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419A -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419A
KR20230013419A KR1020210094140A KR20210094140A KR20230013419A KR 20230013419 A KR20230013419 A KR 20230013419A KR 1020210094140 A KR1020210094140 A KR 1020210094140A KR 20210094140 A KR20210094140 A KR 20210094140A KR 20230013419 A KR20230013419 A KR 2023001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se
mode
controller
breast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430B1 (ko
Inventor
강명진
윤용성
Original Assignee
(주)비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스토스 filed Critical (주)비스토스
Priority to KR102021009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4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7Pump accessories with means for hands-fre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유수용부가 한 쌍으로 구비시에 조작이 없이도 신속하게 싱글모드에서 듀얼모드의 스위칭 전환이 가능한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유수용부와 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이 형성된 케이스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져 상기 모유수용부에 모유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압력펌프 및 상기 압력펌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유수용부의 개수에 따라 싱글 또는 듀얼의 모드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은 한 쌍의 상기 연결관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덮개의 외력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모드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The controller for the milking gear in which the mode selection facilitates}
본 발명은 모유수용부가 한 쌍으로 구비시에 조작이 없이도 신속하게 싱글모드에서 듀얼모드의 스위칭 전환이 가능한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축기는 산모가 아이에게 직접 모유를 수유하기 어렵거나 모유를 저장할 경우에 모유를 유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의 유축기는 유방을 감싸는 수유컵과, 모유를 담는 젖병과, 이러한 모유를 채집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축기는 수동형과 자동형으로 분류된다.
수동형의 유축기 구동장치는 레버 또는 공기주머니 형태의 기구를 손으로 쥐고 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진공압력으로 모유를 짜내서 젖병에 저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동형의 유축기 구동장치는 구동을 위해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손을 쥐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유축 기능이 미흡하여 모유를 유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형 유축기 구동장치는 전동모터와 실린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9781호의 "모유 착유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산모의 수유부(젖가슴)에 씌워지는 흡착관을 일측에 마련하고 젖병에 나사 체결되는 결합부를 하측에 마련하며 격판에 의해 양분된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유 토출공과 체결되어 젖병 내부의 모유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로 구성되어진 착유구와, 상기 착유구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일측의 흡배기공에 튜브로서 연결되어 일정길이 분리되어지고 상기한 착유구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 공기를 일정한 사이클의 반복주기로서 진공 펌핑하거나 진공 펌핑을 해제하면서 모유를 주기적으로 착유하는 진공 펌핑 수단과, 상기 진공 펌핑 수단의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축기는 산모가 한번에 한 측의 모유만을 유축할 수 있으므로, 양측의 모유를 모두 유축하려면 유축 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8-76538호인 '듀얼형 자동 유축기'가 개시되어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모유를 유축하는 제1 유축 펌프와, 상기 사용자의 모유를 유축하는 제2 유축 펌프와, 상기 제1, 2 유축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어 버튼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제1, 2 유축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한번에 한 측의 모유만을 유축(싱글모드)하거나, 복수개의 유축 펌프를 제어하여 동시에 양측의 모유를 유축(듀얼모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싱글모드 또는 듀얼모드의 전환을 위해 일일이 사용자가 입력스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로 확인하면서 모드선택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이러한 불편함은 젖몸살(mastitis)이 특히 새벽에 발생하는 사용자가 모드선택을 위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일정시간동안 고통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수반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은 듀얼모드를 만족하기 위해 한 쌍의 유축 펌프를 사용해야 하기에 유축기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기에 휴대가 불편하며, 해당 유축기를 테이블 등에 항시 지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유축하는 과정에서 이동이 불가하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갖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드프리가 가능한 유축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글 또는 듀얼모드의 선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유축기를 별도 구매하지 않고도 슬림(slim) 하면서도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는 모유수용부와 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이 형성된 케이스와, 인가된 전원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져 상기 모유수용부에 모유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압력펌프 및 상기 압력펌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유수용부의 개수에 따라 싱글 또는 듀얼의 모드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은 한 쌍의 상기 연결관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덮개의 외력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모드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스위치는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에 의해 빛의 감지 여부가 달라지는 조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클립 또는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타측에는 상기 모유수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케이스는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모유수용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삽입홈과 상기 홈부가 서로 연통되게 천공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입력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덮개의 개방만으로 평상시 제어부를 통해 항시 싱글모드 상태인 컨트롤러를 듀얼모드로 스위칭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일이 모드변환을 위한 스위치 조작이 불필요하게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용자가 유축이 실행되는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갖는 별도의 유축기를 구매하지 않고도 클립 또는 보조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수단을 통해 유축과정에서의 이동은 몰론, 양손이 자유롭게 유축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에 대한 싱글모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에 대한 듀얼모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인 핸즈프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대한 보조케이스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대한 보조케이스의 싱글모드 및 듀얼모드 작용관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이하, 간략하게 '컨트롤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1)는 크게 케이스(100), 압력펌프(200) 및 회로기판의 형태를 갖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유수용부(400)와 튜브 등에 의해 관(PIPE) 연결되어 후술하는 압력펌프(200)의 간헐적 펌핑(pumping)에 의해 상기 모유수용부(400)에 모유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관(110) 및 덮개(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케이스(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되 이용자의 그립감을 위해 전체적으로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며,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 내부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압력펌프(200)는 물론, 회로기판의 형태를 갖는 제어부(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면에는 한 쌍의 연결관(110)이 튜브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다수의 설치공을 통해 디스플레이(320) 및 복수의 스위치들로 구성된 입력부(330)가 이용자에 의해 확인 및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다.
이때, 한 쌍의 연결관(110) 중 어느 하나는 압력펌프(200)와 연결되되 다른 하나는 릴레이(210)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모드스위치(310)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모유수용부(400)를 사용하는 싱글모드 또는 한 쌍의 상기 모유수용부(400)를 사용하는 듀얼모드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연결관(110) 중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듀얼모드용 연결관)는 고무 등의 재질로 성형된 덮개(1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덮개(120)는 상기 연결관(110)을 폐쇄시에 모드스위치(310)가 온/오프(ON/OFF)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00) 하면에 노출된 모드스위치(310)는 한 쌍의 연결관(110) 사이에 배치되어 듀얼모드시에만 개방되는 연결관(110)에 덮개(120)가 끼움 결합시에 상기 덮개(120)의 외면에 의해 가압 또는 일방향으로 밀려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경우에 상기 모드스위치(310)는 택트스위치, 토글스위치 및 리미트스위치 중 어느 한 종류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모드스위치(310)는 필요에 따라 조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덮개(120)는 연결관(110)과 끼움 결합시에 상기 모드스위치(310)의 빛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암실(暗室)의 분위기를 구현하여 제어부(300)에서 해당 조도센서의 빛 감지 여부를 통해 이용자가 싱글모드 또는 듀얼모드 중 어느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20)는 한 쌍의 연결관(110) 중 듀얼모드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연결관(110)에 각각 끼움 결합하여 모드스위치(310)가 오프(OFF) 상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컨트롤러(1)가 평상시에는 항시 싱글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유지하며, 듀얼모드로 사용시에는 상기 덮개(120)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모드스위치(310)가 온(ON) 상태로 활성화되어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듀얼모드가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듀얼모드로 인식되면 압력펌프(200)가 제공하는 압력이 높게 제어되어 두 개의 연결관(110)에 분산되는 압력이 보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모유수용부(400)는 캡(410) 및 젖병(baby bottle)이나 지퍼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캡(410)과 서로 연통되게 나사 결합하는 수용부재(4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압력펌프(200)의 펌핑에 의해 상기 캡(410)으로 모유가 유입되면 상기 캡 하부에 형성된 연결구(417)를 통해 상기 수용부재(420) 내측에 일정량씩 수용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도 6 참조).
여기서, 캡(4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유방(乳房)과 밀착이 용이하게 투명한 실리콘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원형의 돔(dom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보조케이스(132)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4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캡(410) 상부에는 튜브 등을 통해 연결관(110)과 관 연결되기 위한 이음관(4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관(413)은 역류방지막(415)과 서로 연결되어 압력펌프(200)가 펌핑시에 유축된 모유가 상기 이음관(413)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펌프(200)는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모유수용부(400)에 간헐적으로 펌핑을 가하여 이용자의 유방으로부터 모유가 유출되어 수용부재(4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릴레이(210)를 포함한다.
예컨대 압력펌프(200)는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 배치되되 튜브를 통해 싱글모드로 사용되는 연결관(110)과 서로 관 연결되어 모유수용부(400)에 펌핑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릴레이(210)는 일측이 듀얼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결관(110)과 튜브 등을 통해 관 연결되되 타측은 압력펌프(200)와 관 연결되어 한 쌍의 모유수용부(400)를 통해 모유를 유축시에 상기 압력펌프(200)의 펌핑에 필요한 동력을 보상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300)를 통해 제어된다.
즉, 릴레이(210)는 하나의 압력펌프(200)로 듀얼모드가 진행시에 한 쌍의 모유수용부(400)에 가해지는 펌핑압력이 서로 다르거나 어느 한 측의 펌핑압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릴레이(210)의 전압 세기 등이 달라지도록 제어하여 펌핑압력이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릴레이(210)는 모드스위치(310)가 온(ON) 상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동작될 수 있게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되 펌핑압력의 가변을 위한 상기 릴레이(210)의 조작은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그 가변된 세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펌프(200)가 하나로 설정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압력펌프(200)가 두 개로 구성된 컨트롤러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모드스위치(310)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압력펌프(200)의 동작 여부만을 결정하여 싱글모드와 듀얼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입력부(330)를 통하여 각각의 펌핑압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리 자신의 몸에 맞는 펌핑압력을 좌, 우에 각각 설정하여 두면 연결관(110)을 연결하는 동작(덮개(120)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만으로 좌, 우 펌핑압력이 맞춤설정된 듀얼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핸즈프리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핸즈프리수단(130)은 클립(131) 또는 케이스(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케이스(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립(13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 후면에 상기 케이스(100)와 동일 재질을 갖도록 형성되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용자의 의복 등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이용자가 케이스(100)를 파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유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보조케이스(13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본 발명인 컨트롤러(1)가 삽입 거치되는 삽입홈(134)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모유수용부(400)가 끼움 결합하는 홈부(136)가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134)은 케이스(100) 전면으로 노출된 디스플레이(320)나 입력부(330)를 통해 보조케이스(132)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식별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절개부(C)가 형성된다.
홈부(136)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 캡(410)이 형상 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부(136)를 형성하는 보조케이스(132) 내벽에는 삽입홈(134)과 연통되기 위한 관통공(138)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4)에 삽입된 케이스(100)와 모유수용부(400)가 튜브를 통해 상호 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아울러, 홈부(136)에 삽입된 캡(410)은 이용자가 싱글모드를 선택시에 상기 캡(410)이 상기 홈부(136) 내측과 서로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플랜지(411)가 보조케이스(132)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이를 통해 삽입홈(134)에 삽입된 컨트롤러(1)의 압력펌프(200)가 동작시에 상기 보조케이스(132)는 물론, 상기 캡(410)이 이용자의 가슴 부분에 흡착되어 유축이 가능하도록 한다.(도 8 참조)
이때, 이용자는 보조케이스(132)의 하중에 의해 가슴에 흡착된 상기 보조케이스(132)가 분리되지 않도록 속옷(브레지어) 등의 탄력성이 있는 의류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케이스(132)가 가압 가능하게 감싸지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용자가 듀얼모드를 선택시에는 보조케이스(132) 타측에서 캡(410)을 분리한 상태로 입구(모유가 유입되는 부분)측은 한 쌍이되 출구측은 하나로 이루어진 튜브를 통해 모유의 유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케이스(132)에 덮개(120)가 개방된 컨트롤러(1)를 삽입한 상태에서 튜브(T/P)의 출구측을 싱글모드 및 듀얼모드로 사용하는 한 쌍의 연결관(110)과 관 연결되게 관통공(138)을 관통하며, 한 쌍의 입구측은 각각이 캡(410)이 이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게 복수의 모유수용부(400)와 관 연결하여 유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여, 이용자는 상술한 클립(131)과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를 파지하지 않고도 싱글모드 또는 듀얼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유축이 가능해져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덮개(120)의 개방만으로 평상시 제어부(300)를 통해 항시 싱글모드 상태인 상기 컨트롤러(1)를 듀얼모드로 스위칭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일이 모드변환을 위한 스위치 조작이 불필요하게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용자가 유축이 실행되는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갖는 별도의 유축기를 구매하지 않고도 클립(131) 또는 보조케이스(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수단(130)을 통해 유축과정에서의 이동은 물론, 양손이 자유롭게 유축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100: 케이스
110: 연결관 120: 덮개
130: 핸즈프리수단 131: 클립
132: 보조케이스 134: 삽입홈
136: 홈부 138: 관통공
200: 압력펌프
210: 릴레이
300: 제어부
310: 모드스위치 320: 디스플레이
330: 입력부
400: 모유수용부
410: 캡 411: 플랜지
413: 이음관 415: 역류방지막
417: 연결구 420: 수용부재
C: 절개부
T/P: 튜브

Claims (5)

  1. 모유수용부와 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관이 형성된 케이스;
    인가된 전원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져 상기 모유수용부에 모유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압력펌프; 및
    상기 압력펌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유수용부의 개수에 따라 싱글 또는 듀얼의 모드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은 한 쌍의 상기 연결관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덮개의 외력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모드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스위치는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에 의해 빛의 감지 여부가 달라지는 조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클립 또는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타측에는 상기 모유수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스는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모유수용부가 삽입되는 홈부; 및
    상기 삽입홈과 상기 홈부가 서로 연통되게 천공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스 외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입력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KR1020210094140A 2021-07-19 2021-07-19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KR10257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40A KR102579430B1 (ko) 2021-07-19 2021-07-19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40A KR102579430B1 (ko) 2021-07-19 2021-07-19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419A true KR20230013419A (ko) 2023-01-26
KR102579430B1 KR102579430B1 (ko) 2023-09-15

Family

ID=8511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40A KR102579430B1 (ko) 2021-07-19 2021-07-19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935A1 (en) * 2001-05-18 2002-11-21 Annis Larry D. Breastpump backpack
KR20050098765A (ko) * 2003-02-10 2005-10-12 메델라 홀딩 아게 휴대용 착유 펌프
US20080021380A1 (en) * 2005-01-28 2008-01-24 Medela Holding Ag Breast Pump Set
KR20180076538A (ko) * 2016-12-28 2018-07-06 (주)시밀레 듀얼형 자동 유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935A1 (en) * 2001-05-18 2002-11-21 Annis Larry D. Breastpump backpack
KR20050098765A (ko) * 2003-02-10 2005-10-12 메델라 홀딩 아게 휴대용 착유 펌프
US20080021380A1 (en) * 2005-01-28 2008-01-24 Medela Holding Ag Breast Pump Set
KR20180076538A (ko) * 2016-12-28 2018-07-06 (주)시밀레 듀얼형 자동 유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430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69503B (zh) 吸奶器
AU2010300011B2 (en) Breast shield for expressing human breast milk
JP4611389B2 (ja) 搾乳器セット
US11517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ng a system
CA2490361C (en) Breast pump
US8900182B2 (en) Breast pump and method of use
CA2495380C (en) Manual breastpump with stimulation feature
JP2023520360A (ja) ウェアラブル乳房ポンプシステム
JP3241544U (ja) 搾乳器用搾乳カップ及び搾乳器
EP3817787B1 (en) A pump arrangement, configured to be used with a breast pump device
US20180303985A1 (en) Pump arrangement for a double breast pump, double breast pump and method of operatioon
EP1500408B1 (en) Adapter for human breast pumps
GB2380411A (en) Breast pumps
US20200384172A1 (en) Smart wearable breast pumping machine and nipple correction and breast enhancement machine
KR20230013419A (ko) 모드선택이 용이한 유축기용 컨트롤러
US20220111128A1 (en) Breastmilk collection system
US20210369926A1 (en) A pump arrangement, configured to be used with a double breast pump device
CN110230587A (zh) 混合打气泵、自动充气泵及充气泵
CN204971672U (zh) 一种家用洗牙器
KR102219176B1 (ko) 일체형 전동식 모유 착유기
RU2793929C2 (ru) Нас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молокоотсосом
CN211242766U (zh) 辅料瓶瓶盖接头、辅料瓶机架、辅料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CN211511397U (zh) 一种带阀门瓶盖的辅料瓶、辅料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CN111631591A (zh) 辅料瓶瓶盖接头、辅料瓶机架、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CN111772465A (zh) 一种带阀门瓶盖的辅料瓶、辅料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