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231A -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231A
KR20230017231A KR1020227044176A KR20227044176A KR20230017231A KR 20230017231 A KR20230017231 A KR 20230017231A KR 1020227044176 A KR1020227044176 A KR 1020227044176A KR 20227044176 A KR20227044176 A KR 20227044176A KR 20230017231 A KR20230017231 A KR 2023001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distribution
driving
initial charging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훈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ublication of KR2023001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7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주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휠로더 등의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분배장치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는 동력원으로서 고출력의 파워를 갖는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그러한 엔진의 파워를 이용하여 엔진에 연결된 유압 펌프를 구동하며, 유압 펌프에서 토출되는 작동유를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로 공급함으로써 주행부용 크롤러 또는 타이어의 회전이나 붐, 아암, 버켓 등의 작업장치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여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디젤 엔진의 연료로서 경유는 화석연료이기 때문에 점차 고갈되어 가는 실정이며, 특히 건설기계의 특성상 때문에 연료 소모량이 많아 연비 및 운전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서, 전기에너지의 활용이 주목되고 있으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전기동력시스템 적용한 건설기계의 사례,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굴삭기, 휠로더 등에 전기동력시스템을 적용한 건설기계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건설기계 시스템은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는 일반적인 굴삭기, 휠로더 등에 모터와 전기저장 장치를 구비한 전기동력시스템을 추가로 설치하여, 엔진의 동력을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으로 변환한 후, 전동기를 이용하여 주행부와 작업부를 구동함으로써, 건설기계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이브리드 건설 기계의 하나인 하이브리드 휠로더는 전력생성/저장을 위한 발전부용 구동기, 전력소모/회생을 위한 작업부용 구동기, 주행부용 구동기 등 특히 타 건설기계에 비하여 다수의 구동기가 필요하여 각각의 구동기를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분배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기충전부가 구비된 전력분배장치를 포함하여, 소형화를 달성하고,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주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각각은 주행부용 인버터 및 주행부용 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인버터 각각은 DC 링크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개수는 상기 주행부용 인버터의 개수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 상기 초기충전저항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초기충전저항과 상기 주행부용 구동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부용 구동기의 초기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정상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전력분배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발전부용 초기충전부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발전부용 초기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센서; 및 상기 전력분배장치와 연결된 배터리의 배터리 잔존 충전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 및 상기 배터리 잔존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분배장치의 전력분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작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각각은 작업부용 인버터 및 작업부용 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인버터 각각은 DC 링크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개수는 상기 작업부용 인버터의 개수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 상기 초기충전저항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초기충전저항과 상기 작업부용 구동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부용 구동기의 초기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정상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전력분배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발전부용 초기충전부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발전부용 초기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센서; 및 상기 전력분배장치와 연결된 배터리의 배터리 잔존 충전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 및 상기 배터리 잔존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분배장치의 전력분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주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 및 상기 작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일단자와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일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일단자들에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주행부용 전력분배부;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일단자들에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작업부용 전력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타단자들 및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타단자들에 연결되는 접지용 전력분배부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부는 2개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6개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6개의 주행부용 구동기는 각각 감속기와 연결되며, 2in1 기어 박스(2in1 gear box)에 의해 2개의 주행부용 구동기가 하나의 감속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주행부용 초기충전부 또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가 구비된 전력분배장치를 포함하여, 소형화를 달성하고,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전력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센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시스템을 포함한 건설기계 차량의 하이브리드 전기동력시스템을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을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의 계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전력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센서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엔진(10), 발전부용 발전기(110), 발전부용 인버터(120), 전류센서(130), 제어부(140), 전력분배장치(150), 배터리(160), 배터리센서(170), 주행부(20), 및 작업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용 발전기(110)는 엔진의 RPM과 동일한 속도로 구동하여 3상 교류전력을 생산한다.
발전부용 인버터(120)는 발전부용 발전기(110)와 연결되어, 발전부용 발전기(110)에 의해 생산되는 3상 교류전력을 입력받아, 직류를 출력한다.
발전부용 인버터(120)는 제어부(140)의 지시에 따라 엔진(10)의 RPM 및 발전부용 발전기(110)의 토크(torque)를 제어한다.
발전부용 인버터(120)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 및 DC 링크 커패시터(125)를 포함한다.
DC 링크 커패시터(125)는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스위칭 소자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축적하여, DC 전류를 출력한다.
전류센서(130)는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DC 링크 커패시터(125)의 직류링크의 한 극과 전력분배장치(150)의 연결선 상에 배치되어,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직류링크 단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140)에 측정값을 전달한다.
전류센서(130)의 위치가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출력단에 위치하므로, 인버터 효율이 반영된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3상의 교류전력은 위상차에 의해 무효전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발전기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모두 발전부용 인버터(120)로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전력분배장치(150)로 전달되는 전력은 유효전력만이 전달되며, 무효전력은 발전기와 인버터 계통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DC 링크 단에 전류센서(130)를 장착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전기동력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정확한 유효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 내부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에 의하여 구성되고, 내부메모리에 격납된 구동제어용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제어부(140)는 전류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전력분배장치(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주행부(20)와 작업부(21)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주행부(20)와 작업부(21)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발전부용 인버터(120)를 통해 발전부용 발전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주행부(20)는 복수의 주행기(200) 및 복수의 주행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201)를 포함하고, 작업부(21)는 복수의 작업기(210) 및 복수의 작업기(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20)의 주행부용 구동기(201)는 주행부용 모터(2011) 및 주행부용 모터(20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주행부용 인버터(2012)를 각각 포함하고, 작업부(21)의 작업부용 구동기(211)는 작업부용 모터(2111) 및 작업부용 모터(21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작업부용 인버터(2112)를 각각 포함한다. 주행기(200)는 건설기계의 주행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감속기, 가속기, 기어, 제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기(210)는 건설기계의 작업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버킷, 아암, 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분배장치(15)와 주행부(20) 및 작업부(21)와의 관계는 후술할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전력분배장치(150)에 의해 분배되는 전력에 의해 주행부(20)와 작업부(21)가 구동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주행기 센서(미도시) 및 작업기 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주행기(200) 및 작업기(210)에서 소모되는 소모전력에 기초하여 주행부(20) 및 작업부(21)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할 수 있다. 다수의 주행기(200) 및 작업기(210)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40)는, 각 주행기(200) 및 작업기(210)의 소모전력을 합산하여 전체의 소모전력 측정값을 연산하거나, 주행부(20) 및 작업부(21) 각각을 위한 소모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연결된 작업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러한 조작량에 대응하는 부하량을 연산할 수도 있다.
전력분배장치(150)는, 제어부(140)의 지시에 따라, 발전부용 인버터(120) 및 배터리(16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연결된 주행부(20) 및 작업부(21) 등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분배장치(150)는 초기충전부(155-1, 155-2) 및 전력분배부(151, 152, 153, 154)를 포함한다. 전력분배부(151, 152, 153, 154)는 발전부용 인버터(120)로부터 인가받는 DC 전류(전압)를 주행부(20) 및 작업부(21)로 분배하도록 분전반, 버스바, 케이블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분배장치(150)는 추가의 기능부 및 추가의 배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분배장치(150)는 후술할 도 5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발전부를 위한 초기충전부(155)가 배치될 수 있다. 초기충전부(155)는 전류센서(130)와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센서(130)와 전력분배장치(150) 사이에 배치되고, 초기충전저항(R) 및 릴레이(R1, R2)를 포함한다. 따라서, 초기충전부(155)는 스위치 역할(예를 들어, 차단 스위치로서의 역할) 및 우회전력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예를 들어 발전기용 인버터(120)의 DC 링크 커패시터에 발생하는 초기 돌입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발전부용 초기충전부(155)가 전력분배장치(15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기충전저항(R)은 전류센서(130)와 직렬로 연결되며, 제1 릴레이(R1)는 초기충전저항(R)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2 릴레이(R2)는 초기충전저항(R)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초기충전부(155)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기충전부(155)는, 초기충전저항(R)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릴레이(R1) 및/또는 초기충전저항(R)과 초기충전저항(R)에 직렬로 연결된 제2 릴레이(R2)의 세트가 복수개로 병렬로 연결된 회로와 같이 다양한 공지의 초기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용 인버터(120)의 초기 동작 시에 제1 릴레이(R1)는 개방 상태로 제어되고 제2 릴레이(R2)는 접속상태로 제어되어, 입력전류는 초기충전저항(R)을 통해 전달되며, 정상 동작시에는 제1 릴레이(R1)는 접속 상태로 제어되고 제2 릴레이(R2)는 개방 상태로 제어되어, 제1 릴레이(R1)를 통해 전달된다.
배터리(160)는 건설기계의 시동을 걸 때 시동 모터와 점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엔진 정지 시 건설기계 내 장착된 전장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센서(170)는 배터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60)의 전압, 전류 및/또는 온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하여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와 잔존 충전량(충전량)을 확인가능하게 한다.
배터리센서(170)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IBS:Intelligent Battery Sensor)일 수 있다. IBS는 기본적으로 차량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내부 온도를 각각 센싱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각 센서의 센싱한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잔존 충전량(SOC: State Of Charge)값, 배터리 수명(SOH: State Of Health)(또는 배터리 용량 열화상태), 배터리 내부 온도(BTM: Battery Of Model)값, 배터리 시동 기능(SOF: State Of Function)값 등과 같은 배터리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SOC값, SOH값, BTM값, SOF값 등과 같은 배터리 성능 인자의 계산은 공지된 기술이며, 이러한 계산 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센서(170)는 모니터링된 정보들을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전류센서(130)와 배터리센서(17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배터리의 배터리 잔존 충전량(SOC: State Of Charge) 및 작업기의 필요 부하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발전기의 발전전력을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결정된 발전전력에 따라 엔진의 RPM 및 발전기의 토크를 결정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효율이 적용된 발전 전력 측정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먼저,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른 연비를 나타낸다.
데이터 기록
연비
g/kWh
198.6 196.6 195.8 198.0 197.2
198.5 196.7 194.9 194.1 195.3
198.1 197.0 195.6 195.8 195.8
196.7 197.4 197.5 195.4 198.1
199.9 197.6 197.2 196.6 197.6
200.1 202.0 198.3 197.6 199.7
202.3 203.5 201.4 204.8 208.4
209.6 210.7 210.7 212.7 214.5
221.3 224.0 229.4 233.7 232.2
273.0 272.9 275.5 281.0 293.9
373.7 375.1 360.2 376.0 417.3
속도 1300 1400 1500 1600 1700
또한,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2는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른 발전기의 토크를 나타낸다.
데이터 기록
토크
(Nm)
1284.005 1278.898 1287.902 1264.197 1198.480
1151.211 1148.630 1162.077 1157.175 1084.144
1019.128 1024.568 1018.561 1032.248 966.148
897.551 897.865 902.984 897.647 837.192
768.251 764.643 773.255 768.107 726.960
641.841 644.172 646.470 648.078 607.046
517.350 511.142 517.207 505.301 479.212
384.887 388.592 385.744 378.904 357.766
259.507 261.240 261.346 256.041 240.514
129.976 134.777 133.314 131.469 124.977
65.774 68.683 65.304 70.156 58.701
속도(rpm) 1300 1400 1500 1600 1700
또한,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3은 엔진의 회전속도와 발전기의 토크에 따른 인버터 효율을 나타낸다.
토크
(Nm)
데이터 기록
2450 83.85 84.85 91.73 94.32
2178 84.39 85.39 91.97 94.38 95
2033 85.05 86.05 92.31 94.44 95.03
1866 85.69 86.69 92.64 94.48 95.04
1742 86.25 87.25 92.85 94.67 95.11 96.7
1528 86.94 87.94 93.19 94.89 95.29 96.7
1310 87.65 88.65 93.45 95.06 95.44 96.69 97.55
1212 87.88 88.88 93.63 95.17 95.5 96.69 97.5
1042 88.16 89.16 93.67 95.2 95.58 96.7 97.44 97.88
969 88.41 89.41 93.73 95.27 95.54 96.72 97.41 97.83 97.9
882 88.5 89.5 93.79 95.27 95.58 96.71 97.39 97.79 97.85
871 88.55 89.55 93.81 95.29 95.61 96.71 97.39 97.76 97.8
831 88.56 89.56 93.8 95.28 95.59 96.68 97.38 97.77 97.79
755 88.39 89.39 93.74 95.19 95.58 96.65 97.33 97.75 97.8 97.9
740 88.44 89.44 93.74 95.2 95.57 96.63 97.31 97.77 97.79 97.88
693 88.41 89.41 93.7 95.16 95.49 96.6 97.3 97.7 97.8 97.38
635 88.38 89.38 93.66 95.1 95.47 96.59 97.28 97.74 97.78 97.83
555 88.26 89.26 93.58 95 95.42 96.53 97.23 97.7 97.76 97.79 97.8
523 88.14 89.14 93.59 94.97 95.34 96.5 97.23 97.7 97.75 97.78 97.73
505 88.13 89.13 93.54 94.93 95.33 96.45 97.2 97.71 97.74 97.76 97.65
465 87.78 88.78 93.49 94.82 95.22 96.39 97.14 97.68 97.72 97.71 97.53
396 87.57 88.57 93.24 94.8 95.07 96.27 97.03 97.59 97.69 97.63 97.49 97.45
356 87.36 88.36 93.08 94.71 95.09 96.19 96.94 97.52 97.63 97.58 97.35 97.3
305 86.93 87.93 92.82 94.48 94.84 95.98 96.79 97.44 97.55 97.51 97.3 97.14
0 85.93 86.93 91.82 93.48 93.84 94.98 95.79 96.44 96.55 96.51 96.3 96.14
속도
(rpm)
0 313 531 697 747 994 1250 1563 1719 1875 2188 2500
표 3을 참조하면, 인버터의 운전영역 즉, 엔진 속도가 1250 이상 1875 이하이고, 발전기의 토크가 0에서 1528 이하인 영역에서 인버터의 효율은 95.79% ~ 97.9%이고, 효율 오차는 2.11%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사용에서 EV(Electric Vehicle) 모드인 경우, 엔진이 오프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인버터의 운전영역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사용에서 EV 경우의 인버터의 영역에서의 엔진 속도는 0 이상 1250 이하이고 발전기의 토크는 0에서 356 이하이며, 이러한 인버터의 영역에서 인버터의 효율은 85.93% ~ 95.98%이며, 효율 오차는 10.05% 이다.
본 발명의 도 2에서 전류센서(130)는 전력분배장치(150) 외부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서 전류센서(130)는 전력분배장치(150) 내부에 배치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상 인버터(120)의 스위칭 소자는 3상 각각(U, V, W)에 대한 입력선과 DC 링크 커패시터(125)의 제1 극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상단 스위칭 소자(S1, S2, S3) 및 3상 각각(U, V, W)에 대한 입력선과 DC 링크 커패시터(125)의 제2 극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하단 스위칭 소자(S4, S5, S6)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는 같은 상에 대한 입력선에 연결되고 U상에 대한 상단 및 하단의 스위칭 소자를 Sa, V상에 대한 상단 및 하단의 스위칭 소자를 Sb, W상에 대한 상단 및 하단의 스위칭 소자를 Sc로 표시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한 열 즉, Sa, Sb, Sc에 있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는 입력 전압의 위상에 따라 교번적으로 스위칭되어 DC 전류를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전력 측정장치에 포함된 인버터는 건설기계의 작업기에 사용되는 모터와 연결된 인버터와 동일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행부(20)의 주행부용 모터(2011)는 도 4의 발전기(110)에 대응할 수 있고, 주행부(20)의 주행부용 인버터(2012)는 도 4의 인버터(12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작업부(21)의 작업부용 모터(2111)는 도 4의 발전기(110)에 대응할 수 있고, 작업부(21)의 작업부용 인버터(2112)는 도 4의 인버터(120)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는 전력분배장치에서 분배되는 DC 전류(또는 전압)을 인가받고, 이를 교류 전류(또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를 주행부용 모터(2111) 및 작업부용 모터(2112)에 전달하여, 주행기(200) 및 작업기(210)가 각각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는 DC 링크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도 4의 DC 링크 커패시터(125)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시스템을 포함한 건설기계 차량의 하이브리드 전기동력시스템을 도시한 도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을 도시한 도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차량의 하이브리드 전기동력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포함된 전력분배시스템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기동력시스템의 계통도의 후반부, 즉 전력분배장치(150)와 주행부(20) 및 작업부(21) 간의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따라서, 발전부용 발전기(110), 발전부용 인버터(120), 전류센서(130), 제어부(140), 배터리(160), 및 배터리센서(170)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되며, 전력분배장치(150)와 주행부(20)와, 전력분배장치(150)와 주행부(20) 사이에 연결된 주행부용 모터 및 주행부용 인버터의 연결관계와, 전력분배장치(150)와 작업부(21)와, 전력분배장치(150)와 작업부(21) 사이에 연결된 작업부용 인버터 및 작업부용 모터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전력분배장치(150)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 작업부용 전력분배부(152), 주행부용 전력분배부(153), 및 접지용 전력분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분배장치(150)의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는 발전부용 인버터(120)에 연결되는 일단자 및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의 일단자와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의 일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다. 전력분배장치(150)의 작업부용 전력분배부(152)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 및 작업부용 구동기(211)의 일단자에 연결되는 타단자를 갖는다. 전력분배장치(150)의 주행부용 전력분배부(153)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 및 주행부용 구동기(201)의 일단자에 연결되는 타단자를 갖는다. 전력분배장치(150)의 접지용 전력분배부(154)는 주행부용 구동기(201)의 타단자 및 작업부용 구동기(211)의 타단자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부(21)는 2개의 작업기(210) 및 작업기(210)를 각각 구동하는 2개의 작업부용 구동기(2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작업부용 구동기(211)는 작업부용 모터(2111-1, 211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1, 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분배장치(150)의 작업부용 전력분배부(152)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에 연결되는 일단자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1, 2111-2)의 일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20)는 6개의 주행기(예를 들어, 감속기)(200) 및 주행기(200)를 각각 구동하는 6개의 주행부용 구동기(201)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행부용 구동기(201)는 주행부용 모터(2011-1 ~ 2011-6) 및 주행부용 인버터(2012-1 ~ 2012-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분배장치(150)의 주행부용 전력분배부(153)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에 연결되는 일단자 및 주행부용 인버터(2012-1 ~ 2012-6)의 일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부(21) 및 주행부(20)는 상이한 개수의 작업기(210) 및 주행기(200)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동기가 하나의 작업기 또는 하나의 주행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주행기(200)는 4축 구동을 위해 전륜에 4개 후륜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6개의 주행기(200)는 감속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주행기(200)의 경우에는, 2in1 기어 박스에 의해 2개의 주행부용 구동기(201)가 하나의 주행기(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분배장치(150)는, 발전부용 구동기(156)에 의해 생성/저장되는 발전전류 중 유효전력을 정확히 측정하고, 제어부(140)에 의해, 측정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160)와 전력소모/회생을 위한 주행기(200) 및 작업기(210)를 연결하여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발전부를 위한 초기충전부(155)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 및 주행부용 전력분배부(1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R), 초기충전저항(R)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R1), 및 초기충전저항(R)과 주행부용 전력분배부(153)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R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 및 작업부용 전력분배부(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1)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1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R), 초기충전저항(R)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R1), 및 초기충전저항(R)과 작업부용 전력분배부(152)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R2)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의 초기 동작 시에, 제1 릴레이(R1)는 개방 상태로 제어되고 제2 릴레이(R2)는 접속상태로 제어되어, 입력전류는 초기충전저항(R)을 통해 전달되며, 정상 동작시에는 제1 릴레이(R1)는 접속 상태로 제어되고 제2 릴레이(R2)는 개방 상태로 제어되어, 제1 릴레이(R1)를 통해 전달된다. 초기충전부(155-1, 155-2)는 초기충전저항(R) 및 릴레이(R1, R2)를 포함하여, 스위치로서의 역할(예를 들어, 차단스위치로서의 역할) 및 우회전력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예를 들어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 작업부용 인버터(2112)의 DC 링크 커패시터에 발생하는 초기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충전부(155, 155-1, 155-2)는 발전부, 작업부, 주행부에 각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는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201)를 통해 복수의 주행기(200), 예를 들어 6개의 주행기(200)에 연결될 수 있고,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는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211)를 통해 복수의 작업기(210), 예를 들어, 2개의 작업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201)에 포함된 복수의 주행부용 인버터(2012)가 하나의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에 연결되고,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211)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부용 인버터(2112)가 하나의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분배장치는 복수의 인버터를 위한 복수의 초기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초기충전부의 개수는 인버터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는 서로 다른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201) 세트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초기충전부(15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의 개수는 주행부용 인버터(2012)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211) 세트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초기충전부(15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의 개수는 작업부용 인버터(2112)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전력분배장치(150)가 주행부(20)를 위한 초기충전부(155-1) 및 작업부(21)를 위한 초기충전부(155-2)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장착되는 주행부용 인버터(2012) 및/또는 작업부용 인버터(2112)가 초기충전회로를 필요로 하는 지 여부를 별도로 고려하지 않고, 주행기(200), 작업기(210), 주행부용 인버터(2012), 작업부용 인버터(2112)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인버터에 공통의 초기충전회로(예를 들어, 주행부(20) 및 작업부(21) 각각을 위한 하나의 초기충전부(155-1, 155-2))를 배치함으로써, 전력분배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발전부용 초기충전부(155),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는 그 전력의 발생형태, 노이즈, 사용부하 등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1, 155-2) 중 동일한 것에 연결된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인버터(2012, 2112)의 DC 링크 커패시터의 물리적 특성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부용 초기충전부(155-1)에 연결된 6개의 주행부용 인버터(2012-1 ~ 2012-6)에 각각 포함된 6개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모두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2)에 연결된 2개의 작업부용 인버터(2112-1, 2112-2)에 각각 포함된 2개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모두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DC 링크 커패시터가 동일하여야 초기충전부(155-1, 155-2)를 통해 분배되는 전류가 균등히 분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1, 155-2)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인버터(2012, 2112)의 복수의 DC 링크 커패시터의 물리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면, 전류의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과전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초기충전부에 연결된 서로 다른 DC 링크 커패시터가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전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초기충전부(155-1, 155-2) 중 동일한 것에 연결된 주행부용 및 작업부용 인버터(2012, 2112)의 DC 링크 커패시터(125)의 물리적 특성이 동일하다면, DC 링크 커패시터(125)의 초기 충전은 각 인버터 개수 x 인버터 1개의 커패시턴스의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충전 시간(Tprecharge)은 이하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Tprecharge = -RC*ln(1-Vo/Vin)
여기서, R은 초기충전회로의 초기충전저항의 레지스턴스, C는 인버터의 커패시턴스, Vin는 초기충전회로의 입력 전압값, Vo는 초기충전회로의 출력 전압값(충전 전압값)일 수 있다. 상기 식으로 초기충전회로의 초기충전저항의 레지스턴스 값을 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은 발전부용 구동기에 의해 생성/저장되는 발전전류 중 유효전력을 정확히 측정하고, 측정된 유효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와 전력소모/회생을 위한 작업부용 구동기, 주행부용 구동기를 연결하여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발전부용 발전기 120: 발전부용 인버터
125: DC 링크 커패시터 130: 전류센서
140: 제어부 150: 전력분배장치
151: 주전원용 전력분배부 152: 작업부용 전력분배부
153: 주행부용 전력분배부 154: 접지용 전력분배부
155: 초기충전부 155-1: 주행부용 초기충전부
155-2: 작업부용 초기충전부 160: 배터리
170: 배터리센서 20: 주행부
21: 작업부 200: 주행기
210: 작업기 201: 주행부용 구동기
211: 작업부용 구동기
2011(2011-1 ~ 2011-6): 주행부용 모터
2012(2012-1 ~ 2012-6): 주행부용 인버터
2111(2111-1 ~ 2111-2): 작업부용 모터
2112(2112-1 ~ 2112-2): 작업부용 인버터

Claims (18)

  1.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주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각각은 주행부용 인버터 및 주행부용 모터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인버터 각각은 DC 링크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개수는 상기 주행부용 인버터의 개수보다 작은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
    상기 초기충전저항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초기충전저항과 상기 주행부용 구동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용 구동기의 초기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정상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전력분배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발전부용 초기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발전부용 초기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센서; 및
    상기 전력분배장치와 연결된 배터리의 배터리 잔존 충전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 및 상기 배터리 잔존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분배장치의 전력분배를 제어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9.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작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각각은 작업부용 인버터 및 작업부용 모터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인버터 각각은 DC 링크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DC 링크 커패시터는 동일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개수는 상기 작업부용 인버터의 개수보다 작은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초기충전저항;
    상기 초기충전저항에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초기충전저항과 상기 작업부용 구동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용 구동기의 초기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정상 동작 시에, 상기 제1 릴레이는 접속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릴레이는 개방상태로 제어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전력분배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발전부용 초기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와 상기 발전부용 초기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센서; 및
    상기 전력분배장치와 연결된 배터리의 배터리 잔존 충전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 및 상기 배터리 잔존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분배장치의 전력분배를 제어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7. 엔진에 의해 동작하는 발전부용 구동기의 발전부용 발전기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류를 출력하는 발전부용 인버터;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고, 건설기계의 주행부 및 작업부에 연결되어, 상기 DC 전류를 인가받아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장치; 및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을 연산하고,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작업부의 필요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를 통해 상기 발전부용 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주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행부용 초기충전부 및 상기 작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업부용 초기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분배장치는,
    상기 발전부용 인버터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일단자와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일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주전원용 전력분배부;
    상기 주행부용 초기충전부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일단자들에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주행부용 전력분배부;
    상기 작업부용 초기충전부의 타단자에 연결되는 일단자와,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일단자들에 연결되는 타단자들을 갖는 작업부용 전력분배부; 및
    상기 복수의 주행부용 구동기의 타단자들 및 상기 복수의 작업부용 구동기의 타단자들에 연결되는 접지용 전력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18. 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2개의 작업부용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6개의 주행부용 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6개의 주행부용 구동기는 각각 감속기와 연결되며, 2in1 기어 박스(2in1 gear box)에 의해 2개의 주행부용 구동기가 하나의 감속기에 연결될 수 있는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KR1020227044176A 2020-07-17 2021-07-15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KR20230017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608 2020-07-17
KR20200088608 2020-07-17
PCT/KR2021/009133 WO2022015086A1 (ko) 2020-07-17 2021-07-15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231A true KR20230017231A (ko) 2023-02-03

Family

ID=7955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176A KR20230017231A (ko) 2020-07-17 2021-07-15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7231A (ko)
WO (1) WO2022015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118A1 (ko) * 2022-03-14 2023-09-21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 차량의 회생제동 전력 분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766B1 (ko) * 1999-06-25 2005-01-24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건설 기계 및 그 제어 장치
JP3859982B2 (ja) * 2001-04-27 2006-1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の電力制御装置
KR100657473B1 (ko) * 2004-08-25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의 돌입전류 방지회로 및 방지방법
JP5220679B2 (ja) * 2009-04-20 2013-06-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作業機械及びハイブリッド型作業機械の制御方法
KR20140034547A (ko) * 2012-09-12 2014-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비성능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지게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5086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1561B (zh) 混合式工作机械及蓄电控制装置
US9008875B2 (en) Hybrid working machine and servo control system
CN102770605B (zh) 混合动力建筑机械的控制装置
KR20100115706A (ko) 하이브리드형 작업기계
CN105098868A (zh) 双电源系统以及电动车
CN103534918A (zh) 车辆的电源系统
CN101495356A (zh) 车辆的驱动装置
JP7039513B2 (ja) 電源システム
KR20140018335A (ko) 하이브리드 작업 기계 및 하이브리드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CN103094891B (zh) 电池保护装置
CN101327794A (zh) 一种履带式混合动力车辆的功率后向控制方法
KR20230017231A (ko)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전력분배시스템
US20140222274A1 (en) Hybrid excav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hybrid excavator
WO2011158088A2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295123A (ja) 車載用電源装置
EP3249115B1 (en) Hybrid construction machine
JP5550954B2 (ja) ハイブリッド型作業機械
JP5425721B2 (ja) ハイブリッド型作業機械
JP5178666B2 (ja) ハイブリッド型掘削機械
JP5385728B2 (ja) 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WO2021256762A1 (ko) 건설기계용 하이브리드 발전전력 측정시스템
JP2010193630A (ja) 蓄電制御装置及び作業機械
JP2015101290A (ja) 産業車両
JP2020198723A (ja) 蓄電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5277433B2 (ja) 電動車両の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