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046A -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046A
KR20230018046A KR1020210099724A KR20210099724A KR20230018046A KR 20230018046 A KR20230018046 A KR 20230018046A KR 1020210099724 A KR1020210099724 A KR 1020210099724A KR 20210099724 A KR20210099724 A KR 20210099724A KR 20230018046 A KR20230018046 A KR 20230018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ization
unit
food waste
bio
ch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홍
김이태
안광호
신동철
이예은
정윤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046A/ko
Publication of KR2023001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003Arrangements for pollution-free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18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with moving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4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conveyor-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7/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with indirect heating, e.g. by external combustion
    • C10B47/28Other processes
    • C10B47/32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C10B47/48Other processes in ovens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tilting or rock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가 제공된다.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는,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에 따라 배출하는 원료 투입부와, 원료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Bio char)를 생산하는 탄화부와,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유출부와, 탄화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산화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bio solid refuse fuel equipped with control unit of pyrolysis time and temperatur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화과정의 일체화 및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고형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력 발전소에 의한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발생의 대책으로 친환경 대체연료인 바이오매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매스의 혼소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측면뿐 아니라 유해물질 배출 저감효과로 인해 장려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법제화된 기준에 의해 화력 발전소는 신재생에너지 공급할당기준(RPS: Renewables Portfolio Standard)를 의무적으로 채워야 하며 이를 위하여 목재 펠릿을 수입하거나 일부 하수슬러지를 혼소하고 있다.
석탄 화력 발전소의 바이오매스 혼소량을 저유황탄보다 친환경적 연료인 음식물 쓰레기 바이오 차를 생산하여 대체하면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뿐 아니라 목재 펠릿 대체 및 REC 구매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음식물쓰레기는 퇴비화 및 사료화 기술에 의해서 84.47% 이상(2019년 6월 기준)이 재활용되고 있으나 과도한 이물질 함유, 고농도 음폐수 발생, 염분 및 높은 부패성으로 실제 활용률이 낮으며, 재활용 생산물의 품질도 낮아서 고품질화에 의한 실질적인 활용성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2008년 국제 해양 방류 폐기가 금지된 이후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는 사료, 퇴비 또는 연료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소각 또는 매립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 재생사료의 경우 조류인플루엔자나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의 원인으로도 인식되고 있어 사료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재생퇴비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한 토양의 경화가 유발된다.
연료로 재활용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바이오 차(Bio char)를 제조하여 연료로 사용 가능하나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하여 발열량 기준을 만족하는 바이오 차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고형연료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4-0035866호(2014년03월24일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하여 고품질의 바이오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를 생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는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에 따라 배출하는 원료 투입부;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Bio char)를 생산하는 탄화부;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유출부; 및 상기 탄화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산화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 투입부는, 사전에 정해진 기준함수율 미만의 함수율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투입 호퍼; 상기 투입 호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탄화부로 이송시키는 투입 피더; 및 상기 투입 피더로 질소를 공급하여 상기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되어 투입 피더를 통해 탄화부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산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질소 주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부는,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바이오 차를 생산하는 탄화 튜브; 및 상기 탄화 튜브의 외부에 분산 구비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탄화부는, 상기 탄화 튜브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탄화 튜브 내 음식물 쓰레기가 말단부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경사 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화부는, 상기 탄화 튜브의 유입부, 중단부 및 말단부에 설치되어 탄화 튜브의 온도를 센싱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온도 센서부들에 의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개별 조정한다.
상기 바이오 차 유출부는,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어 배출되는 바이오 차를 차집하여 유출하는 유출 호퍼; 상기 유출 호퍼의 하단을 통해 유출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차집 컨테이너; 및 상기 생산된 바이오 차가 산화되지 않도록 상기 유출 호퍼 및 차집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로 질소를 공급하는 제2질소 주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가스 처리부는, 상기 탄화부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통과시켜 상기 배가스에 포함된 오일 및 수증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기;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분리되는 오일 및 수증기를 차집하는 하나 이상의 차집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에서 분리된 배가스가 완전 산화하도록 연소시키는 배가스 연소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는,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에 따라 배출하는 원료 투입부;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Bio char)를 생산하는 탄화부;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유출부; 및 기준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형 연료의 품질 기준 규격에 설정된 기준 발열량 조건을 만족하는 최저 발열 온도 및 최단 발열 시간에 따라 탄화처리하도록 탄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완전 산화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승온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형 연료의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상기 탄화부의 최저 발열 온도를 승온시키고, 시간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상기 탄화부의 최단 발열 시간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 연료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발열량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바이오 차를 생산할 수 있으며, 무산소 조절기능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탄화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탄화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질소를 이용함으로써 무산소 유지를 위한 밀폐구조 등의 설비를 구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에 따라 탄화온도 또는 탄화 시간을 조절하여 함수율 등 조건이 다양한 성상의 음식물 쓰레기 탄화에 의한 연료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탄화 장치(100)의 개념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질소 주입부(113)를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가스 처리부(14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시스템', '장치'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은 탄화 장치(100) 및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회수 건조장치(10)는 고함수율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예를 들어 10% 미만의 함수율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생성한다. 10% 미만은 일 예로서 탄화 장치(100)로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은 조정가능하다.
탄화 장치(100)는 열회수 건조장치(10)에서 생성되는 저함수율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 탄화처리하여 고형 연료인 Bio Char(또는 Bio SRF(Biomass-Solid Refuse Fuel))를 생성한다. 저함수율 음식물 쓰레기는 고형 연료의 원료로 사용되며, 이하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와 원료를 혼용한다.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는 탄화 장치(100)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의 염분 농도를 감소시켜, 고형 연료로서 사용되는 바이오 차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탄화 장치(100)의 개념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100)는 원료 투입부(110), 탄화부(120), 바이오 차 유출부(130), 배가스 처리부(140), 제1산소 측정기(150), 제2산소 측정기(160) 및 탄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 투입부(110), 탄화부(120), 바이오 차 유출부(130), 배가스 처리부(140), 제1산소 측정기(150), 제2산소 측정기(160) 및 탄화 제어부(170)는 일체화되어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원료 투입부(110)는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저함수율의 원료를 정량에 따라 탄화부(120)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원료 투입부(110)는 투입 호퍼(111), 투입 피더(112) 및 제1질소 주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 호퍼(111)는 사전에 정해진 기준함수율(예를 들어, 10%이나 이는 상하조정가능하다.) 미만의 함수율을 가지는 원료가 투입되면,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원료를 투입 피더(112)로 배출한다. 투입 호퍼(111)는 고형 연료의 원료가 투입 호퍼(111)의 상단에 투입되면 투입 호퍼(111)의 하단이 원료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투입 피더(112)는 투입 호퍼(111)에 투입된 원료를 탄화부(120)의 탄화 튜브(121)로 이송시킨다. 투입 피더(112)는 사전에 정해진 시간당 투입량에 기초하여 원료를 탄화 튜브(121)로 이송시킬 수 있다. 투입 피더(112)는 투입 구동부(미도시)와 오거(auger)를 포함할 수 있다. 오거는 투입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원료를 탄화 튜브(121)로 이송시킨다.
제1질소 주입부(113)는 투입 피더(112)로 질소를 공급하여 투입 호퍼(111)로부터 배출되어 투입 피더(112)를 통해 탄화부(120)로 이송되는 원료의 무산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원료가 탄화처리되는 동안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제1질소 주입부(113)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질소 주입부(113)는 제1질소 주입 밸브(113a), 제1질소 구동부(113b) 및 제1질소 유량계(1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질소 주입 밸브(113a)는 투입 피더(112)의 측면에 구비되어 질소 저장소(미도시)로부터 가압 질소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질소 구동부(113b)는 투입 피더(112)가 구동되기 이전(수분 전 또는 수초 전)부터 제1질소 주입 밸브(113a)가 개방되도록 구동하여 투입 피더(112)에 의해 탄화 튜브(121)로 가압 질소가 주입되도록 하며, 이로써 탄화 튜브(121) 내에 상존하고 있는 산소는 탄화 튜브(121)의 후단으로 이동하며, 투입 피더(112)에 의해 원료가 탄화 튜브(121)로 주입되는 동안에도 산소가 유입되지 않도록 가압 질소를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입 피더(112)는 원료가 투입 호퍼(111)로부터 배출되기 전부터 지속적으로 가동상태에 있을 수 있다. 가압 질소는 예를 들어, 1kgf/cm2 이상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탄화부(120) 또는 탄화 튜브(121)는 가입 질소 주입에 의해 무산소 조건을 유지하여, 원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질소 유량계(113c)는 제1질소 주입 밸브(113a)를 통해 탄화 튜브(121)로 공급되는 가압 질소의 양을 측정하여 탄화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화부(120)는 원료 투입부(110)로부터 배출되는 원료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원료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화부(120)는 탄화 튜브(121), 이송 스크류(122),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 다수의 온도 센서들(125, 126, 127) 및 경사 유도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 튜브(121)는 원료 투입부(110)의 투입 피더(112)로부터 유입되는 원료를 회전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 연료인 바이오 차를 생산한다. 탄화 튜브(121)는 Rotary Kiln 또는 회전로일 수 있으며, 탄화 튜브(121)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미도시)에 회전 체인(미도시)을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다.
탄화 튜브(121) 내에는 이송 스크류(122)가 탄화 튜브(121) 내면에 고정되며, 탄화 튜브(121)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 스크류(122)도 회전하면서 원료를 탄화 튜브(121)의 말단부로 이송시킨다. 또는, 이송 스크류(122)를 대신하여 오거(미도시)가 탄화 튜브(12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오거는 탄화 튜브(121)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원료를 이송시킨다.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은 탄화 튜브(121)의 외부에 분산 구비되어 탄화 튜브(121) 내에 고열을 공급한다. 이로써 탄화 튜브(121) 내의 원료는 고열에 의해 탄화처리된다.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은 고온 상태의 발열을 위해,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열선을 이용한 발열체 또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화 튜브(121)가 원통형인 경우,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화 튜브(121)의 우측면, 좌측면(미도시), 하단 또는 상단(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온도 센서들(125, 126, 127)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화 튜브(121)의 유입부, 중단부 및 말단부에 분산 설치되어 탄화 튜브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온도를 탄화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온도 센서들(125, 126, 127)은 센싱된 온도를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 중 전기적으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고온 발열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 각각은, 다수의 온도 센서들(125, 126, 127)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발열 온도로 발열하도록 개별 조정할 수 있다.
경사 유도부(128)는 탄화 튜브(121)의 경사를 조절하여 탄화 튜브(121)의 유입부로 유입된 원료가 탄화 튜브(121)의 말단부로 이송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바이오 차 유출부(130)는 탄화부(120)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한다. 바이오 차 유출부(130)는 유출 호퍼(131), 차집 컨테이너(132) 및 제2질소 주입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 호퍼(131)는 탄화부(120)의 탄화 튜브(121)에서 생산되어 배출되는 고형 연료인 바이오 차를 차집하여 차집 컨테이너(132)로 유출한다. 유출 호퍼(131)의 상단 높이는 탄화 튜브(121)의 상단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출 호퍼(131)의 상단과 배가스 처리부(140)는 배가스 배관(130a)으로 연결되어 배가스 또는 산소는 배가스 배관(130a)을 통해 배가스 처리부(140)로 이송될 수 있다.
차집 컨테이너(132)는 유출 호퍼(131)의 하단을 통해 유출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한다.
제2질소 주입부(133)는 탄화 튜브(121)에서 생산된 고온(예를 들어 100℃ 이상)의 바이오 차가 산화되지 않도록 차집 컨테이너(132)로 가압 질소를 공급하고, 차집 컨테이너(132)에 들어있던 산소는 가입 질소에 의해 유출 호퍼(131)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배가스 처리부(140)로 이송되며, 이로써 차집 컨테이너(132)가 무산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배가스 처리부(140)로 이송된 산소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가스 연소부(148)에서 배가스 연소 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질소 주입부(133)는 차집 컨테이너(132)의 상단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와 유사하게 제2질소 주입 밸브(미도시), 제2질소 구동부(미도시) 및 제2질소 유량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질소 주입 밸브(미도시), 제2질소 구동부(미도시) 및 제2질소 유량계(미도시)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제1질소 주입 밸브(113a), 제1질소 구동부(113b) 및 제1질소 유량계(113c)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가스 처리부(140)는 탄화부(120)에서 원료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산화처리할 수 있다. 특히, 탄화부(120)에서 생성되는 배가스에는 고온 조건에 의해 기화된 오일(타르 등)과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배가스 처리부(140)는 오일과 수증기를 배제한 후 순수 배가스만을 산화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가스 처리부(14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가스 처리부(140)는 배가스 후드(141), 제1이송관로(140a), 제1냉각기(142), 제1차집부(143), 제2이송관로(140b), 제2냉각기(144), 제3냉각기(145), 제2차집부(146), 제3이송관로(140c), 제4냉각기(147), 배가스 연소부(148) 및 폐열 공급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F1은 제1질소 유량계(113c)이고, F2는 혼합가스용 유량계로서, 배가스 연소부(148)로 유입되는 배가스를 측정할 수 있다.
배가스 후드(141)는 탄화부(120)에서 생성되는 배가스를 흡입하여 제1이송관로(140a)로 배출한다.
제1이송관로(140a)의 일단은 배가스 후드(14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차집부(143)와 연결되며, 제1냉각기(142)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냉각기(142)는 제1이송관로(140a)를 둘러싸는 원통형 냉각기로서, 제1이송관로(140a)를 통해 이송되는 배가스를 냉각시킨다. 탄화부(12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오일과 수증기는 가스 형태로 존재하므로, 제1냉각기(142)를 통과함으로써 배가스로부터 오일과 수증기가 분리된다.
제1차집부(143)는 제1냉각기(142)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오일과 수증기를 차집하고, 남은 배가스는 제2이송관로(140b)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 제2이송관로(140b) 일단에는 후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이송관로(140a)에서 배출된 배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제2이송관로(140b)의 일단은 제1차집부(143)(또는 후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차집부(146)와 연결되며, 제2냉각기(144)와 제3냉각기(145)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냉각기(144)는 제2이송관로(140b)의 유입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냉각기로서, 제1냉각기(142)와 함께 짝을 이루어 2단 형태의 냉각방식을 제공한다. 제2냉각기(144)는 제2이송관로(140b)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배가스를 냉각시켜, 배가스에 남아있는 오일과 수증기를 분리한다.
제2냉각기(144)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오일과 수증기는 제1차집부(143)로 차집된다.
제3냉각기(145)는 제2이송관로(140b)의 말단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냉각기로서, 제2이송관로(140b)를 통해 이송되는 배가스를 냉각시켜, 배가스에 남아있는 오일과 수증기를 분리한다.
제2차집부(146)는 제3냉각기(145)에 의해 분리된 오일과 수증기를 차집하고, 남은 배가스는 제3이송관로(140c)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 제3이송관로(140c) 일단에는 후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이송관로(140b)에서 배출된 배가스를 흡입할 수도 있다.
제3이송관로(140c)의 일단은 제2차집부(146)(또는 후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배가스 연소부(148)와 연결되며, 제4냉각기(147)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4냉각기(147)는 제3이송관로(140c)의 유입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냉각기로서, 제3냉각기(145)와 함께 2단 형태의 냉각방식을 제공한다. 제4냉각기(147)는 제3이송관로(140c)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배가스를 냉각시켜, 배가스에 남아있는 오일과 수증기를 분리한다.
제4냉각기(147)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오일과 수증기는 제2차집부(146)로 차집된다. 도 5에는 2단 원통형 냉각기가 두 개 구비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냉각기의 개수는 탄화 장치(100)의 규모, 탄화부(120)의 바이오 차 생산량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배가스 연소부(148)는 제4냉각기(147)를 통과하면서 오일과 수증기가 분리된 배가스(또는 열량이 거의 없는 기화된 부산물 형태의 가스)를 연소시켜 완전 산화되도록 한다. 완전 산화에 의해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성분의 방출을 방지하게 된다.
폐열 공급부(149)는 배가스 연소부(148)에서 배가스가 연소되는 동안 발생하는 폐열을 원료 투입부(110)의 투입 호퍼(111)로 공급할 수 있다. 폐열이 투입 호퍼(111)로 공급하여 열교환을 함으로써 투입 호퍼(111)에 투입된 원료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감소된 수분량만큼 탄화 튜브(121)로 공급하는 열(또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산소 측정기(150)는 탄화 튜브(121)의 말단 중 유출 호퍼(131)로 바이오 차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탄화 튜브(121) 내 산소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탄화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산소 측정기(160)는 차집 컨테이너(132)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차집 컨테이너(132) 내 산소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탄화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탄화 제어부(170)는 원료 투입부(110), 탄화부(120), 바이오 차 유출부(130) 및 배가스 처리부(140)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한다.
예를 들어, 탄화 제어부(170)는 투입 호퍼(111)로 원료인 원료를 투입하기 전, 또는, 투입 피더(112)를 구동하기 수분 전 또는 수초 전에 탄화 튜브(121)내에 잔존하는 산소를 밀어내기 위하여 압력 질소 주입을 개시하도록 제1질소 주입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질소 구동부(113b)는 제1질소 주입 밸브(113a)를 개방하여 질소가 탄화 튜브(121) 내로 주입되도록 한다.
제1산소 측정기(150)로부터 측정된 산소농도가 무산소 조건(일정 시간 이상 산소가 측정되지 않는 조건)에 해당하면, 탄화 제어부(170)는 투입 피더(112)를 제어하여 투입 호퍼(111)로 투입되는 원료를 탄화 튜브(121)로 이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원료가 탄화 튜브(121)로 투입 후 일정 시점(예를 들어, 설정된 탄화 시간의 1/3 시점)부터 차집 컨테이너(132)에 저장된 바이오 차가 회수될 때까지 압력 질소를 주입하도록 제2질소 주입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질소 구동부(미도시)는 제2질소 주입 밸브(미도시)를 개방하여 질소가 차집 컨테이너(132) 내로 주입되도록 한다.
또는, 탄화 제어부(170)는 산소가 측정되지 않는 무산소 조건이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질소 주입을 멈추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질소를 주입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1질소 주입부(113) 또는 제2질소 주입부(13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연료 생산이 완료될 때까지 제1질소 주입 밸브(113a) 또는 제2질소 주입 밸브(미도시)가 상시 개방되어 질소의 신속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산소가 일정 시간 이상 측정되지 않으면 연료 생산이 완료되지 않아도 제1질소 주입 밸브(113a) 또는 제2질소 주입 밸브(미도시)를 폐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사전에 정해진 시간당 투입량에 기초하여 원료를 탄화 튜브(121)로 이송하는 속도 또는 이송하는 주기를 조정하도록 투입 피더(1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다수의 온도 센서들(125, 126, 127)로부터 수신되는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개별적으로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 튜브(121)의 유입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125)에 의해 센싱된 온도가 최저 발열 온도(300℃)보다 낮은 경우, 탄화 제어부(170)는 온도 센서(125)에 매핑된 고온 발열부들(예를 들어, 유입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고온 발열부들)이 설정된 최저 발열 온도(300℃)로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탄화 장치(100)에 설정되는 발열 모드 별로 탄화부(120)의 발열 온도와 발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발열 모드는 기준 발열 모드, 승온 발열 모드 및 시간 발열 모드를 포함하며, 메모리(미도시)에 각 모드 별 발열 온도와 발열 시간이 매핑저장될 수 있다. 기준 발열 모드는 기준 발열량을 만족하는 바이오 차를 생산하기 위한 최저 발열 온도(또는 최저 탄화 온도)와 최저 발열 시간(또는 최저 탄화 시간)으로 탄화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 발열 온도와 탄화 온도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에 따라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발열 온도는 발열되는 온도, 탄화 온도는 원료를 탄화시키기 위한 온도, 발열 시간은 발열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 탄화 시간은 탄화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화 제어부(170)의 메모리(미도시)에는 발열 모드 별 발열 온도와 발열 시간이 매핑된 발열 모드 테이블이 [표 1]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발열 모드 발열 온도(℃) 발열 시간(min)
기준 발열 모드 300 10
승온 발열 모드 400 10
시간 발열 모드 300 30
[표 1]의 각 발열 모드 별로 설정된 발열 온도와 발열 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조정가능하며, 발열 모드 역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탄화 제어부(170)는 기준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고형 연료인 바이오 차의 품질 기준 규격에 설정된 기준 발열량 조건을 만족하는 최저 발열 온도(300℃) 및 최단 발열 시간(10분)에 따라 발열하도록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 차의 품질 기준 규격(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7])에 설정된 기준 발열량 조건은 수입 고형연료제품의 경우 3150kcal/kg 이상이고, 제조 고형연료제품의 경우 3000kcal/kg 이상이다.
또한, 바이오 차의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승온 발열 모드가 설정되면, 탄화 제어부(170)는 최저 발열 온도를 400℃ 또는 500℃와 같이 승온시켜 발열하도록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차의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 발열 모드가 설정되면, 탄화 제어부(170)는 최단 발열 시간을 20분 또는 30분과 같이 시간을 연장하여 발열하도록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123, 124)을 제어할 수 있다.
[표 1]의 발열 온도는 탄화 온도와 동일하거나 탄화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이는 발열되는 온도와 탄화되는 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표 2]는 상술한 [표 1]의 기준 발열 모드의 최저 발열 온도와 최저 발열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투입된 원료 음식물쓰레기와 탄화온도 및 탄화시간별 발열량을 분석한 일례이다. 투입된 원료인 음식물쓰레기는 함수율: 10 ± 2.0 %, 휘발분: 72.21 %, 회분: 8.89 %, 고정 탄소: 11.10 %, 저위 발열량 4070kcal/kg, 염분농도: 1.61 % (only Cl), 입자 크기: 가로, 세로 1~25 mm로 분석되었다. 탄화 후 수행된 Bio-SRF 분석결과 300℃에서 10분과 30분 탄화 결과 저위발열량 4,840 ~ 5,230kcal/kg, 400℃에서 10분과 30분 탄화 결과 저위발열량 5,320 ~ 5,440kcal/kg, 500℃에서 10분과 30분 탄화 결과 저위발열량 4,830 ~ 5,480kcal/kg으로 분석되어 탄화온도 및 탄화시간을 증가할 경우 발열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시료명 (탄화온도(℃)-탄화시간(분)) 저위발열량
(kcal/kg)
RAW (원료 음식물 쓰레기) 4,070
300-10 4,840
300-30 5,230
400-10 5,440
400-30 5,320
500-10 5,480
500-30 4,830
저위 발열량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HI는 저위발열량, Hh는 고위발열량, H는 수소의 함량, W는 수소의 함량이다.
동일한 원시료를 다른 탄화 조건(탄화 온도와 탄화 시간)으로 탄화처리한 경우, 300℃로 10분간 탄화처리하여도 기준 발열량인 3150kcal/kg의 조건을 충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 1]과 같은 발열 모드 조건을 정하였으며, 이러한 조건은 원료(즉, 음식물 쓰레기)의 탄소 성분 함유량, 수분 함유량 등 원료 성상에 따라서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에 탄소 성분이 많을수록 탄화 성능이 좋으므로 최저 발열 온도로 최저 발열 시간동안 탄화처리하고, 탄소성분이 적을수록 최저 발열 온도보다 높거나 최저 발열 시간보다 길게 탄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탄화 튜브(121) 내에 이송 스크류(122) 또는 오거가 구비된 경우, 경사 유도부(128)를 이용하여 탄화 튜브(121)의 유입부가 말단부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기울임으로써, 탄화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경사가 급할수록 원료의 체류시간이 단축되므로, 즉, 탄화처리된 바이오 차가 배출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탄화 튜브(121)의 회전수를 조정하지 않고도 기울기로 탄화 시간을 조정하여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탄화 제어부(170)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탄화 시간이 종료되기 n분 이전(n은 1 이상의 정수)에, 또는 바이오 차가 생산된 후에, 또는 탄화를 시작하는 처음부터 0도가 아닌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 유도부(128)를 제어함으로써 탄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경사 유도부(128)의 경사 범위는 일 예로 0도~30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생산되는 바이오 차의 발열량이 기준 발열량의 일정 % 이상 초과하면 탄화 튜브(121)의 경사를 이전보다 급하게 유지하도록 경사 유도부(128)를 제어하여 기준 발열량의 조건은 만족하면서 바이오 차 생산 속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는 탄화 튜브(121)의 회전수를 일정 이상 증가시키는 경우 열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 때는 경사 유도부(128)의 경사를 조정하여 탄화 시간을 조절하는 효율적이다.
한편, 탄화 튜브(121) 내 이송 스크류의 날개들 간 피치(간격) 내 원료가 차지하는 체적과 단위시간당 회전수에 의해 탄화시간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탄화 튜브(121)의 직경이 200㎜(d1), 스크류 높이가 60mm면, 실제 연료가 충진되는 단면적은 (탄화 튜브 단면적 - 중공단면적)이다. 피치 간격이 100 mm,
Figure pat00002
의 부피를 차지하고, 회전수가 1 rpm이면 탄화부(120)는 분당 단위 체적만큼 바이오 고형연료가 생산된다. 따라서, 탄화 제어부(170)는 탄화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회전수를 높이거나 연료체적이 큰 탄화 튜브(121)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탄화 장치(100)는 Bio-SRF 기준 또는 비료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를 생산할 수 있으며, 무산소 조절기능으로 원료의 탄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무산소 유지를 위해 질소를 이용함으로써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의 함수율에 따라 탄화온도 또는 탄화 시간을 조절하여 다양한 성상의 원료 탄화에 의해 연료 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탄화 장치 110: 원료 투입부
111: 투입 호퍼 112: 투입 피더
113: 제1질소 주입부 120: 탄화부
121: 탄화 튜브 122: 이송 스크류
123, 124: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 125, 126, 127: 다수의 온도 센서들
128: 경사 유도부 130: 바이오 차 유출부
131: 유출 호퍼 132: 차집 컨테이너
133: 제2질소 주입부 140: 배가스 처리부
141: 배가스 후드 142: 제1냉각기
143: 제1차집부 144: 제2냉각기
145: 제3냉각기 146: 제2차집부
147: 제4냉각기 148: 배가스 연소부
149: 폐열 공급부 150: 제1산소 측정기
160: 제2산소 측정기 170: 탄화 제어부

Claims (10)

  1.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에 따라 배출하는 원료 투입부;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Bio char)를 생산하는 탄화부;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유출부; 및
    상기 탄화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산화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투입부는,
    사전에 정해진 기준함수율 미만의 함수율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투입 호퍼;
    상기 투입 호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탄화부로 이송시키는 투입 피더; 및
    상기 투입 피더로 질소를 공급하여 상기 투입 호퍼로부터 배출되어 투입 피더를 통해 탄화부로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산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질소 주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부는,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바이오 차를 생산하는 탄화 튜브; 및
    상기 탄화 튜브의 외부에 분산 구비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부는,
    상기 탄화 튜브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탄화 튜브 내 음식물 쓰레기가 말단부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경사 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부는,
    상기 탄화 튜브의 유입부, 중단부 및 말단부에 설치되어 탄화 튜브의 온도를 센싱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고온 발열부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온도 센서부들에 의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개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차 유출부는,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어 배출되는 바이오 차를 차집하여 유출하는 유출 호퍼;
    상기 유출 호퍼의 하단을 통해 유출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차집 컨테이너; 및
    상기 생산된 바이오 차가 산화되지 않도록 상기 유출 호퍼 및 차집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로 질소를 공급하는 제2질소 주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처리부는,
    상기 탄화부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를 통과시켜 상기 배가스에 포함된 오일 및 수증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기;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분리되는 오일 및 수증기를 차집하는 하나 이상의 차집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냉각에서 분리된 배가스가 완전 산화하도록 연소시키는 배가스 연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8. 고형연료 생산의 원료인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에 따라 배출하는 원료 투입부;
    상기 원료 투입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시키면서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바이오 차(Bio char)를 생산하는 탄화부;
    상기 탄화부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유출부; 및
    기준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형 연료의 품질 기준 규격에 설정된 기준 발열량 조건을 만족하는 최저 발열 온도 및 최단 발열 시간에 따라 탄화처리하도록 탄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가스를 완전 산화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승온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고형 연료의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상기 탄화부의 최저 발열 온도를 승온시키고, 시간 발열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준 발열량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바이오 차가 생산되도록 상기 탄화부의 최단 발열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KR1020210099724A 2021-07-29 2021-07-29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KR20230018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24A KR20230018046A (ko) 2021-07-29 2021-07-29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724A KR20230018046A (ko) 2021-07-29 2021-07-29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46A true KR20230018046A (ko) 2023-02-07

Family

ID=8522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724A KR20230018046A (ko) 2021-07-29 2021-07-29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80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866A (ko) 2010-10-08 2014-03-24 티얼 세일즈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매스 반탄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866A (ko) 2010-10-08 2014-03-24 티얼 세일즈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매스 반탄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7590B (zh) 一种农林生物质连续热解炭化方法
KR101006224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CN208717138U (zh) 一种双层滚筒污泥炭化装置
CN104017591B (zh) 一种农林生物质连续热解炭化装置
KR101319737B1 (ko) 바이오매스탄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바이오매스탄의 제조장치
EP3143331B1 (en) Biochar carbonizer
US10696904B2 (en) Pyrolysis apparatus and method
US79853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complex hydrocarbons
JP5501644B2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イオマス炭の製造装置
CN100516174C (zh) 生物质电磁感应热解液化反应器
CN109161393B (zh) 一种畜禽粪便分级炭化的系统及方法
JP2012526645A (ja) バイオマス炭化物およびエネルギーを作り出すための、熱分解プロセスならびに装置
EP0025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volatile substances from a starting material
CN101068909A (zh) 用于气化处理的方法和设备
CN104487550A (zh) 废物处理中的改进
JP2010242035A (ja) バイオマス炭の製造方法
CN105264054A (zh) 热解气化系统中的热解附着物产生抑制方法及热解气化系统
KR200490378Y1 (ko) 바이오매스 가스화장치 및 이를 갖는 바이오매스 처리설비
KR20230018046A (ko)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을 위한 탄화 장치
JP4125618B2 (ja) 有機物含有汚泥の炭化処理装置
CN203999498U (zh) 一种农林生物质连续热解炭化装置
JP2004189788A (ja) 木酢液または竹酢液の製造方法および炭化炉
CN102786964B (zh) 一种热循环连续煤热解炉的自动控制方法
CN110396417A (zh) 一种干化炭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KR100596222B1 (ko) 코크스 건식 소화 장치에서의바이오매스(biomass)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