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203A -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203A
KR20230015203A KR1020210096662A KR20210096662A KR20230015203A KR 20230015203 A KR20230015203 A KR 20230015203A KR 1020210096662 A KR1020210096662 A KR 1020210096662A KR 20210096662 A KR20210096662 A KR 20210096662A KR 20230015203 A KR20230015203 A KR 2023001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warehouse
sel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주한
이상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203A/ko
Priority to US17/585,210 priority patent/US11763244B2/en
Priority to CN202210160237.0A priority patent/CN115689424A/zh
Publication of KR2023001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 G05D1/028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generated in a local control ro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7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control plane, e.g. signalling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ctor-trailers, i.e. combinations of a towing vehicle and one or more towed vehicles, e.g. caravans; Road trains
    • B60W2300/145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6Delive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제서버가 정상 인증된 트랙터에 상기 트랙터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정보를 전송하고, 아울러 트레일러 관리장치에 상기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트랙터를 식별하고, 아울러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상기 트랙터가 자신에게 할당된 트레일러가 아닌 다른 트레일러를 운송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트레일러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트레일러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허브 투 허브(Hub to Hub) 물류 운송 환경에서 복수의 트랙터와 복수의 트레일러 간의 연결(Coupling)을 관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을 이용하여 물류거점간에 이루어지는 물류의 운송을 친환경적으로 자동화함으로써 녹색물류를 지향하고, 화물차의 수송분담율을 줄여 도로의 혼잡율을 완화시키며 철도운송의 접근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물류거점 간 자동 운송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물류거점 간 자동 운송 시스템은 지하에 다수의 트랜스듀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상기 전용도로상을 주행하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자동운반차량과, 상기 자동운반차량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를 옮겨 실은 상태에서 물류거점 사이를 주행하는 차량, 및 상기 자동운반차량 및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차량은 자동운반차량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컨테이너를 옮겨 싣기 위한 트레일러와, 상기 트레일러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트랙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는 내측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자동운반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고정 지지하는 리프트 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류거점간 자동 운송 시스템은 각 트레일러에 대한 트랙터의 접근을 제한하지 못하며, 상기 트랙터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트랙터가 자신에게 할당된 트레일러가 아닌 다른 트레일러를 운송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제서버가 정상 인증된 트랙터에 상기 트랙터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정보를 전송하고, 아울러 트레일러 관리장치에 상기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트랙터를 식별하고, 아울러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상기 트랙터가 자신에게 할당된 트레일러가 아닌 다른 트레일러를 운송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트레일러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은,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트레일러 관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트레일러가 위치하는 상기 창고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창고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창고정보를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창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선회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상기 복호화한 창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은, 관제서버가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일러가 위치하는 상기 창고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에 근접한 경우, 상기 창고정보를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을 선회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창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관제서버가 정상 인증된 트랙터에 상기 트랙터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정보를 전송하고, 아울러 트레일러 관리장치에 상기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트랙터를 식별하고, 아울러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상기 트랙터가 자신에게 할당된 트레일러가 아닌 다른 트레일러를 운송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트레일러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서버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레일러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랙터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은, 관제서버(100), 트레일러 관리장치(200), 트랙터(300) 및 복수의 창고(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랙터(300)는 일례로 제1 트랙터(310)와 제2 트랙터(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관제서버(100)는 트랙터(300)와 트레일러 간의 연결을 중개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200) 및 상기 트랙터(300)와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복수의 허브를 대상으로 각 허브별로 위치한 트레일러 관리장치(200)와 연동하여 각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일례로, 창고번호)를 관리하고, 아울러 각 트레일러와 매칭되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는 복수의 트레일러가 위치하는 장소(집하장)를 의미한다.
관제서버(100)는 트랙터(300)로부터 상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트랙터(300)가 정상 등록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관제서버(100)는 상기 트랙터(300)가 정상 등록된 차량이면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트랙터(300)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트랙터(300)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트랙터(300)로부터 상기 트랙터(300)의 위치정보(일례로,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랙터(300)가 허브(또는 창고)에 근접한 경우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트랙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부터 특정 창고 주변(일례로, 창고 입구)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기하고 있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부터 각 창고(400)마다 설치된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고 있는 트랙터(300)를 인식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부터 각 창고(400)마다 설치된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창고(일례로, 3개 이상의 창고) 주변을 서성이는(선회하는) 트랙터(300)를 인식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각 창고(400)마다 구비된 도어의 개폐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관제서버(100)와 연동하여 트랙터(300)와 매칭된 창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트랙터(300)가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된 창고 주변에 도착하면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일례로,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상기 창고에 설치된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창고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카메라(22)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카메라(22)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주기적(일례로 1초)으로 수행하고, 이렇게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화면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참고로, 트레일러는 트랙터(300)에 의해 견인되는 차량으로서, 컨테이너를 통해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트랙터(300)는 자율주행차량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허브 간의 트레일러를 운송할 수 있다.
트랙터(300)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에 전송하여 인증을 받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랙터(30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고, 상기 복호화한 트레일러의 위치를 출력부(32)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창고(4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창고마다 할당된 번호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서버(100)는, 저장부(10), 제1 통신부(11), 제2 통신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서버(100)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0)는 트랙터(300)를 인증하고, 정상 인증된 트랙터(300)에 상기 트랙터(300)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정보(일례로, 창고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트랙터(300)의 거동이 의심되는 경우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일례로, 창고번호)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와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는 트레일러 관리장치(2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11)는 무선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인터넷 모듈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통해 트레일러 관리장치(200)의 통신부(21)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트레일러 관리장치(200)의 통신부(21)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는 트랙터(3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상기 트랙터(300)로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창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트랙터(300)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신부(12)는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통신망을 통해 트랙터(300)의 통신부(31)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3)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13)는 트랙터(300)를 인증하고, 정상 인증된 트랙터(300)에 상기 트랙터(300)가 운송해야 할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트랙터(300)의 거동이 의심되는 경우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일례로, 창고번호)가 기록된 테이블을 관리(업데이트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2 통신부(12)를 통해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트랙터(300)가 정상 등록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상기 트랙터(300)가 정상 등록된 차량이면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트랙터(300)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를 제어하고, 상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2 통신부(12)를 통해 상기 트랙터(300)의 위치정보(일례로,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랙터(300)가 허브(또는 창고)에 근접한 경우 상기 트랙터(300)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상기 트랙터(300)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1 통신부(11)를 통해 특정 창고 주변(일례로, 창고 입구)에서 일정시간 이상 대기하고 있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1 통신부(11)를 통해 각 창고(400)마다 설치된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고 있는 트랙터(300)를 인식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제1 통신부(11)를 통해 각 창고(400)마다 설치된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창고(일례로, 3개 이상의 창고) 주변을 서성이는 트랙터(300)를 인식한 경우, 도난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는 경고신호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레일러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저장부(20), 통신부(21), 카메라(22), 도어 구동부(23), 경고부(24), 및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2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로직과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일례로, 창고번호)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관제서버(11)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관제서버(100)로부터 트랙터(3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2)는 창고(400)마다 설치되어 창고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모듈로서, 트랙터(300)의 식별정보(차량번호)가 포함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3)는 각 창고(400)의 도어를 개폐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경고부(24)는 시각적 경고, 청각적 경고, 촉각적 경고를 수행하는 모듈로서, 디스플레이 기기, 스피커, 진동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5)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5)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25)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트레일러가 위치한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도록 도어 구동부(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암호화된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일례로,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는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렇게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관제서버(10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 경고화면, 경고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경고하도록 경고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랙터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랙터(300)는, GPS 수신기(20), 통신부(31), 출력부(32), 및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에 구비된 트랙터(300)를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GPS 수신기(20)는 트랙터(300)의 GPS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는 관제서버(10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관제서버(100)로부터 트레일러의 위치정보(창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제서버(100)로 트랙터(3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출력부(32)는 트랙터(300)의 위치정보(창고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2)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3)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3)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어부(33)는 관제서버(100)로부터 트레일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트랙터(300)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트레일러의 위치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으면,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1 트랙터(310)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한다(501).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관제서버(100)는 제1 트랙터(310)를 인증하고, 정상 인증되면 제1 트랙터(31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1 트랙터(310)가 허브(또는 창고)에 도착했는지 판단한다(502).
이후, 관제서버(100)는 제1 트랙터(310)가 허브(또는 창고)에 도착한 경우,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트랙터(310)가 운송해야 하는 트레일러가 주차된 창고정보(창고번호)를 검출한다(503). 즉, 관제서버(100)는 제1 트랙터(310)와 매칭되는 창고정보를 검출한다.
이후, 관제서버(100)는 상기 검출한 창고정보와 상기 제1 트랙터(100)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한다. 이때, 암호화 방식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어떠한 방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후, 관제서버(100)는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제1 트랙터(310)로 전송하고(505), 암호화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506).
이후, 제1 트랙터(31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복호화한다(507). 이때, 상기 제1 트랙터(310)가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상기 복호화된 창고정보에 기초하여 창고가 위치한 장소로 자율주행하고, 상기 제1 트랙터(301)가 일반차량인 경우, 운전자에게 창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호화된 창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508).
이후,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를 복호화한다(509).
이후,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한다(510). 즉,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22)는 제1 트랙터(310)와 매칭된 창고의 주변(일례로, 출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한다(511).
상기 판단결과(511),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한다(512).
이후,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한다(513).
상기 판단결과(511), 트레일러 관리장치(200)는 상기 추출한 제2 트랙터(320)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트랙터(310)의 식별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513" 과정으로 진행한다.
이후, 관제서버(100)는 제2 트랙터(320)의 거동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을 감지하면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514, 515). 이때, 제2 트랙터(320)의 거동 이상은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 창고 주변을 서성이는(선회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송 관제 방법은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시스템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관제서버
200: 트레일러 관리장치
300: 트랙터
400: 창고

Claims (20)

  1.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트레일러 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트레일러가 위치하는 상기 창고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창고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창고정보를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창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선회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는,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암호화된 창고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는,
    상기 복호화한 창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13. 관제서버가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추출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창고정보에 상응하는 창고의 주변영상에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가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가 상기 수신한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창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는,
    트레일러가 위치하는 상기 창고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정보를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에 근접한 경우, 상기 창고정보를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가 상기 트레일러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창고 주변을 선회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가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제2 자율주행 트랙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율주행 트랙터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한 창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물류 운송 관제 방법.
KR1020210096662A 2021-07-22 2021-07-22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5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62A KR20230015203A (ko) 2021-07-22 2021-07-22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7/585,210 US11763244B2 (en) 2021-07-22 2022-01-26 System for controlling logistics transform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CN202210160237.0A CN115689424A (zh) 2021-07-22 2022-02-22 物流运输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62A KR20230015203A (ko) 2021-07-22 2021-07-22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203A true KR20230015203A (ko) 2023-01-31

Family

ID=8497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662A KR20230015203A (ko) 2021-07-22 2021-07-22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3244B2 (ko)
KR (1) KR20230015203A (ko)
CN (1) CN115689424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7514B2 (en) 2005-05-23 2007-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tely determining and managing connection of tractor and trailer
US9501920B2 (en) * 2012-06-22 2016-11-22 K.L. Harring Transportation LLC Cargo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DE102017119969B4 (de) * 2017-08-31 2023-01-05 Saf-Holland Gmbh Anhänger mit einer Anhänger-Steuervorrichtung, Ankupplungssystem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Kupplungsprozesses
AU2018332988A1 (en) * 2017-09-13 2020-04-02 Alarm.Co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ate monitoring during departure or arrival of an autonomous vehicle
US20230259867A9 (en) * 2017-11-03 2023-08-17 Peyman Ahmadi System of unit/cargo dynamic traffic and schedule management
KR20190088135A (ko) 2018-01-06 2019-07-26 정택윤 자율주행 화물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1675A (ko) 2020-10-19 2022-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랙터 트레일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3244B2 (en) 2023-09-19
US20230027909A1 (en) 2023-01-26
CN115689424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240B2 (en) Landing pad receptacle for package delivery and receipt
US11709498B2 (en) Method, system and related device of implementing vehicl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US20170147975A1 (en) Unmanned aerial delivery to secure location
US89337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FID identification data for an authentication server
US9460577B2 (en) Sharing a key for a vehicle
KR101147683B1 (ko) 생체인식 카드와 csd를 활용한 컨테이너 및 물류추적시스템
WO2018044660A1 (en) Smart package
US202000100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storage in keyed devices
US1082020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e provisioning of NFC credentials
EP3559896B1 (en) Controlling access to compartments of a cargo transportation unit
US10685247B2 (en) Infrastructure-device status-verification system for automated vehicles
WO2006019753A1 (en) Wirelessly enabled trailer locking/unlocking
US20190027044A1 (en) Automated secured-area access system for an automated vehicle
US11482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cognize transported passengers and goods
US9607457B2 (en) Reuseable keyfob for use prior to sale of keyless vehicle
US20190066401A1 (en) Actions associated with vehicle receiving stations
CN105635941B (zh) 控制指定域内无线设备之间关联的系统和方法
KR20230015203A (ko) 물류 운송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16248B2 (ja) 自動車に対する自動的なセキュアデータの転送
US11958438B2 (en) System for managing a tractor-trailer and a method for the same
CN110708192B (zh) 一种应用于可添加设备的车载管理系统及方法
US20240109513A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102616231B1 (ko) Nfc 디지털 키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SE1351077A1 (sv)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trådlöst koppla åtminstone enextern enhet för kommunikation med ett fordon
US20220147917A1 (e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