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17A -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17A
KR20230016417A KR1020210097887A KR20210097887A KR20230016417A KR 20230016417 A KR20230016417 A KR 20230016417A KR 1020210097887 A KR1020210097887 A KR 1020210097887A KR 20210097887 A KR20210097887 A KR 20210097887A KR 20230016417 A KR20230016417 A KR 20230016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medical
medical treatment
reserv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417A/ko
Priority to US17/869,353 priority patent/US20230033661A1/en
Publication of KR2023001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예약 수에 따라 진료 일정을 결정하며,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진료 대상 지역을 산출하고,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기계 학습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참여율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MOBILE DIAGNOSIS SERVICE SYSTEM AND MOBILE DIAGNOSIS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 의료 서비스는 의료기관 중심의 서비스로,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이 위치하지 않는 지역에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와 같은 전염성 질병이 발생할 경우, 질병 감염의 가능성 때문에 환자들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환자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예약 수에 따라 진료 일정을 결정하며,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진료 대상 지역을 산출하고,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기계 학습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참여율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하는 데이터 증대부, 상기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하는 분류부, 및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하고,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 증상, 및 거주지역에 기초하여 진료 계획을 결정하는 진료 계획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계획 결정부는,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일정을 결정하고,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증상을 상기 진료 과목으로 결정하며,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을 상기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계획 결정부는, 상기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상기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보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예약 보충부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저장된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고,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상기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진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기존 서비스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진료 예약 보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시스템은,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진료 계획을 전송하고, 상기 진료 예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희망 진료 일자 및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시스템은, 이동 진료 서비스에 대한 예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요청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약 일정 변경을 처리하는 예약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서버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 별로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을 묶어서 저장하는 예약 데이터 베이스 및 기존에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은, 데이터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예약 수에 따라 진료 일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진료 대상 지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딥러닝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참여율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이다.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고려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일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증상을 상기 진료 과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을 상기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저장된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상기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진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기존 서비스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를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은,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진료 계획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진료 예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희망 진료 일자 및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스템 및 중앙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계획 중 진료 일정 및 진료 과목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일정 변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많은 사용자가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진료 서비스를 “이동 진료 서비스”라 한다. 이동 진료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을 서비스 사용자라 하며, 이동 진료 서비스를 관리하는 주체를 서비스 제공자라 한다.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의료 쉘터(medical shelter)(1_1~1_n)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의료 쉘터를 이하, 이동형 의료 쉘터라 한다. 이동형 의료 쉘터는 개조된 버스에 필요한 의료 장비가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1)이 n개의 이동형 의료 쉘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n은 1 이상의 자연수).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서는 검사, 진료 등이 수행되고, 수행되는 진료에 따라 적절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 구비된 장비를 진료 장치라고 정의한다.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서 진료가 수행되는 경우,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는 의사가 위치할 수 있고,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서 검사가 진행되는 경우, 검사 전문 의사 또는 엔지니어가 위치할 수 있다.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1)은 이동형 의료 쉘터(1_1~1_n)에 위치하는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중앙 관리 장치(20), 및 데이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는 사용자 단말(40)에 이동 진료 앱(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41)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중앙 관리 장치(20), 데이터 시스템(30), 및 사용자 단말(40) 간의 정보 송수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각각은 중앙 관리 장치(20)로부터 서비스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의료 쉘터(1_1~1_n)에 위치하는 의료진은 표시된 서비스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진료, 검사 등의 조치를 준비할 수 있다.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과목에 대해서 서비스 사용자에게 진료, 검사 등의 조치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각각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진료를 수행하는 의사로부터 입력되는 진료 결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인접한 진료 장치 및 중앙 관리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진료 장치(10_1~10_n) 각각은 수신한 정보가 진료에 이용될 수 있도록 수신된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서비스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20)는 데이터 시스템(30)으로부터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이동 진료를 시행할 진료 일정, 진료 과목, 및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위치할 진료 위치를 포함하는 진료 계획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시스템(30)은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진료 서비스 예약 요청 및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예약 완료 정보를 예약 요청 및 진료 예약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스템 및 중앙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 시스템(30)은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31), 예약 서버(32), 예약 데이터 베이스(33), 및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34)를 포함한다. 예약 서버(32)는 통신부(31)를 통해 이동 진료 서비스에 대한 예약 요청 및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중앙 관리 장치(20)의 요청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약 일정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중앙 관리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규모의 특정 지역에 대해서 소정의 기간 동안의 진료 계획을 입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이동 진료 앱(41)을 통해서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에 대한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이름, 성별, 나이,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을 통칭하여 진료 예약 정보라 할 수 있다.
데이터 시스템(30)은 복수의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부(31)를 통해 복수의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예약 서버(32)는 수신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예약 데이터 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예약 데이터 베이스(33)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 별로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을 묶어서 저장할 수 있다. 예약 데이터 베이스(33)에서 저장 기본 단위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데이터 필드 각각은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하, 식별 정보),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 각각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시스템(30)은 기존에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사용자(이하, 기존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34)를 더 포함한다. 진료 정보는 진료 시 증상 및 진료 내역, 기존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 및 거주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저장 기본 단위도 복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데이터 필드 각각은 식별 정보, 개인 정보, 증상 및 진료 내역, 및 거주 지역 각각을 저장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20)는 통신부(21), 데이터 증대부(22), 분류부(23), 진료 계획 결정부(24), 및 진료 예약 보충부(25)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이동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20)가 진료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고, 결정된 진료 계획은 통신부(21)를 통해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 및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 증대부(22)는 데이터 시스템(30)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할 수 있다.
분류부(23)는 데이터 증대부(22)에 의해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에 따라,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고,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하고,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 증상, 및 거주지역에 기초하여 진료 계획을 결정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진료 일정을 결정하고, 진료 예정 그룹의 증상을 진료 과목으로 결정하며,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을 상기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기계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진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참여율 예측 모델을 구성하고,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딥러닝할 수 있다. 참여율이란 확정된 진료 계획에 대해서 진료 예약한 전체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명의 예약자 중 70명이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경우, 참여율은 70%가 될 수 있다.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진료 계획을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데이터 시스템(30)에 저장된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진료 계획을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진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기존 서비스 사용자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계획 중 진료 일정 및 진료 과목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 일자는 주 단위로 구분된다.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는 이동 진료 앱(41)을 통해서 “몇 월 몇 주차”에 진료를 희망하는 것으로 신청할 수 있다.
데이터 증대부(22)는 예약 데이터 베이스(32)에 저장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한다(S1).
분류부(23)는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고려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류부(23)는 데이터 증대부(22)에 의해 독출된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수신하고, 희망 진료 일자를 주 단위로 구분하고, 각 주마다 비슷한 증상 및 인접한 거주 지역을 가지는 진료 예약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S2). 분류부(23)는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고,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한다(S3).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진료 예정 그룹에 기초하여 진료 일자, 진료 과목, 및 진료 대상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S4).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20)는 7월 첫번째 주부터 네번째 주 각각에 대해서, 증상들과 거주 지역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한다. 각 주별,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의 수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7월 1주 ‘A’ 증상 & ‘가’ 지역 ‘B’ 증상 & ‘나’ 지역
20 15
7월 2주 ‘A’ 증상 & ‘다’ 지역 ‘C’ 증상 & ‘나’ 지역
12 9
7월 3주 ‘A’ 증상 & ‘가’ 지역 ‘B’ 증상 & ‘다’ 지역
11 13
7월 4주 ‘C’ 증상 & ‘가’ 지역 ‘B’ 증상 & ‘가’ 지역
8 17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가장 카운트 결과가 높은 7월 첫번째 주를 진료 일정으로 결정하고, 이동 진료 서비스 신청 수가 가능 많은 'A' 증상을 진료 과목으로, 거주지역 ‘가’ 지역을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위 예에서는 진료 일자가 주 단위로 구분되고,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하나만이 선택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 이하의 기간으로 진료 일자가 그룹핑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진료 예약 그룹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20)는 7월 첫째주 및 넷째주를 진료 일자로 결정하고, 첫째주에 ‘가’ 지역 내의 진료 위치에서 ‘A’ 증상을 진료하고, 넷째주에 ‘가’ 지역 내의 진료 위치에서 ‘B’ 증상을 진료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에 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 중 참여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진료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S4). 참여율이란 진료 예약 수 대비 실제 진료를 받은 서비스 사용자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진료 계획 결정부(24)는 결정된 진료 계획(진료 일정, 진료 과목, 및 진료 위치)을 통신부(21)에 전달하고, 통신부(21)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의 사용자 단말(21)로 진료 계획을 전송할 있다(S5).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통신부(21)를 통해 예약 데이터 베이스(33)에 접속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이하,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할 수 있다(S6). 예를 들어,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표 1에서 7월 2주차 ‘A’ 증상 & ‘다’ 지역 및 7월 3주차 ‘A’ 증상 & ‘가’ 지역 각각의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할 수 있다.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23명의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에 대한 전화 번호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통신부(21)를 통해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33)에 접속하여,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33)에서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지는 기존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독출할 수 있다(S7).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S6 및 S7 단계에서 독출된 전화번호로 진료 계획을 전송할 수 있다(S8). 이는,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 및 이동 진료 서비스를 예약하지 않은 기존 서비스 사용자가 진료 계획에 따라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 및 이동 진료 서비스를 예약하지 않은 기존 서비스 사용자를 예비 서비스 대상자라 한다.
진료 계획을 수신한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진료 계획에 맞춰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앙 관리 장치(20)는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를 대상으로 진료 계획에 맞춰 예약을 변경할 지에 대해서 문의하고,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예약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일정 변경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통신부(21)를 통해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에 대해서 진료 일정을 변경할지에 대한 문의 요청을 데이터 시스템(30)에 전송한다(S10). 이때, 진료 예약 보충부(25)는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번호를 데이터 시스템(3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시스템(30)은 진료 예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 진료 계획과 함께 예약 변경 여부를 묻는 예약 변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예약 서버(32)는 진료 예약 보충부(25)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예약 데이터 베이스(32)에서 독출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진료 예약을 변경할지를 문의하는 예약 변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이동 진료 앱(41)은 예약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면, 진료 계획에 따라 진료 예약을 변경할지 문의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S12).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는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희망 진료 일자를 진료 계획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의 이동 진료 앱(41)은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데이터 시스템(30)에 전송한다(S13).
데이터 시스템(30)의 예약 서버(32)는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수신하고, 중앙 관리 장치(20)에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전송한다(S14).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가 이동 진료 앱(41)을 통해 희망 진료 일자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 이동 진료 앱(41)은 예약 서버(32)로 희망 진료 일자를 변경하지 않았음을 알릴 수 있다(S15).
S12 단계 내지 S15 단계가 추가 대상자 전체의 사용자 단말들의 이동 진료 앱(41)을 통해서 예약 서버(32)에 희망 진료 일자를 변경 또는 유지하고, 예약 서버(32)는 그 결과를 중앙 관리 장치(20)에 전송하며, 중앙 관리 장치(20)는 수신한 결과에 따라 진료 계획을 확정할 수 있다(S16).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에게 진료 일자 변경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사용자의 수를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진료 일정을 변경하지 않은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와 기존 서비스 사용자도 여전히 진료 계획에 맞춰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에 방문할 경우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1_1~1_n: 이동형 의료 쉘터
10_1~10_n: 진료 장치
20: 중앙 관리 장치
30: 데이터 시스템

Claims (18)

  1.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예약 수에 따라 진료 일정을 결정하며,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진료 대상 지역을 산출하며,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기계 학습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율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인,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하는 데이터 증대부;
    상기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하는 분류부; 및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하고,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 증상, 및 거주지역에 기초하여 진료 계획을 결정하는 진료 계획 결정부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3. 제2에 있어서,
    상기 진료 계획 결정부는,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일정을 결정하고,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증상을 상기 진료 과목으로 결정하며,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을 상기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계획 결정부는,
    상기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상기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보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예약 보충부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저장된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고,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상기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진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기존 서비스 사용자인,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번호를 도출하여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진료 예약 보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시스템은,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진료 계획을 전송하고, 상기 진료 예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희망 진료 일자 및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시스템은,
    이동 진료 서비스에 대한 예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요청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약 일정 변경을 처리하는 예약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서버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 별로 개인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 지역, 및 증상을 묶어서 저장하는 예약 데이터 베이스; 및
    기존에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진료 정보를 저장하는 진료 기록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11. 데이터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 요청 및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동 진료 예약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그룹에 속하는 예약 수에 따라 진료 일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정보 중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진료 대상 지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축적된 진료 위치와 참여율 간의 관계를 딥러닝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율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실제 이동 진료 서비스를 받은 비율인,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에서 식별 정보,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복수의 진료 예약 정보 각각의 희망 진료 일자, 거주지역 및 증상을 고려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을 분류하여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각각에 속하는 진료 예약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카운트된 진료 예약 수가 가장 높은 진료 예약 그룹을 진료 예정 그룹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희망 진료 일자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일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증상을 상기 진료 과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예정 그룹의 거주지역을 상기 진료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위치를 진료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저장된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정보에서 전화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진료 계획을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비 서비스 대상자는 상기 진료 계획과 동일한 증상을 가진 이동 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기존 서비스 사용자인,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진료 예약 그룹 중 진료 계획에 부합하지 않으나 동일한 증상을 가진 진료 예약 그룹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진료 예약 그룹에 속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예약자인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를 상기 데이터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도출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상기 진료 계획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진료 예약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변경된 희망 진료 일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시스템이,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희망 진료 일자 및 상기 진료 예약 변경 대상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KR1020210097887A 2021-07-26 2021-07-26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KR20230016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87A KR20230016417A (ko) 2021-07-26 2021-07-26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US17/869,353 US20230033661A1 (en) 2021-07-26 2022-07-20 Mobile medical treatment service system and mobile medical treatment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87A KR20230016417A (ko) 2021-07-26 2021-07-26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17A true KR20230016417A (ko) 2023-02-02

Family

ID=8503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87A KR20230016417A (ko) 2021-07-26 2021-07-26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33661A1 (ko)
KR (1) KR2023001641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3661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3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on-call data for health care locations and physicians
US8165900B2 (en) Patient check-in/scheduling kiosk
US8645158B2 (en) Displaying clinical predicted length of stay of patients for workload balancing in a healthcare environment
Ballard et al. The use of simulation to determine maximum capacity in the surgical suite operating room
US20140058753A1 (en) Professional networking platform with ranked patient information delivery
US20050234741A1 (en) Electronic appointment scheduling for medical resources
US20130226617A1 (en) Scoring system for rating a level of adherence to steps in a treatment plan
US201202035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Automatic Optimization of Emergency Room Resources Management
US20140195261A1 (en) Health care quality patient satisfaction system
Ahmad et al. A simulation based study for managing hospital resources by reducing patient waiting time
McLaughlin et al. Professional service organizations and focus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Sowle et al. A simulation-IP based tool for patient admission services in a multi-specialty outpatient clinic
RU2207623C2 (ru) Медицинск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консуль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мис)
KR20230016417A (ko) 이동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 진료 서비스 방법
Haji et al. A simulation case study: Reducing outpatient waiting time of otolaryngology care services using VBA
US2013015127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are coordination in healthcare
KR102133141B1 (ko)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US20120016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 patient to a health care provider and location
US20160140297A1 (e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etancourt-Odio et al. Scheduling optimization in ophthalmology using multi-objective integer models
Ajmi et al. Patient Pathway Workflow Model Identifying Overcrowding Indicators in Emergency Department
US11640585B2 (en) Method for customizable priority wait list notification for appointments
Okyere-Mensah et al. Research Article Assessing Client Satisfaction with Health Service Delivery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The Case of Komfo Anokye Teaching Hospital
Kong et al. Optimal physician scheduling in a multi-clinic network to improve patient accessibility to outpatient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