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285A -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285A
KR20230017285A KR1020227045942A KR20227045942A KR20230017285A KR 20230017285 A KR20230017285 A KR 20230017285A KR 1020227045942 A KR1020227045942 A KR 1020227045942A KR 20227045942 A KR20227045942 A KR 20227045942A KR 20230017285 A KR20230017285 A KR 2023001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nveying
profile
holder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린도르퍼
마누엘 숀바우어
클레멘스 레브
Original Assignee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쥐더블유 메카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1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6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not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홀더, 특히 측면 가이드 홀더(6)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결 장치는 부착 장치 및 장착 림(7)을 포함하며, 부착 장치는 홀더에 배열되고 장착 림(7)은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배열된다. 부착 장치를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장치는 연결 요소 및 잠금 요소를 갖고 있으며, 연결 요소는 장착 림(7)에서 제1 구멍(8)에 도입될 수 있고, 잠금 요소가 장착 림(7)의 제2 구멍(8)에 포획되어 연결 장치를 잠글 때까지 부착 장치가 그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축이 정의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 13, 16, 20 및 24의 전제부에 따른 유닛 로드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의 링크 장치, 연결 장치, 측면 가이드 홀더, 센서 홀더 및 커버 홀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청구항 30 및 36의 전제부에 따른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40의 전제부에 따른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운반 영역을 측방향으로 제한하고 운반 영역에서 이송되는 유닛 로드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는 홀더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홀더는 운반 장치 작동 중에 응력을 견디고 부정확한 사용의 경우에 잠재적으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견고한 디자인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홀더는 특히 작업자가 예를 들어 운반 영역 위에서 오버헤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장착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밟을 때 작업자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각각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홀더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단단하고 견고한 연결을 설정하도록 프레임 프로파일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홀더는 DE 101 18 566 A1으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프레임 프로파일에 측면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에는 프레임 프로파일 측면의 고정 홈과 상호 작용하는 연결 나사가 있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복수의 홀더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되며, 여기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클램핑 헤드에 의해 홀더에 고정된다.
이것의 단점은 홀더를 프레임 프로파일에 부착하기 위해 나사와 같은 추가 수단이 필요한데, 이는 홀더를 장착하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더욱이, 홀더는 프레임 프로파일의 측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 프로파일을 위한 커버의 후속 설치는 각각의 경우 커버의 일부가 두 개의 홀더 사이에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진다. 그 결과, 특히 각각의 경우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된 홀더와 커버의 일부 사이에 복수의 맞대기 이음부가 프레임 프로파일의 측면을 따라 존재하게 된다. 또한, 특히 커버의 각 부분을 정확하게 조정하고, 크기에 맞게 절단하고, 별도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운반 장치를 설치하는 동안 상당한 추가의 기술 비용이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 측면으로 돌출된 나사와 나사 머리는 예를 들어 운반 장치를 통과할 때 부상 위험의 증가를 수반한다.
또한, 센서를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홀더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단축(uniaxial) 연결 장치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는 홀더가 EP 0 995 980 A2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홀더는 연결 헤드를 가지며, 이는 상기 연결 헤드와 상호작용하는 구멍과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의 단점은 프레임 프로파일에 배열된 구멍이 잠금 헤드와 정확히 일치하는 특정 단면을 가져야만 하며, 이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의 제조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구멍들은 선택된 위치에 배열되므로, 프레임 프로파일의 제조시에 이미 센서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단축 연결 장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장착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종래 기술로부터, 운반 영역에서 유닛 로드를 검출하기 위한 라이트 배리어가 제공되어 있는 운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닛 로드는 라이트 배리어의 광빔이 유닛 로드에 의해 차단되어 라이트 배리어의 광 수신기에 충돌하지 않을 때 감지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운반 장치는 운반 영역을 측방향으로 경계짓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러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각각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된다. 라이트 배리어의 광빔을 컨베이어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측면 안내 프로파일과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이것의 단점은 특히 유닛 로드, 특히 소위 폴리백에 포장된 물품이 간극에 걸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운반 장치의 운송 성능이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물품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프레임 프로파일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라이트 배리어의 광빔이 운반 영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분열된 디자인을 가지며 센서를 위한 피팅 구멍이 있는 특수 연결 편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인접한 두 부분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운반 장치의 설치는 번잡하며 복잡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편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운반 장치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작업량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링크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링크 장치를 갖는 연결 장치, 측면 가이드 홀더, 센서 홀더 및 커버 홀더를 특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노력이 감소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운반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유닛 로드가 이송되고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운반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장치가 베이스 벽을 가진 베이스 본체, 연결 요소 및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상기 링크 장치에서 달성되며, 여기서 베이스 본체는 장착 표면을 제공하고, 연결 요소는 장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열되고, 링크 장치의 링크 위치에서 구멍들 중 제1 구멍과 맞물리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연결 요소는 장착 표면을 향한 직교 배향을 갖는 장착 회전축을 형성하며, 장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링크 장치가 링크 위치에서 장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잠금 장치는 링크 장치의 링크 위치에서 잠금 장치가 장착 림(limb)의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맞물릴 수 있도록 연결 요소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하나의 이점은 링크 장치가 특히 나사 없이 장착 림에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센서, 광 반사기 또는 커버, 특히 하부 커버와 같은 운반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위한 홀더들을 장착하는 데에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착 림에 홀더를 장착하는 것이 도구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유리하다. 이 프로세스에서, 링크 장치의 연결 요소는 위에서부터 구멍들 중 제1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고 고정을 위해 잠금 장치가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맞물리는 장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장치는 간단하고 잠글 수 있는 삽입 및 회전 연결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멍, 제2 구멍 및/또는 구멍들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고착, 고정, 또는 "위에서" 라는 것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본질적으로 운반 평면 위에서 오는 것을 의미한다.
장착 림은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 및/또는 커버에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착 림의 종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프로파일 및/또는 운반 장치의 종방향과 일치한다. 장착 림, 프레임 프로파일 및/또는 운반 장치의 종방향은 기본적으로 유닛 로드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된다. 운반 장치의 곡선형 운반 섹션에서, 장착 림, 프레임 프로파일 및/또는 운반 장치의 종방향은 물론 곡선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장착 림의 종방향은 커버의 측면 또는 종방향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가 플러그 형상 디자인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자동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수동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는 홀더에 연결되거나 홀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견고한 베이스를 형성한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또는 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응하는 홀더가 인체 공학적으로 유리한 방식으로 링크 장치에 의해 위에서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장착 림이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배열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특히 프레임 프로파일에 링크 장치를 나사로 조일 필요가 없고 일반적으로 복수의 홀더는 운반 장치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운반 장치를 장착할 때의 작업 및 시간 노력이 상당히 감소된다.
홀더, 예를 들어 측면 가이드 홀더 또는 센서 홀더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측면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측면 커버를 부분품으로 분할 및/또는 절단할 필요 없이 프레임 프로파일의 일체형 측면 커버, 특히 플라스틱 커버를 프레임 프로파일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반 장치의 장착이 추가적으로 단순화된다. 또한, 일체형 측면 커버 및/또는 측면 커버를 사용하면, 프레임 프로파일의 측면을 따라 및/또는 운반 장치의 복수의 프레임 프로파일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맞대기 이음부가 상당히 감소되어 운반 장치의 청소가 간소화된다.
링크 장치와 장착 림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링크 장치는 먼저 연결 요소가 구멍들 중 제1 구멍에 삽입되는 링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 요소에 의해 정의된 회전축이 배치되고 정렬된다. 그런 다음 링크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또는 선회되며, 그에 따라 링크 장치는 링크 위치에서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장착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링크 장치는 링크 위치로의 부주의한 회전 및/또는 선회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링크 장치와 장착 림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구멍들 중 제2 구멍 밖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링크 장치는 장착 위치로부터 링크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링크 위치서 연결 요소는 구멍들 중 제1 구멍 밖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홀더는 프레임 프로파일에서 제거될 수 있다.
유용하게는, 베이스 본체는
- 상부 벽,
- 제1 측벽, 및
- 제2 측벽을 갖고 있으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벽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상부 벽까지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벽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벽을 향하고, 베이스 벽의 바닥면은 장착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베이스 본체는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본체는 중공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재료를 절약할 수 있고 링크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는 내부 및 가능하게는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벽과 하부 벽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홀더는 상부 벽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및/또는 그에 인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는 상부 벽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벽의 바닥면에는 연결 요소가 위치하는 리세스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가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 벽으로부터 상부 벽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벽은 서로 평행하게 및/또는, 제1 측벽 및/또는 제2 측벽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지지벽의 제1 지지벽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벽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서 연결 요소와 함께 위치된다.
또한, 보강 리브(rib)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벽과 평행하게 정렬되고 베이스 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 벽에 형성된다. 보강 리브는 베이스 벽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서 스프링 요소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벽에 추가하여 또는 지지벽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수의 보강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벽 및/또는 보강 리브는 상부 벽의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링크 장치의 증가된 견고성과 안정성이 보장된다. 상부 벽의 굴곡 강성 외에도, 지지벽은 베이스 벽의 굴곡 강성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베이스 본체는 베이스 벽으로부터 적어도 상부 벽까지 그리고 제1 측벽으로부터 제2 측벽까지 연장되는 후방 벽을 갖는다. 이에 의해, 베이스 본체는 일측이 개방, 특히 후면이 폐쇄되고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벽은 곡선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벽은 홀더의 장착 서포트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벽으로부터 상부 벽 너머로 연장된다.
베이스 본체가 중공체로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벽, 상부 벽, 대향하는 측벽들 및 후방 벽은 중공체의 내부를 경계지게 한다. 유용하게도, 지지벽 및/또는 지지 돌출부는 중공 본체 내부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본체는 5개의 벽, 즉 베이스 벽, 상부 벽, 대향하는 측벽들 및 후방 벽을 갖고 있어 중공체는 한쪽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간단한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특히 지지벽을 포함하는 베이스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본체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베이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거나 3D 인쇄를 사용하여 단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본체는 특히 경제적으로 그리고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의 무게는 가볍다.
유용하게는, 연결 요소는 해머형 헤드를 갖고 장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서 장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해머형 헤드는 링크 장치의 링크 위치에서 장착 림의 제1 구멍을 통과할 수 있고, 링크 장치의 장착 위치에서 장착 림의 제1 구멍의 에지 영역 뒤에 맞물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 요소는 구멍들 중 제1 구멍 밖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링크 장치는 장착 림에 직각으로 본질적으로 포지티브 맞물림 수단인 장착 림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장착 위치와 링크 위치 사이의 선회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착 림과 해머형 헤드 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는 베이스 벽, 특히 베이스 벽의 바닥면에 토크 방지 방식으로 배열된다.
연결 요소가 보강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링크 장치, 특히 연결 요소의 증가된 안정성 및 견고성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의 측면 가이드 홀더를 장착하기 위해 링크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링크 장치는 운반 장치의 작동 중에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측면으로 부딪혀 미끄러질 수 있는 무거운 유닛 로드로 인한 응력을 견딜 뿐만 아니라 부정확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응력도 견뎌낸다. 예를 들어 조립 작업자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밟고 측면 가이드 홀더가 조립 작업자의 무게를 프레임 프로파일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 부정확한 사용에 해당한다. 보강 인서트는 연결 요소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한 링크 장치의 제조 중에 보강 인서트 둘레에 몰딩함으로써 연결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연결 요소의 헤드는 보강 인서트를 포함한다.
특히 높은 견고함을 달성하기 위해 보강 인서트는 금속 재료, 특히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용하게, 연결 요소는 그 안에 보강 인서트가 배열되고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리세스를 갖는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다른 한편으로, 연결 요소의 견고성은 리세스 내에 다른 보강 인서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개별 요건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가 연결 요소의 돌출 단부에, 특히 연결 요소의 헤드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강 인서트는 연결 요소에 접착되거나 나사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는 연결 요소의 종축을 따라 원통형 나사 포트, 예를 들어 보어를 갖는다. 나사 포트는 보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용 내부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나사 포트는 매끄러운 내부 표면 및/또는 나사산이 없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 포트에 나사로 고정되는 자체-나사산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포트는 연결 요소를 통해 지지벽의 제1 지지벽에 도달한다.
유리하게는,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맞물리기 위해 장착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특히 베이스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베이스 벽은 바람직하게는 바닥 측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여기서 잠금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리세스 내로 완전히 이동될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세스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세스는 예를 들어 베이스 벽을 통해 도달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로서 형성될 수 있어, 잠금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베이스 벽 내로 및/또는 베이스 본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는 베이스 벽, 특히 베이스 벽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리세스 내로 및/또는 베이스 본체 내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링크 장치를 링크 위치에서 장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기 위해 잠금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본체 내부 및/또는 베이스 벽의 리세스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착 위치에서 연결 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해 잠금 요소는 베이스 본체로부터 및/또는 베이스 벽의 오목부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요소가 플러그로 형성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잠금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본체 상에 장착되고, 잠금 요소의 제1 위치에서 구멍들 중 제2 구멍을 통과할 수 있고 잠금 요소의 제2 위치에서 구멍들 중 제2 구멍의 에지 영역 뒤에 맞물릴 수 있는 해머형 헤드를 갖는다.
그에 따라,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 밖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장치는 2개의 축을 따라, 즉 연결 요소 및 잠금 장치에 의해 장착 림에 수직으로, 특히 연결 요소에 유사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링크 장치가 바닥에서 장착 림으로 연결될 때 유리하며, 이는 예를 들어 운반 장치의 커버, 특히 하부 커버가 고정되는 경우이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가 정해질 필요는 없다. 또한, 잠금 요소가 회전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360°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요소가 장착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스프링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장착 위치에서 잠금 요소가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자동으로 맞물릴 수 있다.
잠금 장치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잠금 요소는 스프링 요소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 요소는 스프링 요소의 장력 이완 시에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자동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스프링에 사전 응력(prestressed)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 힘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요소는 래치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잠금 요소 또는 래치 요소는 스프링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어 잠금 요소 및/또는 래치 요소가 배치되는 스프링 암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요소는 스프링 아암 상에 형성된 잠금 러그로서 형성된다.
대안으로, 스프링 요소는 베이스 벽의 리세스에 배열될 수 있다.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프링 요소는 제1 단부에서 베이스 벽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의 제2 단부에서, 잠금 요소는 스프링 요소가 이완될 때 잠금 요소가 리세스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요소가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푸시될 때 스프링 요소가 인장 및/또는 압축되도록 잠금 요소는 스프링 요소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래치 요소 및/또는 잠금 요소는 플러그 모양, 쐐기 모양 또는 구형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유용하게는, 스프링을 구비하기 위해 베이스 벽이 슬롯 사이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베이스 벽은 베이스 벽의 제1 에지로부터 제1 에지 반대편의 베이스 벽의 제2 에지를 향하여 연장되고 서로 이격된 2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슬롯 사이의 베이스 벽의 섹션은 베이스 벽의 나머지 섹션에 대해 그리고 기본적으로 장착 표면에 직각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스프링 요소 및/또는 스프링 아암을 형성한다. 이는 스프링 요소에 배열되는 잠금 및/또는 래치 요소의 이동을 허용하여 장착 림을 통해 통과될 수 있고 구멍들 중 제2 구멍에 래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베이스 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목적이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이점을 이용하여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연결 장치의 링크 장치가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라 형성되고 장착 림은 장착 림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을 갖는 것에서 달성되는데, 구멍들 중 제1 구멍은 링크 장치의 연결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구멍들 중 제2 구멍은 링크 장치의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홀더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연결 장치는 제1 구성요소, 즉 링크 장치 및 제2 구성요소, 즉 장착 림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구성요소는 특히 서로 삽입될 수 있고 회전 운동으로 잠금될 수 있는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협력한다.
여기서, 특히 장착 림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장착 림 및/또는 프레임 프로파일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무엇보다도 연결이 바람직하게는 추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 장치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방식으로 설정되고 해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착 림이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위 측면 가이드 홀더라고 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해 링크 장치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링크 장치는 홀더에 배열되고 및/또는 홀더에 포함된다. 측면 가이드 홀더에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장착하기 위해, 대안적인 연결 메커니즘, 특히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포지티브 맞물림 리셉터클이 측면 가이드 홀더, 클램핑 및/또는 나사 연결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장착 림이 커버에 배열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커버를 커버를 위한 홀더, 소위 커버 홀더와 연결하기 위해 링크 장치는 커버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링크 장치는 홀더에 배열되고 및/또는 홀더에 포함된다. 홀더를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하기 위해 대안적인 연결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이점을 이용하여, 초기에 언급된 유형의 측면 가이드 홀더에서 링크 장치가 전술한 양태에 따라 형성된다는 점에서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는 측면 가이드 홀더를 포함하는 링크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들은 유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특히 측면 가이드 홀더가 추가적인 장착 수단 없이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즉 위에서부터 장착 림에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측면 가이드 ㅎ홀더는 간단한 방식으로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된다.
측면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안내면과 장착면을 가지며, 안내면은 운반 영역을 향하고 장착면은 운반 영역에서 멀어지게 향한다. 장착 서포트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특히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장착면을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측면 가이드 홀더의 장착 서포트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장착면은 대응하는 윤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프레임 프로파일로부터 수직 거리에 배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직 거리는 장착 림에 직각으로 배향되고 프레임 프로파일의 장착 림과 장착 림에 평행한 (가상) 제1 접선 평면 사이로 확장된며, 접선 평면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하부 에지를 정의한다. 프레임 프로파일과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적어도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의 높이 및/또는 환언하면 베이스 벽의 바닥면과 상부 벽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운반 영역에 대한 광학적 접근이 보장되며, 이러한 접근은 예를 들어 광학 센서에 의해 운반 영역에서 운반되는 유닛 로드를 포착 및/또는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높이로 유닛 로드의 측면 가이드를 개선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재료 사용량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와 함께 단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 가이드 홀더의 취급이 단순화되고, 아마도 추가 연결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측면 가이드 홀더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추가로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견고성이 증가된다. 또한, 간단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연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 수단은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측면 가이드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통로 구멍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연결 수단은 샤프트와 함께 특히 장착 서포트의 외부로부터 개구를 통과하고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나사는 내부에서 개구를 통해 통과되고 너트를 사용하여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사 머리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측면 가이드 홀더에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고정 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해머형 헤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머형 나사 머리가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고정 홈에 수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해머형 헤드 나사의 샤프트는 장착 서포트의 개구를 통과하고 너트에 의해 장착 서포트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홈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장착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홈은 개방 단부에서 양측에 고정 러그를 가지므로 체결 홈이 해머형 헤드 나사의 해머형 헤드 주위에 도달하도록 및/또는 뒤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너트를 조이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러그는 장착 서포트에 대해 눌려질 수 있다.
링크 장치 및/또는 연결 장치에 대한 전술한 장점을 이용하여,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센서 홀더에서, 센서 홀더가 이전에 언급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링크 장치를 갖는다는 점에서 추가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센서 홀더는 센서 홀더를 포함하는 링크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들은 유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유용하게, 외부 하우징에는 바닥 벽과 상부 벽이 있다. 또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각각은 베이스 벽으로부터 상부 벽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측벽에서 제2 측벽으로 그리고 베이스 벽에서 상부 벽으로 연장되는 후방 벽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벽의 상부면은 상부 벽을 향하고, 베이스 벽의 바닥면은 장착면을 제공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벽, 하부 벽, 측벽 및/또는 후방벽은 전체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출된 광빔이 외부 하우징 밖으로 안내되고 반사된 광빔이 외부 하우징 안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부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외부 하우징이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장착된 후 운반 영역을 향하는 측면에 벽이 없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특히 광원 및 광 수신기가 광학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외부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제4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은 랙(rack) 및/또는 측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벽 및/또는 상부 벽은 그리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 내부에 배열되어 센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에 다양한 센서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센서 홀더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 없이 임의의 센서에 맞추어질 수 있고,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및/또는 링크 장치 사이의 연결이 맞추어져야 한다.
운반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유닛 로드를 포착 및/또는 감지하기 위해, 센서 홀더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는 광원과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광학 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는 예를 들어 유닛 로드를 감지하거나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마커를 포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센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빔이 운반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센서가 장착 림과 전술한 제1 접선 평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센서 홀더가 설계되고/되거나 프레임 프로파일에 부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하우징의 높이는 측면 가이드 홀더의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의 높이 및/또는 각각의 베이스 벽과 상부 벽 사이의 직교 거리와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가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센서 홀더 및/또는 센서 홀더를 포함하는 링크 장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센서 홀더의 베이스 본체의 높이, 즉 베이스 벽과 상부 벽 사이의 직교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프로파일과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이전에 설명한 수직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미리 장착된 경우에도 센서 홀더가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는 추가 이점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을 미리 제거하지 않고도 센서 홀더는 프레임 프로파일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예를 들어 결함 센서의 교체를 허용하여 운반 장치의 유지 관리를 단순화한다.
유용하게는, 내부 하우징은 선회 가능하도록 외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내부 하우징의 경사는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출된 광빔과 운반 평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선회 가능한 장착을 허용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은 각각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하나의 볼트 리셉터클,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개구 및/또는 리세스, 특히 보어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하우징은 두 개의 원통형 확장부 및/또는 볼트 리셉터클에 대응하는 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부 및/또는 볼트는 서로에 대한 라인의 양쪽에서 내부 하우징에 배열 및/또는 형성된다. 이들 볼트는 대응하는 볼트 리셉터클과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는 내부 하우징의 선회 축을 정의하고, 이 선회 축은 본질적으로 외부 하우징의 바닥 벽 및 상부 벽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장착 노치가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내부 양측에 제공될 수 있고, 볼트를 노치에서 볼트 리셉터클로 안내하기 위하여 노치가 측벽의 에지에서 볼트 리셉터클까지 이어진다.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고정나사 및 고정나사와 상호작용하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치형부는 내부 하우징 상에 배열되고, 특히 내부 하우징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나사는 나사산이 있는 핀으로 형성된다. 고정나사의 나사산과 내부 하우징의 치형부의 연속적인 맞물림이 내부 하우징의 선회 동안 보장되도록 치형부가 내부 하우징의 선회 축 주위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것이 유리하다. 낮은 높이의 센서 홀더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나사가 외부 하우징의 베이스 벽 및 상부 벽에 직각으로 배열되고 치형부가 내부 하우징의 후방 벽에 배열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벽 및/또는 상부 벽은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에 의해 고정나사가 작동될 수 있는 작동 개구를 갖는다.
대안으로, 고정나사는 외부 하우징의 베이스 벽 및 상부 벽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고 치형부는 내부 하우징의 베이스 벽 또는 상부 벽에 배열될 수 있다. 그로 따라, 센서 홀더는 작은 깊이를 갖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 하우징의 후방 벽은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에 의해 고정나사가 작동될 수 있는 작동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링크 장치의 연결 요소는 케이블 채널을 가지고 있으므로 센서의 케이블이 케이블 채널을 통해 외부 하우징 밖으로 통과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히 외부 전원을 통한 센서의 전원 공급 또는 센서와 데이터 처리 장치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코드 및/또는 데이터 케이블과 같은 센서의 케이블은 케이블 채널을 통해 연결 요소를 통과하여 구멍들 중 제1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의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하네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채널은 원통형 디자인을 가지며, 연결 요소의 종축으로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의 해머형 헤드로부터 베이스 벽을 통해 외부 하우징으로 연장된다. 원통형 채널의 측벽은 개방될 수 있고 및/또는 채널의 전체 길이에 걸쳐 채널의 종축에 평행한 간극을 가질 수 있어, 케이블 채널은 본질적으로 C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케이블은 간극을 통해 측면으로 케이블 채널 내로 눌려질 수 있다.
전술한 장점을 이용하여,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커버 홀더에서 링크 장치가 전술한 양태에 따라 형성된다는 점에서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
이러한 커버 홀더로, 운반 장치의 커버 특히 하부 커버 및/또는 운반 장치 하부 보호 장치가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는 복수의 커버 홀더에 의해 한 측면에서 운반 장치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되고 다른 측면에서 운반 장치의 제2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와 함께 단일체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취급하기 쉬운 커버 홀더가 제공되는데, 이 커버 홀더는 먼저 커버에 연결되고 그 다음 몇 가지 간단한 단계를 거쳐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유용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힌지 연결에 의해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므로, 장착 서포트와 링크 장치의 베이스 본체는 서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는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커버는 제1 위치에서 먼저 복수의 선회 가능한 커버 홀더에 의해 커버의 제1 에지를 따라 운반 장치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되고 그 후에 제2 위치로 선회되는 것이 것이 제공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커버는 복수의 선회 가능한 또는 일체형 커버 홀더에 의해 커버의 제2 에지를 따라 운반 장치의 제2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장착 서포트는 연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 수단은 개구를 통과하여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홀더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의 연결 및 측면 가이드 홀더의 연결 수단에 대해 전술한 양태들이 커버 리셉터클과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의 연결 및/또는 커버 리셉터클의 연결 수단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커버 홀더를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하기 위해 연결 수단이 프레임 프로파일의 고정 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해머형 헤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전술한 이점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링크 장치의 잠금 장치는 구멍들 중 제2 구멍과 맞물리기 위해 장착 표면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잠금 요소를 갖고 및/또는 잠금 요소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잠금 회전축 주위로 가역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본체에 장착되고 잠금 요소의 제1 위치에서 구멍들 중 제2 구멍을 통과할 수 있고 잠금 요소의 제2 위치에서 구멍들 중 제2 구멍의 에지 영역 뒤에 맞물릴 수 있는 해머형 헤드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전술한 이점을 사용하여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운반 장치에서 측면 가이드 홀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이드 홀더가 이전에 설명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링크 장치를 갖고, 이전에 설명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연결 장치를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추가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특히 운반 장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세워질 수 있고, 측면 가이드 홀더들이 함께 나사로 고정될 필요 없이 프레임 프로파일의 장착 림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닛 로드가 운반될 수 있는 운반 평면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 요소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로 설계될 수 있고, 여기서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운반 요소를 제공하며, 운반 평면은 운반 벨트에 의해 정의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운반 장치는 롤러 컨베이어로서 설계될 수 있고, 여기서 복수의 운반 요소, 특히 운반 롤러가 제공되며, 운반 평면은 운반 요소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한 운반 장치에서,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유닛 로드가 이송될 수 있는 운반 영역의 측면 경계를 형성한다. 바닥을 향하여, 운반 영역은 운반 평면에 의해 경계가 지정된다. 유닛 로드는 운반 평면 상에서 운반된다.
유용하게는, 측면 가이드 홀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이드 홀더는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추가의 대안적인 측면 가이드 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프로파일 각각이 운반 평면에 직각으로 배향된 프로파일 림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여기서 프로파일 림은 운반 평면을 향하는 제1 측면 및 운반 평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장착 림은 제2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프로파일 림에 배열되고 운반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림은 운반 평면과 하나의 평면에 및/또는 운반 평면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배향된다. 프레임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장착 림에 평행하게 배열된 추가 림을 포함하고, 추가 림은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프로파일 림에 배열되어 프레임 프로파일이 본질적으로 C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 프로파일은 장착 림과 추가 림 사이로 연장되고 프로파일 림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제거 가능한 측면 커버를 가질 수 있으므로, 프로파일 림, 장착 림, 추가 림 및 측면 커버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된다. 이 내부에, 예를 들어 센서의 케이블, 특히 전원 코드 또는 데이터 케이블이 안내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센서의 케이블은 센서 홀더의 케이블 채널을 통해, 구멍들 중 제1 구멍을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의 내부로 통과한다.
유리하게는, 프로파일 림은 복수의 장착 개구를 갖는다. 장착 개구들의 장착 개구에, 예를 들어 운반 요소 또는 부품, 예컨대 액추에이터 및/또는 센서용 단자함, 데이터 처리 장치, 전기 부품용 전원 공급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운반 요소, 특히 컨베이어 롤러는 롤러 축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의 양쪽 장착 개구들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추가하여, 장착 개구들의 장착 개구는 이를 통해 케이블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프로파일 림의 제1 측면으로부터 프로파일 림의 제2 측면으로, 특히 프로파일 림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각각은 측면 가이드 홀더들의 연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고정 홈을 갖는다. 따라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간단한 방식으로 측면 가이드 홀더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 홈은 측면 가이드 홀더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운송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센서 홀더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들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센서 신호에 따라 운반 요소의 구동을 제어, 예를 들어 운반 이동시 운송 영역에서 유닛 로드를 정지시키기 위해 또는 변경된 운반 속도로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해 운반 장치의 운반 요소의 운반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특정 운반 섹션에서 유닛 로드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운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센서를 포함하는 라이트 배리어를 갖는다. 라이트 배리어는 각각 이송 섹션의 양측에 위치하는 광원 및/또는 광 방출기 및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투과형 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이트 배리어는 반사형 라이트 배리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는 공유 하우징에 배열된 광원 및 광 수신기를 포함하고, 라이트 배리어는 센서 반대쪽 운반 영역의 측면에 위치하는 광 반사기를 포함한다.
다른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운반 장치를 사용하여 달성되며, 여기에서 커버 홀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더는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링크 장치를 갖고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연결 장치에 의해 커버에 연결될 수 있고, 장착 림들이 커버에 배열되고, 커버의 제1 에지 섹션 및 커버의 제2 에지 섹션 각각이 장착 림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하부 커버로 구성되고 운반 장치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하부 커버는 아래에서 운반 장치 안으로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는 운반 장치의 소리 및/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매트로 덧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장치를 갖는 연결 장치 및/또는 홀더를 사용하여, 커버는 간단한 방식으로 운반 장치의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커버 홀더는 먼저 링크 장치를 통해 커버에 연결되며 다음에 연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해머형 헤드 나사를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이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더는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라 형성된다.
유용하게도, 프레임 프로파일 각각은 운반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된 커버 림을 가지며, 커버 림에는 고정 홈이 있다. 커버 림은 본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추가 림과 동일하며 프레임 프로파일의 장착 림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홈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고정 홈과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커버 홀더의 연결 수단, 특히 해머형 헤드 나사가 고정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운반 장치는 이전에 설명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운반 장치에서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방출된 광빔이 운반 영역으로 통과할 수 있고 방출된 광빔에 대한 센서측 조리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제1 통로 개구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
따라서 센서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뒤에 및/또는 운반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측면, 즉 장착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방출된 광빔은 통로 개구를 통해서 운방 영역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센서가 매우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과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에 위치된 운반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및/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측면에 배치되어 장착되므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차단되지 않는다. 이는 제1 및/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이 프레임 프로파일로부터 작은 수직 거리에,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프로파일에 바로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게 하여, 운반 장치가 임의의 유닛 로드, 특히 플라스틱 색(sack) 및/또는 폴리백 안에 패킹된 물품을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이를 위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및/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스커트를 가질 수 있으며, 스커트는 운반 영역을 향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가이드 표면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운반 평면 아래로 연장하며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과 프레임 프로파일 사이의 간극을 폐쇄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커트는 조리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 플레이트에 의해 방출광의 투과 테이퍼 각도는 제한되고, 그에 따라 센서의 감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당히 비용 효율적인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산 광빔에 의해 야기되는 측정 및/또는 검출 부정확성이 제한된 투과 테이퍼 각도에 의해 본질적으로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및/또는 광 방출기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발산 광빔을 제공한다.
센서 또는 센서들은 전술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센서 홀더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운반 장치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또는 센서들은 센서 홀더의 제2 실시예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프레임 프로파일 중 하나에 측면으로 고정 및/또는 측면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또는 센서들은 센서 홀더의 제3 실시예에 의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센서 홀더는 고정 수단, 특히 상기 센서 홀더를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고정 홈과 상호 작용하는 클램핑 수단을 갖는다. 고정 수단은 전술한 측면 가이드 홀더의 장착 섹션과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센서 홀더는 외부 하우징, 내부 하우징 및 가능하게는 조정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본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센서 홀더의 외부 하우징, 내부 하우징 및 조정 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운반 장치는 센서 및 센서에 대응하는 광 반사기를 포함하는 라이트 배리어를 가지며, 여기서 센서는 광 수신기를 갖고, 광 반사기는 센서 반대편의 운반 영역의 측면에 위치되므로, 방출된 광빔이 광 반사기에서 반사 가능하고 반사된 광빔이 광빔 반사기에서 광 수신기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반사성 라이트 배리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광원 및 광 수신기는 특히 공유 하우징에서 운반 영역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의 배선은 제1 프레임 프로파일에만 설치하면 되고, 수동 소자, 즉 광 반사기는 제2 프레임 프로파일에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광빔은 본질적으로 방출된 광빔으로서 센서로부터 광 반사기로 운반 영역을 통과하고, 반사된 광빔으로서 운반 영역을 통해 다시 센서로 전달된다. 이와 관련하여, 광 반사기는 제2 프레임 프로파일 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이송 방향으로 센서를 지나 운반되는 유닛 로드가 광빔을 차단한다. 차단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운반 장치의 특정 섹션에 유닛 로드의 존재가 포착될 수 있다. 광빔이 진행하는 경로 길이는 광 반사기에 의해 본질적으로 두 배가 되며, 광빔은 운반 영역을 두 번 통과한다. 그에 따라 광빔이 반사에 의해 감지될 유닛 로드를 거쳐 통과할 확률은 감소하고, 센서 및/또는 라이트 배리어의 감도는 증가한다.
유용하게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은 방출된 광빔이 광 반사기로 통과하고 반사된 광빔이 운반 영역으로 통과할 수 있는 제2 통로 개구를 가지며, 이 통로 개구는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반사된 광빔을 위한 반사기측 조리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광 반사기는 센서와 유사하게 배열 및/또는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과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사이에 배치된 운반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제1 및/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의 측면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반사기측 조리개 플레이트는 또한 반사기에 충돌하는 입사 광빔 및/또는 반사 광빔의 광 원뿔 각도를 제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센서의 감도는 더욱 증가된다.
유리하게는, 센서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제1 통로 개구에 대해 조정가능하므로, 제1 통로 개구가 방출된 광빔의 일부를 차단한다. 그에 따라,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방출된 광빔의 광 원뿔 각도가 제한되고/되거나 지시된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센서의 감도는 더욱 증가된다.
센서와 유사하게 그리고 전술한 이점을 이용하여, 제2 통로 개구가 반사된 광빔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광 반사기가 추가 조정 장치에 의해 제2 통로 개구에 대해 조정 가능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방출된 광빔의 광축이 제1 통로 개구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기울어져 연장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용하게는, 반사된 광빔의 광축이 제2 통로 개구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기울어져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반사된 광빔의 에지 영역이 차단될 수 있고 따라서 광 원뿔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센서의 감도는 증가된다.
운반 장치가 이전에 설명된 양태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장점 및 효과는 아래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드러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운반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링크 장치를 구비한 측면 가이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아래에서 본 링크 위치에서의 링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아래에서 본 장착 위치에서의 링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위에서 본 링크 위치에서의 측면 가이드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위에서 본 장착 위치에서의 측면 가이드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라인 V에 따라 운반 장치 및 측면 가이드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운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링크 장치가 있는 센서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센서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라인 IX에 따라 운반 장치 및 센서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연결 장치가 있는 제1 실시예의 커버 홀더의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커버 홀더의 다른 도면이다.
도 10c는 제2 실시예의 커버 홀더의 도면이다.
도 11 덮개 상의 덮개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제1 단면 평면에서 고정된 커버 홀더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제2 단면 평면에서 고정된 커버 홀더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1 실시예의 센서 홀더 및 제2 실시예의 센서 홀더를 갖는 제2 실시예의 운반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제3 실시예의 센서 홀더를 갖는 도 13a에 따른 운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따른 운반 장치의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및 개략적으로 나타낸 프레임 프로파일을 통한 단면도이다.
우선, 설명하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전체 설명에 포함된 개시 내용은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분에 유사하게 이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설명에서 선택한 상부, 하부, 측면 등의 위치 사양은 직접 기술되고 묘사된 도면을 참조하며,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새로운 위치로 유사하게 이전된다.
도 1은 두 개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 및 복수의 운반 요소(5)를 포함하는,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운반 요소(5)들은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에 배열되며 운반 평면을 정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운반 요소(5)는 컨베이어 롤러로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운반 요소(5)가 컨베이어 벨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되거나, 컨베이어 벨트로서 구성된 운반 요소(5)가 제공될 수 있다. 운반 요소(5)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형성되도록 컨베이어 벨트가 컨베이어 롤러 주위로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닛 로드(2)는 운반 평면(FE) 및/또는 운반 영역에서 운반되고, 운반 영역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에 의해 및/또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내측 또는 가이드 측면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운반 평면(FE)에 의해 바닥 쪽으로 제한된다.
운반 영역을 측면으로 제한하기 위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이 상호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또한 연장된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복수의 측면 가이드 홀더(6)에 의해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각각 고정된다.
더욱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각각 가이드 측면과 장착면을 갖는다. 도시된 운반 장치(1)에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그들의 가이드 측면이 항상 서로 및/또는 운반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의 장착면과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의 장착면은 서로로부터 및/또는 운반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장착면 상의 측면 가이드 홀더(6)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 프로파일(3a, 3b) 각각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8)을 포함하는 장착 림(7)을 갖는다. 측면 가이드 홀더(6)들을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홀더(6)들은 장착 림(7)의 구멍(8)과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된다.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은 본질적으로 C자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측면 커버(9)는 C자형 단면의 개방측을 폐쇄 및/또는 덮는다. 따라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 및 측면 커버(9)들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내부가 제공된다. 도 1에서, 측면 커버(9)가 있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이 도시되어 있고 측면 커버(9)가 없는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이 도시되어 있다.
유닛 로드(2)를 검출하기 위해, 운반 장치(1)는 센서 홀더(11)에 의해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고정되는 센서(10)를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 홀더(11)는 측면 가이드 홀더(6)와 유사하게 장착되므로, 장착 림(7)의 구멍(8)과 맞물릴 수 있다.
도 2는 링크 장치(12) 및 장착 서포트(13)를 포함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링크 장치(12)는 측면 가이드 홀더(6)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장착 림(7), 특히 두 개의 인접한 구멍(8)과 상호작용으로 연결 장치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링크 장치(12)는 측면 가이드 홀더(6)의 하부측에 배열되고 베이스 본체를 갖는다. 베이스 본체는 베이스 벽(14), 상부 벽(15), 후방 벽 및 2개의 측벽(16)을 포함한다.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6)은 베이스 벽(14)의 2개의 대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각각은 베이스 벽(14)과 상부 벽(15) 사이로 연장된다. 후방 벽은 제1 측벽(16)에서 제2 측벽(16)으로 그리고 베이스 벽(14)에서 상부 벽(15)으로 연장된다. 또한, 베이스 벽(14)에서 상부 벽(15)까지 측벽과 평형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벽(17)이 제공된다.
상부 벽(15) 및/또는 베이스 벽(14)의 하부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면 상에, 연결 요소(18) 및 잠금 장치가 배열된다. 링크 장치(12) 및 장착 림(7)이 연결 장치를 형성하도록 연결 요소(18) 및 잠금 장치는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장착 림(7)에 있는 2개의 인접한 구멍(8)과 상호 작용한다.
연결 요소(18)는 베이스 벽(14)으로부터 돌출한 단부에 해머형 헤드를 갖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해머형 헤드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 단부는 언더컷을 갖도록 형성된다. 플러그는 베이스 벽(14) 상에 형성된다.
또한, 연결 요소(18)는 연결 요소(18)의 돌출 단부 상의 리세스에 배열되는 보강 요소(19)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요소(19)는 특히 강 또는 알루미늄의 소판(platelet)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을 위해 보강 요소(19)는 연결 요소(18)에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라, 잠금 장치는 스프링 요소(20) 및 스프링 요소(20) 상에 배열되는,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 형성되는 잠금 요소(21)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20)는 스프링 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장치(12) 및 장착 림(7)은 잠금 가능한 연결 장치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21)는 잠금 러그로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20)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벽(14)은 베이스 벽(14)의 에지로부터 시작하는 2개의 슬롯을 갖고, 베이스 벽(14)은 상기 슬롯 사이에서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슬롯 사이의 베이스 벽(14)의 섹션이 스프링 요소(20)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슬롯은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서로에 대해 대칭축 주위로 미러링되어 스프링 요소(20) 및/또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단부 사이에 가상의 연결선들이 직사각형 또는 이등변 사다리꼴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링크 장치(12)는 측면 가이드 홀더(6)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마찬가지로 운반 장치(1)의 추가 구성요소 및 부품을 위한 홀더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그러한 홀더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장착 서포트(13)는 베이스 벽(14) 및/또는 상부 벽(15)의 상부 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장착 서포트(13)는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수용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장착 서포트(13)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장착면에 대응하는 윤곽을 갖는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장착 서포트(13) 및/또는 측면 가이드 홀더(6)에 고정하기 위해, 장착 서포트(1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머형 헤드 나사를 포함하는 연결 수단(22)을 갖는다.
측면 가이드 홀더(6)의 치수 안정성 및/또는 굴곡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시된 장착 서포트(13)는 상부 벽(15)에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 리브(23)를 갖는다. 지지 리브(23)는 엄격하게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착 서포트(13)는 예를 들어 중실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링크 장치(12)와 장착 림(7)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 림(7)의 구멍(8)은 직사각형의 긴 구멍 및/또는 둥근 에지를 가진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구멍(8)의 둘레 형상은 본질적으로 해머형 헤드의 둘레 형상과 동일하다.
링크 장치(12)를 장착 림(7)에 고정하기 위해, 링크 장치(12)는 먼저 링크 위치(24)로 이동된다. 링크 위치(24)에서, 연결 요소(18)는 구멍(8)들 중 제1 구멍(8)과 동일한 방향에 있다. 따라서, 연결 요소(18)의 해머형 헤드는 제1 구멍(8)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것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제1 구멍(8)에 도입된 연결 요소(18)는 링크 장치(12)가 장착 위치(25)로 회전 및/또는 선회될 수 있는 회전축을 정의한다. 회전축은 장착 림(7)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8), 특히 구멍(8)들 중 제1 및 제2 구멍(8)은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다음에, 링크 장치(12)는 장착 위치(25)로 회전축에 대해 특정 회전 각도(α), 특히 약 30°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5°내지 90°범위의 각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0°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 3b는 장착 위치(25)에 있는 링크 장치(12)를 도시한다.
장착 위치(25)에서, 연결 요소(18)의 해머형 헤드는 제1 구멍(8)의 에지 영역에서 장착 림(7) 뒤에 맞물린다. 따라서 연결 요소(18)는 제1 구멍(8)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장착 림(7)에 직각으로 제1 구멍(8)에 고정된다.
링크 위치(24)로부터 장착 위치(25)로 링크 장치(12)의 회전 동안, 잠금 요소(21)와 스프링 요소(20)가 스프링 힘의 작용에 대항하여 장착 림(7)에 직교하여 그리고 베이스 본체의 상부 벽(15)의 방향으로 및/또는 위쪽으로 이동되도록 잠금 요소(21)와 장착 림(7)이 상호작용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스프링 요소(20)에는 사전 응력이 가해진다.
장착 위치(25)에서, 잠금 요소(21)는 구멍(8)들의 제2 구멍(8) 위에 및/또는 동일한 라인에 위치되므로, 잠금 요소(21)는 스프링 요소(20)의 장력 이완시 자동으로 제2 구멍(8)과 맞물리고 래치된다. 따라서, 링크 장치(12)는 회전축 주위의 부주의한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되며, 그에 의해 연결 장치는 잠금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21)는 처음에 베이스 벽(14)과 같은 높이로 배열되거나 오목하게 배열되고 장착 위치(25)에서 자동으로 래치되지 않으며, 오히려 제2 구멍(8)을 통해 이동되고/되거나 밀어 넣어야 한다.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 요소(21)가 먼저 제2 구멍(8) 밖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 다음, 링크 장치(12)는 장착 위치(25)에서 링크 위치(24)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 위치에서 연결 요소(18)는 구멍(8)들 중 제1 구멍(8)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링크 위치(24)와 장착 위치(25)의 배향 및 회전 각도(α)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연결 장치(6)에 대한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의 링크 장치(12)에 대해 일반적으로 도시된 프로세스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측면 가이드 홀더(6)는 링크 위치(24)(도 4a)에서 장착 위치(25)(도 4b)로 이동된다. 측면 가이드 홀더(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측면 가이드 홀더(6)의 연결 수단(22)은 도 4a 및 도 4b에서 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라인 V-V를 따른 운반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상의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6) 위에 고정된다. 물론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은 추가적인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6)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 프로파일(3a)에 고정될 수 있다. 운반 평면(FE)은 이미지 평면에 직각으로 배향된다.
또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은 운반 요소(5)가 롤러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파일 림(26)을 포함한다.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장착 림(7)은 프로파일 림(26)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되고 운반 영역 및/또는 운반 요소(5)로부터 멀어지게 향한다. 또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은 장착 림(7) 반대편의 프로파일 림(26)의 한쪽 단부에서 장착 림(7)에 평행하게 배열된 추가 림을 포함한다.
따라서 장착 림(7), 프로파일 림(26) 및 추가 림은 본질적으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C자형 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추가 림은 아래쪽을 향하고 및/또는 장착 림(7)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고정 홈(27a)을 갖는다.
측면 가이드 홀더(6)는 특히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이드 홀더(12)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장착 림(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보강 요소(19)용 고정나사를 볼 수 있도록, 연결 요소(18)와 일렬로 배열되는 연결 요소(18)뿐만 아니라 제1 지지벽(17)을 통한 단면도로 측면 가이드 홀더(6)를 도시한다. 고정나사는 연결 요소(18)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나사는 연결 요소(18)를 통해 그리고 베이스 벽(14)을 통해 제1 지지벽(17) 내로 돌출한다. 연결 요소(18)와 제1 지지벽(17)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나사용 내부 나사산이 있는 원통형 보어를 갖는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장착면에 고정 홈(27b)을 가지며, 이 고정 홈(27b)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측면 가이드 홀더(6)에 고정하도록 연결 수단(22), 특히 해머형 헤드 나사와 상호 작용한다.
도 6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이 측면 가이드 홀더(6)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b)에 고정되는 운반 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에 대한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대한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에 대해 동일하게 가능하다. 이 도면에서, 마찬가지로 측면 커버(9)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프로파일 림(26)은 복수의 장착 개구(28)를 포함한다. 운반 요소(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장착 개구(28)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운반 요소(5)의 축은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의 대향하는 장착 개구(28)와 맞물린다.
도 7은 센서 홀더(1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링크 장치(12)는 센서 홀더(11)의 하부측에 배열된다. 따라서 센서 홀더(11)는 링크 장치(12)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장착 림(7)에 고정 가능하다. 고정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어난다.
여기서,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는 센서 홀더(11)의 외부 하우징(29)을 제공한다. 외부 하우징(29) 내부에는 센서(10)가 위치되는 내부 하우징(30)이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내부 하우징(30)은 외부 하우징(29)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링크 장치(12) 및/또는 외부 하우징(29)의 제1 측벽(16) 및 측벽(16)은 각각 볼트 리셉터클(31)을 갖는다. 볼트 리셉터클은 볼트를 수용하는 통로 구멍, 가이드 노치를 포함하며, 볼트가 통로 구멍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볼트가 내부 하우징(30)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볼트는 하나의 볼트 리셉터클(31)과 맞물린다. 베이스 벽(14)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내부 하우징(30)의 선회 축을 정의하도록 볼트들은 서로에 대해 일렬로 배향된다.
또한, 링크 장치(12)의 연결 요소(18)는 케이블 채널을 갖고 있으며, 케이블 채널을 통해 센서 케이블(32)이 외부 하우징(29) 밖으로 안내될 수 있다. 케이블 채널은 연결 요소(18) 및 베이스 벽(14)을 통해 도달하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센서 케이블(32)이 케이블 채널에 측방향으로 프레스 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 채널은 한쪽이 개방되고 및/또는 C자형 단면을 갖는다. 케이블 채널이 연결 요소(18)를 통해 도달함에 따라, 구멍(8)들 중 제1 구멍(8)을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내부로 센서 케이블(32)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면 가이드 홀더(6)보다 센서 홀더(11)에 작용하는 더 낮은 응력으로 인해, 베이스 본체가 다중 지지벽을 가질 필요가 없고 및/또는 연결 요소(18)가 보강 요소(19)를 가질 필요가 없다.
운반 평면(FE)에 대한 내부 하우징(30)의 경사 및 내부 하우징에 수용된 센서(10)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센서 홀더(11)는 상부 벽(15) 및/또는 베이스 벽(14)에서 작동 개구(33)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작동 가능한 조정 장치를 갖는다.
도 8은 센서 홀더(11)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라인 VIII-V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외부 하우징(29) 안의 조정 장치를 볼 수 있다.
조정 장치는 고정나사(34) 및 고정나사와 상호 작용하는 치형부(35)를 포함하고, 치형부(35)는 내부 하우징(30)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나사(34)는 베이스 벽(14)에 직각으로 배향되고 치형부(35)는 내부 하우징(30)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만곡된다. 고정나사(34)를 작동 및/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하우징(30) 및 센서(10)는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고정나사(34)는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부 벽(15)에서 작동 개구(33)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라인 IX-IX를 따른 운반 장치(1)의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외부 하우징(29)이 본질적으로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과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 사이에 위치되도록 센서 홀더(11)는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의 장착 림(7)에 고정된다. 물론, 센서 홀더(11)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도 5에서와 같이 배열되므로, 장착 림(7)과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하부 에지 및/또는 접선 평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하부 에지에 의해 제공된다. 수직 거리는 센서(10)와 운반 영역 사이의 광학 연결을 허용한다.
도 10a는 커버 홀더(36)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커버 홀더에 의해 커버(37), 특히 운반 장치(1)를 위한 하부 커버가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홀더(36)는 추가 실시예의 링크 장치(12)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착 서포트(13)는 해머형 헤드 나사로 형성된 연결 수단(22)을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는 연결 요소(18)가 그 위에 배열되는 베이스 벽(14)을 갖는다. 연결 요소(18)는 이전에 도시된 링크 장치(12)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보강 요소(19)가 커버 홀더(36)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변형예에서, 잠금 장치는 베이스 벽(14)에 리세스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21)가 베이스 벽(14)에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리세스에 배열되므로, 잠금 요소(21)는 리세스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요소(21)는 잠금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 회전축은 베이스 벽(14)에 직각으로 배향된다. 이와 관련하여, 잠금 요소(21)가 리세스 안에 위치될 때 잠금 요소(21)는 베이스 벽(14)과 같은 높이이거나 베이스 벽(14)으로부터 오목해지도록 배열된다.
도 10b는 도 10a의 링크 장치(12)를 도시하며, 여기서 잠금 요소(21)는 리세스 밖으로 90°회전된다. 연결 요소(18)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요소(21)는 해머형 헤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장착 서포트(13) 및 커버 홀더(36)의 베이스 본체는 견고하게 연결 및/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10c는 커버 홀더(36)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장착 서포트(13)와 베이스 본체는 관절 방식으로 특히 힌지를 통해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커버(37)는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 장치(12) 및/또는 커버 홀더(36)를 장착 림(7)에 고정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고정을 위해, 커버 홀더(36) 및/또는 링크 장치(12)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위치(24)로 이동되고, 여기서 연결 요소(18)의 헤드는 구멍(8)들 중 제1 구멍(8)을 통해 안내된다. 그 후, 링크 장치(12)는 장착 위치(25)로 회전 각도(α)만큼 회전된다.
링크 장치(12)의 장착 위치(25)에서, 잠금 요소(21)는 이제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 밖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연결 요소(18)와 유사하게 구멍(8)들 중 제2 구멍(8)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요소(21)의 헤드는 구멍(8)들 중 제2 구멍(8)을 통과한다.
이어서, 잠금 요소(21)가 특히 90°만큼 회전될 수 있으므로, 잠금 요소(21)의 해머형 헤드는 연결 요소(18)의 헤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구멍(8)의 에지 영역에서 장착 림(7) 뒤에 맞물린다. 이것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착 림(7)은 커버(37) 상에 배열된다. 커버(37)의 제1 에지 영역 및 커버(37)의 제2 에지 영역은 각각 하나의 장착 림(7)을 형성한다. 커버(37)는 예를 들어, 커버 홀더(36)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추가 림 및/또는 커버 림에 고정되는 운반 장치(1)의 하부 커버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2a는 커버 홀더(36)의 단면을 도시하며, 커버 홀더에 의해 커버(37)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된다. 커버(37) 및/또는 커버(37)의 장착 림(7)은 링크 장치(12)에 의해 커버 홀더(36)에 고정된다. 커버 홀더(36)를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 홀더(36)의 연결 수단(22)은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커버 림 및/또는 추가 림 상의 고정 홈(27a)에 삽입되어 상호 작용한다.
도 12b는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에 회전 및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요소(21)를 통한 평면에서 커버 홀더(36)를 통한 추가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a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운반 장치(1)의 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운반 장치(1)는 본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운반 장치(1)와 유사하게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유닛 로드(2)(미도시)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에, 운반 평면(FE)을 정의하는 복수의 운반 요소(5)가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운반 요소(5)는 컨베이어 롤러로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운반 요소(5)가 컨베이어 벨트로서 구성되거나, 컨베이어 벨트로서 구성된 운반 요소(5)가 제공될 수 있다. 운반 요소(5)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형성되도록, 컨베이어 벨트가 컨베이어 롤러 주위로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닛 로드(2)는 운반 평면(FE) 상에서 및/또는 운반 영역에서 운반되고, 운반 영역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에 의해 및/또는 서로를 향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내부 또는 가이드 측면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운반 평면(FE)에 의해 바닥 쪽으로 제한된다.
운반 영역을 측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이 상호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또한 연장된다.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은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에 장착되고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장착된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각각 측면 가이드 홀더에 의해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전술한 측면 가이드 홀더 대신 대안적인 측면 가이드 홀더(6')를 사용하여 장착되는데, 이들은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측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링크 장치(12)와 함께 측면 가이드 홀더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각각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직접 인접하는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이 제공된다. 따라서, 운반 장치(1)는 소위 폴리백에 포장된 유닛 로드(2)를 운반하는 데 적합하다.
더욱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각각 가이드 측면과 장착면을 갖는다. 도시된 운반 장치(1)에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그들의 가이드 측면이 항상 서로를 및/또는 운반 영역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의 장착면과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의 장착면은 서로로부터 및/또는 운반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또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각각 장착면에서 '측면 가이드 홀더(6)에 연결'된다.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은 본질적으로 C자형 단면을 가지며, 여기서 측면 커버(9)는 C자형 단면의 개방측을 폐쇄 및/또는 덮는다. 따라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 및 측면 커버(9)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내부가 제공된다. 도 13에서,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은 측면 커버(9)와 함께 도시되고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측면 커버(9)가 없이 도시된다.
홀더를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8)을 포함하는 장착 림(7)을 갖는다.
운반된 유닛 로드(2)를 감지하기 위해, 운반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이트 배리어, 특히 반사 라이트 배리어를 갖는다. 도시된 운반 장치(1)의 섹션에서, 두 개의 라이트 배리어가 배열된다. 물론, 추가 라이트 배리어 및/또는 추가 센서(10)가 도시되지 않은 섹션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라이트 배리어는 센서(10) 및 센서(10)에 대응하는 광 반사기를 포함하며, 이는 도 13에 도시되지 않는다. 센서(10)는 각각의 경우에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에 고정된다. 광 반사기는 센서(10) 반대편,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또는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에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라이트 배리어의 센서(10)(미도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링크 장치(12)를 갖는 제1 센서 홀더(11)에 의해 고정된다. 제2 라이트 배리어의 도시된 센서(10)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측면에 고정되는 대안적인 센서 홀더(11a)에 의해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센서(10)는 제1 센서 홀더(11) 또는 대안적인 센서 홀더(11a)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센서(10)(미도시)는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에 고정되는 추가의 대안적인 센서 홀더(11b)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적인 센서 홀더(11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29) 및 내부 하우징(30)을 갖는다. 내부 하우징(30)은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9)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내부 하우징(30) 및/또는 센서(10)의 기울기는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조정 장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13b에 도시된 외부 하우징(29)은 잠금 요소(21)를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결 요소(18)도 갖지 않는다.
또한, 센서 홀더(11b)는 도 14에 도시된 상부 고정 홈(27b) 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고정 홈(27b')과 상호 작용하는 고정 수단 및/또는 클램핑 수단을 갖는 대안적인 링크 장치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링크 장치는 측면 가이드 홀더(6)의 장착 섹션(13)과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10)는 방출된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또는 광 방출기(도 14의 실선 화살표 참조) 및 광빔을 포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라이트 배리어에서, 방출된 광빔은 광원으로부터 광 반사기로 전달되고, 여기서 방출된 광빔은 운반 영역을 통과한다. 광 반사기에서 반사된 광빔(도 14의 점선 화살표 참조)은 광 반사기에서 광 수신기로 전달되고, 반사된 광빔은 운반 영역을 통과한다.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반사된 광빔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은 제1 통로 개구(38)를 갖고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센서를 제공하는 제2 통로 개구(38)를 갖는데, 이들은 센서측 조리개 플레이트 및 반사기측 조리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각각의 센서(10) 및/또는 각각의 반사기는 조리개 플레이트들 중의 조리개 플레이트에 할당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센서(10)는 통로 개구(38)의 중심축과 방출된 광빔 사이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조정 장치에 의해 센서측 조리개 플레이트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또한, 광빔의 일부가 통로 개구(38)에 의해 차단되도록 센서(10)가 통로 개구(38)에 대해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광빔은 통로 개구(38)의 중심축에 오프셋 되어 연장한다. 광 반사기는 제2 통로 개구(38)의 중심축과 반사된 광빔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4는 제1 및/또는 상부 고정 홈(27b)과 제2 및/또는 하부 고정 홈(27b')를 갖는 대안적인 운반 장치(1)의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제1 측방향 안내 프로파일(4a)은 도 5 및 도 9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측방향 안내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측방향 안내 프로파일(4a)의 하부 에지와 상부 에지 사이에 더 큰 높이 및/또는 더 큰 거리를 갖는다. 그에 따라,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과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사이의 갭 및/또는 수직 거리가 폐쇄 및/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상에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각각의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하부 에지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평면(FE) 아래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환언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평면(FE)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하부 에지 위, 특히 약간 위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홀더(6')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고정 홈(27b)과 맞물린다. 하부 단부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과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사이에 갭 및/또는 수직 거리(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폐쇄 및/또는 덮기 위한 스커트(39)를 갖는다.
통로 개구(38)는 운반 평면(FE) 바로 위의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반사된 광빔을 운반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해 스커트(39)에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로 개구(38) 및/또는 조리개 플레이트는 천공되거나 펀칭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된 링크 장치(12)를 사용하여 견고하고 잠금 가능한 연결 장치가 실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예컨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 연결 요소(18), 센서(10), 반사기, 커버(37), 특히 하부 커버 등의 운반 장치 구성요소를 위한 다양한 홀더들이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홀더들은 예를 들어 측면 가이드 홀더(6), 센서 홀더(11) 및 커버 홀더(36)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는 범용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운반 장치(1)에 대한 장착 작업을 단순화한다. 또한, 운반 장치(1)의 적용 분야가 통로 개구(38)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 및 도면이 청구범위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도시된 장치는 실제로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도시된 장치 및/또는 그 구성요소은 크기의 축척으로 및/또는 확대 및/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1 : 운반 장치 2 : 유닛 로드
3a, 3b : 프레임 프로파일 4a, 4b :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
5 : 운반 요소 6 : 측면 가이드 홀더
7 : 장착 림 8 : 구멍
9 : 측면 커버 10 : 센서
11 : 센서 홀더 11a, 11b : 대안적인 센서 홀더
12 : 링크 장치 13 : 장착 서포트
14 : 베이스 벽 15 : 상부 벽
16 : 측벽 17 : 지지벽
18 : 연결 요소 19 : 보강 요소
20 : 스프링 요소 21 : 잠금 요소
22 : 연결 수단 23 : 지지 리브
24 : 링크 위치 25 : 장착 위치
26 : 프로파일 림 27 : 고정 홈
28 : 장착 개구 29 : 외부 하우징
30 : 내부 하우징 31 : 볼트 리셉터클
32 : 센서 케이블 33 : 작동 개구
34 : 고정나사 35 : 치형부
36 : 커버 홀더 37 : 커버
38 : 통로 개구 39 : 스커트
α : 회전 각도

Claims (47)

  1.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위한 홀더, 특히 측면 가이드 홀더(6), 센서 홀더(11), 또는 하부 커버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의 링크 장치(12)로서, 링크 장치(12)는 홀더에 배열되고 장착 림(7)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장착 림의 종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복수의 구멍(8)을 갖고 있는, 상기 링크 장치(12)에 있어서,
    링크 장치(12)는 베이스 벽(14)을 포함하는 베이스 본체, 연결 요소(18) 및 잠금 장치를 가지며, 베이스 벽(14)은 장착 표면을 제공하고, 연결 요소(18)는 장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링크 장치(12)가 링크 위치(24)에 있을 때 연결 요소(18)는 구멍(8)들 중 제1 구멍(8)과 맞물릴 수 있고, 연결 요소(18)는 장착 표면에 직교하여 배향된 장착 회전축을 형성하고 장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링크 장치(12)가 링크 위치(24)에서 장착 위치(25)로 회전될 수 있고, 링크 장치(12)가 장착 위치(25)에 있을 때 잠금 장치가 장착 림(7)의 구멍(8)들의 제2 구멍(8)과 맞물릴 수 있도록 잠금 장치는 연결 요소(18)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는 상부 벽(15),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6)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6)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베이스 벽(14)으로부터 적어도 상부 벽(15)까지 연장되며, 베이스 벽(14)의 상부면은 상부 벽(15)을 향하고 베이스 벽(14)의 바닥면은 장착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는, 제1 측벽(16)과 제2 측벽(16) 사이에 배열되고 베이스 벽(14)으로부터 상부 벽(15)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벽(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는 베이스 벽(14)으로부터 적어도 상부 벽(15)까지 그리고 제1 측벽(16)으로부터 제2 측벽(16)까지 연장하는, 후방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8)는 장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에 장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해머형 헤드를 가진 플러그를 포함하고, 해머형 헤드는 링크 장치(12)의 링크 위치(24)에서 장착 림(7)의 제1 구멍(8)을 통과할 수 있고 링크 장치(12)의 장착 위치(25)에서 장착 림(7)의 제1 구멍(8)의 에지 영역 뒤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8)는 보강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8)는 리세스를 갖고 있으며, 리세스에 보강 인서트가 배열되어 연결 요소(1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구멍(8)들 중 제2 구멍(8)과 맞물리도록 장착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특히 베이스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한 잠금 요소(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10. 제9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잠금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본체에 장착되고, 잠금 요소(21)의 제1 위치에서 구멍(8)들 중 제2 구멍(8)을 통과할 수 있고 잠금 요소(21)의 제2 위치에서 구멍(8)들 중 제2 구멍(8)의 가장자리 영역 뒤에 맞물릴 수 있는 해머형 헤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1)는 장착 표면에 수직으로 그리고 스프링 힘의 작용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며, 장착 위치(25)에서 잠금 요소(21)는 스프링 힘을 이용하여 구멍(8)들 중 제2 구멍(8)과 자동으로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12. 제11항에 있어서,
    베이스 벽(14)은, 베이스 벽(14)의 제1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한 베이스 벽(14)의 제2 에지를 향하여 연장하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슬롯을 갖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벽(14)은 스프링 요소(20)를 제공하기 위하여 슬롯 사이에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장치(12).
  13. 링크 장치(12) 및 링크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장착 림(7)을 포함하고,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위한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
    링크 장치(12)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고 장착 림(7)은 상기 장착 림(7)의 종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복수의 구멍(8)을 갖고 있으며, 구멍(8)들 중 제1 구멍(8)은 링크 장치(12)의 연결 요소(18)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구멍(8)들 중 제2 구멍(8)은 링크 장치(12)의 잠금 요소(21)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장착 림(7)은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장착 림(7)은 커버(37)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6. 링크 장치(12) 및 장착 서포트(13)를 포함하고,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장착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 홀더(6)로서,
    장착 서포트(13)는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수용하고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은 연결 수단(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링크 장치(12)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6).
  17. 제16항에 있어서,
    장착 서포트(13)는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6).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장착 서포트(13)는 연결 수단(2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6).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22)은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측면 가이드 홀더(6)에 고정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고정 홈(27b)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해머형 헤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가이드 홀더(6).
  20. 외부 하우징(29) 및 외부 하우징(29)에 배열된 센서(1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30)을 포함하고, 유닛 로드(2)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센서(10)를 장착하기 위한 센서 홀더(11)로서,
    센서 홀더(11)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크 장치(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11).
  21. 제20항에 있어서,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는 외부 하우징(2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11).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30)은 외부 하우징(2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 하우징(30)의 경사는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11).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 장치(12)의 연결 요소(18)는 케이블 채널을 갖고 있어, 센서(10)의 케이블이 외부 하우징(29) 밖으로 케이블 채널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홀더(11).
  24. 장착 서포트(13) 및 링크 장치(12)를 포함하며, 유닛 로드(2)를 운반하는 운반 장치(1)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커버(37)를 장착하기 위한 커버 홀더(36)로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이 연결 수단(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링크 장치(12)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25. 제24항에 있어서,
    장착 서포트(13)는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26. 제24항에 있어서,
    장착 서포트(13)는 힌지 연결에 의해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어, 장착 서포트(13) 및 링크 장치(12)의 베이스 본체는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서포트(13)는 연결 수단(2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22)은 커버 홀더(36)를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고정 홈(27a)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해머형 헤드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 장치(12)의 잠금 장치는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홀더(36).
  30. 복수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적어도 하나의 운반 요소(5) 및 복수의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포함하며,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로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로 연장하고,
    운반 요소(5)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에 배열되고 운반 평면(FE)을 정의하며, 운반 평면 상에서 유닛 로드(2)가 운반될 수 있고,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로 연장하고,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각각 복수의 측면 가이드 홀더(6)에 의하여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장착되는, 상기 운반 장치(1)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홀더(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이드 홀더(6)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크 장치(12)를 갖고 있으며, 제13항에 따른 연결 장치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대응하는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1. 제30항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홀더(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이드 홀더(6)는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 각각은 운반 평면(FE)에 직각으로 배향된 프로파일 림(26)을 포함하고, 프로파일 림은 (26)은 운반 평면(FE)을 향하는 제1 측면 및 운반 평면(FE)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으며, 장착 림(7)은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프로파일 림(26)에 배열되고 운반 평면(FE)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3. 제32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림(26)은 복수의 장착 개구(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 각각은 측면 가이드 홀더(6)의 연결 수단(22)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 홈(27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가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센서 홀더(11)에 의해 프레임 프로파일(3a, 3b)들 중 하나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6. 복수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운반 장치(1)의 바닥면 상의 커버(37) 및 적어도 하나의 운반 요소(5)를 포함하며,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로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로 연장하고,
    운반 요소(5)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에 배열되고 운반 평면(FE)을 정의하며, 운반 평면 상에서 유닛 로드(2)가 운반될 수 있고,
    커버(37)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 요소(5) 아래에 배열되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며, 복수의 커버 홀더(36)에 의해 커버(37)의 제1 에지 섹션을 따라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복수의 커버 홀더(36)에 의해 커버(37)의 제2 에지 섹션을 따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고정되는, 상기 운반 장치(1)에 있어서,
    커버 홀더(3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더(36)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크 장치(12)를 갖고 있고, 제15항에 따른 연결 장치에 의해 커버(37)에 연결 가능하며, 커버의 제1 에지 섹션(37) 및 커버(37)의 제2 에지 섹션 각각은 장착 림(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7. 제3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 홀더(36)는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 각각은 운반 평면(FE)에 평행하게 배향된 커버 림을 갖고 있으며, 커버 림에는 고정 홈(27a)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장치(1)가 제3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0. 복수의 프레임 프로파일(3a, 3b), 적어도 하나의 운반 요소(5) 및 복수의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을 포함하며, 유닛 로드(2)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1)로서,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프레임 프로파일(3a, 3b)의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로 연장하고,
    운반 요소(5)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과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 사이에 배열되고 운반 평면(FE)을 정의하며, 운반 평면 상에서 유닛 로드(2)가 운반될 수 있고,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4b)의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유닛 로드(2)의 이송 방향으로 상호 거리로 연장하고,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각각 복수의 측면 가이드 홀더(6)에 의하여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및 제2 프레임 프로파일(3b)에 장착되어, 운반 영역이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 및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에 의해 측방향으로 경계를 이루게 되고,
    센서(10)가 방출된 광빔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을 갖는 제1 프레임 프로파일(3a) 또는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에 고정되는, 상기 운반 장치(1)에 있어서,
    제1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a)은 방출된 광빔을 위한 센서측 조리개 플레이트를 제공하며 방출된 광빔이 운반 영역으로 보낼 수 있는 제1 통로 개구(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1. 제40항에 있어서,
    운반 장치(1)는 센서(10) 및 상기 센서(10)에 상응하는 광 반사기를 포함하는 라이트 배리어를 갖고 있고, 상기 센서(10)는 광 수신기를 갖고 있고, 상기 광 반사기는 방출된 광빔이 상기 광 반사기에서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 반대편 운반 영역의 측면에 위치되고, 반사된 광빔이 광 반사기로부터 광 수신기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2. 제41항에 있어서,
    제2 측면 가이드 프로파일(4b)은 방출된 광빔이 광 반사기로 보내질 수 있고 반사된 광빔이 운반 영역으로 보내질 수 있는 제2 통로 개구(38)를 갖고 있고, 통로 개구는 방출된 광빔 및/또는 반사된 광빔을 위한 반사기측 조리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10)는 조정 장치에 의해 제1 통로 개구(38)에 대해 조절 가능하며, 따라서 통로 개구(38)가 방출된 광빔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광 반사기는 추가 조정 장치에 의해 제2 통로 개구(38)에 대해 조정 가능하며, 따라서 통로 개구(38)가 반사된 광빔의 일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5. 제40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된 광빔의 광축은 제1 통로 개구(38)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기울어져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6. 제40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된 광빔의 광축은 제2 통로 개구(38)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 및/또는 기울어져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47. 제40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장치(1)는 제30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장치(1).
KR1020227045942A 2020-05-28 2021-05-27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KR20230017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66/2020A AT523860B1 (de) 2020-05-28 2020-05-28 Verbindungs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Halterung für Komponenten einer Fördervorrichtung und Förder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tückgut
ATA50466/2020 2020-05-28
PCT/AT2021/060182 WO2021237262A1 (de) 2020-05-28 2021-05-27 Verbindungs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halterung für komponenten einer fördervorrichtung und förder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stückg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285A true KR20230017285A (ko) 2023-02-03

Family

ID=7644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942A KR20230017285A (ko) 2020-05-28 2021-05-27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11958A1 (ko)
EP (1) EP4157760A1 (ko)
KR (1) KR20230017285A (ko)
CN (1) CN115667104A (ko)
AT (1) AT523860B1 (ko)
CA (1) CA3184446A1 (ko)
WO (1) WO202123726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776B2 (ja) * 1998-10-20 2004-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センサの取付け構造
DE10118566A1 (de) * 2001-04-14 2002-10-17 Bosch Gmbh Robert Haltevorrichtung für eine Seitenführung eines Stetigförderers
US6588578B1 (en) * 2002-02-20 2003-07-08 Alvey Syst Inc Conveyor guiderail snag resistant opening
DE202004018224U1 (de) * 2004-11-24 2005-02-03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Befestigungselement zum Befestigen eines Gegenstandes an einem Aufnahmeteil
FR2928143B1 (fr) * 2008-02-28 2010-03-19 Dev De La Productique Soc D Et Convoyeur equipe de supports pour le montage d'elements tels qu'un rail de guidage lateral de charges
CN104075167A (zh) * 2013-03-28 2014-10-01 欧司朗有限公司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1958A1 (en) 2023-07-06
CA3184446A1 (en) 2021-12-02
EP4157760A1 (de) 2023-04-05
WO2021237262A1 (de) 2021-12-02
CN115667104A (zh) 2023-01-31
AT523860B1 (de) 2023-06-15
AT523860A1 (de)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4513B (fi) Moebelgaongjaern.
EP2332862B1 (en) Bracket for conveyor-belt tensioning
US6637279B2 (en) Sensor assembly
KR20230017285A (ko) 운반 장치의 구성요소용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유닛 로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GB2335791A (en) Device for coupling transport containers to a port at a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US6088879A (en) Hinge
EP2342408B1 (en) Adjustment device for hidden hinges and hidden hinge comprising said adjustment device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US20080263976A1 (en) Wireway section with hinged cover
US20070126259A1 (en) Unit carrier comprising an integrated lock fix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oor
EA004009B1 (ru) Залоговый замо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й тележки
US20230151660A1 (en) Door hinge
US6935804B2 (en) Clamping element and device for fixing cam rails
US20230098490A1 (en) Accessory mount system for use with elevated work platforms
US8328456B2 (en) Fastening system for fixing and/or aligning at least one sensor element
FI78184B (fi) Fotoelektrisk bom foer doerrsaekring.
NL9401081A (nl) Koordrem.
JP3729506B2 (ja) 組合せはかり
KR102606013B1 (ko) 센서 및 그 잠금 장치
KR101346839B1 (ko) 클램프
KR200424767Y1 (ko) 금고 잠금 장치
CN214535281U (zh) 固定组件及一体机
KR102644835B1 (ko) 센서의 잠금장치 및 센서와 잠금장치가 구비된 센서 어셈블리
US20230058844A1 (en) Strapping apparatus
KR960000788Y1 (ko) 코인 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