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093A -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093A
KR20230018093A KR1020210099846A KR20210099846A KR20230018093A KR 20230018093 A KR20230018093 A KR 20230018093A KR 1020210099846 A KR1020210099846 A KR 1020210099846A KR 20210099846 A KR20210099846 A KR 20210099846A KR 20230018093 A KR20230018093 A KR 2023001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ir
fuel cell
coo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783B1 (ko
Inventor
강기호
박경복
오태현
Original Assignee
(주)세명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기업 filed Critical (주)세명기업
Priority to KR102021009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공급부의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를 냉기 및 온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대구경호스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대구경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와 열교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구경호스는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10 내지 140 중량부, 가소제 30 내지 60 중량부, 가교활성제 3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Air cooling system for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이 친환경차 산업으로 급격히 전환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 필요하다. 에너지 수급 불안 및 자원고갈 문제 해결 방안으로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친환경 사회구현을 위한 탄소규제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수소에너지의 활용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22%의 급성장을 보이고 있다.
연료전지 및 2차전지를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셀을 대면적화하여 전류를 증가시키고, 적층하여 전압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스택 및 시스템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열 및 물 관리가 필수적이다.
열 및 물 관리 시스템에는 물탱크, 물펌프, 라디에이터, 가습기, 워터펌프 등 많은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부분을 연결할 수 있는 배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연결 배관에서 나온 용출물은 스택의 구성부품인 전극과 고분자 전해질에 침착되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부식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여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택을 냉각하는 시스템의 부식이나 용출 등에 의해서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상승시키게 되면, 냉각수로 전기가 통하게 되고 스택은 단락되거나 시스템 외부로 인가되어 사용자의 안전상에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 용출성의 경량 플라스틱 배관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연료전지자동차 시스템의 배관은 실리콘 고무가 적용하고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가공성이 떨어져 설계자유도가 제한적이다. 저용출성 경량 고무호스의 경우 공정상의 간소화로 인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관 연결 장치의 동시 개발을 통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작을 간소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KR 20-2010-0008518 A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공기공급부의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를 냉기 및 온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대구경호스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대구경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와 열교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구경호스는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10 내지 140 중량부, 가소제 30 내지 60 중량부, 가교활성제 3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기존 연료전지자동차의 냉각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호스와 비교하여, EPDM 고무를 사용하여 원가가 저렴하고 가벼우며, 이온용출성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
이하,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공기공급부의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를 냉기 및 온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대구경호스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대구경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와 열교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구경호스는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10 내지 140 중량부, 가소제 30 내지 60 중량부, 가교활성제 3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20 내지 130 중량부, 가소제 40 내지 50 중량부, 가교활성제 5 내지 7 중량부, 가교제 0.2 내지 0.4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6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카본블랙 N990, 카본블랙 N774, 및 카본블랙 N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제는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황(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이 압출되어 제조된 고무 성형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고무 조성>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고무 호스를 준비하였다.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한 상대 중량비로 표현한 것이다.
성분 종류 중량부
KEP282 EPDM 고무
 
80
KEP510 20
MT 보강제(물성상승) 50
SRF 35
FEF 40
P-OIL 가소제(압출흐름성) 45
ZNO 가교활성제 6
S 가교제 0.3
DCP 40%   7
MT : 카본블랙 N990
SRF : 카본블랙 N774
FEF : 카본블랙 N550
<성형 방법>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 방식으로 내경 및 두께 공차를 내경 : ±0.5, 두께 : ±0.5로 하여 압출하여 EPDM 호스를 성형하였다. 먼저 원재료를 용융시킨 후 자동압출기를 통해 압출하고, 금형에 넣어 성형한 후 이를 금형에서 분리하여 호스를 완성하였다. 작업 조건은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1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호스의 물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이온용출성 평가>
상기 호스의 이온용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조건으로 이온 용출성을 확인하였다.
1) 조건 온도 : 60℃, 90℃
2) 부동액 시료 : EG, EG + PG 등 2 개 (동결 온도 : -40℃)
3) 호스 내부에 부동액을 완전히 채운 후 테프론 마개로 양 옆 출구를 잠근 후 클램프로 완전히 밀봉시켰다.
4) 밀봉 후 고온 방치 (672 hr)하였다.
5) 1 주 (168hr) 마다 클램프를 열어 전기전도도를 확인해주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EPDM 대구경호스는 이온 용출성 관련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압성 확인>
제조된 호스의 내압성(규정압력에서의 누수여부, 호스의 외경변화율, 파열압력, 부압성능)을 확인하였다. 시편을 3가지 제조하여 내압성을 확인하였다.
1) 수압시험
- 가압속도는 매분 15土5kgf/cm2, 가압유지시간 5분, 시험압력은 5 kgf/cm2 으로 시험하였다.
- 시험전 100mm 의 표선을 그린후 가압전 / 가압후의 외경측정후 외경변화율을 확인하였다.
※ 외경변화율 = (D2-D1) x 100
D : 외경변화율 (%)
D1 : 가압전 외경 (mm)
D2 : 가압시 또는 압력제거후의 외경 (mm)
2) 정압시험
- 가압속도는 매분 15±5kgf/cm2, 가압유지시간 5분, 시험압력은 2.5 kgf/cm2로 시험하였다. 시험 후 공기노출, 국부적 팽윤등의 이상유무 및 외경 변화율을 확인하였다.
3) 파열시험
- 수압시험 후 가압속도 매분 30kgf/cm2로 제품이 파열되었을때 압력을 측정하였다.
4) 내부압성(외경변화율%) 시험
- 감압력은 100 mmHg, 시간은 5분, 감압속도는 매초 10-30 mmHg로 하였다.
요구사항은 하기 표 5와 같으며,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항목
내압성 수압 외경 변화율(%) 10% MAX
정압 외경 변화율(%) 5% MAX
파열 파열강도(kgf/cm2) 6 bar MIN.
내부압성 부압 외경변화율(%) 10% MAX.
항목 Sample 1 Sample 2 Sample 3 판정
내압성 수압 외경 변화율(%) 2.81% 2.77% 2.72% 합격
정압 외경 변화율(%) 0.85% 0.97% 0.89% 합격
파열 파열강도(kgf/cm2) 14.8(파열) 14.5(파열) 14.2(파열) 합격
내부압성 부압 외경변화율(%) 0.75% 0.74% 0.71% 합격
이와 같이 본 발명의 EPDM 대구경호스는 내압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공기공급부의 공기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를 냉기 및 온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대구경호스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대구경호스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와 열교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 냉각용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구경호스는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10 내지 140 중량부, 가소제 30 내지 60 중량부, 가교활성제 3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EPDM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제 120 내지 130 중량부, 가소제 40 내지 50 중량부, 가교활성제 5 내지 7 중량부, 가교제 0.2 내지 0.4 중량부 및 다이큐밀 과산화물 6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카본블랙 N990, 카본블랙 N774, 및 카본블랙 N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제는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황(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KR1020210099846A 2021-07-29 2021-07-29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KR10259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46A KR102597783B1 (ko) 2021-07-29 2021-07-29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46A KR102597783B1 (ko) 2021-07-29 2021-07-29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93A true KR20230018093A (ko) 2023-02-07
KR102597783B1 KR102597783B1 (ko) 2023-11-03

Family

ID=8522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46A KR102597783B1 (ko) 2021-07-29 2021-07-29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172A (ko) * 2004-12-16 2006-06-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연료전지의 공기 냉각 시스템
KR20100008518U (ko) 2009-02-19 2010-08-27 주식회사 세명기업 보강부재가 형성된 차량용 연결 호스
KR101430430B1 (ko) * 2014-04-30 2014-08-22 (주) 세흥 자동차 냉각호스용 epdm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 냉각호스 non-purge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172A (ko) * 2004-12-16 2006-06-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연료전지의 공기 냉각 시스템
KR20100008518U (ko) 2009-02-19 2010-08-27 주식회사 세명기업 보강부재가 형성된 차량용 연결 호스
KR101430430B1 (ko) * 2014-04-30 2014-08-22 (주) 세흥 자동차 냉각호스용 epdm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 냉각호스 non-purge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783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51142B (zh) 一种高导热辐射交联聚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86473B (zh) 一种多功能相变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178851B (zh) 一种绝热耐烧蚀丁腈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EP3539766B1 (en) Rubber laminate and flexible hose using same
CN110938294A (zh) 一种新能源汽车用接插件阻燃聚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672101A (zh) 一种耐低温压缩永久变形三元乙丙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97783B1 (ko)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 냉각 시스템
JP7007473B2 (ja) ゴム組成物
KR20220071000A (ko) 연료전지자동차용 공기압축기의 대구경호스용 고무 조성물
CN112812412A (zh) 一种evm、acm、aem与cm共混复合材料胶管及其制备方法
CN111849131A (zh) 一种无机纳米聚合物改性光伏背板膜及制备方法
CN116404057A (zh) 一种高粘结性低收缩率太阳能电池组件用封装薄膜及其制备方法
EP3971241B1 (en) Rubber composition for fuel-cell cooling hose and fuel-cell cooling hose using same
US7153906B2 (en) Resin composition for a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CN112225999B (zh) 一种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燃料电池
CN113294601B (zh) 一种适用温度范围广的汽车输水胶管及其制备方法
KR102150247B1 (ko) 연료전지 냉각호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각호스
CN115073851A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35578A (zh) 一种燃料电池保护膜的制备方法
CN109134910B (zh) 一种耐高温、耐油的三元乙丙橡胶汽车胶管及制备方法
CN105462083A (zh) 核电站用1e级k1类热收缩电应力控制管及其制备方法
CN111675857A (zh) 一种燃料电池用密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900273B (zh) 一种散热防水复合锂离子电池外壳材料及其制备方法
US6710110B1 (en) Elastomeric mixtur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CN114736464B (zh) 一种用于5g通讯的超柔橡胶软管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