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026A -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026A
KR20230016026A KR1020237000841A KR20237000841A KR20230016026A KR 20230016026 A KR20230016026 A KR 20230016026A KR 1020237000841 A KR1020237000841 A KR 1020237000841A KR 20237000841 A KR20237000841 A KR 20237000841A KR 20230016026 A KR20230016026 A KR 2023001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client
determining
locatio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069B1 (ko
Inventor
치앤이 슈
슈한 루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1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06F40/18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of spreadshe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를 개시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단계;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동일한 공유 파일을 표시할 때, 현재 페이지의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공유자 클라이언트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해당 두 개의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두 목표 정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7월 9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010657852.3이고, 발명의 명칭이 “정보 위치의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부 원용되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통신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 소통하는 것은 이미 사용자들이 정보를 교류하는 중요한 방식 중의 하나로 되었다. 현재,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정보를 공유할 때,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한 정보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자유롭게 브라우징할 때,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지시할 수 없으므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공유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없으며, 심지어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 있는지 감지할 수 없어, 사용자 공유 체험이 떨어지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에 대해 지시하고,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단계;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지시 장치를 더 제공하며,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제1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2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전자기기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기기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한 공유 파일을 획득한 후,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해당 공유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해당 공유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과정에서,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유 과정을 파악하도록 지원하고, 현재 자유 브라우징 모드임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한편,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보 공유 기술은 화면 공유 기술로서, 즉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화면 인터페이스 비디오 스트림을 캐치하고, 네트워크 대역폭을 통해 비디오 스트림을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종래기술은 네트워크와 비디오에 대한 압축 요구가 보다 높으므로, 이미지 전송 과정에서 네트워크 딜레이, 압축 해제 왜곡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쉽게 발생하여, 공유 화면이 원활하지 않고, 선명하지 않고, 정보 공유 효과와 사용자 체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에 따른 정보 공유 기술은, 공유 파일의 페이지 컨텐츠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공유하여,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 파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화질이 높으며 원활한 정보 공유를 구현하고, 사용자의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첨부 도면을 결합하고 아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술한 및 기타 특징, 장점 및 측면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원본과 요소는 비율에 따라 제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 중 피공유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4에 따른 정보 지시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 5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도이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록 첨부 도면에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출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함으로써 본 출원을 더욱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첨부 도면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 역할을 수행하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방법 실시형태에 기재된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순서에 따라 실행되거나, 및/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방법 실시형태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 및/또는 도시된 단계의 실행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에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 및 그 변형은 개방형 포함으로서,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이다. 용어 "기반으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이다. 용어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용어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용어 "일부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를 나타낸다. 기타 용어의 관련 정의는 아래의 설명에서 주어진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제1", "제2" 등의 개념은 서로 다른 장치, 모듈 또는 유닛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장치, 모듈 또는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순서 또는 상호 의존 관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하나", "복수"와 같은 수식어는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는 문맥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는 한, "하나 또는 복수"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특히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을 자유롭게 브라우징할 때, 피공유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설명 중인 정보의 위치에 대해 지시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정보 지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전자기기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에서, 여기서, 아래와 같은 방식을 통해 공유 파일에 대해 공유할 수 있다. 우선, 정보 공유 서버(예컨대 DOCS 서버)는 통신 범위 내(예컨대 동일한 멀티미디어 회의에 참가하는 통신 범위 내)의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트리거한 공유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공유 명령은 공유 파일의 식별자 정보와 공유 범위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공유 명령을 트리거하는 클라이언트를 공유자 클라이언트로 지칭할 수 있으며; 다음, 정보 공유 서버는 공유 파일의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공유 파일의 통합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 URL)를 결정하고, 및 공유 범위 정보를 기초로 통신 범위로부터 공유 명령에서 지정한 공유 범위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정보 공유 서버는 공유 파일의 URL를 공유 범위 내의 기타 클라이언트에 배포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유 파일의 URL을 수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로 지칭하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정보 공유 서버 중의 공유 파일의 URL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고, URL에 액세스하여 공유 파일의 파일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공유 파일의 파일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공유 서버는 또한 공유 파일에 대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편집 조작을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로 배포할 수 있으며, 편집 조작은 공유 파일에 대해 수행한 스크롤링, 페이지 넘기, 편집, 주석, 삭제, 선택, 확대, 축소 및 부분 강조 표시 등의 공유 파일이 지원하는 조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편집 조작을 기초로 표시된 공유 파일에 대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에 따라 공유 파일에 대해 편집할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는 공유자 추종 컨트롤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윈도우 인터페이스에 공유 파일을 표시할 때, 공유자 추종 컨트롤을 트리거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모드를 추종 모드로 조정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추종 모드에서, 정보 공유 서버로부터 공유 파일에 대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편집 조작을 획득하고, 상기 편집 명령에 따라 표시된 공유 파일에 대해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에 따라 공유 파일에 대해 편집할 수 있다.
한편,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는 자유 브라우징 컨트롤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윈도우 인터페이스에 공유 파일을 표시할 때, 자유 브라우징 컨트롤을 트리거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모드를 자유 브라우징 모드로 조정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서, 공유 파일에 대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편집 조작을 획득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윈도우 인터페이스에 작용한 브라우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브라우징 명령에 따라 공유 파일의 각 페이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서 공유 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을 기반으로 파일 공유를 수행할 때,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의 지시를 구현할 수 없으므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감지할 수 없게 되어, 공유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없고, 심지어 자유 브라우징 모드인지 여부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공유 체험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의 흠결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어떤 클라이언트가 공유 명령을 트리거하여, 정보 공유 서버를 통해 통신 범위 내의 기타 클라이언트에 URL을 발송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를 공유자 클라이언트로 간주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해당 클라이언트이며, 해당 클라이언트가 수신된 URL을 액세스하여, 정보 공유 서버로부터 공유 파일을 획득하여 표시할 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동일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공유 문서의 트리거 클라이언트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해당 클라이언트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인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인지를 결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서로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동일한 클라이언트의 신원은 공유자 클라이언트일 수 있고, 또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일 수도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을 획득한 후, 클라이언트에 내장된 브라우저의 윈도우 인터페이스(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라고도 지칭 가능)에서 상기 공유 파일을 열어, 공유 파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유 파일은 적어도 한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는 예를 들어 공유 파일이 현재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서, 현재 표시한 공유 파일의 페이지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파일은 동시에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도 표시되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페이지와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동일 시점에 표시한 페이지는 동일한 페이지일 수 있고, 상이한 페이지일 수도 있다.
여기서, 현재 페이지의 제1 목표 정보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 즉 공유 파일 중 페이지 컨텐츠의 위치 정보, 예컨대 공유 파일 중 페이지 컨텐츠의 행 파라미터 또는 페이지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제1 목표 정보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위치 정보, 예컨대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 측부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파라미터는 제1 목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실시간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현재 페이지의 제1 위치 파라미터가 변화될 때, 변화된 후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S120,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의 제2 목표 정보는 마찬가지로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 및/또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자 클라이언트는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표시 페이지의 제2 위치 파라미터가 변화될 때, 변화된 후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 서버를 통해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로 발송하여,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 실시간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및 제2 위치 파라미터를 수신함으로써, 지시 식별자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위치 파라미터 및/또는 제2 위치 파라미터가 변화될 때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및/또는 제2 위치 파라미터를 수신함으로써, 지시 식별자의 동적 업데이트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지시 식별자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은,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제1 기설정 위치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또는,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커서에 대응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가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때,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제1 기설정 위치 지점, 또는 공유 파일 중 커서의 위치에 표시된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설정 위치는 예컨대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중심 위치 또는 좌상측 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커서의 위치에 표시된 공유 파일은 바로 커서에 대응되는 공유 파일이며, 예컨대 커서가 위치한 행의 페이지 컨텐츠이다.
여기서, 제1 기설정 위치와 커서의 위치는 사용자가 관심하는 페이지 정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심 위치의 페이지 컨텐츠, 또는 커서가 위치한 행의 페이지 컨텐츠를 사용자가 브라우징 또는 설명하고 있는 컨텐츠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관심하는 페이지 정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기타 위치도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다. 동일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위치 파라미터의 결정 표준이 일치하도록 확보할 수 있고,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결정된 지시 식별자가 더욱 정확하도록 할 수 있다.
S130,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구현 형태로서, 지시 식별자는 지시 방향일 수 있다.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위 또는 아래) 및/또는 수평 방향(좌 또는 우)일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상의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차이가 보다 작거나 보다 큰 방향을 지시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시 방향을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며, 예를 들어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지시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식별자를 추가함으로써,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식별자는 예컨대 화살표 식별자일 수 있다. 한편,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가 동일한 경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컨대, 지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개인 수요에 따라, 현재 브라우징 정보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 사이에서 전환하기에 유리하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공유 파일에 대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공유 프로세스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현재 자유 브라우징 모드임에 대해 보다 명확한 모드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은 문서, 전자 테이블, 마인드 맵, 프레젠테이션, 휴대식 문서 또는 웹페이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여기서는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다. 여기서, 일부 파일 유형의 공유 파일은 한 가지 표시 상태만 존재하고, 일부 파일 유형은 두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표시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 공유 파일이 한 가지 표시 상태만 존재할 때,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고; 공유 파일이 두 가지 및 그 이상의 표시 상태가 존재할 때,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파일 유형, 또는 동일한 파일 유형의 상이한 표시 상태의 공유 파일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의 결정 방식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획득된 지시 식별자도 상이하며, 예컨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획득된 지시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이고,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획득된 지시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이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회의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라이브 방송 애플리케이션 및 단체 채팅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이므로,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실시간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일 공유를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것도 구현할 수 있으며, 실시간 인터랙션의 인터랙션 형태를 다양화할 뿐만 아니라, 정보의 공유 효율 및 사용자의 공유 체험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한 공유 파일을 획득한 후,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해당 공유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해당 공유 파일을 브라우징하는 과정에서,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제공하여, 공유 프로세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자유 브라우징 모드임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정보 지시 방법에 따른 정보 공유 기술은, 공유 파일의 페이지 컨텐츠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공유함으로써, 기존의 화면 공유 기술에서 네트워크 딜레이, 압축 해제 왜곡 등이 쉽게 발생하는 흠결을 극복할 수 있고, 화질이 높으며 원활한 정보 공유를 구현하고, 사용자의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본 출원의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 중 각각의 선택적 방안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은, 지시 식별자의 일 구현 형태로서 지시 방향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다양한 파일 유형의 공유 파일의 일 또는 다양한 표시 상태에서 대응되는 지시 방향의 결정 방식을 열거하였으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상이한 파일 유형 또는 동일한 유형의 상이한 전시 상태에 대해 상이한 지시 방향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문서 유형이면,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Docs 클라우드 파일 또는 Word 클라우드 파일일 수 있다.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 컨텐츠는 연속으로 편집된 행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제1 위치 파라미터 또는 제2 위치 파라미터에는 페이지 컨텐츠의 행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행 번호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는 모두 행 번호일 수 있다.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의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므로, 행 번호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1 문서 행 파라미터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제1 문서 행 파라미터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가 동일하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전자 테이블 유형이면,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테이블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Sheets 클라우드 파일 또는 Excel 클라우드 파일일 수 있다. 전자 테이블 유형의 공유 파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테이블 중 각각의 셀은 행 번호와 열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위치 파라미터 또는 제2 위치 파라미터는 셀의 행 번호와 열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행 번호 차이 및/또는 열 번호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행 파라미터의 행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열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열 파라미터의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행 차이값 및/또는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테이블 행 파라미터와 제2 테이블 행 파라미터는 모두 행 번호일 수 있고, 제1 테이블 열 파라미터와 제2 테이블 열 파라미터는 모두 열 번호일 수 있다.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한 후, 행 차이값 및/또는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기초로 두 개의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 또는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 중의 하나의 차이값을 기초로 하나의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행 차이값을 기초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열 차이값을 기초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나아가, 행 차이값 및/또는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열 차이값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클 때,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작을 때,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열 차이값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 중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 중 절대값이 보다 큰 한 항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테이블 유형의 공유 파일 중 셀의 행 번호는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적으로 커지고, 열 번호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여기서,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행 차이값이 0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행 차이값이 0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열 차이값이 0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좌측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열 차이값이 0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우측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이 0이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열 차이값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 만약 행 차이값이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이면,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고, 만약 열 차이값이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이면,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하기 전에,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그러하면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자 테이블 유형의 공유 파일에 대하여, 테이블 식별자는 유일하게 공유 파일 중의 하나의 테이블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식별자는 문자, 숫자, 자모 및 부호 등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예컨대 “표 1” 또는 “Tab1” 등일 수 있다. 만약 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테이블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테이블이 동일 테이블이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가 동일하고; 만약 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테이블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테이블이 다른 테이블이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가 상이하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테이블을 표시할 때,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의 산출을 수행하고; 공유자 클라이언트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다른 테이블을 표시할 때,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의 산출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테이블을 표시할 때 지시 방향 산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가 모두 마스트 테이블의 식별자일 때,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절약한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마인드 맵 유형이면, 마인드 맵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인드 맵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Mindnotes 클라우드 파일일 수 있다. 마인드 맵 유형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는, 적어도 브레인맵 뷰 모드와 아웃라인 뷰 모드 이 두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인맵 뷰 모드는 각 레벨 테마의 관계를 서로 종속 및 관련시키는 계층도로 표현하는 모드로 간주할 있으며, 여기서 계층도는 예컨대 트리 차트일 수 있고; 아웃라인 뷰 모드는 폴딩/전개 명령에 응답하여, 테마 아래의 서브 테마를 폴딩/전개하는 리스트 모드로 간주할 수 있으며, 리스트 모드에서 각각의 테마는 행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인맵 뷰 모드에서의 계층도는 명확한 행, 열 등의 위치 파라미터가 없으므로, 만약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브레인맵 뷰 모드가 존재하면, 지시 방향을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아웃라인 뷰 모드에서의 테마 리스트에는 테마 행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만약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모두 아웃라인 뷰 모드이면,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테마 행 번호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마인드 맵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모두 아웃라인 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여기서, 아웃라인 뷰 모드는 폴딩/전개 명령에 응답하여, 테마 아래의 서브 테마에 대해 폴딩/전개하는 모드인 단계; 만약 그러하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는 모두 테마의 행 번호일 수 있다. 아웃라인 뷰 모드에 따른 테마의 행 번호는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행 번호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제1 테마 행 파라미터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제1 테마 행 파라미터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가 동일하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프레젠테이션 유형이면,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젠테이션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Slides 클라우드 파일 또는 PPT 클라우드 파일일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유형의 공유 파일은 적어도 일 페이지의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드는 페이지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Slides 클라우드 파일과 PPT 클라우드 파일의 표시 상태는 재생 상태와 비재생 상태를 포함한다. 만약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다르면, 지시 방향을 결정하지 않을 수 있고; 만약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동일하면,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페이지 번호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그러하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는 모두 페이지 번호일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유형의 공유 파일이 재생 상태이므로,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는 매번 일 페이지의 슬라이드를 재생하고, 슬라이드 사이의 전환 방향을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예컨대 만약 페이지 번호가 큰 슬라이드가 우측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로 진입하면, 페이지 번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만약 페이지 번호가 큰 슬라이드가 하측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페이지 번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프레젠테이션 유형의 공유 파일이 비재생 상태이므로, 슬라이드는 일반적으로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페이지 번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예시적으로, 표시 상태가 모두 재생 상태이며, 페이지 번호가 큰 슬라이드가 우측으로부터 인터페이스에 진입할 때,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좌측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우측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상태가 모두 비재생 상태일 때,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가 동일하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휴대식 문서 유형이면,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식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PDF 클라우드 파일일 수 있다. 휴대식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는 페이지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페이지 번호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는 모두 페이지 번호일 수 있다. 휴대식 문서 유형의 공유 파일의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므로, 페이지 번호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지시 방향을 위로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가 동일하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웹페이지 유형이면,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웹페이지 유형의 공유 파일은 예컨대 임의의 웹사이트 페이지일 수 있다. 웹페이지 유형의 공유 파일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상하로 스크롤링 열람 가능한 페이지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측부에 스크롤 바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스크롤 바 위치 차이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종방향 사이즈 크기는 차이가 존재하고,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는 모두 스크롤 바가 존재하는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크롤 바의 종방향 사이즈의 위치 파라미터일 수 있으므로, 사이즈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가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를 수행하기에 편리하다. 일반적인 경우,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종방향을 따라 스크롤링 궤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결정 방식은, 스크롤 바로부터 스크롤링 궤도 상단까지의 거리가 전체 스크롤링 궤도 사이즈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웹페이지 유형의 공유 파일의 페이지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스크롤 바를 통해 위로부터 아래로 열람하며,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지시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만약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보다 크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지시 방향이 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만약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보다 작으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지시 방향이 아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가 동일하면,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때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공유 파일의 문서 유형이 각각 문서, 전자 테이블, 마인드 맵, 프레젠테이션, 휴대식 문서 및 웹페이지일 때, 한 가지 또는 다양한 표시 상태에서의 지시 방향의 결정 방식, 및 상이한 지시 방향의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획득되는 상이한 지시 방향을 열거하였으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상이한 파일 유형 또는 동일한 유형의 상이한 전시 상태에 대해 상이한 지시 방향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3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 중 각각의 선택적 방안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은 지시 방향의 지시 방식에 대해 최적화하여, 위치 지시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10,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이다.
S220,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S230,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한다.
S240, 버튼 컨트롤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의 제2 기설정 위치에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기설정 위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사이드 위치일 수 있으며, 공유 파일의 페이지 정보를 가리우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기설정 위치는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사이드의 중간 위치일 수 있으므로, 보다 명확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 알림, 및 자유 브라우징 모드 알림을 구현하기에 유리하다.
S250, 지시 방향을 기초로 버튼 컨트롤 상에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여,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컨트롤 상에 지시 방향에 대응되는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함으로써,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수 있으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현재 설명 중인 정보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지시 방향이 상/하/좌/우일 때, 대응되는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는 단계는, 버튼 컨트롤의 상/하/좌/우측에 상/하/좌/우를 지향하는 화살표를 추가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화살표의 형태와 칼라는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할 필요가 없을 때, 즉 결정된 지시 방향이 엠티(empty)일 때, 버튼 컨트롤만 표시하고, 버튼 컨트롤 상에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용자에게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가 동일함을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브라우징하는 정보가 바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임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튼 컨트롤에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프로필 사진, 명칭 등의 식별자일 수 있으므로, 보다 명확한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의 알림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버튼 컨트롤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추종 모드로 전환하고, 여기서 추종 모드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는 복수의 공유자 추종 컨트롤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버튼 컨트롤은 그 중 하나의 공유자 추종 컨트롤이 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공유자 추종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예컨대 클릭 조작)이 검출될 때, 자유 브라우징 모드로부터 추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추종 모드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 현재의 표시 페이지의 페이지 컨텐츠를 획득하고, 및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페이지에 대한 상하 스크롤링 또는 페이지 컨텐츠에 대한 편집 등의 조작을 획득하여, 공유자 클라이언트 현재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것, 및 공유자 클라이언트를 추종하여 페이지 스크롤링 또는 페이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추종 모드에서, 제1 위치 파라미터의 획득,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수신, 및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중지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 실시예에서, 단지 버튼 컨트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버튼 컨트롤은 지시 컨트롤의 일 구현 형태일 뿐, 기타 유형의 컨트롤을 지시 컨트롤로서 사용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구현할 때, 그 구체적인 구현 과정과 원리는 버튼 컨트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지시 방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지시 방향은 지시 식별자의 일 구현형태일 뿐, 기타 식별자를 지시 식별자로서 사용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구현할 때, 그 구체적인 구현 과정과 원리는 지시 방향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추종 모드로 전환될 때, 피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를 추종하여 표시하므로, 제1 위치 파라미터는 항상 제2 위치 파라미터와 동일하고, 결정된 가이드 방향도 항상 가이드 불필요이고, 이때 제1 위치 파라미터의 획득을 중지하고,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수신을 중지하고, 및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여, 컴퓨팅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상응하게, 버튼 컨트롤도 이때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설정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자유 브라우징 모드가 아님을 파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 중 피공유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브라우저가 인서트된 윈도우 인터페이스(즉,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301) 내에 공유 파일의 페이지 컨텐츠(302)가 표시되어 있다. 자유 브라우징 모드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우측 중간 위치에 버튼 컨트롤(303)이 더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버튼 컨트롤(303)은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프로필 사진이 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버튼 컨트롤의 하측에 아래를 지향하는 화살표를 추가하여,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설명하는 정보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하는 정보에 비해 아래에 있음을 지시함으로써,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제2 목표 정보에 대한 지시를 구현하고,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현재 정보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유 과정을 파악하도록 지원하고, 현재 자유 브라우징 모드임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공유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피공유자 클라이언트는 버튼 컨트롤(303)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자유 브라우징 모드로부터 추종 모드로 전환하여, 공유자 클라이언트 현재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것, 및 공유자 클라이언트를 추종하여 페이지 스크롤링 또는 페이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버튼 컨트롤을 설정하고, 버튼 컨트롤 상에 지시 방향에 대응되는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함으로써, 제2 목표 정보에 대한 지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버튼 컨트롤 상에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를 전시함으로써, 지시 효과를 더욱 최적화할 수 있으며; 버튼 컨트롤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추종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더욱 유연하고 생동감 있는 모드 전환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4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4에 따른 정보 지시 장치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장치는 특히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을 자유롭게 브라우징할 때, 피공유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서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현재 설명 중인 정보의 위치에 대해 지시하는 상황에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지시 장치는,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제1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410);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2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420);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43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은,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제1 기설정 위치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또는,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공유 파일 중 커서에 대응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 또는,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문서 유형이면,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나아가,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전자 테이블 유형이면,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행 파라미터의 행 차이값을 산출하고;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열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열 파라미터의 열 차이값을 산출하고;
행 차이값 및/또는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아가, 행 차이값 및/또는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열 차이값의 절대값을 비교하고;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클 때,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작을 때,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열 차이값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 중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하기 전에,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그러하면, 행 차이값과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마인드 맵 유형이면, 마인드 맵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마인드 맵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모두 아웃라인 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아웃라인 뷰 모드는 폴딩/전개 명령에 응답하여, 테마 아래의 서브 테마에 대해 폴딩/전개하는 모드인 것;
만약 그러하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제2 테마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프레젠테이션 유형이면,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만약 그러하면,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휴대식 문서 유형이면,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약 파일 유형이 웹페이지 유형이면,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는 지시 방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지시 컨트롤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의 제2 기설정 위치에 설정하고;
지시 방향을 기초로 지시 컨트롤 상에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여,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한다.
나아가, 지시 컨트롤은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가 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정보 지시 장치는,
버튼 컨트롤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추종 모드로 전환하며, 여기서 추종 모드는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모드인 모드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추종 모드에서, 정보 지시 장치는,
제1 위치 파라미터의 획득,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수신, 및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한다.
선택적으로, 지시 컨트롤은 버튼 컨트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보 지시 장치는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회의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라이브 방송 애플리케이션 및 단체 채팅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현재 페이지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페이지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장치는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 방법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과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상술한 장치에 포함된 각각의 유닛과 모듈은 기능 논리에 따라 분할한 것일 뿐, 상술한 분할에 제한되지 않고,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만 있으면 되며; 한편, 각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도 서로 구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5
이하, 도 5를 참조하며,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예컨대 도 5 중의 단말기 또는 서버, 500)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노트북,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태블릿 컴퓨터(Portable android device, PAD),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PMP), 차량용 단말(예컨대,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 및 디지털 TV(Television),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전자기기는 일 예시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능과 사용 범위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되어서는 안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500)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5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장치(506)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503)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양한 적합한 동작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처리 장치(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등, 501)를 포함할 수 있다. RAM(503)에는 전자기기(500)의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더 저장되어 있다. 처리 장치(501), ROM(502), RAM(503)은 버스(5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출력((Input/output, I/0) 인터페이스(505)도 버스(504)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패널,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로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506);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507);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508); 및 통신 장치(509)와 같은 장치는 I/O 인터페이스(505)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장치(509)는 전자기기(500)와 기타 기기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비록 도 5는 다양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5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해하여야 할 점은 모든 도시된 장치의 실시 또는 구비를 요구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실시하거나 더욱 많은 또는 더욱 적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고,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적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509)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 및 설치되거나, 또는 저정 장치(506)로부터 설치되거나, 또는 ROM(502)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처리 장치(501)에 의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여, 이에 의해 한정되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은 동일한 사상에 속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기술 세부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는 동일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6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 출원의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상술한 양자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예컨대 전기, 자기, 광,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적 연결, 휴대식 컴퓨터 자기디스크,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FLASH), 광섬유, 휴대식 컴팩트 자기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광 저장소자, 자기 저장소자,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베이스밴드 또는 반송파의 일부분으로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적재되어 있다. 이렇게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는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합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전기 와이어, 광케이블,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등,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클라이언트,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와 같은 임의의 현재 알려진 것 또는 미래에 연구 개발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와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로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및 엔드 대 엔드 네트워크(예를 들어, ad hoc 엔드 대 엔드 네트워크), 및 임의의 현재 알려진 것 또는 미래에 연구 개발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술한 전자기기에 포함된 것일 수 있고;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있고,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기기로 하여금,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이고;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도록 한다.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프로그램 설계 언어 또는 그 조합으로 본 출원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상술한 프로그램 설계 언어는 Java, Smalltalk, C++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램 설계 언어를 포함하고, "C"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램 설계 언어와 같은 일반적인 절차식 프로그램 설계 언어를 더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하나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실행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와 관련된 경우,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광역 통신망(WAN)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에 연결(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전자기기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하여금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전자기기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하여금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을 수행하도록 한다.
첨부 도면 중의 흐름도와 블록도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구현 가능한 시스템 아치텍쳐, 기능 및 조작을 도시한다. 여기서, 흐름도 또는 블록도 중의 각각의 블록은 하나의 모듈, 프로그램 섹션, 또는 코드의 일부분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모듈, 프로그램 섹션, 또는 코드의 일부분은 하나 또는 복수의 소정 논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한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일부 대체적인 구현에서, 블록에 표기된 기능은 도면에 표시된 순서와 다르게 발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연이어 표시된 블록은 실제로는 기본적으로 병열로 수행될 수 있고, 이들은 반대되는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고, 이는 관련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주의하여야 할 점은,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중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중의 블록의 조합은 소정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적인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거나, 또는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언급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닛, 모듈의 명칭은 특정 경우에 상기 유닛, 모듈 자체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예컨대, 공유 모듈은 “페이지 공유 모듈”이라고도 기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논리 부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사용 가능한 예서적 유형의 하드웨어 논리 부재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용 표준 제품(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arts, ASSP),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컴플렉스 프로그래머블 논리 기기(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고, 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의해 사용 또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선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기기, 자기 저장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단계;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3]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은,
상기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제1 기설정 위치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 중의 커서에 대응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4]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5]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6]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문서 유형이면,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7]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문서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8]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전자 테이블 유형이면,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9]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행 파라미터의 행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열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열 파라미터의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 및/또는 상기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0]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행 차이값 및/또는 상기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클 때, 상기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 중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1]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그러하면,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2]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마인드 맵 유형이면, 마인드 맵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3]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마인드 맵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표시 상태가 모두 아웃라인 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상기 아웃라인 뷰 모드는 폴딩/전개 명령에 응답하여, 테마 아래의 서브 테마에 대해 폴딩/전개하는 모드인 단계;
만약 그러하면,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테마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4]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프레젠테이션 유형이면,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5]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그러하면,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6]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휴대식 문서 유형이면,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7]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8]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만약 상기 파일 유형이 웹페이지 유형이면,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19]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0]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식별자는 지시 방향인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1]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는,
지시 컨트롤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의 제2 기설정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시 방향을 기초로 상기 지시 컨트롤 상에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여,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2]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컨트롤에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가 전시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3]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지시 컨트롤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추종 모드로 전환하고, 여기서 상기 추종 모드는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모드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4]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추종 모드에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의 획득,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수신, 및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5]는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컨트롤은 버튼 컨트롤인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6]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상기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회의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라이브 방송 애플리케이션 및 단체 채팅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시 27]은 정보 지시 방법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현재 페이지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페이지이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사용되는 기술 원리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 관련된 공개 범위는 상술한 기술특징의 특정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술방안에 제한되지 않고, 동시에 상술한 공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상술한 기술특징 또는 그 동등한 특징이 임의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기타 기술방안, 예를 들어 상술한 특징과 본 출원에 개시된(단 이에 제한되지 않음) 유사한 기능을 갖는 기술특징에 대해 상호 치환하여 형성된 기술방안을 포괄하여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비록 특정 순서로 각 조작들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이는 이러한 조작들이 나타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일정 환경에서, 멀티 태스크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몇 구체적인 구현 세부사항이 상기 기재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은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개별적인 실시예의 문맥에서 기재된 일부 특징들은 조합되어 단일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문맥에서 기재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 조합의 형태로 복수의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의 논리적 동작에 특정된 언어를 사용하여 본 주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주제가 반드시 위에 기재된 특정 특징 또는 동작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위에서 기재된 특정 특징 및 동작은 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이다.

Claims (32)

  1.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단계;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제2 위치 파라미터는 동일한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라미터 결정 규칙은,
    상기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제1 기설정 위치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공유 파일을 표시하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공유 파일 중의 커서에 대응되는 공유 파일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유 파일의 파일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식별자 결정 방식은,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문서 유형이면,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문서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전자 테이블 유형이면,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테이블 유형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 및/또는 열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행 파라미터의 행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이블 열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이블 열 파라미터의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 및/또는 상기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행 차이값 및/또는 상기 열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클 때, 상기 행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이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열 차이값을 기반으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행 차이값의 절대값과 상기 열 차이값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 중 우선급이 높은 차이값을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테이블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러하면, 상기 행 차이값과 상기 열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마인드 맵 유형이면, 마인드 맵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인드 맵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행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가 모두 아웃라인 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여기서, 상기 아웃라인 뷰 모드는 폴딩/전개 명령에 응답하여, 테마 아래의 서브 테마에 대해 폴딩/전개하는 모드인 단계;
    그러하면,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테마 행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테마 행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테마 행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프레젠테이션 유형이면,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유형, 및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와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에서의 상기 공유 파일의 표시 상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러하면,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도큐먼트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휴대식 문서 유형이면,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식 문서 유형에 대응되는 페이지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문서 페이지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유형이 웹페이지 유형이면,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유형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의 스크롤 바 파라미터 비교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 중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스크롤 바 위치 파라미터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식별자는 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는,
    지시 컨트롤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중의 제2 기설정 위치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시 방향을 기초로 상기 지시 컨트롤 상에 화살표 지시 효과를 추가하여,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시 컨트롤에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식별자가 전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컨트롤의 클릭 명령에 응답하여 추종 모드로 전환하고, 여기서 상기 추종 모드는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를 추종하여 표시하는 모드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추종 모드에서,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의 획득,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의 수신, 및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컨트롤은 버튼 컨트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상기 실시간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회의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라이브 방송 애플리케이션 및 단체 채팅 인터랙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피공유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현재 페이지 중 제1 목표 정보의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현재 페이지는 공유자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공유 파일 중의 페이지인 제1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공유자 클라이언트의 표시 페이지 중 제2 목표 정보의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제2 위치 파라미터 획득 모듈;
    상기 제1 위치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위치 파라미터를 기초로 지시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2 목표 정보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식별자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시 장치.
  29.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0.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31.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00841A 2020-07-09 2021-06-16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KR102652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57852.3A CN113535662B (zh) 2020-07-09 2020-07-09 一种信息位置的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202010657852.3 2020-07-09
PCT/CN2021/100267 WO2022007601A1 (zh) 2020-07-09 2021-06-16 一种信息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026A true KR20230016026A (ko) 2023-01-31
KR102652069B1 KR102652069B1 (ko) 2024-03-28

Family

ID=7812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841A KR102652069B1 (ko) 2020-07-09 2021-06-16 정보 지시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7809A1 (ko)
EP (1) EP4163799A4 (ko)
JP (1) JP7378658B2 (ko)
KR (1) KR102652069B1 (ko)
CN (1) CN113535662B (ko)
CA (1) CA3185034A1 (ko)
WO (1) WO2022007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5662B (zh) * 2020-07-09 2023-04-07 抖音视界有限公司 一种信息位置的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033821A (zh) * 2022-05-24 2022-09-0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文档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4872A1 (en) * 2005-02-15 2006-08-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ation viewing tool designed for the viewer
KR20140099606A (ko)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50054246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081766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90011422A (ko) *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셀 자동 분할 장치
US20190095403A1 (en) * 2017-09-25 2019-03-28 Musyf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amless continuous pla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media and browser screen sharing
WO2019061360A1 (zh) * 2017-09-29 2019-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分享方法及装置
US20210097135A1 (en) * 2019-09-30 2021-04-01 Dropbox, Inc. Collaborative in-line content item annotations
CN113535662A (zh) * 2020-07-09 2021-10-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位置的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217A (ja) 1998-09-09 2000-03-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画面表示制御方法、電子会議システム、および画面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US8154581B2 (en) * 2002-10-15 2012-04-10 Revolutionary Concepts, Inc.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JP2007004611A (ja) 2005-06-24 2007-01-11 Canon Inc 画面表示制御方法、電子会議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792814B2 (en) * 2005-09-30 2010-09-07 Sap, Ag Apparatus and method for parsing unstructured data
JP2010033229A (ja) 2008-07-28 2010-02-1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同期状態を制御可能な電子会議システム
CN101820430A (zh) * 2010-05-12 201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ims web会议中实现文件共享的方法及装置
US9178981B2 (en) * 2010-12-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erein
US9461876B2 (en) * 2012-08-29 2016-10-04 Loci System and method for fuzzy concept mapping, voting ontology crowd sourcing, and technology prediction
US9696882B2 (en) * 2013-08-28 2017-07-04 Lenovo (Beijing) Co., Ltd. Operation processing method, oper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4753974A (zh) * 2013-12-25 2015-07-0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共享浏览方法及系统
JP2016177614A (ja)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会議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10635746B2 (en) * 2016-04-29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b-based embeddable collaborative workspace
CN106249997B (zh) * 2016-07-27 2019-08-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桌面页显示方法及装置
CN106534268B (zh) * 2016-10-19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共享方法及装置
CN106657255A (zh) * 2016-10-26 2017-05-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文件共享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7040457B (zh) * 2017-06-20 2020-04-1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方法和装置
CN110019058B (zh) * 2017-10-13 2022-12-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操作的共享方法和装置
US11023656B2 (en) * 2017-10-20 2021-06-01 Heretik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a specified document review task
US20190312917A1 (en) * 2018-04-05 2019-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collaboration with co-presence indicators
WO2019200190A1 (en) * 2018-04-13 2019-10-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viding digital identities
US20200110792A1 (en) * 2018-10-04 2020-04-09 Binyamin Tsabba Customiz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atform method and devices
CN111107116B (zh) * 2018-10-26 2024-03-05 莫西菲股份有限公司 递送个性化和定制化媒体的无缝连续播放的系统和方法以及浏览器屏幕共享
CN109669924A (zh) * 2018-12-24 2019-04-23 天津字节跳动科技有限公司 在线文档的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226983B2 (en) * 2019-06-18 2022-01-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scope synchronization
CN110737415A (zh) * 2019-09-12 2020-01-31 北京真视通科技股份有限公司 屏幕共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750197B (zh) * 2019-10-17 2021-07-2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共享方法、装置、系统、相应设备及存储介质
CN111008085A (zh) * 2019-11-29 2020-04-14 苏州浩辰软件股份有限公司 Cad共享聊图操作系统
CN111078655B (zh) * 2019-12-23 2023-1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档内容分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520480B2 (en) * 2020-04-15 2022-12-06 Tekion Corp Physical lock electronic interface too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4872A1 (en) * 2005-02-15 2006-08-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ation viewing tool designed for the viewer
KR20140099606A (ko)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50054246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081766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90011422A (ko) *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셀 자동 분할 장치
US20190095403A1 (en) * 2017-09-25 2019-03-28 Musyf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amless continuous pla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media and browser screen sharing
WO2019061360A1 (zh) * 2017-09-29 2019-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分享方法及装置
US20210097135A1 (en) * 2019-09-30 2021-04-01 Dropbox, Inc. Collaborative in-line content item annotations
CN113535662A (zh) * 2020-07-09 2021-10-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位置的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8658B2 (ja) 2023-11-13
WO2022007601A1 (zh) 2022-01-13
CA3185034A1 (en) 2022-01-13
EP4163799A4 (en) 2023-10-11
KR102652069B1 (ko) 2024-03-28
CN113535662A (zh) 2021-10-22
US20220247809A1 (en) 2022-08-04
CN113535662B (zh) 2023-04-07
JP2023530775A (ja) 2023-07-19
EP4163799A1 (en)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0999B2 (ja) 検索ページ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端末機及び記憶媒体
CN108989297B (zh) 信息访问方法、客户端、装置、终端、服务器和存储介质
WO2020133373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007012A1 (zh) 一种搜索页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50227308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JP2022506929A (ja) ディスプレイページのインタラクション制御方法及び装置
JP7334362B2 (ja) 文書内テーブル閲覧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WO2023093538A1 (zh) 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53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p-up window, and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0597612B (zh) 智能设备任务管理的方法和装置
US20220247809A1 (en) Information indicat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40013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modification of desktop layou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hereof
CN111931472A (zh) 页面表格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5474085B (zh) 媒体内容播放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4061201A1 (zh) 一种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WO2023138294A1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3342230A (zh) 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723309B (zh) 用于网页搜索的方法和装置
CN113238688B (zh) 表格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3032626A (zh) 搜索结果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6111882A1 (en) Control of access and management of browser annotations
CN113204299B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880606A (zh) 页面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5238156A (zh) 搜索页面展示方法、装置、设备、介质和产品
JP201514610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