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779A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3779A KR20230013779A KR1020210094657A KR20210094657A KR20230013779A KR 20230013779 A KR20230013779 A KR 20230013779A KR 1020210094657 A KR1020210094657 A KR 1020210094657A KR 20210094657 A KR20210094657 A KR 20210094657A KR 20230013779 A KR20230013779 A KR 20230013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leakage
- leak
- water
- sprinkler head
- notifica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발생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110: 누수 알림 장치
120: 누수 수신기
130: 서버
140: 카메라
Claims (10)
-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고, 누수 발생시 누수 감지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상기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누수 수신기; 및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누수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인 이탈 온도에서 상기 후크 타입의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영역을 관제하는 카메라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 본체 프레임;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고정 결합되는 결합 부재-상기 결합 부재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임;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장치.
-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되,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헤드 보호 부재;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누수 알림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걸리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저면에 위치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장치.
-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로 인한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발생 감지에 따른 경보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감지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의 이탈 감지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
-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 감지에 따른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누수 감지 결과에 포함된 누수 알림 장치와 누수 수신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누수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누수 발생 위치 정보는 누수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라인 정보, 층 정보, 구역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시각화 모니터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657A KR102497764B1 (ko) | 2021-07-20 | 2021-07-20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657A KR102497764B1 (ko) | 2021-07-20 | 2021-07-20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779A true KR20230013779A (ko) | 2023-01-27 |
KR102497764B1 KR102497764B1 (ko) | 2023-02-10 |
Family
ID=8510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4657A Active KR102497764B1 (ko) | 2021-07-20 | 2021-07-20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76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3563A (ko) * | 2018-12-14 | 2020-06-24 | 주식회사 애즈밸즈 |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
KR20210004037A (ko) * | 2019-07-03 | 2021-01-13 | 제이엔케이히터(주) |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10028464A (ko) * | 2019-09-04 | 2021-03-12 | 주식회사 리크텍 |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2021
- 2021-07-20 KR KR1020210094657A patent/KR10249776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3563A (ko) * | 2018-12-14 | 2020-06-24 | 주식회사 애즈밸즈 |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
KR20210004037A (ko) * | 2019-07-03 | 2021-01-13 | 제이엔케이히터(주) |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10028464A (ko) * | 2019-09-04 | 2021-03-12 | 주식회사 리크텍 |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7764B1 (ko) | 2023-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200552A1 (en) | Fire containment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ame and for firefighting systems | |
US76195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 |
JP2023075364A (ja) | 防災システム | |
KR101811393B1 (ko) |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 |
JP2018508713A (ja) | 消火装置、とりわけ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または水噴射消火装置の警報バルブステーション、および消火装置 | |
JP2019016119A (ja) | 火災監視システム | |
KR101923940B1 (ko) | 화재연기센서에 의해 화재 감지 기능을 갖는 전광판 | |
KR101754620B1 (ko) |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 |
KR102643497B1 (ko) |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 |
KR101364813B1 (ko) |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 |
KR100750513B1 (ko) |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 |
KR20040027534A (ko) |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 |
KR102497764B1 (ko)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101399475B1 (ko) |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 |
KR102459887B1 (ko) |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2010046316A (ja) | 消火システム | |
KR101269232B1 (ko) |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 |
CN115223081A (zh) | 一种地铁隧道智能安全监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 |
KR101823543B1 (ko) | 자가진단 시스템이 구비된 화재경보기 | |
KR20190121579A (ko) |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483352B1 (ko) |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101514897B1 (ko) |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 |
US12121764B2 (en) | Fire extinguishing devices with fire predicting function | |
KR102545774B1 (ko) | 건축물 소방용 화재경보기 | |
KR101742071B1 (ko) |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