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453A - 국그릇 받침대 - Google Patents

국그릇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53A
KR20230017453A KR1020210098945A KR20210098945A KR20230017453A KR 20230017453 A KR20230017453 A KR 20230017453A KR 1020210098945 A KR1020210098945 A KR 1020210098945A KR 20210098945 A KR20210098945 A KR 20210098945A KR 20230017453 A KR20230017453 A KR 2023001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soup bowl
support
han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452B1 (ko
Inventor
이슬혜
Original Assignee
이슬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혜 filed Critical 이슬혜
Priority to KR102021009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국그릇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냄비의 측벽에 고정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그릇이 냄비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국그릇이 냄비에 접하도록 고정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국을 냄비에서 국그릇으로 안전하게 옮겨담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국그릇 받침대{A Soup Bowl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국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옆에 밀착시켜 안전하게 국을 담을 수 있는 국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여러가지 식품을 이용하여 국이나 찌개 등을 끓이거나 또는 냉면 국수와 같은 면류 등을 삶기 위한 것으로, 용기, 뚜껑 및 손잡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냄비에 담겨 있는 국 등을 국그릇에 옮겨 담을 때 국그릇을 냄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면 사용자가 화상 등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국그릇을 냄비에서 멀리 바닥에 두는 경우 국을 바닥에 흘려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 10-2020-0094042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게 냄비의 국을 그릇에 옮겨 담을 수 있는 국그릇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국그릇 받침대는, 국그릇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를 냄비의 측벽에 고정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국그릇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에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국그릇의 측벽을 지지하는 측면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단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이수평슬라이드판과,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몸체와,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몸체의 제 3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걸이수직슬라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받침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면수평슬라이드판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슬라이드판에 대하여 직교되어 판상으로 연장되는 측면수직슬라이드판을 포함하고,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의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날개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의 하단의 양측에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은, 상단이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국그릇이 냄비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국그릇이 냄비에 접하도록 고정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국을 냄비에서 국그릇으로 안전하게 옮겨담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가 냄비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의 상면에 국그릇이 안착되고 냄비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를 구성하는 걸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그릇(B)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를 냄비(P)의 측벽에 고정하는 걸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국그릇 받침대에는 받침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10)는 국그릇(B)을 하방에서 소정의 높이에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10)는 상기 국그릇(B)이 일정한 높이에 수평으로 위치하기 위한 수단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국그릇(B)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몸체(12)와, 상기 받침몸체(12)에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국그릇(B)의 측벽을 지지하는 측면받침(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몸체(1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국그릇(B)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몸체(12)의 측면에는 제 1가이드홈(12a)이 마련된다. 상기 제 1가이드홈(12a)은 아래에서 설명될 측면받침(14)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받침몸체(!2)에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제 1가이드홈(12a)은 필요에 따라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몸체(12)에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국그릇(B)의 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몸체(12)의 하방에는 제 2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가이드홈은 상기 제 1가이드홈(12a)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이드홈(12a)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제 2가이드홈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부(20)의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이 상기 제 1가이드홈(12a)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이부(20)가 상기 받침부(10)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몸체(12)의 측면에는 측면받침(14)이 마련된다. 상기 측면받침(14)은 상기 받침몸체(12)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국그릇(B)의 측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받침(14)은 필요에 따라 여러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가이드홈(12a)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받침(14)은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받침(14)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12)의 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 1가이드홈(12a)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에 대하여 직교되어 판상으로 연장되는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받침(14)에는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이 마련된다.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홈(12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측면받침(14)과 상기 받침몸체(12)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의 선단에는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이 마련된다.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에 대하여 직교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하단은 상기 받침몸체(12)가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상단은 상기 받침몸체(12)의 상면에 적재되는 국그릇(B)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하단에는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가능한 연장판(미도시)이 더 마련되어 상기 측면받침(1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상단의 양측에는 제 1날개(19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날개(19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상단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날개(19a)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날개(19a)에 의하여 상기 받침몸체(12)의 상면에 적재되는 국그릇(B)이 측벽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하단의 양측에는 제 2날개(19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날개(19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판(18)의 하단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날개(19b)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16)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날개(19b)에 의하여 상기 받침몸체(12)가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국그릇 받침대에는 걸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걸이부(20)는 상기 받침부(10)가 상기 냄비(P)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이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20)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10)의 하단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과,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몸체(22)와,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몸체(22)의 제 3가이드홈(22a)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이부(20)에는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이 마련된다.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12)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의 선단에는 걸이몸체(22)가 마련된다. 상기 걸이몸체(22)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3가이드홈(22a)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걸이몸체(22)에는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이 마련된다.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몸체(22)의 제 3가이드홈(22a)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의 상단에는 절곡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4)는 상기 냄비(P)의 측벽 상단에 안착하게 걸어 본 발명인 국그릇 받침대가 상기 냄비(P)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의 상단에서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21)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몸체(22)에는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이 슬라이딩되다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 상에 홈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고, 상기 걸이몸체(22)에는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의 홈에 삽입가능한 슬라이딩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두개의 판(23a. 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각각의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a, 23b)이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의 절곡부(24)의 홈 내벽이 상기 냄비(P)의 측벽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a, 23b)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구성은 상기 냄비의 두께에 상관없이 다양한 냄비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대응하여 상단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국그릇 받침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국그릇(B)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측면받침(14)을 이동시켜 측면받침(14)의 제 1날개(19a)가 국그릇(B)의 외측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국그릇(B)이 안착된 국그릇 받침대를 냄비(P) 근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걸이부(20)의 걸이수직슬라이드판(23)을 이동시켜, 절곡부(24)가 상기 냄비(P)의 측변 상단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국자 등을 이용하여 냄비(P)에서 국을 퍼서 국그릇(B)에 담는다. 국을 담을 국그릇(B)은 사용자가 잡아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른 국그릇(B)을 받침부(10)에 안착시킨 후 측면받침(14)의 제 1날개(19a)가 국그릇(B)의 외측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받침부 12: 받침몸체
12a: 제 1가이드홈 14: 측면받침
16: 측면수평가이드판 18: 측면수직가이드판
19a: 제 1날개 19b: 제 2날개
20: 걸이부 21: 걸이수평슬라이드판
22: 걸이몸체 22a: 제 3가이드홈
23: 걸이수직슬라이드판 24: 절곡부
B: 국그릇 P: 냄비

Claims (5)

  1. 국그릇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를 냄비의 측벽에 고정하는 걸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그릇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수평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국그릇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몸체; 및
    상기 받침몸체에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국그릇의 측벽을 지지하는 측면받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그릇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단의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이수평슬라이드판;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몸체; 및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몸체의 제 3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걸이수직슬라이드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그릇 받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받침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의 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면수평슬라이드판;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슬라이드판에 대하여 직교되어 연장되는 측면수직슬라이드판;을 포함하고,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의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날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수직슬라이드의 하단의 양측에는 상기 측면수평슬라이드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그릇 받침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직슬라이드판은,
    상단이 상기 걸이수평슬라이드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그릇 받침대.





KR1020210098945A 2021-07-28 2021-07-28 국그릇 받침대 KR10251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45A KR102511452B1 (ko) 2021-07-28 2021-07-28 국그릇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45A KR102511452B1 (ko) 2021-07-28 2021-07-28 국그릇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53A true KR20230017453A (ko) 2023-02-06
KR102511452B1 KR102511452B1 (ko) 2023-03-16

Family

ID=8522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45A KR102511452B1 (ko) 2021-07-28 2021-07-28 국그릇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4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872U (ja) * 2001-06-22 2002-01-11 三浦 次男 杓子置き具
KR20110007297U (ko) * 2010-01-15 2011-07-21 박동재 냄비뚜껑 걸이
KR20120003676U (ko) * 2010-11-18 2012-05-29 배성순 가열그릇의 홀더
KR20130000465U (ko) * 2011-07-11 2013-01-21 류영현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KR20200094042A (ko) 2019-01-29 2020-08-06 김준웅 다용도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872U (ja) * 2001-06-22 2002-01-11 三浦 次男 杓子置き具
KR20110007297U (ko) * 2010-01-15 2011-07-21 박동재 냄비뚜껑 걸이
KR20120003676U (ko) * 2010-11-18 2012-05-29 배성순 가열그릇의 홀더
KR20130000465U (ko) * 2011-07-11 2013-01-21 류영현 탈부착식 음식받침대
KR20200094042A (ko) 2019-01-29 2020-08-06 김준웅 다용도 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452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1772A5 (ko)
CN104889961B (zh) 一种便捷式铝板存放箱
KR102511452B1 (ko) 국그릇 받침대
JP2012085845A (ja) キッチンラック
ZA200603436B (en) Cradle for holding an electric iron
KR20220057337A (ko) 식판
KR200481424Y1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트레이
JP6035070B2 (ja) 板状部材の保持装置および保持方法
NL2001236C2 (nl) Opbergsysteem.
CN107377030B (zh) 一种实验室用立体容量瓶放置架
CN207285937U (zh) 支架结构和家用电器
JP2018075165A (ja) 調理器具収納装置
CN212212581U (zh) 一种食品加工用蒸煮装置
CN212040536U (zh) 一种坩埚架
CN216862280U (zh) 用于电缆盘的托架
DE3361177D1 (en) Device for displaying flat articles
JP4024333B2 (ja) 薄板支持器
CN215541031U (zh) 一种化学实验用加热装置
CN220546127U (zh) 一种蒸箱抽屉
CN215687260U (zh) 一种电饭煲上的饭勺放置架
PL85521B1 (ko)
JP3154314U (ja) 調理容器の転倒防止具
CN210815336U (zh) 一种高稳定性的水浴锅
CN209018038U (zh) 一种学生课桌
KR101241419B1 (ko) 뜨거운 뚝배기를 쉽게 옮기기 위한 뚝배기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