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081A - Pillow - Google Patents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081A
KR20230018081A KR1020210099818A KR20210099818A KR20230018081A KR 20230018081 A KR20230018081 A KR 20230018081A KR 1020210099818 A KR1020210099818 A KR 1020210099818A KR 20210099818 A KR20210099818 A KR 20210099818A KR 20230018081 A KR20230018081 A KR 2023001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upport
receiving groove
inclined portion
accommod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3206B1 (en
Inventor
신우열
권현기
Original Assignee
신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열 filed Critical 신우열
Priority to KR102021009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206B1/en
Publication of KR2023001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A pillow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relieving pain in the head and neck is provided. The pillow includes 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art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a distal end thereof is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at least one support pa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having elasticity.

Description

베개{Pillow}Pillow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와 사용자간 접촉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와 목 부분의 통증 등도 해소시킬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capable of improving a contact structure between a pillow and a user to enable a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relieve pain in the head and neck.

많은 사람들이 고된 일상을 반복하고 있다. 직장의 업무와 일상의 노동이 합쳐져 개인의 지속적인 피로를 만들어낸다. 피로를 해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개 숙면을 취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숙면을 취하지 못하며, 수면시간 자체가 부족한 경우도 많이 있다.Many people are repeating the arduous daily life. Workplace work and daily labor combine to create constant personal fatigue. There can be many ways to relieve fatigue, but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method of getting a good night's sleep is the most effective. Nevertheless, many people do not get a good night's sleep,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sleeping time itself is insufficient.

숙면이 어려운 이유는 개인의 긴장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것과 같은 심리적 이유로부터 잠자리 자체가 불편한 것과 같은 환경적 이유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 중 심리적인 부분은 개인의 정신상태와 관련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조절하기 어렵지만, 환경적인 부분은 적절히 조절해 줄 수 있다. 즉, 잠자는 공간이나 침구류 등을 바꾸는 방법으로도 보다 쉽게 숙면에 들게 할 수 있다.Reasons for difficulty in sound sleep range from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unresolved individual tension to environmental reasons such as uncomfortable sleeping. Among them, the psychological par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ndividual's mental state, but the environmental part can be properly adjus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all asleep by changing the sleeping space or bedding.

예를 들면, 베개는 누운 상태에서 머리와 목을 받쳐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압력을 줄여주므로 심신 안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에게 알맞은 베개를 이용하면 보다 손쉽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전통적인 형상의 베개를 변형하여 지압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베개의 형상과 기능 등에 대한 개선까지 이루어지고 있다(예, 대한민국 특허10-0988661 등).For example, a pillow supports the head and neck in a lying state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and reduce pressure, so i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herefore, if you use a pillow that is suitable for you,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more easily. In addition, recently,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pillow in a form capable of exerting an acupressure effect b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shape of the pillow (eg, Korean Patent No. 10-0988661, etc.).

그러나 종래의 경우, 인체의 골격구조나 사람의 수면형태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임의적인 개선이 이루어져 베개로 인해 오히려 불편함이 유발되는 예도 없지 않다. 예를 들면, 베개 표면에 단순 부착된 지압부 등이 머리부분에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었고, 베개에 형성된 과도한 굴곡이 근육통 등을 발생시키는 사례도 있었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개발은 아직도 지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rbitrary improvements are made that do not fully consider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or a person's sleeping pattern,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discomfort is caused by the pillow. For example, in some cases, an acupressure unit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pillow causes pain in the head, and in other cases, excessive bending formed on the pillow causes muscle pain. Therefor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is still continuously request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0988861호, (2010. 10. 20), 명세서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88861, (2010. 10. 20),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개와 사용자간 접촉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와 목 부분의 통증 등도 해소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to improve the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pillow and the user to enable the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to provide a pillow that can relieve pain in the head and neck.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베개는,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상기 수용홈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베개몸체;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한다.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disposed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which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경사부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disposed to be stepped from each oth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단차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tepped support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단차지지부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pe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curved surface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상기 수용홈은 저면이 상기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may have a lower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베개는, 상기 수용홈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드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패드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지지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s the support p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 sub-sloping portion inclin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to arrange the supporting pa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to do.

상기 수용홈의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이 상기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5.5도~6.5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An angl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may be in a range of 5.5 degrees to 6.5 degrees.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 둘레에서 상기 경사부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bod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air of supporting plates extending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inclined porti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베개는, 상기 받침판의 상기 경사부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may further include an edge protrusion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an end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o an upper end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reate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엣지돌출부는 상기 경사부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An end of the edge protrusion may have a wider width than an out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사용자에게 매우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베개 사용자는 개선된 접촉구조로 신체에 맞추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개에 의해 편안함을 경험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특정 자세를 강요하지 않는 베개로 인해 답답함이나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용자간 차이를 고려하여 각 사용자에게 알맞은 최대한의 편안함을 제공하며, 취침 시 변할 수 있는 다양한 자세를 고려하고 있어 사용자는 하나의 베개로 자세를 바꾸면서도 편안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른 수면자세를 유도하면서 적절한 지압효과와 통풍효과가 동반되도록 함으로써 신체교정, 피로회복, 및 쾌적한 수면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comfortable sleep to the pillow user. A pillow user can experience comfort by a pillow that provides support according to the body with an improved contact structure, and can escape from stuffiness or discomfort due to a pillow that does not force a specific posture excessive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aximum comfort suitabl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users, and considers various postures that can be changed while sleeping,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comfort while changing posture with a single pillow. there is. In addition, proper acupressure effect and ventilation effect are accompanied while inducing correct sleeping posture, so that body correction, fatigue recovery, and pleasant sleep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개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7은 도 1의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low of Figure 1 in a different direc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illow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low of Figure 1;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pillow of FIG. 1 by way of exampl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베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베개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in another direc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and FIG. 4 is the pillow of FIG. is a cross-section of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베개(1)는 베개몸체(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에 지지패드(200)가 삽입된 구조로 형성된다. 수용홈(110)은 등을 대고 누웠을 때 사람의 후두부 측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홈으로 지지패드(200)는 이러한 수용홈(110) 내측에서 사람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지지패드(200)는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수를 바꾸어 전체 두께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적절한 높이로 머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개몸체(100)에는 수용홈(110)과 구조적으로 연결된 경사부(12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경사부(120)는 사람의 목 부분과 수용홈(110)에 안착되는 머리부분 및 경사부(120) 말단 측의 등 부분을 연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상부흉추부터 목을 포함하여 후두부까지, 사람의 신체구조에 대응하는 곡선을 유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목부터 곡선으로 지지하는 것보다 상부흉추부터 연결된 곡선을 형성하여 목을 포함하는 전체를 대응하는 곡선으로 지지하므로 편안함을 더욱 증가시켜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20)는 계단 형상으로 목과 단속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지압효과를 제공하고 열기 등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통기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수용홈(110) 주위로는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바로 접촉하여 지지해 주는 받침판(130)과, 사람의 턱과 목 부분에 접촉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엣지돌출부(131) 등이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정자세뿐만 아니라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에서도 사람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1 to 4,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pad 200 is inserted into an accommodation groove 110 formed in a pillow body 100. The receiving groove 110 is a groove formed so that the back of the head of a person can be seated when lying on the back, and the support pad 200 comfortably supports the person's hea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support pad 200 is detachable, and the total thickness or height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number of support pads 200, providing a suitable fit for different users and maintaining the head at an appropriate height. In addition, the pillow body 100 has an inclined portion 120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110, which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t serves to connect and support the back part of the end side of the part and the inclined part 12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duce comfortable sleep by maintaining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structure from the upper thoracic vertebrae to the back of the head including the neck.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comfort by forming a curve connected from the upper thoracic vertebrae to support the entire body including the neck with a corresponding curve rather than simply supporting the curve from the neck.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120 provides acupressure effect by using a part that intermittently contacts the neck in a step shape and can simultaneously serve to ventilate the heat so that the heat is not excessively concentrated, and the pers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0 A support plate 130 that directly contacts and supports when lying on its side, and an edge protrusion 131 that contacts and maintains stability by contacting the chin and neck of a person are formed. A person can get a good night's sleep not only in the upright position lying on the back, but also in the position lying on the side.

이러한 본 발명의 베개(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개(1)는,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110)과, 수용홈(110)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120)를 포함하는 베개몸체(100), 및 수용홈(1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용홈(110)의 저면(111)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부(120)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베개몸체(100)는 수용홈(110) 둘레에서 경사부(120)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판(130)은 평면으로 형성된 받침판 한 쌍이 양 측에 대칭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 측 한 쌍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pillow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The pillow 1 includes an accommodation groove 110 formed by indenting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ortion 120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is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It includes a pillow body 100, and at least one support pad 200 having elasticit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121 arranged stepwise with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pillow body 100 is inclined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0. At least one of a pair of support plates 130 extending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portion 12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130 is described based on a pair of support plates formed in a plane symmetrical on both sides, but in another embodiment, only one of the pair of both sides may be formed. Hereinafter, based on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지지패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00)의 수용홈(110) 내측에 삽입된다. 수용홈(110)에 삽입된 지지패드(2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홈(110)의 저면(111)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패드(200)는 예를 들어, 메모리 폼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도는 베개몸체(100)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을 수 있다. 베개몸체(100) 역시 메모리 폼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도 등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지지패드(200) 및 베개몸체(100)는 각각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예를 들어, 경도, 밀도, 내구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복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개몸체(100)의 경도가 지지패드(200)의 경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를 중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중첩된 개수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전체 두께 또는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머리가 지지될 때 보다 적합한 높이에 안착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갖는 사람의 후두에 대응하여 더욱 적합한 지지력을 맞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과 이격되어 있어 머리를 받쳐줄 때 하중에 의해 수용홈(11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며 빈 공간을 채우게 되며 그에 따라 상당히 큰 폭으로 변형될 수 있다(도 5의 예시참조). 이로 인해, 지지패드(200)는 사람의 머리를 감싸주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후두부 형상을 갖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등에는 방형의 지지패드(200)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으로 지지패드(200)의 형상을 그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 내측에 착탈이 쉽고 서로 중첩하여 배치하기 편리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support pad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pillow body 100 as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4 , the support pad 20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support pad 20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while having elasticity, such as, for example, memory foam, and may have a hardness equal to or lower than that of the pillow body 100. The pillow body 100 may also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while having elasticity such as memory foam, and hardnes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support pad 200 and the pillow body 100 are each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an appropriat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hardness, density, durability, and the like. Each may be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materials, and preferably, the hardness of the pillow body 100 may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upport pad 200. At least one support pad 200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ds 200 may be overlapped and disposed as shown in FIG. 2 , if necessary. The total thickness or height of the support pads 200 can be adjusted as desired by changing the overlapping number as needed. Therefore, when a person's head is supported, it can be seated at a more suitable height, and a more suitable support force can be provided in a customized form corresponding to the larynx of a person having various different shapes. The support pad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so when the head is supported, it is push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by a load and fills the empty space, which can be significantly deformed accordingly. It can be (see the example of FIG. 5). Due to this, the support pad 200 can be deformed into a shape that covers a person's head, and in such a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fit to various users having different occipital regions. Although the rectangular support pad 200 i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hape of the support pad 200 need not be limited and understood as such. The support pad 20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are convenient to overlap each other.

수용홈(110)은 베개몸체(100)의 상부에서 만입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00) 전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용홈(1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홈(110)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상대적으로 넓게 만입되어 만입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입된 공간으로 사람의 머리 부분(특히 후두부 측)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홈(110)은 통상적인 사람의 두부 크기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경사부(120)가 위치한 쪽으로는 둘레가 곡면을 이루며 높아질 수 있고 경사부(120)와 부드럽게 연결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반면 경사부(120) 반대편으로는 개방되어 있어 지지패드(200) 등이 보다 손쉽게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베개몸체(100)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110) 내부에는 지지패드(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경사부(120)의 말단보다 높게 위치한 저면(111)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110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upper part of the pillow body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tire pillow body 100, and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is relatively w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may be recessed and formed into a recessed space. A person's head (particularly, the back of the head) can be accommodated in this indented space. The overall siz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head size of a typical person. The accommodating groove 110 has a curved circumference toward the side where the inclined portion 120 is located and can be elevated, and can form a shape that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120 .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120 is open, so that the support pad 200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The receiving groove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llow body 100 is depressed, an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 there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upport pad 200 and a bottom surface located higher than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111) is formed.

도 4를 참조하면, 수용홈(110)은 저면(111)이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사부(120) 말단에서 시작하여 경사부(120)의 경사를 따라 높이가 높아졌다가 다시 수용홈(110) 안쪽으로 낮아지되 시작점인 경사부(120) 말단보다는 높게 위치하는 수용홈(110) 저면(111)까지 연결되는 두부의 받침구조가 형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사람의 목과 머리부분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받침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경사부(120)에 대한 설명 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receiving groove 110 may have a bottom surface 111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may be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hape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disposed lower than the receiving groove 110 . As a result, the receiving groove 110 starts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increases in height along the slope of the inclined portion 120, and then lowers back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but is located higher than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which is the starting point. )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hea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11 is formed. By using this, the neck and head of a person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in a more stable state. Details of the suppor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20.

수용홈(110) 내측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지지돌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부(112)는 수용홈(110) 내면에 형성되어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패드(200)를 받쳐 지지하되,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이루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112a)를 포함하여 지지패드(200)를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이루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한다. 즉, 도 4와 같이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지지돌부(112)에 의해 수용홈(110) 저면(111)에서 이격될 수 있으며, 특히 서브경사부(112a)를 이용하여 지지패드(200)의 경사를 수용홈(110) 저면(111)의 경사와 평행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사배치는 사람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때 지지패드(200)와 수용홈(110) 저면 사이의 거리조절을 쉽게 하며 아울러 사람은 누우면서 골반을 중심으로 상체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회전중심에 대해 외측이 상승되어 머리부분을 쉽게 받쳐주는 일종의 받음각을 형성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지지돌부(112)는 도 2와 같이 수용홈(110) 내면을 따라 수용홈(110) 안쪽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돌부(1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로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지지돌부(112)로 지지패드(20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돌부(112)의 너비 등을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서로 너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지지패드(200)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돌부(112)에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홈(110) 안쪽에서 지지패드(200)를 지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지지돌부(112)를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A support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S. 2 and 4 . The support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supports the support pad 20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but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he support pad 20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ncluding the sub-sloped portion 112a inclin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support pad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2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d 200 may be made parallel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by using the sub-inclination portion 112a. This inclined arrangement makes it eas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d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when the person's head is seated, and since the person is supposed to rotate the upper body around the pelvis while lying down, It can also play a role in forming a kind of angle of attack that easily supports the head as the outer side is raised. As shown in FIG. 2 , the support protrusions 112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n a form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one or more may be formed as needed. Whe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12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the support pad 200 with different support protrusions 112, and when the widths of the support protrusions 112 are formed differently, each has a different width.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ther types of support pads 200 and selectively support them on the support protrusion 112. Support protrusions in various forms capable of supporting the support pad 200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 ( 112) can be formed by deforming.

경사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다[구체적으로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경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개몸체(100)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부분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말단으로부터 수용홈(110)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수용홈(110) 둘레 중 경사부(120)를 향하는 측은 높이가 증가되며 경사부(120)와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경사부(120)는 사람의 목 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체에 적합한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inclined portion 120 protrudes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end is lower than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it is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1, the inclined portion 120 may refer to the entire protruding part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pillow body 100, and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from the end toward the receiving groove 110. As described above, the side facing the inclined portion 120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has an increased height and can be flexibly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120 . The inclined portion 120 may serve to support a person's neck, and thus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clination suitable for the human body.

경사부(120)의 외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121)가 형성된다. 단차지지부(121)는 계단 형상으로 경사부(120)의 경사를 따라 상하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은 경사부(120)의 경사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경사부(120)가 수용홈(110) 측과 경사부(120)의 말단을 잇는 선상에서 높이가 변동된다고 할 때, 단차지지부(121)는 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차지지부(121)는 일직선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에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차지지부(121)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곡면(121a)은 오목한 형태로 단차지지부(121)가 목과 밀착되는 정도를 크게 상승시켜 주며, 아울러 목의 안쪽에 있는 경추를 고려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차지지부(121)가 목을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도 겸비할 수 있다. 특히, 단차지지부(121)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배치되어 목의 경추 부분 및 그 주변에 차례로 접촉하여 해당 부분을 지압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단차지지부(121)의 단차구조에 의해 단차지지부(121) 사이의 공간은 피부에서 이격되어 목 주변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함께 나타낼 수 있다(도 5참조). 또한, 베개몸체(100)의 재질(전술한 메모리폼 등)이 자체적으로 흡열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어 이들의 복합작용으로 사용자는 매우 쾌적하면서도 안락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ing portions 12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120 and are disposed stepwise with each other. The stepped support portions 121 may be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slope of the inclined portion 120 in a stair shape, and each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20 . That i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height of the inclined portion 120 fluctuates on a line connecting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the step support portion 121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ed portion 120. The step support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curve at least in part. Preferably, the step support portion 121 has a seating curved surface 121a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can include The seating curved surface 121a is concave and greatly increases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tepped support portion 121 and the neck, and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inside the neck so that the stepped support portion 121 supports the neck. It can also have a role of regulating the pressure so as not to pressurize excessively. In particular, the step support portion 121 is arranged stepwise in the form of a step, so that it sequentially contacts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neck and its surroundings,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acupressure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addition, due to the stepped structure of the stepped supporting portion 121, the space between the stepped supporting portion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skin, so that ventilation around the neck can be smoothly performed (see FIG. 5).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illow body 100 (such as the above-mentioned memory foam) may have a property of absorbing heat by itself and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have a very pleasant and comfortable sleep due to their complex action. .

받침판(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 둘레에서 경사부(120)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된다(도 7참조). 받침판(130)은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판(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 둘레에서 확장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다가 취침자세를 바꾸는 경우 사람의 얼굴 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특히 베개(1)는 받침판(130)의 경사부(120)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받침판(130)의 상면(130a)보다 높게 형성되어 받침판(13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 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돌출부(131)는 도 1과 같이 경사부(120)와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부(120) 반대편의 외측 말단이 점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엣지돌출부(131)는 예를 들어, 경사부(120)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넓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측으로 뾰족해지는 대략 삼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엣지돌출부(131)는 받침판(130)의 상면(130a)보다 높게 돌출되어 상면(130a)에 대한 높이 차를 형성하며, 이러한 구조로 특히 사람이 옆으로 눕는 경우 매우 편안하고 안정되게 머리 주변부를 받쳐줄 수 있다. 즉 목보다 넓어지는 턱부분은 받침판(130)에 의해 지지되고, 턱과 목 사이의 너비에 의한 높이 차는 엣지돌출부(131)의 높이로 보정하여 지지해 줄 수 있다(도 6참조). 또한 외측 말단 쪽으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상의 형태를 이용하여 턱에서 후두부 측으로 사선 형태로 연결되는 사람의 턱선에 맞춘 맞춤형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안락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도 7참조). 베개(1)의 작용효과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upport plate 130 extends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inclined portion 120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0 (see FIG. 7 ). A pair of support plates 130 may be formed, but need not be limited as such, and only one of the pair extending to both sides may be formed as needed. As shown, the support plate 130 may be formed as a plane extending around the receiving groove 110, and thus, when changing a sleeping posture while sleeping, it may effectively support a person's face. In particular, the pillow 1 protrudes convexly from the end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120 of the support plate 130 to the top,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130a of the support plate 130 to create a relative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30 It may include an edge protrusion 131 to do. The edge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120 as shown in FIG. 1 , and an outer end opposite the inclined portion 120 may be gradually narrowed in width. For example, the edge protrusion 131 may have a wider end than the out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and thus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hat is pointed outward. Referring to FIG. 3, the edge protrusion ( 131)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130a of the support plate 130 to form a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30a, and with this structure, especially when a person lies on his or her side, it can support the area around the head very comfortably and stably. That is, the chin part that is wider than the neck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in and the neck due to the width can be corrected and supported by the height of the edge protrusion 131 (see FIG. 6). In addition, a more comfortable sleep can be induced by providing a customized support structure tailored to the jawline of a person connected in an oblique shape from the chin to the back of the head using a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outer end (see FIG. 7).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pillow 1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베개몸체(1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경사면은 다음과 같이 베개몸체(100)의 바닥과 특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수용홈(110)의 저면(111)을 이루는 경사면(즉,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수용홈의 저면 자체)이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A)가 5.5도~6.5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베개몸체(100)의 바닥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러한 베개몸체(100) 바닥을 기준으로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기울어진 각도는 6도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는 메모리 폼 등과 같이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패드(200)나, 역시 그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개몸체(100)의 경사부(120) 및 수용홈(110) 등 각부의 변형 정도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 이를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정된 각도로 사람의 머리부분을 지지하고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베개(1)의 사용상태와 작용 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pillow body 100,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Such an inclined surface may form a specific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100 as follows. Referring to FIG. 4, preferably,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tself inclin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forms an angle A with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It can be in the range of 5.5 degrees to 6.5 degrees.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100 is formed in a plane as shown,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inclined angle of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formed at around 6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100. do. This range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each part, such as the support pad 200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memory foam, or the inclined portion 120 and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pillow body 100 made of such a material. As a result, as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support a person's head at a stable angle and induce comfortable sleep. below. Referring to Figures 5 to 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uch as the use state and action effect of the pillow (1).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5 to 7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illow of FIG. 1 by way of exampl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람(B)이 바닥에 등을 대고 정자세로 눕는 경우, 등과 목 및 머리는 베개(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받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추가 시작되는 등 부분부터 경사부(120)가 경사를 이용하여 목의 각도를 자연스럽게 상승시켜주며 목과 머리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목의 커브를 유지하면서 후두부 측이 수용홈(110)에 수용될 수 있다. 후두부 측은 수용홈(110) 내측에 삽입된 지지패드(200)에 받쳐져 안정되고 지지패드(200)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용홈(110)의 저면(111)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부는 탄성 변형되어 후두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0)의 저면(111) 역시 적절히 탄성 변형되며 후두부 높이를 안정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목은 과도하게 굴절되지 않으면서 머리는 심장보다 높은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유지하여 사람(B)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전술한 각도의 범위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경사부(120)의 단차지지부(121)는 목 부분에 접촉하여 경추 부분과 그 주변부를 지압해 줄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지부(1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통기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개(1) 각 구성부의 복합작용을 통해 베개(1)를 벤 사람은 매우 편안하고 쾌적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5 , when a person B lies on the floor in an upright posture, the back, neck, and head may be supported by the pillow 1 in the illustrated state. For example, from the back where the cervical spine starts, the inclined portion 120 naturally raises the angle of the neck using an inclination, and maintains the curve of the neck at the point where the neck and head are connected, while the back of the head side receives the receiving groove 110 can be accepted in The back of the head is supported and stabilized by the support pad 200 inserted inside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and the support pad 2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0 while being deformed by a load, and the upper portion is elastic. It can be deformed to cover the back of the hea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111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also properly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height of the back of the head can be maintained at a stable position. Through thi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duce a sound sleep of the person B by keeping the head at an appropriate position higher than the heart while the neck is not excessively bent. This action can proceed more effectively within the aforementioned range of angles. At this time, the stepped support portion 121 of the inclined portion 120 can contact the neck to provide acupressure to the cervical spine and its surroundings, and as show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epped support portions 121 to provide ventilation. can induce Through the complex a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illow 1 as described above, a person who bends the pillow 1 can sleep in a very comfortable and pleasant state.

한편, 사람(B)은 취침 시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옆으로 눕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방식으로 베개(1)를 이용하여 역시 숙면에 들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B)이 옆으로 자세를 고쳐 누울 때 도 7과 같이 수용홈(110)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받침판(130)이 사람(B)의 얼굴 등을 받쳐 이번에는 수용홈(110) 밖에서 머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130) 역시 베개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람(B)은 받침판(130)에 지지되면서도 역시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특히, 받침판(130) 상면(130a)에 대해 상대적인 높이 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1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과 턱 부분의 높이 차를 보정하여 목과 턱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며 목과 머리부분 양 측에 밀착하여 지지되므로, 옆으로 누웠을 때에도 편안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엣지돌출부(1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과 같은 형상에 의해 턱에서 후두부 측으로 사선 형태로 연결되는 사람(B)의 턱선에 맞춘 맞춤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므로 사람(B)에게 더욱 안정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1)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매우 편안하고 쾌적하게 수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 B may frequently change his or her posture while sleeping. According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lying on one's side, the pillow 1 can be used in the manner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o make the user fall asleep as well. For example, when the person B lies on his side, the support plate 130 extending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7 supports the face of the person B, and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110 ) can support the head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plate 130 is also formed integrally with the pillow body 100, so that the person B can feel comfort and stability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30. In particular, the edge protrusion 131, which creates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130a of the support plate 130, fills the space between the neck and chin by correct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neck and chin, as shown in FIG. Since it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art, it can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even when lying on its si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edge protrusion 131 forms a customized support structure tailored to the jaw line of the person B connected in an oblique shape from the chin to the back of the head by a shape like a triangle that narrows outward as a w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table feeling to the person (B).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leep very comfortably and pleasantly in various postures using the pillow 1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 1> 편안함 평가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Comfort evaluation experiment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베개 중 전술한 수용홈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도 4의 A참조)가 5도~7도 사이인 다양한 베개를 준비하여, 편안함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한민국 서울과 경기도 거주자 중 8세 내지 67세인 남자 8명, 여자 12명에 대하여, 베개를 최소 30분 내지 최대 8시간까지 사용한 후, 10점 만점으로 편안함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사용시에는 베개를 베고 취침하도록 하였으며 사용 후 편안함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표 1의 점수가 10점에 가까울수록 편안한 것을 나타낸다.Among the pillows of the form shown in FIG. 4, various pillows having an angle of 5 degrees to 7 degrees (see A in FIG. 4) of the inclined surface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groove were prepared, and a comfort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Eight males and 12 females between the ages of 8 and 67 among residents of Seoul and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were ask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fort on a scale of 10 after using the pillow for a minimum of 30 minutes to a maximum of 8 hours. When using it, they were asked to sleep with a pillow on their back, and after us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for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results in Table 1 show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closer the score in Table 1 is to 10, the more comfortable it is.

경사면의 각도(A)Angle of slope (A) 5도5 degrees 5.5도5.5 degrees 6도6 degrees 6.5도6.5 degrees 7도7 degrees 점수score 6.4±0.56.4±0.5 7.0±0.57.0±0.5 7.9±0.57.9±0.5 6.8±0.56.8±0.5 6.0±0.56.0±0.5

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도 5.5도 내지 6.5 범위에서 각도 5도나 7도에 비해, 평균적으로 매우 높은 편안함을 나타내며, 6도에서 가장 높은 편안함을 나타낸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베개에 있어, 상기 각도는 5.5도 내지 6.5도가 바람직하며, 6도가 보다 바람직한 각도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gle range of 5.5 degrees to 6.5 degrees showed very high comfort on average compared to angles of 5 degrees or 7 degrees, and the highest comfort was shown at 6 degre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the pillo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is preferably 5.5 to 6.5 degrees, and a more preferable angle of 6 degre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베개 100: 베개몸체
110: 수용홈 111: 수용홈 저면
112: 지지돌부 112a: 서브경사부
120: 경사부 121: 단차지지부
121a: 안착곡면 130: 받침판
130a: 받침판 상면 131: 엣지돌출부
200: 지지패드
A: 각도 B: 사람
1: pillow 100: pillow body
110: receiving groove 111: receiving groove bottom
112: support protrusion 112a: sub-sloping part
120: inclined portion 121: stepped support portion
121a: seating surface 130: support plate
130a: support plate upper surface 131: edge protrusion
200: support pad
A: angle B: person

Claims (10)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상기 수용홈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베개몸체;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하는 베개.
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art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A pillow comprising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를 포함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pillow including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disposed stepwise with each other on an out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support portion is a pillow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지지부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을 포함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support portion pillow including a seating surface formed concavely in the ce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저면이 상기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groove is a pillow made of an inclined surface with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드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패드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5,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s the support p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ncludes a sub-sloping portion inclin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surface, and arranges the supporting pa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More inclusive pillow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이 상기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5.5도~6.5 사이의 범위에 있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5,
A pillow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angle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range from 5.5 degrees to 6.5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 둘레에서 상기 경사부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ow bod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ir of support plates extending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inclined porti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상기 경사부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
According to claim 8,
A pillow further comprising an edge protrusion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an end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o the top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reate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support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돌출부는 상기 경사부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폭이 넓은 베개.
According to claim 9,
The edge protrusion is a pillow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side end is wider than the outer end.
KR1020210099818A 2021-07-29 2021-07-29 Pillow KR102503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18A KR102503206B1 (en) 2021-07-29 2021-07-29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18A KR102503206B1 (en) 2021-07-29 2021-07-29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81A true KR20230018081A (en) 2023-02-07
KR102503206B1 KR102503206B1 (en) 2023-02-23

Family

ID=8522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18A KR102503206B1 (en) 2021-07-29 2021-07-29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20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831A (en) * 1993-11-29 1996-12-10 Xiang; Kun Ergonomic pillow
KR100935799B1 (en) * 2009-09-18 2010-01-06 김경호 Pillow
KR100988861B1 (en) 2008-06-25 2010-10-20 등 김 The well-being pillow
KR200460780Y1 (en) * 2010-02-05 2012-06-11 주식회사 티앤아이 Orthopedic pillow for deepsleep
KR101559482B1 (en) * 2014-04-07 2015-10-15 신준식 Functional pillow
KR101614621B1 (en) * 2014-12-12 2016-04-21 남문식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KR20170074496A (en) * 2015-12-22 2017-06-30 (주)아이엠씨코리아 Functional Pillow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831A (en) * 1993-11-29 1996-12-10 Xiang; Kun Ergonomic pillow
KR100988861B1 (en) 2008-06-25 2010-10-20 등 김 The well-being pillow
KR100935799B1 (en) * 2009-09-18 2010-01-06 김경호 Pillow
KR200460780Y1 (en) * 2010-02-05 2012-06-11 주식회사 티앤아이 Orthopedic pillow for deepsleep
KR101559482B1 (en) * 2014-04-07 2015-10-15 신준식 Functional pillow
KR101614621B1 (en) * 2014-12-12 2016-04-21 남문식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KR20170074496A (en) * 2015-12-22 2017-06-30 (주)아이엠씨코리아 Functional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206B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049B1 (en) Therapeutic pillow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KR101434817B1 (en)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US8813282B2 (en) Therapeutic pillow with hand rest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2364405B1 (en) Cervical pillow
KR100978285B1 (en) Sound sleep pillow
JP2007000397A (en) Pillow
JP2008517686A (en) Ergonomic pillow
US6902537B1 (en) Upper body support device
KR101930643B1 (en) a pillowa
JP3232583U (en) Ergonomic dual-purpose pillow
US20210212483A1 (en) Pillow supporting alternate regions of a user&#39;s hea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39;s recumbent position
KR102503206B1 (en) Pillow
KR102475466B1 (en) Corrective pillow for cervical spine
KR102503202B1 (en) Pillow
KR20140023646A (en) Health pillow
KR102149635B1 (en) Functional pillow
KR102123260B1 (en) Functional pillow
JPH0723840A (en) Pillow
CN209769909U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herapy health care pillow designed according to ergonomic curvature
CN210138032U (en) Novel waist and neck protecting pillow
KR200369166Y1 (en) Functional ergomechanic pillow
KR102629541B1 (en) Correction pillow having function for optimizing by sleep posture
JP7023534B2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