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779A -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779A
KR20230013779A KR1020210094657A KR20210094657A KR20230013779A KR 20230013779 A KR20230013779 A KR 20230013779A KR 1020210094657 A KR1020210094657 A KR 1020210094657A KR 20210094657 A KR20210094657 A KR 20210094657A KR 20230013779 A KR20230013779 A KR 2023001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akage
water
leak
sprinkler head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764B1 (ko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크텍
Priority to KR102021009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고, 누수 발생시 누수 감지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상기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누수 수신기; 및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누수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IoT-based attachable water leak notification device, water leak visualization monitor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장착되는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가 발생되면, 열기류가 스프링클러헤드의 감열체 부분을 용융시키며, 이에 따라 링크 구조물이 이탈되면서 오리피스가 개방되어 물이 방사되고 방출된 물은 디프렉터에 부딪혀 사방으로 살수되며 초기 화재 진압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헤드 노후화, 경년변화, 부주위에 의한 오작동으로 감열체 상부 접합부가 누설되어 링크구조물이 이탈되며, 오리피스가 개방되어 물이 방사되어 오작동 된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고가의 장비 생산라인 상부에서 오작동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경우 생산 장비 및 조업 손실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방울의 누수라도 즉시 감지하여 반도체/산업설비 등 고가 제조 시설의 치명적인 손실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고, 누수 발생시 누수 감지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상기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누수 수신기; 및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누수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인 이탈 온도에서 상기 후크 타입의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영역을 관제하는 카메라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고정 결합되는 결합 부재-상기 결합 부재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임;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되,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헤드 보호 부재;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누수 알림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걸리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저면에 위치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로 인한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발생 감지에 따른 경보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감지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의 이탈 감지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방울의 누수라도 즉시 감지하여 반도체/산업설비 등 고가 제조 시설의 치명적인 손실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발생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발생 위치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110), 복수의 카메라(140), 누수 수신기(120) 및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수 알림 장치(110)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 또는/및 탈착 가능한 장치로,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로 인한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누수 알림 장치(110)는 누수 감지 결과를 누수 수신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누수 알림 장치(110)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며, 헤드 보호 부재를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누수 알림 장치(110)가 스프링클러 헤드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저융점 소재 결합된 결합 부재(21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210)의 형상은 후크 형상일 수 있다.
누수 알림 장치(110)의 상부에 형성된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해당 누수 알림 장치(110)가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누수 알림 장치(110)의 상부에 형성된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소정의 이탈 온도에 도달시 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 온도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보다 소정 온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 온도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형성된 유리밸브 용융전에 해당 누수 알림 장치가 이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가 57도 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탈 온도는 52도가 되도록 저 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형성될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융점 소재 소재의 후크 타입으로 형성된 결합 부재는 누수 알림 장치(110)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안정적으로 걸리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누수 알림 장치(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의 양단에 걸리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각각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누수 알림 장치(110)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알림 장치(110)는 헤드 보호 부재(3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헤드 보호 부재(310)는 건물의 내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며, 본체(32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헤드 보호 부재(310)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수용하며,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 보호 부재(31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시 물의 방사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헤드 보호 부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구조로 형성되며, 스프링클러 헤드 작동시 방사되는 물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2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되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액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체(320)의 상부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결합 부재는 저융점 소재 소재의 후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320)와 헤드 보호 부재(310)는 저융점 소재 소재의 후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예를 들어, 52도) 도달시 본체(320)와 헤드 보호 부재(310)가 떨어질 수 있다.
누수 수신기(120)는 제조 설비 시설내의 각 구역별로 위치될 수 있다. 누수 수신기(120)는 각 구역 내의 누수 알림 장치(110)기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한 후 당해 누수 수신기(120)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한 누수 감지 결과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서버(130)는 각 구역의 누수 수신기(120)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 설비내에 설치된 각 스프링클러 헤더의 누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서버(130)는 특정 구역의 누수 수신기(120)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 수신시, 이를 이용하여 누수 발생된 스프링클러 헤더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누수 알림 장치(110)와 누수 수신기(120)는 각각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누수 감지 결과 전송시, 이를 전송한 누수 알림 장치(110)와 누수 수신기(12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누수 발생된 스프링클러 헤더의 설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30)는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되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설치 위치 관련 정보가 사전 저장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즉, 서버(130)는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된 누수 알림 장치의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며, 각 누수 수신기가 설치된 구역에 관한 정보 또한 사전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130)는 기저장된 설치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누수 감지 결과 수신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발생 위치 정보는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라인 정보,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된 층 정보, 설치 구역 정보 및 헤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누수 감지 결과를 누수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특정 라인, 특정 층, 특정 구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누수 알림 장치(110)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30)는 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된 라인 정보, 층 정보, 구역 정보 및 헤드 주소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버(13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누수 수신기(120)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해당 누수 발생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조 설비 시설내에는 복수의 카메라(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각 구역을 실시간 관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30)는 특정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 감지시, 해당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된 구역을 관제하는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110)는 제1 센서(510), 제2 센서(520), 표시 램프(530), 음향 출력부(540), 통신 모듈(550), 배터리부(560) 및 컨트롤러(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센서(51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1 센서(51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에 따른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510)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본체 프레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510)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며, 스프링클러 헤드를 대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누수 알림 장치(110)의 상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에 의한 낙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510)는 해당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누수 알림 장치(110)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며, 해당 수용부에 낙수가 수용됨에 따른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520)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제2 센서(520)는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표시 램프(530)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외부 일면(예를 들어, 누수 알림 장치(110)의 저면)에 위치되며, 컨트롤러(570)의 제어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될 수 있다.
표시 램프(530)의 점등 또는 점멸에 의해 해당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외부에서 손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40)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330)는 스피커일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540)는 제1 센서(510)에 의해 누수 발생이 감지되면, 이를 청각 정보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570)는 제1 센서(510)에 의해 누수 발생이 감지되면, 음향 출력부(540)를 통해 누수 발생 경보를 청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5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550)은 누수 수신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 모듈(550)은 컨트롤러(570)의 제어에 따라 제1 센서(510)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이 감지되면, 누수 감지 결과를 누수 수신기(120)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누수 수신기(120)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되는 누수 감지 결과는 누수 알림 장치(110)의 식별 수단뿐만 아니라 누수 수신기(120)의 식별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된 라인, 층, 구역 및 위치에 대한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부(560)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누수 알림 장치(110)의 각 구성 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컨트롤러(5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장치(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제1 센서(510), 제2 센서(520), 표시 램프(530), 음향 출력부(540), 통신 모듈(550), 배터리부(56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컨트롤러(570)는 제1 센서(510)에 의해 누수 발생 감지시, 스프링클러 헤드의 식별정보 또는 누수 알림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감지 결과를 통신 모듈(550)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570)는 제1 센서(510)에 의해 누수 발생 감지시, 표시 램프(530)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하며, 음향 출력부(540)를 통해 누수 발생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570)는 제2 센서(520)에 의해 당해 누수 알림 장치(110)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면, 기울어짐 감지에 따른 이벤트를 통신 모듈(550)을 통해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알림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610에서 누수 알림 장치(110)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 감지시, 누수 감지 결과를 누수 수신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누수 수신기(120)는 해당 누수 알림 장치(110)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누수 감지 결과를 누수 수신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누수 수신기(120)는 누수 알림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누수 감지 결과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누수 수신기(120)는 당해 누수 수신기(120)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누수 감지 결과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서버(130)는 누수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한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누수 관련 정보는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 메시지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30)는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해당 누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누수 관련 정보에 포함된 누수 발생 위치 정보는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라인 정보,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된 층 정보, 설치 구역 정보 및 헤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이와 같이, 누수 감지 결과 수신시, 해당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파악된 누수 발생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누수 발생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위치를 관제하는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서버(130)는 누수 알림 장치(110)로부터 기울어짐 감지에 따른 이벤트 수신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누수 알림 장치(110)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보다 소정 온도 낮은 이탈 온도에서 이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작하기 이전에 당해 누수 알림 장치(110)가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이탈되며, 이로 인해 누수 알림 장치(110)는 기울어짐 감지에 따른 이벤트를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10: 누수 알림 장치
120: 누수 수신기
130: 서버
140: 카메라

Claims (10)

  1. 각 스프링클러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고, 누수 발생시 누수 감지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상기 복수의 누수 알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누수 수신기; 및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누수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누수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후크 타입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인 이탈 온도에서 상기 후크 타입의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누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누수가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영역을 관제하는 카메라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6. 본체 프레임;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플렉터에 걸리며 고정 결합되는 결합 부재-상기 결합 부재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임;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장치.
  7.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되,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헤드 보호 부재;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누수 알림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의 일부에 걸리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저면에 위치되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온도 미만의 이탈 온도 도달시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가 상기 헤드 보호 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감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알림 장치는 기울기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저융점 소재 결합 부재의 이탈에 의한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기 감지 이벤트를 상기 누수 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장치.
  9.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로 인한 저항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발생 감지에 따른 경보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누수 알림 장치의 기울어짐 감지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의 이탈 감지 이벤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수 알림 장치의 동작 방법.
  10.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 발생 감지에 따른 누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누수 감지 결과에 포함된 누수 알림 장치와 누수 수신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누수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누수 발생 위치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누수 발생 위치 정보는 누수 발생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라인 정보, 층 정보, 구역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알림 시각화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94657A 2021-07-20 2021-07-20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9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57A KR102497764B1 (ko) 2021-07-20 2021-07-20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57A KR102497764B1 (ko) 2021-07-20 2021-07-20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779A true KR20230013779A (ko) 2023-01-27
KR102497764B1 KR102497764B1 (ko) 2023-02-10

Family

ID=8510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57A KR102497764B1 (ko) 2021-07-20 2021-07-20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63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애즈밸즈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04037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8464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리크텍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63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애즈밸즈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04037A (ko) * 2019-07-03 2021-01-13 제이엔케이히터(주)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8464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리크텍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764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0552A1 (en) Fire containment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ame and for firefighting systems
KR101990977B1 (ko) 소화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CN11049635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消防系统
JP2019016119A (ja) 火災監視システム
KR101811393B1 (ko)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US20130002440A1 (en) Illuminated fire extinguisher cabinet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20100006203A (ko) 문화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101943334B1 (ko)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2497764B1 (ko) IoT 기반 부착형 스마트 누수 알림 장치, 누수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59887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3018499A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設備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KR101823543B1 (ko) 자가진단 시스템이 구비된 화재경보기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102483352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514897B1 (ko)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378243B1 (ko)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JP2020144582A (ja) 防災システムおよび移動ロボット
CN212914334U (zh) 基于bim的消防系统
CN106227273B (zh) 一种机房环境的远程监控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