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127A -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127A
KR20230014127A KR1020210094964A KR20210094964A KR20230014127A KR 20230014127 A KR20230014127 A KR 20230014127A KR 1020210094964 A KR1020210094964 A KR 1020210094964A KR 20210094964 A KR20210094964 A KR 20210094964A KR 20230014127 A KR20230014127 A KR 2023001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grance
cartridges
spic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세
김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인텔리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인텔리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인텔리전스
Priority to KR1020210094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127A/ko
Publication of KR2023001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5Apparatu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향기 분사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홈들이 정의된 카트리지 수용부, 대응되는 상기 카트리지 홈들에 삽입되고 서로 다른 향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 상에 배치는 향료 혼합부 및 상기 향료 혼합부와 연결된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된 향료는 상기 향료 혼합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토출부로 분사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FRAGRANCE DISPENSING DEVICE THAT PERFORMS FRAGRANCE DISPENSING THROUGH AI-BASED EMOTIONAL ANALYSIS}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실내 환경 개선 및 셀프 케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향기와 관련된 시장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양하게 발전함에 따라 많은 종류의 향료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취향의 영역을 넘어 향기를 이용한 치료(아로마테라피)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통적인 방식의 디퓨저 외에도 전기적인 방식으로 향료를 토출하는 전기 디퓨저, 나아가 IoT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퓨저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향기 관련 제품들이 확장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카트리지들에서 제공된 향료가 섞여 형성된 다양한 향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모드에서 형성된 향기가 잔류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향기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홈들이 정의된 카트리지 수용부, 대응되는 상기 카트리지 홈들에 삽입되고 서로 다른 향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 상에 배치는 향료 혼합부 및 상기 향료 혼합부와 연결된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된 향료는 상기 향료 혼합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토출부로 분사된다.
또한, 제1 모드는, 상기 카트리지들 중 선택된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가, 상기 향료 혼합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토출부를 통해 분사되고, 제2 모드는, 상기 카트리지들 중 선택되고 상기 제1 조합과 상이한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가, 상기 향료 혼합부에서 혼합되어 상기 토출부를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혼합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료 혼합부 내부의 유량을 제어하여 혼합된 상기 향료들을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혼합된 향료들은 상기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향료 혼합부 내부에는 상기 제1 모드에서 혼합된 향료들이 잔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불순물을 여과시켜 상기 향료 혼합부에 제공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수용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향료 혼합부에 열을 제공하는 히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혼합부는, 상기 향료 혼합부의 배면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들로 연결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향료 혼합부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트리지들로부터 토출되는 향료가 상기 향료 혼합부 내의 일 지점에서 서로 충돌하여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들 각각에 연결된 초음파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부는,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들의 진동자를 제어하여 향료의 토출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들은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는 서로 다른 향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는 향료가 혼합되어 배출됨으로써, 향료의 종류 및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는 모드가 전환되기 전, 팬이 가동되어 향료 혼합부 내부에 형성된 향기는 모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모드에서 제공되는 향료들은 다음 모드에서 제공된 향료들과 섞이지 않고 목적하고자 하는 향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향기의 균일성이 향상된 향기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는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시간, 날씨, 또는 사용자의 앱 연동을 통해 입력되거나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향을 갖는 향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수용부 및 카트리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 혼합부 및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 혼합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유닛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수용부 및 카트리지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 혼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료 혼합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는 상부 유닛(UM), 중간 유닛(MM), 및 하부 유닛(BM)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닛(UM), 중간 유닛(MM), 및 하부 유닛(BM)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유닛(UM)은 표시부(DM) 및 조작부(BU)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닛(UM)은 향기가 분사되는 토출부(TC)와 중첩하는 토출 홈(TC-H)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부(DM)는 향기 분사 장치(DF)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DM)는 조작부(BU)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DM)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이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DM)에는 일 예시로 시간, 배터리 잔량, 모드 상태 등이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로 표시된 것이며, 향기 분사 장치(DF)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면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부(BU)는 사용자가 향기 분사 장치(DF)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조작부(BU)에 포함된 버튼들은 물리적으로 입력이 가능하거나, 햅틱 기능이 가능한 터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폰에 설치된 앱(app)을 연동하여 조작부(BU)를 제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토출 홈(CT-H)에는 중간 유닛(MM)에서 형성된 향기가 제공되는 토출부(TC)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토출 홈(CT-H)은 상부 유닛(UM)의 중심부에 하나로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중간 유닛(MM)에서 제공되는 향기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이면, 형상 및 개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 유닛(MM)은 상부 유닛(UM) 및 하부 유닛(B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상부 유닛(UM), 중간 유닛(MM) 및 하부 유닛(BM)으로 구성된 일 예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구성들을 설명하고 있으나, 향기 분사 장치(DF)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간 유닛(MM)은 카트리지 수용부(CHU), 복수의 카트리지들(C1-C6), 초음파 진동부(UW), 히팅 유닛(HT), 토출부(TC), 향료 배관(ISP)을 포함하는 향료 혼합부(CH), 및 팬(FA)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수용부(CHU)는 복수의 격벽들(WH)에 의해 정의된 카트리지 수용홈들(C-OP)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수용홈들(C-OP)에는 카트리지들(C1-C6) 중 대응되는 카트리지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C1-C6)은 서로 다른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들(C1-C6)에 포함된 향료들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향기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들(C1-C6) 각각에 포함된 향료는 진동자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진동에 의해 향료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입자들은 카트리지들(C1-C6)에 제공된 열 혹은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카트리지들(C1-C6) 각각은 일 면상에 배치된 배관 홈(IS-H)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에 의해 진동된 향료 입자는 배관 홈(IS-H)을 통해 향료 배관(ISP)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관 홈(IS-H)은 향료 배관(ISP)이 삽입되기 전,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들(C1-C6) 각각은 향료의 토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예: 배관(IS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는 카트리지들(C1-C6)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고, 향기 분사 장치(DF)에 구비되어 카트리지들(C1-C6)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카트리지들(C1-C6) 및 향기 분사 장치(DF)에 각각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카트리지들(C1-C6) 각각이 향기 분사 장치(DF)에 삽입됨에 따라 카트리지들(C1-C6)에 구비된 가이드부가 향기 분사 장치(DF)의 가이드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배관 홈(IS-H)은 향료 배관(ISP)이 결합될 경우, 상기 일 면상에서 탈착되어 제거되거나, 덮개 형상으로 제공되어 교체, 보관, 또는 운반 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들(C1-C6) 각각은 배관 홈(IS-H)이 정의된 상기 일 면과 다른 면 상에 배치된 진동자 삽입부(CT-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 삽입부(CT-2)는 초음파 진동부(UW)의 진동자 제공부(CT-1)와 연결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진동자 삽입부(CT-2)는 초음파 진동부(UW)의 진동자 제공부(CT-1)와 결합되기 전, 카트리지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들(C1-C6)에 포함된 향료들은 초음파 진동부(UW)가 삽입되기 전, 진동자 삽입부(CT-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 삽입부(CT-2)는 고무, 실리콘,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자 삽입부(CT-2)는 카트리지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고, 초음파 진동부(UW)의 진동자 제공부(CT-1)와 결합될 때, 개/폐되는 형상이면 물질 및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들(C1-C6) 각각은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들(C1-C6) 각각은 향기 분사 장치(DF)의 초음파 진동부(UW)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부(예: 전극)를 포함할 수 있으며, 향기 분사 장치(DF)의 제어부로부터 초음파 진동부(UW)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자가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부(UW)는 카트리지 수용홈들(C-OP) 중 대응되는 카트리지 수용홈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부(UW)는 대응되는 카트리지들(C1-C6)의 진동자 삽입부(CT-2)와 결합되는 진동자 제공부(CT-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부(UW)는 카트리지들(C1-C6) 중 진동자 삽입부(CT-2)가 배치된 상기 다른 면과 마주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부(UW)는 진동자 제공부(CT-1)를 통해 카트리지들(C1-C6)로 진동자를 제공할 수 있다.
히팅 유닛(HT)은 카트리지 수용부(CHU)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 유닛(HT)은 카 트리지들(C1-C6) 중 대응되는 카트리지와 중첩하는 히팅 라인(HL)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 유닛(HT)은 히팅 라인(HL)을 통해 카트리지들(C1-C6)이 배치된 영역을 개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자에 의해 진동된 향료들은 히팅 유닛(HT)을 통해 가해지는 열을 통해 용이하게 배관 홈(IS-H)에 연결된 향료 배관(ISP)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는 카트리지들(C1-C6)에서 제공된 향료들이 충돌되어 향기를 형성하는 향료 혼합부(CH)를 포함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는 각 카트리지들(C1-C6)로부터 제공된 향료들이 향료 혼합부(CH)의 일 지점에서 서로 용이하게 충돌하여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향료 배관(ISP)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료 혼합부(CH)는 각각의 카트리지들(C1-C6)을 향해 돌출된 향료 배관(ISP)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 배관(ISP)은 향료 혼합부(CH)의 배면(CH-B)으로부터 돌출되어 카트리지들(C1-C6) 각각의 배관 홈(IS-H)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향료 배관(ISP)는 카트리지들(C1-C6) 각각에 구비되어, 향료 혼합부(CH)와 연결될 수도 있다.
향료 배관(ISP)은 향료 혼합부(CH)의 배면(CH-B)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질 수 있다. 소정의 각도(Θ)는 예각일 수 있다. 향료 배관(ISP)은 고무, 실리콘, 스테인리스 스틸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향료 배관(ISP)은 소정의 탄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들(C1-C6)의 교체/결합 시, 향료 배관(ISP)은 용이하게 배관 홈(IS-H)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부(TC)는 향료 혼합부(CH)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부(TC)는 향료 혼합부(CH)에서 혼합된 향료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토출부(TC)는 상부 유닛(UM)까지 연장되어 상부 유닛(UM)의 토출 홈(TC-H)과 결합될 수 있다.
팬(FA)은 향료 혼합부(CH)의 배면(CH-B)에 배치될 수 있다. 팬(FA)은 향료 혼합부(CH)의 배면에서 토출부(TC)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여, 향료 혼합부(CH) 내부에서 혼합된 향료들을 토출부(TC)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향료 혼합부(CH)의 배면(CH-B)에는 팬(FA)이 삽입될 수 있는 팬 홈(FA-H)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수용부(CHU) 및 히팅 유닛(HT)에는 팬(FA)이 가동되는 동안 기류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수용부(CHU)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팬 홈(F-OP1)이 정의될 수 있으며, 히팅 유닛(HT)은 제1 팬 홈(F-OP1)과 중접하는 제2 팬 홈(F-OP2)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유닛(BM)의 각각의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팬(FA) 가동 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팬 홈(F-OP)이 정의될 수 있다. 팬 홈(F-OP)은 하부 유닛(BM)의 하단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팬(FA)이 카트리지 수용부(CHU)와 향료 혼합부(CH)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카트리지 수용부(CHU)의 제1 팬 홈(F-OP1), 히팅 유닛(HT)의 제2 팬 홈(F-OP2), 및 하부 유닛(BM)의 팬 홈(F-OP)이 정의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팬(FA)으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향료 혼합부(CH)에 혼합된 향료들을 용이하게 토출부(CT)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히팅 유닛(HT)으로부터 가해지는 열이 향료 혼합부(CH)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료 혼합부(CH) 내부의 향료가 히팅 유닛(HT)의 열과 팬(FA)의 바람으로 인해 잔존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유닛(BM)은 필터 유닛(FA-P), 메인 보드(MB), 센서 모듈(SM), 및 전원 공급 모듈(C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유닛(BM)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팬 홈(F-OP)이 정의될 수 있다.
필터 유닛(FA-P)은 팬(FA)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향기 분사 장치(DF)로 유입시킬 때,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필터 유닛(FA-P)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의 모드 중 공기 청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들(C1-C6)의 향료들은 향료 혼합부(CH)로 제공되지 않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 유닛(FA-P)에서 여과되고, 팬(FA)에서 형성된 기류를 통해 토출부(CT)로 제공되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는 일정 모드에서 공기 청정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CM)은 향기 분사 장치(DF)의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CM)은 통상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SM)은 표시부(DM)에 표시될 향기 분사 장치(DF)의 상태를 표시할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 영상입력 모듈, 음향입력 모듈,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앱(app) 연동 모듈, 습도 및 온도 감지 모듈, 수광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표시부(DM), 조작부(BU), 초음파 진동부(UW), 히팅 유니(HT), 및 팬(F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모듈(CM), 센서 모듈(SM), 및 메인 보드(MB)는 커넥터(TL)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향료 분사 장치(DF)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의 작동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는 카트리지들(C1-C6) 각각에 포함된 향료들이 혼합되어 향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카트리지들(C1-C6) 중 선택된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가 카트리지 수용부(CHU)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접촉하는 초음파 진동부(UW)는 진동자를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로 제동될 수 있다. 이후, 히팅 유닛(HT) 중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중첩하는 히팅 라인(HL)은 가열되어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합으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카트리지들과 연결된 초음파 진동부(UW) 및 히팅 라인(HL)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머지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들은 진동자에 반응하지 않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제1 모드일 때 선택될 수 있는 카트리지들의 조합은, 6개의 카트리지들 중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카트리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는 일 예시로 제1 카트리지(C-A) 및 제2 카트리지(C-B)가 선택된 일 모드에서 각각의 향료들(FL-A, FL-B)이 진동자에 의해 진동되어 이동되는 향료들(FL-A, FL-B)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실시 예에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히팅 유닛(HT)으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향료들(FL-A, FL-B)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C-A) 및 제2 카트리지(C-B)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들(C1-C6) 중 어느 두 개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C-A)의 제1 향료(FL-A) 중 진동된 향료 입자는 제1 향료 배관(ISP1)을 통해 향료 혼합부(CH)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C-B)의 제2 향료(FL-B) 중 진동된 향료 입자는 제2 향료 배관(ISP2)을 통해 향료 혼합부(CH)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향료 혼합부(CH)로 제공된 각각의 향료들(FL-A, FL-B)은 향료 혼합부(CH)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혼합됨에 따라 제1 모드에서 목적하는 제1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팬(FA)이 가동되어 토출부(TC)로 제1 향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카트리지들(C1-C6) 중 선택된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가 카트리지 수용부(CHU)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은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거나,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을 모두 포함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완전히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접촉하는 초음파 진동부(UW)는 진동자를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로 제동될 수 있다. 이후, 히닝 유닛(HT) 중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과 중첩하는 히팅 라인(HL)은 가열되어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조합으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카트리지들과 연결된 초음파 진동부(UW) 및 히팅 라인(HL)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머지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들은 진동자에 반응하지 않은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제2 조합으로 구성된 카트리지들 각각의 향료들은 향료 혼합부(CH)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혼합됨에 따라 제2 모드에서 목적하는 제2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향기는 제1 향기와 서로 다른 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기 전, 팬(FAN)이 가동되어 향료 혼합부(CH) 내부에 형성된 제1 향기는 모두 토출부(T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모드에서 제공되는 향료들은 다음 모드에서 제공된 향료들과 섞이지 않고 목적하고자 하는 향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기의 균일성이 향상된 향기 분사 장치(DF)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분사 장치(DF)는 센서 모듈(SM)을 통해 감지된 향기 분사 장치(DF)가 사용되는 장소의 시간, 날씨, 또는 사용자의 앱(app) 연동을 통해 입력되거나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향을 갖는 향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센서 모듈(SM)은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SM)은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감정상태는 즐거움(joy), 슬픔(sadness), 분노(anger) 및 공포(fea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 모듈(SM)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 혹은 향기 분사 장치(DF)와 통신하는 컴퓨팅 장치(이하 컴퓨팅 장치)는 수집된 생체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사할 향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분사할 향기의 종류는 향기 분사 장치(DF)에 삽입된 카트리지에 내장된 향료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향료들의 조합은 조합대상 향료의 종류 및 배합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는 결정된 향료의 종류 및 배합비에 기초하여 각 카트리지의 향료 분사속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향료 분사속도에 기초하여 각 카트리지에 구비된 진동자를 제어함으로써 향료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된 향료는 가이드부를 통해 향료 혼합부(CH) 내부의 일 지점에서 서로 충돌하여 혼합되고, 팬(FA)을 통해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향기 분사 장치(DF) 외부로 토출된다.
향기 분사 장치(DF)를 통해 토출된 향기는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는 향기 분사 전후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 변화가 분석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의 감정상태 변화에 따라 향기 토출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고, 토출되는 향기의 종류를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향기는 사람의 감정상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바, 향기 분사 장치(DF) 및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거나 나쁜 기분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향기 분사 장치(DF) 및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우울증 등 크고 작은 정신질환을 가진 사용자의 정신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디지털 치료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기 분사 장치(DF)는 센서 모듈(SM)을 통해 사용자의 심박, 호흡, 체온, 뇌파, 움직임, 소리,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대화는 음성 혹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채팅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와의 대화내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와의 대화내용 및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파라미터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사용자의 심박, 호흡, 체온, 뇌파 등의 생체정보와, 소리 혹은 영상으로부터 분석된 사용자의 상태정보, 그리고 사용자와의 대화내용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상태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공지능 모델은 지도학습에 기반하여 학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정의된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 데이터와, 각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시점의 사용자의 감정상태가 레이블링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레이블링된 학습 데이터를 활용한 지도학습을 통해 학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인공지능 모델은 강화학습에 기반하여 학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정의된 인공지능 모델의 입력 데이터가 제공되고, 초기 인공지능 모델이 각 시점의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초기 인공지능 모델은 상기한 지도학습을 통해 학습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테스트 운영을 통해 초기 인공지능 모델이 예측한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예측된 사용자의 감정상태 및 예측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여 강화학습을 수행, 각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는 예측된 사용자의 감정상태 및 예측결과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여 추가적인 지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실제 사용과정에서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재학습함으로써, 각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향기 분사 장치(DF)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각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혹은 목소리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향기 분사 장치(DF)는 인식된 사용자별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모드에 기초하여 향기를 결정 및 토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의 상태 혹은 각 사용자별로 카트리지 조합을 변경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향기 분사 장치(DF)에 삽입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종류는 제한적이나, 필요한 향기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는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각 사용자의 유형 혹은 상태에 따라 필요한 향기를 조합하기 위한 향료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카트리지를 교체할 것을 권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향기 분사 장치(DF)는 현재 삽입된 카트리지의 향료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는 향기만을 선택하여 토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가 보유한 카트리지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카트리지의 종류 내에서 조합가능한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향기 분사 장치(DF)는 조합에 필요한 향료가 없을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향료의 구매를 권유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향기 분사 장치(DF)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향기를 토출할 시점 및 종료할 시점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향기의 종류 또한 자동으로 결정하여 토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향기 분사 장치(DF)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본인의 감정상태에 따라 최적의 향기가 자동으로 토출되는 바 일상생활에서 좋은 감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의 개선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UM: 상부 유닛
DM: 표시부
TC-H: 토출 홈
MM: 중간 유닛
CH: 향료 혼합부
CT: 토출부
CHU: 카트리지 수용부
C-OP: 카트리지 수용홈
C1-C6: 카트리지들
ISP: 향료 배관
IS-H: 배관 홈
HT: 히팅 유닛
UW: 초음파 진동부
CT-1: 진동자 제공부
CT-2: 진동자 삽입부
FA: 팬
F-OP1: 제1 팬 홈
F-OP2: 제2 팬 홈
FA-P: 필터부
F-OP: 필터 홈

Claims (1)

  1.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KR1020210094964A 2021-07-20 2021-07-20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KR20230014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64A KR20230014127A (ko) 2021-07-20 2021-07-20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64A KR20230014127A (ko) 2021-07-20 2021-07-20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127A true KR20230014127A (ko) 2023-01-30

Family

ID=8510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64A KR20230014127A (ko) 2021-07-20 2021-07-20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1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190B2 (ja) 携帯端末、香り発生装置、サーバ、香り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89295B2 (en) Customized skin care and method to provide same
CN102970885B (zh) 电子吸烟设备
JP6929349B2 (ja) 香り発生装置
WO2016080654A1 (ko) 향기 분사 장치
CN104811776B (zh) 多媒体播放方法及装置
Brogni et al. More breaks less presence
US20030127105A1 (en) Complete compact
EP3620183A2 (en) Aroma sharing system and aroma-added content sharing system
Scurto et al. Design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or human parameter exploration
US11882913B2 (en) Smart compartment system for cosmetic dispensing device
JP2023513873A (ja) 美容機器および美容機器システム
WO2017036046A1 (zh) 头部保健器与头部保健系统
WO2019129189A1 (zh) 刷牙数据的处理方法、刷牙监控系统、存储设备、刷牙检测装置、牙刷基座、牙刷
KR20230014127A (ko) 인공지능 기반 감정분석을 통한 향기분사를 수행하는 향기 분사 장치
WO2019129187A1 (zh) 刷牙数据的处理方法、存储设备、刷牙检测装置、牙刷基座、牙刷、刷牙监控系统
KR20230014126A (ko) 교체용 카트리지를 포함한 향기 분사 장치
KR20210153329A (ko) 맞춤형 발향 기능을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40000368A1 (en) Smell sensing system
US20200009284A1 (en) Fragrance Discharge Apparatus
WO2021030465A1 (en) Voice-cue based motorized skin treatment system
JP2009189411A (ja) 香料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芳香発生装置
KR102035725B1 (ko) 흑채 저장용기
CN109117621A (zh) 一种智能管控方法及家教设备
US11721425B2 (en) Method of system for inducing a Pavlovian conditioned association of an aroma with a state of sat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