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142A -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142A
KR20230013142A KR1020230004335A KR20230004335A KR20230013142A KR 20230013142 A KR20230013142 A KR 20230013142A KR 1020230004335 A KR1020230004335 A KR 1020230004335A KR 20230004335 A KR20230004335 A KR 20230004335A KR 20230013142 A KR20230013142 A KR 2023001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balance
information
bogi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김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봉 filed Critical 김재봉
Priority to KR102023000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142A/ko
Publication of KR202300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142A/ko
Priority to KR1020230153651A priority patent/KR20230159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부품 대차의 적재 부품과 연동하여 관리하는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부품용 대차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부품용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을 대차와 연동하는 관리하는 대차/부품 관리 모듈(11); 부품용 대차로부터 부품의 반출 내역을 관리하는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 및 부품 이력 관리 유닛(12)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용 대차를 위한 고유 코드는 미리 생성이 되어 리더 장치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Description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A System for Managing a Component Carriage Based on ERP}
본 발명은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부품 대차의 적재 부품과 연동하여 관리하는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부품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이 대량으로 취급이 되면서 출고가 되어 차량에 조립이 된 이후에도 관리가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 부품의 협력 회사와 물류 회사 사이에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 부품을 관리한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ERP 시스템은 공급 사슬 관리 또는 고객의 주문 정보를 포함하여 부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ERP 시스템은 부품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를 부착하여 부품의 입출고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부품을 관리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44084호는 자동차 부품 물류 관리 시스템의 전기적 출력 특성을 개선하여 출력 전압의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자동차부품 물류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32222호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부품 관리를 수행하는 재사용부품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자동차 부품을 비롯한 다양한 부품은 조립 또는 수리 내역을 비롯하여 재고 관리가 요구되지만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내역을 추적하거나, 부품의 재고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44084호(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2013년05월02일 공개) 자동차부품 물류관리시스템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32222호(주식회사 리싸이클파크, 2015년03월25일 공개) 자동차 재사용부품 통합관리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대차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이력의 관리 및 부품의 재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부품용 대차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부품용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을 대차와 연동하는 관리하는 대차/부품 관리 모듈; 부품용 대차로부터 부품의 반출 내역을 관리하는 부품 이력 관리 모듈; 및 부품 이력 관리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용 대차를 위한 고유 코드는 미리 생성이 되어 리더 장치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유 코드는 부품 대차에 부착되고, 부품 대차는 구분 부재에 의하여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유 코드는 고유 코드 블록과 부품의 적재 및 반출이 기록되는 부품 코드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은 부품의 재고 관리를 위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대차에 고유 코드를 인가하여 부품의 적재 및 반출을 관리하는 것에 의하여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이력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각각의 부품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부품 재고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품 대차의 관리에 의하여 부품의 반입으로부터 출고에 이르는 전체 과정이 ERP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가 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부품 운반용 대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따라 부품이 관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유 코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관리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부품용 대차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부품용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을 대차와 연동하는 관리하는 대차/부품 관리 모듈(11); 부품용 대차로부터 부품의 반출 내역을 관리하는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 및 부품 이력 관리 유닛(12)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용 대차를 위한 고유 코드는 미리 생성이 되어 리더 장치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 부품을 비롯한 다양한 장치 또는 기계의 조립 또는 수리 과정에서 필요한 부품의 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 부품은 운반용 대차에 적재되어 조립 또는 수리 현장으로 운반되어 조립 또는 수리를 위하여 대차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각각의 부품에 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가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부품이 식별될 수 있다. 부품 입고 처리 모듈(13)은 각각의 부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판독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식별 코드를 부품 관리를 위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식별 코드가 대차/부품 관리 모듈(11)로 전송되고, 대차/부품 관리 모듈(11)은 운반용 대차에 부착되는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각각의 대차에 부착된 고유 코드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을 부품 식별 코드에 의하여 식별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부품이 하나의 대차에 적재가 되면 대차에 적재되는 각각의 부품의 식별 코드를 판독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대차의 고유 코드와 적재된 부품의 식별 코드를 코드 연동 유닛(111)에 저장할 수 있다. 코드 연동 유닛(111)은 대차의 고유 코드와 대차에 적재된 부품의 식별 코드를 연동시켜 저장하면서 대차와 부품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연동 유닛(111)은 생성된 대차/부품 관련 정보를 예를 들어 부품을 관리하는 서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연동 유닛(111)은 생성된 대차/부품 관련 정보를 조립 또는 수리 현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은 조립 현장 또는 수리 현장에 설치될 수 있고, 조립 과정 또는 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에 선별 유닛(121)이 배치될 수 있고, 선별 유닛(121)은 서로 다른 대차의 고유 코드를 식별하고, 각각의 대차에 적재된 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선별 유닛(121)에서 확인된 결과가 대차/부품 관리 모듈(11)로 전송되어 확인될 수 있다. 이후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은 각각의 대차로부터 부품이 반출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은 부품이 사용된 장치 또는 기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의 반출 정보 및 사용 정보가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은 부품의 이력 및 사용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 정보를 부품 입고 처리 모듈(13) 및 부품 관리 서버(15)로 전송할 수 있다. 부품 입고 처리 모듈(13)은 부품 처리 결과를 입고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고, 부품 관리 서버(15)는 부품 사용 정보를 관련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재고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부품과 관련된 장치 또는 기계의 관리를 위한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고객의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이력의 추적을 위한 다양한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대차 고유 코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차의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는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라벨, 스티커, 칩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져 대차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고유 코드는 적절한 리더 장치에 의하여 판독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부품 운반용 대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유 코드(24)는 부품 대차(20)에 부착되고, 부품 대차(20)는 구분 부재(22)에 의하여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을 포함한다.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부품 대차(20)는 다수 개의 부품의 적재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 대차(20)는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대차 프레임(21); 대차 프레임(21)을 다수 개의 구분 영역으로 분리하는 구분 부재(22); 및 대차 프레임(21)의 한쪽 면을 개폐시키는 대차 커버(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차 프레임(21)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아래쪽에 캐스터 또는 이와 유사한 이동 수단이 배치되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차 프레임(21)은 내부에 식별 코드를 가진 부품이 적재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은 구분 부재(22)에 의하여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에 적재될 수 있다. 대차 프레임(21)의 앞쪽의 개폐를 위하여 대차 커버(23)가 배치될 수 있고, 대차 커버(23)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부품이 적재 공간에 적재되거나, 적재 공간으로부터 조립 또는 수리를 위하여 반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고유 코드(24)가 부품 대차(20)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고, 고유 코드(24)는 부품 대차(20)에 적재되는 부품의 식별 코드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대차/부품 관리 모듈(11)에 저장될 수 있다.
고유 코드(24)는 예를 들어 대차 프레임(21)의 앞쪽 면에 부착될 수 있고, 리더 장치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대차 프레임(21)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 코드(24)가 부착되고, 필요에 따라 수용 공간을 분리시키는 구분 부재(22)에 부가 고유 코드(251, 252, 253)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차 프레임(21)에 정보 관리 칩(26)이 배치될 수 있다. 고유 코드(24)가 정보 전송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유 코드(24)는 RF 칩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고유 코드(24)는 단지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이 정보 저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고유 코드(24)는 능동적으로 리더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 칩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수 개의 고유 코드(24) 또는 부가 고유 코드(251, 252, 253)가 부품 대차(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고유 코드(24) 또는 부가 고유 코드(251, 252, 253)가 부품 대차(24)에 부착된 상태에서 정보 관리 칩(26)은 고유 코드(24) 또는 부가 고유 코드(251, 252, 253)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부품의 적재 및 반출 관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관리 칩(26)은 부품의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부품이 적재되거나 또는 반출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칩(26)은 부품 대차(20)와 다양한 리더 장치 또는 판독 장치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유 코드(24)는 부품 대차(2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따라 부품이 관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이력 관리 유닛(31)을 포함할 수 있고, 이력 관리 유닛(31)은 부품의 입고 과정, 각각의 부품 대차에 대한 적재 과정, 부품 대차로부터 반출 과정 및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대차/부품 관리 모듈(11)은 각각의 부품에 연결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부품 관리 유닛(32) 및 각각의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적재 관리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또는 수리 현장에 조립 관리 유닛(34)이 설치될 수 있고,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에 설치될 수 있다. 부품 관리 유닛(32), 적재 관리 유닛(33) 및 조립 관리 유닛(34)에 의하여 탐지된 부품 및 부품 대차 정보가 이력 관리 유닛(31) 및 관리를 위한 전자기기(35)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력 관리 유닛(31)은 부품의 입고, 이동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고, 특별히 부품 대차와 부품 사이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력 관리 유닛(31)은 각각의 부품 대차에서 부품의 반출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유닛(31)은 부품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대차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대차의 위치, 대차의 이동 경로 또는 대차에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유닛(31)은 부품의 적재 및 반출 상황을 확인하여 적재된 부품, 반출된 부품 및 현재 적재 상태로 유지되는 제품 사이의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수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면 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35)는 관리용 컴퓨터 또는 관리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기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부품 관리 유닛(32)과 조립 관리 유닛(34)은 부품의 적재 및 반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기기(35)로 전송할 수 있다. 부품 관리 유닛(32) 또는 조립 관리 유닛(34)은 적재 부품 및 반출 부품에 대한 간략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전자기기(3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부품의 적재 상황 및 반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재고 창고에서 현장으로 부품이 이동되는 상황 또는 운반 대차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되는 다양한 부품의 상태가 확인되면서 부품의 실제 적용 상태가 실시간으로 확인이 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부품의 사용 이력이 정확하게 파악되도록 하면서 부품의 분실 또는 불량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유 코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유 코드(24)는 대차의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 블록(411)과 부품의 식별을 위한 부품 코드 블록(4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유 코드(24)는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과 베이스 기판에 부착되는 라벨 또는 칩이 될 수 있고, 고유 코드 블록(411)과 부품 코드 블록(412)은 베이스 기판에 부착되는 라벨 또는 칩 형태가 될 수 있다. 고유 코드 블록(411)과 부품 코드 블록(412)은 베이스 기판에 탈착 가능한 형태가 되고, 베이스 기판은 부품 대차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고유 코드(24)는 제1 리더(441)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고, 고유 코드(24)의 정보가 제1 리더(441)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다. 또한 고유 코드(24)의 정보는 제1 관리 유닛(431)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제2 관리 유닛(432)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제1 리더(441)에 의하여 판독된 정보가 제1 관리 유닛(4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부품 대차에 부품이 적재되면 코드 확인 유닛(42)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고, 코드 확인 유닛(42)은 예를 들어 부품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식별 코드를 확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리더(441)는 제1 관리 유닛(431)과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리더(441)와 제1 관리 유닛(431)은 예를 들어 부품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코드 확인 유닛(42)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코드 확인 유닛(42)에 의하여 부품 대차로 적재되는 부품 또는 반출되는 부품이 확인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드 확인 유닛(42)은 부품 대차에 설치된 부품 식별 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판독 수단이 될 수 있고,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더(441)와 제1 관리 유닛(431)은 부품이 부품 대차에 적재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대차/부품 관리 모듈(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더(441)와 제1 관리 유닛(43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제2 리더(442)와 제2 관리 유닛(432)이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에 설치될 수 있다. 코드 확인 유닛(42)은 각각의 부품 대차에서 적재되는 부품과 반출되는 부품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부품 대차에 부품이 적재 또는 반출되는 상황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2 관리 유닛(431, 432)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부품 코드 블록(412)은 적재 표시 라인 및 반출 표시 라인을 가질 수 있고, 적재 표시 라인은 제1 리더(441)에 설치된 표시 수단에 의하여 반응하고, 반출 표시 라인은 제2 리더(442)에 설치된 표시 수단에 의하여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더(441) 및 제2 리더(442)에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레이저가 배치될 수 있고, 적재 표시 라인과 반출 표시 라인은 각각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이 레이저에 반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 표시 라인과 반출 표시 라인이 모두 반응이 된 상태가 되면 부품은 정상적으로 적재 및 반출이 되었다는 것이 확인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부품의 정상적인 유통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고유 코드(24)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관리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품 대차에 의한 부품 관리 방법은 부품 대차 코드를 생성하여 각각의 대차에 부차하고 대차와 대차의 고유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P51); 고유 코드가 부착된 부품 대차에 부품을 적재하고 대차 고유 코드와 적재된 부품 사이에 코드 매칭을 시키는 단계(P52); 대차에 적재된 부품이 미리 결정된 대차에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P53); 대차 및 매칭이 된 부품이 고유 코드 및 식별 코드가 저장되는 단계(P54); 부품 대차에서 부품의 적재 또는 반출을 추적하는 단계(P55); 부품의 반출 내역이 저장되고,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P56); 및 부품의 적재 또는 반출 정보에 따라 부품의 재고 및 반출이 관리되는 단계(P57)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부품이 하나의 부품 대차에 적재될 수 있고, 각각의 부품은 미리 결정된 부품 대차에 적재될 수 있고(P52), 부품 대차의 고유 코드와 부품의 식별 코드가 확인될 수 있다(P53). 만약 부품이 미리 정해진 부품 대차에 적재되지 않았다면(NO), 부품이 정해진 운반 대차로 적재되거나 또는 운반 대차에 적재된 부품 식별 코드가 수정될 수 있다(P52). 운반 대차에 적재된 부품의 이동 과정이 추적될 수 있고, 부품 반출 정보가 추적될 수 있다(P55). 그리고 부품에 대한 추적 정보, 운반 대차에 적재 상태로 유지되는 부품 또는 부품과 관련된 정보가 처리되어(P56), 재고 및 반출 관리가 될 수 있다(P57). 이와 같이 부품 대차와 그에 적재된 부품의 매칭에 의하여 현장에서 부품의 이력이 추적되는 것에 의하여 부품의 재고 및 적용 관리 전체가 전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대차에 고유 코드를 인가하여 부품의 적재 및 반출을 관리하는 것에 의하여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이력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각각의 부품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부품 재고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품 대차의 관리에 의하여 부품의 반입으로부터 출고에 이르는 전체 과정이 ERP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가 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대차/부품 관리 모듈 12: 부품 이력 관리 모듈
13: 부품 입고 처리 모듈 14: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
15: 부품 관리 서버 20: 부품 대차
21: 대차 프레임 22: 구분 부재
23: 대차 커버 24: 고유 코드
26: 정보 관리 칩 31: 이력 관리 유닛
32: 부품 관리 유닛 33: 적재 관리 유닛
34: 조립 관리 유닛 35: 전자기기
42: 코드 확인 유닛 111: 코드 연동 유닛
121: 선별 유닛 251, 252, 253: 부가 고유 코드
411: 고유 코드 블록 412: 부품 코드 블록
431, 432: 제1, 2 관리 유닛 441, 442: 제1, 2 리더

Claims (1)

  1. 각각의 부품용 대차에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부품용 대차에 적재되는 부품을 대차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대차/부품 관리 모듈(11);
    대차의 고유 코드와 부품의 식별 코드를 연동시켜 저장하면서 대차와 부품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코드 연동 유닛(111);
    조립 또는 수리 현장에 설치되고 부품용 대차로부터 부품의 반출 내역을 관리하고 부품 대차로부터 반출된 부품이 사용된 장치 또는 기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
    각각의 부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판독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식별 코드를 부품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부품 입고 처리 모듈(13);
    부품 이력 관리 모듈(12)로부터 전송된 부품의 반출 정보 및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부품 반출 정보 처리 모듈(14);
    부품의 이력에 대한 정보, 부품 대차의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품의 조립 또는 수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관리 유닛(31);
    부품 대차의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 블록(411)과 부품의 적재 및 반출이 기록되는 부품 코드 블록(412)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 코드(24)를 포함하고,
    부품 대차(20)는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대차 프레임(21); 대차 프레임(21)을 다수 개의 구분 영역으로 분리하는 구분 부재(22); 및 대차 프레임(21)의 한쪽 면을 개폐시키는 대차 커버(23)를 포함하고, 고유 코드(24)는 대차 프레임(21)의 앞쪽에 부착되고,
    부품 코드 블록(412)은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레이저가 배치되는 제1 리더(441) 및 제2 리더(442)에 설치된 표시 수단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레이저에 반응하는 적재 표시 라인 및 반출 표시 라인을 가지고, 적재 표시 라인과 반출 표시 라인이 모두 반응이 된 상태가 되면 부품이 정상적으로 적재 및 반출이 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며,
    부품 대차의 이력에 대한 정보는 부품 대차의 위치, 부품 대차의 이동 경로 및 부품 대차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동일한 종류의 부품이 구분 부재(22)에 의하여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에 적재되고, 구분 부재(22)에 부가 고유 코드(251, 252, 253)가 부착되며, 대차 커버(23)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부품이 적재 공간에 적재되거나, 적재 공간으로부터 조립 또는 수리를 위하여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004335A 2021-02-22 2023-01-11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20230013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335A KR20230013142A (ko) 2021-02-22 2023-01-11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153651A KR20230159343A (ko) 2021-02-22 2023-11-08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19A KR20210022032A (ko) 2021-02-22 2021-02-22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20014269A KR20220024247A (ko) 2021-02-22 2022-02-03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004335A KR20230013142A (ko) 2021-02-22 2023-01-11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69A Division KR20220024247A (ko) 2021-02-22 2022-02-03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3651A Division KR20230159343A (ko) 2021-02-22 2023-11-08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42A true KR20230013142A (ko) 2023-01-26

Family

ID=7516948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19A KR20210022032A (ko) 2021-02-22 2021-02-22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20014269A KR20220024247A (ko) 2021-02-22 2022-02-03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004335A KR20230013142A (ko) 2021-02-22 2023-01-11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30153651A KR20230159343A (ko) 2021-02-22 2023-11-08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19A KR20210022032A (ko) 2021-02-22 2021-02-22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1020220014269A KR20220024247A (ko) 2021-02-22 2022-02-03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3651A KR20230159343A (ko) 2021-02-22 2023-11-08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100220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30B1 (ko) * 2023-03-08 2023-07-17 주식회사 청림엔지니어링 스마트 피킹 시스템
KR102593341B1 (ko) * 2023-04-10 2023-10-24 코스믹스테이트 주식회사 차량 수리 견적을 위한 차량 부품 erp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084A (ko) 2011-10-21 2013-05-02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자동차부품 물류관리시스템
KR20150032222A (ko) 2014-09-17 2015-03-25 주식회사 리싸이클파크 자동차 재사용부품 통합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084A (ko) 2011-10-21 2013-05-02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자동차부품 물류관리시스템
KR20150032222A (ko) 2014-09-17 2015-03-25 주식회사 리싸이클파크 자동차 재사용부품 통합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032A (ko) 2021-03-02
KR20230159343A (ko) 2023-11-21
KR20220024247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3142A (ko)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Lu et al. RFID enabled manufacturing: fundamentals,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Myerson RFID in the supply chain: a guide to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Michael et al. The pros and cons of RFID in supply chain management
CN201134030Y (zh) 工业生产线中的rfid控制系统
KR101132116B1 (ko)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Apiyo et al. Role of ICT tools in supply chain performance
McCathi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arcodes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Ross et al. A framework for develop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 in a distribution center environment
Dinning et al. Fighting friction
Boushka et al. Auto-ID on the move: the value of Auto-ID technology in freight transportation
KR20200016326A (ko)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KR20190112901A (ko)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Niemczyk Warehouse processes in enterprises
Zeimpekis et al. Real-time logistics management of dried figs using RFID technology: case study in a Greek cooperative company
Liukkonen et al. Life-cycle covering tracea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RFID
Uçkun Modeling and analysi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y within the supply chain
Rochel et al. Impact of rfid technology o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Weijing et al. Design of a material traceability system for multi-star batch production
Pozo et al. Collaborative networks strategies of transportation systems with RFID: a case study for a depot of empty containers
Strassner et al. m-lab
Keskinen Warehouse automation solutions: PPG Tikkurila
Mika Liukkonen et al. Life-cycle covering tracea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for electronic product using rfid
Amoozad-khalili et al. ۳۱۲-RFID Technology in Manufacturing Systems
Fonseca Encoding, application and associ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on high speed manufacturing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