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151A - 양방향 폴딩 도어 - Google Patents

양방향 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151A
KR20230018151A KR1020210099969A KR20210099969A KR20230018151A KR 20230018151 A KR20230018151 A KR 20230018151A KR 1020210099969 A KR1020210099969 A KR 1020210099969A KR 20210099969 A KR20210099969 A KR 20210099969A KR 20230018151 A KR20230018151 A KR 2023001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coupled
bar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현
Original Assignee
김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현 filed Critical 김장현
Priority to KR102021009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151A/ko
Publication of KR2023001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된 도어부; 상기 도어 프레임이 서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단속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일부만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일부만 개폐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힌 상태로 개폐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개폐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폴딩 도어{TWO WAY FOLDING DOOR}
본 발명은 양방향 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서로 폴딩되며 개폐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양방향 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란 말 그대로 접이식 도어를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훌륭한 접이식 도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대형 기계들이 출입하는 공장의 도어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가정에서 사용되는 방문은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 시 회동 반경이 크므로 회동 시 회동 반경만큼의 방 면적이 필요하여 협소한 가구 등의 간섭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여 보완해 왔으나,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부담되어 설치가 곤란한 것은 물론,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60397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8668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4804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480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방문의 개폐가 용이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개폐 방향이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는,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된 도어부; 상기 도어 프레임이 서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단속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일부만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는 볼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속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중 일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는 단속바가 결합되고, 타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단속바가 자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자성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 중 타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단속바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 상기 자성바가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의 타측에는 탄성에 의해 인입출됨에 따라 상기 단속바를 밀어내는 가압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바는 상기 단속바와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속바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바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폴딩 도어에 따르면,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일부만 개폐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힌 상태로 개폐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개폐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시공된 방문틀을 제거하지 않고도 도어의 교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이 단속부에 의해 회동이 단속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부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볼부재가 결합됨으로써, 도어를 지지 및 안내하여 개폐감 및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양방향 폴딩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개폐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100)는 도어부(110), 힌지부(120) 및 단속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110)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 도어 프레임(111), 제2 도어 프레임(112) 및 제3 도어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 각각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옷걸이 블록, 애견도어 블록, 수납형 블록 및 유아도어 블록과 같이 다양한 블록들이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의 일측은 출입구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의 일측은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스프링(115)에 의해 인입출되는 볼부재(114)가 결합된다.
상기 볼부재(114)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이 문틀과 같은 턱에 위치 시 인입되고,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이 회동 시 바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을 지지 및 안내한다.
이때, 상기 볼부재(114)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의 각 하단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에는 손잡이(116)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2 도어 프레임(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회동되어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과 밀착 시 상기 손잡이(116)와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손잡이(1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공(11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은 평면을 기준으로 장변의 길이가 1:1:2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가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의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120)는 제1 힌지(121), 제2 힌지(122) 및 제3 힌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121)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의 일측과 출입문 사이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121)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힌지(122)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의 타측과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의 일측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122)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이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힌지(123)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의 타측과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의 일측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힌지(123)는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이 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단속부(130)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의 각 회동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의 인접한 사이에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도어 프레임(1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이 나란히 회동되어 개폐되거나, 상기 제2 도어 프레임(112) 내지 제3 도어 프레임(113)이 회동되어 개폐되거나, 상기 제3 도어 프레임(113)이 회동되어 개폐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폴딩 도어(200)는 도어부(210), 힌지부(220) 및 단속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210)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 도어 프레임(211), 제2 도어 프레임(212) 및 제3 도어 프레임(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의 일측은 출입구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의 일측은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3 도어 프레임(213)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스프링(215)에 의해 인입출되는 볼부재(214)가 결합된다.
상기 볼부재(214)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이 문틀과 같은 턱에 위치 시 인입되고, 회동 시 바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을 지지 및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3 도어 프레임(213)에는 손잡이(216)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2 도어 프레임(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회동되어 상기 제3 도어 프레임(213)과 밀착 시 상기 손잡이(216)와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손잡이(2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공(2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공(217)에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막(218)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막(218)은 상기 손잡이공(217)이 차폐되도록 결합되어 소음이나 불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216)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은 평면을 기준으로 장변의 길이가 1:1:2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220)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가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의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220)는 제1 힌지(221), 제2 힌지(222) 및 제3 힌지(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221)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의 일측과 출입문 사이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221)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힌지(222)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의 타측과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의 일측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222)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이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힌지(223)는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의 타측과 상기 제3 도어 프레임(213)의 일측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힌지(223)는 상기 제3 도어 프레임(213)이 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단속부(230)는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의 각 회동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 내지 제3 도어 프레임(213)의 인접한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도어 프레임(211)과 제2 도어 프레임(212)의 각 타측면에는 내측에 제1 탄성체(232)가 결합된 제1 삽입공(2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공(231)에는 상기 제1 탄성체(232)의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는 단속바(233)가 결합된다.
상기 단속바(233)는 상기 제1 탄성체(232)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단속바(233)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경사면(2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바(23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도어 프레임(212)과 제3 도어 프레임(213)의 각 일측면에는 상기 단속바(233)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단속바(233)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삽입공(235)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공(235)의 일측에는 상기 단속바(233)를 자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성바(23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삽입공(235)의 타측에는 직교되도록 관통된 관통공(23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7)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이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삽입공(235) 내부로 인입출되는 가압바(239)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바(239)는 상기 관통공(237) 내에 결합된 제2 탄성체(238)에 의해 타단이 상기 제2 삽입공(235) 내에 인입된다.
상기 가압바(239)는 상기 제2 삽입공(235)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단속바(233)를 밀어내 상기 단속바(233)가 상기 제1 삽입공(231)으로 인입되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바(239)는 타단부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입공(235)에 인입 시 상기 단속바(233)의 경사면(234)을 가압하여 상기 단속바(233)가 경사면(234)에 의해 안내되며 이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폴딩 도어에 따르면,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힌지부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일부만 개폐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힌 상태로 개폐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개폐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어 프레임이 단속부에 의해 회동이 단속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부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볼부재가 결합됨으로써, 도어를 지지 및 안내하여 개폐감 및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폴딩 도어 110: 도어부
111: 제1 도어 프레임 112: 제2 도어 프레임
113: 제3 도어 프레임 114: 볼부재
115: 스프링 116: 손잡이
117: 손잡이공 120: 힌지부
121: 제1 힌지 122: 제2 힌지
123: 제3 힌지 130: 단속부

Claims (5)

  1. 복수의 도어 프레임이 나란히 배치된 도어부;
    상기 도어 프레임이 서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인접한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단속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일부만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폴딩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는 볼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폴딩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중 일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탄성에 의해 인입출되는 단속바가 결합되고,
    타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단속바가 자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자성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폴딩 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 중 타측에 위치한 측면에는 상기 단속바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 상기 자성바가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의 타측에는 탄성에 의해 인입출됨에 따라 상기 단속바를 밀어내는 가압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폴딩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는 상기 단속바와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속바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바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폴딩 도어.
KR1020210099969A 2021-07-29 2021-07-29 양방향 폴딩 도어 KR20230018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69A KR20230018151A (ko) 2021-07-29 2021-07-29 양방향 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69A KR20230018151A (ko) 2021-07-29 2021-07-29 양방향 폴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151A true KR20230018151A (ko) 2023-02-07

Family

ID=8522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69A KR20230018151A (ko) 2021-07-29 2021-07-29 양방향 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1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40Y1 (ko) 2007-11-05 2010-03-10 김영미 폴딩도어
KR200460397Y1 (ko) 2009-12-15 2012-05-2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KR200486680Y1 (ko) 2017-05-15 2018-06-20 강윤구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40Y1 (ko) 2007-11-05 2010-03-10 김영미 폴딩도어
KR200460397Y1 (ko) 2009-12-15 2012-05-2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KR200486680Y1 (ko) 2017-05-15 2018-06-20 강윤구 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747B1 (ko) 폴딩도어 잠금장치
KR100934781B1 (ko)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KR101989754B1 (ko) 미닫이방식의 시스템 창호
KR20230018151A (ko) 양방향 폴딩 도어
KR10078342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구
CN1889815B (zh) 可双向开闭的家电机箱门
JP5439286B2 (ja) 上げ下げ窓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20110011771A (ko) 롤권취 도어
KR101904449B1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KR101216168B1 (ko)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JP3142834U (ja) 引き戸用の施錠装置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2020012240A (ja) 建具
KR101667497B1 (ko) 권취형 스크린 도어
JP2020012242A (ja) 建具
JP7420867B2 (ja) 建具
KR102574809B1 (ko)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JP7139176B2 (ja) 建具
KR20230107080A (ko) 창호 배수공 커버 장치
KR200216983Y1 (ko) 붙박이장용 문레일의 문호차
JPH0122058Y2 (ko)
JP3820373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