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068A -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068A
KR20230017068A KR1020210098831A KR20210098831A KR20230017068A KR 20230017068 A KR20230017068 A KR 20230017068A KR 1020210098831 A KR1020210098831 A KR 1020210098831A KR 20210098831 A KR20210098831 A KR 20210098831A KR 20230017068 A KR20230017068 A KR 2023001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unit
vehic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068A/ko
Priority to US17/804,831 priority patent/US20230030142A1/en
Priority to EP22178420.0A priority patent/EP4124491A1/en
Priority to CN202221637566.1U priority patent/CN217606500U/zh
Publication of KR2023001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8Frames or decora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부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OLED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한다.
플라스틱 OLED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내구성에 장점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era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의 AV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차량용 AV시스템에 적용시,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과, 특히, 차량용 AV시스템의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보는 것뿐만 아니라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화면부의 조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한 외력에 의해 쉽게 망가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부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디스플레이 롤러;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세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만큼 이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의 외경은 상기 지지롤러 외경보다 작다.
상기 지지롤러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 폭은 서로 근접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의 이격된 거리보다 좁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롤러부;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부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디스플레이 롤러;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세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서 상하방향으러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가로 지지대; 및 상기 가로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된 세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가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가 서로 면접촉된다.
상기 가로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화면부의 폭보다 짧거나 동일하다.
상기 세로 지지대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지지 몸체부;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탄성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롤러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날개부는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지지 몸체부에서 날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 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 지지 몸체부의 가운데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날개부는 사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 세로 지지대가 상기 지지롤러에 와인딩 되면,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지지 몸체부에 상기 날개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 방향으로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가 화면부의 후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화면부가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를 터치할 때, 화면부의 전체 영역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손가락에 의해 접하는 영역이 눌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날개부는 화면부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화면부가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를 터치할 때,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손가락으로 화면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부는 사용환경의 특성상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화면부가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날개부는 지지롤러가 경사부를 따라 가압하면서 와인딩 됨으로써, 지지롤러에 반듯하게 펼치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와인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100)과,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롤러부(2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300)과 롤러부(200) 및 구동부(400) 등 각종 구성들이 수용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좌우 방향인 폭이 긴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하우징(100)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각종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 패널(300)부가 선택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0)부가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10)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차량의 좌우 방향인 폭이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11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각종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 패널(300)부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한다.
즉,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패널(300)부는 관통공(110)을 통해 하우징(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 또는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롤러부(20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것으로서, 일단과 타단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서 폭 방향 일면과 타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롤러부(200)는 디스플레이 롤러(210) 및 지지 롤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롤러(210)는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서,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롤러(210)의 둘레에서 폭 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화면부(310) 하단이 결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롤러(210)는 구동부(4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동부(4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디스플레이 롤러(21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화면부(310)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한다.
지지롤러(220)는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롤러(220)의 둘레에서 폭 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지지부(320)를 이루는 세로 지지대(322) 하단이 결합된다.
또한, 지지롤러(220)는 구동부(4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동부(4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지지롤러(22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지지부(320)를 이루는 세로 지지대(322)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롤러(210)의 외경은 지지롤러(220) 외경보다 작고, 디스플레이 롤러(210)와 지지롤러(22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두께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210)와 상기 지지롤러(2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롤러(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롤러(2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롤러부(200)가 와인딩될 때, 디스플레이 롤러(2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화면부(3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지지부(320)를 이루는 가로 지지대(321)가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고. 지지롤러(22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지지부(320)를 이루는 세로 지지대(322)가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롤러(210)와 지지롤러(22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두께만큼 이격됨으로써, 지지부(320)를 이루는 가로 지지대(321) 및 세로 지지대(322)가 서로 견고하게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220)는 몸체부(221) 및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몸체부(22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롤러(2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돌출부(222)는 몸체부(221)의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감겨진 것으로서, 몸체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그리고, 돌출부(222)의 폭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돌출부(222) 중, 서로 근접한 한 쌍의 돌출부(222)의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 또는 하우징(100)으로 인입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인입될 때,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롤러부(200)에 와인딩되면서 인입된다.
그리고,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롤러부(200)로부터 언와인딩되면서 인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화면부(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화면부(310)는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AV 시스템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는 출력부로서,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한다.
또한, 화면부(310)는 ITO(Indium Tin Oxide)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다.
즉, 화면부(310)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터치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장착되는 오디오나 CD 플레이어 등 AV시스템의 볼륨(VOLUME) 조절, 전원 온/오프 및 주파수 동조(TUNING) 등과, 차량을 쾌적한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공조장치의 냉, 난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면부(310)는 ITO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면부(310)를 종이처럼 휘어짐과 동시에 터치기능을 할 수 있다면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화면부(310)는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배치된 하단이 디스플레이 롤러(210)의 둘레에서 폭 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화면부(310)는 디스플레이 롤러(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롤러(210)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화면부(310)는 바람직하게는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사용한다.
유기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Back Light)가 삭제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경량의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화면부(310)는 유기발광소자는 종이처럼 휘어지는 성능을 가짐으로써, 롤러부(200)에 용이하게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화면부(310)에서 엔진룸 방향인 후방에 배치된 것으로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하기 위해 화면부(310)를 가압할 때, 화면부(310)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하우징(100)의 관통공(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터치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화면부(310)가 가압되는 것을 지탱해준다.
이러한 지지부(320)는, 가로 지지대(321) 및 세로 지지대(322)를 포함한다.
가로 지지대(321)는,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스테인레스 스틸(SUS)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화면부(310)의 후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로 지지대(321)는 화면부(310)의 후면에서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즉, 가로 지지대(321)는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에 와인딩될 때, 화면부(310)에 후면에 함께 와인딩된다.
그리고, 가로 지지대(321)의 길이는 화면부(310)의 폭보다 짧거나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러 인해, 가로 지지대(321)는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화면부(310)의 전체 영역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손가락에 의해 접하는 영역이 눌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세로 지지대(322)는 고탄성 스테인레스 스틸(SUS)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로 지지대(321)의 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세로 지지대(322)는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손가락으로 화면부(3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세로 지지대(322)는 지지 몸체부(323)와, 날개부(324) 및 경사부(325)를 포함한다.
지 몸체부(323)는 세로 지지대(322)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가로 지지대(321)의 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 몸체부(323)는 지지롤러(220)가 배치된 하단이 지지롤러(220)의 둘레에서 폭 방향을 따라 띠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지지 몸체부(323)는 지지롤러(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롤러(220)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몸체부(323)는 화면부(310)와 동일하거나 화면부(310)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이 차실내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볼 때, 지지 몸체부(323)가 화면부(310)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날개부(324)는 다수개가 지지 몸체부(32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그리고, 날개부(324)는 고탄성의 스테인레스 스틸(SUS)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 몸체부(323)로부터 지지롤러(2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된다.
즉, 날개부(324)는 지지롤러(22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3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면, 지지 몸체부(323)로부터 지지롤러(22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날개부(324)는 화면부(310)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날개부(324)는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손가락으로 화면부(3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날개부(324)는 화면부(310)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환경의 특성상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화면부(310)가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날개부(324)는 평면상 지지 몸체부(323)에 날개부(324)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326)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지지롤러(220)가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날개부(324)를 가압할 때, 지지롤러(220)에 의해 날개부(324)가 상기 절개홈(326)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몸체부(323)의 가운데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날개부(324)는 사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세로 지지대(322)가 지지롤러(220)에 와인딩될 때, 다수개의 날개부(324) 중 지지 몸체부(323)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날개부(324)가 지지 몸체부(323)의 좌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325)는 날개부(324)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지지롤러(220)가 배치된 방향의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부(325)는 지지 몸체부(323)가 지지롤러(220)에 와인딩될 때, 지지롤러(220)에 가압되어 날개부(324)가 상기 절개홈(326) 방향으로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325)는 세로 지지대(322)가 지지롤러(220)에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지지롤러(220)가 경사부(325)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세로 지지대(322)에서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배치된 방향의 면은 화면부(310) 및 가로 지지대(321)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 인해, 세로 지지대(322)는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배치된 방향의 면과 지지롤러(220)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서로 가압됨으로써, 날개부(324)가 지지 몸체부(323)에 형성된 절개홈(326) 방향으로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다.
특히, 날개부(324)는 지지롤러(220)가 경사부(325)를 따라 가압하면서 와인딩 됨으로써, 지지롤러(220)에 반듯하게 펼치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세로 지지부(320)는 지지롤러(220)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서, 롤러부(20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부(400)는 디스플레이 롤러(210)와 지지롤러(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구동부(400)는 디스플레이 롤러(210) 및 지지롤러(220)를 각각 회선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롤러(210)가 화면부(310) 및 가로 지지대(321)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할 수 있고, 지지롤러(220)가 세로 지지대(322)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부(320)가 화면부(310)의 후면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화면부(310)의 전체 영역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손가락에 의해 접하는 영역이 눌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날개부(324)는 화면부(310)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화면부(310)가 디스플레이 롤러(210)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화면부(310)를 터치할 때,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손가락으로 화면부(3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4)는 사용환경의 특성상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화면부(310)가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관통공
200: 롤러부 210: 디스플레이 롤러
220: 지지롤러 221: 몸체부
222: 돌출부 300: 디스플레이 패널
310: 화면부 320: 지지부
321: 가로 지지대 322: 세로 지지대
323: 지지 몸체부 324: 날개부
325: 경사부 326: 절개홈
400: 구동부

Claims (16)

  1.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부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디스플레이 롤러;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세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만큼 이격된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의 외경은 상기 지지롤러 외경보다 작은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 폭은 서로 근접한 한 쌍의 상기 돌출부의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롤러부;
    외부로부터 출력 신호를 전달받아 각종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부 및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면부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부 및 상기 지지부의 가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디스플레이 롤러;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롤러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세로 지지대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면부의 후면에서 상하방향으러 다수개가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가로 지지대; 및
    상기 가로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된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가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가 서로 면접촉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화면부의 폭보다 짧거나 동일한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후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지지 몸체부;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탄성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 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롤러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된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지지 몸체부에서 날개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 방향으로 경사진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부의 가운데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날개부는 사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가 상기 지지롤러에 와인딩 되면,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지지 몸체부에 상기 날개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 방향으로 펼쳐지는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98831A 2021-07-27 2021-07-27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17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31A KR20230017068A (ko) 2021-07-27 2021-07-27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7/804,831 US20230030142A1 (en) 2021-07-27 2022-05-31 Rollab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EP22178420.0A EP4124491A1 (en) 2021-07-27 2022-06-10 Rollab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202221637566.1U CN217606500U (zh) 2021-07-27 2022-06-28 用于车辆的可卷曲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831A KR20230017068A (ko) 2021-07-27 2021-07-27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68A true KR20230017068A (ko) 2023-02-03

Family

ID=8202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831A KR20230017068A (ko) 2021-07-27 2021-07-27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30142A1 (ko)
EP (1) EP4124491A1 (ko)
KR (1) KR20230017068A (ko)
CN (1) CN217606500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78915B1 (ko) *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02019206935A1 (de) * 2019-05-14 2020-11-19 Audi Ag Anzeige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4491A1 (en) 2023-02-01
CN217606500U (zh) 2022-10-18
US20230030142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021B2 (en) Electronic device
KR102313066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CN107342019B (zh) 可卷曲显示装置
US10602623B1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tructures
KR102113963B1 (ko) 확장가능 모바일 디바이스
CN105096778B (zh) 显示设备
CN112967602B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KR101649097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5377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oth inflexible display screen and flexible display screen
US115536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5741683A (zh) 可卷曲显示装置
CN113454567A (zh) 包括防边框下垂结构的可折叠电子装置
US20130100596A1 (en) Televis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lide support mechanism
KR102392360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011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57877A1 (en) Feeling Applicator and Electronic Device
CN109994043B (zh) 显示装置
KR2015004476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120182B (zh) 柔性显示装置
KR20170081347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88487A (ko) 표시 장치
US20220187874A1 (en) Rollable mobile terminal
JP2019003233A (ja) 表示装置
US11726527B2 (en) Display device
CN114383011B (zh) 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