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747A -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747A
KR20230014747A KR1020227044973A KR20227044973A KR20230014747A KR 20230014747 A KR20230014747 A KR 20230014747A KR 1020227044973 A KR1020227044973 A KR 1020227044973A KR 20227044973 A KR20227044973 A KR 20227044973A KR 20230014747 A KR20230014747 A KR 2023001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sn
tsc
virtual bridge
networ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사크스
군 왕
야노스 파르카스
벌라즈 바르가
지오르지 미클로쉬
커트 에시그만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3001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2Arrangements providing for calling or supervisory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04L41/12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of virtualised topologies, e.g. software-defined networks [SDN] or network function virtualisation [NF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의한 방법(1200)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시간 민감형 통신(TSC) 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을 결정하는 단계(120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고(1204),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정하게 다중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도메인에 대한 시스템 지원을 위한 방법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 자동화 산업은 현재 디지털 변환을 겪고 있고, 그에 의해 예를 들어, 다중 머신, 디바이스, 클라우드, 및 사람이 상호연결되어 공장 어디에서나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프로세스와 자산 전반에 걸친 결과적인 투명성은 생산 공장을 사이버-물리적 생산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유선 측에서의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와 무선 측에서의 5G는 이러한 변환을 위한 통신 기술을 가능하게 한다. 두 기술 모두 결정론적이고 안정적이며 지연시간이 짧은 통신을 요구하는 시간-민감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TSN 및 5G 무선 통신의 도입으로, 예를 들어 산업용 장비 및 네트워크 배치의 유연성이 증가하는 등 산업용 사용 사례에서 상당한 이점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유선 배치에서 단일 TSN 시스템을 (예를 들면, 단일 TSN 도메인) 도시한다. 도 1에서는 다음의 트래픽 사용 사례가 도시된다: 컨트롤러 대 컨트롤러(controller to controller, C2C), 컨트롤러 대 디바이스(controller to device, C2D), 및 디바이스 대 컴퓨팅(device to compute, D2cmp).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를 칭하고,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이다.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가지 연결 세그먼트가 있을 수 있다:
* 중앙룸 / 엣지 클라우드,
* 로컬 머신 또는 생산 셀을 나타내는 머신 세트,
* 본 문맥에서 산업 자동화에 사용되는 산업용 TSN 백본을 칭하는 TSN 백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디바이스는 하나의 TSN 도메인에 속하므로, 하나의 중앙 사용자 구성(Central User Configuration, CUC)/중앙 네트워크 구성(Central Network Configuration, CNC) 쌍에 의해 관리된다. 중앙룸은 중앙집중식 제어 및 관리 기능이 위치하는 중앙집중식 관리 세그먼트로, 예를 들어 중앙집중식 PLC, CNC, 및 자동화 데이터 수집과 같은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상호작용을 한다. 중앙룸은 예를 들어, 로컬 자동화 클라우드와 같이, 기업 엣지 클라우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로컬 머신 연결 세그먼트는 머신 #1에서 머신 #N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머신으로 구성된다. 모든 머신은 필드 디바이스 (예를 들면, 센서, 액추에이터) 및 로컬 PLC를 갖춘다. 산업용 백본은 예를 들어, 엣지 클라우드와 필드 디바이스 사이에서, 중앙 관리 세그먼트 및 로컬 머신 세그먼트에 대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결 서비스는 다른 로컬 머신 사이에 또는 중앙 관리 레벨과 로컬 머신 사이에 있을 수 있다.
TSN 네트워크는 여러 도메인으로 분할될 수 있다. CUC/CNC 쌍은 TSN 도메인을 담당한다. 생산 셀은 일반적으로 통신을 위해 하나의 TSN 도메인을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산업 자동화 네트워크에는 여러 CNC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다중 TSN 도메인을 설명한다. 각 TSN 도메인은 로컬 CUC 및 CNC에 의해 제어되고 표시된다. TSN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관리되는 산업 자동화 디바이스의 수량으로 정의된다.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생산 셀/라인 #1이 머신 #1 및 #2로 구성되고, 두 머신 모두 TSN 도메인 #1에 속한다. 대조적으로, 생산 셀/라인 #2에서는 각 머신이 독립적인 TSN 도메인에 속할 수 있다. 또한, TSN 백본 도메인 61이라고도 칭하여지는 백본 네트워크에 대한 TSN 도메인 #4도 있다. 도 2의 백본 네트워크에 있는 CNC4는 로컬 생산 셀에 있는 다른 CNC 보다 더 높은 계층구조를 갖는다. 다른 TSN 도메인에 있는 노드 사이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TSN 도메인 경계를 가로지르는 TSN 스트림(stream)을 생성할 필요가 있고, 이는 또한 인터(inter) TSN 도메인 통신이라고도 공지되어 있다. 더 낮은 계층구조의 CNC는 TSN 도메인 간의 인터-TSN 스트림 설정 요청을 더 높은 계층구조 레벨의 CNC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어서 계층구조에서 더 낮은 TSN 도메인 사이에, TSN 스트림 경로라고도 칭하여지는, 인터-TSN 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다.
3GPP TS 23.501 v. 16.4.0은 5세대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5G-TSN) 통합을 지원하는 설계를 정의하였다. 특정하게, 도 3은 3GPP 5G-TSN 설계를 설명한다. TSN 시스템 제어 및 관리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기능을 통해 5세대 시스템(5GS)과 상호작용을 하고, 여기서 TSN 시스템은 TSN 네트워크, TSN 브릿지(bridge), 또는 엔드 스테이션이 될 수 있다. TSN 시스템의 제어 및 관리(control and management, C&M)는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컨트롤러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는 CUC/CNC 쌍이 될 수 있다. 3GPP TS 23.501은 또한 Rel-16 브릿지 모델이라고도 칭하여지는, 시간 민감형 통신(Time Sensitive Communication, TSC) 및/또는 TSN을 지원하기 위한 5GS 브릿지 모델을 지정한다. 5G 시스템은 때로 논리적 또는 가상 TSN 브릿지라고 칭하여지는 TSN 브릿지와 같은, TSN 브릿지로 외부 네트워크와 통합될 수 있다고 지정된다. 가상 TSN 브릿지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모두에 대해, TSN 시스템과 5G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TSN 트랜스레이터(Translator)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는 3GPP TS 23.501로부터의 3GPP 브릿지 모델을 설명한다.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에서의 네트워크 측 TSN 트랜스레이터(network side TSN Translator, NW-TT) 포트 및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의 디바이스 측 TSN 트랜스레이터(device side TSN Translator, DS-TT) 포트는 도 4의 가상 TSN 브릿지 포트로 작동한다.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시스템 지원을 제공하는 이전 방법 및 시스템에는 특정한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문제는 다중 TSC/TSN 도메인을 지원하고 상호작용하도록 5G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솔루션이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두번째 문제는 3GPP TS 23.501 V16.4.0, 5GS 가상 브릿지에 따라, “특정한 UPF를 통해 동일한 TSN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든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이 동일한 TSN AF에 의해 처리된다고 가정한다”는 것이다. 즉, 3GPP TS 23.501에 따라, TSN 시스템에 배치될 때, 5G 시스템 가상 브릿지는 단일 CNC와만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현재 Rel-16 3GPP 모델은 5GS 가상 브릿지와 UPF 사이에 일-대-일 맵핑을 정의한다. 이는 TSN 도메인의 수가 산업용 머신의 수와 같을 때 더 많은 수의 UPF를 필요로 하게 만든다 (즉, 요구되는 UPF의 수가 머신의 수와 같다). 따라서, 5GS 가상 브릿지와 UPF 사이의 일-대-일 맵핑은 시스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을 방해하고 네트워크 관리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측면 및 그 실시예는 이들 또는 다른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S가 다중 TSN 도메인 및 다중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지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은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고,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노드이고,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다중 TSN 도메인 및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 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또는 운영 및 관리(Operations & Maintenance, OAM) 노드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또 다른 노드가 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트의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포트의 그룹에 대한 제1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5G 가상 브릿지와 UPF 사이의 (현재 3GPP rel-16 솔루션) 일-대-일 맵핑을 분리하고, 하나의 UPF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다중 5GS 가상 브릿지가 모델링되도록 허용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트의 그룹을 결정하고 포트의 그룹에 대한 제1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는 다음의 기술적 이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는 다중 TSN 도메인을 지원하기 위해 5GS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는 5GS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 노드, AF 또는 OAM) 얼마나 많은 외부 TSC/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예를 들면, 얼마나 많은 CNC가 존재하는지) 감지하거나 식별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때,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다른 TSC/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의 5GS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S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전체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기반으로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예를 들면, CNC) 상호작용할 수 있다. 5GS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또한 TSN 도메인에 대해 얼마나 많은 5GS 브릿지 및 포트가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한가지 기술적 이점은 5GS가 다른 TSN 도메인 사이에서 인터-TSN-도메인 통신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이점은 5GS가 하나의 TSN 도메인 내에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이점은 특정한 실시예가 계층적 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특정한 실시예는 포트 그룹화-기반의 5G 가상 브릿지 모델을 제안하고, 5GS는 5GS의 포트 그룹을 기반으로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모델링은 예를 들어, 5GS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S는 AF 또는 다른 3GPP 네트워크 노드에서 리포트될 수 있는 브릿지 ID와 포트 그룹을 연관시킬 수 있다. 따라서, 5GS 가상 브릿지는 "UPF의 포트 세트 당"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그래서, 한가지 기술적 이점은 특정한 실시예가 다중 CNC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여, 모든 5GS 포트가 여러 그룹으로 유연하게 분할될 수 있고 포트의 모든 그룹이 TSN 도메인의 CNC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이점은 AF에서 얼마나 많은 포트가 리포트되는지에 따라 브릿지가 동적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고, 브릿지가 재구성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기술적 이점은 5G 가상 브릿지와 UPF 사이의 일-대-일 맵핑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른 이점은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쉽게 명백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는 인용된 이점을 전혀 갖지 않거나, 일부 또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와 그 특징 및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유선 통신을 사용하는 유선 배치에서 단일 TSN 도메인을 도시한다.
도 2는 유선 통신을 사용하는 유선 배치에서 다중 TSN 도메인을 도시한다.
도 3은 3GPP TS 23.501 v.16.4.0에 따른 3GPP 5G-TSN 설계를 도시한다.
도 4는 3GPP TS 23.501 v.16.4.0으로부터의 3GPP 브릿지 모델을 도시한다.
도 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5GS 지원을 도시한다.
도 6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UPF를 갖지만 다중 가상 브릿지로 모델링된 예시적인 5GS를 도시한다.
도 7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UPF가 있는 도 6의 예시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8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상 브릿지가 TSN 도메인의 하나의 CNC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도 6의 또 다른 예시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도 9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5GS 가상 브릿지만이 모델링되는 (하나의 브릿지 ID가 지정될 수 있는) 도 6의 또 다른 예시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도 10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 가상 브릿지가 TSN 백본 도메인의 일부인 예시적인 계층적 CNC 설계를 도시한다.
도 11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자체의 개별 TSN 도메인으로 작동하는 예시적인 5GS 가상 브릿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TSC/TSN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5GS 가상 브릿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TSC/TSN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5GS 가상 브릿지를 도시한다.
도 14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를 도시한다.
도 16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7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를 도시한다.
도 18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을 도시한다.
도 19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0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부분적으로 무선인 연결을 통해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일반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3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4는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7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28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또 다른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9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0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또 다른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여기서 고려되는 실시예 중 일부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여기서 개시된 주제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개시된 주제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주제의 범위를 전달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다른 의미가 부여되고 또한/또는 암시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다른 방법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성분,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를 언급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개시되는 임의의 방법의 단계는 한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또한/또는 한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따르거나 선행해야 함을 암시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실행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개시되는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이점은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포함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다 일반적인 용어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가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장비(UE) (직접 또는 또 다른 노드를 통해)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로는 NodeB, 마스터 eNodeB(MeNB),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또는 2차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에 속하는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base station, BS), MSR BS와 같은 다중-표준 무선(multi-standard radio, MSR) 무선 노드, eNodeB(eNB), gNodeB(gNB), 네트워크 컨트롤러,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BSC), 릴레이, 릴레이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 베이스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서의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s Function, A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등), 운영 및 관리(Operations & Maintenance, OAM), 운영 지원 시스템(Operations Support System, OSS), 자체 최적화 네트워크(Self Optimized Network, SON), 포지셔닝 노드 (예를 들면, 진화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volved-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E-SMLC)), 드라이브 테스트의 최소화(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테스트 장비 (물리적 노드 또는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제한적인 용어 사용자 장비(UE) 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UE와 통신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를 칭할 수 있다. UE의 예로는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UE, 머신 타입 UE 또는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통신이 가능한 U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태블릿, 모바일 터미널, 스마트 폰, 랩탑 내장 장비(laptop embedded equipped, LEE), 랩탑 장착 장비(laptop mounted equipment, LME), 통합 시리얼 버스(Unified Serial Bus, USB) 동글, UE 카테고리 M1, UE 카테고리 M2,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UE, 차량-대-차랑(Vehicle-to-Vehicle, V2V) UE, 차량-대-모든 사물(Vehicle-to-Anything, V2X) UE 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gNodeB 및 UE와 같은 용어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특히 둘 사이의 특정한 계층구조 관계를 암시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gNodeB"는 디바이스 1로 간주되고 "UE"는 디바이스 2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디바이스는 일부 무선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또한, 다음에서는 전송기 또는 수신기가 gNB 또는 UE가 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TSN 도메인을 지원하기 위해 5GS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S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기능(AF) 또는 운영 및 관리(OAM)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연결된 산업 및 자동화를 위한 5G-협회(5G-Alliance for Connected Industries and Automation, 5G-ACIA)에 의해 정의된 5G 노출 인터페이스) 얼마나 많은 외부 TSC/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 (예를 들면, 얼마나 많은 CNC가 존재하는지) 감지하거나 식별하도록 동작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또한 다른 TSC/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5GS 브릿지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기능(NF)을 포함하는) 수를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된다.
3GPP rel-16 5GS 브릿지 모델에서, 5GS 브릿지 인스턴스화는 UPF 가상 네트워크 기능(virtual network function, VNF) 인스턴스화에 대응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S의 포트 세트을 기반으로 5G 가상 브릿지를 모델링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그 방법은 5G 가상 브릿지와 UPF (현재 3GPP rel-16 솔루션) 사이의 일-대-일 맵핑을 분리하고, 하나의 UPF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5GS 가상 브릿지를 모델링하도록 허용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5GS는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 포트의 지리적 위치 (예를 들면, UE/DS-TT가 5GS 포트이다),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 데이터 네트워크 명칭(Data Network Name, DNN), 및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ingle-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S-NSSAI)를 기반으로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예를 들면, CNC)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어서, 5GS는 얼마나 많은 5GS 브릿지가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어느 5G 브릿지 및 포트가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지 판단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용어 TSC/TSN 도메인은 여기서 TSC 도메인 또는 TSN 도메인인 도메인을 칭하는데 사용된다. 포괄적인 용어로, 시간 민감형 상호통신 도메인도 또한 TSC 또는 TSN 도메인인 도메인을 칭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5G 가상 브릿지, 5GS 가상 브릿지, 5GS 브릿지, 및 TSN 브릿지는 5GS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논리적 또는 가상 브릿지를 칭하는데 사용된다.
5G 가상 브릿지의 실시예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해, TSN 네트워크와 5GS 사이의 상호운용을 위한 TSN 트랜스레이터(Translator) 기능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TSN 트랜스레이터 기능은 DS-TT 및 NS-TT를 포함하고, 5GC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무선 통신 링크 등에서의 5GS 특정 과정은 TSN 네트워크에서 숨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5GS가 임의의 다른 TSN 브릿지처럼 나타나도록 TSN 네트워크에 대한 투명성을 달성하기 위해, 5GS는 DS-TT 및 NW-TT를 통해 TSN 수신 및 송신 포트(17)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5G 가상 브릿지는 UPF 측의 포트, UE와 UPF 사이의 사용자 평면 터널, 및 DS-TT 측의 포트를 포함한다. TSN 네트워크의 각 5G 브릿지에 대해, NW-TT에서의 포트는 TSN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고, DS-TT 에서의 포트는 TSN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는 PDU 세션에 연관된다. DS-TT 및/또는 NS-TT는 한 구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 예를 들면 IEEE 802.1Q에 따라 동작하는 이더넷 포트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5GS는 포트(17), 예를 들어 DS-TT 및 NW-TT를 브릿지 ID와 연관시키고 예를 들어, AF 또는 다른 3GPP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기능에 브릿지 ID를 리포트한다. 이는 예를 들어, UE 및/또는 연결된 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모바일 로봇) 특정한 TSN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때 5G 가상 브릿지에 유연성을 추가한다. UE (또는 DS-TT) 및 네트워크 측에서 연결된 포트는 (UPF 측 NW-TT 포트) 이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가상 브릿지에서 모델링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UE가 또 다른 TSN 도메인으로 이동하는 경우, 5G 브릿지의 포트로 동작하는 UE는 또 다른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5G 브릿지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가상 브릿지는 유선 연결과 공존할 수 있다.
5GS 브릿지의 인스턴스화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되는 두 가지 대안 중 하나에 따를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는 3GPP Rel-16 5GS 브릿지 모델을 확장하여 UPF VNF(가상 네트워크 기능) 인스턴스화에 대응할 수 있는 5GS 브릿지 인스턴스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SN 도메인 당 적어도 하나의 UPF가 있도록 Rel-16의 브릿지 모델을 따를 수 있다. 도 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중 TSN 도메인(12)에 대한 5GS 지원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5G 가상 브릿지(14)가 UPF(18) 당 제공되는 반면, TSN 도메인(12)은 하나 이상의 UPF(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3GPP Rel-16 모델은 하나 이상의 5GS 브릿지(14)가 다른 TSN 도메인(12)에 대해 다른 CNC(16)에 의해 개별적으로 관리되도록 추가로 개발된다. 특정하게, 도 5에 도시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5G 가상 브릿지(14)가 3개의 CNC(16)에 의해 관리된다.
여기서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는 5GS 브릿지 인스턴스화에 관한 것이다. 특정하게, 5GS 네트워크 관리 기능(19)이 다중 TSN 도메인(12)을 감지할 때, 5GS 네트워크 관리 기능(19)은 얼마나 많은 포트(17) 및 UPF(18)가 필요한지, 뿐만 아니라 어느 포트(17) 및 UPF(18)가 특정한 TSN 도메인(12)에 대해 필요로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5GS 네트워크 기능(19)은 UPF 기능을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
특정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트 그룹화-기반의 브릿지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포트-기반의 5G 가상 브릿지 모델을 통해, 5GS는 5G 시스템의 포트 그룹을 기반으로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5GS 포트는 수신 또는 송신 포트가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5GS 포트는 UPF(NW-TT) 포트 또는 UE(DS-TT) 포트가 될 수 있다. 5GS는 이러한 포트를 브릿지 ID와 연관시키고 브릿지 ID를 예를 들어, AF 또는 다른 3GPP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기능에 리포트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UE(22) 및/또는 연결된 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모바일 로봇) 특정한 TSN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때 5G 가상 브릿지에 유연성을 추가한다. UE (또는 DS-TT) 및 네트워크 측에서 연결된 포트(17)는 (UPF 측 NW-TT 포트) 이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가상 브릿지에서 모델링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UE(22)가 또 다른 TSN 도메인으로 이동하는 경우, 5G 브릿지의 포트로 동작하는 UE(22)는 또 다른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5G 브릿지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6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UPF(18)를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20)을 도시한다. 보다 특정하게, 도 6은 하나의 UPF(18)를 포함하는 포트 그룹화-기반의 5GS 브릿지 모델을 도시하고, 여기서 하나의 UPF(18)는 다수의 5G 가상 브릿지(14) 사이에서 공유된다. UPF(18)에 속하는 포트(17)는 본 실시예에서, 다른 5G 가상 브릿지(14)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3개의 가상 브릿지(14)가 3개의 포트 그룹을 기반으로 모델링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N 도메인에 속하는 모든 포트(17)는 한 포트 그룹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도 6의 예시적인 시스템(20)이 3개의 도메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시스템(20)은 3개의 포트 그룹을 갖는다. 각 포트 그룹은 가상 브릿지(14)를 형성한다.
포트(17)는 UPF 측 (또는 NW-TT 포트) 또는 UE 측에 (또는 DS-TT 포트)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5GS, 예를 들어, 5GS RAN(19)은 포트(17)의 세트를 선택하고 이들 포트와 연관된 브릿지 ID를 지정한다. 포트 및 브릿지 관리 정보는 가상 브릿지(14) 전용일 수 있는 AF(21)에 리포트될 수 있다. 모든 가상 브릿지(14)는 다른 TSN 도메인(12)으로부터의 전용 CNC(16)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UPF(18)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30)을 도시한다. 시스템(30)의 한 실시예에서, 5G 가상 브릿지(14)는 다른 UPF(18)에 속하는 포트(17)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특정하게, 도 7은 2개의 UPF(18)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30)을 도시하고, 여기서는 3개의 가상 브릿지(14)가 3개의 포트 그룹을 기반으로 모델링된다. 상기에 설명된 도 6과 유사하게, 포트 그룹화는 5GS 브릿지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5G 가상 브릿지(14)의 모델링은 여전히 포트 그룹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5G 가상 브릿지 #2는 2개의 UPF(18)를 포함하고, TSN 도메인 #2(12)에서의 5G 통신은 예를 들어, UPF 사이의 N19 인터페이스에서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UPF-대-UPF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포트 그룹화-기반의 5GS 브릿지 모델을 설명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40)을 도시하고, 여기에서는 하나의 UPF(18)가 다수의 5G 가상 브릿지(14) 사이에서 공유된다. UPF(18)에 속하는 포트(17)는 본 실시예에서, 다른 5G 가상 브릿지(14)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특정하게, 도 8은 TSN 도메인(12)의 하나의 CNC(16)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가상 브릿지(14)가 관리될 수 있는 도 6의 또 다른 예시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다른 말로 하면, TSN 도메인(12)은 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5G 가상 브릿지(14)를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TSN 도메인(12)의 가상 브릿지(14)의 포트 및 브릿지 관리 정보는 다른 AF(21)에 (TSN 도메인 #1(12) 내의 브릿지 #1(14)에서 AF #1(21)로 또한 브릿지 #2(14)에서 AF #2(21)로) 또는 하나의 AF(21)에만 (브릿지 #4 및 #5(14)가 단일 AF #4(21)로 리포트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TSN 도메인 #3(12)과 같이) 리포트될 수 있다.
현재 Rel-16 3GPP 정의에 따라, 모든 5GS 브릿지(14)는 TSN 도메인 #1(12)에 도시되는 하나의 TSN AF(21)를 통해서만 TSN 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TSC/TSN 도메인(12) 당 하나의 AF(21)로, 다수의 가상 브릿지(14)가 하나의 TSN AF(21)를 공유하기 위한 옵션이 제공된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TSN 도메인(12)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 하나의 5GS 가상 브릿지(14)가 모델링되는 (하나의 브릿지 ID가 지정될 수 있는) 도 6의 변형인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50)을 도시한다. UPF 포트(17)의 수는 그룹으로 분할되고, 이는 TSN 도메인(12)에 지정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싱에 의해). 각각의 그룹은 별도의 CNC(16)에 의해 구성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단일 가상 브릿지(14)의 포트 및 브릿지 관리 정보는 다른 AF(21)에 리포트될 수 있다. AF(21)는 특정한 CNC(16)에 의해서만 액세스가능하고 구성가능한 포트(17)의 그룹을 관리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 및 브릿지 관리 정보는 단일 AF(21)에 의해 리포트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그러나, 예를 들어, 포트(17)의 세트가 특정한 CNC(16)에 의해서만 액세스/구성가능할 수 있도록 다른 포트 그룹의 격리가 필요하다.
이제 상기의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연관된 솔루션, 기술, 및 실시예를 더 설명하기 위해 일부 추가 시나리오가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10은 5G 가상 브릿지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TSN 백본 도메인과 같은 TSN 백본 도메인(61)의 일부인 예시적인 계층적 CNC 설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60)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가상 브릿지(14)는 예를 들어, C2C, C2D, D2Cmp에 대해 표시된 TSN 스트림(62)을 갖는 "상위" TSN 도메인(백본 도메인(61))의 일부이다. TSN 백본 도메인(61)은 TSN 도메인(12) 사이에 (TSN 도메인 #1, #2, #3과 같은) 전송 및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TSN 백본 도메인(61)과 5G를 사용하는 다른 TSN 도메인(12) 사이의 상호작용은 TSN 도메인 간 통신이 될 것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60)에서, TSN 도메인(12) 사이의 (TSN 도메인 #1, #2, #3과 같은) TSN 도메인 간 통신은 TSN 백본 도메인(6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CNC #4(16)는 CNC #1-3(16) 보다 더 높은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TSN 도메인 #1 내의 디바이스와 TSN 도메인 #2 내의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이 필요한 경우, CNC #1과 CNC #2는 CNC #4에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CNC #4는 요청에 따라 TSN 도메인 #1과 TSN 도메인 #2 사이에 5G 연결을 제공하도록 대응하는 포트(17) 및 5G 내부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즉, 5G 브릿지 및 대응하는 포트(17)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CNC #1 및 #2는 자체 도메인 내의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로컬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자체의 개별적인 5G TSN 도메인(71)으로 동작하는 5GS 가상 브릿지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70)을 도시한다. 시스템(70)은 하나 이상의 5GS 가상 브릿지에 의해 형성된 5G TSN 도메인(7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TSN 도메인 #1, #2, #3(12)은 로컬 생산 도메인이다. TSN 도메인 #5는 산업용 엣지 클라우드 네트워크나 또 다른 유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TSN 백본이 (예를 들면, TSN 백본 도메인(61)) 될 수 있다.
이 경우, 5G TSN 도메인(71)은 5G를 이용하여 두가지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TSN 도메인 #1, #2, #3 사이의 연결/전송 서비스
* 로컬 생산 도메인 (TSN 도메인 #1, #2, #3) 및 TSN 도메인 #5 (예를 들면, TSN 백본 도메인(61)) 사이의 연결/전송 서비스.
한 실시예에서, CNC #4(16)는 CNC #1, #2, #3 및 #5(16) 보다 높은 계층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CNC #4는 다른 TSN 도메인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5G TSN 도메인(71) 내부에 5G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산업 자동화에 대한 사용 사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의 문자 A-E는 예를 들어, D2D 상호연결, 컨트롤러-대-컨트롤러(C2C) 상호연결, 또는 디바이스-대-컴퓨터(D2comp) 상호연결과 같이, 다른 엔터티 사이의 상호연결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은 배경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산업적 사용 사례에 맵핑될 수 있다. 보다 특정하게, 도 12는 다수의 TSC/TSN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5GS 가상 브릿지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시스템(80)을 도시한다. 특정한 라인은 산업 자동화의 산업용 컨트롤러-대-디바이스(C2D) 사용 사례이고 화살표 끝이 있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TSN 도메인 내에, 보다 특정하게 머신 #3 내부와 같은 로컬 통신의 경우에, 5GS는 UE-대-UE 통신을 통해 PLC와 필드 디바이스 사이에 상호연결 "A"를 제공한다. 이러한 5GS 연결은 로컬 CNC2에 의해 제어된다.
도 13은 5GS 가상 브릿지가 다중 TSC/TSN 도메인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시스템(90)을 도시한다. 특정한 라인은 산업 자동화의 컨트롤러-대-컨트롤러(C2C) 사용 사례이고 화살표 끝이 있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5GS는 다른 CNC와 상호작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예를 들어, 다른 CNC가 5GS 가상 브릿지의 서로 다른 포트 쌍 그룹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서, 또는 5GS를 다른 CNC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로 분리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포트 쌍은 두개의 다른 엔터티에서의 두개의 포트, 예를 들어 DS-TT 포트 및 NW-TT 포트; 다른 디바이스에서의 두개의 DS-TT 포트; 또는 다른 UPF에서의 두개의 NW-TT 포트를 칭한다. TSN 도메인 간 통신의 경우, 계층구조에서 상위에 있는 CNC는 계층구조에서 하위에 있는 TSN 도메인 사이에 (예를 들면, 머신 사이에), 또는 백본 TSN 도메인과 로컬 TSN 도메인 사이에 TSN 스트림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5GS는 모든 CNC와 상호작용하므로, 5GS를 통해 모든 CNC 구성을 만들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여기서 설명된 주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 14의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106), 네트워크 노드(160, 160b, 160c), 및 WD(110)만을 도시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 사이,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유선 전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나 단말 디바이스와 같은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추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성분 중, 네트워크 노드(160, 160c) 및 무선 디바이스(WD)(110)는 추가로 상세하게 도시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그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의 액세스 및/또는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전기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하고 또한/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한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미리 정의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한 실시예는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롱 텀 에볼루션(LTE), 및/또는 다른 적절한 2G, 3G, 4G 또는 5G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표준; 및/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동작(WiMax), 블루투스(Bluetooth), Z-웨이브(Z-Wave)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통신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1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근거리 네트워크(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 및 다바이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106)는 도 3에 관련되어 상기에 설명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을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관련되어 상기에 설명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성분 중 일부 또는 모두는 도 14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에 추가로 또는 대신하여 주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0) 및 무선 디바이스(110)는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성분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연결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는 임의의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디바이스,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그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이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160, 160c)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또는 제공하고 또한/또는 다른 기능을 (예를 들면, 관리) 제공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장비를 칭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을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B) 및 NR 노드 B(gNB)) 포함한다. 기지국은 그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을 기반으로 분류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이라고도 칭하여질 수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중앙 집중식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로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라 칭하여지는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과 같은 분산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는 안테나 통합 라디오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산 무선 기지국의 일부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서의 노드로 칭하여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는 MSR BS와 같은 다중-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송수신국(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MSC, MME), OAM 노드, OSS 노드, SON 노드, 위치지정 노드 (예를 들면, E-SMLC), 및/또는 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네트워크 노드는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디바이스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또는 디바이스의 그룹) 나타낼 수 있다.
도 15에서, 네트워크 노드(160, 160c)는 프로세싱 회로(170),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 인터페이스(190), 보조 장비(184), 전원(186), 전력 회로(187), 및 안테나(162)를 포함한다. 도 15의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60, 160c)는 하드웨어 구성성분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는 안테나(162),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 RF 송수신기 회로(172) 및 기저대 회로(174)와 같은 이러한 특징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여기서 설명된 작업, 특성, 기능, 및 방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60, 106c)의 구성성분은 더 큰 박스 내에 위치하거나 여러 박스 내에 중첩된 단일 박스로 도시되지만, 실제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구성성분을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는 다수의 개별 하드 드라이브 및 다수의 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60, 160c)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구성요소으로 (예를 들어, NodeB 구성성분과 RNC 구성성분, 또는 BTS 구성성분과 BSC 구성성분 등) 구성될 수 있고, 이는 각각 자체 개별 구성성분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0, 160c)가 다수의 개별 구성성분을 (예를 들어, BTS 및 BSC 구성성분) 포함하는 특정한 시나리오에서, 개별 구성성분 중 하나 이상은 여러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가 다수의 Node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고유한 NodeB 및 RNC 쌍은 일부 경우에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0, 106c)는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성분은 복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한 별도의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 일부 구성성분은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162)가 RAT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0, 160c)는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광대역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 액세스(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이,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해 다양한 도시된 구성성분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은 네트워크 노드(160, 160c) 내의 동일하거나 다른 칩 또는 칩 세트 및 다른 구성성분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을 (예를 들어, 특정한 획득 동작)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실행되는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또한/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 결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장치, 리소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160) 구성성분과 조합되어 네트워크 노드(16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170)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 또는 프로세싱 회로(1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여기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성, 기능, 또는 이점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7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70)는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7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1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74)는 별도의 칩 (또는 칩 세트), 보드,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7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7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 보드, 또는 유닛에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 또는 프로세싱 회로(17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와이어 방식과 같이, 분리된 또는 이산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든 실행하지 않든, 프로세싱 회로(170)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프로세싱 회로(1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160, 160c)의 다른 구성성분에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한/또는 단말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일반적으로 향유된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는, 제한되지 않지만, 영구 저장 장치, 고체-상태 메모리, 원격 장착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미디어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플래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및/또는 컴퓨터-실행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논리, 규칙, 코드, 테이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실행되고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명령,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는 프로세싱 회로(170)에 의해 이루어진 임의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70) 및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90)는 네트워크 노드(160), 네트워크(106), 및/또는 WD(1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90)는 예를 들어 유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106)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포트/터미널(1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90)는 또한 안테나(162)에 연결되거나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 일부가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는 필터(198) 및 증폭기(1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는 안테나(162) 및 프로세싱 회로(17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162)와 프로세싱 회로(17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는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는 필터(198) 및/또는 증폭기(196)의 조합을 사용하여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매개변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신호는 안테나(16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이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싱 회로(17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0)는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 없이 프로세싱 회로(170)가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하고 안테나(162)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7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터페이스(19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90)는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터미널(1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 및 RF 송수신기 회로(172)를 무선 유닛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로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90)는 디지털 유닛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인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74)와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1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92)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162)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임의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정한 영역 내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MIMO라 칭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안테나(162)는 네트워크 노드(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160)에 연결가능할 수 있다.
안테나(162), 인터페이스(19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수신 동작 및/또는 특정한 획득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162), 인터페이스(19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전송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1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하거나 이에 결합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전력을 네트워크 노드(160)의 구성성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187)는 전원(186)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186) 및/또는 전력 회로(187)는 각각의 구성성분에 적합한 형태로 (예를 들어, 각각의 개별 구성성분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로) 네트워크 노드(160)의 다양한 구성성분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186)은 전력 회로(1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0)에 포함되거나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 연결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외부 전원은 전력 회로(187)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 전원(186)은 전력 회로(187)에 연결되거나 통합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원이 고장난 경우 백업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원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0, 160c)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주제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한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15에 도시된 것 이외의 추가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0)는 네트워크 노드(160)로의 정보 입력을 허용하고 네트워크 노드(160)로부터의 정보 출력을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노드(160)에 대한 진단, 유지보수, 수리 및 다른 관리 기능을 실행하게 허용할 수 있다.
도 16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10)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기능을 갖춘, 구성된, 배열된 또한/또는 동작가능한 디바이스를 칭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무선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여기서 사용자 장비(UE)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파 및/또는 공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인간 상호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때,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스케쥴에 따라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의 예는,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카메라, 게임 콘솔이나 디바이스, 음악 저장 디바이스, 재생 기기, 웨어러블 터미널 디바이스,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내장 장비(LEE), 랩탑-장착 장비(LME), 스마트 디바이스, 무선 고객 전제 장비(CPE), 차량-탑재 무선 터미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 차량-대-차량(V2V), 차량-대-인프라구조(V2I), 차량-대-모든 것(V2X)을 위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디바이스라 칭하여질 수 있다. 또 다른 특정한 예로, 사물 인터넷(IoT)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을 실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머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이 경우에 머신-대-머신(M2M)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컨텍스트에서 MTC 디바이스라 칭하여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예로, 무선 디바이스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디바이스의 특정한 예로는 센서, 전력계와 같은 계량 디바이스, 산업 머신, 또는 가정용이나 개인용 기기 (예를 들면, 냉장고, 텔레비전 등), 개인용 웨어러블이 (예를 들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 등)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동작 상태 또는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모니터링 및/또는 리포팅 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연결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디바이스는 무선 터미널이라 칭하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는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터미널이라 칭하여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안테나(111), 인터페이스(114), 프로세싱 회로(120),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 보조 장비(134), 전원(136) 및 전력 회로(137)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언급되었던 GSM, WCDMA, LTE, NR, WiFi, WiMAX , NB-IoT,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해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기술은 무선 디바이스(110) 내의 다른 구성성분과 동일하거나 다른 칩 또는 칩 세트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111)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114)에 연결된다. 특정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111)는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에 연결가능할 수 있다. 안테나(111), 인터페이스(114),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20)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111)는 인터페이스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 및 안테나(1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는 하나 이상의 필터(118) 및 증폭기(1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는 안테나(111) 및 프로세싱 회로(120)에 연결되고 안테나(111)와 처리 회로(12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 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는 안테나(111)에 또는 그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별도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프로세싱 회로(120)가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하고 안테나(11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는 RF 송수신기 회로(1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인터페이스(114)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는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는 필터(118) 및/또는 증폭기(116)의 조합을 사용하여 적절한 채널 및 대역폭 매개변수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안테나(111)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1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이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112)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싱 회로(12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리소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와 같은 다른 무선 디바이스(110) 구성성분과 함께 무선 디바이스(110)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여기서 논의된 다양한 무선 특성 또는 이점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120)는 여기서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 또는 프로세싱 회로(12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120)는 RF 송수신기 회로(1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2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구성성분 및/또는 구성성분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의 프로세싱 회로(1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26)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26)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의 칩 또는 칩 세트로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122)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22) 및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2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26)는 개별 칩 또는 칩 세트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22), 기저대 프로세싱 회로(12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회로(126)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칩 또는 칩 세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송수신기 회로(122)는 인터페이스(114)의 일부가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122)는 처리 회로(120)를 위해 RF 신호를 컨디셔닝 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실시예에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와이어 방식과 같이, 별도의 또는 이산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든 실행하지 않든, 프로세싱 회로(120)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프로세싱 회로(120) 단독 또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다른 구성성분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디바이스(110) 및/또는 단말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일반적으로 향유된다.
프로세싱 회로(120)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여기서 설명된 임의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을 (예를 들어, 특정한 획득 동작)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실행되는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고, 또한/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 결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는 컴퓨터 메모리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저장 매체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디바이스 판독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20) 및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130)는 통합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인간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110)와 상호동작하게 허용하는 구성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동작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사용자에게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무선 디바이스(110)에 입력을 제공하게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상호동작의 타입은 무선 디바이스(11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호동작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10)가 스마트 측정기인 경우, 상호동작은 사용량을 (예를 들면, 사용된 갤런 수) 제공하는 화면 또는 청각적 경고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예를 들면, 연기가 감지된 경우)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입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무선 디바이스(110)로의 정보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 회로(1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회로(120)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정보 출력을 허용하고 프로세싱 회로(120)가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1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회로를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110)는 단말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여기서 설명된 기능으로부터 이익을 얻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보조 장비(134)는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없는 보다 특정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특수 센서, 유선 통신 등과 같은 추가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134)의 구성성분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전원(136)은 일부 실시예에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외부 전원 (예를 들면, 전기 콘센트), 광전지 장치 또는 파워 셀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전원도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여기서 설명되거나 표시된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136)으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다양한 부분으로 전원(136)으로부터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37)는 특정한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1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무선 디바이스(110)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 또는 입력 회로를 통해 외부 전원에 (예를 들면, 전기 콘센트) 연결가능할 수 있다. 전력 회로(137)는 또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136)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원(136)의 충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전력 회로(137)는 전력이 공급되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각 구성성분에 적합한 전력을 만들기 위해 전원(136)으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임의의 포맷,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측면에 따른 UE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디바이스를 소유 및/또는 운영하는 인간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 UE는 인간 사용자에게 판매하거나 인간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도록 의도되지만, 특정한 인간 사용자와 연관되지 않거나 초기에 연관되지 않을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 대안적으로, UE는 단말 사용자에게 판매하거나 그에 의해 운영되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사용자와 연관되거나 이익을 위해 운영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 측정기). UE(200)는 NB-IoT UE, 기계 타입 통신(MTC) UE, 및/또는 증강된 MTC(eMTC) UE를 포함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식별되는 임의의 UE가 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200)는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의 한 예이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어 무선 디바이스 및 UE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은 UE이지만, 여기서 논의되는 구성성분은 무선 디바이스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17에서, UE(2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5), 무선 주파수(RF) 인터페이스(209),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1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7), 판독 전용 메모리(ROM)(219), 및 저장 매체(2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215), 통신 서브시스템(231), 전원(213), 및/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221)는 운영 시스템(2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5), 및 데이터(2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 매체(2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UE는 도 17에 도시된 모든 구성성분을 사용하거나 구성성분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성분 사이의 통합 레벨은 UE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특정한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구성성분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 프로세싱 회로(2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2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구현 상태 기계 (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 적절한 펌웨어와 함께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 프로그램, 범용 프로세서;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과 같이, 메모리에 기계-판독가능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저장된 기계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순차적인 상태 기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201)는 2개의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5)는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또는 입출력 디바이스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2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입력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200)에 대한 입력 및 출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작동기, 에미터, 스마트 카드, 또 다른 출력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200)는 사용자가 UE(200)로 정보를 캡처하게 허용하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터치-감지 또는 존재-감지 디스플레이, 카메라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감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정전식 또는 저항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기울기 센서, 힘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또 다른 유사한 센서,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17에서, RF 인터페이스(209)는 전송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구성성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11)는 네트워크(243a)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43a)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11)는 이더넷, TCP/IP, SONET, ATM,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에 (예를 들어, 광학적, 전기적 등) 적절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구성성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하거나, 대안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RAM(217)은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저장 또는 캐싱(caching)을 제공하기 위해 버스(202)를 통해 프로세싱 회로(201)에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2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싱 회로(2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219)은 기본 입력 및 출력(I/O), 시작,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을 위한 불변 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21)는 RAM, RO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쉬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저장 매체(221)는 운영 시스템(2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이나 가젯 엔진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5), 및 데이터 파일(2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21)는 UE(200)에 의한 사용을 위해, 다양한 운영 시스템 또는 운영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221)는 독립 디스크의 중복 어레이(RAID),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USB 플래쉬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 드라이브,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고밀도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HD-DVD)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블루-레이(Blu-Ray) 광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램 디지털 데이터 저장(HDDS) 광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미니-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가입자 식원 모듈이나 제거가능한 사용자 식원(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 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매체(221)는 UE(200)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221)에 유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에서, 프로세싱 회로(201)는 통신 서브시스템(231)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43a) 및 네트워크(243b)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거나 다른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231)은 네트워크(243b)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231)은 IEEE 802.11,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송수신기는 RAN 링크에 적절한 (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등) 전송기 또는 수신기 기능을 각각 구현하는 전송기(233) 및/또는 수신기(2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송수신기의 전송기(233) 및 수신기(235)는 회로 구성성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하거나 대안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2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음성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근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는 글로벌 위치지정 시스템(GPS)과 같은 위치-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한 통신 기능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2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43b)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전기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근거리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원(213)은 UE(200)의 구성성분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은 UE(200)의 구성성분 중 하나에서 구현되거나 UE(200)의 여러 구성성분에 걸쳐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231)은 여기서 설명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201)는 버스(202)를 통해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은 프로세싱 회로(201)에 의해 실행될 때 여기서 설명된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의 기능은 프로세싱 회로(201)와 통신 서브시스템(231)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구성성분 중 임의의 것의 비-계산 집약적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고 계산 집약적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300)을 도시하는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현재 맥락에서, 가상화는 하드웨어 플랫폼, 저장 디바이스, 및 네트워킹 리소스의 가상화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가상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상화는 노드에 (예를 들어, 가상화된 기지국 또는 가상화된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디바이스에 (예를 들어, UE, 무선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들의 구성성분에 적용될 수 있고,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하나 이상의 가상 구성성분으로 구현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싱 노드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성분, 기능, 가상 기계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 구현과 관련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 환경(300)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노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 노드(330)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호스팅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환경(300)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구성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니거나 무선 연결을 요구하지 않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완전히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 중 일부의 특성, 기능 및/또는 이점의 일부를 구현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20)에 의해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기능, 가상 노드, 가상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칭하여질 수 있는)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20)은 프로세싱 회로(360) 및 메모리(3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3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300)에서 실행된다. 메모리(390)는 프로세싱 회로(36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395)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320)은 여기서 설명된 특성, 이점 및/또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가상화 환경(300)은 상업용 기성품(COTS) 프로세서, 전용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또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하드웨어 구성성분 또는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 임의의 다른 타입의 프로세싱 회로가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회로(360)의 세트를 포함하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디바이스(330)를 포함한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36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395)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영구적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39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37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80)를 포함한다.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또한 프로세싱 회로(36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 및/또는 소프트웨어(395)를 저장한 비-일시적, 영구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3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3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레이어(350)를 (하이퍼바이저라고도 칭하여지는) 인스턴스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가상 기계(340)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 특성 및/또는 이점을 실행하게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기계(340)는 가상 프로세싱, 가상 메모리, 가상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 저장 장치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레이어(350)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상 어플라이언스(320)의 인스턴스의 다른 실시예는 가상 기계(340) 중 하나 이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그 구현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하는 동안, 프로세싱 회로(360)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레이어(350)를 인스턴스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395)를 실행하고, 이는 때로 가상 기계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 VMM)라 칭하여질 수 있다. 가상화 레이어(350)는 가상 기계(340)에 네트워킹 하드웨어처럼 나타나는 가상 운영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330)는 일반 또는 특정 구성성분을 갖는 독립형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330)는 안테나(3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330)는 더 큰 하드웨어 클러스터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고객 전제 장비(CPE)에서와 같이),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는 함께 동작하고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agement and orchestration, MANO)(3100)을 통해 관리되어, 특히 애플리케이션(320)의 수명 주기 관리를 감독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컨텍스트에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라 칭하여진다. NFV는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데이터 센터 및 고객 전제 장비에 위치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 스위치, 및 물리적 저장 장치에 통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NFV의 맥락에서, 가상 기계(340)는 프로그램이 가상화되지 않은 물리적 기계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물리적 기계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 가상 기계(340), 및 그 가상 기계를 실행하는 하드웨어(330) 부분은 그 가상 기계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가상 기계(340)의 다른 것과 그 가상 기계에 의해 공유되는 하드웨어로, 별개의 가상 네트워크 요소(virtual network element, VNE)를 형성한다.
또한, NFV의 맥락에서,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구조(330) 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가상 기계(340)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네트워크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18에서의 애플리케이션(3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기(3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3210)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3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3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3200)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드웨어 노드(3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가상 구성성분과 조합하여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기능을 가상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 노드(330)와 무선 유닛(3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3230)의 사용으로 일부 시그널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로,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411) 및 코어 네트워크(4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4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411)는 각각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413a, 413b, 413c)을 정의하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다수의 기지국(412a, 412b, 412c)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412a, 412b, 412c)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41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414)에 연결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413c)에 위치한 제1 UE(491)는 대응하는 기지국(412c)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그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413a) 내의 제2 UE(492)는 대응하는 기지국(412a)에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다수의 UE(491, 492)가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단독 UE가 커버리지 영역에 있거나 단독 UE가 대응하는 기지국(412)에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전기통신 네트워크(410) 자체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 서버, 분산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서버 팜의 프로세싱 리소스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430)에 연결된다. 호스트 컴퓨터(4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을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운영될 수 있다. 전기통신 네트워크(410)와 호스트 컴퓨터(430) 사이의 연결(421, 422)은 코어 네트워크(414)에서 호스트 컴퓨터(430)로 직접 확장되거나 선택적인 중간 네트워크(420)를 통해 갈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420)는 공공, 개별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중간 네트워크(420)는, 있는 경우,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고; 특히, 중간 네트워크(42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를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통신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UE(491, 492)와 호스트 컴퓨터(43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은 오버-더-탑(over-the-top, OTT) 연결(450)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430) 및 연결된 UE(491, 492)는 액세스 네트워크(411), 코어 네트워크(4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42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구조를 (도시되지 않은) 매개체로 사용하여, OTT 연결(450)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연결(450)은 OTT 연결(450)이 통과하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412)은 연결된 UE(491)로 전달되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430)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와의 들어오는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대해 통지받지 않거나 알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412)은 UE(49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430) 방향으로 발신되는 나가는 업링크 통신의 미래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라 부분적으로 무선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 이전 단락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현이 이제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다. 통신 시스템(500)에서, 호스트 컴퓨터(510)는 통신 시스템(5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셋업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5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5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510)는 저장 및/또는 프로세싱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5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싱 회로(518)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510)는 호스트 컴퓨터(51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51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5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5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12)은 UE(530) 및 호스트 컴퓨터(510)에서 종료되는 OTT 연결(550)을 통해 접속하는 UE(5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서비스를 원격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12)은 OTT 연결(550)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은 전기통신 시스템에 제공되고 호스트 컴퓨터(510) 및 UE(53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525)를 포함하는 기지국(5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525)는 통신 시스템(500)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526), 뿐만 아니라 기지국(520)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도 20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하는 UE(530)와 적어도 무선 연결(570)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5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26)는 호스트 컴퓨터(510)에 대한 연결(5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560)은 직접적이거나, 전기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도 20에 도시되지 않은) 및/또는 전기통신 시스템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520)의 하드웨어(525)는 프로세싱 회로(528)를 더 포함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20)은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 연결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5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500)은 이미 언급된 UE(530)를 더 포함한다. 그 하드웨어(535)는 UE(530)가 현재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의 무선 연결(570)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537)를 포함할 수 있다. UE(530)의 하드웨어(535)는 프로세싱 회로(538)를 더 포함하고,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그들의 조합을 (도시되지 않은) 포함할 수 있다. UE(530)는 UE(53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53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5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5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32)은 호스트 컴퓨터(510)의 지원으로, UE(530)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510)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12)은 UE(530) 및 호스트 컴퓨터(510)에서 종료되는 OTT 연결(550)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연결(5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532)은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와 상호동작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510), 기지국(520), 및 UE(530)는 각각 도 14의 호스트 컴퓨터(430), 기지국(412a, 412b, 412c) 중 하나, 및 UE(491, 492) 중 하나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말하자면, 이러한 엔터티의 내부 작동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9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20에서, OTT 연결(550)은 임의의 중개 디바이스 및 이들 디바이스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 언급 없이, 기지국(520)을 통한 호스트 컴퓨터(510)와 UE(530)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UE(530) 또는 호스트 컴퓨터(510)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둘 모두로부터 숨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연결(5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균형 고려 또는 재구성을 기반으로).
UE(530)와 기지국(520) 사이의 무선 연결(570)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연결(570)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연결(550)을 사용하여 UE(530)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보다 정확하게, 이러한 실시예의 지시는 데이터 비율, 지연시간, 및/또는 전력 소비를 개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자 대기 시간 감소, 파일 크기에 대한 완화된 제한, 더 나은 응답성, 및/또는 연장된 배터리 수명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한 데이터 비율, 대기시간 및 다른 요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측정 과정이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510)와 UE(530) 사이의 OTT 연결(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선택적 네트워크 기능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연결(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과정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510)의 소프트웨어(511) 및 하드웨어(515)에서, 또는 UE(530)의 소프트웨어(531) 및 하드웨어(535)에서, 또는 둘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는 (도시되지 않은) OTT 연결(550)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그와 연관되어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에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의 값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511, 531)가 모니터링된 양을 계산하거나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의 값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연결(5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 선호되는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520)에 영향을 미칠 필요가 없고, 기지국(520)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 및 기능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실시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대기시간 등에 대한 호스트 컴퓨터(5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소프트웨어(511, 531)가 전파 시간, 에러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연결(550)을 사용하여 메시지, 특히 비어 있거나 '더미(dummy)' 메시지가 전송되게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21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6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610)의 서브단계(61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6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운반하는 전송을 초기화한다. 단계(6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기지국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초기화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640)에서 (또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22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7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선택적인 서브단계에서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7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로 운반하는 전송을 초기화한다. 전송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을 경유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전송으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3은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23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81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820)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820)의 서브단계(82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810)의 서브단계(811)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때,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한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8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초기화한다. 방법의 단계(84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4는 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것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 도 24에 대한 도면 참조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91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92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기지국은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전송을 초기화한다. 단계(930)에서 (선택적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5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0)에 의한 방법(1000)을 도시한다. 단계(1002)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시간 민감형 통신(TSC) 및/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의 수를 결정한다. 단계(1004)에서, 네트워크 노드(160)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한다. 각 가상 브릿지(14)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 중 특정한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F), 운영 및 관리(OAM), 및 5G-ACIA에 의해 정의된 5세대(5G) 노출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컨트롤러(CNC)(16)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가상 브릿지(12)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다수의 네트워크 기능(21)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네트워크 기능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 및/또는 가상 브릿지(14)와 연관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CNC(16)와 같은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그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5GS) 포트(17)의 지리적 위치, VLAN 정보, DNN, 및 S-NSSAI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에 대해, 다른 코어 네트워크 컨트롤러(16)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14)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의 수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하고, 다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 중 특정한 하나에 대해 얼마나 많은 포트(17) 및 사용자 평면 기능(18)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평면 기능(18)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는 상위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의 일부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16)를 사용하는 단계는 제1 CNC(16) 보다 계층구조에서 하위인 적어도 두개의 다른 CNC(16) 사이에 통신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61, 71)는 그 자체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 동작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71)은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71)은 적어도 두개의 로컬 생산 도메인(12) 사이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다른 CNC(16)는 가상 브릿지(14)의 각 포트 쌍 그룹을 구성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 가상 브릿지(14)는 다른 CNC(16)에 의해 관리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16)는 계층구조에서 하위에 위치하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스트림 경로(62)를 구성한다.
도 26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가상 장치(1100)의 구조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노드(160)) 구현될 수 있다. 장치(1100)는 도 25를 참조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 및 가능하게는 여기서 개시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도 25의 방법이 반드시 장치(1100)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엔터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상 장치(110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수 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여러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결정 모듈(1110), 인스턴스화 모듈(1120), 및 장치(1100)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닛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결정 모듈(1110)은 장치(1100)의 특정한 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110)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시간 민감형 통신(TSC) 및/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스화 모듈(1120)은 장치(1100)의 특정한 인스턴스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스화 모듈(1120)은 다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 각 가상 브릿지(14)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 중 특정한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닛은 전자, 전기 디바이스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 디바이스,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논리적 솔리드 스테이트 및/또는 이산 디바이스,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은 각각의 작업, 과정, 계산, 출력, 및/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0)에 의한 방법(1200)을 도시한다. 단계(1202)에서, 네트워크 노드(160c)는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여기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한다. 단계(1204)에서, 네트워크 노드(160c)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고,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0c)는 다수의 TSC 도메인(12)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이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는 AF(21), OAM, 및 네트워크 노출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CNC 컨트롤러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능(21)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과,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와 연관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CNC 컨트롤러(16)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SDN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수신된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5GS) 포트의 지리적 위치; VLAN 정보; DNN; 및/또는 S-NSSAI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의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실행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 TSC 도메인에 대해, 다른 CNC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관리하고, 그 브릿지는 가상 또는 고정 브릿지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중 특정한 하나에 대해 얼마나 많은 포트(17) 및 사용자 평면 기능(18)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및 얼마나 많은 사용자 평면 기능이 필요한지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평면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상위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일부이고, 네트워크 노드(160c)는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제1 중앙 네트워크 구성 컨트롤러 보다 계층구조에서 하위인 적어도 두개의 다른 중앙 네트워크 구성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TSC 및/또는 TSN 도메인(71)으로 동작한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TSC/TSN 도메인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TSC/TSN 도메인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또는 TSC/TSN 도메인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두개의 로컬 생산 도메인 사이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8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가상 장치(1300)의 구조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노드(160)) 구현될 수 있다. 장치(1300)는 도 27을 참조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 및 가능하게는 여기서 개시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도 27의 방법이 반드시 장치(1300)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엔터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상 장치(130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수 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여러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결정 모듈(1310), 인스턴스화 모듈(1320), 및 장치(1300)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닛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결정 모듈(1310)은 장치(1300)의 특정한 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310)은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스화 모듈(1320)은 장치(1300)의 특정한 인스턴스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스화 모듈(1320)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고,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14)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9는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0)에 의한 방법(14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160)는 특정한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402)에서, 네트워크 노드(160)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트(17)의 그룹을 결정한다. 단계(140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포트(17) 그룹에 대해 제1 가상 브릿지(14)를 동적으로 모델링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의 그룹은 제1 TSC/TSN 도메인과 연관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제1 가상 브릿지는 제1 TSC 도메인과 연관된 CNC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제1 가상 브릿지는 제1 TSC 도메인과 연관되고 제1 TSC 도메인은 UE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E가 제2 TSC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네트워크 노드는 제2 TSC 도메인과 연관된 제2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17)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 포트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17)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포트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17)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UPF 포트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포트(17)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 포트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포트(17)의 그룹을 브릿지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기능(21) 또는 가상 브릿지(14) 전용 3GPP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에 브릿지 식별자를 리포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14)를 포함하고 각 가상 브릿지(14)는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으로부터의 전용 CNC(16)에 의해 관리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가상 브릿지(14)는 사용자 장비(UE)(11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과 연관되고, 여기서 UE(110)가 제2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으로 이동할 때, UE(110)는 제2 TSC 및/또는 TSN 도메인(12)과 연관된 또 다른 가상 브릿지(14)로 모델링된다.
도 30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가상 장치(1500)의 구조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노드(160, 160c)) 구현될 수 있다. 장치(1500)는 도 29를 참조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 및 가능하게는 여기서 개시된 임의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도 29의 방법이 반드시 장치(1500)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엔터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가상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특수 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여러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 뿐만 아니라 여기서 설명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결정 모듈(1510), 동적 모델링 모듈(1520), 및 장치(1500)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닛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결정 모듈(1510)은 장치(1500)의 특정한 결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110)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트(17)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동적 모델링 모듈(1520)은 장치(1500)의 특정한 인스턴스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스화 모델(1520)은 포트(17)의 그룹에 대해 가상 브릿지(14)를 동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시간 민감형 통신(TSC) 및/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로,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중 특정한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 예시적인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인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3.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2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F), 운영 및 관리(OAM), 및 5G-ACIA에 의해 정의된 5세대(5G) 노출 인터페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4.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서 CNC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5.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4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다수의 네트워크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기능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 및/또는 가상 브릿지와 연관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6.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CNC와 같은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7. 예시적인 실시예 6의 방법에 있어서, 그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5GS) 포트의 지리적 위치,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VLAN) 정보, 데이터 네트워크 명칭(DNN), 및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8.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7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각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대해, 다른 CNC 컨트롤러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9.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8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수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하고,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중 특정한 하나에 대해 얼마나 많은 포트 및 사용자 평면 기능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평면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0.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상위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일부인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1. 예시적인 실시예 10의 방법에 있어서,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를 사용하여 제1 CNC 보다 계층구조에서 하위인 적어도 두개의 다른 CNC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1.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그 자체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 동작하고, 여기서 가상 브릿지는 예를 들어, 5G 가상 브릿지가 될 수 있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2. 예시적인 실시예 11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은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3. 예시적인 실시예 11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은 적어도 두개의 로컬 생산 도메인 사이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4.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다른 CNC는 가상 브릿지의 각 포트 쌍 그룹을 구성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5.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각 가상 브릿지는 다른 CNC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6.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5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는 계층구조에서 하위에 위치하는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스트림 경로를 구성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17.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6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예시적인 실시예 18.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6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예시적인 실시예 19.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6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시적인 실시예 20.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16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시적인 실시예 2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트의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포트 그룹에 대해 가상 브릿지를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2. 예시적인 실시예 21의 방법에 있어서,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3.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2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4.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UPF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5.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4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6.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5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포트의 그룹을 브릿지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7. 예시적인 실시예 26의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기능 또는 가상 브릿지 전용 3GPP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에 브릿지 식별자를 리포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8.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7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포함하고 각 가상 브릿지는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부터의 전용 CNC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29.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8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가상 브릿지는 사용자 장비(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TSC 및/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되고, 여기서 UE가 제2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UE는 제2 TSC 및/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된 또 다른 가상 브릿지로 모델링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30.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예시적인 실시예 31.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예시적인 실시예 32.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시적인 실시예 33.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예시적인 실시예 21 내지 29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시적인 실시예 34. 네트워크 노드로서: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3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의 임의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무선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예시적인 실시예 35.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갖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싱 회로는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3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의 임의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36. 이전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37. 이전 2개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38. 이전 3개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39.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호스트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로 사용자 데이터를 운반하는 전송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3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의 임의의 단계를 실행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40. 이전 예시적인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41. 이전 2개 예시적인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서 제공되고, 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42.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전 3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예시적인 실시예 43.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에서 발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싱 회로는 예시적인 실시예 1 내지 33 중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의 임의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44. 이전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45. 이전 2개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46. 이전 3개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예시적인 실시예 47. 이전 예시적인 실시예의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 48. 이전 예시적인 실시예의 임의의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방법.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서 기술된 시스템 및 장치에 수정, 추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및 장치의 구성성분은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구성성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각각"은 세트의 각 멤버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 멤버를 칭한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기서 기술된 방법에 수정, 추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실시예의 변경 및 순열은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5GS를 사용하여 모델링된 가상 브릿지에 대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가상 브릿지는 현재 개발 중인 6G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경, 대체 및 변화가 가능하다.
10, 20, 30, 40, 50, 60, 70, 80, 90 : 5G 시스템
12 : TSN 도메인
14 : 5G 가상 브릿지
16 : CNC
17 : 포트
18 : UPF
19 : 5G RAN
21 : AF
22 : UE
61 : TSN 백본 도메인
62 : TSN 스트림
71 : 5G TSN 도메인
110 : 무선 디바이스
120 : 프로세싱 회로
130 :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160 : 네트워크 노드
170 : 프로세싱 회로
180 :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Claims (51)

  1.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1200)으로서:
    얼마나 많은 시간 민감형 통신(TSC) 및/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이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0; 20; 30; 40; 50; 60; 70; 80)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1202); 및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1204)로,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기능(AF)(21),
    운영 및 관리(OAM), 및
    네트워크 노출 인터페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중앙 네트워크 구성(CNC) 컨트롤러(16)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능(21)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와 연관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중앙 네트워크 구성(CNC) 컨트롤러(16) 또는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SD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5GS) 포트의 지리적 위치;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VLAN) 정보; 데이터 네트워크 명칭(DNN); 및/또는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실행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각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관리하는 CNC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중 특정한 하나에 대해 얼마나 많은 포트(17) 및 사용자 평면 기능(18)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 및
    얼마나 많은 사용자 평면 기능이 필요한지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평면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상위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일부이고, 상기 방법은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CNC 컨트롤러 보다 계층구조에서 하위인 적어도 두개의 다른 CNC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TSC 및/또는 TSN 도메인(71)으로 동작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TSC 도메인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적어도 두개의 로컬 생산 도메인 사이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네트워크 노드(160, 160c)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80)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그에 구현된 제15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프로세싱 회로(1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0, 160c)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70)는
    얼마나 많은 시간 민감형 통신(TSC) 및/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이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0; 20; 30; 40; 50; 60; 70; 80)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1202);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14)를 인스턴스화하고(1204), 여기서 각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60c)인 네트워크 노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애플리케이션 기능(AF)(21),
    운영 및 관리(OAM), 및
    네트워크 노출 인터페이스.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때,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중앙 네트워크 구성(CNC) 컨트롤러(16)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할 때,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되고, 각 네트워크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와 연관되는 네트워크 노드.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3GPP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CNC 컨트롤러(16) 또는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SD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4. 제22항 또는 제2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5G 시스템(5GS) 포트의 지리적 위치; 가상 로컬 영역 네트워크(VLAN) 정보; 데이터 네트워크 명칭(DNN); 및/또는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할 때,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네트워크에 얼마나 많은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각 TSC 및/또는 TSN 도메인에 대해 다른 CNC 컨트롤러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CNC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노드.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를 인스턴스화할 때,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다수의 TSC 및/또는 TSN 도메인 중 특정한 하나에 대해 얼마나 많은 포트(17) 및 사용자 평면 기능(18)이 필요한지 결정하고; 또한
    얼마나 많은 사용자 평면 기능이 필요한지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평면 기능을 인스턴스화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8. 제17항 내지 제2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상위 TSC 및/또는 TSN 도메인의 일부이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계층구조에서 상위인 제1 CNC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CNC 컨트롤러 보다 계층구조에서 하위인 적어도 두개의 다른 CNC 컨트롤러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9. 제17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TSC 및/또는 TSN 도메인(71)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TSC 도메인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브릿지는 적어도 두개의 로컬 생산 도메인 사이에 연결 및/또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 노드.
  31. 네트워크 노드(160, 160c)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1400)으로서:
    네트워크 시스템(10; 20; 30; 40; 50; 60; 70; 80)에서 포트(17)의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1402); 및
    상기 포트의 그룹에 대해 제1 가상 브릿지(14)를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단계(1404)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제1 시간 민감형 통신(TSC) 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과 연관되는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브릿지는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된 중앙 네트워크 구성(CNC)(16)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브릿지는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되고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은 사용자 장비(UE)(22; 200)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제2 TSC 또는 TSN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된 제2 가상 브릿지을 동적으로 모델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수신 포트 및/또는 송신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UPF 포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 포트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을 브릿지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브릿지 전용 네트워크 기능에 상기 브릿지 식별자를 리포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포함하고 각 가상 브릿지는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부터의 전용 CNC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되는 방법.
  40. 네트워크 노드(160, 160c)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임의의 한 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80)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그에 구현된 제40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2. 프로세싱 회로(17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0)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70)는
    네트워크 시스템(10; 20; 30; 40; 50; 60; 70; 80)에서 포트(17)의 그룹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포트의 그룹에 대해 제1 가상 브릿지(14)를 동적으로 모델링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제1 시간 민감형 통신(TSC) 또는 시간 민감형 네트워킹(TSN) 도메인(12)과 연관되는 네트워크 노드.
  44. 제42항 또는 제4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브릿지는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된 중앙 구성 컨트롤러(CNC)(16)에 의해 관리되는 네트워크 노드.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브릿지는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되고 상기 제1 TSC 또는 TSN 도메인은 사용자 장비(UE)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UE가 제2 TSC 또는 TSN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TSC 또는 TSN 도메인과 연관된 제2 가상 브릿지을 동적으로 모델링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수신 포트 및 송신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7.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UPF 포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8. 제42항 내지 제4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 포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9. 제42항 내지 제4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포트의 그룹을 브릿지 식별자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제1 가상 브릿지 전용 네트워크 기능에 상기 브릿지 식별자를 리포트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51. 제42항 내지 제5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다수의 가상 브릿지를 포함하고 각 가상 브릿지는 다른 TSC 및/또는 TSN 도메인으로부터의 전용 중앙 네트워크 구성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되는 네트워크 노드.
KR1020227044973A 2020-06-11 2021-06-11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14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7656P 2020-06-11 2020-06-11
US63/037,656 2020-06-11
PCT/SE2021/050529 WO2021251870A1 (en) 2020-06-11 2021-06-11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5g and multiple tsc/tsn doma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747A true KR20230014747A (ko) 2023-01-30

Family

ID=7884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973A KR20230014747A (ko) 2020-06-11 2021-06-11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9175A1 (ko)
EP (1) EP4165839A4 (ko)
KR (1) KR20230014747A (ko)
CN (1) CN115735353A (ko)
BR (1) BR112022025165A2 (ko)
WO (1) WO2021251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8643A1 (en) * 2022-10-20 2024-04-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two micro-n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0702B (zh) * 2018-10-08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时延敏感网络通信方法及其装置
WO2020081062A1 (en) * 2018-10-16 2020-04-23 Nokia Technologies Oy Wireless network support for ieee tsn based industrial automation
CN111200878B (zh) * 2018-11-19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25165A2 (pt) 2023-01-03
CN115735353A (zh) 2023-03-03
WO2021251870A1 (en) 2021-12-16
EP4165839A1 (en) 2023-04-19
US20230239175A1 (en) 2023-07-27
EP4165839A4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5309A1 (en) Data Sharing Between a Non-RT-RIC and a NearRT-RIC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JP2024026269A (ja) スライス可用性に基づく周波数又は無線アクセス技術(rat)選択
CN115843453A (zh) 用于处于空闲状态和不活动状态的用户设备的多播和广播服务
JP2021185661A (ja)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の最大送信電力の設定
KR102621982B1 (ko) V2x 통신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또는 서비스들의발견을 위한 방법들,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N111345056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小区全局标识符报告的方法和装置
JP7116846B2 (ja) 動的nefトンネル割り当てと関係するネットワークノード/機能とを提供する方法
CN111567088A (zh) 拆分cu-du ran架构中的增量配置
CN111937425B (zh) 用于处理用户平面通信保护的安全策略的方法、用户设备和系统
JP2021503852A (ja) Mcsおよびcqiテーブルを識別すること
KR102629295B1 (ko) 사용자 평면 무결성 보호
TW202220468A (zh) 執行無線電測量之方法及設備
WO2020167223A1 (en) Ran initiated data collection
CN114531959A (zh) 提供和开放与应用相关联的用户设备(ue)通信模式以请求要在核心网络(on)中分析的应用的业务
JP202351542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認証および鍵管理のための鍵材料生成最適化
CN113455030B (zh) 5g核心网络(5gc)中的组数据管理
KR20230014747A (ko) 5g와 다중 tsc/tsn 도메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4617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메시지 분배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2023536398A (ja) 公衆警告システムメッセージの適応的セグメンテーション
KR20230129185A (ko) 사용자 장비(ue) 식별자 요청
JP7157176B2 (ja) 無線接続を安全に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6158107A (zh) 无线通信网络中的参考信号波束配置
JP7439254B2 (ja) Srb3を介した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情報ブロックリクエスト
WO20212436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deployment and configuration
US20230276219A1 (en) Reporting of Secondary Node Related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