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037A -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 Google Patents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037A
KR20230017037A KR1020210098761A KR20210098761A KR20230017037A KR 20230017037 A KR20230017037 A KR 20230017037A KR 1020210098761 A KR1020210098761 A KR 1020210098761A KR 20210098761 A KR20210098761 A KR 20210098761A KR 20230017037 A KR20230017037 A KR 2023001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ll
pressure
sensitive paper
te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09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037A/ko
Publication of KR2023001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8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2038/002Measuring axial forces of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복수의 롤 사이로 투입되며, 복수의 롤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감압지, 및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감압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갭부와, 갭부를 통해 제1, 2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된 감압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ROLL PRESSURE DETECTION TEST DEVICE AND ELECTRICAL STEEL SHEET SURFACE TREATMENT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LC(Heat Flattening & Coating Line)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공정에서 러버 롤의 감압 테스트시 작업자의 수고를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기강판은 일반강과는 다른 기능성 제품으로 철손(Core loss)과 자속밀도(Flux Density, Magnetic Induction) 등의 전기적 특성이 가장 중요하며, 상대적으로 인장강도나 경도 같은 기계적 특성이나 내식성 등의 화학적 특성은 타제품에 비해 중요도가 낮은 편이다.
여기서, 철손은 자기의 통로로 작용하는 철심의 자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속밀도는 일정한 자화력, 즉 전기에너지를 받을 때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의 자력선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 쉽게 설명하면 동일한 전기에너지를 가했을 때 어느 정도의 자기에너지(즉, 자력선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특성이다.
전기강판은 적은 전기에너지로 높은 자기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전기에너지가 자기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 중 손실(즉, 철손) 등이 최소화되도록 만든 제품이다. 이러한 전기강판은 철에 규소(Silicon)를 일정량 첨가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규소강판(Silicon steel)이란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전기강판은 방향성 전기강판(Grain Oriented)과 무방향성 전기강판 (Non-Oriented)으로 구분된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특수한 공정을 거쳐 철판의 압연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조정하여 자기적 특성을 대폭 향상시킨 제품으로 주로 변압기에 사용될 수 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결정이 방향성을 띄지 않고 불규칙(Random)하게 배열된 제품으로 대형 발전기로부터 소형 정밀전동기까지 회전 기기의 철심(Core) 소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강판 제조공정은, 예비소둔, 냉간압연, 소둔(열처리), 및 절연코팅 공정을 포함한다.
예비소둔은 스케일 브레이커 및 염산탱크를 통해 열연소재 표면에 형성된 녹(Scale)을 제거한 후 열처리를 통해 냉간 압연성을 개선하며, 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냉간압연은 용도에 맞는 두께와 재질 확보를 위해 통상 40~90%의 압하율로 진행되며, 균일한 두께 및 형상 확보를 위해 자동 두께 제어기, 자동 형상 제어기 등의 기기가 이용되는 공정이다.
소둔(열처리)는 열처리를 통해 냉간압연 조직을 재결정 조직으로 바꾸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방향성 전기강판은 소재 내 탄소가 제거하고, MgO 코팅이 실시되는 탈탄소둔과, 압연방향으로 자기특성이 우수한 2차 재결정 조직을 형성시키는 고온소둔이 수행된다. 그리고 무방향 전기강판은 재결정과 절연 코팅이 실시된다.
절연코팅은 철심 제조 시 가공성 개선 및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속 코터(Coater), 즉 상하 롤을 이용하여 강판 상하 면에 절연 코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암갈색의 Forsterite(Mg2SiO4)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코팅과 인산염 베이스의 투명한 절연코팅으로 구성되며,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용도 및 요구 특성에 따라 코팅 두께, 성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강판 제조 공정 설비 중에서 HCL(Heat Flattening & Coating Line), 즉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에서의 상하 롤 사이에서 스트립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롤 교체 작업이 수행된 다음, 상하 롤의 선 접촉 여부, 수평 밸런스 확인이 필요하다.
종래의 경우,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상하 롤의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였는데, 일일이 작업자의 손을 롤 사이에 집어 넣어야 했었기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감압 테스트 시에 유발 가능한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롤 내부로 손을 넣지 않고서도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854호(2014.10.22. 공고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전기강판 코팅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개시된 선행문헌에는 롤 감압 테스트 시 안전 확보를 위한 구성 및 해결방안에 관하여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854호(2014.10.22. 공고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간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 확인을 위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간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 확인을 위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간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 확인을 위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복수의 롤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복수의 롤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감압지; 및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감압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갭부와, 상기 갭부를 통해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감압지는, 단변부와, 상기 단변부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장변부를 갖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단변부보다 작은 폭 크기를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은, 상기 감압지의 일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하며, 상기 갭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후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하부 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과 서로 평행을 이루며, 상기 감압지의 타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후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수평을 이루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롤 사이로 감압지를 투입할 때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롤 감압 테스트 공정 시 상하 배치된 복수의 롤 사이로 직접 손을 투입하지 않을 수 있어 공정 과정 중에 협착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보다 폭이 작으며,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복수의 롤 위치로부터 먼 거리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감압지를 복수의 롤 사이로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사이에서 등변사다리꼴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 감압 공정 시 복수의 롤 사이로 감압지를 투입하는 과정 중에 좌우 밸런스를 잘 유지하면서 감압지를 수평 상태로 복수의 롤 사이로 투입하여 감압지의 안정적인 투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의 전단은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연결몸체의 후단은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는 소정의 힘을 주어 각도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간의 각도 변화가 가능해 질 수 있는데, 이로써 상하 배치된 복수의 롤 사이로 감압지를 투입하기 위한 작업자의 자세 및 투입 방향 조절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손쉽게 조절 가능해 질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는 서로 착탈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 사용으로 인해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의 교체 사용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를 분리한 후 신품으로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갭부의 크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하부 면 사이의 높이에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갭부는, 상기 감압지가 먼저 삽입되는 갭 시작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갭 시작부는, 상기 갭부의 나머지 구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갭 시작부는 상기 갭부의 나머지 구간에 비해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갭부의 크기가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박형의 시트 형상을 갖는 감압지가 상기 갭 시작부를 시작으로 상, 하측의 마찰 없이 보다 손쉽게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갭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감압지의 표면은 물론 전체적인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 감압 테스트 공정 시 비교적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갭 시작부가 상기 갭부의 나머지 구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 전단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테이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테이퍼부에 의해 갭 시작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갭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박형의 시트 형상을 갖는 감압지는 상, 하측의 마찰이 억제된 상태로 보다 쉽게 갭 시작부로 삽입되어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갭부의 내측 끝까지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감압지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롤 감압 테스트 공정 시 비교적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에는 복수의 볼트체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은,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양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은,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후단보다 전단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이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후단보다 전단에 더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갭부로 일부가 삽입된 시트 형상을 갖는 감압지를 보다 앞쪽에서 밀착 고정할 수 있어 감압지의 투입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롤 사이로 보다 안정적으로 감압지를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볼트는,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을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갭부까지 체결 진입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갭부에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헤드부에는 날개 형상의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에는 논 슬립 방지를 위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논 슬립 방지 무늬는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즉, 감압지 표면을 눌러 고정하는 부위)에 특정 무늬, 예를 들어 요철, 격자 무늬, 선 무늬가 형성되어 감압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감압지의 슬립을 방지하여 감압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에는 변형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는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논 슬립 방지 기능을 확보함은 물론,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코팅 또는 결합시켜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가 감압지를 누를 때 감압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감압지의 변형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 방지부는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 쪽이 아니라, 이와 마주보는 반대 편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 중 상기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른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간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 확인을 위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는 제1 롤; 상기 제1 롤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롤; 상기 제1, 2 롤의 양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 및 상기 복수의 컬럼의 하단을 고정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롤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제1, 2 롤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감압지; 및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감압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갭부와, 상기 갭부를 통해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는 상기 제1, 2 롤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2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잔류하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분사장치를 더 포함한다. 분사장치는 액체를 분사하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측정 대상인 제1, 2 롤, 즉 압연 롤에 필요 시 액체를 분사하여 제1, 2 롤에 잔류하는 압연유를 제거 내지 건조시킬 수 있어, 제1, 2 롤에 잔류하는 압연유로 인한 롤 감압 테스트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간 선 접촉 여부 및 수평 밸런스 확인을 위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손이 상하 롤 사이로 투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롤 감압 테스트 작업 시 협착의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상에 감압지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의 측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강판 제조공정은, 예비소둔, 냉간압연, 소둔(열처리), 및 절연코팅 공정을 포함한다. 예비소둔은 스케일 브레이커 및 염산탱크를 통해 열연소재 표면에 형성된 녹(Scale)을 제거한 후 열처리를 통해 냉간 압연성을 개선하며, 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냉간압연은 용도에 맞는 두께와 재질 확보를 위해 통상 40~90%의 압하율로 진행되며, 균일한 두께 및 형상 확보를 위해 자동 두께 제어기, 자동 형상 제어기 등의 기기가 이용되는 공정이다. 소둔(열처리)는 열처리를 통해 냉간압연 조직을 재결정 조직으로 바꾸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방향성 전기강판은 소재 내 탄소가 제거하고, MgO 코팅이 실시되는 탈탄소둔과, 압연방향으로 자기특성이 우수한 2차 재결정 조직을 형성시키는 고온소둔이 수행된다. 그리고 무방향 전기강판은 재결정과 절연 코팅이 실시된다. 절연코팅은 철심 제조 시 가공성 개선 및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속 코터(Coater), 즉 상하 롤을 이용하여 강판 상하 면에 절연 코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암갈색의 Forsterite(Mg2SiO4)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코팅과 인산염 베이스의 투명한 절연코팅으로 구성되며,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용도 및 요구 특성에 따라 코팅 두께, 성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롤 상에 감압지가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10)는 제1 롤(20), 제2 롤(30), 복수의 컬럼(40), 및 베이스(50)를 포함한다.
제1 롤(20)은 압연 롤 중 하나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롤 부재를 말한다.
제2 롤(30)은 제1 롤(20)과 세트로 구성된 압연 롤 중 다른 하나로서, 제1 롤(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롤 부재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제1, 2 롤(20, 30)은 서로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높이만큼의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어 배치된다.
제1, 2 롤(20, 30)은 복수의 컬럼(40)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며, 필요에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복수의 컬럼(40)은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태 및 구조로 제1, 2 롤(20, 3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복수의 컬럼(4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을 말한다. 베이스(50)는 복수의 컬럼(40)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10)는 제1, 2 롤(20, 30), 컬럼(40), 베이스(50)와 함께 롤의 조절을 위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HCL(Heat Flattening & Coating Line), 즉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10)는 액체분사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액체분사장치(300)는 상기 제1, 2 롤(20, 30)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2 롤(20, 30) 중 적어도 하나에 잔류하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액체분사장치(300)는 액체를 분사하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액체분사장치(300)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탱크(미도시), 액체저장탱크에서 액체를 인출하여 상기 제1, 2 롤을 향해 액체를 분사하도록 액체를 이송하는 액체이송라인(미도시), 액체이송라인에 설치되어 액체의 유동을 개폐 조절하고,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 액체이송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2 롤을 향해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사장치(3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사장치(300)는 액체의 분사 방향을 필요에 따라 변경시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 롤(20, 30), 즉 압연 롤에 액체를 분사하여 롤에 잔류하는 압연유를 제거 내지 건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롤에 잔류하는 압연유로 인해 롤 감압 테스트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롤 감압 테스트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하 롤 사이에서 스트립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롤 교체 작업이 수행된 다음, 상하 롤의 선 접촉 여부, 수평 밸런스 확인이 필요함에 따라 롤 감압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10)의 경우, 롤 감압 테스트를 위해 감압지(200)와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압지(200)는 제1, 2 롤(20, 30)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이렇게 롤 사이로 투입된 감압지(200)는 제1, 2 롤(20, 30)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감압지(Prescale Film)(200)는 백색의 외관을 갖는 필름 소재로서,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의 정도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는 극히 얇은 시트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감압지(200)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가지는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변부(210)와, 단변부(210)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장변부(210)를 가진다(도 4 참조).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와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는 감압지(200)를 제1, 2 롤 사이에 투입하기 위해 작업자의 손을 롤 사이에 진입시키지 않고 감압지(200)의 안전한 투입을 위해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100)를 이용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10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갭부(130),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제1 플레이트(110)는 감압지(200)의 단변부(210)보다 작은 폭 크기를 가지며,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은 감압지(200)가 삽입될 때 감압지(200)의 하부 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감압지(200)가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제1 플레이트(110)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제2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플레이트(110)와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110)는 갭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2 플레이트(120)에 일단부가 접합(W)되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플레이트(120)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 및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는 제1 플레이트(110)와 마주하며, 갭부(1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된다.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는 제1 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하부 면은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과 서로 평행을 이루며, 감압지(200)의 타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후단에서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후단에서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와 수평을 이루어 일체로 연결되는데, 롤 사이로 감압지(200)를 투입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롤 감압 테스트 공정 시 상하 배치된 복수의 롤(20, 30) 사이로 작업자의 손을 직접 집어 넣지 않아도 되어 공정 과정 중에 협착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보다 폭이 작으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보다 긴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복수의 롤 위치로부터 먼 거리에서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를 파지한 상태로 감압지(200)를 복수의 롤 사이로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고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는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 사이에서 등변사다리꼴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 감압 공정 시 복수의 롤 사이로 감압지(200)를 투입하는 과정 중에 좌우 밸런스를 잘 유지하면서 감압지(200)를 수평 상태로 복수의 롤 사이로 투입하여 감압지(200)의 안정적인 투입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의 전단은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의 후단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는 소정의 힘을 주어 각도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가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 질 수 있다. 그 결과 롤 사이로 감압지(200)를 투입 시 작업자의 자세 및 투입 방향 조절이 편리해져, 보다 손쉽게 감압지(200)를 투입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는 서로 착탈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 사용으로 인해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의 교체 사용이 필요할 경우,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125)와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123)를 분리시킨 후 신품으로 교체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갭부(130)는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감압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틈새 공간을 말한다.
갭부(130)의 크기는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과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하부 면 사이의 높이에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갭부(130)는 감압지(200)가 먼저 삽입되는 갭 시작부(131)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갭 시작부(131)는 갭부(130)의 나머지 구간보다 크게 전방을 향해 벌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6 참조).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갭 시작부(131)는 갭부(130)의 나머지 구간에 비해 전방으로 갈수록 갭부(130)의 크기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얇은 시트(또는 필름) 형태의 감압지(200)가 갭 시작부(131)를 시작으로 제1, 2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서 상, 하측의 마찰 없이 쉽게 갭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감압지(200)의 표면은 물론 전체적인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 감압 테스트 공정 시 비교적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갭 시작부(131)가 갭부(130)의 나머지 구간보다 크게 형성되기 위하여, 제1 플레이트(110)에는 테이퍼부(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111)는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 전단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테이퍼부(111)가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 면 전단에 위치함에 따라, 갭 시작부(131)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갈수록 갭부(130)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그 결과, 감압지(200)는 상, 하측의 마찰이 억제된 상태로 보다 쉽게 갭 시작부(131)를 통해 갭부(130)의 내측 끝까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얇은 시트(또는 필름) 형태의 감압지(200)가 갭 시작부(131)를 통해 초기 진입 시 감압지(200) 표면 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롤 감압 테스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갭부(130)로 삽입된 감압지(200)를 제1, 2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 고정시키도록, 감압지(200)에 외력을 가하여 눌러 고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에는 복수의 볼트체결 홀(122)이 구비된다.
복수의 볼트체결 홀(122)은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양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볼트체결 홀(122)은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후단보다 전단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볼트체결 홀(122)이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의 후단보다 전단에 더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갭부(130)로 삽입된 시트 형상을 갖는 감압지(200)를 보다 앞쪽(즉, 갭 시작부(131)에 근접한 위치)에서 볼트(141)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감압지(200)의 투입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갭부(130)에 삽입된 감압지(200)의 고정 후 흔들림 또는 슬립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감압지(200)를 롤에 투입하여 롤 감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복수의 볼트(141)를 포함한다. 복수의 볼트(141)는 전술한 복수의 볼트체결 홀(122)을 통해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121)를 각각 관통하여 갭부(130)까지 체결 진입될 수 있다.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는 갭부(130)의 내부로 삽입된 감압지(200)를 눌러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헤드부(143)에는 날개 형상의 손잡이(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볼트(141)를 손쉽게 회전시켜 볼트체결 홀(122)을 통해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날개 형상의 손잡이(144)는 볼트(141)의 회전 량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갭부(13)의 내부에 삽입된 감압지(200)를 정해진 압력으로 눌러 고정시키되, 시트(또는 필름) 형태의 얇은 감압지(200)를 손상 및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롤 감압 테스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에는 논 슬립 방지를 위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논 슬립 방지 무늬는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즉, 감압지(200) 표면을 눌러 고정하는 부위)에 소정 무늬, 예를 들어 요철 무늬, 격자 무늬, 선 무늬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여 선단부(142)가 감압지(200)를 누른 상태에서 감압지(200)가 빠져 나오는 현상(즉,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에는 변형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변형 방지부는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논 슬립 방지 기능을 확보함은 물론,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코팅 또는 결합시켜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가 감압지(200)를 누를 때 감압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감압지(200)의 변형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 방지부는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 쪽이 아니라, 이와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110) 중 상기 선단부(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러버 등의 탄성소재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트(141) 각각의 선단부(142)가 감압지(200)를 누를 때 감압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감압지(200)의 변형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롤 감압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손이 상하 롤 사이로 투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롤 감압 테스트 작업 시 협착의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20: 제1 롤
30: 제2 롤
40: 컬럼
50: 베이스
100: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
110: 제1 플레이트
111: 테이퍼부
120: 제2 플레이트
121: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
122: 볼트체결 홀
123: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125: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
130: 갭부
131: 갭 시작부
140: 고정부재
141: 볼트
142: 볼트 선단부
143: 헤드부
144: 손잡이
200: 감압지
210: 단변부
220: 장변부
300: 액체분사장치

Claims (14)

  1.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의 복수의 롤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복수의 롤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감압지; 및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감압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갭부와,
    상기 갭부를 통해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지는,
    단변부와, 상기 단변부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장변부를 갖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단변부보다 작은 폭 크기를 가지며, 제1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은,
    상기 감압지의 일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하며, 상기 갭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후단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를 포함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하부 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과 서로 평행을 이루며, 상기 감압지의 타면이 대면하여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후단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제2 플레이트 연결몸체;
    를 더 포함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부의 크기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 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하부 면 사이의 높이에 대응하여 정해지며,
    상기 갭부는, 상기 감압지가 먼저 삽입되는 갭 시작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 시작부는,
    상기 갭부의 나머지 구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에는 복수의 볼트체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은,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의 양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볼트는,
    상기 복수의 볼트체결 홀을 통해 상기 제2 플레이트 전단몸체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갭부까지 체결 진입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가 상기 갭부에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헤드부에는 날개 형상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중 상기 복수의 볼트 각각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변형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감압 테스트 장치.
  13. 제1 롤;
    상기 제1 롤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롤;
    상기 제1, 2 롤의 양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 및
    상기 복수의 컬럼의 하단을 고정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롤 사이로 투입되며, 상기 제1, 2 롤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감압지; 및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적어도 일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감압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갭부와, 상기 갭부를 통해 상기 제1, 2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된 상기 감압지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감압지 클램핑 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롤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제1, 2 롤 중 적어도 하나에 잔류하는 압연유를 제거하는 액체분사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KR1020210098761A 2021-07-27 2021-07-27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KR20230017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61A KR20230017037A (ko) 2021-07-27 2021-07-27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61A KR20230017037A (ko) 2021-07-27 2021-07-27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37A true KR20230017037A (ko) 2023-02-03

Family

ID=8522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761A KR20230017037A (ko) 2021-07-27 2021-07-27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0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54B1 (ko) 2013-07-1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854B1 (ko) 2013-07-10 2014-10-22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코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09076A1 (en) Testing head of electronic devices
JP7231483B6 (ja) 金属材料の引張試験方法及び装置
US10768081B2 (en) Test device for thermal simulation tester
KR20230017037A (ko) 롤 감압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표면처리설비
CN104913866B (zh) 辅助射线衍射法测量薄板残余应力的方法、装置和应用
KR101360012B1 (ko) 반도체 컴포넌트의 압축 클램핑
KR101716803B1 (ko) 프로브 장치
US7147731B2 (en) Flanged parts producing method, and heat-treating device and heat treating method therefor
Ruszkiewicz et al. Direct electric current spot treatment’s effect on springback of 90 degree bent 2024-T3 aluminum
CN101943644B (zh) 一种检测金属耐腐蚀性能用弯曲施力支架及方法
CN205192663U (zh) 一种玻璃应力测试夹具
KR101652726B1 (ko) 소둔로의 코일 적치장치
CN106442114B (zh) 一种用于动态压缩试验的卸载保护装置
TWI471560B (zh) 平板剪力試驗裝置
JP2009295757A (ja) 保護テープ剥離方法と装置
Lee et al. Effect of board thickness on Sn-Ag-Cu joint interconnect mechanical shock performance
WO2023085023A1 (ja) 遅れ破壊評価用の治具、せん断端面の遅れ破壊評価方法、及び試験片
KR100899094B1 (ko) 소경 와이어링의 인장력 테스트 지그장치
WO2009014357A3 (en) Concentric buckling based vertical probe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102405172B1 (ko) 규소강판 잔류응력 제거용 소둔로 장치
CN211904488U (zh) 一种用于压力检测的活动式防护机构
CN219641135U (zh) 一种用于不同形状磁钢的测力工装
CN103785715B (zh) 适合各种尺寸金属板的调直检测设备
CN216696025U (zh) 绝缘点胶测试装置
CN206146726U (zh) 一种用于钢筋冷弯试验的安全辅助压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