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967A -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967A
KR20230017967A KR1020210099410A KR20210099410A KR20230017967A KR 20230017967 A KR20230017967 A KR 20230017967A KR 1020210099410 A KR1020210099410 A KR 1020210099410A KR 20210099410 A KR20210099410 A KR 20210099410A KR 20230017967 A KR20230017967 A KR 2023001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ship
management system
drip tra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946B1 (ko
Inventor
이종철
강부원
김정남
나현웅
유호연
이상혁
정승재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9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은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고, 드립 트레이는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가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LEAKAGE AMMONIA MANAGEMENT SYSTEM IN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모니아의 확산을 방지하여 취급 상 안전을 도모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및 각종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기존 연료인 중유, 디젤유의 이용을 대신하여, 세계 각국은 친환경, 저탄소연료 사용 선박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Natural Gas)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유력하게 고려되어 왔다. 다만, 천연가스는 취급의 효율성을 위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로 상 변화하여 관리 및 운용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액화점이 약 -163℃로 매우 낮아 냉각에 어려움이 있고, 액화천연가스를 급유하는 항구 또는 벙커링 선박 등의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암모니아(NH3)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 예로,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선박의 엔진이나 각종 발전설비의 동력원으로 활용하거나, 암모니아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암모니아는 -38℃ 이하의 액체 상태로 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액체 상태로 소비처로 운반된다. 암모니아는 매우 적은 농도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질을 가지며, 특히 암모니아는 비중이 공기보다 낮아 확산이 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폭발 또는 인명사고 등 안전에 위협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암모니아는 물과 만나게 되면 급속히 흡수되고 폭발적인 흡수열을 발생시키므로 인명사고뿐만 아니라 선체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를 저장, 운반, 활용 또는 관리함에 있어서 누출 암모니아의 확산을 저감하고 선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도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1525호(2020. 05. 11. 등록)
본 실시 예는 암모니아의 확산을 방지 및 억제하여 선체 손상을 방지하고 선박의 유지 보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암모니아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폭발 또는 인명사고 등을 방지하여 설비 운용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드립 트레이는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가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중화제가 수용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드레인 유로를 포함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저면이 상기 드레인 유로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를 저장하는 중화제저장부; 양단이 각각 상기 중화제저장부와 상기 드립 트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에 측정되는 암모니아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중화제공급부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가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은 암모니아의 확산을 방지 및 억제하여 선체 손상을 방지하고 선박의 유지 보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은 암모니아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은 폭발 또는 인명사고 등을 방지하여 설비 운용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암모니아(NH3)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매우 적은 농도에서도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질을 가지며, 특히 공기보다 비중이 낮아 확산이 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폭발 또는 인명사고 등 안전에 위협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가스 관리시스템(100)은 선체에서 암모니아를 수용하거나 활용하는 과정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모니아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100)은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10)와, 저장탱크(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121)가 마련되는 드립 트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8℃ 이하 온도에서 액상 암모니아로 저장한다.
저장탱크(110)는 벙커링라인(111)을 통해 암모니아를 공급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벙커링라인(111)을 통해 공급되는 암모니아는 액상 암모니아일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내부에 마련되는 펌프(112a)와, 펌프(112a)에 연결되는 액체 공급라인(112)을 통해 액상 암모니아를 수요처(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요처(미도시)는 선박의 발전용 엔진 및 추진용 엔진을 포함할 수 있고, 액상 암모니아를 공급받는 선박 외부의 저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요처(미도시)로 공급되는 암모니아는 별도의 압축장치 및 기화장치를 통해 고압 기체 상태로 수요처(미도시)에 공급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의 내부에는 액상 암모니아뿐만 아니라 기화된 기체 상태의 암모니아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저장탱크(110)는 기체 공급라인(113)을 통해 기상 암모니아를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요처는 선박의 발전용 엔진 및 추진용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요처로 공급되는 암모니아는 별도의 압축장치를 통해 고압 기체 상태로 수요처에 공급될 수 있다.
벙커링라인(111)에는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는 암모니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111a)가 마련되고, 액체 공급라인(112)과 기체 공급라인(113)에는 각각 저장탱크(110)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112b, 113a)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벙커링 과정에서 벙커링라인(111)과 연결되는 연결부에서 암모니아가 누출될 수 있고, 수요처로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액체 공급라인(112) 및 기체 공급라인(113)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부에서 암모니아가 누출될 수 있다. 이 때,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는 저온 액체 상태이므로 상온에 노출되면 기화되어 확산될 수 있고 인명사고 및 선체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저장탱크(110)의 하부에는 드립 트레이(120)가 마련되어 암모니아의 누출에 의한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드립 트레이(120)는 저장탱크(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121)가 마련된다.
드립 트레이(120)는 상측에 개구가 마련되어 중공이 마련되는 플레이트 또는 접시형태로 마련되고, 수용부(121)는 저면부(121a)와 이를 둘러싸는 측면부(1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저면부(121a)는 저장탱크(110)의 외주면 또는 저장탱크(110)의 연결부에서 누출되어 낙하하는 암모니아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0)보다 폭(또는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120)의 수용부(121)에는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N)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립 트레이(120)는 중화제(N)를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어 낙하하거나 확산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할 수 있다.
이 때, 중화제(N)는 암모니아와 중화 반응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황산알루미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화제(N)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모니아와 중화반응 가능하다면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중화제(N)의 형태는 분말형, 과립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과립형으로 마련되어 중화반응 속도를 늦춰서 발열반응을 서서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2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100)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200)의 드립 트레이(220)는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221)와, 수용부(221)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고 중화제(N)가 수용되는 하부챔버(222)와, 하부챔버(222)와 수용부(221)를 연통시키는 드레인 유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220)는 저장탱크(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221)가 마련된다.
드립 트레이(220)는 상측에 개구가 마련되어 중공이 마련되는 플레이트 또는 접시형태로 마련되고, 수용부(221)는 저면부(221a)와 이를 둘러싸는 측면부(2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저면부(221a)는 저장탱크(110)의 외주면 또는 저장탱크(110)의 연결부에서 누출되어 낙하하는 암모니아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0)보다 폭(또는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220)는 저면부(221a)의 하측 내부에 공동(Cavity)형태의 하부챔버(222)를 구비하고, 하부챔버(222)에는 중화제(N)를 구비한다.
드립 트레이(220)는 저면부(221a)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하부챔버(222)를 연통시키는 드레인 유로(22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 유로(223)는 저면부(221a)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고 표면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220)는 드레인 유로(223)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224)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224)는 수용부(221)의 저면부(221a) 상측에 배치되어 드레인 유로(223)와 대응되는 개폐유로(224a)를 구비하고, 저면부(221a)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드레인 유로(22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커버(224)는 암모니아가 저장탱크(110)로 유입 및 유출될 때 즉, 암모니아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을 때 개방위치에 있고, 평상시에는 폐쇄위치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224)의 일측에는 커버(224)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미도시)는 커버(224)의 일측에 마련되는 랙과, 이에 치합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200)은 중화제(N)를 하부챔버(222)에 보관함으로써 중화제(N)가 상온에서 변형되거나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챔버(222) 내에서 중화제(N)와 암모니아가 중화 반응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3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300)의 드립 트레이(320)는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321)와, 수용부(321)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고 중화제(N)가 수용되는 하부챔버(322)와, 하부챔버(322)와 수용부(321)를 연통시키는 드레인 유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320)는 저장탱크(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321)가 마련된다.
드립 트레이(320)는 상측에 개구가 마련되어 중공이 마련되는 플레이트 또는 접시형태로 마련되고, 수용부(321)는 저면부(321a)와 이를 둘러싸는 측면부(3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저면부(321a)는 저장탱크(110)의 외주면 또는 저장탱크(110)의 연결부에서 누출되어 낙하하는 암모니아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0)보다 폭(또는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320)는 드레인 유로(323)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23a)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밸브(323a)는 암모니아가 저장탱크(110)로 유입 및 유출될 때 즉, 암모니아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을 때 개방위치에 있고, 평상시에는 폐쇄위치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도 4 참조)
드립 트레이(320)의 저면부(321a)는 드레인 유로(32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드립 트레이(320)의 저면부(321a)의 중심부분에는 드레인 유로(323)가 마련되고, 드레인 유로(323)의 주변부는 중심부분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는, 드립 트레이(320)의 저면부(321a)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저면부(321a)의 타측면 모서리 측에는 드레인 유로(32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하부챔버(322)에는 중화제(N)를 수용하는 중화트레이(326)가 마련될 수 있고, 드레인 유로(323)의 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중화트레이(326)는 드립트레이(320)와 별도로 분리 마련되고, 하부챔버(222)로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300)은 저장탱크(110)에서 낙하하는 암모니아를 경사면을 따라 드레인 유로(323)로 포집하여 중화트레이(326)에서 중화제(N)와 중화 반응시킬 수 있고, 중화제(N)의 소모에 따라 중화트레이(326)만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4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100)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400)은 드립 트레이(420)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N)를 저장하는 중화제저장부(431)와, 양단이 각각 중화제저장부(431)와 드립 트레이(420)에 연결되고 센서부(미도시)에 측정되는 암모니아 농도에 기반하여 중화제공급부(431)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432a)가 마련되는 연결유로(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400)은 암모니아의 누출된 정도에 따라 드립 트레이(420)에 중화제(N)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5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100)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500)의 드립 트레이(520)는 저장탱크(110)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520)는 내주면이 저장탱크(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링 형태로 마련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는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중화제(N)가 구비되는 수용부(5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저장탱크(110)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가 저장탱크(110)의 외주면을 따라서 흘러내리면 저장탱크(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드립 트레이(520)의 수용부(521)로 낙하하여 중화제(N)와 용이하게 반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200,300,400,500: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110: 저장탱크
120,220,320,420,520: 드립 트레이
121,221,321,421,521: 수용부
N: 중화제

Claims (7)

  1.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에서 누출되는 암모니아를 포집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드립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드립 트레이는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가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중화제가 수용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드레인 유로를 포함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저면이 상기 드레인 유로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 내부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암모니아를 중화시키는 중화제를 저장하는 중화제저장부;
    양단이 각각 상기 중화제저장부와 상기 드립 트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에 측정되는 암모니아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중화제공급부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가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트레이는
    상기 저장탱크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KR1020210099410A 2021-07-28 2021-07-28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KR10256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410A KR102567946B1 (ko) 2021-07-28 2021-07-28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410A KR102567946B1 (ko) 2021-07-28 2021-07-28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967A true KR20230017967A (ko) 2023-02-07
KR102567946B1 KR102567946B1 (ko) 2023-08-17

Family

ID=8522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410A KR102567946B1 (ko) 2021-07-28 2021-07-28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93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fpso의 누출액 처리장치
KR101496485B1 (ko) * 2010-10-01 2015-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 및 저장용 탱크
KR2018007246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포스코 누출가스 중화장치 및 그 중화방법
KR102111525B1 (ko) 2019-05-14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친환경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85B1 (ko) * 2010-10-01 2015-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 및 저장용 탱크
KR2013002993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fpso의 누출액 처리장치
KR2018007246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포스코 누출가스 중화장치 및 그 중화방법
KR102111525B1 (ko) 2019-05-14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친환경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946B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6908T3 (es) Bomba de hidrógeno de dos fases y método
KR20130133299A (ko) 보일오프 가스 처리장치 및 액화가스 탱크
KR20190114456A (ko) 벙커링 선박
US9850852B2 (en) Compressed gas capture and recovery system
US20170217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US8701421B2 (en) Dynamic combustion chamber
KR102567946B1 (ko) 선박의 누출 암모니아 관리시스템
KR101061029B1 (ko) 극저온 유체용 안전밸브
JP2012147752A (ja) Co2供給システム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20230024491A (ko) 선박의 암모니아 누출 방지구조
JP7449120B2 (ja) 燃料貯留装置
ATE493604T1 (de) Kegelventil für flüssiggasbehälter
JP2003166697A (ja) 水素貯蔵タンク
KR20230001602A (ko) 선박의 가스 관리시스템
KR20240078336A (ko) 액체수소 저장 탱크용 퀵커넥팅 리셉터클
KR102651090B1 (ko)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의 이중관 퍼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9728B1 (ko) 연료공급시스템
KR10229669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20200145244A (ko) 수소 연료 전지 구동을 위한 극저온 액체 연료 탱크 구조물
KR10244512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3442864U (zh) 液态燃料的雾化供给装置
US9027794B2 (en) Liquid control mobility (LCM) receptacles
KR20240043004A (ko)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40043010A (ko)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