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784A -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784A
KR20230016784A KR1020210098216A KR20210098216A KR20230016784A KR 20230016784 A KR20230016784 A KR 20230016784A KR 1020210098216 A KR1020210098216 A KR 1020210098216A KR 20210098216 A KR20210098216 A KR 20210098216A KR 20230016784 A KR20230016784 A KR 2023001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on
filter
vision measurement
optomet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791B1 (ko
Inventor
최광진
김지현
김종완
장우찬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7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시, 원시 등 안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시야와 일치하는 카메라 필터가 씌워진 디스플레이를 제시하여 고르게하고, 그에 따라 안질환과 중증도 등 시력측정 검사결과를 도출하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Self-vision diagnosis system using big data and camera filter function, and vision measurement app construction and vision measurement method using optometry filter}
본 발명은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시, 원시 등 안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시야와 일치하는 카메라 필터가 씌워진 디스플레이를 제시하여 고르게하고, 그에 따라 안질환과 중증도 등 시력측정 검사결과를 도출하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기의 보급과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근무, 비대면 수업의 증가로 근시 발생률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한국은 2019년 10월 WHO 전 세계 시력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청소년 연령층에서 세계 최악 수준의 근시발생률이 있다고 보고되었고, 고도근시는 망막 박리, 녹내장과 같은 안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야외활동 시간을 늘리고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언과 다르게 현재 보건복지부에서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 장려책을 내놓지 않고 있고, 사실 이러한 교육 홍보 등의 장려책은 바쁜 현대인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에 한계가 있다. 이런 현 상황에서 착안하여 비대면으로 시력측정을 할 수 있게 만들자는 아이디어가 생겨 민간에서 여러 비대면 시력 측정 애플리케이션(applocatoin, 이하 '앱')을 만들었지만 개선사항이 많다.
현재 앱 마켓에 등록 되어있는 시력검사 앱들은 기존의 시력검사 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시력별로 여러 문자가 나열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일정거리에서 쳐다보고, 식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일정 이상 되어야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고, 근시의 측정만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앱을 실행시키고 스마트폰과 상당 거리를 두고 측정해야 하는 프로세스(Process)는 정확한 적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는 이용자에게 측정결과의 정확성에 대해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이용자의 흥미를 떨어트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04771(2016.01.14)호 "모바일 시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력 측정 방법(THE SYSTEM AND SYSTEM FOR INSPECTING VIS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시를 제외한 안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시력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시력 측정 시 정확한 거리측정 도구가 없어도 시력 측정을 가능하게 만들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력 측정 정확성을 높여 이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전국민의 눈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은,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있어서,
설문 응답 정보의 시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의 근시, 원시를 포함하는 기초시력미달자, 그리고 안질환 정보(백내장, 녹내장 포함) 를 갖는 안질환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를 모집하고,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포함)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도구(100)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요소 값 조절을 위한 하나의 기준 사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제 1 단계; 및
기준 사진 정보에 대한 요소값의 조절을 통한 개인의 시야와 카메라 필터를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의 각 분류에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평균값을 도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 이후,
일반화시킨 값을 다시 시각화하여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시력측정 앱의 정확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를 통한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시력측정필터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하여 시력측정도구(100)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한 시력측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은,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설문 응답 정보의 시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의 근시, 원시를 포함하는 기초시력미달자, 그리고 안질환 정보(백내장, 녹내장 포함) 를 갖는 안질환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를 모집하고,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포함)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도구(100)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요소 값 조절을 위한 하나의 기준 사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기준 사진 정보에 대한 요소값의 조절을 통한 개인의 시야와 카메라 필터를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의 각 분류에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평균값을 도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일반화시킨 값을 다시 시각화하여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시력측정 앱의 정확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를 통한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시력측정필터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은, 개발된 측정도구로 근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안질환의 측정이 가능해 타 비대면 시력측정도구보다 범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이용자 간의 적정거리를 측정할 필요가 없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기 때문에 접근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은, 빅데이터 기반으로 만들어진 카메라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시력측정도구로서 높은 수준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은, 이용자에게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안구건강운동 프로그램이나 전문의를 사용자에게 중개할 수 있고, 눈 건강 관련 제품을 판매하거나, 라식, 라섹 등 각종 눈 건강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간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은, 앱 개발, 사용 과정에서 얻은 빅데이터를 앱 사용자 혹은 관련 공공기관과 의료시설에 공개함으로써 전국민 눈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1)은 복수의 시력측정도구(100)로 이루어진 시력측정도구 그룹(100g), 네트워크(200),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 그리고 복수의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로 이루어진 안구 커뮤니티 서버 그룹(400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시력측정도구(100)에 의한 사용자의 시력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범용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카메라 필터 기능을 시력측정도구(100)의 시력측정 앱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빅데이터 정보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시력측정도구(100)는 안질환별, 중증 도수별 필터를 조절할 수 있는 스와이프 UI(User Interface)와 측정된 시력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 입력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일 예로, UI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과, 저장 버튼 입력부를 기원할 수 있는 터치모듈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시력측정도구(100)는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단말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1) 중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고, 도 2를 중심으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1) 및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 시력측정 정보 수집모듈(322), 시력측정 제공모듈(323), 커뮤니티 제공모듈(324) 및 측정결과 제공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은 시력측정도구(100)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Access)를 허용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액세스에 따라 시력측정 앱 데이터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 제공하여 설치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은 시력측정 앱의 구동에 따른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 회원가입 절차에 따라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시력측정도구(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함으로써, 회원 가입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은 로그인을 수행한 상태에서의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의 시력측정 앱의 최초 실행 시(도 3의 단계(S110) 참조)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 상으로 시력 관련 설문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도 3의 단계(S120a) 참조).
여기서,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이 제공하는 시력 관련 설문으로는 사용자의 눈과 눈건강에 관련된 설문으로, "본인이 알고 있는 시력 및 안질환, 시력에 악영향을 끼치는 습관, 복용중인 눈건강제품 등 조사"와 관련된 질문과 답안 작성 란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 앱으로 제공함으로써, 설문에 대한 모든 응답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의 자가시력 진단 앱 상으로 시력측정 선택 영역과, 눈과 눈건강에 대한 커뮤니티(안구 커뮤니티)로 입장하는 선택 영역을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정보 수집모듈(321)은 설문 응답 정보를 사용자 ID를 메타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시력측정 정보 수집모듈(322)은 설문 응답 정보의 시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의 근시, 원시 등에 대한 기초시력미달자, 그리고 안질환 정보(백내장, 녹내장 등) 를 갖는 안질환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를 모집하고,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도구(100)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 등의 요소 값 조절을 위한 하나의 기준 사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시력측정 정보 수집모듈(322)은 요소 값에 대한 각 조절 버튼 영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 제공하고 기준 사진의 초기 요소 값으로부터 각 조절된 요소 값의 조절 정보를 수신한 뒤,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해당하는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로 조절 정보를 정형적 데이터로 생성함으로써, 각 기준 사진 정보의 픽셀 단위로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 등의 요소 값의 조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시력측정 정보 수집모듈(322)은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의 각 분류에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 등의 평균값을 도출하고, 이를 다시 시각화 하여 필터로 구현해 내어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시력측정 정보 수집모듈(322)은 도 3과 같이 한편, 근시, 원시, 등 안질환자와 대조군 모집(S11), 심층 설문을 통한 데이터 수집(S12), 데이터 분석 및 일반화(S13), 데이터 시각화(S14) 및 카메라 필터를 이용한 시력측정도구(S15) 활용을 통해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시력측정 제공모듈(323)은 빅데이터 기반의 시력측정필터를 기반으로 시력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로그인이 수행된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 시력측정 버튼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시력측정도구(100) 상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에 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각각의 "시력측정필터"가 적용된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시력측정도구(100) 상의 스와이프 UI(User Interface)와 저장 버튼 입력 영역에 대한 저장을 통해 시력 측정 대상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상태정보와 시력측정도구(100)의 스크린 상에 "시력측정필터"가 적용된 영상 정보가 반영된 상태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매칭되는 시력측정필터 선택을 통해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와이프 UI(User Interface) 상의 좌우에 해당하는 왼쪽과 오른쪽으로 시력 측정 대상자가 터치스크린 상의 스와이프 이벤트를 통해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UI 화면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력측정 제공모듈(323)은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의 선택을 위해 시력 측정 대상자의 시야를 반영한 필터가 적용된 카메라가 제공되고, 이를 왼쪽 오른쪽으로 스와이프 하여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의 종류를 설정하고, 종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상하의 스와이프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된 시력측정도구(100)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중증도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조절된 "시력측정필터"가 적용된 카메라가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 제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사용자의 육안으로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비교해 가면 사용자에 맞는 시력측정필터를 최종적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필터에서 촬영 버튼에 해당하는 저장 버튼 입력부에 대한 입력 이벤트에 따라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 그리고 중등도 정보에 해당하는 시력측정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ID를 메타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커뮤니티 제공모듈(324)은 시력측정결과에 따라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로 구분된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의 URL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 ID 별 시력측정결과에 해당하는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 그리고 중등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결과에 따라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로 구분된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각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를 운영하는 종류에 따라 전문의와의 상담, 안구건강증진프로그램, 눈 건강 관련 제품 등 적절한 대처방안을 제안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제공모듈(324)은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의 URL 정보에 대한 시력측정도구(100) 상에서의 선택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측정결과, 눈 건강 관련 정보, 라식 라섹 등 시력개선에 관한 정보 등을 다양한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게시판 제공 기능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 또는 별도록 구비된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결과 제공모듈(325)은 시력측정결과에 해당하는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 그리고 중등도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력측정도구(100) 또는 별도록 구비된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결과 제공모듈(325)은 시력측정 앱 실행 시 시력 측정 대상자에 대해서도 제공된 설문과 시력측정필터로 얻은 시력측정결과 간의 비교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 시각화를 진행하여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종류로 구분된 안구 커뮤니티 서버(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설문 내역 중 불일치하는 내역 정보에 대한 제외 뿐만 아니라, 보조 설문 내역 중 일치하는 내역 정보에 대한 추가를 통해 정확도 개선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100 : 시력측정도구
100g : 시력측정도구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빅데이터 처리 서버
400 : 안구 커뮤니티 서버
400g : 안구 커뮤니티 서버 그룹

Claims (8)

  1.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에 있어서,
    설문 응답 정보의 시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의 근시, 원시를 포함하는 기초시력미달자, 그리고 안질환 정보(백내장, 녹내장 포함) 를 갖는 안질환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를 모집하고,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포함)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도구(100)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요소 값 조절을 위한 하나의 기준 사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제 1 단계; 및
    기준 사진 정보에 대한 요소값의 조절을 통한 개인의 시야와 카메라 필터를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의 각 분류에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평균값을 도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일반화시킨 값을 다시 시각화하여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시력측정 앱의 정확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를 통한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시력측정필터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하여 시력측정도구(100)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한 시력측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5.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등)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설문 응답 정보의 시력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력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의 근시, 원시를 포함하는 기초시력미달자, 그리고 안질환 정보(백내장, 녹내장 포함) 를 갖는 안질환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를 모집하고,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의 각 카테고리(근시, 원시, 백내장, 녹내장 포함)의 1가지의 정도의 단계 정보(제 1 내지 제 n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 또는 카테고리의 2가지 이상의 조합에 따른 가상 카메라 필터인 "시력측정필터"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시력측정 정보 수집 대상자에 해당하는 시력측정도구(100)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요소 값 조절을 위한 하나의 기준 사진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기준 사진 정보에 대한 요소값의 조절을 통한 개인의 시야와 카메라 필터를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기초시력미달자 및 안질환자 별, 그리고 중증도 별의 각 분류에서의 해상도, 선명도, 노이즈를 포함하는 평균값을 도출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일반화시킨 값을 다시 시각화하여 시력측정필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는,
    시력측정 앱의 정확성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빅데이터 처리 서버(300)를 통한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시력측정필터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KR1020210098216A 2021-07-27 2021-07-27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KR10261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16A KR102616791B1 (ko) 2021-07-27 2021-07-27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16A KR102616791B1 (ko) 2021-07-27 2021-07-27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784A true KR20230016784A (ko) 2023-02-03
KR102616791B1 KR102616791B1 (ko) 2023-12-20

Family

ID=8522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16A KR102616791B1 (ko) 2021-07-27 2021-07-27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7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95B1 (ko) * 2018-07-2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피아 인공지능 시야분석 방법 및 장치
CN112674714A (zh) * 2019-10-18 2021-04-20 北京爱诺斯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滤镜与外设结合的手机检影验光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95B1 (ko) * 2018-07-2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피아 인공지능 시야분석 방법 및 장치
CN112674714A (zh) * 2019-10-18 2021-04-20 北京爱诺斯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滤镜与外设结合的手机检影验光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04771(2016.01.14)호 "모바일 시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력 측정 방법(THE SYSTEM AND SYSTEM FOR INSPECTING V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791B1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1508B2 (en) Digital visual acuity eye examination for remote physician assessment
US20230118575A1 (en) Computerized refraction and astigmatism determination
CA2432326C (en) System and method for eye screening
JP4786119B2 (ja) 検眼システム、検眼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標準化方法
Surendran et al. Teleophthalmology in diabetic retinopathy
KR20070059107A (ko) 비전 센터 키오스크
Goh et al. Objective assessment of activity limitation in glaucoma with smartphone virtual reality goggles: a pilot study
KR10198327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833147B1 (ko) 자가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진단 장치, 진단 정보 제공 서버 및 진단 장치의 자가 진단 결과 제공 방법
Kasneci et al. Eye‐Tracking as a Tool to Evaluate Functional Ability in Everyday Tasks in Glaucoma
WO2020172203A1 (en) Self service refraction device and method
US202201602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Vision Acuity and/or Conducting Visual Field Tests in a Head-Mounted Vision Device
JP2000517442A (ja) 被験主体の呼出し、識別、自己試験および/または自己指導の自動管理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hen et al. Eye Gaze 101: w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uld know about selecting eye gaz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KR20190048144A (ko) 발표 및 면접 훈련을 위한 증강현실 시스템
CN108697389B (zh) 用于支持神经状态评估和神经康复的系统和方法,尤其是认知和/或言语功能障碍
US20230414093A1 (en) Enhanced vision screening using external media
KR102366251B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WO2024038134A1 (en) Methods and devices in performing a vision testing procedure on a person
KR20230016784A (ko) 빅데이터와 카메라 필터기능을 활용한 자가시력진단 시스템, 그리고 시력측정필터를 활용한 시력측정 앱 구축 및 시력측정 방법
Khizer et al. Personal computer-based visual field testing as an alternative to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EP4220282A1 (en) Determining a lens shape for producing an optical lens for an eye of a person
US20230210364A1 (en) Eye tracking system, eye tracking method, and eye tracking program
WO20222586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visual performance
JP2023071478A (ja) 指標化システム、指標化方法、及び指標化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