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084A -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084A
KR20230015084A KR1020210096408A KR20210096408A KR20230015084A KR 20230015084 A KR20230015084 A KR 20230015084A KR 1020210096408 A KR1020210096408 A KR 1020210096408A KR 20210096408 A KR20210096408 A KR 20210096408A KR 20230015084 A KR20230015084 A KR 2023001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ntal
product
uhf rfid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언
이학경
임호진
홍명표
정영수
박상연
지용규
김용진
김규남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콩테크 주식회사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콩테크 주식회사,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084A/ko
Priority to US17/592,507 priority patent/US20230026895A1/en
Publication of KR2023001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10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105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Abstract

본 발명은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의 의료진들의 별도의 수행동작 없이 이들이 사용하는 용품에 대한 위치, 재고, 및 유효기간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과의 의료진에게 치과용품과 관련된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ntal Supplies}
본 발명은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치과의 의료진들의 별도의 수행동작 없이 이들이 사용하는 용품에 대한 위치, 재고, 및 유효기간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과의 의료진에게 치과용품과 관련된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용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수술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과용 용품(예를 들어, 임플란트 픽스쳐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치과용 용품의 경우 유효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고를 많이 보유하기도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병원 내에서 치과용 용품에 대한 수기장부 혹은 엑셀정리 등의 작업으로 적정량을 관리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선행특허 1(한국등록특허 10-1866898)은 라벨 베이스 롤(roll)의 정해진 일정 영역마다 해당 물품에 대응하는 일반 정보를 인쇄 및 특정 일련번호를 갖는 RFID 태그를 부여하는 단계; 해당 물품에 부착될 준비된 메인 상표나 포인트용 마크의 후면에 RFID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RFID 태그가 부여된 라벨 베이스 롤을 소정 크기의 개별 단위 라벨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개별 단위 라벨 및 상기 후면에 RFID 태그가 부착된 메인 상표 또는 포인트용 마크를 해당 물품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해당 물품이 창고나 물류센터, 매장에서 입/출고 시, RFID 리더기에 의해 상기 해당 물품의 라벨, 메인 상표 또는 포인트용 마크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RFID 리더기에 의해 독출된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물품을 추적 및 관리하는 단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특허 1은 바코드 스캔과 같이 용품의 태그를 RFID 리더기에 입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부수적인 행동이 수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치과용품에 대하여 치과병의원에서 요구되는 재고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1866898호 (등록일 2018년 6월 5일)
본 발명은 치과의 의료진들의 별도의 수행동작 없이 이들이 사용하는 용품에 대한 위치, 재고, 및 유효기간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과의 의료진에게 치과용품과 관련된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 상기 치과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모듈; 상기 수납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모듈에 내부에 수납되는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의 판독용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UHF RFID리더기;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상응하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시스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별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현재재고정보를 도출하고, 현재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단계;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재고정보,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알림정보제공단계; 및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고관리단계;을 수행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모듈은, 내부 격벽이 존재하지 않는 단일의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캐비넷;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1 이상의 치과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시스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면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부수용공간의 상면은 20cm이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사용자가 상기 UHF RFID태그를 상기 UHF RFID리더기에 근접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상기 UHF RFID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UHF RFID태그의 UUID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UHF RFID태그의 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개별적인 치과용품별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되고,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해당 치과용품의 품명정보, 해당 치과용품의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고정보단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은,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공간선택레이어; 및 상기 공간선택레이어에서 선택된 공간에 따른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의 현재재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고정보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고정보제공단계는, 상기 UHF RFID리더기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해당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수량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변동에 기초하여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고정보레이어는, 재고수량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치과용품의 재고정보; 및 상기 사용량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추출된 특정 치과용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에 대한 알림 여부 및 안전재고수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안전재고설정단계; 상기 현재재고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수량이 상기 안전재고수량보다 적은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안전재고알림도출단계; 및 상기 안전재고알림정보를 안전재고알림정보를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전체 치과용품에 대한 기준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효기간설정단계; 상기 치과용품 중 유효기간이 상기 기준유효기간에 도달한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유효기간알림도출단계; 및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를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와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용품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치과용품관리 시스템은,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 상기 치과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모듈; 상기 수납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모듈에 내부에 수납되는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의 판독용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UHF RFID리더기;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상응하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시스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별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현재재고정보를 도출하고, 현재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재고정보,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알림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고관리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의 의료진들의 별도의 수행동작 없이 이들이 사용하는 용품에 대한 위치, 재고, 및 유효기간을 자동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의 의료진에게 치과용품과 관련된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모듈에 UHF RFID리더기가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서버시스템의 수행동작 및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정보제공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정보제공단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의 세부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안전재고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안전재고에 대한 자동적 업데이트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알림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의 세부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유효기간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관리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정보제공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 등의 컴퓨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 상기 치과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모듈; 상기 수납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모듈에 내부에 수납되는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의 판독용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UHF RFID리더기;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상응하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시스템;를 포함한다.
치과에는 진료실, 소독실, 수술실로 구별될 수 있고, 각각의 실의 수납모듈에는 1 이상의 UHF RFID리더기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치과용품에는 UHF RFID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UHF RFID리더기는 수납모듈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치과내의 의료진은 별도의 태그를 RFID 리더기에 근접시키는 등의 액션 없이 원래 하는 대로 업무를 수행하고, UHF RFID리더기는 수납모듈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시스템에 송신한다.
이후, 사용자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특정 물품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조회를 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재고정보, 알림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모듈에 UHF RFID리더기가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모듈은, 내부 격벽이 존재하지 않는 단일의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캐비넷;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1 이상의 치과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시스템박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캐비닛에는 전면 도어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캐비닛 내부에는 선반 등의 별도의 격벽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UHF RFID 특성상 선반 등의 가로축의 격벽이 존재하는 경우에, UHF RFID안테나모듈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에 위치하는 UHF RFID태그의 경우 인식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박스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수용공간에 적층하는 형태로 치과용품을 수납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편,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면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부수용공간의 상면은 20cm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모듈은 면형태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하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UHF RFID 태그들을 보다 균질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모듈은 제한적인 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테나모듈의 바로 아래위치에 존재하지만 안테나모듈의 면적을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 태그에 대해서는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a로 지칭된 구역이 20cm이상 이격을 함으로써, 상측에 위치하는 UHF RFID리더기가 보다 누락없이 UHF RFID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사용자가 상기 UHF RFID태그를 상기 UHF RFID리더기에 근접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상기 UHF RFID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UHF RFID태그의 UUID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의료진은 별도의 태그의 리더기로의 인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원래 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더라도 치과용품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UHF RFID태그의 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UHF RFID태그에는 각각의 물품의 UUID만 포함되어 있고, UHF RFID태그의 정보는 상기 UU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용품상세정보는 UUID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해당 치과용품의 품명정보, 품명상세스펙(크기 등), 해당 치과용품의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UHF RFID태그에는 각각의 물품의 UUID와 함께 상기 용품상세정보가 포함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서버시스템의 수행동작 및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별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현재재고정보를 도출하고, 현재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단계(S100);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재고정보,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알림정보제공단계(S200); 및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고관리단계(S300); 및 상기 재고정보제공단계, 및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산출된 일부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종합정보제공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재고정보제공단계(S100),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S200), 상기 재고관리단계(S300), 및 상기 종합정보제공단계(S400)을 각각 수행하는 재고정보제공부(1100), 알림정보제공부(1200), 재고관리부(1300), 및 종합정보제공부(1400)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정보제공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는 각각의 UHF RFID리더기는 기설정된 주기로 인식된 복수의 판독용품정보와 함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형태의 해당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개별적인 치과용품별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되고,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해당 치과용품의 품명정보, 해당 치과용품의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판독용품정보에는 해당 치과용품에 대한 UUID 혹은 일종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용품상세정보는 해당 UUID와의 연결정보와 용품과 관련된 상세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UUID에 연결된 용품상세정보는 서버시스템의 외부의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UUID와 용품상세정보가 모두 기록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재고정보제공부에서 생성되는 재고정보는 각각의 치과용품별 UUID, 용품명, 유효기간, 위치 등을 포함하는 용품별재고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용품별재고정보는 기본적으로 해당 치과의 수납모듈에 존재하는 용품 전체에 대한 리스트형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별재고정보는 상기 용품별재고정보로부터 도출되는 진료실, 소독실, 수술실 별로 치과용품의 재고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품별재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수량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변동에 기초하여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정보도 서버시스템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특정 UUID를 갖는 치과용품이 수납모듈에 들어오면서 상기 용품별재고정보로서 등록이 되었다가, 해당 수납모듈의 외부로 나가는 것이 확인되고(해당 UHF RFID리더기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판독용품정보 중 외부로 나간 용품이 제외됨), 기설정된 기간 이후에도 해당 치과용품이 다른 수납모듈 등으로 반입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치과용품을 사용된 치과용품으로 판단하여, 사용량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량정보는 각각의 치과용품과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시간(사용일시)이 리스트형태로 기록될 수 있고, 이로부터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특정 치과용품의 사용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정보제공단계에 의하여 표시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고정보단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은,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공간선택레이어(L1); 및 상기 공간선택레이어에서 선택된 공간에 따른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의 현재재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고정보레이어(L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공간선택레이어(L1)에서 특정 실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우측의 재고정보레이어의 보유재고, 재고목록 등의 화면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재고정보제공단계는, 상기 UHF RFID리더기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해당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수량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변동에 기초하여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재고정보레이어는, 재고수량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치과용품의 재고정보(도 5의 '보유재고'에 해당함); 및 상기 사용량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추출된 특정 치과용품(도 5의 '최다/최저 사용제품'에 해당함);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의 세부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에 대한 알림 여부 및 안전재고수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안전재고설정단계(S210); 상기 현재재고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수량이 상기 안전재고수량보다 적은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안전재고알림도출단계(S220); 및 상기 안전재고알림정보를 안전재고알림정보를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S210에서는 치과용품의 종류별로 알림을 제공하는 지 여부에 대한 설정 및 알림을 줄 때의 재고수량, 즉 안전재고수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현재재고정보에서 해당 종류의 치과용품이 감소하여 상기 안전재고수량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알림을 제공되고, 상기 S210에서는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단계 S220에서는 S210에서 설정된 안전재고수량보다 적은 치과용품에 대하여 안전재고알림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수량과 현재의 재고수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재고알림정보의 생성주기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해당 치과용품의 재고수량이 상기 안전재고수량에 도달한 경우에 1차적으로 안전재고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이후에도 해당 치과용품의 수량이 안전재고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기설정된 알림주기에 따라 안전재고알림정보를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주기는 안전재고수량과 현재의 재고수량의 차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안전재고수량과 현재의 재고수량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알림주기가 짧아지도록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안전재고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치과용품의 종류별로 안전재고에 대한 알림을 하는 지 여부를 상기 알림여부설정레이어(L3)에서의 조작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고, 각각의 치과용품의 종류별로 안전재고수량를 안전재고수량설정레이어(L4)에서의 조작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안전재고에 대한 자동적 업데이트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은 안전재고수량설정레이어(L4)에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7과 같은 안전재고수량설정레이어(L4)에는 추가적으로 안전재고자동업데이트라는 탭이 있고, 이와 같은 안전재고자동업데이트탭의 조작을 통하여 해당 치과용품에 대하여 안전재고에 대한 자동적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A)는 특정 치과용품의 수량이 감소하고, 안전재고수량에 도달하였을 때, 알람이 발생하고, 이후 신규재고가 입고하여 다시 재고수량이 증가하는 정상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8의 (B)는 특정 치과용품의 수량이 감소하고, 안전재고수량에 도달하였을 때, 알람이 발생하고, 이후 신규재고가 입고 전에 꾸준하게 해당 치과용품에 재고부족이 발생하고, 이후 다시 재고수량이 증가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재고부족발생일과 신규재고입고일 사이에는 해당 치과용품을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안전재고알람을 받음에 불구하고, 주문이 늦거나 혹은 배송/공급 일정에 차질이 생긴 케이스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안전재고수량 알람이후, 재고부족이 발생함이 감지되는 물품의 경우 자동적으로 안전재고수량을 증가시켜, 이후에는 재고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업데이트된 안전재고수량은 이전의 안전재고수량, 재고부족발생일과 신규재고입고일 사이의 기간, 및 알람발생일로부터 재고부족발생일 까지의 일별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된 안전재고수량은 하기와 같은 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 업데이트된 안전재고수량 = 이전의 안전재고수량 + (재고부족발생일과 신규재고입고일 사이의 기간 * 알람발생일로부터 재고부족발생일 까지의 일별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알림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화면에는 알람정보제공단계에서의 안전재고수량에 대한 알람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유효기간에 가까운 치과용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표시되는 알림리스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버튼(E1)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단순히 주문버튼(E1)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버시스템은 치과용품을 주문을 수행하는 외부의 서버에 연결이 되어 있고, 상기 주문버튼(E1)의 입력( 및 후속하는 주문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치과용품을 자동적으로 주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의 세부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HF RFID태그에 기록된 정보 혹은 서버시스템에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6에서와 같은 단계에 추가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전체 치과용품에 대한 기준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효기간설정단계(S210); 상기 치과용품 중 유효기간이 상기 기준유효기간에 도달한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유효기간알림도출단계(S220); 및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를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와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유효기간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각의 유효기간별로 알림이 오는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치과용품의 유효기간이 2021.7.4인 경우에, '유효기간 3개월 이내 제품 알림'을 선택을 하면 2021.4.4에 해당 치과물품에 대한 알람이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치과의 의료진은 가급적 유효기간에 대한 알람이 확인된 치과물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유효기간의 도과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관리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재고관리단계는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재고관리 대상의 실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료실, 소독실, 수술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각각의 실의 수납모듈 내부에 위치하는 치과용품들를 종류별로 안전재고 및 현재재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주문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재고관리 인터페이스에서 바로 해당 치과용품을 주문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정보제공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종합정보제공단계는 전술한 재고정보제공단계, 및 알림정보제공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일괄적으로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정보제공단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은 각각의 위치별 보유수량으로 정렬된 치과용품의 재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별재고정보레이어; 치과 전체에서 기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수량의 정렬된 사용량재고레이어(L7), 최근 알림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알림레이어(L8), 및 유효기간이 임박한 치과물품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유효기간정보레이어(L9)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 등의 컴퓨팅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의 내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고, 혹은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4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14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컴퓨팅장치(1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1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
    상기 치과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모듈;
    상기 수납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모듈에 내부에 수납되는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의 판독용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UHF RFID리더기;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상응하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시스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별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현재재고정보를 도출하고, 현재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단계;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재고정보,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알림정보제공단계; 및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고관리단계;을 수행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모듈은,
    내부 격벽이 존재하지 않는 단일의 내부수용공간을 갖는 캐비넷;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1 이상의 치과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시스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면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안테나모듈과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부수용공간의 상면은 20cm이상 이격되어 있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사용자가 상기 UHF RFID태그를 상기 UHF RFID리더기에 근접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상기 UHF RFID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UHF RFID태그의 UUID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는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UHF RFID태그의 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개별적인 치과용품별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저장되고,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해당 치과용품의 품명정보, 해당 치과용품의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고정보단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은,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공간선택레이어; 및
    상기 공간선택레이어에서 선택된 공간에 따른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 중 어느 하나의 현재재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고정보레이어;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고정보제공단계는,
    상기 UHF RFID리더기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해당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치과용품의 수량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변동에 기초하여 해당 치과용품의 사용량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재고정보레이어는,
    재고수량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치과용품의 재고정보; 및
    상기 사용량정보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추출된 특정 치과용품;을 디스플레이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에 대한 알림 여부 및 안전재고수량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안전재고설정단계;
    상기 현재재고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수량이 상기 안전재고수량보다 적은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안전재고알림도출단계; 및
    상기 안전재고알림정보를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품상세정보는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정보제공단계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전체 치과용품에 대한 기준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효기간설정단계;
    상기 치과용품 중 유효기간이 상기 기준유효기간에 도달한 치과용품에 대한 유효기간알림정보를 도출하는 유효기간알림도출단계; 및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를 상기 유효기간알림정보와 관련된 시간 정보와 함께 리스트형태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9. 치과용품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치과용품관리 시스템은,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
    상기 치과용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모듈;
    상기 수납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모듈에 내부에 수납되는 치과용품에 부착된 UHF RFID태그의 판독용품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UHF RFID리더기;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상응하는 용품상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시스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상기 UHF RFID리더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판독용품정보에 기초하여 진료실, 소독실, 및 수술실별로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현재재고정보를 도출하고, 현재재고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재고정보제공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현재재고정보, 안전재고정보, 및 유효기간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알림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한, 사용자단말에 상기 치과용품별 현재재고정보 및 상기 안정재고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각각의 치과용품에 대한 주문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재고관리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210096408A 2021-07-22 2021-07-22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5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08A KR20230015084A (ko) 2021-07-22 2021-07-22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7/592,507 US20230026895A1 (en) 2021-07-22 2022-02-03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ntal article information based on uhf rf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08A KR20230015084A (ko) 2021-07-22 2021-07-22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84A true KR20230015084A (ko) 2023-01-31

Family

ID=8497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408A KR20230015084A (ko) 2021-07-22 2021-07-22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26895A1 (ko)
KR (1) KR202300150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28B1 (ko) * 2023-02-06 2023-09-06 발페인트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한 페인트 재고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98B1 (ko) 2017-01-31 2018-06-12 (주) 비에스알앤디코퍼레이션 Rfid 태그를 이용한 물품 추적 및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6903B2 (en) * 2007-12-28 2011-08-30 Mckesson Automation, Inc. Proximity-bas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to aid in dispensing and restocking inventory
ITPR20130007A1 (it) * 2013-02-05 2014-08-06 Ingegneria Biomedica Santa Lucia S P A Metodo per tracciare materiali e beni sanitari con sistema di identificazione rfid; area e/o struttura di contenimento attuante detto metodo
US9171280B2 (en) * 2013-12-08 2015-10-27 Kit Check, Inc. Medication tracking
US11177036B2 (en) * 2017-12-22 2021-11-16 Trueview Logistics Technology Llc Inventory management through image and data integ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98B1 (ko) 2017-01-31 2018-06-12 (주) 비에스알앤디코퍼레이션 Rfid 태그를 이용한 물품 추적 및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28B1 (ko) * 2023-02-06 2023-09-06 발페인트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한 페인트 재고관리 시스템
KR102597206B1 (ko) * 2023-02-06 2023-11-02 발페인트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페인트 무게감지에 기초한 재고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6895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4731A1 (en) Cold Storage System for Storing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ers
CA2773332C (en) Inventory monitoring and verification system
AU2008329820B2 (en) Active tag-based dispensing
KR101886172B1 (ko)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1818864A1 (en) Electronic shelf labels,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server,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US20140263633A1 (en) Medical device tracking system and apparatus
US2018000517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inventory using an rfid kanban system
US1038053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inventory in a medical facility
KR101886177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장치 및 그의 자동 발주 방법
EP3970089A1 (e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EP3192048A1 (en) System for tracking utilization and consumption of medical items in a medical facility and maintaining a chain of custody based thereon
US20070294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linical Care Setting Per Patient According To Clinical Guidelines
KR20230015084A (ko) Uhf rfid 기반의 치과용품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202133065A (zh) 電子設備及其操作方法
JP6932154B2 (ja) 医薬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薬品管理方法
US202101924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roduct expiration
JP64867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保管庫
BR112017022381B1 (pt) Método para fornecer uma interface de usuário,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aparelho para fornecer uma interface de usuário e sistema
Dhauta et al. Interactive intellegent shopping cart using RFID and ZIGBEE modules
KR101325625B1 (ko) 제품 코드 제공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816073A1 (en) Medicine management system
KR20160117022A (ko) 물품 재고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재고 관리방법
CN116913441A (zh) 医嘱信息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ederico An overview of error-reduction options
VILAMOVSKA et al. Study on the requirements and options for RFID application 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