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88A -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 - Google Patents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6688A KR20230016688A KR1020227046066A KR20227046066A KR20230016688A KR 20230016688 A KR20230016688 A KR 20230016688A KR 1020227046066 A KR1020227046066 A KR 1020227046066A KR 20227046066 A KR20227046066 A KR 20227046066A KR 20230016688 A KR20230016688 A KR 20230016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harger
- data line
- pin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를 공개한다. 충전기는 Type-A 암 소켓, PD 충전 처리 유닛, 비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한다. Type-A 암 소켓은 제1 통신 핀을 포함하며, 제1 전환 유닛은 제1 통신 핀, 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각각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다고 확정할 경우, 제1 전환 유닛이 제1 통신 핀 및 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키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2 데이터 라인을 연결하거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2 충전 대상 장비를 연결한다고 확정할 경우, 제1 전환 유닛이 제1 통신 핀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킨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속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5월 29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 제202010479634.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속 충전 응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보통 전력 전송(Power Delivery, PD) 프로토콜을 사용해 고속 충전을 진행하는데,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충전기는 CC 신호선을 사용해 통신해야 하며,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는 이 충전기는 보통 제3 표준(Type-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Type-C to Type-C의 데이터 라인을 결합한다. 제1 표준(Type-A 또는 Standard-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충전기의 경우 D+/D- 신호선을 통해 통신하며 PD 프로토콜 충전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라인은 Type-A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데이터 라인이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 라인상의 Type-A 인터페이스가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하는 충전기 상의 Type-C 인터페이스와 매칭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은 Type-A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이 PD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충전기의 충전 인터페이스와 매칭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기는 Type-A 암 소켓, PD 충전 처리 유닛, 비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Type-A 암 소켓은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연결되는 제1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제1 충전기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상기 제4 통신 핀과 대응하는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이다.
제2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은 Type-A 수 커넥터,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A 수 커넥터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상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제2 전환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Type-A 수 커넥터는 제3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제1 통신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4 통신 핀 및 제1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통신 핀은 상기 제1 통신 배선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배선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상기 제1 CC 핀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2 충전기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제1 충전기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2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상기 제4 통신 핀과 대응하는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이다.
제3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충전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장비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는 제1 면에서 제공한 상기 충전기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면에서 제공한 상기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제1 통신 핀은 상기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는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상기 제1 CC 핀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충전을 진행하거나,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상기 제4 통신 핀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충전을 진행한다.
제4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면에서 제공한 상기 충전기에 응용되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기와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에 액세스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1 통신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상기 제1 통신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면에서 제공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응용되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에 액세스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2 통신 핀을 제1 CC 핀과 연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상기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상기 제2 통신 핀을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3 면에서 제공한 상기 충전 장비에 응용되는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어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7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4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제5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하거나, 또는 제6 측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8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4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제5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6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9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는 커플링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고 제4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5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6 면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되었다고 확정한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이 Type-A 암 소켓 중의 제1 통신 핀 및 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켜, 제1 통신 핀을 이용해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2 데이터 라인을 연결하거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2 충전 대상 장비를 연결했다고 확정한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이 Type-A 암 소켓 중의 제1 통신 핀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켜, 제1 통신 핀을 이용해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이로써, 제1 통신 핀과 PD 충전 처리 유닛이 연통된 상황에서 PD 고속 충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충전기가 Type-A 인터페이스를 통해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충전 장비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작동 흐름도 1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작동 흐름도 2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충전 장비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작동 흐름도 1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작동 흐름도 2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3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조합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해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특정한 순서 또는 앞뒤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데이터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기재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적절한 경우 교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및/또는"은 연결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인 관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조합해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손목 시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동시에 참조하면, 그 중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충전기(1)는 Type-A 암 소켓(11), PD 충전 처리 유닛(12),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및 제1 전환 유닛(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Type-A 암 소켓(11)은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연결되는 제1 통신 핀(111)을 포함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결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된다.
여기서,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1)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데이터 라인이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충전기(1)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1)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데이터 라인이고,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1)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은 충전기(1)과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4와 같은 데이터 라인(2)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동일한 시간에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은 제2 단, 제3 단 및 제4 단 중 하나와만 연결된다는 점이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즉, 충전기(1)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은 제3 단과 연통된다. 즉,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제1 통신 핀(111)을 연통시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상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충전기(1)가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환 유닛(15)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획득한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이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획득한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이 연통되고, 상기 제1 매칭 신호는 충전 대상 장비 또는 충전기(1)와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2)으로부터 획득된다.
응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충전기(1)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1)와 매칭되는 제1 데이터 라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매칭에 성공한 경우, 제1 통신 핀(111)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또는 PD 충전 처리 유닛(12)에 연결하고,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또는 PD 충전 처리 유닛(12)에 수신된 통신 정보에 따라 충전 대상 장비가 PD 통신 채널 또는 비PD 통신 채널을 선택한 것으로 확정해, 충전 대상 장비가 지원하는 상기 통신 채널을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데이터 마이너스(Data Minus, DM) 충전 통신 및 데이터 포지티브(Data Positive, DP) 충전 통신의 충전 처리 유닛과 같은 임의의 비P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통신 핀은 D+ 핀 또는 D- 핀일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술한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기존의 기타 비P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 또는 향후 등장할 수 있는 비P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1 사전설정 조건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핀(111)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1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에 성공한 경우;
상기 충전기(1)에 연결된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1)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여기서, 제1 매칭 신호가 데이터 라인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매칭 신호와 매칭에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충전기(1)와 매칭되는 제1 데이터 라인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제1 매칭 신호가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매칭 신호와 매칭에 성공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충전기(1)와 매칭되는 제1 충전 대상 장비라고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1)에 연결된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1)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충전 대상 장비는 PD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장비이며 PD 프로토콜 통신을 선택해 PD 고속 충전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2 사전설정 조건은 이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충전기(1)에 전원 및 데이터 라인이 연결된 후 사전설정 시간 내에 제1 통신 핀(111)이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제1 통신 핀(111)이 획득한 매칭 신호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1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지 않거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2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는 경우;
충전기(1)에 연결된 충전 대상 장비가 PD 프로토콜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충전기(1)에 연결된 충전 대상 장비와 충전기(1)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여기서, 상기 사전설정 시간은 3초, 5초 등일 수 있으며,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는 지연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충전 대상 장비 또는 데이터 라인이 신호 전송, 식별 및 구성 등의 과정에서 제1 통신 핀(111)이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칭 신호가 데이터 라인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상기 충전기(1)에 전원 및 데이터 라인이 연결된 후의 사전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통상적인 제2 데이터 라인이므로 충전기(1)에 제1 매칭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획득한 매칭 신호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1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지 않거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2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은 충전기(1)와 매칭되지 않는 제2 데이터 라인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제1 매칭 신호가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상기 충전기(1)에 전원 및 데이터 라인이 연결된 후의 사전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비PD 고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인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충전 장비는 상기 제2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통상적인 충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상적인 충전 과정은 선행기술의 통상적인 충전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핀(111)이 획득한 매칭 신호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1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지 않거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사전저장된 제2 사전설정 매칭 신호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비PD 고속 충전을 지원하며 비PD 고속 충전 기능을 선택해 충전을 진행하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인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전설정 매칭 신호는 제2 충전 대상 장비가 비PD 고속 충전 기능을 선택했을 때의 PD 충전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사전설정 매칭 신호는 충전 대상 장비가 비PD 고속 충전 기능을 선택했을 때의 비PD 충전 신호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제1 통신 핀이 D+ 핀 및 D- 핀 중 하나이고 충전기(1)상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이 이와 매칭되지 않는 제2 데이터 라인일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은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과 연통되고, D+ 핀 및 D- 핀 중 다른 하나는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된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1 매칭 신호 및 제2 매칭 신호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가 연결된 경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제2 매칭 신호를 생성하고 이와 연결된 제1 통신 핀(111) 및 제1 데이터 라인상의 제3 통신 핀(211) 등을 통해 상기 제2 매칭 신호를 제1 데이터 라인상의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전달하거나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에 전달한다. 충전기 매칭 유닛(24) 또는 충전 대상 장비가 상기 제2 매칭 신호에 응답해 제1 매칭 신호를 생성하고, 제1 통신 핀(111)을 통해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에 전달하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할 때 충전기(1)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이 이와 매칭되는 제1 데이터 라인이라고 확정하거나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가 PD 고속 충전 기능을 선택한 것으로 확정함으로써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을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매칭 신호 및 제2 매칭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도 있으며, 제1 전환 유닛(15)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전환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PD 충전 처리 유닛(12)은 CC 논리 컨트롤러 및 PD컨트롤러를 포함하며 CC 논리 컨트롤러와 PD컨트롤러는 연결된다.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12)이 제1 통신 핀(111)과 연통되면 CC 논리 컨트롤러는 제1 통신 핀(111)을 통해 CC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PD 컨트롤러는 CC 논리 컨트롤러가 수신한 CC 프로토콜 통신 정보에 따라 PD 고속 충전 기능을 실행해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한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도 4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이 전원 액세스를 검출한 경우, 제1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먼저 충전기(1)에 제1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충전기(1)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응답해 제2 매칭 신호를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피드백한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은, 구체적인 실시에서, 충전기(1)는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며 Type-A 암 소켓(11)에는 전원 버스(VBUS) 핀 및 접지(GND) 핀이 더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ype-A 암 소켓(11)에는 GND 핀, D+ 핀, D- 핀 및 VBUS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핀은 D+ 핀 및 D- 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듈, VBUS 핀 및 GND 핀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선행기술의 충전 모듈, VBUS 핀 및 GND 핀의 구조 및 작동 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되었다고 확정할 경우, 제1 전환 유닛이 Type-A 암 소켓 중의 제1 통신 핀 및 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켜, 제1 통신 핀을 이용해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충전기가 제2 데이터 라인을 연결하거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2 충전 대상 장비를 연결했다고 확정할 경우, 제1 전환 유닛이 Type-A 암 소켓 중의 제1 통신 핀 및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켜, 제1 통신 핀을 이용해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이로써, 제1 통신 핀과 PD 충전 처리 유닛이 연통된 상황에서 PD 고속 충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충전기가 Type-A 인터페이스를 통해 PD 프로토콜 충전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도 4와 같이 충전기(1)의 제1 처리 모듈(12)에 검출 유닛(16)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 유닛(16)은 충전기(1) 내의 전원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배선상의 전기신호값에 따라 충전기(1)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여기서, 충전기(1)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충전기(1)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매칭 신호는 상기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고, 충전기(1)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충전기(1)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1 매칭 신호는 상기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 유닛(16)과 충전기(1) 내의 전원 배선 연결은 검출 유닛(16)과 Type-A 암 소켓(11) 안의 VBUS 핀 연결일 수 있고, 충전기(1)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어 전원이 통하면 전류가 증가하는 등 전원 배선상의 전기신호가 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 유닛(16)은 전류가 사전설정 전류값보다 큰 것을 검출하면 충전기(1)가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것으로 확정해, 충전기(1)가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했을 때 제1 처리 모듈(12)이 제1 통신 핀(111)에 제1 매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검출을 시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출을 시작한 후 사전설정 시간 내에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검출을 정지하며,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통신 핀과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을 연통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 안에 제1 제어 유닛(17)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어 유닛(17)은 PD 충전 처리 유닛(12), 비PD 충전 처리 유닛(13),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제1 전환 유닛(15) 및 검출 유닛(16)과 각각 연결된다. 검출 유닛(16)이 충전기(1)가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것을 검출하면,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을 구동해 제1 통신 핀에 제1 매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검출하기 시작한다. 사전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을 구동해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대해 매칭을 진행하고,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매칭한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을 구동해 제1 통신 핀과 PD 충전 처리 유닛(12)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PD 충전 처리 유닛(12)을 구동해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고속 충전을 진행한다. 또는,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매칭한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을 구동해 제1 통신 핀과 비PD 충전 처리 유닛(12)을 연통시키는 동시에 비PD 충전 처리 유닛(12)을 구동해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충전을 진행한다.
본 실시방식에서, 검출 유닛(16)을 통해 전원 배선상의 전기신호를 검출해, 충전기(1)가 전원에 연결되었는지 여부 및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도 4와 같이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151)의 제1 단은 제1 통신 핀(111)과 연결되고, 제1 스위치(151)의 제2 단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연결되고, 제1 스위치(151)의 제3 단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된다.
제2 스위치(152)의 제1 단은 제1 통신 핀(111)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152)의 제2 단은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결된다.
여기서,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1 스위치(151)의 제1 단이 제1 스위치(151)의 제2 단 및 제3 단과 차단되고, 제2 스위치(152)는 닫힌다.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1 스위치(151)의 제1 단과 제1 스위치(151)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제1 스위치(151)의 제1 단과 제1 스위치(151)의 제2 단은 차단되고, 제1 스위치(14)는 차단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는 삼극관 또는 MOS관 등과 같이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일 수 있고, 제1 통신 핀(111)상의 전기신호값이 변하면 제1 스위치(151)및 제2 스위치(152)는 제1 통신 핀(111)상의 전기신호값에 따라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또한,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1 충전 처리 모듈(12)은 제1 제어 유닛(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유닛(17)은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가 제1 제어 유닛(17)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본 실시방식에서는 제1 전환 유닛(15)을 2개의 스위치로 설치함으로써 제1 전환 유닛(15)의 구조 및 제어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D+/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이다. Type-A 암 소켓(11)은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되는 제2 통신 핀(112)을 더 포함한다. 제1 통신 핀(111)은 제1 D+ 핀 및 제1 D- 핀 중 하나이고, 제2 통신 핀(112)은 상기 제1 D+ 핀 및 상기 제1 D- 핀 중 다른 하나이다.
본 실시방식에서,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D+ 핀 및 D- 핀을 통해 비PD 충전 프로토콜에서의 통신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D+ 핀 및 D- 핀이 DM 및 DP 충전 통신을 진행하는 구체적인 원리와 과정은 선행기술 중 DM 및 DP 충전 통신의 구체적인 원리 및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환 유닛(15)이 제1 통신 핀(111) 및 PD 충전 처리 유닛(12)을 연통시키거나 연통시키지 않는 상황에서, 제2 통신 핀(112)은 항상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1 통신 핀(111) 및 PD 충전 처리 유닛(12)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통신 핀(111)을 DM/DP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함으로써 DM/DP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 핀(111)과 PD 충전 처리 유닛(12)이 연통되는 경우 DM/DP 충전 채널이 연통되지 않으며, 실시예에서는 충전 대상 장비의 선택에 따라 PD 충전 채널 또는 DM/DP 충전 채널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제1 ID 식별 서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충전기(1)가 제1 제어 유닛(17)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제어 유닛(17)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및 제1 전환 유닛(15)과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제어 유닛(17)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통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했거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사전설정 시간 내에 제1 통신 핀(111)을 통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했을 때,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연통시키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제1 매칭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는 연결되면서 충전 대상 장비와는 연결되지 않은 제1 데이터 라인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한다.
제1 제어 유닛(17)은 또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통해 제1 PD 충전 신호를 획득하면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은 연통시키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제1 PD 충전 신호는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기(1)와 연결된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1 매칭 신호 및 제1 PD 충전 신호가 상기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유닛(17)에 송신한다.
제1 제어 유닛(17)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해,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이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이 제1 통신 핀(111)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1 매칭 신호 또는 제1 PD 충전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제2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유닛(17)에 송신한다.
제1 제어 유닛(17)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해,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1 제어 유닛(17)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MCU)과 같은 임의의 논리 제어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논리 제어 유닛(15)은 PD 충전 처리 유닛(12),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도 연결되어 PD 충전 처리 유닛(12)을 제어해 PD 충전 논리 처리를 진행하거나,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을 제어해 비PD 충전 논리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D 인식 유닛은 충전기(1)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에 대해 신분 식별을 진행하는 데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제1 통신 핀(111)에서 획득한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 신분을 식별해,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1)와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인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1)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1)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또한, 충전기(1) 및 데이터 라인에 대해 매칭을 진행한 후 충전 대상 장비의 충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신호 안에는 충전 대상 장비가 선택한 충전 프로토콜을 휴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 장비가 PD 충전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충전기(1)가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경우 PD 충전 채널을 연통시킨다. 즉, 제1 통신 핀과 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킨다. 충전 대상 장비가 비PD 충전 프로토콜을 선택한 경우에는 비PD 충전 채널을 연통시킨다. 즉, 제1 통신 핀과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ID 식별 유닛을 통해 충전기(1)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에 대해 신분 식별을 진행해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1)와 매칭되는 데이터 라인인지 여부를 확정하고, 매칭 결과를 제1 제어 유닛(17)에 전달해 제1 제어 유닛(17)의 제어 논리에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충전기(1)와 제1 데이터 라인(2)이 연결된 상황에서 제1 제어 유닛(17)이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이 연통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뒤이어 상기 충전 신호에 따라 제1 전환 유닛(15)의 연결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의 충전 신호를 수신한다.
도 5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를 포함하는 이하 충전 장비의 구체적인 작동 순서 흐름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충전 장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01: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단계 502: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에 액세스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3 또는 단계 504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가 액세스한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되는 경우 단계 503을 실행하고, 충전기가 액세스한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단계 504를 실행한다.
단계 503: 데이터 라인 중 충전기 매칭 유닛에서 송신된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충전기 매칭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피드백한다.
여기서, 제2 매칭 신호 피드백에 성공한 경우 단계 505를 실행한다.
단계 505: 제1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4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3 단을 연통시키도록 제어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충전 장비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제1 전환 유닛이 제1 단 및 제3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단 및 제2 단을 연통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 제2 전환 유닛이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전환 유닛은 제5 단 및 제6 단도 연통시킨다.
이 때, 충전기 중의 비PD 프로토콜 충전 채널은 연통되고 PD 프로토콜 충전 채널은 연통되지 않는다.
단계 506: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7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단계 507: 충전 대상 장비가 표준 장비인지 판단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표준 장비는 표준 고속 충전 프로토콜(비PD 충전 프로토콜)의 충전 방식을 지원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08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509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08: 비PD 고속 충전을 실행한다.
단계 509: 제1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2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4 단을 연통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단계에서 제2 전환 유닛이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전환 유닛은 제5 단 및 제6 단을 차단하기도 한다.
단계 510: PD 통신을 실행한다.
단계 511: PD 통신에 성공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1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513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512: PD 고속 충전을 실행한다.
단계 513: 제1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4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3 단을 연통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단계에서 제2 전환 유닛이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전환 유닛은 제5 단 및 제6 단도 연통시킨다.
본 단계 이후, DP/DM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충전 대상 장비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따라 구체적인 충전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 504: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514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단계 514: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다.
단계 515: 제1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4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및 제3 단을 연통시키도록 제어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충전 장비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제1 전환 유닛이 제1 단 및 제3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은 제1 단 및 제2 단을 연통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 제2 전환 유닛이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전환 유닛은 제5 단 및 제6 단도 연통시킨다.
단계 516: DP/DM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충전 대상 장비의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정보에 따라 구체적인 충전 방식을 확정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라인을 더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라인(2)은 Type-A 수 커넥터(21), Type-C 인터페이스(22), 상기 Type-A 수 커넥터(21)와 Type-C 인터페이스(22)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23)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23)상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24) 및 제2 전환 유닛(25)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Type-A 수 커넥터(21)는 제3 통신 핀(211)을 포함하고, 전선(23)은 제1 통신 배선(231)을 포함하고, 제1 통신 배선(231)의 제1 단은 제3 통신 핀(211)을 연결하고, Type-C 인터페이스(22)는 제1 CC 핀(221) 및 제4 통신 핀(222)을 포함한다.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은 제1 통신 배선(231)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은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연결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은 제4 통신 핀(222)과 연결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은 제1 CC 핀(221)과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2 충전기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2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1 충전기이고,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제1 충전기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다.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21)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2 충전기이고,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이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제1 충전기는 데이터 라인(2)과 매칭되는 충전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충전기(1)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동일한 시간에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은 제2 단, 제3 단 및 제4 단 중 하나와만 연결된다는 점이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예: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라인(2)이 연결된 충전기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지 않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등),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은 제2 단과 연통된다. 즉, 충전기 매칭 유닛(24)과 제3 통신 핀(211)을 연통시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상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 라인(2)이 제1 충전기 및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획득한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이 연통되고,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획득한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이 연통되고, 상기 제2 매칭 신호는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되는 충전 대상 장비 또는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되는 제1 충전기(1)로부터 획득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사전설정 조건은 위 충전기 실시예 중 제1 사전설정 조건과 대응하고, 상기 제4 사전설정 조건은 위 충전기 실시예 중 제2 사전설정 조건과 대응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은 도 1,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기(1)와 연결된 상황에서 제1 통신 배선을 CC 통신 배선 및 D+/D- 통신 배선 안에서 전환해, PD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서는 PD 고속 충전을 진행하고, PD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서는 비PD 프로토콜 충전을 진행한다. 또한, 데이터 라인(2)은 매칭되지 않는 기타 충전기와 연결될 경우 비 PD 프로토콜 충전 채널만을 제공해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프로토콜 충전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Type-C 인터페이스(22)는 제2 CC 핀(223)을 더 포함하고, 전선(23)상에는 제1 저항(233)이 더 설치되어 있고, 제1 저항(233)의 제1 단은 전선(23) 안의 VBUS 배선(232)과 연결된다. 제2 전환 유닛(25)은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며, 제2 전환 유닛(25)의 제5 단은 제1 저항(233)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6 단은 제2 CC 핀(223)과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25)의 제5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25)의 제6 단은 연결이 끊기고,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2 충전기 또는 상기 제2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25)의 제5 단은 제2 전환 유닛(25)의 제6 단과 연통된다.
또한, 디폴트 상황에서(예: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라인(2)이 연결된 충전기가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지 않는 충전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등)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을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5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6 단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저항(233)을 풀업 저항으로 사용해 제2 CC 핀(223)을 VBUS 배선(232)과 연결될 때까지 풀업한다. 이렇게 데이터 라인(2)이 전원에 연결된 경우, 제2 CC 핀(223)을 이용해 VBUS 배선(232)을 충전 대상 장비상의 CC 핀에 연결해 비PD 충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제2 CC 핀(223)이 풀업 저항을 통해 VBUS 배선(232)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종래기술의 Type-C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지닌다는 점이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본 실시방식에서, 데이터 라인(2)이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25)의 제5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6 단의 연결이 끊겨, 제2 CC 핀(223)과 VBUS 배선(232) 사이의 연결 관계를 끊고 제1 CC 핀(221)을 제1 통신 배선(231)과 연통시킴으로써, 제1 CC 핀(221) 및 제1 통신 배선(231)을 이용해 CC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해 PD 고속 충전 기능을 지원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제2 전환 유닛(25)은 제3 스위치(251) 및 제4 스위치(252)를 포함한다.
제3 스위치(251)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배선(231)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251)의 제2 단은 충전기 매칭 유닛(242)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251)의 제3 단은 제4 통신 핀(222)과 연결되고, 제3 스위치(251)의 제4 단은 제1 CC 핀(221)과 연결된다.
제4 스위치(252)의 제1 단은 제1 저항(233)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제4 스위치(252)의 제2 단은 제2 CC 핀(223)과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제3 스위치(251)의 제1 단은 상기 제3 스위치(251)의 제4 단과 연통되고, 제4 스위치(252)의 제1 단과 제4 스위치(252)의 제2 단은 연결이 끊긴다. 데이터 라인(2)이 상기 제2 충전기 또는 상기 제2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제3 스위치(251)의 제1 단은 제3 스위치(251)의 제3 단과 연통되고, 제4 스위치(252)의 제1 단은 제4 스위치(252)의 제2 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3 스위치(251)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Oxide Semiconductor, MOS 관)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제어 스위치일 수 있다. 물론, 단극 삼투 스위치와 같은 디지털 신호 제어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상응하는 제4 스위치(252)도 아날로그 신호 제어 스위치 또는 디지털 신호 제어 스위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3 스위치(251) 및 제4 스위치(252)가 디지털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인 경우, 제2 처리 모듈(24)에 제2 제어 유닛(26)을 설치해 제2 제어 유닛(26)을 통해 상응하는 디지털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3 스위치(251) 및 제4 스위치(252)를 제어해 스위치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 작동 원리는 제1 제어 유닛(17)이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를 제어하는 작동 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2 전환 유닛(25)을 제3 스위치(251) 및 제4 스위치(252)로 설치하면 제2 전환 유닛(25)의 구조 및 제어 원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은 제2 ID 식별 서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전선(23)상에는 제2 제어 유닛(26)이 더 설치되어 있고, 제2 제어 유닛(26)은 충전기 매칭 유닛(24) 및 제2 전환 유닛(25)과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제어 유닛(26)은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했거나 사전설정 시간 내에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했을 때,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은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제2 매칭 신호는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된 제1 충전기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한다.
제2 제어 유닛(26)은 또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4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제2 PD 충전 신호를 획득하면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은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제2 PD 충전 신호는 데이터 라인(2)과 제1 충전기가 연결되면 데이터 라인(2)과 연결된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2 매칭 신호 또는 상기 제4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2 PD 충전 신호가 상기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식할 경우, 제3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유닛(26)에 송신한다. 제2 제어 유닛(26)은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해,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이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도록 구동한다.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2 매칭 신호 또는 상기 제4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상기 제2 PD 충전 신호가 상기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식할 경우, 제4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유닛(26)에 송신한다. 제2 제어 유닛(26)은 상기 제4 제어 신호에 응답해,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이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지 않는 제2 충전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2)상의 제3 통신 핀(211)은 데이터 신호를 획득할 수 없거나 매칭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할 수 없어, PD 충전 프로토콜 채널이 차단되어 비PD 프로토콜 충전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2 ID 식별 유닛이 제3 통신 핀(211)을 거쳐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데이터 라인(2)이 매칭되는 제1 충전기(1)와 연결된 것으로 확정해 먼저 비PD 충전 프로토콜을 연통시킬 수 있다. 실시에서는 비PD 충전 프로토콜 채널을 기반으로 하는 충전 대상 장비의 통신 결과에 따라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충전 또는 DM/DP 충전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응하는 통신 채널을 연통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2 ID 식별 유닛과 제3 통신 핀(211)이 연통되어 제3 통신 핀(211)과 제1 CC핀(221)이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CC 경로를 통해 CC 핸드쉐이킹 프로토콜 통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통신 핀(211)에 대해 피드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C 경로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ID 식별 서브 유닛에 상기 제1 매칭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데이터 라인(2)이 전원 액세스를 검출한 경우, 데이터 라인(2)의 충전기 매칭 유닛(24)이 먼저 충전기(1)에 제1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충전기(1)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은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응답해 제2 매칭 신호를 충전기 매칭 유닛(24)에 피드백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Type-A 수 커넥터(21)는 제2 D+ 핀 및 제2 D- 핀을 포함하며, 제3 통신 핀(222)은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2 D- 핀 중 어느 하나이다. Type-C 인터페이스(22)는 제3 D+ 핀 및 제3 D-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4 통신 핀(223)은 상기 제3 D+ 핀 및 상기 제3 D- 핀 중 제3 통신 핀(222)과 대응하는 하나이다. 전선(23)은 D+ 배선 및 D- 배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3 D+ 핀은 각각 상기 D+ 배선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3 D- 핀은 각각 상기 D- 배선의 양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2 D- 핀은 상기 충전기 안의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된다.
본 실시방식에서, 비PD 충전 처리 유닛(13)은 D+/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이며, 제2 처리 모듈(12)을 통해 D+ 배선 및 D- 배선 중 하나의 기능을 전환해, 제1 CC 핀과 연결되면 CC 통신 배선으로 사용하고, 제4 통신 핀과 연결되면 DP/DM 통신 배선으로 사용한다. 이로써 Type-A 수 커넥터(21)에 CC핀을 추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23)에 CC 배선을 추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라인의 배선 구조를 간소화하고 Type-A 수 커넥터(21)의 실용성도 높였다.
설명해야 할 점은, 실제 응용에서, Type-A 수 커넥터(21)의 구조 및 각 핀의 분포 위치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ype-A 암 소켓(11)의 구조 및 각 핀의 분포 위치와 서로 대응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Type-A 수 커넥터(21) 안에 VBUS 핀, GND 핀, D+ 핀 및 D-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도록 전선(23) 안에도 VBUS 배선, GND 배선, D+ 배선 및 D- 배선을 포함할 수 있고, Type-C 인터페이스(22) 안에도 상응하게 VBUS 핀, GND 핀, D+ 핀 및 D- 핀을 포함할 수 있다. VBUS 배선의 양단은 각각 Type-A 수 커넥터(21) 안의 VBUS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 안의 VBUS 핀을 연결한다. GND 배선의 양단은 각각 Type-A 수 커넥터(21)의 GND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 안의 GND 핀을 연결하고, D+ 배선의 양단은 각각 Type-A 수 커넥터(21) 안의 D+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 안의 D+ 핀을 연결하고, D- 배선의 양단은 각각 Type-A 수 커넥터(21) 안의 D- 핀 및 Type-C 인터페이스(22) 안의 D- 핀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상기 Type-A 수 커넥터(21)에는 GND 핀, D+ 핀, D- 핀 및 VBUS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핀 및 제3 통신 핀이 D+ 핀인 상황에서, Type-A 수 커넥터(21)가 Type-A 암 소켓(11)에 삽입된 경우, Type-A 수 커넥터(21) 안의 각 핀은 Type-A 암 소켓(11) 안의 각 핀과 일일이 대응되게 연결되며, 구체적인 대응 연결 관계는 아래 표 1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충전기와 연결될 때의 구체적인 작동 순서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충전 장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60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2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단계 602: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에 삽입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본 단계의 판단 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 603 또는 단계 604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본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가 액세스한 데이터 라인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2)인 경우 단계 603을 실행하고, 충전기가 액세스한 데이터 라인이 통상적인 데이터 라인인 경우 단계 604를 실행한다.
단계 603: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충전기에 송신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충전기가 제1 데이터 라인과 매칭되지 않는 제2 충전기인 경우 제2 충전기는 제1 데이터 라인에 제2 매칭 신호를 피드백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3 통신 핀상에서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제2 매칭 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605를 실행한다.
단계 605: 제2 전환 유닛을 제어해 제1 단과 제3 단을 연통시킨다.
설명해야 할 점은, 디폴트 상황에서는 제2 전환 유닛이 제1 단과 제2 단을 연통시킨다.
단계 604: 상기 충전 장비가 비PD 프로토콜 충전 채널을 연통시킨다.
설명해야 할 점은, 단계 604 또는 단계 605 이후, 충전기 및 데이터 라인 안의 비PD 프로토콜 충전 채널은 연통되고 데이터 라인 안의 PD 프로토콜 충전 채널은 연통되지 않으며, 충전 대상 장비는 비PD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비와 통신하고 통신 내용에 따라 충전 방안을 확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의 구조도이다. 상기 충전 장비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1) 및 데이터 라인(2)을 포함하며, 제1 통신 핀(111)은 상기 제3 통신 핀(211)과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는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데이터 라인(2)이 충전기(1)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제1 전환 유닛(15)의 제1 단과 제1 전환 유닛(15)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제2 전환 유닛(25)의 제1 단과 제2 전환 유닛(25)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데이터 라인(2)이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제1 CC 핀(221)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충전을 진행하거나,
데이터 라인(2)이 제2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제4 통신 핀(222)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충전을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실시방식에서 상기 충전 장비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1) 및 데이터 라인(2)의 작동 과정과 대응하며,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충전기(1)가 전원에 액세스했으며 데이터 라인(2)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충전기(1)는 데이터 라인(2)과 상호 매칭을 진행한다.
충전기(1)가 데이터 라인(2)과 매칭에 성공하면,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통신 핀(111)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13)과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25)은 제3 통신 핀(211)을 제4 통신 핀(222)과 연통시킨다.
본 실시방식에서,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이 매칭에 성공한 후 제3 통신 핀(211)과 제4 통신 핀(222)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의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신호에 따라 제1 전환 유닛(15) 및 제2 전환 유닛(25)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신호가 PD 충전 신호인 경우 제1 전환 유닛(15)은 제1 통신 핀(111)을 PD 충전 처리 유닛(12)과 연통시키고, 제1 전환 유닛(25)은 제3 통신 핀(211)을 제1 CC 핀(221)과 연통시켜, 상기 충전 장비에 대해 PD 고속 충전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방식으로서, 충전기(1)가 전원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제1 타깃 유닛은 제1 매칭 신호를 생성해 제2 타깃 유닛에 전송한다.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상기 제1 타깃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를 수신한 상황에서 상기 제1 타깃 유닛은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타깃 유닛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타깃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한 상황에서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타깃 유닛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타깃 유닛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또는 충전기 매칭 유닛(24)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 또는 충전기 매칭 유닛(24) 중 다른 하나이다.
본 실시방식에서는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14)과 충전기 매칭 유닛(24) 사이의 매칭 신호 상호연계를 통해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의 매칭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충전기(1)와 데이터 라인(2)의 매칭 과정을 간소화했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1이다. 상기 충전 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1)를 포함하는 충전 장비에 응용되며, 상기 충전 장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701: 상기 충전기와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에 액세스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702: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1 통신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킨다.
단계 703: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상기 제1 통신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킨다.
설명해야 할 점은,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단계 702 및 단계 703 중 하나만 실행하며,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예시일 뿐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VBUS 배선상에서 전원을 감지한 상황에서,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했으며 상기 타깃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첫 번째 충전 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2이다. 상기 충전 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2)을 포함하는 충전 장비에 응용되며, 상기 충전 장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801: 상기 데이터 라인과 충전기가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에 액세스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802: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3 통신 핀을 제1 CC 핀과 연통시킨다.
단계 803: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상황에서,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3 통신 핀을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킨다.
설명해야 할 점은,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단계 802 및 단계 803 중 하나만 실행하며,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예시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두 번째 충전 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의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방법의 흐름도 3이다. 상기 충전 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1) 및 데이터 라인(2)을 포함하는 충전 장비에 응용되며, 상기 충전 장비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901: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어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902: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단계 903: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구체적인 실시에서 상기 단계 802 및 단계 803 중 하나만 실행하며,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예시일 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한 후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 대상 장비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 상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에 성공하면,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1 통신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제3 통신 핀을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어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상기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어 전원 및 충전 대상 장비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서 송신된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매칭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의 충전기 매칭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기 상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과 상기 충전기를 매칭하는 상기 단계는, 충전기 안의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제1 통신 핀으로부터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 또는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데이터 라인 안의 충전기 매칭 유닛이 제3 통신 핀으로부터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 또는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매칭 과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 실시예에 따른 매칭 과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1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3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기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 대상 장비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1 전환 유닛을 구동해 상기 제1 통신 핀을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을 구동해 상기 제3 통신 핀을 제1 CC 핀과 연통시키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통신 프로토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제2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가 제4 사전설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정한 상기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신호가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 대상 장비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통신 프로토콜 충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는 데이터 라인 안의 제1 통신 핀을 전환 가능한 통신 핀으로 사용해, 상기 제1 통신 핀을 통해 PD 충전 프로토콜과 비PD 충전 프로토콜 중 하나를 지원하므로, 상기 충전 장비에 전원을 연결한 후 충전 대상 장비의 선택에 따라 충전 대상 장비에 PD 고속 충전 기능 또는 비PD 고속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충전 장비와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지니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장비를 더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첫 번째 충전 방법, 두 번째 충전 방법 또는 세 번째 충전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첫 번째 충전 방법, 두 번째 충전 방법 또는 세 번째 충전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 안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을 더 제공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는 커플링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작동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첫 번째 충전 방법, 두 번째 충전 방법 또는 세 번째 충전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칩은 시스템수준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문 중 "포괄", "포함" 또는 기타 어떤 변형이라도 비배타적인 포함까지 의미하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는 그러한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하지 않은 기타 요소,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를 위한 고유 요소까지 포함한다. 더 이상의 제한이 없다면, "하나의......를 포함"이라는 어구로 한정한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요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 실시방식에서의 방법 및 전자 장비의 범위는 도시하거나 논의한 순서대로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에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기능을 실행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한 방법을 설명한 순서와 다르게 실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예시를 참조해 설명한 특징은 다른 예시에 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방식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소프트웨어에 필수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시예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가능하나,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 나은 실시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 기술방안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를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하나의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일 수 있다)가 본 출원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조합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암시 하에 본 출원의 취지와 청구항에서 보호를 청구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많은 형식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2)
- Type-A 암 소켓, 전력 전송(PD) 충전 처리 유닛, 비PD 충전 처리 유닛,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Type-A 암 소켓은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연결되는 제1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2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인, 충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제3 단은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충전기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은 각각 상기 제1 스위치의 제2 단 및 제3 단과 차단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닫히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데이터 라인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1 스위치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1 스위치의 제2 단은 차단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차단되는, 충전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은 D+/D- 통신 프로토콜의 충전 처리 유닛이고, 상기 Type-A 암 소켓은 상기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결되는 제2 통신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핀은 제1 D+ 핀 및 제1 D- 핀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통신 핀은 상기 제1 D+ 핀 및 상기 제1 D- 핀 중 다른 하나인, 충전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및 상기 제1 전환 유닛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통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거나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사전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 핀을 통해 제1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차단시키고, 상기 제1 매칭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는 연결되면서 충전 대상 장비와는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이 상기 제1 통신 핀을 통해 제1 PD 충전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 및 제4 단은 차단시키고, 상기 제1 PD 충전 신호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충전기와 연결된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하는, 충전기. - Type-A 수 커넥터, Type-C 인터페이스 및 상기 Type-A 수 커넥터와 상기 Type-C 인터페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상에는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제2 전환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Type-A 수 커넥터는 제3 통신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제1 통신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4 통신 핀 및 제1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통신 핀은 상기 제1 통신 배선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배선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상기 제1 CC 핀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1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거나,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 및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기가 제2 충전기이거나 상기 충전 대상 장비가 제2 충전 대상 장비일 경우,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1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제1 충전기 사이에 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1 충전 대상 장비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매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와 상기 데이터 라인이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기는 제2 충전기이고,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충전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대상 장비와 상기 충전기 사이에 비PD 프로토콜 통신이 진행되는 것으로 확정하면 상기 충전 대상 장비는 제2 충전 대상 장비인, 데이터 라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2 CC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상에는 제1 저항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저항의 제1 단은 상기 전선 안의 VBUS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5 단 및 제6 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5 단은 상기 제1 저항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6 단은 상기 제2 CC 핀과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5 단은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6 단과 연결이 끊기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2 충전기 또는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5 단은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6 단과 연통되는, 데이터 라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1 통신 배선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제3 단은 상기 제4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제4 단은 상기 제1 CC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1 단은 상기 제1 저항의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제2 CC 핀과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 충전 대상 장비와 각각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3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4 스위치의 제2 단은 연결이 끊기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제2 충전기 또는 상기 제2 충전 대상 장비와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3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3 스위치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제1 단과 상기 제4 스위치의 제2 단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상에는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 및 상기 제2 전환 유닛과 각각 연결되는 제2 제어 유닛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했거나 사전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제3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제2 매칭 신호를 획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제2 매칭 신호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1 충전기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이 상기 제4 통신 핀을 거쳐 전송된 제2 PD 충전 신호를 획득하면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차단시키고, 상기 제2 PD 충전 신호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충전기와 연결되면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동하는, 데이터 라인.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ype-A 수 커넥터는 제2 D+ 핀 및 제2 D-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통신 핀은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2 D- 핀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Type-C 인터페이스는 제3 D+ 핀 및 제3 D-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통신 핀은 상기 제3 D+ 핀 및 상기 D- 핀 중 상기 제3 통신 핀과 대응하는 하나이고, 상기 제1 통신 배선은 D+ 배선 및 D- 배선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3 D+ 핀은 각각 상기 D+ 배선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3 D- 핀은 각각 상기 D- 배선의 양단에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충전기에 삽입된 상황에서, 상기 제2 D+ 핀 및 상기 제2 D+ 핀은 상기 충전기 중의 제1 D+ 핀 및 제1 D- 핀과 대응하게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 -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와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기이고,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라인이고, 상기 제1 통신 핀은 상기 제3 통신 핀과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는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3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이 상기 충전기와 매칭에 성공했으며 제1 충전 대상 장비에는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2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1 전환 유닛의 제3 단 및 제4 단은 모두 차단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4 단은 연통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1 단과 상기 제2 전환 유닛의 제2 단 및 제3 단은 모두 차단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1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상기 제1 CC 핀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PD 충전을 진행하거나,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제2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충전 장비는 상기 제4 통신 핀을 통해 상기 충전 대상 장비에 대해 비PD 충전을 진행하는, 충전 장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했으며 상기 데이터 라인은 충전 대상 장비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상기 충전기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호 매칭을 진행하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라인과 매칭에 성공하면,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제1 통신 핀을 비PD 충전 처리 유닛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제3 통신 핀을 제4 통신 핀과 연통시키는, 충전 장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액세스한 상황에서, 제1 타깃 유닛은 제1 매칭 신호를 생성해 제2 타깃 유닛에 전송하고,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상기 제 타깃 유닛에 제2 매칭 신호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매칭 신호를 수신한 상황에서, 상기 제1 타깃 유닛은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타깃 유닛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타깃 유닛이 상기 제1 매칭 신호를 수신한 상황에서,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상기 제1 타깃 유닛이 상기 제2 타깃 유닛과 매칭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제1 타깃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또는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타깃 유닛은 상기 데이터 라인 매칭 유닛 또는 상기 충전기 매칭 유닛 중 다른 하나인, 충전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479634.5 | 2020-05-29 | ||
CN202010479634.5A CN111509816B (zh) | 2020-05-29 | 2020-05-29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PCT/CN2021/096695 WO2021239100A1 (zh) | 2020-05-29 | 2021-05-28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6688A true KR20230016688A (ko) | 2023-02-02 |
Family
ID=7187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6066A KR20230016688A (ko) | 2020-05-29 | 2021-05-28 |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085923A1 (ko) |
EP (1) | EP4160857A4 (ko) |
KR (1) | KR20230016688A (ko) |
CN (1) | CN111509816B (ko) |
WO (1) | WO202123910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09816B (zh) * | 2020-05-29 | 2022-02-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CN115208433A (zh) * | 2021-04-08 | 2022-10-1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线缆、电源提供装置、终端设备及通信系统 |
CN114243407B (zh) * | 2021-12-20 | 2024-02-27 | 深圳市爱普丰电子有限公司 | 一种可适配多种手机的快充数据线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88560B2 (en) * | 2014-05-28 | 2017-03-07 | Nokia Technologies Oy | Baseband PD communication over USB standard a connector |
TWI554000B (zh) * | 2015-06-25 | 2016-10-1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行動充放電裝置 |
CN107181145A (zh) * | 2017-05-31 | 2017-09-19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线以及usb数据线接口 |
CN108233130B (zh) * | 2017-08-01 | 2019-11-15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Usb线缆、usb接口以及适配器 |
CN207612082U (zh) * | 2017-11-02 | 2018-07-13 |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type-c接口实现多种快充协议电路 |
CN107834628B (zh) * | 2017-11-02 | 2024-04-12 |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type-c接口实现多种快充协议电路及方法 |
CN107706685B (zh) * | 2017-11-24 | 2024-06-18 | 深圳市乐得瑞科技有限公司 | 一种连接器 |
JP2019213325A (ja) * | 2018-06-04 | 2019-12-12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
CN109327055A (zh) * | 2018-08-22 | 2019-02-1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充电处理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
JP7060856B2 (ja) * | 2018-09-28 | 2022-04-27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USB Type-C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における状態通知方法およびUSB Type-C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を有するデバイス |
CN210327098U (zh) * | 2019-09-16 | 2020-04-14 | 上海爻火微电子有限公司 | 采用usb pd的充电设备与充电组件 |
CN110534988A (zh) * | 2019-09-25 | 2019-12-03 | 上海爻火微电子有限公司 | Type A-Type C线缆及其线缆芯片 |
CN111509816B (zh) * | 2020-05-29 | 2022-02-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
2020
- 2020-05-29 CN CN202010479634.5A patent/CN111509816B/zh active Active
-
2021
- 2021-05-28 WO PCT/CN2021/096695 patent/WO202123910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5-28 KR KR1020227046066A patent/KR20230016688A/ko unknown
- 2021-05-28 EP EP21812550.8A patent/EP4160857A4/en active Pending
-
2022
- 2022-11-29 US US18/071,045 patent/US2023008592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509816B (zh) | 2022-02-22 |
WO2021239100A1 (zh) | 2021-12-02 |
EP4160857A1 (en) | 2023-04-05 |
EP4160857A4 (en) | 2023-11-22 |
CN111509816A (zh) | 2020-08-07 |
US20230085923A1 (en) | 2023-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16688A (ko) | 충전기, 데이터 라인 및 충전 장비 | |
TWI636637B (zh) | 快速充電方法、移動終端和轉接器 | |
AU2015345832B2 (en) | Fast charging method, power source adapter and mobile terminal | |
TWI601016B (zh) | 轉接器升級的方法、轉接器、轉換器以及轉接器升級的系統 | |
EP2879014A1 (en) | Tablet interface extension method and device | |
JP7504232B2 (ja) | 充電器、データケーブル及び充電デバイス | |
CN107707000B (zh) | 一种otg供电与无线充电兼容电路及相关方法和终端设备 | |
US20170117735A1 (en) | Charging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CN110492575B (zh) | 用于手持设备的快速充电系统及方法、手持设备 | |
CN111817382B (zh)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
CN111817380B (zh) | 充电器、数据线、充电设备和电子设备 | |
CN102981916B (zh) |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和装置 | |
CN104158251A (zh) | 终端、充电器和充电方法 | |
JP7288038B2 (ja) | アダプタの出力状態テスト方法、アダプタの出力状態テス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 |
CN109560581B (zh) | 充电处理方法、充电处理电路、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US10038289B2 (en) | Conversion device | |
CN111817378B (zh) | 充电器、数据线和充电设备 | |
CN111817383B (zh) | 适配器、充电器和充电设备 | |
CN107885688B (zh) | 一种信号切换方法和装置 | |
CN111509815B (zh) | 数据线和充电设备 | |
CN105450843A (zh) | 移动终端工作模式的设置方法和装置 | |
CN107306000B (zh) | 一种接口配置的方法和装置 | |
CN117112472B (zh) | 用于外设对码、连接的通信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CN111447127B (zh) | 一种总线复用的方法和系统 | |
WO2020113583A1 (zh) | 一种智能支架以及模式启动的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