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772A -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772A
KR20230014772A KR1020227045408A KR20227045408A KR20230014772A KR 20230014772 A KR20230014772 A KR 20230014772A KR 1020227045408 A KR1020227045408 A KR 1020227045408A KR 20227045408 A KR20227045408 A KR 20227045408A KR 20230014772 A KR20230014772 A KR 2023001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rol variable
variable
oi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드리안 크람리히
슈테판 랑게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쉬에넨파쩨우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1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04B39/066Cooling by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10), 냉각 장치(40) 및 제어 장치(30)를 포함하는 압축기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압축기(10)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상기 냉각 장치(40)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T공기, T오일)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압축기 시스템,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해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여러 기술적인 응용예에 사용된다. 이러한 이용 분야의 예로서, 최신 철도 차량에서 소음 방출의 감소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동시에 압축기의 온도 균형은, 전체 온도 범위에서, 철도 차량의 경우 예를 들어 -40℃ 내지 +50℃에서, 그리고 좁은 장치 공간에서도, 보장되어야 한다.
철도 차량의 공기 압축기의 종래의 압축기 시스템은, 압축기 및 경우에 따라서 후냉각기를 포함하거나, 2단계 피스톤 압축기에서처럼 중간 냉각기 및 후냉각기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피스톤 기계로서 또는 회전 응축기로서, 예를 들어 스크류 압축기 또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주로 공냉식이다. 공기 냉각은, 응축기 속도에 대응하는 기계적 또는 신호 기술적 커플링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팬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높은 주변 온도와 불리한 실내 조건에서는 종종 압축기의 과열이 발생한다. 반대로, 이러한 직접적인 커플링에 의해 흡기 온도가 낮고 작동 시간이 짧을 때에는, 높은 냉각 출력으로 인해 내부 얼음 형성 또는 응축수 축적 및 그에 따른 작동 제한뿐만 아니라, 마모 및 부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 속도에 대한 냉각 팬 속도의 커플링으로 인해, 종래의 냉각 시스템으로 해결될 수 없는 목표 충돌이 발생한다.
또한, 냉각 장치의 작동은,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해 최적화된 조건이 발생하는 한편, 전체적으로 볼 때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 상태가 달성되는 방식으로, 압축기 시스템의 온도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압축기 시스템의 개선된 냉각을 가능하게 하는 압축기 시스템,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은, 압축기, 냉각 장치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압축기의 작동과 무관하게 냉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냉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또는 액추에이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는, 압축기의 응축기 속도와 무관하게 최적의 작동에 필요한 냉각 출력에 매칭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는, 냉각 장치의 독립적인 강력한 구동의 별도의 신호 기술적 제어를 통해, 및/또는 예를 들어 전환 가능한 변속비를 사용하여 압축기에 대한 냉각 장치의 기계적 커플링 시 구현될 수 있다. 냉각 장치의 별도 신호 기술적 제어의 장점은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어는, 압축기가 기본적으로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 여부와도 무관하다는 것이다. 제공될 제어 단계/변형예에 따라, 기계적 커플링은, 그에 따른 복잡성으로 인해 더 이상 취급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별도의 신호 기술적 제어는, 압축기와 냉각 장치를 위한 별도의 제어 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독립적인 신호 전달 및 독립적인 신호 내용을 목표로 한다.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생성 시, 경우에 따라서, 압축기 작동 상태도 고려된다는 사실에 의해, 그러한 독립성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독립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정 응축기 속도부터 적어도 냉각 장치의 기본 작동이 제공된다.
냉각 장치의 작동은, 별도의 신호 기술적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도 있고, 압축기가 냉각 장치와 동시에 작동되는 작동 상태에서 응축기 속도에 대한 기계적 커플링이 냉각 장치의 작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냉각 장치의 제어는 여전히 독립적이며, 이 경우 커플링은 선택 가능한 구동 기능 또는 구동 지원만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냉각 장치는, 특정 작동 상태에서 또는 응축기 속도에 대응하는 구동 라인이 요구될 때 압축기에 기계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고, 따라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압축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축기 시스템은, 독립적인 제어 가능성을 제공한다.
압축기의 작동과 무관하게 냉각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냉각 장치는 필요에 따라 접속 및 차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과열 및/또는 응축수 축적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냉각 장치는, 반복적인 작동 시나리오에서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의 작동과 무관한 냉각 장치의 제어는, 작동 상태에 따라 가중치가 동일하지 않아도 되는 다양한, 때로는 상반되는 최적화 기준을 따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 장치는, 냉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또는 액추에이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변수란, 액추에이터가 냉각 장치를 제어하거나 조작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데 근거가 되는 변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의 동적 조정이란, 이용 가능한 제어 변수가 적어도 2개일 때, 하나의, 다른 하나의 또는 2개의 제어 변수를 모두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될 제어 변수 또는 제어 변수의 선택은, 그것의 각각의 값에 근거하고 및/또는 특정 작동 상태에 연관될 수 있다.
제어 변수의 동적 조정에 대한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액추에이터의 동적 조정은, 조작 변수로 제어 변수 또는 제어 변수들의 실제 변환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먼저 하나의 제어 변수만 선택되면, 조작 변수는 액추에이터의 조정에 의해 제어 변수의 값 및/또는 각각의 작동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동적 조정은, 미리 정해진 변환 함수에 따른 제어 변수에 의존해서 조작 변수의 가능한 변경과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변환 함수 자체의 조정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냉각 장치의 제어에 여러 변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 변수로서 변수들 중 하나만 선택하고, 액추에이터의 변환 함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모든 변수는 말하자면 제어 변수로서 사용되지만,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따라 변환 함수가 조정된다. 제어 변수와 액추에이터 조정의 해당 조합도 예로서 언급될 것이다.
이로써 압축기 시스템, 특히 압축기 자체는, 제어 변수에 따라 최적의 작동 점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압축기 시스템의 효율성과 서비스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하위 구성 요소의 과부하도 방지하여, 상기 구성 요소의 효율 및 수명이 높아질 수 있다.
압축기 시스템은, 특히 철도 차량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조작 변수로서 냉각 유체 체적 유량, 특히 냉각 공기 체적 유량을 사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냉각 장치는, 단위 시간당 냉각을 위해 제공되는 유체 체적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정 장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에 대해 팬 속도에 따른 유량과 같이, 유체의 유량은 밸브 위치에 의해 또는 발생량은 구동 출력에 의해 상응하게 제어될 수 있다. 냉각제로서 공기의 사용은, 양호한 가용성으로 인해 간단하고 저렴한 해결 방법이 된다. 냉각제로서 공기만이 사용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공기 유량의 변화에 의해, 냉각은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냉각 유체 온도 및/또는 냉각 장치의 스위치 온 및 오프 시점도 조작 변수로서 이용될 수 있다.
구현 시 제어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제어 변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1차 제어 변수 및/또는 2차 제어 변수에 따라서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제어 변수는 1차 제어 변수로서 정해질 수 있고, 다른 제어 변수는 2차 제어 변수로서 정해질 수 있다.
제어 장치의 미리 정해진 제어 로직에 따라 먼저 사용될 제어 변수가 1차 제어 변수로서 정해진다. 이러한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제어 요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2차 제어 변수 자체가 선택되고 및/또는 1차 제어 변수를 참조하여 다시 고려된다. 즉, 1차 제어 변수가 시간적으로 먼저 따라서 항상 평가되는 한편, 2차 제어 변수는 1차 제어 변수만으로 제어가 야기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어에 영향을 미치면 된다.
한편으로 적어도 2개의 제어 변수에 최적화된, 냉각 장치의 제어가 필요하며, 이 경우 1차 제어 변수 및 관련 결정 기준의 선택에 의한 제1 가중치는, 2개의 변수를 영구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없거나 액추에이터의 변환 함수가 각각의 평가 결과를 고려할 필요가 없도록 간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함수는 캐스케이드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1차 제어 변수와 2차 제어 변수가 영구적으로 검출되지 않아도 되고, 필요할 때만 검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차 제어 변수 자체가 냉각 장치의 제어를 야기하는 한, 2차 제어 변수는 검출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에너지 요구 및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줄인다.
개선예에서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1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및/또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동시에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2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및/또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낮으면, 1차 제어 변수 및 2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가 1차 제어 변수에 따라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에, 1차 제어 변수는 다른 조건에 관계없이 냉각 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는 변수를 표현한다. 즉, 1차 제어 변수로 표현되는 변수는, 이미 다른 변수에 의해 냉각 장치가 충분히 제어되지 않는 상태가 고려된다.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이 초과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장치는 1차 제어 변수에 따라 제어된다. 이를 위해 1차 제어 변수의 각각의 값에 따라 액추에이터 또는 그것의 변환 함수가 조정될 수 있고 및/또는 1차 제어 변수가 변환 함수에 직접 관여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동시에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2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와 2차 제어 변수를 모두 고려하지만, 후자는 액추에이터 또는 변환 함수에 결정적이다. 따라서 추가 변형예에서 냉각 장치의 캐스케이드식 제어에 대해 언급될 수 있는 한편, 예를 들어 다른 냉각 장치와 조합한 대안적인 변형예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 및 2차 제어 변수에 따라, 즉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도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 미만이면, 냉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장치는 여기에서도 1차 제어 변수와 2차 제어 변수를 모두 고려하지만, 2개의 제어 변수는 액추에이터 또는 변환 함수에 결정적이다.
특히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가, 특히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은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가 최대 출력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냉각 장치를 제어하록 구성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는, 조작 변수가 냉각 장치의 최대 출력에 대응하도록 조정된다. 냉각 장치의 최대 출력은, 기술적으로 냉각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최대 출력에 해당하거나 미리 결정된 최대 출력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미리 결정된 최대 출력은, 예를 들어, 기술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출력보다 낮지만 장시간 작동에 바람직하거나 낮은 에너지 소비에서도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출력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과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이 초과되면, 냉각 장치는 항상 최대 출력으로 작동된다. 이는 효율성 이유뿐만 아니라 과도한 냉각 출력의 단점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임계 상한값은 특히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가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1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냉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 변수는, 비례 인자를 곱한 1차 제어 변수로부터, 즉 a는 1차 제어 변수 비례 인자인 공식, 조작 변수 = a * 1차 제어 변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조작 변수가 냉각 장치의 출력에 상응하면, 공식의 이용 가능성은 최대 출력에 의해 제한된다. 이때 최대 출력에 도달하면 액추에이터 또는 변환 함수는, 조작 변수가 최대 출력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는 로직은 조작 변수를 제어할 변수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경로에도 저장될 수 있으므로, 조작 변수가 최대 출력보다 큰 경우에, 출력은 최대 출력으로 제한된다.
특수한 실시예에 따라 보완적으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큰 임계적 1차 제어 상한값이 제어부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냉각 장치는,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을 초과할 때까지 1차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작동되고, 초과 시 최대 출력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임계적 1차 제어 상한값을 초과하면, 각각의 제어 변수를 조작 변수로 변환하기 위해 액추에이터가 조정되고, 1차 제어 변수는 더 이상 변환 함수에 관여하지 않는다.
최대 출력 미만의 출력으로의 냉각 장치의 작동은, 에너지 소비 및 소음 방출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예를 들어 더 낮은 온도에서 수분 흡수 증가 및 관련된 부식 위험과 같은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도, 낮은 냉각으로 인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는 작동 조건에 맞게 조정된 냉각 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어 장치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또는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 이상이면, 냉각 장치가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냉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 변수는, 비례 인자를 곱한 2차 제어 변수로부터, 즉 b는 2차 제어 변수 비례 인자인 공식, 조작 변수 = b * 2차 제어 변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도 액추에이터로서 냉각 장치의 출력 시 최대 출력이 고려될 수 있다. 1차 제어 상한값의 초과 시 예를 들어 1차 제어 변수에 의한 냉각 장치의 제어가 구현되면, 2차 제어 변수에 의존하는 조작 변수가 1차 제어 변수에 의존하는 조작 변수를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2차 제어 변수에 따른 제어 시 최대 출력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어 장치의 해당 설계는, 조건 b * 최대 2차 제어 변수 ≤ a * 최소 1차 제어 변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2차 제어 변수에 따른 제어의 경우에도, 1차 제어 변수를 통한 제어의 경우와 다른 최대 출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최대 2차 제어 변수 출력과 최대 1차 제어 변수 출력 사이가 구별되어야 하며, 상기 출력들은 각각 최대 출력에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에 따라,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는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과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하한값 사이이면, 냉각 장치는 어쨌든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된다.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값에 도달하거나 미달되면, 1차 제어 변수의 값이 얼마인지가 액추에이터에 결정적이다. 2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조정은,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 이상인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조정은 1차 제어 변수는 물론 2차 제어 변수를 고려한다.
여기에서도 각각의 작동 조건에 맞게 조정된 냉각 장치의 제어의 전술한 장점들이 제공된다.
또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제어 장치는,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보다 낮으면, 냉각 장치가 스위치 오프되는 방식으로 냉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에 도달 또는 미달 및 1차 제어 변수 하한값 미달은, 2차 제어 변수는 물론 1차 제어 변수와 관련하여서도 냉각 장치의 작동 요구가 없으며, 따라서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소음 방출을 줄이기 위해 상기 냉각 장치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실시예에서, 압축기 시스템은, 제어 장치에 신호 기술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온도 검출 유닛, 및 오일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온도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검출된 공기 온도를 1차 제어 변수로 그리고 검출된 오일 온도를 2차 제어 변수로 결정하도록, 및/또는 그 반대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온도와 오일 온도는, 공기 온도 검출 유닛과 오일 온도 검출 유닛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간접적인 검출은, 예를 들어 공기 온도 또는 오일 온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품 온도의 검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 온도를 1차 제어 변수로서 결정하는 것은, 공기 온도를 중요한 변수인 1차 기준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오일 온도는 2차 제어 변수로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오일 온도가 너무 높으면 오일이 노후화될 수 있고, 오일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수분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차 제어 변수로서의 공기 온도와 관련해서 제어 요구가 없는 경우, 오일 온도의 온도 범위는, 2차 제어 변수로서 최적화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로써 최적의 온도 범위에 대해 각각의 작동 상태에 대해 조정된 냉각 장치의 제어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압축기 시스템의 부식 위험 및 부품 마모가 감소할 수 있다. 동시에 압축기의 짧은 스위치 온 시간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대안으로서, 오일 온도는 1차 제어 변수로서 그리고 공기 온도는 2차 제어 변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오일에 의한 수분 흡수 또는 오일의 노후화가 결정적인 중요한 변수로 제공되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제어 변수로서 오일 온도의 지정과 2차 제어 변수로서 공기 온도의 지정, 그리고 그 반대로의 지정 또한,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작동 상태나 기타 설정 또는 입력 옵션에 따라, 조정 가능할 수 있다.
2차 제어 변수의 검출 또는 2차 제어 변수의 평가는, 1차 제어 변수의 검출 또는 평가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1차 제어 변수가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지 않을 때에만, 제어 변수가 검출 또는 평가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온도 검출 유닛 및 오일 온도 검출 유닛은, 압축기의 개별적인 배출구에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 온도 검출 유닛은 압축기로부터 공기의 배출 영역에 위치한다. 오일 온도 유닛은 오일 섬프 영역에서 오일의 오일 온도를 측정하며, 예를 들어 오일 섬프로부터 오일의 배출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검출은 각각, 공기 또는 오일의 예상되는 최대 온도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공기 온도 검출 유닛은 또한, 압축기의 하류에 배치되는 후냉각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일 온도 검출 유닛은, 하류에 배치되는 내부 및/또는 외부 오일 회로의 통과 이후의 오일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구현 시 압축기 시스템은, 오일 윤활식 압축기, 특히 오일 윤활식 스크류 압축기로서 설계된다.
특히 오일 윤활식 압축기는, -40℃ 내지 +50℃의 이용 범위처럼 광범위한 기후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작동 중 냉각 요구는 매우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활용도도 중요한 요소이다. 처리 공기와 오일은, 냉각될 매체로서 고려될 수 있고, 이 경우 최적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 오일은 가능한 한 빨리 작동 온도에 도달해야 하지만, 동시에 냉각기 배출구의 공기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안 된다. 가변 냉각은, 특히, 가능한 한 최적의 작동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적어도 2개의 제어 변수를 검출하는 단계, 및
- 검출된 제어 변수에 기초해서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냉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또는 액추에이터는, 검출된 제어 변수에 따라서 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의 특징과 장점들은, 압축기 시스템에 관한 설명과 유사하다.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검출된 제어 변수를 1차 제어 변수로서 결정하고, 검출된 다른 제어 변수를 2차 제어 변수로서 결정하며,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1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를 제어하고,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2차 제어 변수에 따라 냉각 장치를 제어하며, 및/또는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낮으면, 1차 제어 변수 및 2차 제어 변수에 따라서 냉각 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에서도 압축기 시스템에 대한 대응하는 정보가 참조된다.
특히 제어 장치는, 냉각 장치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a) 1차 제어 변수가 특히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은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는 최대 출력으로 작동되고,
b)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는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1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며,
c)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또는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보다 이상이면,
냉각 장치는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제어 변수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고, 및/또는
d)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보다 낮으면, 냉각 장치는 스위치 오프된다.
압축기 시스템에 대한 관련 설명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특히 간단하게, 기존 압축기 시스템의 신호 기술적으로 제어되는 냉각 장치들을 개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스케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압축기 시스템(1)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상기 시스템은 여기에서, 예로서 오일 윤활식 스크류 압축기 시스템으로서 설계되고, 압축기(10), 여기에서 스크류 압축기 및 후냉각기(20)를 포함한다. 응축될 공기는, 처리 공기 흐름(60)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먼저 압축기(10)를 통해 안내되고, 거기서 응축된 다음 후냉각기(20)를 통과한다. 또한, 압축기 시스템(1)은 제어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팬(40)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를 제어한다. 팬은 작동 중에 각각 냉각 공기 체적 흐름(41)을 생성하고, 상기 체적 흐름은 팬(40)을 통해 주로 압축기(10)로 및/또는 압축기 배출구로, 팬(40)을 통해 주로 후냉각기 배출구로 및/또는 후냉각기(20)로, 그리고 팬(40)을 통해 주로 추후에 더 설명되는 오일 냉각기(21) 및/또는 그것의 배출구로 향한다. 여기에서 제어 장치(30)는, 팬들(40)의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 시점 및, 팬 출력에 대응하는 팬 속도를 제어함에 의한 팬들(40)의 냉각 공기 체적 유량 양자 모두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팬(40)의 조작 변수를 다르게 제공하는 것, 즉 예를 들어 변환 함수 및/또는 필요 시 사용되는 비례 인자를 다르게 선택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 장치로서 하나의 팬(40)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압축기(10)는 또한 오일 섬프(11)를 포함하며, 이 경우 오일은 내부 오일 회로(23) 및 오일 냉각기(21)를 통해 안내되는 외부 오일 회로(22)를 통과할 수 있다. 외부 오일 회로(22)를 통한 오일의 안내는, 냉각 장치 또는 팬(40)의 작동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보다 높거나 2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보다 높으면, 오일은 단지 외부 오일 회로를 통해서만 안내된다.
압축기(10)로부터의 처리 공기(60)의 배출구에, 공기 온도 검출 유닛(50a)이 배치되고, 상기 검출 유닛은, 압축기(10)의 배출구(10a)에서의 공기 온도(T공기)를 검출한다. 대안으로서 공기 온도 검출 유닛은 예를 들어 후냉각기(20)의 배출구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오일 섬프(11)의 배출구(11a)에, 오일 온도 검출 유닛(50b)이 배치되고, 상기 검출 유닛은, 오일 섬프(11)의 배출구에서 오일 온도(T오일)를 검출한다. 대안으로서 오일 온도 검출 유닛은, 예를 들어 오일 냉각기(21)의 배출구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30)는, 검출된 공기 온도(T공기) 및/또는 오일 온도(T오일)에 따라 팬(40)을 제어하기 위해, 1차 제어 변수로서 공기 온도(T공기)를 결정하며 그리고 2차 제어 변수로서 오일 온도(T오일)를 결정한다.
도 2는 팬(40) 제어의 개략적인 개념 스케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30)에, 각각 실제 공기 온도 검출 유닛(50a)과 오일 온도 검출 유닛(50b)을 통해 검출되는, 1차 제어 변수인 공기 온도(T공기) 및 2차 제어 변수인 오일 온도(T오일)의 값이 전송된다.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더라도, 예를 들어 2차 제어 변수는 필요에 따라 검출 및/또는 전송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1차 제어 변수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 이하일 때에만, 2차 제어 변수가 검출되고 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 장치(30)는 1차 제어 변수 및/또는 2차 제어 변수의 값에 따라서 이용될 제어 변수 또는 변수들 및/또는 적용 가능한 변환 함수를 선택한다. 팬들(40)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또는 액추에이터는, 이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된다.
팬들(40)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또는 액추에이터의 동적 조정에 의한 제어는,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해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이를 위해 공기 온도(T공기)가 1차 제어 변수로서 판독되며 그리고 오일 온도(T오일)가 2차 제어 변수로서 판독된다. 제어에 특수하게 사용될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 및 전달 함수 선택을 위한 결정 기준으로서,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임계)이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으로,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최대)이 1차 제어 변수 상한값으로서, 오일 온도 한계값(T오일,최저)이 2차 제어 변수 한계값으로서, 그리고 공기 온도 하한값(T공기,오프)이 1차 제어 변수 하한값으로서 제어부에 저장된다.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임계)은, 여기에서 압축기 시스템의 위험을 나타낼 수 있는 공기 온도에 해당하므로, 여기에서 최대 냉각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임계)은, 최대 출력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되는 냉각을 필요로 하는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최대)보다 높다. 오일 온도 한계값(T오일,최저)은 오일의 최저 온도에 해당하고, 공기 온도 하한값(T공기, 오프)은, 팬들(40)이 스위치 오프될 수 있을 때까지의 최대 공기 온도에 해당한다.
검출된 공기 온도(T공기)가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 임계)보다 높으면, 팬들(40)은 각각 최대 출력으로 작동된다. 조절 변수로서 출력(P)은 P = 100%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100%는 기술적으로 지정된 최대 출력과 관련된다. 그러나 100%는 팬(40) 자체에 의해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미리 결정된 다른 최대값과 관련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팬(40)의 출력(P)은, 팬 속도 및 팬(40)을 통해 제공되는 냉각 공기 체적 유량과 관련된다.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 임계)이 초과되지 않으면, 공기 온도(T공기)가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 최대)보다 높은지 여부에 대해 문의된다. 이런 경우라면, 팬들(40)은 각각 공기 온도(T공기)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조작 변수(P)는 P = a * T공기에 대응하는 전달 함수와 유사하게 얻어진다. 팬들(40)이 서로 다르게 제어되어야 하는 경우, 비례 인자(a)는 팬마다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전달 함수는, 예를 들어 기본 출력 또는 출력 감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P = a * T공기 + Offset 과 같은, 부가적 가수 또는 감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온도(T공기)가 공기 온도 상한값(T공기,최대)을 초과하지 않으면, 팬들(40)의 제어를 위해 오일 온도(T오일)가 이용된다. 오일 온도(T오일)가 오일 온도 한계값(T오일,최저)보다 높으면, 팬들(40)은 각각 오일 온도(T오일)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작동된다. 조작 변수(P)는 따라서 P = b * T오일 에 대응하는 변환 함수와 유사하게 얻어진다. 여기에서도 팬(40)은 비례 인자(b)의 선택에 의해 상이한 출력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고 및/또는 변환 함수는 부가적 가수 또는 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온도(T오일)가 오일 온도 한계값(T오일, 최저)보다 높지 않으면, 추가로 다시 먼저 검출된 공기 온도(T공기)가 제어 장치(3)에 의한 평가에 고려된다. 그러한 경우에 공기 온도(T공기)가 공기 온도 하한값(T공기,오프)이상이면, 오일 온도가 오일 온도 한계값(T오일, 최저)보다 높을 때, 제어에 따라 팬(40)이 제어된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공기 온도(T공기)가 공기 온도 하한값(T공기,오프)보다 낮으면, 팬(40)이 스위치 오프된다.
흐름도가 일련의 질의를 나타내더라도, 검출된 1차 제어 변수 및 2차 제어 변수가 각각의 질의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 범주에, 예를 들어 온도 측정 및 테이블값과 비교에 의해 배정됨으로써, 평가가 병렬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 결과에서 병렬 평가는 직렬 평가와 동일하다. 그러나 일련의 질의는, 예를 들어 2차 제어 변수를 필요에 따라 판독하기만 하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냉각 장치가 팬들을 이용해서 설명되었더라도, 압축기 시스템 내의 공기가 스쳐 지나가는 및/또는 통과하는 열 교환기와 같은 다른 냉각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열 교환기의 냉각 출력은 상기 열 교환기의 위치 설정, 방향에 의해 및/또는 열 교환기를 통해 흐르는 열 전달 매체에서 냉각 유체 체적 유량, 냉각 유체 체적 흐름 온도 및/또는 열 전달 매체의 변경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1: 압축기 시스템 10: 압축기
10a: 배출구(공기) 11: 오일 섬프
11a: 배출구(오일) 20: 후냉각기
21: 오일 냉각기 22: 외부 오일 회로
23: 내부 오일 회로 24: 중간 냉각기
30: 제어 장치 40: 팬
41: 냉각 공기 체적 흐름 50a: 공기 온도 검출 유닛
50b: 오일 온도 검출 유닛 60: 처리 공기 흐름
T공기: 공기 온도 T공기, 오프: 공기 온도 하한값
T공기, 임계: 임계적 공기 온도 상한값 T공기, 최대: 공기 온도 상한값
T오일: 오일 온도 T오일,최저: 오일 온도 한계값

Claims (15)

  1. 압축기 시스템(1)으로서,
    압축기(10),
    냉각 장치(40), 및
    제어 장치(30)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압축기(10)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상기 냉각 장치(40)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T공기, T오일) 및/또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조작 변수(P)로서, 냉각 유체 체적 유량, 특히 냉각 공기 체적 유량을 사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적어도 2개의 제어 변수(T공기, T오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1차 제어 변수(T공기) 및/또는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따라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제어 변수는 1차 제어 변수(T공기)로서 정해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제어 변수는 2차 제어 변수(T오일)로서 정해질 수 있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최대)보다 높으면, 1차 제어 변수(T공기)에 따라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및/또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보다 높으면,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따라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및/또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보다 낮으면, 1차 제어 변수(T공기) 및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따라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특히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최대)보다 높은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임계)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 장치(40)가 최대 출력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 최대)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 장치(40)가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1차 제어 변수(T공기)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 보다 높으면, 또는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T공기,오프) 이상이면, 상기 냉각 장치(40)가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비례하는 출력으로 최대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T공기,오프)보다 낮으면, 상기 냉각 장치(40)가 스위치 오프되는 방식으로 상기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1)은, 상기 제어 장치(30)에 신호 기술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온도 검출 유닛(50a) 및 오일 온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온도 검출 유닛(50b)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30)는, 검출된 공기 온도(T공기)를 1차 제어 변수(T공기)로서 결정하도록 그리고 검출된 오일 온도(T오일)를 2차 제어 변수(T오일)로서, 및/또는 그 반대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온도 검출 유닛(50a) 및 상기 오일 온도 검출 유닛(50b)은, 압축기(10)의 각각의 배출구(10a, 11a)에 배치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1)은, 오일 윤활식 압축기, 특히 오일 윤활식 스크류 압축기로서 설계되는 것인, 압축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축기 시스템(1)의 냉각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적어도 2개의 제어 변수(T공기, T오일)를 검출하는 단계, 및
    - 검출된 제어 변수(T공기, T오일)에 기초해서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냉각 장치(40)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제어 변수(T공기, T오일) 및/또는 액추에이터는, 검출된 제어 변수(T공기, T오일)에 따라서 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검출된 하나의 제어 변수를 1차 제어 변수(T공기)로서 결정하고, 검출된 다른 제어 변수를 2차 제어 변수(T오일)로서 결정하며,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보다 높으면, 1차 제어 변수(T공기)에 따라 냉각 장치(40)를 제어하고,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보다 높으면,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따라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며, 및/또는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공기,최저)보다 낮으면, 1차 제어 변수(T공기) 및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따라 냉각 장치(40)를 제어하는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는, 상기 냉각 장치(4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하는 것인, 방법:
    a)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특히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보다 높은 임계적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임계)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40)는 최대 출력(P)으로 작동되고,
    b)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보다 높으면, 냉각 장치(40)는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1차 제어 변수(T공기)에 비례하는 출력(P)으로 최대로 작동되며,
    c)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상한값(T공기,최대) 이하이고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공기,최저)보다 높으면, 또는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공기,최저)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T공기,오프) 이상이면,
    냉각 장치(40)는 최대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제어 변수(T오일)에 비례하는 출력(P)으로 최대로 작동되고, 및/또는
    d) 2차 제어 변수(T오일)가 미리 결정된 2차 제어 변수 한계값(T오일,최저) 이하이고 1차 제어 변수(T공기)가 미리 결정된 1차 제어 변수 하한값(T공기,오프) 보다 낮으면, 냉각 장치(40)는 스위치 오프된다.
  15.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45408A 2020-06-09 2021-05-21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230014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5300.7 2020-06-09
DE102020115300.7A DE102020115300A1 (de) 2020-06-09 2020-06-09 Kompressor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ühleinrichtung eines Kompressorsystems
PCT/EP2021/063638 WO2021249746A1 (de) 2020-06-09 2021-05-21 Kompressor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ühleinrichtung eines kompressor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772A true KR20230014772A (ko) 2023-01-30

Family

ID=7621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408A KR20230014772A (ko) 2020-06-09 2021-05-21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5734A1 (ko)
EP (1) EP3953583B1 (ko)
KR (1) KR20230014772A (ko)
CN (1) CN115917149A (ko)
DE (1) DE102020115300A1 (ko)
WO (1) WO20212497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7333B (en) 2000-09-25 2002-12-11 Compair Uk Ltd Improvements in variable speed oil-injected screw compressors
DE10163944A1 (de) 2001-12-22 2003-07-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elektrisch betätigbaren Komponenten eines Kühlsystems, Computerprogramm, Steuergerät, Kühlsystem und Brennkraftmaschine
DE10228355A1 (de) 2002-06-25 2004-01-15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Wärmereguli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20040244393A1 (en) * 2003-04-18 2004-12-09 Ingersoll-Rand Company Variable speed compressor cooling system
US8978400B2 (en) * 2009-11-09 2015-03-17 Sumitomo (Shi) Cryogenics Of America Inc. Air cooled helium compressor
JP5878737B2 (ja) * 2011-11-17 2016-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圧縮装置
JP5985405B2 (ja) * 2013-01-28 2016-09-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油冷式ガス圧縮機における排熱回収システム
DE102013113557A1 (de) 2013-12-05 2015-06-11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Kompressorsystem für ein Schienen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Kompressorsystems mit einem sicheren Notlaufbetrieb
US9523306B2 (en) 2014-05-13 2016-12-20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ngine cooling fan control strategy
DE102016100705A1 (de) 2016-01-18 2017-07-20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Luftversorgungsanlage
DE102016105145A1 (de) 2016-03-21 2017-09-21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Kolbenkompressor mit erweitertem Regelberei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5300A1 (de) 2021-12-09
WO2021249746A1 (de) 2021-12-16
JP2023529893A (ja) 2023-07-12
EP3953583B1 (de) 2022-06-22
EP3953583A1 (de) 2022-02-16
US20230235734A1 (en) 2023-07-27
CN115917149A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124B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ntrol for a refrigerant cooled variable frequency drive (VFD)
US6532754B2 (en) Method of optimizing and rating a variable speed chiller for operation at part load
US8096139B2 (en) Refrigerant system with variable speed drive
EP2602565B1 (en) Refrigerator controller
US8601828B2 (en) Capacit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pressor
US6109533A (en)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nt heater outlet temperature control method
US9989288B2 (en) System for managing lubricant levels in tandem compressor assemblies of an HVAC system
US9908452B2 (en) Closed loop capacity and power management scheme for multi stage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20020075393A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8530490A (ja) 凝縮器ファン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制御方法
CN110631232B (zh) 冷却机组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14192052A1 (ja) 空気調和装置
CN101307962A (zh) 具有多速涡旋压缩机和经济器回路的制冷剂系统
KR20230014772A (ko) 압축기 시스템 및 압축기 시스템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2010002173A (ja) 冷凍装置
WO2005076971A2 (en) Control of multi-circuit economized system
CN1121585C (zh) 多室型空调机
KR20070018640A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방법
JP7494325B2 (ja) コンプレッサシステムおよびコンプレッサシステムの冷却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KR20070018635A (ko) 복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방법
CN114729629A (zh) 用于轨道车辆的压缩机系统以及用于控制压缩机系统的冷却装置的方法
CN115866973A (zh) 机柜空调、机柜空调散热系统及控制方法
CN110186165B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
CN116025964B (zh) 热泵机组及其变频模块冷却控制方法
US11204187B2 (en) Mixed model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