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30A -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30A
KR20230016430A KR1020210097911A KR20210097911A KR20230016430A KR 20230016430 A KR20230016430 A KR 20230016430A KR 1020210097911 A KR1020210097911 A KR 1020210097911A KR 20210097911 A KR20210097911 A KR 20210097911A KR 20230016430 A KR20230016430 A KR 20230016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channel switching
channel
candidate se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철
곽경철
이대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430A/ko
Publication of KR2023001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앙 세션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의 고유식별자 및 전환 대상채널의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집합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Channel Zapping by Using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IPTV Multicast System}
본 개시는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셋톱박스(STB: set-top box)가 채널을 전환하려고 할 때, 캐시서버(Cache Server)가 아닌 IPTV 서비스에 가입된 다른 셋톱박스와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전환 대상채널의 캐싱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저감하면서 고속 채널전환(FCZ: Fast Channel Zapping)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IP 멀티캐스트(multicast) 기술을 이용하는 IPTV 서비스는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하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TV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멀티캐스트 기반의 IPTV 서비스는 네트워크의 대역폭(bandwidth)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채널만을 셋톱박스에 스트리밍한다. 여기서, 셋톱박스는 사용자 단말과 홈 게이트웨이를 연결하며,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채널에 대해 버퍼링 및 디코딩 과정을 거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채널전환 요청이 네트워크에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에 전환 대상채널이 출력되기까지는 지연(delay)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채널전환 지연(channel zapping delay)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순차적 절차에서 발생하는 지연, 예컨대 명령어 처리 지연, 네트워크 지연, 디코딩 지연, 버퍼링 지연 및 동기화 지연으로 구성된다. 명령어 처리 지연은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하여 리모컨의 키를 누른 시점으로부터, 셋톱박스가 네트워크에 기 시청 채널의 탈퇴 메시지(IGMP leave)를 전송하고, 네트워크에 변경 대상채널의 가입 메시지(IGMP join)를 전송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지연은 변경 대상채널의 가입 메시지 전송 시점부터, 셋톱박스가 변경 대상채널의 첫 번째 패킷을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디코딩 지연은 인트라 프레임 수신 지연 및 디코딩 처리 지연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트라 프레임 수신 지연은 셋톱박스가 전환 대상채널에 관한 첫 번째 인트라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인트라 프레임 수신 지연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때 GOP(Group Of Pictures)에 포함된 인트라 프레임(intra-frame)을 디코딩하지 않고는 GOP에 포함된 다른 인터 프레임(inter-frame)들을 디코딩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한편, 디코딩 처리 지연은 셋톱박스가 부호화된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버퍼링 지연은 네트워크 상에서 부가된 지터를 제거하기 위한 초기 버퍼링 지연을 의미한다. 동기화 지연은 프레임 싱크를 맞추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의미한다. 채널전환 지연은 IPTV 서비스의 QoE(Quality of Experience) 저하 요인이므로,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채널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페칭(prefetching) 기법들이 제시되었다.
프리페칭 기법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채널 이외에 일정한 개수의 채널들을 셋톱박스에 미리 전송함으로써,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키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예컨대, 프리페칭 기법에 의하여 셋톱박스에 전송되는 채널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채널과 인접한 채널,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채널, 그리고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할 때 나타나는 행동패턴(behavioral pattern)에 기반하여 예측된 채널일 수 있다. 셋톱박스가 프리페칭 기법에 따라 미리 수신되는 채널들로 전환을 수행하면, 사용자는 채널전환 지연 없이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이 프리페칭 기법에 의해 셋톱박스에 미리 수신된 채널이 아닌 경우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프리페칭 채널들이 셋톱박스에 상시 전송되는 경우, 결국 셋톱박스가 여러 채널을 동시에 스트리밍 받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심각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유발되는 문제도 존재한다.
채널전환 지연을 발생시키는 요소 중 하나인 디코딩 지연을 감소시키면서 인코딩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인코더는 주기적으로 낮은 비트율의 인트라 프레임들을 추가 생성하고, 일반 비트율의 프레임들과 함께 셋톱박스에 전송한다. 셋톱박스는 전환 대상채널에 관한 일반 비트율의 인트라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할 필요없이, 인코더에 의하여 추가 생성된 낮은 비트율의 인트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빠른 디코딩을 수행한다. 한편, 프리페칭 기법에 의하여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경감하기 위해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를 적용하여 낮은 품질의 스트림만을 프리페칭하는 기법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셋톱박스의 높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며, 기존에 배치되어 있는 방송장비의 교체로 인한 인프라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채널변경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다른 대안으로서, 캐시서버가 인트라 프레임으로 시작되는 부가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유니캐스트 방식의 시스템은 캐시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며, 캐시서버가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1 GOP 이하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호 연결된 셋톱박스 간의 P2P(Peer-to-Peer) 통신을 활용하여,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대하여 시간 상으로 선행하는 캐싱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셋톱박스가 고속 채널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각각의 세션에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률이 제한되지 않는 점에 기초하여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캐시서버로부터 캐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과 대비하여 인프라 구축 비용 및 네트워크 트래픽을 절감하며, 서비스 가입자 수의 증가에 따른 확장성(scalability)을 확보하는 고속 채널전환 기술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세션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의 고유식별자 및 전환 대상채널의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집합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전환 방법에 있어서, 중앙 세션서버에게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중앙 세션서버로부터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에게 P2P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P2P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전환 대상채널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전환을 지원하는 중앙 세션서버로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의 주소 및 전환 대상채널의 번호를 수신하고,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을 추출하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세션서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세션서버로부터 수신한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에게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P2P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P2P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전환 대상채널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전환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캐스트 스트림만을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하는 IPTV 시스템과 대비하여, 셋톱박스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이 감소하므로 고속 채널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캐시서버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전송하는 IPTV 시스템과 대비하여, 다른 셋톱박스로부터 높은 전송률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추가적인 인프라 구축 없이도 채널전환 지연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이 이용되는 IPTV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셋톱박스 선정 절차 및 유니캐스팅 데이터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셋톱박스가 P2P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하여 채널전환 지연이 감소하는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세션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 셋톱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최근 IPTV 서비스를 제공할 때, 채널전환 지연(channel zapping delay)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채널전환(FCZ: Fast Channel Zapping)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경우,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셋톱박스 간의 P2P(Peer-to-Peer)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기법을 제안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P2P(Peer-to-Peer) 통신을 통해 채널전환 지연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디코딩 지연, 버퍼링 지연 및 동기화 지연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환 대상채널(zapping target channel)은 셋톱박스가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채널전환 셋톱박스(channel zapping STB)는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 요청을 입력 받아, 현재 시청 중인 채널로부터 전환 대상채널로 채널전환을 시도하는 셋톱박스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멀티캐스트 스트림은 IPTV 헤드엔드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TV 채널의 비디오 스트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팅 데이터는 IPTV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 간에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캐싱데이터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이 이용되는 IPTV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은 IPTV 헤드엔드(Headend), 중앙 세션서버(central session server), 채널전환 셋톱박스 및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은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셋톱박스 간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캐싱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여기서, 캐싱데이터는 셋톱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전환 대상채널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IPTV 헤드엔드는 종래의 IPTV 시스템에서와 같이, TV 채널의 IP 패킷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IPTV 백본 망을 통하여 TV 채널의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에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는 라우터/스위치를 이용하여 IPTV 백본 망(backbone network)에 연결된다. 셋톱박스는 IPTV 백본 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TV 채널의 콘텐츠(content)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캐싱한다. 일 실시예에서, TV 채널의 콘텐츠는 IP 패킷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셋톱박스는 패킷 수신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채널전환 셋톱박스는 중앙 세션서버로부터 전환 대상채널에 관한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candidate STB list)를 수신한다. 여기서, 중앙 세션서버는 각각의 셋톱박스가 시청 중인 TV 채널정보를, 셋톱박스 간의 P2P 연결을 위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중앙 집중형 세션 관리서버이다.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는 전환 대상채널의 캐싱데이터를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candidate STB)의 집합이며, 후보 셋톱박스의 선정은 채널전환 셋톱박스와의 근접성(proximity) 및 가용 대역폭(available bandwidth)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후보 셋톱박스를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는 후보 셋톱박스에게 전환 대상채널의 캐싱데이터를 요청하고, P2P 전송 방식으로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팅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상으로 선행하는 캐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채널전환을 시도하는 셋톱박스는 인접한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한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므로, 고속 채널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채널전환을 시도하는 셋톱박스에 전송되는 캐싱데이터 양은, 백본 망의 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최소가 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전송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셋톱박스 선정 절차 및 유니캐스팅 데이터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중앙 세션서버(200)가 셋톱박스 간의 P2P 연결을 위한 후보 셋톱박스(204)를 선정하는 절차 및 후보 셋톱박스(204)가 P2P 통신에 기반하여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IPTV 서비스에 가입된 각각의 셋톱박스는 고유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고유식별자는 각각의 셋톱박스에 부여되는 식별정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앙 세션서버(200)가 셋톱박스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자로서 MAC 주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유식별자는 IP 주소일 수 있다. 셋톱박스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자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
Figure pat00001
)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의 전송 요청으로서, 중앙 세션서버(200)에 MAC 주소(
Figure pat00002
)와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03
)의 번호를 제공한다(S300).
중앙 세션서버(200)는 IPTV 백본 망을 이용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 중에서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04
)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
Figure pat00005
)을 추출한다(S302).
중앙 세션서버(200)는 추출된 집합(
Figure pat00006
)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
Figure pat00007
)를 생성한다(S304).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조건은 조건 1 및 조건 2를 포함하며, 조건 1 및 조건 2를 만족하는 모든 후보 셋톱박스(204)가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
Figure pat00008
)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 1은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시청 중인 TV 채널과 동일한 TV 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중에서,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와의 근접성이 높은 셋톱박스를 선정하기 위한 기 설정된 근접성 기준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시청 중인 TV 채널과 동일한 TV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셋톱박스(
Figure pat00011
)를 근접 셋톱박스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근접성 기준은 우편번호 또는 IP 주소와 같은 IPTV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체계 상에서 5 자리(digit) 우편번호의 앞의 3 자리 번호는 시/군/자치구를 구분하는 값이며, 뒤의 2 자리 번호는 시/군/자치구 내에서의 위치를 구분하는 값에 해당한다. 따라서, 중앙 세션서버(200)는 각각의 셋톱박스에 상응하는 우편번호를 비교하여,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의 우편번호와 앞의 3자리 번호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를 근접 셋톱박스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조건 2는 하기 수학식 1을 의미하며, 중앙 세션서버(200)는 근접 셋톱박스가 상술한 조건 1을 만족함을 전제로, 근접 셋톱박스가 수학식 1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조건 2는 근접 셋톱박스가 이용중인 현재 대역폭(
Figure pat00013
) 및 근접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제한된 한계 대역폭(
Figure pat00014
)에 기초하여 설정되며,
Figure pat00015
은 근접 셋톱박스의 대역폭에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 여유(margin)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이다. 중앙 세션서버(200)는 근접 셋톱박스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근접 셋톱박스의 대역폭에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 여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중앙 세션서버(200)는 생성된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
Figure pat00016
)를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전송한다(S206).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
Figure pat00017
)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204)에 P2P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P2P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전송된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한다(S208, S210). 여기서, P2P 연결 요청은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트 스트림 상에서 최초로 수신되는 PCR(
Figure pat00018
)을 포함한다. 최초로 수신되는 PCR(
Figure pat00019
)은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전송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된다. P2P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204)가 P2P 연결을 수락하는 경우,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와 P2P 연결을 수락한 후보 셋톱박스(204) 간에 P2P 연결이 완료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P2P 연결이 완료된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20
)의 캐싱데이터를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수신한다(S212). 캐시서버(cache server, 미도시)로부터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방식의 종래의 IPTV 시스템과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P2P 연결을 이용하여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21
)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채널전환 지연이 감소하며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고속 채널전환(FCZ)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후보 셋톱박스(204)에게 P2P 연결 종료요청을 전송하고,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P2P 연결 종료응답을 수신한다(S214, S216).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P2P 연결 종료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와 후보 셋톱박스(204) 간의 P2P 통신이 종료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셋톱박스가 P2P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되는 캐싱데이터의 데이터 양은 백본 망의 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전송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은 가능한 최소가 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후보 셋톱박스(204)가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22
)에 대한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이 최소가 되도록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PTV 서비스에 가입된 각각의 셋톱박스는 시청 중인 채널에 대하여 N 개의 인트라 프레임을 포함하는 최신 프레임을 기 설정된 주기로 캐싱하고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최소 단위의 유니캐스팅 데이터가 시작되는 지점은 IPTV 백본 망을 통해 유입되는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23
)의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대해, 시간 상으로 선행하는 인트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포함된 인트라 프레임은 TV 채널의 스크램블 여부와 관계 없이, MPEG-2 TS 패킷(packet) 수준에서 RAI(Random Access Indicator) 비트를 검출함으로써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후보 셋톱박스(204)는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의 빠른 플레이백을 보장하면서,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전송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을 결정한다.
후보 셋톱박스(204)는 일반적으로 PCR(Program Clock Reference)로 동기화된 기준 시간이, 프레임의 PTS(Presentation Time Stamp) 및 프레임에 대한 버퍼링 지연을 합산한 시간 지연에 도달하는 경우, 수신한 프레임을 출력한다. 한편, 과정 S208에 따라 후보 셋톱박스(204)가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로부터 수신한 P2P 연결 요청에는 전환 대상채널(
Figure pat00024
)의 멀티캐스트 스트림 상에서 최초로 수신되는 PCR(
Figure pat00025
)이 포함되어 있다. 후보 셋톱박스(204)는 최초로 수신되는 PCR(
Figure pat00026
)을 기준으로, 캐싱데이터에 재생 가능한 인트라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2의 연산을 수행한다.
Figure pat00027
여기서,
Figure pat00028
은 캐싱데이터에 포함된
Figure pat00029
번째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30
값이 작을수록 최신 인트라 프레임)을 의미하고,
Figure pat00031
는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32
에 상응하는 PCR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33
은 셋톱박스에서 발생하는 버퍼링 지연을 의미하고,
Figure pat00034
는 단순 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을 이용하여 계산된 영상 프레임에 대한 PTS와 PCR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된
Figure pat00035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캐싱데이터에 포함된
Figure pat00036
번째 인트라 프레임이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대하여 시간 상으로 선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37
즉,
Figure pat00038
값이 0 보다 작은 경우에는
Figure pat00039
번째 인트라 프레임이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선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Figure pat00040
값을
Figure pat00041
로 할당한다.
고속 채널전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후보 셋톱박스(204)가
Figure pat00042
에 선행하는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43
)을 결정해야 한다. 후보 셋톱박스(204)는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44
)을 결정한다.
Figure pat00045
후보 셋톱박스(204)는 수학식 4에 따라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46
)을 결정하고,
Figure pat00047
구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게 고속으로 유니캐스트한다. 이로 인하여,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Figure pat00048
과 동일한 PTS를 가지는 프레임을 버퍼에 기 보유하고 있으므로, 수신한 프레임에 기초하여 고속 채널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Figure pat00049
가 150 msec. 인 경우(Case 1) 또는 500 msec. 인 경우(Case 2)에, 후보 셋톱박스(204)가 각각 2 번째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50
) 또는 3 번째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51
)을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52
)으로 결정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후보 셋톱박스(204)는 결정된 최적의 인트라 프레임(
Figure pat00053
)에 기초하여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전송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하여 채널전환 지연이 감소하는 예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에 따른 전환 대상채널의 스트림이 종래 채널전환 방법에 따른 스트림과 대비하여 보다 이른 시점에서 채널전환을 시도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202)에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널전환 지연의 감소는 디코딩 지연, 버퍼링 지연 및 동기화 지연의 감소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P2P 연결을 통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전환 대상채널의 캐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수신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는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트 스트림에 시간 상으로 선행하는 인트라 프레임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은 IPTV 헤드엔드로부터 유입되는 멀티캐스팅 데이터에 포함된 인트라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할 필요없이,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인트라 프레임을 이용하여 빠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입력되는 스트림에 포함된 인트라 프레임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지연을 방지함으로써, 디코딩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감소하는 디코딩 지연은 하기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pat00054
IPTV 헤드엔드로부터 다중 홉을 거쳐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식에서는,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상에서 부가된 지터(jitter)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 수준의 버퍼링이 발생한다. 반면, 본 개시의 고속 채널전환 방법은 IPTV 백본 망을 거쳐 인접한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고속으로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로 인하여, 지터 제거를 위한 버퍼링 지연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셋톱박스는 플레이백을 위한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 셋톱박스(202)는 후보 셋톱박스(204)로부터, PCR로 동기화된 기준 시간과 일치하는 PTS를 가지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고속으로 수신한다. 채널전환 셋톱박스(202)가 수신하는 프레임은 수신 즉시 렌더링이 가능하므로, 동기화 지연 없이도 수신된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고속 채널전환 방법과 캐시서버 기반의 채널전환 방법 간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캐시서버 기반의 채널전환 방법은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셋톱박스가 캐시서버로부터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캐시서버 기반의 시스템에서, 캐시서버가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캐시서버는 350 개의 동시 세션 수를 지원하며, 망 안정성 이슈로 인하여 각각의 세션 별로 전송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전송률은 30 Mbps로 고정된다.
모의실험 결과,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캐시서버 기반의 채널전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 평균적으로 480 msec. 및 792 msec. 의 채널전환 지연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즉,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고속 채널전환 방법은 캐시서버 기반의 시스템과 대비하여, 추가적인 인프라 구축 없이도 312 msec. 의 채널전환 지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인접한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하는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전송률을 제한하지 않고, 종래의 캐시서버 기반의 채널전환 방법보다 높은 전송률로 수신 가능한 점에 기인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세션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세션서버(500)는 송수신기(502), 메모리(504) 및 프로세서(506)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502)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중앙 세션서버(500)는 송수신기(502)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프로세서(506)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 지원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은 프로세서(506)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executable)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명령어들이 프로세서(506)에 의해서 실행됨으로써 채널전환 지원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504)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06)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6)는 메모리(50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채널전환 지원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전환 셋톱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채널전환 셋톱박스(600)는 송수신기(602), 메모리(604) 및 프로세서(606)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602)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채널전환 셋톱박스(600)는 송수신기(602)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프로세서(606)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채널전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6)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executable)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명령어들이 프로세서(606)에 의해서 실행됨으로써 고속 채널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604)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06)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6)는 메모리(60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전환 대상채널로의 채널전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각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중앙 세션서버 202: 채널전환 셋톱박스
204: 후보 셋톱박스 500: 중앙 세션서버
502: 중앙 세션서버의 송수신기 504: 중앙 세션서버의 메모리
506: 중앙 세션서버의 프로세서 600: 셋톱박스
602: 셋톱박스의 송수신기 604: 셋톱박스의 메모리
606: 셋톱박스의 프로세서

Claims (11)

  1. 중앙 세션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의 고유식별자 및 전환 대상채널의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집합에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와의 근접성이 높은 적어도 하나의 근접 셋톱박스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셋톱박스 중에서,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 마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를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셋톱박스는 IPTV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셋톱박스를 선정하는 과정은,
    상기 근접 셋톱박스가 사용하는 대역폭 및 상기 근접 셋톱박스의 한계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근접 셋톱박스가 상기 대역폭 마진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지원 방법.
  5. 채널전환 셋톱박스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전환 방법에 있어서,
    중앙 세션서버에게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중앙 세션서버로부터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에게 P2P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P2P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전환 대상채널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대상채널로의 채널전환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후보 셋톱박스에 P2P 연결 종료요청을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P2P 연결 종료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2P 연결 요청은 전환 대상채널의 멀티캐스트 스트림 상에서 최초로 수신되는 PC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는,
    IPTV 백본 망에 가해지는 부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의 데이터 양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방법.
  9. 채널전환을 지원하는 중앙 세션서버로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의 주소 및 전환 대상채널의 번호를 수신하고,
    전환 대상채널을 시청 중인 셋톱박스의 집합을 추출하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를 상기 채널전환 셋톱박스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세션서버.
  10. 채널전환을 수행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로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세션서버로부터 수신한 후보 셋톱박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셋톱박스에게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P2P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P2P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P2P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후보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전환 대상채널의 유니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유니캐스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전환 셋톱박스.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널전환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97911A 2021-07-26 2021-07-26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KR20230016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11A KR20230016430A (ko) 2021-07-26 2021-07-26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11A KR20230016430A (ko) 2021-07-26 2021-07-26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30A true KR20230016430A (ko) 2023-02-02

Family

ID=852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11A KR20230016430A (ko) 2021-07-26 2021-07-26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4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3973B (zh) 一种频道切换方法、装置和系统
CN101316357B (zh) 一种频道切换的方法和终端
US8488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digital channel changing
US821487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roved channel switching
EP2415262B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ystem providing media via multicast distribution
CN110324580B (zh) 一种基于视联网的监控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2007024266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storing media data
US10645463B2 (en) Efficient multicast ABR reception
WO20140675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reaming video
CN101938456A (zh) 一种减小媒体延迟的方法、设备及系统
US8316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medi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906981B1 (ko) 버퍼링 서버를 통한 iptv 채널 변경 속도 개선 방법
KR100848309B1 (ko) 고속 버퍼링 스위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CN108632681B (zh) 播放媒体流的方法、服务器及终端
KR20230016430A (ko) Iptv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이용한 고속 채널전환 방법 및 장치
JP2010130692A (ja) コンテンツ受信方法及び装置
Joo et al. Fast/On-time Channel Zapping Scheme using a Cache Server over IPTV Multicast System
CN101860471B (zh) 一种媒体流切换方法、装置和系统
KR20080022816A (ko) 아이피 티브이 방송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채널 변경 장치및 방법
CN110798713B (zh) 时移电视点播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Khabbiza et al. A novel approach to reduce the unicast bandwidth of an IPTV system in a high-speed access network
CN101686384A (zh) 一种频道切换方法、装置及系统
KR102531337B1 (ko) 방송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 서버 및 방법
CN101409631B (zh) 一种频道切换的方法和装置
US20100002779A1 (en) Mechanism for the management of receivers/decoders conn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