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202B1 - Pillow - Google Patents
Pil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202B1 KR102503202B1 KR1020210100002A KR20210100002A KR102503202B1 KR 102503202 B1 KR102503202 B1 KR 102503202B1 KR 1020210100002 A KR1020210100002 A KR 1020210100002A KR 20210100002 A KR20210100002 A KR 20210100002A KR 102503202 B1 KR102503202 B1 KR 102503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ow
- receiving groove
- inclined portion
- support
- endoskele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와 목 부분의 통증 등도 해소시킬 수 있는 베개가 제공된다. 베개는,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과, 수용홈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수용홈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베개몸체, 및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베개몸체는, 수용홈의 내골격 및 경사부의 내골격을 포함하는 베개몸체의 골격구조, 및 골격구조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골격구조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 외부구조를 포함한다.A pillow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relieving pain in the head and neck is provided. The pillow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by indenting from the top, a pillow body including an inclin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end thereof is disposed lower than the receiv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illow body is formed outside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pillow body including the endoskelet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is formed outside the skeletal structure and is larger than the skeletal structure. It includes an external structure formed with low hardn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와 목 부분의 통증 등도 해소시킬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relieving pain in the head and neck.
많은 사람들이 고된 일상을 반복하고 있다. 직장의 업무와 일상의 노동이 합쳐져 개인의 지속적인 피로를 만들어낸다. 피로를 해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개 숙면을 취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숙면을 취하지 못하며, 수면시간 자체가 부족한 경우도 많이 있다.Many people are repeating the arduous daily life. Workplace work and daily labor combine to create constant personal fatigue. There can be many ways to relieve fatigue, but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method of getting a good night's sleep is the most effective. Nevertheless, many people do not get a good night's sleep,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sleeping time itself is insufficient.
숙면이 어려운 이유는 개인의 긴장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것과 같은 심리적 이유로부터 잠자리 자체가 불편한 것과 같은 환경적 이유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 중 심리적인 부분은 개인의 정신상태와 관련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조절하기 어렵지만, 환경적인 부분은 적절히 조절해 줄 수 있다. 즉, 잠자는 공간이나 침구류 등을 바꾸는 방법으로도 보다 쉽게 숙면에 들게 할 수 있다.Reasons for difficulty in sound sleep range from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unresolved individual tension to environmental reasons such as uncomfortable sleeping. Among them, the psychological par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ndividual's mental state, but the environmental part can be properly adjus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all asleep by changing the sleeping space or bedding.
예를 들면, 베개는 누운 상태에서 머리와 목을 받쳐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압력을 줄여주므로 심신 안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에게 알맞은 베개를 이용하면 보다 손쉽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전통적인 형상의 베개를 변형하여 지압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베개의 형상과 기능 등에 대한 개선까지 이루어지고 있다(예, 대한민국 특허10-0988661 등).For example, a pillow supports the head and neck in a lying state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and reduce pressure, so it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Therefore, if you use a pillow that is suitable for you,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more easily. In addition, recently, improvements have been made to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pillow in a form capable of exerting an acupressure effect b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shape of the pillow (eg, Korean Patent No. 10-0988661, etc.).
그러나 종래의 경우, 인체의 골격구조나 사람의 수면형태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임의적인 개선이 이루어져 베개로 인해 오히려 불편함이 유발되는 예도 없지 않다. 예를 들면, 베개 표면에 단순 부착된 지압부 등이 머리부분에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었고, 베개에 형성된 과도한 굴곡이 근육통 등을 발생시키는 사례도 있었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개발은 아직도 지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rbitrary improvements are made that do not fully consider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or a person's sleeping pattern,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discomfort is caused by the pillow. For example, in some cases, an acupressure unit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pillow causes pain in the head, and in other cases, excessive bending formed on the pillow causes muscle pain. Therefor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is still continuously request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머리와 목 부분의 통증 등도 해소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provide a pillow that enables a user to sleep comfortably and relieves pain in the head and neck.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베개는,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상기 수용홈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베개몸체;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내골격 및 상기 경사부의 내골격을 포함하는 상기 베개몸체의 골격구조, 및 상기 골격구조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골격구조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 외부구조를 포함한다.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disposed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pillow body includes an endoskelet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A skeletal structure of the pillow body, and an external structure formed outside the skeletal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skeletal structure.
상기 경사부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disposed to be stepped from each other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경사부의 내골격은 복수의 상기 단차지지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상기 단차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tepped support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단차지지부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pe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curved surface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상기 수용홈은 저면이 상기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may have a lower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베개는, 상기 수용홈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드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패드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지지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s the support p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 sub-sloping portion inclin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to arrange the supporting pa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to do.
상기 수용홈의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이 상기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5.5도~6.5도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An angl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may be in a range of 5.5 degrees to 6.5 degrees.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 둘레에서 상기 경사부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bod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air of supporting plates extending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inclined porti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베개는, 상기 받침판의 상기 경사부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llow may further include an edge protrusion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an end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o an upper end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reate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엣지돌출부는 상기 경사부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An end of the edge protrusion may have a wider width than an out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골격구조는 일 측에 접속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구조 일 측에는 상기 접속홈부에 접속되는 접속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kelet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사용자에게 매우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베개 사용자는 신체에 맞추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개에 의해 편안함을 경험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특정 자세를 강요하지 않는 베개로 인해 답답함이나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용자간 차이를 고려하여 각 사용자에게 알맞은 최대한의 편안함을 제공하며, 취침 시 변할 수 있는 다양한 자세를 고려하고 있어 사용자는 하나의 베개로 자세를 바꾸면서도 편안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른 수면자세를 유도하면서 적절한 지압효과와 통풍효과가 동반되도록 함으로써 신체교정, 피로회복, 및 쾌적한 수면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comfortable sleep to the pillow user. A pillow user can experience comfort with a pillow that provides support according to the body, and can escape from stuffiness or discomfort with a pillow that does not excessively force a specific postur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aximum comfort suitable for each user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users, and considers various postures that can be changed while sleeping,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comfort while changing posture with a single pillow. there is. In addition, proper acupressure effect and ventilation effect are accompanied while inducing correct sleeping posture, so that body correction, fatigue recovery, and pleasant sleep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개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베개의 분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베개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low of Figure 1 in another direc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illow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low of Figure 1;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pillow of FIG. 1;
6 to 8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illow of FIG. 1 by way of example.
9 is an exploded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low of FIG. 9;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베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nd the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베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베개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in another direc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illow of FIG. 1, and FIG. 4 is the pillow of FIG. is a cross-section of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베개(1)는 베개몸체(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에 지지패드(200)가 삽입된 구조로 형성된다. 수용홈(110)은 등을 대고 누웠을 때 사람의 후두부 측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 홈으로 지지패드(200)는 이러한 수용홈(110) 내측에서 사람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지지패드(200)는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수를 바꾸어 전체 두께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적절한 높이로 머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개몸체(100)에는 수용홈(110)과 구조적으로 연결된 경사부(12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경사부(120)는 사람의 목 부분과 수용홈(110)에 안착되는 머리부분 및 경사부(120) 말단 측의 등 부분을 연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상부흉추부터 목을 포함하여 후두부까지, 사람의 신체구조에 대응하는 곡선을 유지하여 편안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목부터 곡선으로 지지하는 것보다 상부흉추부터 연결된 곡선을 형성하여 목을 포함하는 전체를 대응하는 곡선으로 지지하므로 편안함을 더욱 증가시켜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20)는 계단 형상으로 목과 단속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지압효과를 제공하고 열기 등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통기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수용홈(110) 주위로는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바로 접촉하여 지지해 주는 받침판(130)과, 사람의 턱과 목 부분에 접촉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엣지돌출부(131) 등이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정자세뿐만 아니라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에서도 사람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1 to 4, the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베개(1)는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베개몸체(100) 전체가 골격구조(101) 및 외부구조(102)가 결합된 복합구조로 형성된다. 골격구조(101)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데 반해 외부구조(102)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양자의 복합작용으로 안정된 지지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동시에 확보하고 그 효과를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사람과 직접 접촉하는 표면 측의 일부 또는 전부는 부드러운 외부구조(102)로 형성하고, 그보다 경도가 높은 골격구조(101)로 외부구조(102)를 지지하도록 형성하여 베개(1) 전체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동시에 확보하는 구조적 특징도 함께 갖는다.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베개(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베개(1)는, 상부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된 수용홈(110)과, 수용홈(110)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120)를 포함하는 베개몸체(100), 및 수용홈(1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용홈(110)의 저면(111)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200)를 포함하며, 베개몸체(100)는, 수용홈의 내골격(도 5의 101b참조) 및 경사부의 내골격(도 5의 101a참조)을 포함하는 베개몸체(100)의 골격구조(101), 및 골격구조(101) 외측에 형성되며 골격구조(101)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 외부구조(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부(120)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베개몸체(100)는 수용홈(110) 둘레에서 경사부(120)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판(130)은 평면으로 형성된 받침판 한 쌍이 양 측에 대칭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 측 한 쌍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지지패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00)의 수용홈(110) 내측에 삽입된다. 수용홈(110)에 삽입된 지지패드(2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홈(110)의 저면(111)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패드(200)는 예를 들어, 메모리 폼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도는 베개몸체(100)의 골격구조(101)보다 낮을 수 있다. 지지패드(200) 및 베개몸체(100)는 각각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예를 들어, 경도, 밀도, 내구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복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베개몸체(100)의 경우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의 경도 차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재질을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지지패드(200)의 경도는 예를 들어, 베개몸체(100)의 외부구조(102)의 경도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를 중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중첩된 개수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전체 두께 또는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머리가 지지될 때 보다 적합한 높이에 안착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갖는 사람의 후두에 대응하여 더욱 적합한 지지력을 맞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과 이격되어 있어 머리를 받쳐줄 때 하중에 의해 수용홈(11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며 빈 공간을 채우게 되며 그에 따라 상당히 큰 폭으로 변형될 수 있다(도 6의 예시참조). 이로 인해, 지지패드(200)는 사람의 머리를 감싸주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후두부 형상을 갖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등에는 방형의 지지패드(200)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으로 지지패드(200)의 형상을 그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 내측에 착탈이 쉽고 서로 중첩하여 배치하기 편리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수용홈(110)은 베개몸체(100)의 상부에서 만입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몸체(100) 전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수용홈(1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홈(110)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상대적으로 넓게 만입되어 만입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입된 공간으로 사람의 머리 부분(특히 후두부 측)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홈(110)은 통상적인 사람의 두부 크기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경사부(120)가 위치한 쪽으로는 둘레가 곡면을 이루며 높아질 수 있고 경사부(120)와 부드럽게 연결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반면 경사부(120) 반대편으로는 개방되어 있어 지지패드(200) 등이 보다 손쉽게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베개몸체(100) 중앙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110) 내부에는 지지패드(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경사부(120)의 말단보다 높게 위치한 저면(111)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도 4를 참조하면, 수용홈(110)은 저면(111)이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태로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사부(120) 말단에서 시작하여 경사부(120)의 경사를 따라 높이가 높아졌다가 다시 수용홈(110) 안쪽으로 낮아지되 시작점인 경사부(120) 말단보다는 높게 위치하는 수용홈(110) 저면(111)까지 연결되는 두부의 받침구조가 형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사람의 목과 머리부분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받침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경사부(120)에 대한 설명 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receiving
수용홈(110) 내측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지지돌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부(112)는 수용홈(110) 내면에 형성되어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패드(200)를 받쳐 지지하되,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이루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112a)를 포함하여 지지패드(200)를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이루는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한다. 즉, 도 4와 같이 지지패드(2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지지돌부(112)에 의해 수용홈(110) 저면(111)에서 이격될 수 있으며, 특히 서브경사부(112a)를 이용하여 지지패드(200)의 경사를 수용홈(110) 저면(111)의 경사와 평행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사배치는 사람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때 지지패드(200)와 수용홈(110) 저면 사이의 거리조절을 쉽게 하며 아울러 사람은 누우면서 골반을 중심으로 상체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회전중심에 대해 외측이 상승되어 머리부분을 쉽게 받쳐주는 일종의 받음각을 형성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지지돌부(112)는 도 2와 같이 수용홈(110) 내면을 따라 수용홈(110) 안쪽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돌부(112)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로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지지돌부(112)로 지지패드(20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돌부(112)의 너비 등을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서로 너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지지패드(200)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돌부(112)에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홈(110) 안쪽에서 지지패드(200)를 지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지지돌부(112)를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A
경사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의 둘레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며, 하향 경사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이 수용홈(110)보다 낮게 배치된다[구체적으로 수용홈(110)의 저면(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경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개몸체(100)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부분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말단으로부터 수용홈(110)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수용홈(110) 둘레 중 경사부(120)를 향하는 측은 높이가 증가되며 경사부(120)와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경사부(120)는 사람의 목 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체에 적합한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여 다시 설명하겠지만, 경사부(120)는 베개몸체(100)의 골격구조(101)를 이루는 경사부의 내골격(도 5의 101a참조)과 그 위에 덮여 있는 보다 부드러운 외부구조(102)가 조합됨으로써 적절한 안정감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베개몸체(100)의 구조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경사부(120)의 외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121)가 형성된다. 단차지지부(121)는 계단 형상으로 경사부(120)의 경사를 따라 상하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은 경사부(120)의 경사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경사부(120)가 수용홈(110) 측과 경사부(120)의 말단을 잇는 선상에서 높이가 변동된다고 할 때, 단차지지부(121)는 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차지지부(121)는 일직선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에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차지지부(121)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곡면(121a)은 오목한 형태로 단차지지부(121)가 목과 밀착되는 정도를 크게 상승시켜 주며, 아울러 목의 안쪽에 있는 경추를 고려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차지지부(121)가 목을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도 겸비할 수 있다. 특히, 단차지지부(121)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배치되어 목의 경추 부분 및 그 주변에 차례로 접촉하여 해당 부분을 지압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단차지지부(121)의 단차구조에 의해 단차지지부(121) 사이의 공간은 피부에서 이격되어 목 주변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함께 나타낼 수 있다(도 6참조). 또한, 베개몸체(100)의 재질(전술한 메모리폼 등)이 자체적으로 흡열하여 외부로 열을 발산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어 이들의 복합작용으로 사용자는 매우 쾌적하면서도 안락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ing
받침판(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같이 수용홈(110) 둘레에서 경사부(120)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된다(도 8참조). 받침판(130)은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판(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 둘레에서 확장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다가 취침자세를 바꾸는 경우 사람의 얼굴 부분을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특히 베개(1)는 받침판(130)의 경사부(120)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받침판(130)의 상면(130a)보다 높게 형성되어 받침판(13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 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돌출부(131)는 도 1과 같이 경사부(120)와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부(120) 반대편의 외측 말단이 점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엣지돌출부(131)는 예를 들어, 경사부(120)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넓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측으로 뾰족해지는 대략 삼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엣지돌출부(131)는 받침판(130)의 상면(130a)보다 높게 돌출되어 상면(130a)에 대한 높이 차를 형성하며, 이러한 구조로 특히 사람이 옆으로 눕는 경우 매우 편안하고 안정되게 머리 주변부를 받쳐줄 수 있다. 즉 목보다 넓어지는 턱부분은 받침판(130)에 의해 지지되고, 턱과 목 사이의 너비에 의한 높이 차는 엣지돌출부(131)의 높이로 보정하여 지지해 줄 수 있다(도 7참조). 또한 외측 말단 쪽으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상의 형태를 이용하여 턱에서 후두부 측으로 사선 형태로 연결되는 사람의 턱선에 맞춘 맞춤형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안락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도 8참조). 베개(1)의 작용효과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베개의 분해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of the pillow of FIG. 1;
이하, 도 5 및 전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베개몸체(100)의 골격구조(101) 및 외부구조(102)로 이루어진 구조적 측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홈(110), 경사부(120), 받침판(130) 등을 포함하는 베개몸체(100)는 구조적 측면으로 보면 골격구조(101)와 골격구조(101)를 덮는 외부구조(102)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도 5의 분해도와 같이 베개몸체(100) 전체를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로 분리하여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골격구조(101)는 도 5에 도시된 같이 수용홈의 내골격(101b) 및 경사부의 내골격(101a)을 포함하며, 받침판의 내골격(101c)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외부구조(102)는 골격구조(101)의 외측에 형성되며 골격구조(101)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다. 골격구조(101)는 수용홈(110), 경사부(120), 받침판(130) 등의 기초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외력에도 덜 변형되며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외부구조(102)는 골격구조(101)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아 부드럽게 변형되며 피부 등에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구조(102)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아 부드럽게 변형되는 메모리 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골격구조(101)는 그보다 경도가 높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골격구조(101) 역시 메모리 폼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경도는 외부구조(102)보다 높게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패드(200)는 메모리 폼 등으로 형성되되 경도는 외부구조(102)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베개(1)를 베고 누울 때,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 및 지지패드(200) 사이의 경도 차에 의해 나타나는 안정감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즉, 골격구조(101)는 베개(1)가 놓이는 바닥면 등에 직접 지지되면서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외부구조(102) 및 지지패드(200)는 그 외측에서 피부와 접촉하면서 부드럽게 변형되어 편안한 촉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감각이 동시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안정감과 편안함을 동시에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Hereinafter,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외부구조(102)는 예를 들어, 골격구조(101) 상부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구조(102)는 골격구조(101)에 형성된 경사부의 내골격(101a), 수용홈의 내골격(101b), 받침판의 내골격(101c)을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내골격 상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외부구조(102)는 골격구조(101)의 측면 등 다른 부분까지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구조(102)는, 골격구조(101)에 형성된 각 내골격의 형상을 반영하나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외면의 두께는 조정될 수도 있으므로 내골격의 형상을 완전히 동일하게 재현할 필요는 없다. 다만 내골격의 형상을 반영하므로, 대략적인 배치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용홈(110)은 표면이 부드러운 외부구조(102)로 이루어지며 형상은 수용홈의 내골격(101b)을 그대로 반영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사부(120)는 표면이 부드러운 외부구조(102)로 이루어지되 형상은 경사부의 내골격(101a)과 유사하나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의 내골격(101a)은 복수의 단차지지부(121)와 대응되는 복수의 단차부(101a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지지부(121)와 단차부(101a1)의 대응에 의해 단차지지부(121)의 변형이 일정 한도 이내로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하중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단차지지부(121)는 함몰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며 지압효과 및 통기효과를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도 6참조).For example, the
골격구조(101)는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별도 형성된 구조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격구조(101)는 베개(1)가 놓이는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구조(101-1)와, 그에 결합되는 상부구조(101-2)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상부구조(101-2)와 하부구조(101-1)는 서로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골격구조(101)를 상부구조(101-2)와 하부구조(101-1)로 나눌 수 있을 때, 상부구조(101-2)는 예를 들어, 하부구조(101-1)와 외부구조(102) 사이에 삽입된 중간 지지체로 기능할 수 있다. 경사부의 내골격(101a), 수용홈의 내골격(101b), 받침판의 내골격(101c) 등이 반드시 상부구조(101-2) 등에 몰려있을 필요는 없으며 각 내골격을 적절히 분할하여 상부구조(101-2)와 하부구조(101-1)에 나누어 배치하고 결합되어 각 내골격의 형상이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의 내골격(101b)은 주로 하부구조(101-1) 측에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골격 위에 적층된 수용홈(110) 측으로 하부구조(101-1)가 지지된 바닥의 지지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구조(101-1)와 상부구조(101-2) 사이에 적절한 경사각을 주어 전술한 수용홈(110) 저면(111)의 경사 등이 골격구조(101)로부터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골격구조(101)을 형성해 줄 수 있다.The
골격구조(101)는 베개(1)가 놓이는 바닥을 지지하여 지지력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가 합쳐진 베개몸체(100)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람의 머리부분을 안정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는 전술한 수용홈(110) 저면(111)과 베개몸체(100) 바닥 사이의 경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을 잠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개몸체(100)는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120)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경사면은 다음과 같이 베개몸체(100)의 바닥과 특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수용홈(110)의 저면(111)을 이루는 경사면(즉,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경사진 수용홈의 저면 자체)이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A)가 5.5도~6.5도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베개몸체(100)의 바닥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러한 베개몸체(100) 바닥을 기준으로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기울어진 각도는 6도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The
이러한 범위는 메모리 폼 등과 같이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패드(200)나, 그러한 재질의 외부구조(102)로 표면이 덮힌 경사부(120) 및 수용홈(110) 등 각부의 변형 정도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 이를 적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정된 각도로 사람의 머리부분을 지지하고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베개(1)의 사용상태와 작용 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is range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each part, such as the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illow of FIG. 1 by way of example.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람(B)이 바닥에 등을 대고 정자세로 눕는 경우, 등과 목 및 머리는 베개(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받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추가 시작되는 등 부분부터 경사부(120)가 경사를 이용하여 목의 각도를 자연스럽게 상승시켜주며 목과 머리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목의 커브를 유지하면서 후두부 측이 수용홈(110)에 수용될 수 있다. 후두부 측은 수용홈(110) 내측에 삽입된 지지패드(200)에 받쳐져 안정되며 높이는 앞서 설명한 각도의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패드(200)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용홈(110)의 저면(111)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부는 탄성 변형되어 후두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0)의 저면(111)을 이루는 외부구조(102) 역시 적절히 탄성 변형되며 후두부 높이를 안정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목은 과도하게 굴절되지 않으면서 머리는 심장보다 높은 적절한 위치에 놓이도록 유지하여 사람(B)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전술한 각도의 범위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골격구조(101)가 베개몸체(100) 전체를 지탱하므로 머리와 목 등이 견고하게 받쳐져 사람(B)에게 안정감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사부(120)의 단차지지부(121)는 목 부분에 접촉하여 경추 부분과 그 주변부를 지압해 줄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지부(1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통기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개(1) 각 구성부의 복합작용을 통해 베개(1)를 벤 사람은 매우 편안하고 쾌적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 , when a person B lies on the floor in an upright posture, the back, neck, and head may be supported by the
한편, 사람(B)은 취침 시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옆으로 눕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방식으로 베개(1)를 이용하여 역시 숙면에 들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B)이 옆으로 자세를 고쳐 누울 때 도 8과 같이 수용홈(110)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받침판(130)이 사람(B)의 얼굴 등을 받쳐 이번에는 수용홈(110) 밖에서 머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130) 역시 부드러운 외부구조(102)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골격구조(101)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람(B)은 받침판(130)에 지지되면서도 역시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특히, 받침판(130) 상면(130a)에 대해 상대적인 높이 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1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과 턱 부분의 높이 차를 보정하여 목과 턱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며 목과 머리부분 양 측에 밀착하여 지지되므로, 옆으로 누웠을 때에도 편안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엣지돌출부(1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과 같은 형상에 의해 턱에서 후두부 측으로 사선 형태로 연결되는 사람(B)의 턱선에 맞춘 맞춤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므로 사람(B)에게 더욱 안정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1)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매우 편안하고 쾌적하게 수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 B may frequently change his or her posture while sleeping. According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lying on one's side, the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concise and clear,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all descriptions of parts not separately mentioned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베개의 단면도이다.9 is an exploded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low of FIG. 9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1-1)는 보다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형성된 골격구조(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5의 설명에서와 같이 서로 별도 형성되어 결합하는 하부구조(도 5의 101-1참조) 및 상부구조(도 5의 101-2참조) 등을 형성하는 대신, 베개몸체(100)의 골격구조(101) 전체를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골격구조(101)가 단일체로 이루어져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외부구조(102)와도 보다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골격구조(101)의 일부를 변형하여 접속홈부(101d)와 같은 접촉면을 증가시키는 홈구조를 보다 원활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하여 외부구조(102)와 접하는 면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간 결합력을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골격구조(101)는 일 측에 접속홈부(101d)가 형성되고, 외부구조(102) 일 측에는 접속홈부(101d)에 접속되는 접속돌기부(102a)가 형성되어 이들의 상호 접속으로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간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접속홈부(101d) 및 접속돌기부(102a)는 예를 들어 골격구조(101) 및 외부구조(102)의 테두리부분 등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가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지점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pillow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와 같이 골격구조(101)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단면구조 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수용홈(110)의 저면(111)이 베개몸체(100)의 바닥과 이루는 경사 각도 역시 동일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구조(101)상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내골격(101a), 수용홈의 내골격(101b), 받침판의 내골격(101c), 단차지지부(121)와 대응하는 단차부(101a1) 등도 실질적으로 전술한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경사부(120), 수용홈(110), 받침판(130) 등의 기초를 이러한 골격구조(101)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골격구조(101) 및/또는 외부구조(102)의 부분적인 형상 등은 변경도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역시 골격구조(101)와 외부구조(102)가 결합된 베개몸체(100)를 형성하고 베개몸체(100)와 지지패드(200)를 포함하는 베개(1-1)를 형성할 수 있다.Even when the
<실험예 1> 편안함 평가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Comfort evaluation experiment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베개 중 전술한 수용홈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의 각도(도 4의 A참조)가 5도~7도 사이인 다양한 베개를 준비하여, 편안함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한민국 서울과 경기도 거주자 중 8세 내지 67세인 남자 8명, 여자 12명에 대하여, 베개를 최소 30분 내지 최대 8시간까지 사용한 후, 10점 만점으로 편안함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사용시에는 베개를 베고 취침하도록 하였으며 사용 후 편안함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표 1의 점수가 10점에 가까울수록 편안한 것을 나타낸다.Among the pillows of the form shown in FIG. 4, various pillows having an angle of 5 degrees to 7 degrees (see A in FIG. 4) of the inclined surface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groove were prepared, and a comfort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Eight males and 12 females between the ages of 8 and 67 among residents of Seoul and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were ask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fort on a scale of 10 after using the pillow for a minimum of 30 minutes to a maximum of 8 hours. When using it, they were asked to sleep with a pillow on their back, and after us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for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results in Table 1 show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closer the score in Table 1 is to 10, the more comfortable it is.
위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도 5.5도 내지 6.5도 범위에서 각도 5도나 7도에 비해, 평균적으로 매우 높은 편안함을 나타내며, 6도에서 가장 높은 편안함을 나타낸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베개에 있어, 상기 각도는 5.5도 내지 6.5도가 바람직하며, 6도가 보다 바람직한 각도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gle range of 5.5 degrees to 6.5 degrees showed very high comfort on average compared to angles of 5 degrees or 7 degrees, and the highest comfort was shown at 6 degre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the pillow,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is preferably 5.5 to 6.5 degrees, and 6 degrees is a more preferable ang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1-1: 베개 100: 베개몸체
101: 골격구조 101-1: 하부구조
101-2: 상부구조 101a: 경사부의 내골격
101a1: 단차부 101b: 수용홈의 내골격
101c: 받침판의 내골격 101d: 접속홈부
102: 외부구조 102a: 접속돌기부
110: 수용홈 111: 수용홈 저면
112: 지지돌부 112a: 서브경사부
120: 경사부 121: 단차지지부
121a: 안착곡면 130: 받침판
130a: 받침판 상면 131: 엣지돌출부
200: 지지패드
A: 각도 B: 사람1, 1-1: pillow 100: pillow body
101: skeletal structure 101-1: lower structure
101-2: superstructure 101a: endoskeleton of inclined portion
101a1: stepped
101c: endoskeleton of
102:
110: receiving groove 111: receiving groove bottom
112:
120: inclined portion 121: stepped support portion
121a: seating surface 130: support plate
130a: support plate upper surface 131: edge protrusion
200: support pad
A: angle B: person
Claims (12)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내골격 및 상기 경사부의 내골격을 포함하는 상기 베개몸체의 골격구조, 및 상기 골격구조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골격구조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 외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저면이 상기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지지패드를 받쳐 지지하되,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서브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패드를 상기 경사면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t is inser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pillow body includes a skeletal structure of the pillow body including an endoskelet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n external structure formed outside the skeletal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skeletal structure,
The receiving groove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with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support p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ncluding a sub-sloping portion inclin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to arrange the supporting pa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More inclusive pillows.
상기 경사부는, 외면에 서로 단차지게 배치된 복수의 단차지지부를 포함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is a pillow including a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disposed stepwise with each other on an outer surface.
상기 경사부의 내골격은 복수의 상기 단차지지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2,
The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epped support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단차지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support portion is a pillow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단차지지부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곡면을 포함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support portion pillow including a seating curved surface formed concavely in the center.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내골격 및 상기 경사부의 내골격을 포함하는 상기 베개몸체의 골격구조, 및 상기 골격구조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골격구조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된 외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저면이 상기 경사부의 말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의 저면을 이루는 경사면이 상기 베개몸체의 바닥과 이루는 각도가 5.5도~6.5도 사이의 범위에 있는 베개.a pillow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groove recessed from the top and an inclined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distal end thereof is lower than the accommodation groove; and
It is insert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and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ad having elasticity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pillow body includes a skeletal structure of the pillow body including an endoskelet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endoskelet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n external structure formed outside the skeletal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skeletal structure,
The receiving groove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with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 pillow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angle formed with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range from 5.5 degrees to 6.5 degrees.
상기 베개몸체는, 상기 수용홈 둘레에서 상기 경사부를 축으로 대칭되게 양 측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받침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1,
The pillow body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ir of support plates extending to both sides symmetrically about the inclined portion around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받침판의 상기 경사부와 인접한 말단에서 상단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차를 생성하는 엣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9,
A pillow further comprising an edge protrusion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an end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o the top and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o create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support plate.
상기 엣지돌출부는 상기 경사부측 말단이 외측 말단 보다 폭이 넓은 베개.According to claim 10,
The edge protrusion is a pillow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side end is wider than the outer end.
상기 골격구조는 일 측에 접속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구조 일 측에는 상기 접속홈부에 접속되는 접속돌기부가 형성되는 베개.According to claim 1,
The skeleton structure has a connection groove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pillow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002A KR102503202B1 (en) | 2021-07-29 | 2021-07-29 | Pil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002A KR102503202B1 (en) | 2021-07-29 | 2021-07-29 | Pill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8164A KR20230018164A (en) | 2023-02-07 |
KR102503202B1 true KR102503202B1 (en) | 2023-02-23 |
Family
ID=8522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0002A KR102503202B1 (en) | 2021-07-29 | 2021-07-29 | Pil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202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799B1 (en) * | 2009-09-18 | 2010-01-06 | 김경호 | Pillow |
KR200460780Y1 (en) * | 2010-02-05 | 2012-06-11 | 주식회사 티앤아이 | Orthopedic pillow for deepsleep |
KR101444056B1 (en) * | 2014-01-09 | 2014-09-23 | 정영찬 | Functional pillow |
KR101559482B1 (en) * | 2014-04-07 | 2015-10-15 | 신준식 | Functional pillow |
KR101614621B1 (en) * | 2014-12-12 | 2016-04-21 | 남문식 |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
JP2019042365A (en) * | 2017-09-06 | 2019-03-22 | 歐得葆家具有限公司 | Pillow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81831A (en) * | 1993-11-29 | 1996-12-10 | Xiang; Kun | Ergonomic pillow |
KR100988861B1 (en) | 2008-06-25 | 2010-10-20 | 등 김 | The well-being pillow |
KR20170074496A (en) * | 2015-12-22 | 2017-06-30 | (주)아이엠씨코리아 | Functional Pillow |
-
2021
- 2021-07-29 KR KR1020210100002A patent/KR10250320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5799B1 (en) * | 2009-09-18 | 2010-01-06 | 김경호 | Pillow |
KR200460780Y1 (en) * | 2010-02-05 | 2012-06-11 | 주식회사 티앤아이 | Orthopedic pillow for deepsleep |
KR101444056B1 (en) * | 2014-01-09 | 2014-09-23 | 정영찬 | Functional pillow |
KR101559482B1 (en) * | 2014-04-07 | 2015-10-15 | 신준식 | Functional pillow |
KR101614621B1 (en) * | 2014-12-12 | 2016-04-21 | 남문식 |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
JP2019042365A (en) * | 2017-09-06 | 2019-03-22 | 歐得葆家具有限公司 | Pillow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8164A (en) | 2023-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17049B1 (en) | Therapeutic pillow | |
KR101434817B1 (en) | Health pillow for attitude correction | |
US11134801B2 (en) | Therapeutic head pillow and supporting body pillow | |
US20130318722A1 (en) | Functional Pillow | |
US8813282B2 (en) | Therapeutic pillow with hand rest | |
KR102364405B1 (en) | Cervical pillow | |
KR101577903B1 (en) |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 |
JP3232583U (en) | Ergonomic dual-purpose pillow | |
JP2008517686A (en) | Ergonomic pillow | |
JP2007000397A (en) | Pillow | |
KR101930643B1 (en) | a pillowa | |
KR102503202B1 (en) | Pillow | |
KR102503206B1 (en) | Pillow | |
KR102475466B1 (en) | Corrective pillow for cervical spine | |
CN209769909U (en) | Multifunctional physical therapy health care pillow designed according to ergonomic curvature | |
EP3449777A1 (en) | Pillow | |
US20210353080A1 (en) | Functional pillow | |
JPH0723840A (en) | Pillow | |
KR200440193Y1 (en) | Cushion with Breathing Hole | |
KR101889221B1 (en) | a pillowa | |
KR102630894B1 (en) | Double Structure Pillow | |
KR20040101583A (en) | Pillow differ each parts Height and Multi-hardness and elastomer of Health pillow | |
JP2006340942A (en) | Mattress and bed with mattress | |
KR102629541B1 (en) | Correction pillow having function for optimizing by sleep posture | |
KR200369166Y1 (en) | Functional ergomechanic pil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