축 및 역타 공법
KR10077813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KR101809006B1 (ko) 흙막이 가시설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KR20230018156A (ko)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0390369B1 (ko) 개착(開鑿)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및 공동구의 아치형 구조 시공 방법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JP3958319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KR2012006740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기초판의 접합구조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CN105431594A (zh) 挡土墙临时设施施工用的防弯曲撑杆
KR100412162B1 (ko) 트러스식 지보구조에 의한 지반 굴착공법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04993B1 (ko) 강선이 도입된 단일 띠장의 강선 정착장치
KR20040051182A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및 그 파일
KR20200012602A (ko) 개량된 매립형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