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957A -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957A
KR20230016957A KR1020210098590A KR20210098590A KR20230016957A KR 20230016957 A KR20230016957 A KR 20230016957A KR 1020210098590 A KR1020210098590 A KR 1020210098590A KR 20210098590 A KR20210098590 A KR 20210098590A KR 20230016957 A KR20230016957 A KR 2023001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watt
terminal block
connection terminal
hou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필
지재열
위극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9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957A/ko
Publication of KR2023001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접속단자대, 상기 접속단자대의 양측에 인입구 배선 거치대, 상기 전력량계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 B상 단자, C상 단자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 부터 상기 A상 단자, B상 단자, C상 단자의 순서로 거리가 크며, 상기 B상 단자 및 C상 단자의 일측에는 각각 A상 전선, B상 전선, C상 전선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제공하여, 전력량계로 교체 공사시 추가적인 전선교체 대신 접속장치의 시공을 통해 시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전선과 전력량계 접속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CONNECTING DEVICE OF ELECTRIC POWER METER WITH TERMINAL BLOCKS}
본 발명은 전력량계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 전력량계에 있어서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한 장치로 구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력량계와 저압 전자식 전력량계(이하 '전압 전력량계'라 함)를 분류하고 있다.
저압 전력량계는 사용되는 계약전력에 따라 전류 값을 변류비에 비례하는 계기용 전류 값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성기가 조합되어 전력량계가 구분되며,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한 변성기부 전력량계 또는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단독 전력량계가 사용된다.
계약전력의 변경으로 변성기부 전력량계에서 단독 전력량계로 교체시공을 할 경우, 단독 전력량계를 기설 인입구배선에 시공해야 하므로 인입구 배선이 전력량계 단자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도체의 일부분을 절단 및 인입구 배선을 당겨서 전력량계를 부설해야한다.
그러므로 단독 전력량계로 교체공사를 해야 하는 경우, 종래 저압 전력량계 접속장치는 인입구 배선 길이 부족 및 도체 굵기 변경을 위해 추가적으로 전선교체 공사를 시행해야 하나 비용 등의 문제로 추가 전선교체 공사를 꺼려하고 있다. 만약 전선교체를 시행하지 않아 변성기부 전력량계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로 변류기를 설치해서 전력사용량을 계량하나, 이럴 경우 계량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도 1과 같이 종래 3상 4선식으로 저압 전력량계는 경우, 본체 내에 단자대, 전원측과 부하측을 연결하는 전선과 각 전선의 각 상에 설치된 변류기(CT) 등이 일괄 내장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력량계의 교환은 구조적으로 전선의 연결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전선으로 인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3828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변성기부 전력량계에서 단독 전력량계로 교체 시공시 추가적인 전선교체 대신 접속장치의 시공을 통해 시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전선과 전력량계 접속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개선된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의 순서로 거리가 크며, 상기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의 일측에는 각각 A상 전선, B상 전선 및 C상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 본원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제3 접속단자대 및 N상 접속단자대;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제3 접속단자대 및 N상 접속단자대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 B상 단자, C상 단자 및 N상 단자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 B상 단자, C상 단자 및 N상 단자의 순서로 거리가 크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 제2 접속단자대 및 제3 접속단자대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및 제3 터미널;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 B상 단자 및 C상 단자의 순서로 거리가 크다.
기존 저압 전력량계 교체 시공시 전력량계와 추가적인 전선의 교체 공사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적용할 경우 공사 범위가 전력량계 교체로 접속장치 시공만 수행하여 추가적인 전선 교체를 하지 고, 인입구 배선을 당기는 시공을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는 시공 구조가 개선되어 변성기부 전력량계에서 단독 전력량계로 교체 시공에도 전선과 전력량계 접속 안정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저압 전력량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전력량계(100)와 전력량계에 연결된 단자와 전선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터미널과 어뎁터 사이에 연결된 전선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접속단자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는 실시예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이으므로, 여기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계(10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로부터 형성된 접속단자대, 상기 접속단자대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인입구 배선 거치대, 상기 접속단자대 각각의 양측에 터미널이 위치하고, 상기 전력량계(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구 배선 거치대에 전선이 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전력량계(100)와 전력량계에 연결된 단자와 전선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상기 전력량계(100)의 하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단자로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가 위치하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의 순서로 거리가 크며, 상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의 일측에는 각각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C상 전선(432), 및 N상 전선(442)이 연결되어 있다.
접속단자대는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의 순서로 거리가 크다.
상기 A상 전선(412), 상기 B상 전선(422) 및 상기 C상 전선(432)에는 상기 접속단자대(210, 220, 230)에 형성된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를 각각 지나 전력량계에 연결되기 위해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를 지난 상기 A상 전선(412), 상기 B상 전선(422), 상기 C상 전선(432)의 일측에는 제1 터미널(610), 제2 터미널(620) 및 제3 터미널(630)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상 전선(412), 상기 B상 전선(422) 및 상기 C상 전선(432)에서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의 양측에 제1 터미널(610), 제2 터미널(620) 및 제3 터미널(630)이 위치한다.
상기 N상 전선(442)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단자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어 상기 제3 접속단자대(230) 하부에 위치하도록 만곡부가 형성되어 제4 터미널(6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N상 전선(442)은 상기 제3 접속단자대(230)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N상 접속단자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기 A상 전선(412), 상기 B상 전선(422) 및 상기 C상 전선(432)에서처럼, 상기 N상 접속단자대의 양측에 인입구 배선거치대가 위치하여 N상 전선(442)이 N상 접속단자대에 형성된 인입구 배선거치대를 거쳐 만곡부를 지나 전력량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터미널과 어뎁터 사이에 연결된 전선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형성된 전선으로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은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를 지나 상기 만곡부까지 연결되는 제1 직선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C상 전선(432) 및 N상 전선(442)는 상기 제1 직선부를 지나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520)로부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어뎁터(540)까지 제2 직선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터미널과 어뎁터 사이 연결된 전선에서 상기 제1직선부(510)와 상기 제2 직선부(530)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로부터 상기 제2 직선부(530)까지의 거리는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의 순서로 작아진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접속 단자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의 측면 단면도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의 각각에 Y자 형태의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 위치하고,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에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이 빠지지 않도록 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에서 접속단자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의 각각의 양측에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가 위치하고, 이러한 인입구 배선거치대 사이에 나사 체결홀(240)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 체결홀(240)을 통해 나사체결되어 접속단자대로 각각의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서는 전력량계(100)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가 위치하고, 각각의 단자 일측에는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C상 전선(432), 및 N상 전선(442)이 연결되어있는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N상 단자(440)를 제외하여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만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100 : 전력량계
210 : 제1 접속단자대
220 : 제2 접속단자대
230 : 제3 접속단자대
240 : 나사 체결홀
310 :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
320 :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
330 :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
410 : A상 단자
412 : A상 전선
420 : B상 단자
422 : B상 전선
430 : C상 단자
432 : C상 전선
440 : N상 단자
442 : N상 전선
510 : 제1 직선부
520 : 만곡부
530 : 제2 직선부
540 : 어뎁터
600 : 터미널
610 : 제1 터미널
620 : 제2 터미널
630 : 제3 터미널

Claims (8)

  1. 전력량계(10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의 순서로 거리가 크며,
    상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의 일측에는 각각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에는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를 지나 상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로 연결되기 위한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은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를 지나 상기 만곡부까지 연결되는 제1 직선부(5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은 상기 만곡부로부터 상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로 연결되는 제2 직선부(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부(510)와 상기 제2 직선부(530)는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로부터 상기 제2 직선부(530)까지의 거리는 A상 전선(412), B상 전선(422) 및 C상 전선(432)의 순서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7. 전력량계(100);
    상기 전력량계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제3 접속단자대(230) 및 N상 접속단자대;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제3 접속단자대(230) 및 N상 접속단자대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인입구 배선거치대(310), 제2 인입구 배선거치대(320) 및 제3 인입구 배선거치대(33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C상 단자(430) 및 N상 단자(440)의 순서로 거리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8. 전력량계(10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은 상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대칭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속단자대(210), 제2 접속단자대(220) 및 제3 접속단자대(230) 각각의 양측에 위치한 제1 터미널(610), 제2 터미널(620) 및 제3 터미널(630);
    상기 전력량계(100)의 단부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에 대해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가 위치하되, 상기 전력량계(100)의 중심선으로부터 A상 단자(410), B상 단자(420) 및 C상 단자(430)의 순서로 거리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KR1020210098590A 2021-07-27 2021-07-27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KR20230016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90A KR20230016957A (ko) 2021-07-27 2021-07-27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90A KR20230016957A (ko) 2021-07-27 2021-07-27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57A true KR20230016957A (ko) 2023-02-03

Family

ID=8522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90A KR20230016957A (ko) 2021-07-27 2021-07-27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05461A (zh) * 2024-02-29 2024-04-02 山东有宝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具备快速接线功能的抗震电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87B1 (ko) 2012-03-12 2012-04-24 박명애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05461A (zh) * 2024-02-29 2024-04-02 山东有宝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具备快速接线功能的抗震电表
CN117805461B (zh) * 2024-02-29 2024-05-03 山东有宝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具备快速接线功能的抗震电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222B2 (en) High density metering system
US7474088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7330022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4240059A (en) Current divider for a current sensing transducer
US8493059B2 (en) Shunt sensor and shunt sensor assembly
US7294997B2 (en) Electrical meter system with color coding features
US9995772B2 (en) Current measurement device and current calculation method
TWI458991B (zh) 電力量測裝置
KR20230016957A (ko) 접속단자대가 적용된 전력량계 접속장치
JP2005503565A (ja) グラジオメータによる電流検出器のための回路構成体及び当該回路構成体を備える検出器チップ
US6400130B2 (en) Primary current conductor configurations for a residential electronic meter
JP5859273B2 (ja) 分電盤
ATE306674T1 (de) Messschaltungsanordnung für elektrizitätszähler zum direkten anschluss
JP4514124B2 (ja) 電流検出器内蔵プラグユニット
JP5806586B2 (ja) コンセントユニット
JP7553018B2 (ja) 電流センサ及び電力量計
JP5036474B2 (ja) 電力量計
JP6471990B2 (ja) 導電バー、分電盤用キャビネットおよび分電盤
ES2346209T3 (es) Contador modular de electricidad.
CN219496493U (zh) 分流器及电子式电能表
JP2017058332A (ja) 電流センサ及び分電盤
US20240264205A1 (en) Current sensor device with an electric conductor and a magnetic sensor being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onductor
JP6260822B2 (ja) 分電盤用キャビネットおよび分電盤
JP2017017958A (ja) 電流センサ、およびそれを備えた分電盤
CN114778917A (zh) 抗磁场分流器、其电力仪表及其抗磁场分流器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